KR101945754B1 -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 Google Patents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754B1
KR101945754B1 KR1020120027537A KR20120027537A KR101945754B1 KR 101945754 B1 KR101945754 B1 KR 101945754B1 KR 1020120027537 A KR1020120027537 A KR 1020120027537A KR 20120027537 A KR20120027537 A KR 20120027537A KR 101945754 B1 KR101945754 B1 KR 101945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absorbing member
vibration absorbing
hol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5981A (ko
Inventor
이헌중
김현수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주식회사 세명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주식회사 세명기업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7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754B1/ko
Publication of KR20130105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Abstract

캐빈에 의해 운전석이 보호되는 캐빈형 작업차에 있어 기체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 저감처리기 하기 위해 장치되는 방진 마운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운트는, 단면축소로 인해 절연부가 형성된 구성의 탄성소재의 진동흡수부재와, 진동흡수부재의 상부를 덮는 상부 캡과, 상부 캡과 일정한 이격 거리를 두고 상기 진동흡수부재 하부 외경부를 덮는 케이싱 및 진동흡수부재 저면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절연부의 형성위치와 대응되는 높이에서 상기 상부 캡의 선단부와 케이싱의 선단부가 상호 이격되도록 된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A vibration proof mount of cabin type vehicle}
본 발명은 방진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운전석이 캐빈(cabin)에 의해 보호되는 캐빈형 작업차 예컨대, 트랙터, 콤바인과 같은 작업차에 있어 기체로부터의 진동을 흡수, 감쇄하여 운전석 측으로 진동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 또는 저감시킬 수 있는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외부 환경으로부터 운전석을 보호하여 외부 환경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작업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정숙성을 향상시켜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기체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작업차 예컨대 트랙터의 경우 캐빈(cabin) 구조를 널리 채택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를 통상적으로 '캐빈형 작업차'라 하며, 이는 투명한 유리로 된 박스 형태의 캐빈이 운전석 공간을 감싸 보호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통상적인 작업차의 경우 다양한 작업을 위해 강력한 힘을 필요로 하며, 때문에 소음, 진동이 상대적으로 심한 디젤엔진을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또한 일반 차량의 도로 주행과는 달리 가혹한 노면조건에서 주행 또는 이동을 하면서 작업을 하는 관계로 소음과 진동이 심하게 발생한다. 이를 위해 운전석을 보호하는 캐빈 하부에 도 1과 같이 방진장치를 설치하여 운전석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캐빈형 트랙터에서 기체 프레임 위에 캐빈이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캐빈(5)의 바닥을 형성하는 베이스 저면에는 캐빈 브래킷(2)이 부착되어 있고, 이 캐빈 브래킷(2)은 상기 캐빈(5)을 차체 프레임(또는 차축) 상에 지지하도록 기능하는 지지 브래킷(3)과 연결된다. 캐빈형 트랙터의 경우 보통, 전, 후 각 2개 한 쌍씩 4개소에 캐빈 브래킷(2)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때 캐빈 브래킷(2)과 지지 브래킷(3)은 방진(防振)기능을 갖는 방진 마운트(4)를 매개로 상호 견고하게 연결된다.
