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861B1 - 데크플레이트 및, 데크플레이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크플레이트 및, 데크플레이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861B1
KR101940861B1 KR1020160136015A KR20160136015A KR101940861B1 KR 101940861 B1 KR101940861 B1 KR 101940861B1 KR 1020160136015 A KR1020160136015 A KR 1020160136015A KR 20160136015 A KR20160136015 A KR 20160136015A KR 101940861 B1 KR101940861 B1 KR 101940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llation
plate
line
fram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3454A (ko
Inventor
김갑득
최윤아
이경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36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861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483Supporting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025/006Heads therefor, e.g. pivo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본체; 상기 플레이트본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천장구조물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는 설치라인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설치부; 및, 상기 플레이트본체 및, 상기 돌출설치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에 형성되는 지지콘크리트의 타설영역인 지지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설치부는, 상기 플레이트본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면서 세로방향으로 제1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천장구조물의 일측이 고정되는 설치라인이 형성되는 회전설치프레임;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크플레이트 및, 데크플레이트 시스템{DECK PLATE AND DECK PLATE SYSTEM}
본 발명은 천장구조물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데크플레이트 및, 데크플레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일반적으로 천장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 천장구조물의 반자틀받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행거를 설치하고 여기에 행거를 고정하는 행거를 천장재가 떨어지지 않도록 인서트에 설치하거나, 용접 등의 적절한 공법으로 데크 플레이트에 설치한다.
인서트를 설치하여 천장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 트러스 데크를 먼저 설치한 후 여기에 인서트를 설치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하지만, 인서트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미리 설치위치를 정하여 인서트를 매설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그 설치 개수가 많아질 경우, 작업 공수가 증가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인서트의 경우는 콘크리트에 매설하여야 하므로 설치 개소가 정확하지 않아 인서트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 추가 작업을 위하여 현장에서 콘크리트에 구멍을 뚫고 앵커링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인서트를 설치하지 않고 용접을 하여 천장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 행거부재를 직접 스틸소재의 데크플레이트에 용접하여 설치한다.
용접을 하여 고정하는 경우에도 고소 작업에 위를 보고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시공이 어렵고 작업속도가 급격히 떨어지므로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스틸 데크플레이트는 아연도금강판을 사용하므로 용접으로 인한 도급 층의 파손을 보수하여야 하므로 비용과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틸 데크플레이트의 하부에 인서트를 삽입하거나 용접을 하지 않고서도 행거부재를 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스틸 데크플레이트의 형상을 고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별도로 인서트를 설치하거나, 용접을 할 필요없이 행거부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자의 시공성을 개선하여 시공기간을 단축시키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데크플레이트 및, 데크플레이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바닥판구조물 및 천장구조물에 연계되어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 시스템이고, 데크플레이트; 헤드부분이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설치라인에 삽입되어 설치위치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되고, 천장구조물의 설치부분을 제공하는 행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는, 상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본체; 상기 플레이트본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천장구조물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는 설치라인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설치부; 및, 상기 플레이트본체 및, 상기 돌출설치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에 형성되는 지지콘크리트의 타설영역인 지지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설치부는, 상기 플레이트본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면서 세로방향으로 제1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천장구조물의 일측이 고정되는 설치라인이 형성되는 회전설치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천장구조물의 일측단부는, 상기 한 쌍의 수직판의 사이에 형성된 제2 이격공간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회전설치프레임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설치라인에 고정되고, 상기 천장구조물의 일측은, 상기 제2 이격공간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설치라인의 회전라인에서 회전되고, 상기 회전라인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설치라인의 고정라인에 삽입되면서 고정되고, 상기 회전설치프레임은, 상기 수직판의 상단에서 절곡되고 외측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천장구조물의 일측이 거치되는 한 쌍의 거치프레임; 상기 거치프레임의 외측단부에서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직판와 이격 배치되면서 유입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내부측면프레임; 상기 내부측면프레임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외측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본체와 세로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외측단부에서 절곡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외부측면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외부측면프레임의 상단을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상부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천장구조물의 