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696B1 - 속마개와 뚜껑 본체로 구성된 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속마개와 뚜껑 본체로 구성된 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696B1
KR101943696B1 KR1020157023664A KR20157023664A KR101943696B1 KR 101943696 B1 KR101943696 B1 KR 101943696B1 KR 1020157023664 A KR1020157023664 A KR 1020157023664A KR 20157023664 A KR20157023664 A KR 20157023664A KR 101943696 B1 KR101943696 B1 KR 101943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id
lid body
inner cap
predetermined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3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3820A (ko
Inventor
다카시 스기야마
오사무 이시이
마사타카 이야도미
Original Assignee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39113A external-priority patent/JP612889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69608A external-priority patent/JP60743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69609A external-priority patent/JP6069069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클로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3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36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052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made in more than one piece
    • B65D39/0076Plastic closure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s B65D39/0058 - B65D39/00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65D51/228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removed from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25Upper closure of the 47-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87Lower closure of the 47-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의 구경부에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 속마개(2)와 이 속마개에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 뚜껑 본체(4)로 구성되는 용기 뚜껑이 개시된다.
속마개의 폐색벽에 형성되는 파단 가능 박육 라인(18)은, 파단 개시 단부(18a)로부터 연장되는 외측 호형상부(18b)와 파단 개시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내측 호형상부(18c)를 갖는 형태이고, 호형상 변형 영역(20)을 규정한다. 변형 영역에는 걸림 수단(22)이 부설되고, 뚜껑 본체에는 걸개 수단(58)이 배치 형성되어 있다. 속마개에 대하여 뚜껑 본체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개 수단이 걸림 수단에 걸리고, 속마개에 대하여 뚜껑 본체를 소정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면 걸개 수단 및 걸림 수단을 통해 변형 영역에 힘이 가해져, 속마개의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이 파단됨과 동시에 변형 영역이 변형되고, 이에 따라 속마개의 폐색벽(6)에 통과 개구(90)가 생성된다.

Description

속마개와 뚜껑 본체로 구성된 용기 뚜껑{CONTAINER LID COMPOSED OF INSIDE PLUG AND LID BODY}
본 발명은, 용기의 구경부에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 속마개와 이 속마개에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 뚜껑 본체로 구성된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아래 특허문헌 1에는, 용기의 구경부에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 속마개와 이 속마개에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 뚜껑 본체로 구성된 용기 뚜껑이 개시되어 있다. 속마개는 원형 폐색벽 및 이 폐색벽의 외주연에 접속된 통형 장착벽을 포함하고, 장착벽을 용기의 구경부의 외주면에 끼워 맞춤으로써 용기의 구경부에 장착되고, 폐색벽이 용기의 구경부를 폐색한다. 뚜껑 본체는 원형 덮개벽 및 이 덮개벽의 외주면에 접속된 끼워맞춤벽을 포함하고, 끼워맞춤벽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를 속마개의 장착벽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속마개에 장착되고, 덮개벽은 속마개의 폐색벽의 상측에 위치한다. 속마개의 폐색벽에는 곱구슬(曲玉)형의 제거 영역을 규정하는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제거 영역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열쇠형의 걸림 부재(被係止片)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 본체의 덮개벽의 하면에는 속마개의 걸림 부재에 걸리는 열쇠형의 걸개 부재(係止片)가 형성되어 있다. 속마개에 뚜껑 본체가 쓰임에 따라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속마개에 대하여 뚜껑 본체를, 상측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속마개로부터 뚜껑 본체를 이탈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뚜껑 본체의 걸개 부재 및 속마개의 걸림 부재를 통해 속마개의 제거 영역에 힘이 가해져,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이 파단되어 제거 영역이 폐색벽으로부터 제거되고, 이에 따라 폐색벽에 통과 개구가 생성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5-59933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전술한 바와 같은 용기 뚜껑은, 속마개의 폐색벽에 손가락을 접촉시켜 위생상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단순히 속마개에 대하여 뚜껑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속마개의 폐색벽에 형성되어 있는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을 파단하여 제거 영역을 폐색벽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통과 개구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제거 영역이 폐색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소위 쓰레기 조각이 되고, 이러한 쓰레기 조각이 용기 내에 들어가 버리거나, 혹은 쓰레기 조각을 추출하여 파기하는 번잡한 처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또, 걸개 부재와 걸림 부재의 걸림이 반드시 충분하지는 않은 것에서 기인하여,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을 필요한 만큼 파단하지 못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주된 기술적 과제는, 소위 쓰레기 조각을 생성시키지 않고 속마개의 폐색벽에 통과 개구를 생성할 수 있는, 신규의 그리고 또한 개량된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주된 기술적 과제의 해결에 덧붙여,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을 충분하고 확실하게 필요에 따라 파단할 수 있는, 신규의 그리고 또한 개량된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집중적인 연구 및 실험의 결과, 속마개의 폐색벽에 형성되는 파단 가능 라인을 독특한 형태로 함으로써 상기 주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주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용기 뚜껑으로서, 용기의 구경부에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 속마개와 상기 속마개에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 뚜껑 본체로 구성되고,
상기 속마개는 원형 폐색벽 및 상기 폐색벽의 외주연에 접속된 통형 장착벽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벽을 용기의 구경부의 외주면에 끼워 맞춤으로써 용기의 구경부에 장착되고, 상기 폐색벽이 용기의 구경부를 폐색하고,
상기 뚜껑 본체는 원형 덮개벽 및 상기 덮개벽의 외주연에 접속된 통형 끼워맞춤벽을 포함하고, 상기 끼워맞춤벽을 상기 속마개의 상기 장착벽의 외주면에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속마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덮개벽이 상기 속마개의 상기 폐색벽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속마개의 상기 폐색벽에는 적어도 1개의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은 파단 개시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외측 호형상부와 상기 파단 개시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내측 호형상부를 갖고, 상기 외측 호형상부와 상기 내측 호형상부 사이에 호형상 변형 영역이 규정되어 있고,
상기 변형 영역에는 걸림 수단이 부설되어 있고,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덮개벽에는 적어도 1개의 배출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벽의 하면에는 상기 걸림 수단과 협동하는 걸개 수단이 배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속마개에 상기 뚜껑 본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걸개 수단은 소정 방향으로 보아 상기 걸림 수단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상기 속마개에 대하여 상기 뚜껑 본체를 상기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걸개 수단이 상기 걸림 수단에 걸리고, 상기 속마개에 대하여 상기 뚜껑 본체를 상기 소정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면 상기 걸개 수단 및 상기 걸림 수단을 통해 상기 변형 영역에 힘이 가해져, 상기 속마개의 상기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이 파단됨과 동시에 상기 변형 영역이 변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속마개의 상기 폐색벽에 통과 개구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이 제공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속마개의 상기 폐색벽에 상기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2개 또는 3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변형 영역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2개 또는 3개 규정되어 있고,
