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166B1 - I형 콘크리트 빔의 하부플랜지에 조립식으로 설치된무지보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량상부슬래브 시공과무지보거푸집해체방법 - Google Patents

I형 콘크리트 빔의 하부플랜지에 조립식으로 설치된무지보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량상부슬래브 시공과무지보거푸집해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166B1
KR100928166B1 KR1020070080106A KR20070080106A KR100928166B1 KR 100928166 B1 KR100928166 B1 KR 100928166B1 KR 1020070080106 A KR1020070080106 A KR 1020070080106A KR 20070080106 A KR20070080106 A KR 20070080106A KR 100928166 B1 KR100928166 B1 KR 100928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formwork
bridge
plain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5624A (ko
Inventor
이해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070080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166B1/ko
Publication of KR20090015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빔 및 프리플렉스빔인 I형콘크리트빔을 이용하여 교량을 설치할 때 교각 및 교대에 거치된 상기 I형콘크리트빔의 하부플랜지 위에 지지대를 거치하고, 그 위에 판넬을 설치한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 상부에 철근을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교량상부슬래브를 설치하는 I형콘크리트빔의 하부플랜지 위에 조립식으로 설치된 무지보거푸집 을 이용한 교량상부슬래브 시공과 무지보거푸집해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지보거푸집은 교량상부슬래브를 설치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하고, 지상에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는 지보공을 설치하는 과정을 생략한 것이다.
또한, 교량상부슬래브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 상기 무지보거푸집을 제거할 때 상기 쐐기부재를 측면에서 힘을 주어 제거한 다음, 상기 무지보거푸집의 설치순으로 간단히 제거할 수 있어 무지보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가 손쉽게 이루어진다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거푸집을 지지하는 지보공의 설치를 생략하므로서 거푸집 및 거푸집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하중에 의하여 거푸집이 붕괴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지보공을 설치하는 공정을 생략하므로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어 공사비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경제적인 시공방법인 것이다.
Figure R1020070080106
지보공, 무지보, 무지보거푸집구조.

Description

I형 콘크리트 빔의 하부플랜지에 조립식으로 설치된 무지보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량상부슬래브 시공과 무지보거푸집해체방법{Assembly type no-support mold installed at a lower flange of I-concret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of upper slab in bridg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교량의 상부구조물인 교량슬래브를 설치할 때 거푸집을 지지하는 지보공을 설치하지 않고, 교각 및 교대에 설치된 I형 콘크리트빔의 하부플랜지 위에 거푸집을 조립식으로 손쉽게 설치하고, 거푸집 위에 철근을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상부구조물인 교량상부슬래브를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을 해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설치된 무지보거푸집의 해체시 하부플랜지 위에 설치된 쐐기부재를 제거하면 상기 무지보거푸집의 설치순으로 간단히 제거할 수 있어 교량상부슬래브의 설치를 위한 무지보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한 것이다.
종래에는 교량상부슬래브를 설치하기 위하여 교각 및 교대에 설치된 빔상에 거푸집을 설치하면서 상기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지보공을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상부슬래브를 설치하게되는데 이때, 지보공을 설치하게되는 지 형이 계곡이거나 하상인 경우 지보공설치자체가 곤란하여 교량상부슬래브설치에 많은 지장을 주고 있었다.
또한 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는 지보공을 설치하는 지형인 경우에도 거푸집의 자중 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자중을 견디지 못하여 지보공을 포함한 거푸집이 붕괴되어 인명손상 및 공사기간연장으로 인한 공사비가 추가로 소요되는등의 문제점이 상존하여 왔다.
