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458B1 - 게임 제어 프로그램, 게임 제어 방법 및 게임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게임 제어 프로그램, 게임 제어 방법 및 게임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458B1
KR101944458B1 KR1020177020703A KR20177020703A KR101944458B1 KR 101944458 B1 KR101944458 B1 KR 101944458B1 KR 1020177020703 A KR1020177020703 A KR 1020177020703A KR 20177020703 A KR20177020703 A KR 20177020703A KR 101944458 B1 KR101944458 B1 KR 101944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operation
movement
touch
character
loc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0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0612A (ko
Inventor
타카후미 우에노
쇼지 카와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사이게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사이게임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사이게임스
Publication of KR20170100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5Fostering virtual charac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63F13/214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the surface being also a display device, e.g. 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6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involving on-screen location information, e.g. screen coordinates of an area at which the player is aiming with a light gu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7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8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by computing conditions of game characters, e.g. stamina, strength, motivation or energ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68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detect the point of contact of the player on a surface, e.g. floor mat, touch pad
    • A63F2300/1075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specially adapted to detect the point of contact of the player on a surface, e.g. floor mat, touch pad using a touch scre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5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comput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게임의 캐릭터에 대한 이동 지시의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게임 제어 프로그램, 게임 제어 방법 및 게임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게임 제어 장치(1)는, 터치 패널(10)과, 터치 패널(10)에 대한 접촉이 계속되면서, 해당 접촉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조작을 제1 터치 조작으로 판정하는 제1 판정부(32)와, 제1 터치 조작의 방향 및 이동량에 따라, 게임의 캐릭터의 이동 예정 궤적을 생성하는 궤적 생성부(33)와, 제1 터치 조작에 있어서의 접촉이 계속 중에, 터치 패널(10)에 대한 새로운 접촉을 제2 터치 조작으로 판정하는 제2 판정부(35)와, 제2 터치 조작의 종류, 접촉 위치 또는 이동량에 따라, 이동 예정 궤적을 변경하는 궤적 변경부(36)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게임 제어 프로그램, 게임 제어 방법 및 게임 제어 장치
본 발명은, 게임의 실행을 제어하는 게임 제어 프로그램, 게임 제어 방법 및 게임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게임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플레이어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물리적인 컨트롤러를 대신하여, 터치 패널에 의해 캐릭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터치 패널에 대한 드래그 조작에 의해 파라미터의 설정값을 변화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참조).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2006-18128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 2014-215888호 공보
그러나, 캐릭터에 대한 이동 지시와 파라미터의 설정은, 통상 각각이 독립된 제어에 의해 접수되므로, 예를 들어 캐릭터의 이동 방법의 종류, 또는 화면 표시에 관한 파라미터 등의 설정은, 이동 지시 전에 행해졌다.
이 때문에, 플레이어는, 이동 지시 도중에 설정 조작을 동시에 행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게임의 캐릭터에 대한 이동 지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게임 제어 프로그램, 게임 제어 방법 및 게임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제어 프로그램은, 게임의 실행을 제어하는 컴퓨터에, 터치 패널에 대한 접촉이 계속되면서, 해당 접촉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조작을 제1 터치 조작으로 판정하는 제1 판정 단계와, 상기 제1 터치 조작의 방향 및 이동량에 따라, 상기 게임의 캐릭터의 이동 예정 궤적을 생성하는 궤적 생성 단계와, 상기 제1 터치 조작에 있어서의 접촉이 계속 중에,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새로운 접촉을 제2 터치 조작으로 판정하는 제2 판정 단계와, 상기 제2 터치 조작의 종류, 접촉 위치 또는 이동량에 따라, 상기 이동 예정 궤적을 변경하는 궤적 변경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처리를 실행시킨다.
상기 제어 처리는, 상기 제2 터치 조작의 종류, 접촉 위치 또는 이동량에 따라, 상기 게임의 표시 태양을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터치 조작은, 상기 터치 패널 상의 소정 영역에의 접촉을 포함하는 조작일 수도 있다.
상기 제2 터치 조작은, 상기 제1 터치 조작에 있어서의 접촉의 위치 및 이동 방향에 대한 상대적인 영역에의 접촉을 포함하는 조작일 수도 있다.