상기 걸림 수단은 상기 소정 방향으로 보아 상기 변형 영역의 상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계속해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걸림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걸개 수단 각각은 상기 덮개벽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계속해서 상기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개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 부재 각각은 상기 변형 영역의 상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지주부 및 상기 지주부의 상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내민보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속마개의 상기 폐색벽에는 상면 중심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공통 지주가 배치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 부재 각각의 상기 내민보부의 반경 방향 내측단은 상기 공통 지주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걸개 부재 각각은 상기 덮개벽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 하강 기둥부 및 상기 수직 하강 기둥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소정 방향으로 호형상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덮개벽에는 상기 변형 영역에 대응하여 2개 또는 3개의 배출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평면도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각각은 전체가 상기 배출 개구 내에 위치한다. 상기 속마개의 상기 장착벽의 외주면과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끼워맞춤벽의 내주면의 한쪽에는, 적어도 1개의 위치 결정 홈이 형성되고, 다른쪽에는 적어도 1개의 위치 결정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 결정 홈 내에 상기 위치 결정 돌기를 진입시켜 상기 속마개에 상기 뚜껑 본체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속마개에 대한 상기 뚜껑 본체의 상대적 각도 위치가 규제되는 것이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속마개의 상기 폐색벽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의 상기 외측 호형상부 및 상기 내측 호형상부는 상측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파단 개시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소정 방향은 상측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이다. 상기 속마개와 상기 뚜껑 본체에는, 서로 협동하여 상기 속마개에 대하여 상기 뚜껑 본체가 상기 소정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회전 저지 수단이 배치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속마개에 대하여 상기 뚜껑 본체가 상기 소정 방향으로 50 내지 60 도인 각도(α)만큼 회전되면, 상기 걸개 수단이 상기 걸림 수단에 걸리고, 상기 속마개와 상기 뚜껑 본체에는, 상기 속마개에 대하여 상기 뚜껑 본체가 상기 각도(α)보다 0 내지 20 도 작은 각도(β)(0 도≤α-β≤20 도)만큼 회전되면, 협동하여 상기 속마개에 대하여 상기 뚜껑 본체가 상기 소정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복귀 회전 저지 수단이 배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속마개와 상기 뚜껑 본체에는, 협동하여 상기 속마개에 대한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소정 방향으로의 회전을 300 내지 320 도인 각도(γ)로 제한하는 회전 제한 수단이 배치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속마개와 상기 뚜껑 본체에는, 상기 속마개에 대하여 상기 뚜껑 본체가 상기 소정 방향으로 상기 각도(γ)로 회전되면, 협동하여 상기 속마개에 대하여 상기 뚜껑 본체가 상기 소정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회전 저지 수단이 배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하게는, 상기 변형 영역의 상기 소정 방향으로 보아 적어도 상류부는 상류를 향하여 점차 상측으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상기 폐색벽의 중앙 주요부는, 상기 변형 영역의 적어도 상류부 및 그 근방을 제외하고, 수평으로 연장되고, 상기 변형 영역은 상기 소정 방향으로 보아 하류단으로부터 상류를 향하여 상기 중앙 주요부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위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고, 계속해서 상류를 향하여 상류단까지 상측으로 경사져 연장되고, 상기 폐색벽의 상기 중앙 주요부에는, 상기 변형 영역을 규정하는 상기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의 상기 파단 개시 단부 그리고 상기 외측 호형상부 및 내측 호형상부의 상류부에 인접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융기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속마개의 상기 장착벽에는 상측을 향한 고리형 숄더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벽의, 상기 고리형 숄더면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외주면은 상기 고리형 숄더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외주면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끼워맞춤벽은 상기 장착벽의 상기 고리형 숄더면보다 상측의 부분에 끼워 맞춰지고,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끼워맞춤벽의 외주면의 적어도 하부와 상기 장착벽의 상기 고리형 숄더면보다 하측의 외주면에는, 각각, 대응하는 형상 변형부 및/또는 인쇄부가 배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속마개에 상기 뚜껑 본체를 필요에 따라 장착한 상태에서의 상기 대응하는 형상 변형부 또는 인쇄부의 상대적 관계는, 상기 속마개에 대하여 상기 뚜껑 본체가 회전되면 변화되고, 이에 따라 상기 속마개에 대하여 상기 뚜껑 본체가 회전된 것이 명시된다. 상기 속마개에 상기 뚜껑 본체를 필요에 따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끼워맞춤벽의 외주면의 적어도 하부와 상기 속마개의 상기 장착벽의 상기 고리형 숄더면보다 하측의 외주면은 대략 하나의 면을 이루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장착벽의 외주면 상단부에는 힌지 수단을 통해 외부 뚜껑이,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덮개벽을 덮는 닫힘 위치와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덮개벽을 노출시키는 열림 위치 사이를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힌지 수단의 주위 방향 중심으로부터 주위 방향 양측으로 90 도의 각도 간격을 둔 부위를 주위 방향 중심으로 하여 주위 방향으로 30 내지 100 도의 폭을 갖는 2개의 특정 영역 각각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벽의 외주면의 적어도 하부와 상기 장착벽의 상기 고리형 숄더면보다 하측의 외주면에 걸쳐 연속하여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대응하는 형상 변형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1개의 돌조(突條; ridge)가 배치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2개의 특정 영역 중 하나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상기 돌조의 개수 및/또는 폭은 다른 하나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상기 돌조의 개수 및/또는 폭과 상이한 것이 적합하다.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장착벽의 외주면 상단부에는 힌지 수단을 통해 외부 뚜껑이,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덮개벽을 덮는 닫힘 위치와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덮개벽을 노출시키는 열림 위치 사이를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힌지 수단의 주위 방향 중심으로부터 주위 방향 양측으로 90 도의 각도 간격을 둔 부위를 주위 방향 중심으로 하여 주위 방향으로 30 내지 100 도의 폭을 갖는 2개의 특정 영역 각각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벽의 외주면 하부와 상기 장착벽의 상기 고리형 숄더면보다 하측의 외주면에 걸쳐 연속하여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대응하는 형상 변형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1개의 평탄면이 배치 형성되어 있는 것도 적합하다. 상기 2개의 특정 영역 중 하나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상기 평탄면의 개수 및/또는 폭은 다른 하나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상기 평탄면의 개수 및/또는 폭과 상이한 것이 적합하다. 상기 평탄면의, 상기 소정 방향으로 보아 상류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평탄면의 상류측 가장자리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부가 평탄면이 부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기 뚜껑에 있어서는, 속마개의 폐색벽에 손가락을 접촉시킴에 따른 위생상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단순히 속마개에 대하여 뚜껑 본체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속마개의 폐색벽에 통과 개구를 생성할 수 있는 것에 덧붙여, 속마개의 통과 개구는 변형 영역을 (폐색벽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변형시킴으로써 생성되고, 따라서 소위 쓰레기 조각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 속마개의 폐색벽에는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2개 또는 3개가 형성되어 있어, 변형 영역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2개 또는 3개가 규정되어 있고, 걸림 수단은 소정 방향으로 보아 변형 영역의 상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계속해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걸림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걸개 수단 각각은 덮개벽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계속해서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개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걸림 부재와 걸개 부재의 상호 걸림은 충분히 강고하므로, 상호 걸림이 훼손되어 버릴 우려는 실질상 전혀 없고, 파단 가능 라인은 충분하고 확실하게 파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의 적합한 실시형태에서의 속마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속마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속마개의, 도 2에 도시한 선 A-A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속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의 적합한 실시형태에서의 뚜껑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뚜껑 본체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뚜껑 본체의, 도 5에 도시한 선 B-B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한 뚜껑 본체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속마개에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뚜껑 본체를 필요에 따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속마개에 대하여 뚜껑 본체를 상측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켜, 속마개의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을 파단하고 변형 영역을 변형시켜 통과 개구를 생성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에서의 속마개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속마개의, 도 11에 도시한 선 A-A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한 속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속마개에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뚜껑 본체를 필요에 따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속마개에 대하여 뚜껑 본체를 상측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켜, 속마개의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을 파단하고 변형 영역을 변형시켜 통과 개구를 생성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의 다른 적합한 실시형태에서의 속마개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속마개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한 속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의 다른 적합한 실시형태에서의 뚜껑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6에 도시한 뚜껑 본체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한 속마개에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뚜껑 본체를 필요에 따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속마개에 대하여 뚜껑 본체를 상측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3은, 형상 변형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속마개에 뚜껑 본체를 필요에 따라 장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한 속마개 및 뚜껑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형상 변형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속마개에 뚜껑 본체를 필요에 따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용기 뚜껑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합성 수지제 용기 뚜껑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속마개(2)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뚜껑 본체(4)로 구성되어 있다. 