또한 거푸집 및 지보공의 운반 조달과 연결핀, 못, 철사등으로 고정시켜 설치에도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면서, 상기 거푸집의 해체시에도 또한 상기 고정된 연결핀, 못등을 제거한 후에만 해체가 가능하므로 해체시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발명으로서, 거푸집을 지지하는 지보공의 설치가 필요하지 않게, I형 콘크리트빔인 I형 콘크리트 PC빔 및 I형 콘크리트 프리플렉스빔의 하부플랜지 위에 강결고정시키지 않고, 조립식으로 거푸집을 설치하여 교량상부슬래브를 설치한 후에, 상기 무지보거푸집의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여, 지형 조건에 관계 없이 교량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지보공을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과 거푸집을 해체하는데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단축시켜 이로인한 관련 공사비의 절감을 가져 올 수 있도록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도록 한 무지보거푸집을 설치하여 교량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I형콘크리트빔으로서, 콘크리트로 I형이 되도록 제작한 PC빔인 I형 콘크리트빔에 적용하는 무지보거푸집과 프리플렉스빔과 같이 I강재의 하부판에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하부플랜지만 제작된 프리플렉스빔인 I형콘크리트빔에 적용하는 무지보거푸집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먼저, 콘크리트로 I형이 되도록 제작한 PC 빔인 I형 콘크리트빔에 적용하는 무지보거푸집의 설치 및 이를 이용하여 교량상부슬래브를 시공한 다음, 상기 무지보거푸집을 해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각 및 교대에 교량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다수개 걸쳐설치되는 PC빔인 I형콘크리트빔의 폭방향으로 인접하여 설치된 I형콘크리트빔의 하부플랜지 위에 다수개의 하부지지부재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교량길이방향으로 강결고정시키지 않고 걸쳐설치하되, 하부지지부재의 양측단부가 상기 I형콘크리트빔의 복부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측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I형 콘크리트빔의 복부 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하부지지부재의 단부와의 사이에 지지부재와 쐐기부재를 고정시키지 않고 설치한다.
상기 하부지지부재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상기 하부지지부재의 길이보다 작은 상부지지부재를 설치하면서 상기 상하로 설치된 상하부지지부재의 양단부 사이에 높이를 유지시켜줄 높이조절부재를 고정시키지 않고 설치한다.
상기 상하부지지부재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부지지부재의 양단 부의 양측면에서 상하고정부재로 상하에서 고정시킨다.
상기 상부지지부재의 양단부의 상부에 코너지지부재를 강결고정시키지 않고 설치한 다음, 상기 양측단부에 설치된 코너지지부재의 상부에 수평판넬을 설치하면서 수평판넬의 양단부는 양측에 설치된 I형콘크리트빔의 상부플랜지의 측면에 접하게 설치한 무지보거푸집을 설치한다.
상기 설치된 수평판넬 위에 슬래브의 설치를 위한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교량상부슬래브를 설치한 다음, 상기 설치된 무지보거푸집을 해체하기 위하여 상기 양측에 설치된 쐐기부재를 먼저 제거하면, 공간부가 생겨 그 다음에 손쉽게 상하부지지부재, 지지부재, 높이조절부재, 코너지지부재 및 수평판넬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I형강재의 하부판에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하부플랜지만 제작된 프리플렉스빔인 I형콘크리트빔에 무지보거푸집을 설치하고, 이용하여 교량상부슬래브를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을 해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교각 및 교대에 교량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다수개 걸쳐설치되는 프리플렉스빔인 I형콘크리트빔의 폭방향으로 인접하여 설치된 I형콘크리트빔의 하부플랜지 위에 다수개의 하부지지부재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교량길이방향으로 강결고정시키지 않고 걸쳐설치하되, 하부지지부재의 양측단부가 상기 I형콘크리트빔의 복부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측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I형 콘크리트빔의 복부 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하부지지부재의 단부와의 사이에 지지부재와 쐐기부재를 강결고정시키지 않고 설치하되, I형강재의 복부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지부재를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 하부지지부재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상기 하부지지부재의 길이보다 작은 상부지지부재를 설치하면서 상기 상하로 설치된 상하부지지부재의 양단부 사이에 높이를 유지시켜줄 높이조절부재를 강결고정시키지 않고 설치한다.
상기 상하부지지부재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부지지부재의 양단부의 양측면에서 상하고정부재로 상하에서 고정시킨다.