일측인 상기 행거부재는, 상기 설치라인에 삽입 고정되고, 장변과 단변이 형성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장방형의 헤드부분; 상기 헤드부분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설치철물을 매개로 천장판패널이 고정되는 행거본체; 및, 상기 헤드부분의 단변 측의 양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분을 상기 설치라인의 고정라인에 고정하는 고정단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분의 최대폭 부분이 상기 설치라인의 폭보다 크게 구비되어, 상기 헤드부분이 상기 설치라인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이 방지되고, 상기 거치프레임의 상단에 상기 행거본체가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단턱부재가 상기 내부측면프레임과 접촉되면서 상기 행거부재가 상기 설치라인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데크플레이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행거부재는, 상기 헤드부분의 장변이 상기 설치라인의 폭방향에서 소정을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마름모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헤드부분의 단변이 상기 설치라인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라인의 내벽과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 행거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설치라인에 헤드부분이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행거부재를 고정하는 가압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플레이트본체의 상면과 상기 돌출설치부의 회전설치프레임의 하단의 사이를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변형을 방지하는 지지블록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로 인서트를 설치하거나, 용접을 할 필요없이 행거부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자의 시공성을 개선하여 시공기간을 단축시키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데크플레이트의 설치홈에 행거부재가 설치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데크플레이트의 설치홈에 행거부재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의 설치홈에 행거부재가 설치되는 과정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 시스템이 바닥판구조물 및, 천장구조물에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플레이트(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플레이트(10)는 플레이트본체(100), 돌출설치부(200) 및, 지지공간부(3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보강지지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10)는 상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본체(100)와, 상기 플레이트본체(100)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천장구조물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는 설치라인(25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설치부(200) 및, 상기 플레이트본체(100) 및, 상기 돌출설치부(200)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에 형성되는 지지콘크리트의 타설영역인 지지공간부(300)를 포함하고, 돌출설치부(200)는, 상기 플레이트본체(100)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면서 세로방향으로 제1 이격공간(V1)을 형성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판(210) 및, 상기 수직판(210)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천장구조물의 일측이 고정되는 설치라인(250)이 형성되는 회전설치프레임(230)을 구비할 수 있다.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판(210)의 측면에 지지공간부(300)가 형성되면서 지지공간부(30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영역이 수직판(210)의 측면과 접촉되면서 지지공간부(300)에 타설되는 지지콘크리트에 의해 수직판(210)이 견고하게 지지되면서 행거부재(20)가 설치라인(250)에서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데크플레이트(10)는 스틸소재 등의 금속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상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면서 구조부재의 역할과 거푸집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설치부(200)는 플레이트본체(100)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천장구조물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는 설치라인(25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본체(100) 및, 돌출설치부(200)의 상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공간부(300)는 플레이트본체(100) 및, 상기 돌출설치부(200)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에 형성되고, 플레이트본체(100)와 돌출설치부(200)의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콘크리트의 타설영역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지지공간부(300)에 플레이트본체(100)와 돌출설치부(200)의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콘크리트가 타설됨으로써, 데크플레이트(10)의 한 쌍의 수직바 사이의 제2 이격공간(V2)이 확장되면서 행거부재(20)가 설치라인(25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행거부재(20)에 설치된 천장구조물이 낙하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공간부(300)는 지지공간(310) 및, 유입공간(330)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공간부(300)는 플레이트본체(100) 및, 상기 돌출설치부(200)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에 지지콘크리트의 타설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설치부(200)와 상기 플레이트본체(100)의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공간(310)과, 지지공간(310)의 상측에 구비되고 내부측면프레임(233)과 수직판(210)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입공간(330)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공간부(300)는 플레이트본체(100)의 상면과, 돌출설치부(200)의 하면 및,측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이 형성되고, 돌출설치부(200)의 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설치부(200)는 한 쌍의 수직판(210) 및, 회전설치프레임(230)을 구비할 수 있다.
돌출설치부(200)는, 상기 플레이트본체(100)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면서 세로방향으로 제1 이격공간(V1)을 형성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판(210) 및, 상기 수직판(210)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천장구조물의 일측이 고정되는 설치라인(250)이 형성되는 회전설치프레임(230)을 구비하고, 상기 천장구조물의 일측단부는, 상기 한 쌍의 수직판(210)의 사이에 형성된 제2 이격공간(V2)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회전설치프레임(230)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설치라인(250)에 고정될 수 있다.