상기 제2 터치 조작은, 복수의 접촉 위치 중 적어도 1개의 이동을 포함하는 조작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제어 방법은, 컴퓨터가 게임의 실행을 제어하는 게임 제어 방법으로서, 터치 패널에 대한 접촉이 계속되면서, 해당 접촉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조작을 제1 터치 조작으로 판정하는 제1 판정 단계와, 상기 제1 터치 조작의 방향 및 이동량에 따라, 상기 게임의 캐릭터의 이동 예정 궤적을 생성하는 궤적 생성 단계와, 상기 제1 터치 조작에 있어서의 접촉이 계속 중에,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새로운 접촉을 제2 터치 조작으로 판정하는 제2 판정 단계와, 상기 제2 터치 조작의 종류, 접촉 위치 또는 이동량에 따라, 상기 이동 예정 궤적을 변경하는 궤적 변경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제어 장치는, 게임의 실행을 제어하는 게임 제어 장치로서,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접촉이 계속되면서, 해당 접촉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조작을 제1 터치 조작으로 판정하는 제1 판정부와, 상기 제1 터치 조작의 방향 및 이동량에 따라, 상기 게임의 캐릭터의 이동 예정 궤적을 생성하는 궤적 생성부와, 상기 제1 터치 조작에 있어서의 접촉이 계속 중에,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새로운 접촉을 제2 터치 조작으로 판정하는 제2 판정부와, 상기 제2 터치 조작의 종류, 접촉 위치 또는 이동량에 따라, 상기 이동 예정 궤적을 변경하는 궤적 변경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이어는, 게임의 캐릭터에 대한 이동 지시인 제1 터치 조작의 도중에 이동 예정 궤적을 시인하여, 해당 캐릭터의 이동 처리 결과를 예측하면서 이동 지시의 결정을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제2 터치 조작에 의해 이동 예정 궤적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이동 지시를 중단하는 일 없이, 보다 적절한 이동 방법을 음미할 수 있으므로, 게임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게임 제어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터치 조작 중에 있어서의 게임의 플레이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터치 조작의 계속 중에 있어서의 게임의 플레이 화면의 제1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터치 조작의 계속 중에 있어서의 게임의 플레이 화면의 제3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제1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제2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제어 장치(1)는, 터치 패널에 의해 조작 입력을 접수하는 게임의 실행을 제어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 또는 휴대게임기 등의 휴대형 장치 외에, PC 또는 게임전용기 등의 거치형 장치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게임 제어 장치(1)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게임 제어 장치(1)는, 터치 패널(10)과, 기억부(20)와, 제어부(30)를 구비한다.
터치 패널(10)은, 게임에 있어서의 입출력 디바이스이며, 플레이어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검지함과 함께, 게임의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터치 패널(10)은, 플레이어의 손가락 등이 접촉 또는 근접한 것을 검지하는 터치 센서(11)와, 이 터치 센서의 영역에 중첩하여 배치된 디스플레이(12)를 포함한다.
이하, 간단히 접촉 또는 터치라고 하는 경우, 이는, 접촉 또는 근접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11)에 의해 검지 가능한 유저의 조작을 나타낸다.
터치 센서(11)는, 동시에 다점의 터치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한 터치 센서이며, 터치 패널(10)은, 예를 들어 투영형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이다.
기억부(20)는, 하드웨어군을 게임 제어 장치(1)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 등의 기억 영역이다. 구체적으로는, 기억부(20)에는, 본 실시 형태의 각종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제어부(30)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게임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제어부(30)는, 게임 제어 장치(1)의 전체를 제어하는 부분이며, 기억부(20)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을 적당히 독출하여 실행함으로써, 상기의 하드웨어와 협동하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종 기능을 실현하고 있다. 제어부(3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일 수도 있다.
제어부(30)는, 터치 패널(10)에의 접촉, 접촉 위치, 접촉 시간 또는 접촉 횟수에 기초하여 터치 조작의 종류를 판별한다. 터치 조작의 종류에는, 터치, 롱 터치, 릴리스, 스와이프, 탭, 더블 탭, 롱 탭, 드래그, 플릭, 핀치인, 핀치아웃 등이 포함된다.
터치는, 터치 패널(10)에 접촉하는 조작이다.
롱 터치란, 터치 패널(10)에 일정 시간 이상 접촉하는 조작이다.
릴리스는, 터치 패널로부터 떨어지는 조작이다.
스와이프는, 터치 패널(10)에 접촉한 그대로 터치 위치를 이동하는 조작이다.
탭은, 터치에 계속해서, 터치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고 릴리스를 하는 조작이다.
더블 탭은, 탭 조작이 2회 연속된 조작이다.
롱 탭은, 롱 터치에 계속해서, 터치 위치를 이동시키지 않고 릴리스를 하는 조작이다.
드래그는, 터치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12)에 표시된 오브젝트의 이동 또는 변형을 수반하여 스와이프를 하는 조작이다.
플릭은, 터치에 계속해서 터치 위치가 한쪽 방향으로 고속으로 이동하면서 릴리스하는 조작이다.
핀치인은, 2개소를 터치한 후, 이들 터치 위치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일방 또는 양방을 스와이프하는 조작이다.
핀치아웃은, 2개소를 터치한 후, 이들 터치 위치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방 또는 양방을 스와이프하는 조작이다.
제어부(30)는, 검출부(31)와, 제1 판정부(32)와, 궤적 생성부(33)와, 영역 설정부(34)와, 제2 판정부(35)와, 궤적 변경부(36)와, 이동 처리부(37)와, 화상 표시부(38)를 구비한다.
검출부(31)는, 터치 센서(11)가 접촉을 검지했을 때, 그 접촉 위치를 검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터치 센서(11)와 디스플레이(12)는 중첩되어 있으므로, 터치 센서(11)에의 접촉 위치와 디스플레이(12)에의 접촉 위치는 평면 상 일치한다.
제1 판정부(32)는, 검출부(31)에 의해 검출된 터치 센서(11)에 대한 접촉이 계속되면서, 이 접촉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조작(스와이프, 드래그 또는 플릭 등)을 제1 터치 조작으로 판정하고, 게임의 캐릭터에의 이동 지시로서 접수한다. 또한, 제1 터치 조작의 시점이 되는 터치 위치는 한정되지 않고, 터치 패널(10) 상의 임의의 위치일 수도 있다.