속마개(2)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적절한 합성 수지로부터 사출 성형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뚜껑 본체(4)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적절한 합성 수지로부터 사출 성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속마개(2)는 원형 폐색벽(6) 및 이 폐색벽(6)의 외주연에 접속된 대략 원통 형상인 장착벽(8)을 포함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의 폐색벽(6)은, 실질상 수평으로 연장되는 중앙 주요부(10), 이 중앙 주요부(10)의 외주연으로부터 대략 수직하게 상측으로 융기되는 고리형 융기부(12), 및 고리형 융기부(12)의 상단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실질상 수평으로 연장되는 고리형 외주연부(14)를 갖는다. 고리형 외주연부(14)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수직 하강하는 고리형 시일 부재(1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폐색벽(6)의 중앙 주요부(10)에는, 적어도 1개, 바람직하게는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2개 또는 3개의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이 형성되어 있어, 적어도 1개, 바람직하게는 2개 또는 3개의 변형 영역이 규정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폐색벽(6)의 중심점에 관해 점대칭으로 2개의 파단 가능 박육 라인(18)이 형성되어 있어, 2개의 변형 영역(20)이 규정되어 있다. 파단 가능 박육 라인(18) 각각은 대략 반원 형상인 파단 개시 단부(18a)와 함께, 파단 개시 단부(18a)의 반경 방향 외측단으로 계속해서 연장되는 외측 호형상부(18b) 및 파단 개시 단부(18a)의 반경 방향 내측단으로 계속해서 연장되는 내측 호형상부(18c)를 갖는다. 외측 호형상부(18b)는 중앙 주요부(10)의 외주연부에서 대략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내측 호형상부(18c)는 파단 개시 단부(18a)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직선형으로 연장되고, 계속해서 중앙 주요부(10)의 중앙부에서 대략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호형상을 이루고 있다. 외측 호형상부(18c)의 하류단과 내측 호형상부(18c)의 하류단은 서로 대략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파단 가능 박육 라인(18)에 의해 규정되는 변형 영역(20)은, 도 2에 있어서 (따라서 상측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호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변형 영역(20) 각각에는 걸림 수단(22)이 배치 형성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걸림 수단(22) 각각은, 변형 영역(20)의 상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계속해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걸림 부재로 구성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변형 영역(20)의 상류 단부 상면으로부터 실질상 수직하게 상측으로 연장되는 지주부(22a)와 이 지주부(22a)의 상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실질상 수평으로 연장되는 내민보부(22b)를 갖는 걸림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폐색벽(6)의 상면 중심에는 실질상 수직하게 상측으로 연장되는 공통 지주(24)가 배치 형성되어 있고, 걸림 수단(22) 각각의 내민보부(22b)의 반경 방향 내측단은 공통 지주(24)에 접속되어 있고, 따라서 걸림 수단(22) 각각의 내민보부(22b)의 반경 방향 내측단은 공통 지주(24)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원한다면, 공통 지주(24)를 생략하고 2개의 지주부(22a)로부터 연장되는 내민보부(22b)를 직접적으로 상호 연결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개봉 시의 힘의 확실한 전달 등을 견지하는 것으로부터 공통 지주(24)를 배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벽(8)의 외주면 상단부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내밀어진 고리형 걸림 돌조(26)가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 걸림 돌조(26)의 주위 방향 소정 부위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홈(28)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벽(8)의 내주면 상부에는 상측을 향한 고리형 숄더면(3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착벽(8)의 내주면에서의 고리형 숄더면(30)보다 하측이며 또한 상기 폐색벽(6)의 고리형 외주연부(14)의 상면보다 상측의 영역에는, 도 2와 함께 도 4를 참조함으로써 명확히 이해되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 형상인 1개의 돌기(32)와, 이 돌기(32)로부터 각각 주위 방향 양측으로 필요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래칫 폴(34 및 36)이 형성되어 있다. 래칫 폴(34 및 36) 각각은, 도 2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을 향하여 점차 반경 방향 내측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완만한 경사면(34a 및 36a)과 반시계 방향 하류단에 위치하는 깎아지른 걸림면(34b 및 36b)을 갖는다. 걸림면(34b 및 36b)에는 시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결(34c 및 36c)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벽(8)의 내주면 하단부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걸림 돌조(38)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 돌조(38)는 주위 방향으로 약간의 간격을 두고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원한다면, 복수 개의 걸림 돌조(38)를 형성하는 것 대신에, 주위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고리형 돌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장착벽(8)의 하반부의 외경은 상반부의 외경보다 크고, 장착벽(8)의 축선 방향 대략 중간 부위에는 실질상 수평으로 연장되는 상측을 향한 고리형 숄더면(39)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벽(8)의 하반부의 두께는 상반부의 두께보다 증대되어 있고, 장착벽(8)에는, 그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두께 증대부의 상단 근방까지, 그리고 따라서 고리형 숄더면(39)의 근방까지의 깊이를 가지며 또한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리형 공극(4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리형 공극(40)과 관련하여 장착벽(8)의 하반부에는 고리형 공극(40)으로부터 장착벽(8)의 외주면까지 연장되는 1개 또는 여러 개의 절결(도시하지 않음)도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 공극(40) 및 이 고리형 공극(40)과 관련하여 형성되는 절결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용기의 구경부에 장착된 속마개(2)를, 용기의 내용물을 소비한 후에 소위 분리 수집을 위해 용기의 구경부로부터 속마개(2)를 충분히 용이하게 이탈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주지의 구성이다(그 상세에 관해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10-59400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4-83092호 공보 참조).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도시된 실시형태에서의 뚜껑 본체(4)는, 본체부(42)와 함께 외부 뚜껑(43)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42)는 실질상 수평으로 연장되는 원형 덮개벽(44) 및 이 덮개벽(44)의 외주연에 접속된 통형 끼워맞춤벽(46)을 포함하고 있다. 덮개벽(44)의 중앙부에는, 적어도 1개, 바람직하게는 상기 속마개(2)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변형 영역(20)에 대응하여 2개 또는 3개의 배출 개구(4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속마개(2)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2개의 변형 영역(20)에 대응하여 2개의 배출 개구(48)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벽(44)의 중심점에 관해 점대칭으로 위치하는 2개의 배출 개구(48)는 변형 영역(20)의 형상에 대략 합치되는 형상이고, 도 5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호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덮개벽(44)의 상면에는, 상기 배출 개구(48)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배출 안내벽(5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 안내벽(50)의, 도 5 및 도 7에 있어서 우측에 위치하는 부위는, 상측을 향하여 어느 정도 우측으로 경사져 있다. 배출 안내벽(50)의 상단부는, 상측을 향하여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도 7에 있어서 대략 반원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덮개벽(44)의 상면에는, 또한, 그 외주연부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반경 방향 외측으로 어느 정도 경사져 연장되는 고리형 걸림 돌조(52)도 형성되어 있다. 덮개벽(44)의 하면 외주연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시일 부재(5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시일 부재(54)의 내주면에서의 주위 방향의 소정 위치에는, 하측 및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직방체 형상인 걸림 돌기(56)가 형성되어 있다. 이후에 더욱 언급하는 바와 같이, 이 걸림 돌기(56)는 속마개(2)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상기 돌기(32) 및 래칫 폴(34 및 36)과 협동한다.
덮개벽(44)의 하면에는 걸개 수단(5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속마개(2)에 형성되어 있는 2개의 걸림 수단(22)에 대응하여, 덮개벽(44)의 하면에는 2개의 걸개 수단(58)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함으로써 명확히 이해되는 바와 같이, 걸개 수단(58) 각각은, 덮개벽(44)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계속해서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개 부재로 구성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배출 개구(48)들 사이로부터 하측으로 수직 하강하는 수직 하강 기둥부(58a)와 이러한 수직 하강 기둥부(58a)의 하단으로부터 도 5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호형상으로 연장되는 돌출부(58b)를 갖는 걸개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2개의 수직 하강 기둥부(58a) 각각의 횡단면 형상은 대략 사다리꼴이다. 평면도인 도 5에 있어서, 돌출부(58b) 각각의 실질상 전체는 상기 배출 개구(48) 내에 위치하는 것이 금형 성형의 면에서 보아 적합하다.