수직판(210)은 플레이트본체(100)에서 절곡되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직판(210)은 플레이트본체(100)에서 만곡된 절곡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직판(210)은 플레이트본체(100)의 단부에서 세로방향으로 90도 절곡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판(210)의 사이에는 제2 이격공간(V2)이 형성되고, 한 쌍의 수직판(210)의 양측면에 지지공간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판(210)은 플레이트본체(10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되, 한 쌍의 수직판(210)은 제2 이격공간(V2)을 사이에 두고 이격 형성될 수 있다.
회전설치프레임(230)은 천장구조물의 일측인 행거부재(20)가 삽입 고정되는 설치라인(250)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설치프레임(230)에는 설치라인(250)이 형성되고, 설치라인(250)은 회전라인(253) 및, 고정라인(255)을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판(210)의 사이에는 제2 이격공간(V2)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이격공간(V2)을 통해 천장구조물의 일측이 상방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이격공간(V2)의 상측에 형성된 회전라인(253)에서 천장구조물의 일측이 회전되면서 회전설치프레임(230)의 설치라인(250)의 고정라인(255)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설치프레임(230)은, 한 쌍의 거치프레임(231), 한 쌍의 내부측면프레임(233), 한 쌍의 하부프레임(235), 한 쌍의 외부측면프레임(237) 및, 상부프레임(239)을 구비할 수 있다.
회전설치프레임(230)은, 상기 수직판(210)의 상단에서 절곡되고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천장구조물의 일측이 거치되는 한 쌍의 거치프레임(231)과, 상기 거치프레임(231)의 외측단부에서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직판(210)와 이격 배치되면서 유입공간(330)을 형성하는 한 쌍의 내부측면프레임(233)과, 상기 내부측면프레임(233)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외측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본체(100)와 세로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하부프레임(235)과, 상기 하부프레임(235)의 외측단부에서 절곡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외부측면프레임(237) 및, 상기 한 쌍의 외부측면프레임(237)의 상단을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상부프레임(239)을 구비할 수 있다.
거치프레임(231)은 수직판(210)의 상단에서 절곡되고 외측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천장구조물의 일측이 거치되는 부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프레임(231)은 만곡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거치프레임(231)은 수직판(210)의 상단에서 가로방향으로 90도 절곡되고, 내부측면프레임(233)의 상단에서 세로방향으로 90도 절곡되는 평판형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거치프레임(231)의 상단에 행거부재(20)의 행거본체(25)가 거치된 상태에서, 행거부재(20)의 고정단턱부재(27)가 내부측면프레임(233)의 측면과 접촉되면서 행거부재(20)가 설치라인(250)에서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내부측면프레임(233)은 수직판(210)와 가로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면서, 내부측면프레임(233)과 수직판(210)의 사이에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유입공간(330)을 형성할 수 있다.
내부측면프레임(233)과 수직판(210)의 사이에 형성된 유입공간(330)까지 콘크리트가 유입되면서 지지공간(310)에 타설된 콘크리트와 함께 경화되면서 돌출설치부(200)와 상기 플레이트본체(100)의 사이를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행거부재(20)에 설치된 천장구조물의 하중에 의해 돌출설치부(200)의 한 쌍의 수직판(210)의 제2 이격공간(V2)이 벌어지면서 행거부재(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부프레임(235)은 내부측면프레임(233)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외측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본체(100)와 세로방향으로 제1 이격공간(V1)을 형성하면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외부측면프레임(237)은 내부측면프레임(233)과 대향되게 설치되고, 하부프레임(235)의 외측단부에서 절곡되고 내부측면프레임(233)의 상단의 높이보다 높게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239)은 외부측면프레임(237)의 상단에서 내측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한 쌍의 외부측면프레임(237)의 상단을 연결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직판(210)과 거치프레임(231)의 절곡부, 거치프레임(231)과 내부측면프레임(233)의 절곡부, 내부측면프레임(233)과 하부프레임(235)의 절곡부, 하부프레임(235)과 외부측면프레임(237)의 절곡부 및, 외부측면프레임(237)과 상부프레임(239)의 절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90도의 각도를 이루면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모든 절곡부가 90도의 각도를 이루면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거치프레임(231), 내부측면프레임(233), 하부프레임(235), 외부측면프레임(237) 및, 상부프레임(239)은 평판형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공간부(300)는, 상기 회전설치프레임(230)의 하면, 상기 수직판(210)의 측면 및, 상기 플레이트본체(100)의 상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설치프레임(230)과 상기 플레이트본체(100)의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콘크리트의 타설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10)는 돌출설치부(200)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1열 이상 형성되는 절곡형 또는 만곡형의 단면을 가지는 보강지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본체(100) 및, 상기 돌출설치부(200)는, 판상의 금속소재가 롤포밍 방식에 의해 다단으로 절곡되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인접한 돌출설치부(200)의 사이에 보강지지부(400)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판상의 