상기 I형강재의 복부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지지부재의 내측에 I형콘크리트빔의 복부설치를 위한 복부판넬을 설치하고, 상기 복부판넬의 상부와 접하게 경사판넬을 경사지게 설치하되, 경사판넬의 상부는 상부지지부재의 양측단에 설치된 코너지지부재에 걸쳐지도록 한다.
상기 코너지지부재에 걸쳐지게 설치된 경사판넬의 상부에 접하게 수평으로 수평판넬을 설치한 무지보거푸집을 설치한다.
상기 수평판넬의 상부에 슬래브설치를 위한 철근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교량상부슬래브를 설치하도록 한 다음, 상기 설치된 무지보거푸집을 해체하기 위하여 상기 양측에 설치된 쐐기부재를 먼저 제거하면, 공간부가 생겨 그 다음에 손쉽게 상하부지지부재, 지지부재, 높이조절부재, 코너지지부재 및 수평판넬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량상부슬래브의 시공을 위하여 설치된 거푸집을 지지하는 지보공의 설치가 필요하지 않게, I형콘크리트빔의 하부플랜지 위에 강결고정시키지 않고 조립식으로 무지보거푸집을 설치하여 교량상부슬래브를 설치한 후에, 상기 무지보거푸집의 해체시에도 용이하게 하여, 지형 조건에 관계 없이 교량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지보공 및 거푸집을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과 지보공및 거푸집을 해체하는데 소요되는 인력 및 시간을 단축시켜 이로인한 관련 공사비의 절감을 가져 올 수 있도록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도록 한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인 무지보거푸집을 이용하여 교량상부슬래브를 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로 I형이 되도록 제작한 PC빔인 I형 콘크리트빔(16)에 적용하는 무지보거푸집(20)의 설치를 보여주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무지보거푸집(20)을 이용하여 교량상부슬래브(18)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무지보거푸집(20)을 해체하여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의 해체과정도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무지보거푸집(20)을 설치하는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각 및 교대(17)에 교량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다수개 걸쳐설치되는 PC빔인 I형콘크리트빔(16)의 폭방향으로 인접하여 설치된 다른 I형콘크리트빔(16)과의 하부플랜지(13) 위에 다수개의 하부지지부재(21)를 교량길이방향으로 강결고정시키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걸쳐설치한다.
상기 걸쳐설치된 하부지지부재(21)의 양측단부가 상기 I형콘크리트빔(16)의 복부(14)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부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I형 콘크리트빔(16)의 복부(14) 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하부지지부재(21)의 단부와의 상기 일정한 간격내에 지지부재(23)와 쐐기부재(22)를 강결고정시키지 않고 삽입설치한다.
상기 쐐기부재(22)를 강결고정시키지 않고 설치하는 이유는 추후에 상기 거푸집(20)을 해체할 때 제일 먼저 제거해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쐐기부재(22)의 크기는 외부에서 작은 힘을 가하더라도 쉽게 이탈될 수 있는 토막 또는 쐐기형상과 같은 크기로 하되, 삽입되어 있을 때는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재(23)와 쐐기부재(22)는 I형콘크리트빔(16)의 복부(14)측면과 하부지지부재(21)의 단부에 밀착시켜 설치한다.
이렇게 양측에 설치된 I형콘크리트빔(16)의 하부플랜지(13)상에 걸쳐 설치된 하부지지부재(21)의 단부와 I형콘크리트빔(16)의 복부(14)사이에 지지부재(23)와 쐐기부재(22)를 밀착시켜 설치하면 하부지지부재(21)가 긴밀히 고정되어 이동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부지지부재(21)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상부지지부재(29)를 설치하면서 상기 상하부지지부재(21,29)의 양단부 사이에 높이를 유지시켜줄 각형의 목재 또는 강재의 높이조절부재(28)를 고정시키지 않고 얹어 설치한다.