실질상 원통 형상이면 되는 끼워맞춤벽(46)은, 덮개벽(44)의 외주연으로부터 수직 하강되어 있다. 끼워맞춤벽(46)의 내주면에는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걸어맞춤 돌조(6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끼워맞춤벽(46)의 내주면 하단부에서의 주위 방향의 소정 위치에는, 대략 직방체 형상인 위치 결정 돌기(64)가 형성되어 있다. 이후에 더욱 언급하는 바와 같이, 이 위치 결정 돌기(64)는 속마개(2)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위치 결정 홈(28)과 협동한다. 원한다면, 상기 속마개(2)의 적절한 부위에 위치 결정 돌기를 형성하고, 이 위치 결정 돌기와 협동하는 위치 결정 홈을 뚜껑 본체(4)의 적절한 부위에 형성할 수도 있다. 끼워맞춤벽(46)의 외주면 상부에서의 특정 각도 위치에는,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몰입부(沒入部; 60)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상기 외부 뚜껑(43)은 원형 상부면벽(66)과 이 상부면벽(66)의 주연부로부터 수직 하강하는 원통형 스커트벽(68)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외부 뚜껑(43)은, 스커트벽(68)의 하단에서의 주위 방향의 특정 부위를, 힌지 수단(70)을 통해 상기 본체부(42)의 끼워맞춤벽의 주위 방향의 특정 부위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본체부(42)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체부(42)와 외부 뚜껑(43)으로 구성되어 있는 뚜껑 본체(4)는 도 5 내지 도 7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상태로 성형되고, 본체부(42)에 대하여 외부 뚜껑(43)은 도 5 내지 도 7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열림 위치와 도 7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선회 이동 가능하다. 그 자체는 주지의 형태이면 되는 힌지 수단(70)은, 본체부(42)의 끼워맞춤벽(46)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몰입부(60)의 직경 방향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부면벽(66)의 내면에는 원통 형상의 시일 부재(72)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면벽(66)의 내면에는, 또한, 도 5 및 도 7에서의 우측 절반부에서 시일 부재(72)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반원 형상으로 연장되는 2줄의 볼록형(74)도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벽(68)의 내주면 하부에는 고리형 걸림 홈(7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커트벽(68)의 내주면에는, 도 7에서의 우측 절반부에서 축선 방향 중간부에 반원호형으로 연장되는 2줄의 볼록형(78)도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벽(68)의 외주면에는, 상기 힌지 수단(70)에 대하여 직경 방향 반대측에 위치하는 호형상 플랜지(8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커트벽(68)의 선단면, 즉 하단면에는 2개의 비교적 긴 호형상 돌조(82)와 2개의 비교적 짧은 호형상 돌조(84)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 뚜껑(43)이 도 7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닫힘 위치로 되면, 시일 부재(72)의 외주면이 본체부(42)에서의 배출 안내벽(50)의 내주면에 밀접하게 된다. 그리고 또한, 고리형 걸림 홈(76)이 본체부(42)의 고리형 걸림 돌조(52)에 걸리고, 이렇게 하여 외부 뚜껑(43)이 닫힘 위치에 해제 가능하게 걸린다. 호형상 돌조(82 및 84)는 본체부(42)의 덮개벽(44)의 상면 주연부에 밀접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속마개(2)와 뚜껑 본체(4)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합된다. 상세히 서술하면, 외부 뚜껑(43)이 닫힘 위치로 되어 있는 뚜껑 본체(4)에서의 본체부(42)를, 속마개(2)에 대하여 강제적으로 하강시켜, 본체부(42)의 끼워맞춤벽(46)을 속마개(2)의 장착벽(8)의 외주면에 끼워 맞춘다. 이때에는, 끼워맞춤벽(46)의 내주면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 결정 돌기(64)(도 6)의 주위 방향 위치를, 장착벽(8)의 외주면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 결정 홈(28)(도 1)의 주위 방향 위치에 합치시켜, 위치 결정 돌기(64)를 위치 결정 홈(28) 내에 진입시키고, 이에 따라 속마개(2)에 대한 뚜껑 본체(4)의 상대적 각도 위치를 규제한다. 도 9에 도시한 상태까지 속마개(2)에 대하여 뚜껑 본체(4)를 하강시키면, 끼워맞춤벽(46)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 돌조(62)가 장착벽(8)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돌조(26)에 걸리고, 이렇게 하여 속마개(2)에 대하여 뚜껑 본체(4)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뚜껑 본체(4)의 시일 부재(54)는 속마개(2)의 장착벽(8)의 내주면 상단부에 밀접하게 된다. 뚜껑 본체(4)의 끼워맞춤벽(46)은 속마개(2)의 장착벽(8)에서의 고리형 숄더면(39)보다 상측의 부분에 끼워 맞춰지고, 끼워맞춤벽(46)의 하단은 고리형 숄더면(39)보다 약간 상측에 위치한다. 끼워맞춤벽(46)의 외주면과, 장착벽(8)에서의, 고리형 숄더면(39)보다 하측의 외주면은 실질상 하나의 면(양자의 외경의 차가 1 mm 이하)인 것이 적합하다. 도 2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속마개(2)에 대하여 뚜껑 본체(4)를 필요에 따라 장착한 상태에서, 뚜껑 본체(4)의 시일 부재(54)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돌기(56)는, 속마개(2)의 장착벽(8)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32)에 대하여, 도 2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 하류측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돌기(32)와 걸림 돌기(56)는 협동하여 회전 저지 수단을 구성하고, 속마개(2)에 대하여 뚜껑 본체(4)가 도 2에 있어서 시계 방향(도 9에 있어서 상측으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한다. 뚜껑 본체(4)에서의 걸개 수단(58) 각각의 돌출부(58b)는, 속마개(2)에서의 걸림 수단(22) 각각의 내민보부(22b)의 하측이며 또한 도 2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 상류측에 어느 정도 이격되어 위치한다[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성형 몰드 등의 형편상, 한쌍의 내민보부(22b)는 완전히 점대칭이 아니라 약간 변이시켜 배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한쌍의 돌출부(58b)도 완전히 점대칭이 아니라 약간 변이시켜 배치되어 있음].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용기 뚜껑이 적용되는 용기의 구경부(86)가 도 2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적절한 합성 수지 혹은 유리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용기의 구경부(86)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이고, 그 외주면에는 고리형 걸림 홈(88)이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명확히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의 구경부(86)를 속마개(2)의 장착벽(8)의 내주면 하반부와 시일 부재(16)의 외주면 사이에 받아들임으로써, 용기의 구경부(86)에 용기 뚜껑이 장착된다. 속마개(2)의 장착벽(8)의 내주면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돌조(38)는 구경부(86)의 걸림 홈(88)에 걸리고, 속마개(2)의 시일 부재(16)는 구경부(86)의 내주면에 밀접하게 된다.