소재가 롤포밍 방식에 의해 다단으로 절곡되면서 플레이트본체(100), 돌출설치부(200) 및, 보강지지부(40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스틸소재의 강판이 롤포밍장치에 의해 단면이 다단으로 접히면서 돌출설치부(200) 및, 보강지지부(400)를 포함하는 원하는 형상의 부재로 성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데크플레이트 시스템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크플레이트 시스템은 데크플레이트(10), 행거부재(2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가압너트(30) 및, 지지블록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구조물 및 천장구조물에 연계되어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 시스템이고,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의 데크플레이트(10) 및, 헤드부분(21)이 상기 데크플레이트(10)의 설치라인(250)에 삽입되어 설치위치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되고, 천장구조물의 설치부분을 제공하는 행거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플레이트 시스템은 바닥판구조물 및 천장구조물에 연계되어 설치될 수 있다.
바닥판구조물은 데크플레이트(10), 래티스철근(80) 및, 슬래브(70)로 구성될 수 있고, 천장구조물은 행거부재(20), 연결철물(50) 및, 천장판패널(6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데크플레이트(10)는 스틸소재 등의 금속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상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면서 구조부재의 역할과 거푸집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스틸소재로 구성되는 데크플레이트(10)가 바닥판구조물의 슬래브(70)와 강합성되면서 바닥판구조물 전체의 구조적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구조물은 복수 개의 데크플레이트(10)가 플레이트연결부(C)를 매개로 연결되면서 데크플레이트(10)의 상측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행거부재(20)는 데크플레이트(1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설치라인(250)에 삽입되고, 설치라인(250) 상에서 설치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부재(20)는 한 쌍의 수직판(210)의 사이에 형성된 제2 이격공간(V2)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격공간(V2)의 상측에 형성된 회전라인(253)에서 천장구조물의 일측단부를 구성하는 행거부재(20)의 헤드부분(21)이 회전하면서 회전설치프레임(230)의 설치라인(250)의 고정라인(255)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부재(20)는 헤드부분(21), 행거본체(25)를 구비할 수 있다.
행거부재(20)는, 상기 설치라인(250)에 삽입 고정되고, 장변(22)과 단변(23)이 형성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장방형의 헤드부분(21)과, 상기 헤드부분(2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설치철물을 매개로 천장판패널(60)이 고정되는 행거본체(25)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분(21)의 최대폭 부분이 상기 설치라인(250)의 폭보다 크게 구비되어, 상기 헤드부분(21)이 상기 설치라인(250)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행거부재(20)는 헤드부분(21)의 하단에서 행거본체(25)가 하방으로 연장되면서 T자형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부재(20)는, 상기 헤드부분(21)의 단변(23) 측의 양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분(21)을 상기 설치라인(250)의 고정라인(255)에 고정하는 고정단턱부재(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프레임(231)의 상단에 행거부재(20)의 행거본체(25)가 거치된 상태에서, 행거부재(20)의 고정단턱부재(27)가 내부측면프레임(233)의 측면과 접촉되면서 행거부재(20)가 설치라인(250)에서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10)의 설치홈에 행거부재(20)가 설치되는 과정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부재(20)는, 상기 헤드부분(21)의 장변(22)이 상기 설치라인(250)의 폭방향에서 소정을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마름모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헤드부분(21)의 단변(23)이 상기 설치라인(25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라인(250)의 내벽과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분(21)의 설치라인(250)에 고정된 상태에서 헤드부분(21)의 장변(22)이 설치라인(250)의 폭방향에서 소정의 각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고, 헤드부분(21)의 단변(23)은 설치라인(250)의 내벽과 접촉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본체(25)에 구비되고, 상기 설치라인(250)에 헤드부분(21)이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데크플레이트(10)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행거부재(20)를 고정하는 가압너트(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너트(30)가 설치라인(250)에 헤드부분(21)이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데크플레이트(10)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행거부재(20)를 고정함으로써, 데크플레이트(10)의 한 쌍의 수직바 사이의 제2 이격공간(V2)이 확장되면서 행거부재(20)가 설치라인(25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공간부(300)에 타설된 지지콘크리트와, 가압너트(30)의 조합에 의해, 행거부재(20)가 설치라인(250)에서 이탈되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것을 중첩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돌출설치부(200)의 수직바(210)와, 플레이트본체(100)의 사이가 만곡지게 형성된 경우, 가압너트(30)의 상단의 판상의 부재는 만곡된 부분의 끝단에서 플레이트본체(100) 방향으로 적어도 5~10 mm의 영역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면서 행거부재(20)가 설치라인(250)에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데크플레이트 시스템은 상기 플레이트본체(100)의 상면과 상기 돌출설치부(200)의 회전설치프레임(230)의 하단의 사이를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데크플레이트(10)의 