궤적 생성부(33)는, 제1 판정부(32)에 의해 판정된 제1 터치 조작의 방향 및 이동량에 따라, 게임의 캐릭터의 이동 예정 궤적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궤적 생성부(33)는, 예를 들어, 제1 터치 조작의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이동량의 대소에 따른 거리의 이동 예정 궤적을 생성한다.
영역 설정부(34)는, 터치 센서(11)에 의해 검지한 접촉을 소정의 조작 입력으로서 접수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한다. 영역 설정부(34)는, 예를 들어, 제1 터치 조작 이외에, 탭 등의 조작에 따라 각종 설정 변경, 또는 캐릭터에 대한 동작 지시 등의 게임 진행에 관한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한다.
또한,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영역 설정부(34)는, 제1 판정부(32)에 의해 제1 터치 조작을 접수하고 있을 때에, 제2 판정부(35)에 의해 추가로 제2 터치 조작을 접수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한다.
제2 판정부(35)는, 제1 터치 조작에 있어서의 접촉이 계속 중에, 터치 패널(10)에 대한 새로운 접촉을 제2 터치 조작으로 판정하고 접수한다.
제2 터치 조작은, 터치 위치를 한정하지 않는 탭 등의 조작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이 탭 조작이 접수될 때마다 궤적 변경부(36)가 기능하고, 탭 조작의 횟수에 따른 후술의 궤적 변경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제2 터치 조작은, 예를 들어, 영역 설정부(34)에 의해 터치 패널(10) 상에 설정된 소정 영역에의 접촉을 포함하는 조작일 수도 있다. 또한, 제2 터치 조작은, 예를 들어, 제1 터치 조작에 있어서의 접촉의 위치 및 이동 방향에 대하여 상대적인 위치에 영역 설정부(34)에 의해 설정된 영역에의 접촉을 포함하는 조작일 수도 있다.
이들의 경우, 설정된 소정의 영역에의 탭 조작이 접수될 때마다, 각 영역에 대응한 처리로서, 궤적 변경부(36)에 의해 후술의 궤적 변경 처리, 또는 화상 표시부(38)에 의해 표시 태양의 변경 처리(예를 들어,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가 행해진다.
또한, 제2 터치 조작은, 예를 들어, 복수의 접촉 위치 중 적어도 1개의 이동을 포함하는 조작(예를 들어, 핀치인 또는 핀치아웃)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핀치인 또는 핀치아웃의 조작량에 따라, 화상 표시부(38)에 의해 표시 태양의 변경 처리(예를 들어, 화면의 표시 배율의 확대 또는 축소)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제2 판정부(35)는, 제1 터치 조작의 도중에, 2번째의 터치(예를 들어, 탭), 또는 2번째 및 3번째의 터치(예를 들어, 핀치인 또는 핀치아웃)를, 제1 터치 조작과는 별도의 제2 터치 조작으로서 접수한다. 이로 인해, 플레이어는, 제1 터치 조작을 행하면서, 각종 설정 입력을 행할 수 있다.
궤적 변경부(36)는, 제2 터치 조작의 종류, 접촉 위치 또는 이동량에 따라, 이동 예정 궤적을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초기 상태로서 직선의 이동 예정 궤적이 생성된 경우에, 제2 터치 조작을 접수할 때마다, 점프, 커브 등의 이동 경로의 종류를 전환한다.
이동 처리부(37)는, 제1 판정부에 의해 접수된 제1 터치 조작이 종료된 것에 따라, 이동 예정 궤적의 종류에 대응한 캐릭터의 이동 방법을 설정하고, 제1 터치 조작의 방향 및 거리에 대응한 캐릭터의 이동 방향 및 거리를 결정하면, 화상 표시부(38)와 협동하여 캐릭터를 이동시키고, 게임의 내부 상태 및 플레이 화면을 갱신한다.
화상 표시부(38)는, 디스플레이(12)에 각종의 화상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표시부(38)는, 제1 판정부(32) 또는 제2 판정부(35)에 의해 접수한 터치 조작에 따라, 게임의 캐릭터를 포함하는 플레이 화면, 캐릭터의 이동 예정 궤적, 및 이 캐릭터 혹은 표시 설정 등에의 지시 내용마다의 터치 영역을 나타내는 화상 등을 표시한다.
또한, 화상 표시부(38)는, 제2 판정부(35)에 의해 표시 태양을 변경하기 위한 제2 터치 조작을 접수한 경우, 이 제2 터치 조작의 종류, 접촉 위치 또는 이동량에 따라, 게임의 표시 태양을 변경한다.