종래 캐빈형 작업차에 채택되고 있는 방진 마운트(4)는 그 구조 및 형상에 있어 기종마다 차이는 있지만 진동흡수를 위한 소재로서 대부분 고무(Rubber)를 채택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진동흡수용 소재로서 고무를 채택하는 경우 고무의 경도가 낮을수록 진동,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그러나 고무 경도가 너무 낮으면 작은 주행충격에도 캐빈이 심하게 요동쳐 오히려 승차감과 조작성이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8-006862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낮은 경도의 고무를 사용하면서도 엔진 및 기체 주행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중앙에 관통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면으로부터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단면축소로 인해 절연부가 형성된 구성의 고무재질의 진동흡수부재; 관통홀과 일치하는 구멍을 가지면서 상기 진동흡수부재의 상부를 덮는 상부 캡; 상부 캡과 일정한 이격 거리를 두고 상기 진동흡수부재 하부 외경부를 덮는 케이싱; 및 관통홀과 일치하는 구멍을 가지면서 상기 진동흡수부재 저면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절연부의 형성위치와 대응되는 높이에서 상기 상부 캡의 선단부와 케이싱의 선단부가 상호 이격되는 구성의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캡은 그 개구 측 선단에 캡 플랜지를 일체로 가지며, 케이싱은 상기 캡 플랜지에 평행하게 대면하는 평면부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캡 플랜지와 대면하는 평면부 상에는 진동흡수부재에서 일체로 뻗은 부재에 의해 일정 두께로 탄성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 접촉면은 상기 상부 캡의 캡 플랜지 직경보다 크고 케이싱의 평면부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캡의 캡 플랜지는 완만한 곡률로 아래로 볼록하게 만곡져서 그 최외곽 단부가 상향 절곡된 형상을 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흡수부재는 하부 지지부재와 접촉하는 그 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와 폭으로 상기 관통홀 주변에 갭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싱은 진동흡수부재 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상향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갭을 향해 진동흡수부재 반경방향으로 파고드는 스톱퍼를 일체로 구비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갭의 크기 조절를 위해 상기 갭에는 갭 조절부재가 끼워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지지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진동흡수부재의 저면에는 일정한 패턴으로 요철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흡수부재의 절연부는 이 진동흡수부재 반경방향으로 완만한 곡률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되는 U자형 공간일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진동흡수부재의 관통홀에 끼워지는 원통형 부싱; 및 상기 부싱 상단의 진동흡수부재 상면에 부착되는 하중분산판; 을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싱과 하중분산판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에 의하면, 진동흡수부재에 U자형 절연부 및 갭의 형성으로 인해, 기체 측에 연결되는 케이싱으로부터 상부 캡을 통해 캐빈 측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진동에 의한 캐빈의 상, 하 및 수평방향 요동이 상부 캡과 케이싱의 접촉 및 스톱퍼에 의해 제한됨으로써, 캐빈의 6축 방향(전, 후, 좌, 우, 상, 하) 요동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진동흡수부재의 형상적 특징에 의해 진동이 캐빈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 및 감쇄시킬 수 있으며, 진동으로 인해 진동흡수부재에 6축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든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상부 캡과 케이싱의 접촉 및 스톱퍼에 의해 캐빈의 요동이 제어됨으로써, 경도가 낮은 진동흡수부재를 채택하면서도 엔진 및 기체 주행에 따른 소음진동을 효과적 저감시킨 캐빈형 작업차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캐빈형 작업차(트랙터)의 캐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빈형 작업차 방진 마운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방진 마운트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 마운트의 설치 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4에서 다른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8,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 마운트의 작동 상태도.
도 10,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 마운트의 절연성능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빈형 작업차 방진 마운트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방진 마운트의 결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 마운트의 설치 상태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5와 도 6은 도 4에 나타난 방진 마운트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진 마운트(1)는 크게,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의 진동흡수부재(10)와, 진동흡수부재(10)의 상부를 덮는 상부 캡(12), 상기 진동흡수부재(10)의 하부 외경부를 덮는 케이싱(14), 그리고 상기 진동흡수부재(10) 저면에 밀착 설치되어 이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재(16)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운트(1)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진동흡수부재(10)는 도 2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중앙에 관통홀(10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면으로부터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단면축소로 인해 절연부(102)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관통홀(100)에는 원통형 부싱(bushing, 11)이 끼워지고, 원통형 부싱(11)을 두 개의 연결 대상부를 상호 견고히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재 구체적으로는, 볼트(17)가 조립된다.
원통형 부싱(11)은 이에 조립되는 연결부재 즉, 상기 볼트(17)의 축방향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볼트(17)의 직경보다 미소하게 큰 직경을 가진 금속소재의 관일 수 있다. 그리고 원통형 부싱(11)의 상단 측 진동흡수부재(10) 상면에는 캐빈 요동으로 상기 상부 캡(12)을 통해 진동흡수부재(10) 쪽으로 하중이 전달되는 경우에 있어, 이 하중이 진동흡수부재(10) 상면 전반에 걸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는 하중분산판(13)이 구비될 수 있다.