상기 상하부지지부재(21,29)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부지지부재(21,29)의 양단부의 양측면에서 상하고정부재(30)로 상하지지부재(21,29)와 못등으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상하고정부재(30)로 상하지지부재(21,29)를 양측면에서 못등으로 고정시킨 것은 상하지지부재(21,29) 사이에 높이조절부재(28)를 고정시키지 않고 설치하므로서 높이조절부재(28)가 움직여 높이조절부재의 상하에 설치된 상하부지지부재(21,29)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하고정부재(30)의 고정위치는 다양하게 상하부지지부재(21,29)의 양측면에 설치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한 설치위치는 높이조절부재(28)가 설치된 측면에 설치되어 고정안된 높이조절부재(28)가 옆으로 낙하되는 것을 측면에서 막아주는 역할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고정부재(30)는 판재로서 목재판내 또는 금속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해체제거시에는 상하부부재에 상하로 위치고정만 되도록 한 것이므로, 상기 쐐기부재가 제거된 공간부를 이용하여 하부지지부재의 단부에 힘을 가하여 제거할 때 간단히 상부고정부재가 하부 또는 상부지지부재로 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일부분만 제거된 상태에서 해체를 할 수 있어 손쉽게 분리 및 해체하는데 큰 지장은 안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지지부재(29)의 양단부의 상부에 코너지지부재(26)를 고정시키지 않고 얹어 설치한다.
상기 코너지지부재(26)는 각형의 목재 또는 강재를 사용한다.
상기 코너지지부재(26)의 설치 방법은 빔의 길이방향으로 상부지지부재(29)와 직각으로 일정길이의 부재를 연이어서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연이어서 설치된 코너지지부재(26)위에 합판, 철판과 같은 판넬로 설치되는 수평판넬(27)을 지지하면서, 수평판넬(27)의 설치 높이를 조절해주는 역할도 동시에 하도록 한다.
상기 양측단부에 설치된 코너지지부재(26)의 상부에 합판, 철판과 같은 수평판넬(27)을 설치하면서 수평판넬(27)의 양단부는 양측에 설치된 I형콘크리트빔(16)의 상부플랜지(19)의 측면에 접하게 설치한 무지보거푸집(20)을 [도 1]과 같이 설치한다.
상기 [도 1]과 같이 설치된 수평판넬(27) 위에 슬래브의 설치를 위한 철근(미도시)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교량상부슬래브(18)를 설치한 다음, 상기 설치된 무지보거푸집(20)을 해체하기 위하여 상기 양측에 설치된 쐐기부재(22)를 먼저 제거하면, 지지부재(23)와 하부지지부재(21)의 단부 사이에 설치되 어있던 쐐기부재(22)의 범위 만큼의 공간부가 생겨, 그 다음에 손쉽게 상기 공간부를 이용하여 상하부지지부재, 지지부재, 높이조절부재, 코너지지부재 및 수평판넬을 차례로 철거하여 최종적으로 [도 4]와 같이 교량상부슬래브(18)가 설치된 교량이 완성되게되는 것이다.
상기의 무지보 거푸집(20)의 철거 순서에는 일정한 순서가 없다. 단, 무지보 거푸집(20)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일먼저 하여야 하는 쐐기부재(22)를 제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일정한 순서가 없다.
상기와 같이 쐐기부재(22)를 제일 먼저 제거하여야 하는 이유는 쐐기부재를 제거하면 쐐기부재가 있던 부분의 공간부가 확보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확보된 공간부내에 지렛대를 넣어 하부지지부재(21)를 옆으로 밀어 철거하면서, 지지부재, 상부지지부재 및 수평판넬을 철거하도록 하여 결국 무지보거푸집(20) 전체를 해체하게되는 단초를 제공하기 위함인 것이다.
또한, 상기 상하부지지부재(21,29)는 인접하여 설치된 하부플랜지(13) 위에 걸쳐져 있으면서 수평판넬(27) 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중량을 지지하여야 하므로 일정 규격이상의 각형의 목재 또는 강재를 사용하여 설치된 후에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형상이어야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3)는 I형콘크리트 빔(16)의 길이방향의 복부(14)에 접하여 설치되어 쐐기부재(22)를 측면에서 지지하면서, 하부지지부재(21)와 쐐기부 재(22)와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게되므로 각형의 목재 또는 강재를 사용하게된다.