또한, 화상 표시부(38)는, 제1 터치 조작의 종료에 따라 결정된 지시 내용에 따라서, 캐릭터의 이동을 수반하는 게임 화면의 갱신을 행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터치 조작 중에 있어서의 게임의 플레이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예는, 의사적인 3차원 공간으로 표현되는 게임 공간 내에 배치된 3차원 오브젝트로서의 캐릭터(40)가 표시되어 있는 디스플레이(12)의 화면 상에서, 제1 터치 조작으로서, 임의의 시점(A)으로부터 점(B)까지 플레이어가 손가락(41a)에 의해 드래그 조작을 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는, 설명을 간소화하기 위하여 캐릭터(40) 이외의 오브젝트 및 게임 공간 내의 다른 화상(예를 들어, 배경 화상 또는 캐릭터(40)의 접지면의 화상 등)을 기재하지 않았으나, 게임 공간 내에 배치되는 캐릭터 오브젝트는, 캐릭터(4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각종의 화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게임 공간 및 캐릭터(40)는, 화상 표시부(38)에 의해 디스플레이(12)에 표시되는데, 게임 공간 내에 캐릭터 오브젝트를 배치하고, 화면 상에 표시하기 위한 방법은, 다수의 공지 기술에 의해 실현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있어서, 플레이어의 손가락(41a)은, 터치 패널(10)에 접촉한 그대로, 릴리스되지 않은 것으로 한다. 손가락(41a)의 현재의 터치 위치가 점(B)이며, 터치 조작의 시점(A)을 기준으로 한 점(B)까지의 드래그 조작에 따른 방향 및 길이를 나타내는 화상으로서 화살표(42)가 표시되어 있다. 손가락(41a)의 터치 위치(점(B))가 더욱 이동하면, 이 화살표(42)의 방향 및 길이가 변화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손가락(41a)이 릴리스되었을 때의 시점(A)으로부터 점(B)까지의 평면 상의 거리에 따라 게임 공간 내에서의 캐릭터(40)의 이동량을 확정함과 함께, 시점(A)의 위치와 점(B)의 위치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라 캐릭터(40)의 이동 방향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평면 상에 있어서의 시점(A)의 횡축 좌표(XA) 및 종축 좌표(YA)와 점(B)의 횡축 좌표(XB) 및 종축 좌표(YB)로부터 산출되는 양 점의 거리와, 시점(A)에 대한 점(B)의 방향을 이용함으로써, 캐릭터(40)의 이동에 관한 이동량과 이동 방향을 산출할 수 있고, 제어부(30)는, 손가락(41a)의 릴리스에 의해 이들을 결정한다. 단, 캐릭터(40)의 최종적인 이동량이나 방향은, 게임의 내용 등에 따라 적당히 수정되어 확정 가능한 것이다.
캐릭터(40)의 이동 처리는, 이동량 및 이동 방향이 확정된 후에 제어부(30)(이동 처리부(37))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이 드래그 조작의 계속 중에는, 화살표(42)의 표시와 동기하여 이동 예정 궤적(43a)이 표시된다. 또한, 이동 예정 궤적(43a)은, 시점(A)의 위치와 점(B)의 위치의 상대 관계에 따라 표시되는 것이며, 드래그 조작에 의해 점(B)이 이동함으로써 표시가 변화한다. 즉, 화살표(42)로 표시되는 이동 지시가 행해진 경우에, 캐릭터(40)의 도달점의 기준으로서, 이동 방향 및 거리가 표시된다. 이동 예정 궤적(43a)은, 캐릭터(40)의 이동을 플레이어가 예측하기 위한 것이며, 캐릭터(40)의 이동량 및 이동 방향과 관련성을 갖고, 손가락(41a)의 릴리스까지 점(B)의 이동에 연동하여 표시 내용이 변경된다. 또한, 이동 예정 궤적(43a)은, 후술하는 제2 터치 조작에 의해서도 변화된다.
제1 터치 조작의 계속 중에 이동 예정 궤적(43a)이 표시됨으로써, 플레이어는, 캐릭터(40)에의 이동 지시를 결정한 후의 이동 결과에 대하여 상상할 수 있다.
또한, 캐릭터(40)는, 반드시 이동 예정 궤적(43a)을 따라 이동할 필요는 없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기준으로서의 기능을 가지나, 캐릭터(40)가 이동 예정 궤적(43a)을 따라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는 가능하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터치 조작의 계속 중에 있어서의 게임의 플레이 화면의 제1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예는, 제1 터치 조작 중(도 2)의 상태로, 플레이어가 손가락(41b)에 의해 제2 터치 조작으로서의 탭 조작을 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2 터치 조작의 접수 가능한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제1 터치 조작의 계속 중에 접수한 제2 터치 조작인 탭 조작의 횟수에 따라, 궤적 변경부(36)는, 캐릭터(40)가 도달점을 향하기 위한 소정 종류의 이동 예정 궤적(예를 들어, 43a, 43b, 43c, 43d)을 차례로 전환한다.
플레이어는, 제1 터치 조작에 의해 이동 예정 궤적을 디스플레이(12)에 표시시키면서, 게임의 장면에 따라 캐릭터(40)의 이동 처리와 관련성이 있는 이동 예정 궤적을 전환할 수 있으므로, 보다 호적한 이동 방법을 선택하면서 이동 지시 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터치 조작의 계속 중에 있어서의 게임 플레이 화면의 제2 예로서, 제1 터치 조작 중(도 2)의 상태로, 플레이어가 2개의 손가락에 의해 제2 터치 조작으로서의 핀치인 또는 핀치아웃을 행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터치 조작 중에 제2 터치 조작으로서 핀치인을 접수한 경우는, 화상 표시부(38)는, 핀치인의 조작량에 따라 캐릭터(40)의 표시를 포함한 게임 공간의 표시 배율을 작게 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2)의 표시 면적에 대한 각종 화상의 표시 비율도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화면이 줌아웃되도록 표시가 변화되고, 이와 함께 디스플레이(12)에 표시되는 게임 공간의 범위는 넓어진다.