변형을 방지하는 지지블록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블록재(4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설치부(200)의 지지공간부(300)에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지지블록재(40)에 의해 데크플레이트(10)의 지지공간부(300)가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크플레이트 시스템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데크플레이트(10)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데크플레이트 시스템에서 활용되는 데크플레이트(10)의 플레이트본체(100), 돌출설치부(200), 지지공간부(300) 및, 보강지지부(400)의 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강거더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된 수직이라는 용어의 의미는 반드지 수평방향에서 90도 각도를 이루는 직립상태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수직방향에서 미소하게 경사진 형태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데크플레이트 20: 행거부재
21: 헤드부분 22: 장변
23: 단변 25: 행거본체
27: 고정단턱부재 30: 가압너트
40: 지지블록재 50: 연결철물
60: 천장판패널 70: 슬래브
80: 래티스철근 100: 플레이트본체
200: 돌출설치부 210: 수직판
230: 회전설치프레임 231: 거치프레임
233: 내부측면프레임 235: 하부프레임
237: 외부측면프레임 239: 상부프레임
250: 설치라인 253: 회전라인
255: 고정라인 300: 지지공간부
310: 지지공간 330: 유입공간
400: 보강지지부 C: 플레이트연결부
V1: 제1 이격공간 V2: 제2 이격공간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바닥판구조물 및 천장구조물에 연계되어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 시스템이고,
    데크플레이트;
    헤드부분이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설치라인에 삽입되어 설치위치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되고, 천장구조물의 설치부분을 제공하는 행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는,
    상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본체;
    상기 플레이트본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천장구조물의 일측이 삽입 고정되는 설치라인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설치부; 및,
    상기 플레이트본체 및, 상기 돌출설치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에 형성되는 지지콘크리트의 타설영역인 지지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설치부는,
    상기 플레이트본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면서 세로방향으로 제1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천장구조물의 일측이 고정되는 설치라인이 형성되는 회전설치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천장구조물의 일측단부는,
    상기 한 쌍의 수직판의 사이에 형성된 제2 이격공간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회전설치프레임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설치라인에 고정되고,
    상기 천장구조물의 일측은,
    상기 제2 이격공간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설치라인의 회전라인에서 회전되고, 상기 회전라인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설치라인의 고정라인에 삽입되면서 고정되고,
    상기 회전설치프레임은,
    상기 수직판의 상단에서 절곡되고 외측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상기 천장구조물의 일측이 거치되는 한 쌍의 거치프레임;
    상기 거치프레임의 외측단부에서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직판와 이격 배치되면서 유입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내부측면프레임;
    상기 내부측면프레임의 하단에서 절곡되어 외측 가로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레이트본체와 세로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외측단부에서 절곡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외부측면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외부측면프레임의 상단을 가로방향으로 연결하는 상부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천장구조물의 일측인 상기 행거부재는,
    상기 설치라인에 삽입 고정되고, 장변과 단변이 형성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장방형의 헤드부분;
    상기 헤드부분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설치철물을 매개로 천장판패널이 고정되는 행거본체; 및,
    상기 헤드부분의 단변 측의 양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분을 상기 설치라인의 고정라인에 고정하는 고정단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분의 최대폭 부분이 상기 설치라인의 폭보다 크게 구비되어, 상기 헤드부분이 상기 설치라인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이 방지되고,
    상기 거치프레임의 상단에 상기 행거본체가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단턱부재가 상기 내부측면프레임과 접촉되면서 상기 행거부재가 상기 설치라인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데크플레이트 시스템.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재는,
    상기 헤드부분의 장변이 상기 설치라인의 폭방향에서 소정을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마름모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헤드부분의 단변이 상기 설치라인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설치라인의 내벽과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는 데크플레이트 시스템.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설치라인에 헤드부분이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행거부재를 고정하는 가압너트;를 더 포함하는 데크플레이트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본체의 상면과 상기 돌출설치부의 회전설치프레임의 하단의 사이를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변형을 방지하는 지지블록재;를 더 포함하는 데크플레이트 시스템.