상기 높이조절부재(28)는 상하부지지부재(21,29)와의 사이에 설치되면서, 수평판넬(27)이 소정의 높이까지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높이를 유지시켜주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각형부재의 상하부지지부재(21,29)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각형의 토막을 사용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2]에서보는바와 같이, I형강재(10)의 하부판(12)에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하부플랜지(13)만 설치된 프리플렉스빔인 I형콘크리트빔(16)에 무지보거푸집(20)을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교량상부슬래브(18)를 설치한 다음, 상기 거푸집(20)을 해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3]의 각각의 설치단계에 의하여 설명하면,
교각 및 교대에 교량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다수개 걸쳐설치되는 프리플렉스빔인 I형콘크리트빔(16)의 폭방향으로 인접하여 설치된 다른 I형콘크리트빔(16)과의 하부플랜지(13) 위에 다수개의 하부지지부재(21)를 강결고정시키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교량길이방향으로 걸쳐설치한다.
상기 하부지지부재(21)의 양측단부가 상기 인접하여 설치된 I형콘크리트빔(16)과의 복부(14)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부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I형 콘크리트빔(16)의 복부(14) 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하부지지부재(21)의 단부와의 사이에 지지부재(23)와 쐐기부재(22)를 강결고정시키지 않고 설치하되, I형강재(10)의 복부(14)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지부재(23)를 설치하도록 하여 추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로 I형강재(10)의 복부(14)를 피복하면서 복부(14)를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 하부지지부재(21)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상기 하부지지부재(21)의 길이보다 작은 상부지지부재(29)를 설치하면서 상기 상하로 설치된 상하부지지부재(21,29)의 양단부 사이에 높이를 유지시켜줄 높이조절부재(28)를 고정시키지 않고 설치한다.
상기 설치된 상부지지부재(29)는 하부지지부재(21)의 길이보다 작게하여 추후에 상하부지지부재(21,29)의 단부에 경사판넬(25)이 비스듬하게 접하여 설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하부지지부재(21,29)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부지지부재(21,29)의 양단부의 양측면에서 상하고정부재(30)로 상하에서 못등으로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하고정부재(30)로 상하부지지부재(21,29)를 양측면에서 못등으로 고정시킨 것은 상하부지지부재(21,29) 사이에 높이조절부재(28)를 강결고정시키지 않고 설치하므로서 높이조절부재(28)가 움직여 높이조절부재의 상하에 설치된 상하부지지부재(21,29)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하고정부재(30)의 고정위치는 다양하게 상하부지지부재(21,29)의 양 측면에 설치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한 설치위치는 높이조절부재(28)가 설치된 측면에 설치되어 고정안된 높이조절부재(28)가 옆으로 낙하되는 것을 측면에서 막아주는 역할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고정부재(30)는 판재로서 목재판내 또는 금속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해체제거시에는 상하부부재에 상하로 위치고정만 되도록 한 것이므로, 상기 쐐기부재가 제거된 공간부를 이용하여 하부지지부재의 단부에 힘을 가하여 제거할 때 간단히 상부고정부재가 하부 또는 상부지지부재로 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일부분만 제거된 상태에서 해체를 할 수 있어 손쉽게 분리 및 해체하는데 큰 지장은 안되는 것이다.
상기 I형강재(10)의 복부(14)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지지부재(23)내에 I형콘크리트빔(16)의 복부설치를 위한 복부판넬(24)을 설치하고, 상기 복부판넬(24)의 상부와 접하게 경사판넬(25)을 설치하되, 경사판넬(25)이 길이에 있어서 차이가 있도록 설치된 상하부지지부재(21,29)의 단부에 비스듬히 접하게 설치하면서 경사판넬(25)의 상부는 상부지지부재(29)의 양측단에 설치된 코너지지부재(26)의 측면에 접하게 설치한다.
상기 코너지지부재(26)에 걸쳐지게 설치된 경사판넬(25)의 상단부와 접하게 수평판넬(27)을 수평으로 설치한 무지보거푸집(20)을 [도 2]와 같이 설치한다.