진동흡수부재(10)의 상기 절연부(102)는 도 4 내지 도 5의 도시와 같이, 이 진동흡수부재(10)의 반경방향으로 완만한 곡률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되는 U자형 공간일 수 있다. 도면과 같이 U자형 공간의 절연부(102)가 형성되면, 방진 마운트(1)를 구성하는 상기 케이싱(14) 측에서 상부 캡(12) 측으로 진동이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경로 면적이 최소화됨으로써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진동흡수부재(10)에는 또한 상기 하부 지지부재(16)와 접촉하는 그 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와 폭으로 상기 관통홀(100) 주변을 따라 형성되는 갭(104)을 구비한다(도 6참조). 이 갭(104) 역시 전술한 절연부(102)와 마찬가지로 진동 절연을 위해 형성된다. 주요하게는, 상부 캡(12) 측으로 전달되는 여러 경로의 진동 중 관통홀(100)에 끼워진 부싱(11) 및 그 안의 볼트(17)를 통해 상측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킨다.
진동흡수부재(10)는 또한 하부 지지부재(16)와 접촉하는 그 저면에 일정한 패턴으로 함몰된 요철면(106)을 구비한다. 요철면(106)은 바람직하게, 진동흡부재 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우산살 모양으로 뻗은 방사상 패턴의 요철면(106)일 수 있다. 상기 요철면(106) 역시도 진동 절연을 위해 기능한다. 주요하게는, 여러 경로로 전달되는 진동 중 상기 하부 지지부재(16) 및 이와 접촉하는 상기 부싱(11)과 그 안의 볼트(17)를 통해 상측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킨다.
상부 캡(12)은 상기 진동흡수부재(10)의 상부가 꼭 끼워져 들어맞을 수 있을 정도의 반경을 갖는 융기면을 형성한 금속소재의 용기구조일 수 있다. 상기 상부 캡(12)은 그 중앙에 상기 진동흡수부재(10)의 관통홀(100)과 일치하는 구멍(볼트가 관통하는 구멍, 부호 생략)을 갖고, 반경 방향으로 외향 절곡되며 방진 마운트(1)의 축방향 변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로서 기능하는 캡 플랜지(120)를 개구 측 선단에 일체로 구비한다.
상부 캡(12)은 그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그 상면이 캐빈의 바닥을 구성하는 베이스 저면의 캐빈 브래킷(2)과 면접촉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캡 플랜지(120)는 진동흡수부재(10)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탄성 접촉면(108)(후술 됨) 상으로 접촉하면서 캐빈의 요동에 따라 축방향으로 변위되는 방진 마운트(1)의 상기 변위 량이 정해진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케이싱(14)은 상기 상부 캡(12)과 일정한 이격 거리를 두고 상기 진동흡수부재(10)의 하부 외경부를 커버링 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싱(14)은 상기 캡 플랜지(120)와 일정한 이격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대면하는 평면부(140)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때 평면부(140)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운트(1)를 기체 측 지지 브래킷(3)과 결합시킴에 있어 상호 견고한 결합을 위한 플랜지 역할과 함께 상기 상부 캡(12)의 요동을 제한한다.
상부 캡(12)과 상기 케이싱(14)의 이격 위치, 구체적으로는 상부 캡의 캡 플랜지(120)와 케이싱(14)의 평면부(140)가 이격된 위치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진동흡수부재(10)의 상기 절연부(102) 형성위치에 대응되는 높이일 수 있다. 이는 절연부(102)가 형성된 지점이 다른 부분에 비해 축소된 단면을 갖는 관계로 진동흡수부재의 축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절연부(102) 형성지점에서 축방향 변위가 주요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때 상부 캡의 캡 플랜지와 평면부 이 두 구성요소 간 이격 거리(L)는 캐빈 사양에 따라 다소 다를 수는 있으나, 방진 마운트(1)가 상, 하 길이방향으로 변위 됨에 있어 캐빈 측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은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면서도, 엔진 구동 또는 기체 주행 시 노면충격 등으로 캐빈이 위, 아래로 요동되더라도 운전자의 기체조작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 바람직하게는 3mm 내외일 수 있다.
케이싱(14)의 상기 평면부(140)에는 소정의 두께로 진동흡수부재(10)에 의한 탄성 접촉면(10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 접촉면(108)은 상기 상부 캡(12)의 캡 플랜지(120) 직경보다 크고 케이싱(14)의 평면부(140)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탄성 접촉면(108)이 형성되면, 변위 발생 시 캡 플랜지(120)와 평면부(140)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되므로 충격과 기계적 소음이 방지될 수 있다.