KR1020160136015A 2016-10-19 2016-10-19 데크플레이트 및, 데크플레이트 시스템 KR101940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015A KR101940861B1 (ko) 2016-10-19 2016-10-19 데크플레이트 및, 데크플레이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015A KR101940861B1 (ko) 2016-10-19 2016-10-19 데크플레이트 및, 데크플레이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454A KR20180043454A (ko) 2018-04-30
KR101940861B1 true KR101940861B1 (ko) 2019-01-22

Family

ID=62081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015A KR101940861B1 (ko) 2016-10-19 2016-10-19 데크플레이트 및, 데크플레이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8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842B1 (ko) * 2018-09-20 2019-09-24 정승문 조명을 제공하는 핸드레일 및 이에 이용되는 지지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667Y1 (ko) * 2002-04-20 2002-07-27 김광배 데크판넬용 스페이서
JP2008057278A (ja) * 2006-09-01 2008-03-13 Nippon Steel & Sumikin Coated Sheet Corp 吊下げ用治具の取付構造
JP2013083094A (ja) * 2011-10-11 2013-05-09 Nippon Steel & Sumikin Metal Products Co Ltd 吊り金具の取付構造及びその取付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2364Y2 (ja) * 1991-11-28 1998-02-10 株式会社リープ 吊りボルトの取付金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667Y1 (ko) * 2002-04-20 2002-07-27 김광배 데크판넬용 스페이서
JP2008057278A (ja) * 2006-09-01 2008-03-13 Nippon Steel & Sumikin Coated Sheet Corp 吊下げ用治具の取付構造
JP2013083094A (ja) * 2011-10-11 2013-05-09 Nippon Steel & Sumikin Metal Products Co Ltd 吊り金具の取付構造及びその取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454A (ko) 201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60690B (zh) 板材模板系统
KR101011417B1 (ko) 에프에스엠 공법용 시스템 거푸집 설비
CN101280560B (zh) 格构柱组件及其安装方法
JP5252397B2 (ja) Pc橋における柱頭部施工方法
KR101940861B1 (ko) 데크플레이트 및, 데크플레이트 시스템
JP4362634B2 (ja) 橋梁へのせん断パネル型ダンパーユニットの取付け構造、せん断パネル型ダンパーユニット、及びせん断パネル型ダンパーユニットの交換方法
JP6691007B2 (ja) 型枠ユニット及び基礎断熱工法
JP2006249816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との接合構造およびその接合方法
KR101714159B1 (ko) 전도방지장치가 구비된 휨모멘트 전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JP2010265689A (ja) 床形成方法
JP7250712B2 (ja) バルコニー装置
KR200415531Y1 (ko) 쇼핏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쇼핏거푸집 설치구조
CN213013896U (zh) 一种桥梁施工用伸缩缝装置
JP4842093B2 (ja) フラットプレート構築方法
KR200480637Y1 (ko) 통폼 연결 브래킷
EP1416101A1 (en) Composite beam
KR100928166B1 (ko) I형 콘크리트 빔의 하부플랜지에 조립식으로 설치된무지보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량상부슬래브 시공과무지보거푸집해체방법
JP4625302B2 (ja) 免震建物と免震装置の取替え方法
JP3838566B2 (ja) 鉄骨梁の横座屈防止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346435Y1 (ko)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JP7441055B2 (ja) 仮設開口部用型枠
JP5658455B2 (ja) ユニット式建物
RU2515755C1 (ru) Прижимной кронштейн и способ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арианты)
JP7380042B2 (ja) 建物の柱梁接合方法
JP6669143B2 (ja) 出隅用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