상기 수평판넬(27)의 상부에 슬래브설치를 위한 철근(미도시)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교량상부슬래브(18)를 설치하도록 한 다음, 상기 설치된 무지보거푸집(20)을 해체하기 위하여 상기 양측에 설치된 쐐기부재(22)를 먼저 제 거하면, 지지부재(23)와 하부지지부재(21)의 단부 사이에 설치되어있던 쐐기부재(22)의 범위 만큼의 공간부가 생겨, 그 다음에 손쉽게 상기 공간부를 이용하여 상하부지지부재, 지지부재, 높이조절부재, 코너지지부재, 복부판넬, 경사판넬 및 수평판넬을 차례로 철거하여 최종적으로 [도 3 e]와 같이 교량상부슬래브(18)가 설치된 교량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의 무지보 거푸집(20)의 철거 순서에는 일정한 순서가 없다. 단, 무지보 거푸집(20)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일먼저 하여야 하는 쐐기부재(22)를 제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일정한 순서가 없다.
상기와 같이 쐐기부재(22)를 제일 먼저 제거하여야 하는 이유는 쐐기부재(22)를 제거하면 쐐기부재가 있던 부분의 공간부가 확보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확보된 공간부내에 지렛대를 넣어 하부지지부재(21)를 옆으로 밀어 철거하면서, 지지부재, 상부지지부재 및 수평판넬을 철거하도록 하여 결국 무지보거푸집 전체를 해체하게되는 단초를 제공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 쐐기부재(22)는 지지부재(23)와 하부지지부재(21) 단부 사이에 끼워져 빠지지 않고 외부에서 작은 힘으로도 쉽게 빠져 나올 수 있는 길이가 작은 각형의 토막 또는 쐐기형상의 부재이다.
또한, 상기 상하부지지부재(21,29)는 인접하여 설치된 하부플랜지(13) 위에 걸쳐져 있으면서 수평판넬(27) 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중량을 지지하여야 하므로 일정 규격이상의 각형의 목재 또는 강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3)는 I형콘크리트 빔(16)인 I형강재(10)의 복부(14)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빔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쐐기부재(22)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것으로서 각형의 목재 또는 강재를 사용하게된다.
한편, 코너지지부재(26)는 상부지지부재(29)를 직각으로 가로질러 연이어서 설치되는 것이다.
이렇게 설치된 코너지지부재(26)는 상부지지부재(29)와 수평판넬(27)사이에서 수평판넬(27)의 설치 높이를 조절해주는 기능을 갖으면서, 동시에 상부에 설치된 수평판넬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중량에 의하여 수평판넬이 쳐지는 것을 방지하게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각형의 목재 또는 강재를 사용한다.
상기 높이조절부재(28)는 상하부지지부재(21,29)와의 사이에 설치되면서, 수평판넬(27)이 소정의 높이까지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높이를 유지시켜주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각형부재의 상하부지지부재(21,29)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각형의 토막 또는 각형의 강재토막을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프리플렉스빔은 I형강재(10)의 하부판(12)에만 콘크리트가 타설된 것을 이용하므로, 교량상부슬래브(18)의 설치를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복부(14)에도 동시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복부판넬(24)을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복부판넬(24)의 상단부에 경사지게 경사판넬(25)을 설치하고, 그 상부 에 수평판넬(27)을 설치하는데, 수평판넬(27)은 교량상부슬래브(18)의 하부이며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판넬(25)은 교량상부슬래브(18)의 헌치부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복부(14)와 슬래브(18)의 연결해주는 헌치부를 설치하기 위하여 경사판넬(25)을 설치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PC빔인 I형콘크리트빔을 이용하여 무지보거푸집을 설치한 것을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프리플렉스빔인 I형콘크리트빔을 이용하여 무지보거푸집을 설치한 것을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a)(b)(c)(d)(e)는 도 2의 무지보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의 무지보거푸집의 설치를 거쳐 교량상부슬래브를 설치한 것을 최종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I형강재 11 ; 상부판