상부 캡(12)의 상기 캡 플랜지(120)가 탄성 접촉면(108)에 접촉함에 따라 방진 마운트(1)의 길이방향 변위를 제한하는 스톱퍼로서 기능함에 있어서는, 측면에서 봤을 때 좌, 우(또는 전, 후)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에 의해 방진 마운트(1)가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탄성 접촉면(108)과의 면접촉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캡 플랜지(120)는 완만한 곡률로 아래로 볼록하게 만곡져서 그 최외곽 단부가 살짝 위로 경사진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케이싱(14)은 도 4 또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 진동흡수부재(10) 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상향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갭(104)을 향해 진동흡수부재(10) 반경방향으로 파고드는 스톱퍼(142)를 일체로 구비한다. 스톱퍼(142)는 도면과 같이 부싱(11)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며, 도 4의 측면도를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에 의해 방진 마운트(1)에 좌, 우(또는 전, 후) 반경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했을 때 그 변위를 제한하도록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방진 마운트(1)를 구성하는 진동흡수부재(10)가 전, 후(또는 좌, 우) 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으로 인해 전, 후, 좌, 우 어느 한 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한 경우 부싱(11)과 상기 스톱퍼(142)가 이격된 범위(갭의 크기) 내에서는 전, 후(또는 좌, 우) 요동이 허용되지만, 그 이상이 되면 상기 스톱퍼(142) 선단부가 부싱(11) 쪽으로 밀착하게 됨으로써 더 이상의 요동이 허용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방진 마운트에 의한 전, 후(또는 좌, 우) 요동의 허용범위는 부싱(11)과 상기 스톱퍼(142)가 이격된 범위 즉, 전술한 갭(104)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작업차 사양에 따라 달라지는 다양한 하중의 캐빈에 포괄적으로 적용함에 있어서는 기체 사양에 따라 전, 후(또는 좌, 우) 요동의 허용범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도 7은 이처럼 기체 사양에 따라 전, 후(또는 좌, 우) 요동범위 조절을 위한 방안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위와 같이 기체 사양에 따라 전, 후(또는 좌, 우) 요동의 범위를 조절함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 도면과 같이, 상기 갭(104) 부분에 기체사양에 따라 적절한 두께를 갖는 원통형(부싱의 형상에 따라 삼각 이상 다각의 통형 구조일 수도 있음)의 갭 조절부재(15)를 설치하는 것으로 요동범위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체사양에 따른 캐빈의 좌, 우(또는 전, 후) 요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한 및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8은 방진 마운트(1) 조립을 위한 연결부재로서 전술한 볼트(17)와 결합하는 너트를 나타내며, 18은 체결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너트(18)와 전술한 하부 지지부재(16) 사이로 개입되는 와셔를 가리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진 마운트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이하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8,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 마운트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8은 상, 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에 대한 방진 마운트의 동작을, 도 9는 좌, 우(또는 전, 후)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에 대한 방진 마운트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방진 마운트(1) 구체적으로는, 진동흡수부재(10)의 파선의 도시와 같은 그 축방향 변위에 의해 상, 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이 흡수, 억제된다. 이때 진동흡수부재(10)의 축방향 변위는 상부 캡(12)의 캡 플랜지(120)와 탄성 접촉면(108) 사이의 이격 거리로 제한된다. 따라서 낮은 경도의 고무를 진동흡수부재(10)로서 채택하더라도 종래와는 다르게 캐빈 측에는 상, 하 방향으로 큰 요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캡 플랜지(120)가 탄성 접촉면(108)에 접촉함에 따라 축방향 변위가 제한됨에 있어서도, 상기 캡 플랜지(120)와 평면부(140) 사이에는 캡 플랜지(120) 직경에 비해 큰 직경으로 상기 탄성 접촉면(108)이 형성됨으로써, 진동흡수부재(10)가 그 길이방향으로 최대변위가 발생하여 상기 캡 플랜지(120)가 평면부(140) 측으로 밀착되더라도 캡 플랜지(120)와 평면부(140)는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축방향 변위 제한에 따른 충격은 줄고 기계적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진동흡수부재(10)의 직경 축소로 인한 절연부(102)로 인하여, 방진 마운트(1)를 구성하는 케이싱(14) 측에서 상부 캡(12) 측으로 진동이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전달면적이 줄어 들었기 때문에, 기체 측에 연결되는 상기 케이싱(14)으로부터 상부 캡(12)을 통해 캐빈 측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는, 진동저감으로 캐빈 측 승차감의 향상과 조작 안전성이 확보된다.