제1 터치 조작 중에 제2 터치 조작으로서 핀치아웃을 접수한 경우는, 화상 표시부(38)는, 핀치아웃의 조작량에 따라 캐릭터(40)의 표시를 포함한 게임 공간의 표시 배율을 크게 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2)의 표시 면적에 대한 각종 화상의 표시 비율도 상대적으로 커지므로, 화면이 줌인되도록 표시가 변화하고, 이와 함께 디스플레이(12)에 표시되는 게임 공간의 범위는 좁아진다.
플레이어는, 제1 터치 조작에 의해 캐릭터(40)에의 이동의 지시 입력을 행하면서, 게임의 장면에 따라 캐릭터(40)를 포함한 게임 공간의 표시를 줌인, 또는 줌아웃할 수 있어, 게임의 장면에 적합한 표시 배율로 게임 공간을 시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터치 조작의 계속 중에 있어서의 게임의 플레이 화면의 제3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영역 설정부(34)에 의해 이동 예정 궤적(43a~43d)의 각각으로의 전환을 위한 탭용 영역(44a~44d), 플레이 화면의 표시 배율을 크게 하기 위한 탭용 영역(45a) 및 표시 배율을 작게 하기 위한 탭용 영역(45b)이 설정되어 있고, 각각의 탭용 영역의 위치에는 각각에 맞춘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제1 터치 조작 중(도 2)에 탭용 영역(44a~44d, 45a 및 45b)이 설정된다. 제1 터치 조작을 접수한 후에 해당 탭용 영역이 설정되므로, 제1 터치 조작의 접수 가능한 위치가 탭용 영역에 의해 제한되는 일이 없다.
그러나, 영역 설정부(34)는, 제1 터치 조작을 접수하기 전부터 탭용 영역을 미리 설정하여 표시해 둘 수도 있다.
또한, 이들 탭용 영역은, 영역 설정부(34)에 의해, 시점(A)과 점(B)의 평면 상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변화, 또는 화살표(42)의 표시 위치 그리고 방향에 대하여 동적으로 이동하여 설정됨으로써, 플레이 화면의 시인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제1 터치 조작 중에, 이들 영역이 탭됨으로써, 대응하는 이동 예정 궤적(43a~43d)의 전환, 또는 표시 태양의 변경 처리가 실행된다.
이어서, 손가락(41a)이 릴리스되어 제1 터치 조작이 종료되었을 때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손가락(41a)이 릴리스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캐릭터(40)의 이동량 및 이동 방향이 확정되고, 또한, 릴리스되기 직전까지 표시되었던 이동 예정 궤적(43a, 43b, 43c, 43d 중 어느 하나)의 종류에 따라, 캐릭터(40)의 이동 종류가 확정되고, 캐릭터(40)의 이동 처리가 실행된다. 이 이동 종류의 확정 및 이동 처리는 제어부(30)의 이동 처리부(37) 및 화상 표시부(38)(도 1)가 협동함으로써 행해진다.
이동 처리부(37)는, 이동 예정 궤적의 종류에 따라, 캐릭터(40)의 이동의 종류를 확정함과 함께 이동량, 이동 방향, 이동의 종류에 따라 이동 내용을 설정하고, 이 이동 내용에 기초하여 캐릭터(40)의 이동 처리를 실행한다. 화상 표시부(38)는, 이동 처리부(37)가 설정한 이동 내용에 기초하여 캐릭터(40)의 표시 위치 등을 변화시킨다. 단, 릴리스 직후에 이동 처리부(37)가 설정한 이동 내용은 이동 처리가 완료되기까지 변동하지 않는 것이 아니고, 이동 처리의 실행 직후부터 변화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캐릭터(40)의 이동 처리를 실행한 후에, 캐릭터(40)가, 캐릭터(40)와 동일한 게임 공간 내에 배치된 다른 오브젝트(도시하지 않음)에 충돌하거나, 벽이나 마루를 표현한 화상으로 나타나는 면에 충돌할 때에는, 이동 처리부(37)는, 이동 내용을 적당히 변경하여 이동 처리를 실행한다. 이 이동 내용의 변경에는, 캐릭터(40)의 이동의 종류, 이동량, 이동 방향의 변경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 중 어느 것을 변경할지는 게임의 내용에 따라 적당히 결정되는 것이다.
또한, 이 이동 처리의 실행은 이동량에 따라 계속되고, 예를 들어, 캐릭터(40)를 이동시키는 도중에 이동량이 줄어 이동량의 나머지가 제로가 되었을 때에 이동 처리가 완료되고, 다음의 이동 지시 입력의 대기가 개시된다.
또한, 이동 처리의 실행 중에는, 제어부(30)는, 플레이어로부터의 이동 지시 입력을 무효화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터치 센서(11)가 터치를 검지해도, 제어부(30)는, 입력을 접수하지 않는다.
이어서, 이동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동의 종류는, 도 4에 있어서의 이동 예정 궤적(43a, 43b, 43c, 43d)의 각각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동 예정 궤적(43a)에 대응한 이동의 종류는 「직진」이며, 이동 처리부(37)는, 캐릭터(40)를 직선적으로 이동시킨다.