12 ; 하부판 13 ; 하부플랜지
14 ; 복부 15 ; 철근
16 ; I형콘크리트빔 17 ; 교대 및 교각
18 ; 교량상부슬래브 19 ; 헌치부
20 ; 무지보거푸집 21 ; 하부지지부재
22 ; 쐐기부재 23 ; 지지부재
24 ; 복부판넬 25 ; 경사판넬
26 ; 코너지지부재 27 ; 수평판넬
28 ; 높이조절부재 29 ; 상부지지부재
30 ; 상하고정부재

Claims (7)

  1. 교량상부슬래브를 설치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함에 있어서,
    교대 및 교각에 폭방향으로 인접하여 설치된 PC빔인 I형콘크리트빔(16)의 하부플랜지(13) 상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걸쳐지게 설치된 하부지지부재(21)와, 상기 하부지지부재(21)의 양측단부와 상기 I형콘크리트빔(16)의 복부(14)의 측면과의 사이에 설치된 지지부재(23)와 쐐기부재(22)와, 상기 하부지지부재(21)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지지부재(29)와의 사이에 설치된 높이조절부재(28)와, 상기 상하부지지부재(21,29)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부지지부재(21,29)의 양단부의 양측면에서 상하로 고정된 상하고정부재(30)와, 상기 상부지지부재(29)의 양단부의 상부에 설치된 코너지지부재(26)와, 상기 양측단부에 설치된 코너지지부재(26)의 상부에 수평판넬(27)을 설치하면서, 수평판넬(27)의 양단부는 양측에 설치된 I형콘크리트빔(16)의 상부플랜지(19)의 측면에 접하게 설치한 무지보거푸집(20)인 것에 특징이 있는 I형 콘크리트 빔의 하부플랜지에 조립식으로 설치된 무지보거푸집.
  2. 교량상부슬래브를 설치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함에 있어서,
    교대 및 교각에 폭방향으로 인접하여 설치된 프리플렉스빔인 I형콘크리트빔(16)의 하부플랜지(13) 상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걸쳐지게 설치된 하부지지부재(21)와, 상기 I형콘크리트빔(16)의 복부(14)의 측면과의 사이에 설치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지지부재(23)와 쐐기부재(22)와, 상기 쐐기부재(22)에 밀착되게 설치된 하부지지부재(21)의 단부와, 상기 지지부재(23) 내부에 설치된 복부판넬(24)과, 상기 하부지지부재(21)의 상부에 하부지지부재(21)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설치된 상부지지부재(29)와의 사이에 설치된 높이조절부재(28)와, 상기 상하부지지부재(21,29)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부지지부재(21,29)의 양단부의 양측면에서 상하로 고정된 상하고정부재(30)와, 상기 복부판넬(24) 상부에 비스듬하게 설치하면서 상기 상하부지지부재(21,29)의 단부에 걸쳐지게 설치된 경사판넬(25)과, 상기 상부지지부재(29)의 양단부의 상부에 설치된 코너지지부재(26)와, 상기 경사판넬(25)의 상단부가 코너지지부재(26)에 접하게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양측단부에 설치된 코너지지부재(26)의 상부에 수평판넬(27)을 설치하면서, 수평판넬(27)의 양단부는 상기 경사판넬(25)의 상부와 접하게 설치된 무지보거푸집(20)인 것에 특징이 있는 I형 콘크리트 빔의 하부플랜지에 조립식으로 설치된 무지보거푸집.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재(22)는 외부에서 작은 힘을 가하더라도 쉽게 이탈될 수 있는 각형의 토막 또는 쐐기형상과 같은 크기로 하되, 삽입되어 있을 때는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I형 콘크리트 빔의 하부플랜지에 조립식으로 설치된 무지보거푸집.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고정부재(30)는 판재로서 목재 또는 금속이며, 고정위치는 높이조절부재(28)가 설치된 측면에 설치되어 고정안된 높이조절부재(28)가 옆으로 낙하되는 것을 측면에서 막아주는 역할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I형 콘크리트 빔의 하부플랜지에 조립식으로 설치된 무지보거푸집.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넬(25)은 교량상부슬래브(18)의 헌치부를 설치하기 위한 것에 특징이 있는 I형 콘크리트 빔의 하부플랜지에 조립식으로 설치된 무지보거푸집.