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조미액과 같은 내용물을 소비할 때에는, 속마개(2)에 대하여 뚜껑 본체(4)를 도 9에 있어서 상측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도 2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속마개(2)에 대하여 뚜껑 본체(4)가 소정 각도(α)(도 2)로 회전되면, 뚜껑 본체(4)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2개의 걸개 수단(58) 각각이, 속마개(2)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2개의 걸림 수단(22) 각각에 걸린다. 더욱 상세하게는, 걸개 수단(58)의 돌출부(58b)가 걸림 수단(22)의 내민보부(22b)의 하측으로 진입하여, 걸개 수단(58)의 수직 하강 기둥부(58a)가 걸림 수단(22)의 내민보부(22b)에 접촉된다. 소정 각도(α)는 50 내지 60 도 정도인 것이 적합하다. 속마개(2)에 대하여 뚜껑 본체(4)가 소정 각도(α)를 초과하여 더 회전되면, 걸림 수단(22)을 통해 파단 가능 박육 라인(18) 각각에 응력이 가해져, 파단 가능 박육 라인(18)이 그 파단 개시 단부(18a)로부터 파단되기 시작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속마개(2)에 대하여 뚜껑 본체(4)가 상기 소정 각도(α)보다 0 내지 20 도 정도 작은 각도(β)(0 도≤α-β≤20 도)만큼 회전되면, 뚜껑 본체(4)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걸림 돌기(56)가 속마개(2)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래칫 폴(34)을 탄성적으로 타고 넘게 되어, 속마개(2)에 대하여 뚜껑 본체(4)가 도 9에 있어서 상측으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도 2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걸림 돌기(56)와 래칫 폴(34)의 깎아지른 걸림면(34b)과의 협동에 의해 저지된다. 따라서, 걸림 돌기(56)와 래칫 폴(34)은 협동하여 복귀 회전 저지 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소정 각도(α)를 초과하는 뚜껑 본체(4)의 회전이 진행됨에 따라, 파단 가능 박육 라인(18)의 파단이 파단 개시 단부(18a)로부터 외측 호형상부(18b) 및 내측 호형상부(18c)로 진행된다. 그리고, 속마개(2)에 대한 뚜껑 본체(4)의 회전이 각도(γ)(도 2)까지 진행되면, 도 2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 본체(4)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걸림 돌기(56)가 속마개(2)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돌기(32)에 접촉하여, 속마개(2)에 대하여 뚜껑 본체(4)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는 것이 저지된다. 따라서, 걸림 돌기(56)와 돌기(32)는 협동하여 뚜껑 본체(4)의 회전을 각도(γ)로 제한하는 회전 제한 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각도(γ)는 300 내지 320 도 정도인 것이 적합하다. 속마개(2)에 대하여 뚜껑 본체(4)가 상기 각도(γ)로 회전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단 가능 박육 라인(18) 각각은, 각각의 외측 호형상부(18a) 및 내측 호형상부(18b)의 실질상 하류단까지 파단되고, 속마개(2)의 폐색벽(6)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변형 영역(20)은 파단 가능 박육 라인(18)의 파단의 진행에 따라 상측 및 반시계 방향 하류를 향하여 변형되어 롤형으로 변형되고, 폐색벽(6)에는 2개의 통과 개구(90)(도 10)가 생성된다. 파단 가능 박육 라인(18)의 외측 호형상부(18a)의 하류단과 내측 호형상부(18b)의 하류단은 이격되어 있고, 양자 사이가 파단되는 경우는 없어, 변형 영역(20)이 폐색벽(6)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는 없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속마개(2)에 대하여 뚜껑 본체(4)가 상기 각도(γ)까지 회전될 때에는, 뚜껑 본체(4)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걸림 돌기(56)가 속마개(2)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래칫 폴(36)을 탄성적으로 타고 넘는다. 그 때문에, 속마개(2)에 대한 뚜껑 본체(4)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은, 걸림 돌기(56)와 래칫 폴(36)의 깎아지른 걸림면(36b)과의 협동에 의해 저지된다. 따라서, 걸림 돌기(56)와 래칫 폴(36)은 협동하여 역회전 저지 수단을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속마개(2)의 폐색벽(6)에 통과 개구(90)가 생성된 후에 있어서, 뚜껑 본체(4)의 외부 뚜껑(43)을 도 10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위치까지 선회시키고, 계속해서 용기를 기울이면, 속마개(2)의 폐색벽(6)에 생성된 통과 개구(90) 및 뚜껑 본체(4)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배출 개구(48)를 통해 용기의 내용물이 유출되고, 뚜껑 본체(4)의 배출 안내벽(50)에 안내되어 배출된다.
도 11 내지 도 13에는 속마개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속마개(102)에 있어서, 특히 도 13을 참조함으로써 명확히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변형 영역(120) 각각은, 하류단으로부터 상류를 향하여, 폐색벽(106)의 중앙 주요부(110)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위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고, 계속해서 상류를 향하여 상류단까지 점차 상측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변형 영역(120) 각각을 규정하는 파단 가능 박육 라인(118)은, 반원 형상인 파단 개시 단부(118a)와 함께, 파단 개시 단부(118a)의 반경 방향 외측단으로 계속해서 연장되는 외측 호형상부(118b) 및 파단 개시 단부(118a)의 반경 방향 내측단으로 계속해서 연장되는 내측 호형상부(118c)를 갖는다. 외측 호형상부(118b)는 대략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있고, 내측 호형상부(118c)는 파단 개시 단부(118a)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직선형으로 연장되고, 계속해서 중앙 주요부(110)의 중앙부에서 대략 원호형으로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호형상을 이루고 있다. 외측 호형상부(118c)의 하류단과 내측 호형상부(118c)의 하류단은 대략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변형 영역(120)의 상류부가 상류를 향하여 상류단까지 점차 상측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것에 기인하여, 파단 가능 박육 라인(118) 각각의 파단 개시 단부(118a) 그리고 외측 호형상부(118b) 및 내측 호형상부(118c)의 상류부에 인접하여, 폐색벽(106)의 중앙 주요부(110)에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융기면(121)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변형 영역(120)의 상류부가 상류를 향하여 상류단까지 상측을 향하여 경사져 있지만, 원한다면 변형 영역(120)의 실질상 전체가 상류를 향하여 상측으로 경사지게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속마개(102)의 전술한 구성 이외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상기 속마개(2)와 실질상 동일하다.
도 14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상기 속마개(102)에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상기 뚜껑 본체(4)를 조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속마개(102)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뚜껑 본체(4)의 조합 양식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속마개(2)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뚜껑 본체(4)의 전술한 조합 양식과 실질상 동일하다. 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는 조미료와 같은 내용물을 소비할 때에, 주로 도 2,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속마개(102)에 대하여 뚜껑 본체(4)가 도 14에 있어서 상측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파단 가능 박육 라인(118)이 파단되고, 변형 영역(120)이 변형되어 통과 개구(190)가 생성된다. 그런데,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속마개(102)에 있어서, 변형 영역(102) 각각의 상류 단부는 상류를 향하여 점차 상측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고, 그 때문에 변형 영역(120) 각각은 파단 가능 박육 라인(118)의 파단의 진행에 따라 상측 및 반시계 방향 하류를 향하여 변형되어 롤형으로 변형되고, 폐색벽(6)에는 2개의 통과 개구(190)(도 15)가 생성된다. 변형 영역(120)의 상류부는 상류를 향하여 상측으로 경사져 있었기 때문에, 변형 영역(120)의 전체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생성되는 통과 개구(190)의 개구 면적이 크다. 통과 개구(190)가 생성될 때의, 속마개(102)와 뚜껑 본체(4)의 전술한 거동 이외의 거동은, 속마개(2)와 뚜껑 본체(4)의 조합의 경우와 실질상 동일하다.
도 16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용기 뚜껑의 다른 적합한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용기 뚜껑은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한 속마개(201)와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뚜껑 본체(204)로 구성되어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속마개(202)에 있어서, 장착벽(208)의 고리형 숄더면(239)보다 하측의 외주면(208a)에는, 도 17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하는 각도 부위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 연속하여 연장되는 2개의 돌조(241a)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도 17에 있어서 상측에 위치하는 각도 부위에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 연속하여 연장되는 3개의 돌조(241b)가 형성되어 있다[돌조(241a 및 241b)의 위치 관계에 관해서는 이후에 추가로 언급됨]. 속마개(202)의 전술한 구성 이외의 구성은 도 1 내지 4에 도시한 속마개(2)와 실질상 동일하다.