이동 예정 궤적(43b, 43c)에 대응한 이동의 종류는 「커브」이며, 이동 처리부(37)는, 캐릭터(40)를, 캐릭터(40)가 게임 공간에서 접지했던 면에 접지한 그대로 곡선적으로 이동시킨다.
이동 예정 궤적(43d)에 대응한 이동의 종류는 「점프」이며, 이동 처리부(37)는, 캐릭터(40)를, 캐릭터(40)가 게임 공간에서 접지했던 면으로부터 일단 이간시키도록 이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동의 종류는, 예시하고 있는 4개 이외에도 게임 내용에 따라 적당히 설정 가능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 처리는, 검출부(31)에 의해 터치 조작이 검출될 때마다 기동된다.
단계(S1)에 있어서, 제1 판정부(32)는, 캐릭터의 이동 지시에 관한 1번째의 터치가 검출부(31)에 의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이 YES인 경우, 처리는 단계(S2)로 이동하고, 판정이 NO인 경우, 처리는 단계(S5)로 이동한다.
단계(S2)에 있어서, 제1 판정부(32)는, 단계(S1)에서 판정된 1번째의 터치로부터 드래그 조작이 계속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이 YES인 경우, 처리는 단계(S3)로 이동하고, 판정이 NO인 경우, 처리는 단계(S4)로 이동한다.
단계(S3)에 있어서, 궤적 생성부(33)는, 단계(S2)에서 판정된 드래그 조작에 따른 캐릭터의 이동 예정 궤적을 생성한다. 다시, 처리는 단계(S2)로 되돌아가고, 드래그 조작(제1 터치 조작)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 드래그의 방향 및 거리에 따라 이동 예정 궤적이 변경된다.
단계(S4)에 있어서, 제어부(30)는, 제1 터치 조작이 종료된 것에 따라, 드래그의 방향 및 거리, 그리고 제2 터치 조작에 기초한 이동 예정 궤적의 종류에 따른 캐릭터에의 이동 지시를 접수하고, 게임의 내부 상태 및 디스플레이(12)의 표시를 갱신한다(캐릭터(40)의 이동을 포함). 그리고, 제어부(30)는, 제1 터치 조작에 따라 기동된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5)에 있어서, 제2 판정부(35)는, 1번째의 터치(제1 터치 조작)가 계속 중에, 2번째 또는 3번째의 터치 조작을 접수하고, 이 조작이 소정의 종류(예를 들어, 탭 조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이 YES인 경우, 처리는 단계(S6)로 이동하고, 판정이 NO인 경우, 처리는 단계(S7)로 이동한다.
단계(S6)에 있어서, 궤적 생성부(33)는, 단계(S5)에서 접수한 탭 조작에 따라, 캐릭터의 이동 예정 궤적을 복수 종류 중에서 순차 전환하여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제2 터치 조작에 따라 기동된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7)에 있어서, 제2 판정부(35)는, 2번째 이후에 접수한 소정의 종류의 제2 터치 조작(예를 들어, 핀치인 또는 핀치아웃)이 계속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이 YES인 경우, 처리는 단계(S8)로 이동하고, 판정이 NO인 경우, 처리는 종료된다.
단계(S8)에 있어서, 제어부(30)는, 제2 터치 조작에 따른 표시 태양의 변경 지시를 접수하고, 게임의 내부 상태 및 디스플레이(12)의 표시를 갱신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제2 터치 조작에 따라 기동된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이 제어 처리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례이며, 처리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번째의 터치에 기초한 제어 처리와, 2번째 이후의 터치에 기초한 제어 처리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병렬 실행될 수도 있고, 1번째의 터치에 기초한 제어 처리 중에서 제2 터치 조작을 접수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게임 제어 장치(1)는, 제1 터치 조작의 도중에 제2 터치 조작을 접수하고, 제1 터치 조작에 기초한 이동 예정 궤적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게임의 캐릭터에 대한 이동 지시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게임 제어 장치(1)는, 제1 터치 조작의 도중에 제2 터치 조작을 접수하여, 캐릭터(40)를 포함한 게임 공간의 표시 배율의 확대 또는 축소 등의 표시 태양의 변경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어는, 게임의 캐릭터에 대한 이동 지시와 병행하여 게임의 시인성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게임을 진행함에 있어서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게임 제어 장치(1)는, 이동 예정 궤적 또는 표시 태양을 변경하기 위한 제2 터치 조작으로서, 예를 들어, 임의의 위치에의 터치, 영역 설정부(34)에 의해 마련된 소정 영역에의 터치, 복수의 터치(멀티 터치)에 의한 스와이프 또는 핀치 등, 각종의 터치 조작을 접수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이들 터치 조작의 종류 각각에 대하여 각종 설정 처리가 할당됨으로써, 플레이어는, 제1 터치 조작 중에 다양한 설정 변경을 행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기재된 효과는, 본 발명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장 호적한 효과를 열거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본 실시 형태에 기재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의사적인 3차원 공간으로 표현되는 게임 공간을 이용한 게임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을 표현한 게임 공간에서만 실시 가능한 것이 아니고, 평면 화상만을 디스플레이(터치 패널)에 표시하는 게임에 있어서도 실시 가능한 것이다.