다음, 좌, 우(또는 전, 후)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에 대해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진동흡수부재(10)의 파선의 도시와 같은 그 좌, 우(또는 전, 후) 변위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이 흡수, 억제된다. 이때 부싱(11)과 스톱퍼(142)가 이격된 범위 내에서의 반경방향 요동은 허용되지만, 그 이상이 되면 상기 스톱퍼(142) 선단부가 부싱(11) 쪽으로 밀착하게 됨으로써 더 이상의 반경방향 요동은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역시 낮은 경도의 고무를 진동흡수부재로서 채택하더라도 방진 마운트의 수평방향 요동이 제어됨으로써 종래와는 다르게 캐빈 측에는 좌, 우 수평방향으로 큰 요동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술한 방진 마운트의 절연성능을 보여주기 위한 그래프로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운트와 종래 방진 마운트의 엔진 알피엠 변화에 따른 캐빈 전방 측 절연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운트와 종래 방진 마운트의 엔진 알피엠 변화에 따른 캐빈 후방 측 절연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의 그래프를 보면, 종래 캐빈형 작업차에 채택되고 있는 고무재질의 방진 마운트의 경우 캐빈 전방 및 후방 모두 알피엠의 변화에 따라 절연율이 큰 폭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는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운트의 경우 전체적으로 종래 방진 마운트의 절연율에 비해 높은 절연율을 가지면서 엔진 알피엠 변화에도 큰 폭의 변화 없이 일정한 절연성능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진 마운트는 종래 캐빈형 작업차에 채택되고 있는 고무재질의 방진 마운트에 비해 월등히 높은 절연율을 가지면서도, 알피엠 변화에 구애됨이 없이 일정 수준(90%) 이상의 절연율을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종래 캐빈형 작업차에 적용되고 있는 방진 마운트에 비해 진동 및 그에 따른 소음의 저감 측면에서 월등히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고 할 수 있다.
정리하면, 이상에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운트에 따르면, 진동흡수부재에 U자형 절연부 및 갭의 형성으로 인해, 기체 측에 연결되는 케이싱으로부터 상부 캡을 통해 캐빈 측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진동에 의한 캐빈의 상, 하 및 수평방향 요동이 상부 캡과 케이싱의 접촉 및 스톱퍼에 의해 제한됨으로써, 캐빈의 6축 방향(전, 후, 좌, 우, 상, 하) 요동을 효과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진동흡수부재의 형상적 특징에 의해 진동이 캐빈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 및 감쇄시킬 수 있으며, 진동으로 인해 진동흡수부재에 6축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든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상부 캡과 케이싱의 접촉 및 스톱퍼에 의해 캐빈의 요동이 제어됨으로써, 경도가 낮은 진동흡수부재를 채택하면서도 엔진 및 기체 주행에 따른 소음진동을 효과적 저감시킨 캐빈형 작업차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방진 마운트 2 : 캐빈 브래킷
3 : 지지 브래킷
10 : 진동 흡수부재 11 : 부싱
12 : 상부 캡 13 : 하중분산판
14 : 케이싱 16 : 하부 지지부재
17 : 볼트 18 : 너트
19 : 와셔
100 : 관통홀 102 : 절연부
104 : 갭 106 : 요철면
108 : 탄성 접촉면 120 : 캡 플랜지
140 : 평면부 142 : 스톱퍼

Claims (11)

  1. 진동 흡수/감쇄를 위해 부품 또는 장치 간 이음부에 개입되는 방진 마운트로서,
    중앙에 관통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면으로부터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단면축소로 인해 절연부가 형성된 구성의 고무재질의 진동흡수부재;
    관통홀과 일치하는 구멍을 가지면서 상기 진동흡수부재의 상부를 덮는 상부 캡;
    상부 캡과 일정한 이격 거리를 두고 상기 진동흡수부재 하부 외경부를 덮는 케이싱; 및
    관통홀과 일치하는 구멍을 가지면서 상기 진동흡수부재 저면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절연부의 형성위치와 대응되는 높이에서 상기 상부 캡의 선단부와 케이싱의 선단부가 상호 이격되고,
    상기 진동흡수부재는 하부 지지부재와 접촉하는 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와 폭으로 상기 관통홀 주변에 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2. 진동 흡수/감쇄를 위해 부품 또는 장치 간 이음부에 개입되는 방진 마운트로서,
    중앙에 관통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면으로부터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단면축소로 인해 절연부가 형성된 구성의 고무재질의 진동흡수부재;
    관통홀과 일치하는 구멍을 가지면서 상기 진동흡수부재의 상부를 덮는 상부 캡;
    상부 캡과 일정한 이격 거리를 두고 상기 진동흡수부재 하부 외경부를 덮는 케이싱; 및
    관통홀과 일치하는 구멍을 가지면서 상기 진동흡수부재 저면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절연부의 형성위치와 대응되는 높이에서 상기 상부 캡의 선단부와 케이싱의 선단부가 상호 이격되고,