한편,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함으로써 이해되는 바와 같이, 뚜껑 본체(204)에 있어서, 본체부(242)의 끼워맞춤벽(246)의 외주면에는, 도 19에 있어서 상측에 위치하는 각도 부위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속하여 연장되는 2개의 돌조(259a)가 형성되고, 도 19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하는 각도 부위에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속하여 연장되는 3개의 돌조(259b)가 형성되어 있다[이후에 더욱 상세히 서술하는 바와 같이, 돌조(259a)는 상기 돌조(241a)에 대응하고, 돌조(259b)는 상기 돌조(241b)에 대응함]. 그리고 또한, 외부 뚜껑(243)의 스커트벽(268)의 외주면 하단부에는, 도 19에 있어서 상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의 돌조(281a)가 형성되고, 도 19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하는 각도 부위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3개의 돌조(281b)가 형성되어 있다. 돌조(281a 및 281b)의 각각의 상단은 상측을 향하여 반경 방향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도 21을 참조함으로써 이해되는 바와 같이, 뚜껑 본체(204)의 본체부(242)에 대하여 외부 뚜껑(43)이 닫힘 위치로 되면, 돌조(281a 및 281b)는, 각각, 본체부(242)의 끼워맞춤벽(246)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돌조(259a 및 259b)에 정합된다. 뚜껑 본체(4)의 전술한 구성 이외의 구성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뚜껑 본체(4)와 실질상 동일하다.
상기 속마개(202)와 상기 뚜껑 본체(204)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속마개(2)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뚜껑 본체(4)의 조합 양식과 실질상 동일한 양식으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조합된다. 그리고, 속마개(202)와 뚜껑 본체(204)가 필요에 따라 조합되면, 도 19와 함께 도 21을 참조함으로써 명확히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측으로부터 보아 뚜껑 본체(204)의 힌지 수단(270)의 주위 방향 중심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90 도의 각도 위치를 둔 부위를 주위 방향 중심으로 하여 주위 방향으로 대략 30 내지 90 도의 폭을 갖는 특정 영역(286a)에, 장착벽(208)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조(241a) 및 끼워맞춤벽(2462)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조(259a)가 위치되고, 2개의 돌조(241a) 및 2개의 돌조(259a)는 끼워맞춤벽(246)의 외주면과 장착벽(208)의 고리형 숄더면(239)보다 하측의 외주면(208a)에 걸쳐 실질상 연속하여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측으로부터 보아 힌지 수단(270)의 주위 방향 중심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90 도의 각도 위치를 둔 부위를 주위 방향 중심으로 하여 주위 방향으로 대략 30 내지 90 도의 폭을 갖는 특정 영역(286b)에, 장착벽(208)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조(241b) 및 끼워맞춤벽(246)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조(259b)가 위치되고, 3개의 돌조(241b) 및 3개의 돌조(359b)는 끼워맞춤벽(246)의 외주면과 장착벽(208)의 고리형 숄더면(239)보다 하측의 외주면(208a)에 걸쳐 연속하여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속마개(202)에 뚜껑 본체(204)를 필요에 따라 장착한 상태에서 대응하는 형상 변형부[즉 돌조(241a)와 돌조(259a) 및 돌조(241b)와 돌조(259b)]의 상대적 관계는, 속마개(202)에 대하여 뚜껑 본체(204)가 회전되면 변화되고, 이에 따라 속마개(202)에 대하여 뚜껑 본체(204)가 회전된 것이 명시되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1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특정 영역(286a)에서 돌조(241a)와 돌조(259a)가, 특정 영역(286b)에서 돌조(241b)와 돌조(259b)가, 각각, 끼워맞춤벽(246)의 외주면과 장착벽(208)의 고리형 숄더면(239)보다 하측의 외주면(208a)에 걸쳐 연속하여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속마개(202)에 대하여 뚜껑 본체(204)를 각도(γ)로 회전시키면,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영역(286a)에서 돌조(259a)는 돌조(241a)보다 상측으로부터 보아 어느 정도 시계 방향측으로, 특정 영역(286b)에서 돌조(259a)는 돌조(241b)보다 상측으로부터 보아 어느 정도 시계 방향으로, 각각 변위되고, 이렇게 하여 속마개(202)에 대하여 뚜껑 본체(204)가 회전된 것이 명시된다[소위 템퍼 에비던트(tamper-evident) 특성이 보증됨].
도 23 및 도 24에는 형상 변형부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3 및 24에 도시한 변형예에 있어서는, 특정 영역(386a)에서 장착벽(308)의 고리형 숄더면(339)보다 하측의 외주면(308a)에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평탄면(341a)이 형성되는 것과 함께, 끼워맞춤벽(346)의 외주면에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평탄면(359a)이 형성되고, 그리고 또한 특정 영역(386b)에서는, 장착벽(308)의 고리형 숄더면(339)보다 하측의 외주면(308a)에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평탄면(341b)이 형성되는 것과 함께, 끼워맞춤벽(346)의 외주면에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평탄면(359b)이 형성되어 있다. 특정 영역(386a)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평탄면(341a 및 359a)과 특정 영역(386b)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평탄면(341b 및 359b)은, 개수 및 폭이 상이하게 되어 있다. 속마개(302)와 뚜껑 본체(304)를 필요에 따라 조합하면, 특정 영역(386a)에서 평탄면(341a)과 평탄면(359a)이, 특정 영역(386b)에서 평탄면(341b)과 평탄면(359b)이, 각각 축선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된다.
도 25에는 형상 변형부의 또 다른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5에 도시한 변형예에 있어서, 특정 영역(486a)에서 장착벽의 고리형 숄더면보다 하측의 외주면에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평탄면(441a)이 형성되는 것과 함께, 끼워맞춤벽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평탄면(459a)이 형성되고, 그리고 또한 특정 영역(486b)에서는, 장착벽의 고리형 숄더면보다 하측의 외주면에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평탄면(441b)이 형성되는 것과 함께, 끼워맞춤벽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평탄면(459b)이 형성되어 있다. 평탄면(441a, 459a, 441b 및 459b) 각각에는, 상기 소정 방향(도 25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 상류측 가장자리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부가 평탄면(490a 및 490b)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부가 평탄면(490a 및 490b)은 속마개에 대하여 뚜껑 본체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 손가락을 걸기 위한 면을 제공한다.
도 16 내지 도 25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뚜껑 본체의 끼워맞춤벽(및 스커트벽)의 특정 부위와 장착벽의 특정 부위에 형상 변형부를 배치 형성하고 있지만, 원한다면, 이 대신에 뚜껑 본체의 끼워맞춤벽(및 스커트벽)의 특정 부위와 장착벽의 특정 부위에 적절한 문자 또는 모양 등을 인쇄할 수도 있다.