게임 제어 장치(1)에 의한 게임 제어 방법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된다.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경우에는, 이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정보 처리 장치(게임 제어 장치(1))에 인스톨된다. 또한, 이들 프로그램은, CD-ROM과 같은 리무버블 미디어에 기록되어 유저에 배포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유저의 컴퓨터에 다운로드됨으로써 배포될 수도 있다.
1: 게임 제어 장치
10: 터치 패널
11: 터치 센서
12: 디스플레이
20: 기억부
30: 제어부
31: 검출부
32: 제1 판정부
33: 궤적 생성부
34: 영역 설정부
35: 제2 판정부
36: 궤적 변경부
37: 이동 처리부
38: 화상 표시부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컴퓨터가 게임의 실행을 제어하는 게임 제어 방법으로서,
    터치 패널에 대한 접촉이 계속되면서, 해당 접촉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조작을 제1 터치 조작으로 판정하는 제1 판정 단계와,
    상기 제1 터치 조작의 시점으로부터의 방향 및 거리에 따라, 상기 게임의 캐릭터를 이동시키기 전에 해당 캐릭터의 이동 예정 궤적을 생성하는 궤적 생성 단계와,
    상기 제1 터치 조작에 있어서의 접촉이 계속 중에,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새로운 접촉을 제2 터치 조작으로 판정하는 제2 판정 단계와,
    상기 제2 터치 조작이 탭인 경우, 상기 이동 예정 궤적을 변경하는 궤적 변경 단계와,
    상기 제1 터치 조작이 종료함에 따라, 상기 이동 예정 궤적에 기초하여 상기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이동 처리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이동 처리 단계에서 상기 캐릭터가 이동하는 중에, 상기 터치 조작을 무효화하는 게임 제어 방법.
  7. 게임의 실행을 제어하는 게임 제어 장치로서,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접촉이 계속되면서, 해당 접촉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조작을 제1 터치 조작으로 판정하는 제1 판정부와,
    상기 제1 터치 조작의 시점으로부터의 방향 및 거리에 따라, 상기 게임의 캐릭터를 이동시키기 전에 해당 캐릭터의 이동 예정 궤적을 생성하는 궤적 생성부와,
    상기 제1 터치 조작에 있어서의 접촉이 계속 중에,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새로운 접촉을 제2 터치 조작으로 판정하는 제2 판정부와,
    상기 제2 터치 조작이 탭인 경우, 상기 이동 예정 궤적을 변경하는 궤적 변경부와,
    상기 제1 터치 조작이 종료함에 따라, 상기 이동 예정 궤적에 기초하여 상기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이동 처리부
    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처리부에 의해 상기 캐릭터가 이동하고 있는 중에, 상기 터치 조작을 무효화하는 게임 제어 장치.
  8. 게임의 실행을 제어하는 컴퓨터에,
    터치 패널에 대한 접촉이 계속되면서, 해당 접촉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조작을 제1 터치 조작으로 판정하는 제1 판정 단계와,
    상기 제1 터치 조작의 시점으로부터의 방향 및 거리에 따라, 상기 게임의 캐릭터를 이동시키기 전에 해당 캐릭터의 이동 예정 궤적을 생성하는 궤적 생성 단계와,
    상기 제1 터치 조작에 있어서의 접촉이 계속 중에,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새로운 접촉을 제2 터치 조작으로 판정하는 제2 판정 단계와,
    상기 제2 터치 조작이 탭인 경우, 상기 이동 예정 궤적을 변경하는 궤적 변경 단계와,
    상기 제1 터치 조작이 종료함에 따라, 상기 이동 예정 궤적에 기초하여 상기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이동 처리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처리를 실행시키고,
    상기 이동 처리 단계에서 상기 캐릭터가 이동하고 있는 중에, 상기 컴퓨터에 터치 조작을 무효화시키기 위한 게임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가독 저장 매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처리는, 상기 제2 터치 조작의 종류, 접촉 위치 또는 이동량에 따라, 상기 게임의 표시 태양을 변경하는 표시 변경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가독 저장 매체.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조작은, 상기 터치 패널 상의 소정 영역에의 접촉을 포함하는 조작인, 컴퓨터 가독 저장 매체.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조작은, 상기 제1 터치 조작에 있어서의 접촉의 위치 및 이동 방향에 대한 상대적인 영역에의 접촉을 포함하는 조작인, 컴퓨터 가독 저장 매체.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조작은, 복수의 접촉 위치 중 적어도 1개의 이동을 포함하는 조작인, 컴퓨터 가독 저장 매체.