    상기 절연부는 진동흡수부재의 반경방향으로 완만한 곡률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되는 U자형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은 그 개구 측 선단에 캡 플랜지를 일체로 가지며, 케이싱은 상기 캡 플랜지에 평행하게 대면하는 평면부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캡 플랜지와 대면하는 평면부 상에는 진동흡수부재가 일정 두께로 층을 이루도록 적층된 탄성 접촉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접촉면은 상기 상부 캡의 캡 플랜지 직경보다 크고 케이싱의 평면부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의 캡 플랜지는 완만한 곡률로 아래로 볼록하게 만곡져서 그 최외곽 단부가 상향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부재 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상향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갭을 향해 진동흡수부재 반경방향으로 파고드는 스톱퍼가 케이싱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7. 제 6 항에 있어서,
    갭의 크기 조절를 위해 상기 갭에 설치되는 갭 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부 지지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진동흡수부재의 저면에는 일정한 패턴으로 요철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9. 삭제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흡수부재의 관통홀에 끼워지는 원통형 부싱; 및
    상기 부싱 상단의 진동흡수부재 상면에 부착되는 하중분산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과 하중분산판이 일체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KR1020120027537A 2012-03-19 2012-03-19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KR101945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537A KR101945754B1 (ko) 2012-03-19 2012-03-19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537A KR101945754B1 (ko) 2012-03-19 2012-03-19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981A KR20130105981A (ko) 2013-09-27
KR101945754B1 true KR101945754B1 (ko) 2019-02-08

Family

ID=49454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537A KR101945754B1 (ko) 2012-03-19 2012-03-19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7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6697A (ja) * 1999-05-25 2000-12-05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防振支持機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65961U (ko) * 1987-10-22 1989-04-27
JPH10204924A (ja) * 1997-01-20 1998-08-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運転室付き作業機
JP4549230B2 (ja) * 2005-05-13 2010-09-22 株式会社川金コアテック 橋梁用複合支承
KR20110062290A (ko) * 2009-12-03 2011-06-10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진동 흡수장치와 운전자 보호구조물 하중 지지장치가 일원화된 건설장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6697A (ja) * 1999-05-25 2000-12-05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防振支持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981A (ko) 201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1385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構造
WO2015012072A1 (ja) 防振装置
JP4241718B2 (ja) 建設機械運転室の荷重支持装置
KR100917557B1 (ko) 에어 현가 장치의 에어 스프링 장치
JP2011220434A (ja) 防振装置
KR101945754B1 (ko)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KR20120136947A (ko) 돌기가 형성된 러버행거
KR102131808B1 (ko)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JP2010208420A (ja) 縦置エンジンの懸架構造
KR100460929B1 (ko) 차량용 변속기의 마운팅 장치
KR102647327B1 (ko)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빈 작업차
KR100622500B1 (ko) 엔진 마운팅 인슐레이터
KR100814621B1 (ko) 트랙터의 진동방지 구조
KR102190452B1 (ko) 유압식 조향장치가 적용된 캐빈형 농작업차
KR100932165B1 (ko) 차량용 스트럿 인슐레이터
KR20040032394A (ko) 자동차의 변속기 서포터 브라켓 어셈블리
KR100836925B1 (ko) 차량용 엔진 마운트 유닛
JP2010091042A (ja) 防振装置
KR100588670B1 (ko)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구조
KR100501436B1 (ko) 엔진 마운팅을 위한 인슐레이터
JP2007278342A (ja) 防振マウント装置
JP3693062B2 (ja) 防振装置
KR200271382Y1 (ko) 엔진 러버 마운트 쉐이킹 방지와셔
KR200141639Y1 (ko) 엔진 마운팅
KR20090090513A (ko) 소음진동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트랙터 캐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