2 : 속마개, 4 : 뚜껑 본체, 6 : 폐색벽, 8 : 장착벽, 18 : 파단 가능 박육 라인, 18a :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의 파단 개시 단부, 18b :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의 외측 호형상부, 18c :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의 내측 호형상부, 20 : 변형 영역, 22 : 걸림 수단, 22a : 걸림 수단의 지주부, 22b : 걸림 수단의 내민보부, 32 : 걸림 돌기, 34 : 래칫 폴, 36 : 래칫 폴, 42 : 뚜껑 본체의 본체부, 43 : 뚜껑 본체의 외부 뚜껑, 44 : 덮개벽, 46 : 끼워맞춤벽, 48 : 배출 개구, 56 : 걸림 돌기, 58 : 걸개 수단, 58a : 수직 하강 기둥부, 58b : 돌출부, 86 : 용기의 구경부, 90 : 통과 개구, 102 : 속마개, 118 : 파단 가능 박육 라인, 118a :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의 파단 개시 단부, 118b :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의 외측 호형상부, 118c :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의 내측 호형상부, 120 : 변형 영역, 202 : 속마개, 204 : 뚜껑 본체, 302 : 속마개, 304 : 뚜껑 본체

Claims (21)

  1. 용기의 구경부에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 속마개와 상기 속마개에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 뚜껑 본체로 구성되고,
    상기 속마개는 원형 폐색벽 및 상기 폐색벽의 외주연에 접속된 통형 장착벽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벽을 용기의 구경부의 외주면에 끼워 맞춤으로써 용기의 구경부에 장착되고, 상기 폐색벽이 용기의 구경부를 폐색시키고,
    상기 뚜껑 본체는 원형 덮개벽 및 상기 덮개벽의 외주연에 접속된 통형 끼워맞춤벽을 포함하고, 상기 끼워맞춤벽을 상기 속마개의 상기 장착벽의 외주면에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속마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덮개벽이 상기 속마개의 상기 폐색벽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속마개의 상기 폐색벽에는 적어도 1개의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은 파단 개시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외측 호형상부와 상기 파단 개시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내측 호형상부를 갖고, 상기 외측 호형상부와 상기 내측 호형상부 사이에 호형상 변형 영역이 규정되어 있고,
    상기 변형 영역에는 걸림(被係止) 수단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덮개벽에는 적어도 1개의 배출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벽의 하면에는 상기 걸림 수단과 협동하는 걸개(係止) 수단이 배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속마개에 상기 뚜껑 본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걸개 수단은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보아 상기 걸림 수단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상기 속마개에 대하여 상기 뚜껑 본체를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걸개 수단이 상기 걸림 수단에 걸리고, 상기 속마개에 대하여 상기 뚜껑 본체를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면 상기 걸개 수단 및 상기 걸림 수단을 통해 상기 변형 영역에 힘이 가해져, 상기 속마개의 상기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이 파단됨과 함께 상기 변형 영역이 변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속마개의 상기 폐색벽에 통과 개구가 생성되며,
    상기 속마개의 상기 폐색벽에는 상기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2개 또는 3개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변형 영역은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2개 또는 3개가 규정되어 있고,
    상기 걸림 수단은,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보아, 상기 변형 영역의 상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계속해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걸림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개 수단 각각은, 상기 덮개벽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계속해서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개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 부재 각각은 상기 변형 영역의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보아 상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직으로 연장되는 지주부 및 상기 지주부의 상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내민보부(張出梁部)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내민보부의 반경 방향 내측단은 서로 접속되는 것인 용기 뚜껑.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속마개의 상기 폐색벽에는 상면 중심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공통 지주가 배치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 부재 각각의 상기 내민보부의 반경 방향 내측단은 상기 공통 지주를 통해 서로 접속되는 것인 용기 뚜껑.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개 부재 각각은 상기 덮개벽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수직 하강 기둥부 및 상기 수직 하강 기둥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호형상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인 용기 뚜껑.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덮개벽에는 상기 변형 영역에 대응하여 2개 또는 3개의 배출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평면도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각각은 전체가 상기 배출 개구 내에 위치하는 것인 용기 뚜껑.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속마개의 상기 장착벽의 외주면과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끼워맞춤벽의 내주면 중 하나에는, 적어도 1개의 위치 결정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적어도 1개의 위치 결정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 결정 홈 내에 상기 위치 결정 돌기를 진입시켜 상기 속마개에 상기 뚜껑 본체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속마개에 대한 상기 뚜껑 본체의 상대적 각도 위치가 규제되는 것인 용기 뚜껑.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속마개의 상기 폐색벽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의 상기 외측 호형상부 및 상기 내측 호형상부는 상측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상기 파단 개시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은 상측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인 것인 용기 뚜껑.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속마개와 상기 뚜껑 본체에는, 서로 협동하여 상기 속마개에 대하여 상기 뚜껑 본체가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회전 저지 수단이 배치 형성되는 것인 용기 뚜껑.
  10.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속마개에 대하여 상기 뚜껑 본체가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50 내지 60 도인 각도(α)만큼 회전되면, 상기 걸개 수단이 상기 걸림 수단에 걸리고,
    상기 속마개와 상기 뚜껑 본체에는, 상기 속마개에 대하여 상기 뚜껑 본체가 상기 각도(α)보다 0 내지 20 도 작은 각도(β)(0 도≤α-β≤20 도)로 회전되면, 협동하여 상기 속마개에 대하여 상기 뚜껑 본체가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복귀 회전 저지 수단이 배치 형성되는 것인 용기 뚜껑.
  11.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속마개와 상기 뚜껑 본체에는, 협동하여 상기 속마개에 대한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의 회전을 300 내지 320 도인 각도(γ)로 제한하는 회전 제한 수단이 배치 형성되는 것인 용기 뚜껑.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속마개와 상기 뚜껑 본체에는, 상기 속마개에 대하여 상기 뚜껑 본체가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상기 각도(γ)만큼 회전되면, 협동하여 상기 속마개에 대하여 상기 뚜껑 본체가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회전 저지 수단이 배치 형성되는 것인 용기 뚜껑.
  13. 용기의 구경부에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 속마개와 상기 속마개에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 뚜껑 본체로 구성되고,
    상기 속마개는 원형 폐색벽 및 상기 폐색벽의 외주연에 접속된 통형 장착벽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벽을 용기의 구경부의 외주면에 끼워 맞춤으로써 용기의 구경부에 장착되고, 상기 폐색벽이 용기의 구경부를 폐색시키고,
    상기 뚜껑 본체는 원형 덮개벽 및 상기 덮개벽의 외주연에 접속된 통형 끼워맞춤벽을 포함하고, 상기 끼워맞춤벽을 상기 속마개의 상기 장착벽의 외주면에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속마개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덮개벽이 상기 속마개의 상기 폐색벽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속마개의 상기 폐색벽에는 적어도 1개의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은 파단 개시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외측 호형상부와 상기 파단 개시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내측 호형상부를 갖고, 상기 외측 호형상부와 상기 내측 호형상부 사이에 호형상 변형 영역이 규정되어 있고,
    상기 변형 영역에는 걸림(被係止) 수단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덮개벽에는 적어도 1개의 배출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벽의 하면에는 상기 걸림 수단과 협동하는 걸개(係止) 수단이 배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속마개에 상기 뚜껑 본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걸개 수단은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보아 상기 걸림 수단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상기 속마개에 대하여 상기 뚜껑 본체를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걸개 수단이 상기 걸림 수단에 걸리고, 상기 속마개에 대하여 상기 뚜껑 본체를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키면 상기 걸개 수단 및 상기 걸림 수단을 통해 상기 변형 영역에 힘이 가해져, 상기 속마개의 상기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이 파단됨과 함께 상기 변형 영역이 변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속마개의 상기 폐색벽에 통과 개구가 생성되며,
    상기 변형 영역의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보아 적어도 상류부는 상류를 향하여 점차 상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인 용기 뚜껑.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벽의 중앙 주요부는, 상기 변형 영역의 적어도 상류부 및 그 근방을 제외하고는 수평으로 연장되고, 상기 변형 영역은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보아 하류단으로부터 상류를 향하여 상기 중앙 주요부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위를 따라 수평으로 연장되고, 계속해서 상류를 향하여 상류단까지 상측으로 경사져 연장되고,
    상기 폐색벽의 상기 중앙 주요부에는, 상기 변형 영역을 규정하는 상기 파단 가능 박육 라인의 상기 파단 개시 단부 그리고 상기 외측 호형상부 및 내측 호형상부의 상류부에 인접하여, 연직으로 연장되는 융기면이 형성되는 것인 용기 뚜껑.