KR1020177020703A 2014-12-26 2015-10-30 게임 제어 프로그램, 게임 제어 방법 및 게임 제어 장치 KR101944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64333A JP5781213B1 (ja) 2014-12-26 2014-12-26 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ゲーム制御方法及びゲーム制御装置
JPJP-P-2014-264333 2014-12-26
PCT/JP2015/080709 WO2016103911A1 (ja) 2014-12-26 2015-10-30 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ゲーム制御方法及びゲーム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612A KR20170100612A (ko) 2017-09-04
KR101944458B1 true KR101944458B1 (ko) 2019-01-31

Family

ID=54192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0703A KR101944458B1 (ko) 2014-12-26 2015-10-30 게임 제어 프로그램, 게임 제어 방법 및 게임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78734B2 (ko)
JP (1) JP5781213B1 (ko)
KR (1) KR101944458B1 (ko)
CN (1) CN107249706B (ko)
WO (1) WO20161039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49059B2 (en) * 2016-05-23 2021-03-16 King.Com Ltd. Controlling movement of an entity displayed on a user interface
JP6030258B1 (ja) * 2016-05-23 2016-11-24 グリー株式会社 プログラム、ゲーム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5942031B1 (ja) * 2015-11-27 2016-06-29 グリー株式会社 プログラム、ゲーム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6924564B2 (ja) * 2016-03-31 2021-08-25 株式会社コロプラ ゲームプログラム
JP2017192537A (ja) * 2016-04-20 2017-10-26 株式会社コロプラ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及び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情報処理装置
JP6069571B1 (ja) * 2016-10-19 2017-02-01 グリー株式会社 プログラム、ゲーム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6661513B2 (ja) * 2016-10-31 2020-03-11 株式会社バンク・オブ・イノベーション 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及びビデオゲーム処理プログラム
JP6920900B2 (ja) * 2017-06-30 2021-08-18 株式会社コーエーテクモゲームス 端末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7450747B (zh) * 2017-07-25 2018-09-18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角色的位移控制方法和装置
CN107441705B (zh) * 2017-07-27 2018-07-2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对象显示方法和装置及存储介质
JP2017209573A (ja) * 2017-09-08 2017-11-30 株式会社コロプラ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及び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情報処理装置
CN108509139B (zh) 2018-03-30 2019-09-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对象的移动控制方法、装置、电子装置及存储介质
CN109758760B (zh) * 2018-12-06 2020-02-07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足球游戏中射门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0420463A (zh) * 2019-01-22 2019-11-08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游戏中虚拟对象的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JP7366682B2 (ja) * 2019-10-07 2023-10-2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CN113671855A (zh) * 2021-08-20 2021-11-19 广东好太太智能家居有限公司 晾衣设备控制方法、装置、系统和晾衣设备
CN113713382B (zh) * 2021-09-10 2023-06-1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虚拟道具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4269A (ja) * 2004-12-28 2011-10-06 Sega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14083395A (ja) * 2012-10-26 2014-05-12 Dna:Kk ゲーム提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A009976B1 (ru) * 2005-04-27 2008-04-28 Арузе Корп. Игровой автомат
KR20110034858A (ko) * 2009-09-29 2011-04-06 주식회사 넥슨모바일 게임 운영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JP5127805B2 (ja) * 2009-11-02 2013-01-23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制御方法
JP5602115B2 (ja) * 2011-09-09 2014-10-08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装置、ゲーム制御方法、及び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
US9753623B2 (en) * 2011-10-03 2017-09-05 Furuno Electric Co., Ltd. Device having touch panel, radar apparatus, plotter apparatus, ship network system, viewpoint changing method and viewpoint changing program
US8678927B2 (en) * 2011-10-04 2014-03-25 Microsoft Corporation Game controller on mobile touch-enabled devices
WO2014006506A2 (en) * 2012-07-05 2014-01-09 Microtech Medical Technologies Ltd. Direct deployment system and method
US9448634B1 (en) * 2013-03-12 2016-09-20 Kabam,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wards to a user in a virtual space based on user performance of gestures
JP5671576B2 (ja) 2013-04-26 2015-02-18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コンピュータ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そのパラメータ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103590B2 (ja) * 2013-05-28 2017-03-29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表示装置、画像アイテムの移動装置、画像アイテムの移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4269A (ja) * 2004-12-28 2011-10-06 Sega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14083395A (ja) * 2012-10-26 2014-05-12 Dna:Kk ゲーム提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91110A1 (en) 2017-10-12
CN107249706B (zh) 2020-07-07
JP2016123479A (ja) 2016-07-11
WO2016103911A1 (ja) 2016-06-30
US10478734B2 (en) 2019-11-19
KR20170100612A (ko) 2017-09-04
JP5781213B1 (ja) 2015-09-16
CN107249706A (zh) 201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458B1 (ko) 게임 제어 프로그램, 게임 제어 방법 및 게임 제어 장치
JP6018265B2 (ja) 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ゲーム制御方法及びゲーム制御装置
KR102232032B1 (ko) 정보 처리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
EP2256614B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00146389A1 (en) Method of controlling virtual object or view point on two dimensional interactive display
JP6185123B1 (ja) プログラム、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566414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216080A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JP201202263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3038737A (zh) 显示器上对象的突出显示
JP2011034169A (ja) 情報入力装置および情報入力方法
JP201113427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41742B2 (ja) タッチパネル表示制御装置
JP2016129579A (ja) インターフェース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201417476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856136B2 (ja) 移動制御プログラム
EP3376357A1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JP5795113B1 (ja) 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ゲーム制御方法及びゲーム制御装置
JP2001195170A (ja) 携帯型電子機器、入力制御装置、及び記憶媒体
KR101573287B1 (ko) 전자기기에서 터치 위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JP6255525B1 (ja) 電子ゲーム装置及び電子ゲームプログラム
JP6204414B2 (ja) 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9128927A (ja) 方向指示入力プログラム、方向指示入力装置、および方向指示入力を利用するプログラム
JP2021009525A (ja) 方向指示入力プログラム、方向指示入力装置、および方向指示入力を利用するプログラム
JP2018202129A (ja) 電子ゲーム装置及び電子ゲーム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