  1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속마개의 상기 장착벽에는 상측을 향한 고리형 숄더면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벽의, 상기 고리형 숄더면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외주면은 상기 고리형 숄더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외주면보다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끼워맞춤벽은 상기 장착벽의 상기 고리형 숄더면보다 상측의 부분에 끼워 맞춰지고,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끼워맞춤벽의 외주면의 적어도 하부와 상기 장착벽의 상기 고리형 숄더면보다 하측의 외주면에는, 각각, 대응하는 형상 변형부, 인쇄부, 또는 양자 모두가 배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속마개에 상기 뚜껑 본체를 필요에 따라 장착한 상태에서의 상기 대응하는 형상 변형부 또는 인쇄부의 상대적 관계는, 상기 속마개에 대하여 상기 뚜껑 본체가 회전되면 변화되고, 이에 따라 상기 속마개에 대하여 상기 뚜껑 본체가 회전된 것이 명시되는 것인 용기 뚜껑.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속마개에 상기 뚜껑 본체를 필요에 따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끼워맞춤벽의 외주면의 적어도 하부와, 상기 속마개의 상기 장착벽의, 상기 고리형 숄더면보다 하측의 외주면은, 하나의 면을 이루는 것인 용기 뚜껑.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장착벽의 외주면 상단부에는, 힌지 수단을 통해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덮개벽을 덮는 닫힘 위치와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덮개벽을 노출시키는 열림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외부 뚜껑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힌지 수단의 주위 방향 중심으로부터 주위 방향 양측으로 90 도의 각도 간격을 둔 부위를 주위 방향 중심으로 하여 주위 방향으로 30 내지 100 도의 폭을 갖는 2개의 특정 영역 각각에서, 상기 끼워맞춤벽의 외주면의 적어도 하부와 상기 장착벽의 상기 고리형 숄더면보다 하측의 외주면에 걸쳐 연속하여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대응하는 형상 변형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1개의 돌조(突條; ridge)가 배치 형성되는 것인 용기 뚜껑.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특정 영역 중 하나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상기 돌조의 개수, 폭, 또는 양자 모두는 다른 하나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상기 돌조의 개수, 폭, 또는 양자 모두와 상이한 것인 용기 뚜껑.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장착벽의 외주면 상단부에는, 힌지 수단을 통해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덮개벽을 덮는 닫힘 위치와 상기 뚜껑 본체의 상기 덮개벽을 노출시키는 열림 위치 사이에서 선회 가능하게 외부 뚜껑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힌지 수단의 주위 방향 중심으로부터 주위 방향 양측으로 90 도의 각도 간격을 둔 부위를 주위 방향 중심으로 하여 주위 방향으로 30 내지 100 도의 폭을 갖는 2개의 특정 영역 각각에서, 상기 끼워맞춤벽의 외주면 하부와 상기 장착벽의 상기 고리형 숄더면보다 하측의 외주면에 걸쳐 연속하여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대응하는 형상 변형부를 구성하는 적어도 1개의 평탄면이 배치 형성되는 것인 용기 뚜껑.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특정 영역 중 하나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상기 평탄면의 개수, 폭, 또는 양자 모두는 다른 하나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상기 평탄면의 개수, 폭, 또는 양자 모두와 상이한 것인 용기 뚜껑.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의,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보아 상류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평탄면의 상류측 가장자리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부가 평탄면이 마련되는 것인 용기 뚜껑.
KR1020157023664A 2013-02-28 2014-02-13 속마개와 뚜껑 본체로 구성된 용기 뚜껑 KR101943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39113A JP6128890B2 (ja) 2013-02-28 2013-02-28 中栓と蓋本体とから構成された容器蓋
JPJP-P-2013-039113 2013-02-28
JP2013069608A JP6074302B2 (ja) 2013-03-28 2013-03-28 中栓と蓋本体とから構成された容器蓋
JPJP-P-2013-069608 2013-03-28
JPJP-P-2013-069609 2013-03-28
JP2013069609A JP6069069B2 (ja) 2013-03-28 2013-03-28 中栓と蓋本体とから構成された容器蓋
PCT/JP2014/053253 WO2014132800A1 (ja) 2013-02-28 2014-02-13 中栓と蓋本体とから構成された容器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820A KR20150123820A (ko) 2015-11-04
KR101943696B1 true KR101943696B1 (ko) 2019-01-29

Family

ID=51428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3664A KR101943696B1 (ko) 2013-02-28 2014-02-13 속마개와 뚜껑 본체로 구성된 용기 뚜껑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43826B2 (ko)
EP (1) EP2962952B1 (ko)
KR (1) KR101943696B1 (ko)
CN (1) CN105008239B (ko)
WO (1) WO20141328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26472B2 (ja) * 2016-10-06 2018-05-16 日本クロージャー株式会社 合成樹脂製容器蓋
USD900606S1 (en) 2018-03-02 2020-11-03 Berlin Packaging, Llc Closure
USD931101S1 (en) 2018-03-02 2021-09-21 Berlin Packaging, Llc Closure
JP7081986B2 (ja) * 2018-06-05 2022-06-07 キユーピー株式会社 合成樹脂製容器蓋
CN112978074A (zh) * 2019-11-10 2021-06-18 王志远 一种新型啤酒玻璃瓶密封盖及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9933A (ja) * 2003-08-19 2005-03-10 Dojji Shokai:Kk 液体用容器のキャップ構造
WO2011031639A1 (en) 2009-09-08 2011-03-17 Calibre Closures Llc Improved reclosable dispensing closure
JP2012076775A (ja) * 2010-09-30 2012-04-19 Toppan Printing Co Ltd 容器用口栓および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1887B2 (ja) 1993-11-05 1996-08-07 聖次 西原 合成樹脂製のピルファ―プル―フキャップ
JP3161977B2 (ja) 1996-08-23 2001-04-25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分別廃棄性に優れたキャップ
JP4156300B2 (ja) 2002-08-28 2008-09-24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分別廃棄性に優れた樹脂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9933A (ja) * 2003-08-19 2005-03-10 Dojji Shokai:Kk 液体用容器のキャップ構造
WO2011031639A1 (en) 2009-09-08 2011-03-17 Calibre Closures Llc Improved reclosable dispensing closure
JP2012076775A (ja) * 2010-09-30 2012-04-19 Toppan Printing Co Ltd 容器用口栓および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68008A1 (en) 2015-12-24
EP2962952A4 (en) 2016-10-19
EP2962952A1 (en) 2016-01-06
EP2962952B1 (en) 2018-12-19
CN105008239A (zh) 2015-10-28
WO2014132800A1 (ja) 2014-09-04
US10343826B2 (en) 2019-07-09
CN105008239B (zh) 2017-12-29
KR20150123820A (ko) 201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696B1 (ko) 속마개와 뚜껑 본체로 구성된 용기 뚜껑
US10934063B2 (en) Tamper-evident closures
JP5697505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CN107548374B (zh) 用于容器的安全胶囊
JP2020132181A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4413071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EP2380820B1 (en) A closure assembly
JP6018776B2 (ja) 容器蓋
JP6204621B1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及び容器
JP5984636B2 (ja) 中栓と蓋本体とから構成された容器蓋
JP6069069B2 (ja) 中栓と蓋本体とから構成された容器蓋
JP2006052022A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2012116557A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5973764B2 (ja) 容器蓋
JP2012144266A (ja) 合成樹脂製容器蓋及びこれと容器との組み合わせ
JP2010285162A (ja) 合成樹脂製蓋と容器本体とから構成された容器
JP6564141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6128890B2 (ja) 中栓と蓋本体とから構成された容器蓋
JP6045885B2 (ja) 中栓と蓋本体とから構成された容器蓋
JP6074302B2 (ja) 中栓と蓋本体とから構成された容器蓋
JP7409813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2012201402A (ja) 容器と合成樹脂製蓋との組み合わせ
JP4667563B2 (ja) 合成樹脂製の分別回収キャップ
JP3654957B2 (ja) 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
JP2020132182A (ja) 液体用収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