  6. 교량상부슬래브(18)를 설치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하여 교량상부슬래브를 설치한 다음, 거푸집을 해체하는 방법에 있어서,
    교각 및 교대(17)에 교량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다수개 걸쳐설치되는 PC빔인 I형콘크리트빔(16)의 폭방향으로 인접하여 설치된 다른 I형콘크리트빔(16)과의 하부플랜지(13) 위에 다수개의 하부지지부재(21)를 교량길이방향으로 강결고정시키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걸쳐설치하는 단계;
    상기 I형 콘크리트빔(16)의 복부(14) 측면과 상기 설치된 하부지지부재(21)의 단부와의 상기 일정한 간격내에 지지부재(23)와 쐐기부재(22)를 강결고정시키지 않고 삽입설치하는 단계;
    상기 하부지지부재(21)의 상부에 높이를 유지시켜줄 각형의 목재 또는 강재의 높이조절부재(28)를 강결고정시키지 않고 얹어 설치하는 단계;
    상기 높이조절부재(28)의 상부에 상부지지부재(29)를 설치하고, 상기 상하부지지부재(21,29)의 양단부의 양측면에서 상하고정부재(30)로 상하부지지부재(21,29)와 고정하는 단계;
    상기 상부지지부재(29)의 양단부의 상부에 코너지지부재(26)를 강결고정시키지 않고 얹어 설치하는 단계;
    상기 코너지지부재(26)위에 수평판넬(27)을 설치하고, 그 위에 슬래브의 설치를 위한 철근(미도시)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교량상부슬래브(18)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교량상부슬래브(18)를 시공한 후에 상기 양측에 설치된 쐐기부재(22)를 먼저 제거하여 공간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공간부를 이용하여 하부지지부재, 지지부재(23), 상부지지부재, 높이조절부재, 코너지지부재 및 수평판넬을 해체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I형 콘크리트 빔의 하부플랜지에 조립식으로 설치된 무지보거푸집을 이용한 교량상부슬래브 시공과 무지보거푸집해체방법.
  7. 교량상부슬래브(18)를 설치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하여 교량상부슬래브를 설치한 다음, 거푸집을 해체하는 방법에 있어서,
    교각 및 교대에 교량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다수개 걸쳐설치되는 프리플렉스빔인 I형콘크리트빔(16)의 폭방향으로 인접하여 설치된 I형콘크리트빔(16)의 하부플랜지(13) 위에 다수개의 하부지지부재(21)를 교량길이방향으로 강결고정시키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걸쳐설치하는 단계;
    상기 I형 콘크리트빔(16)의 복부(14) 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하부지지부재(21)의 단부와의 사이에 지지부재(23)와 쐐기부재(22)를 강결고정시키지 않고 설치하되, I형강재(10)의 복부(14)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지부재(23)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하부지지부재(21)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상기 하부지지부재(21)의 길이보다 작은 상부지지부재(29)를 설치하면서 상기 상하로 설치된 상하부지지부재(21,29)의 양단부 사이에 높이를 유지시켜줄 높이조절부재(28)를 강결고정시키지 않고 설치하는 단계;
    상기 상하부지지부재(21,29)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부지지부재(21,29)의 양단부의 양측면에서 상하고정부재(30)로 상하에서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I형강재(10)의 복부(14)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지지부재(23)내에 I형콘크리트빔(16)의 복부설치를 위한 복부판넬(24)을 설치하고, 상기 복부판넬(24)의 상부와 접하게 경사판넬(25)을 설치하되, 경사판넬(25)이 상하부지지부재(21,29)의 단부에 접하게 비스듬히 경사지게 설치하면서 경사판넬(25)의 상부는 상부지지부재(29)의 양측단에 설치된 코너지지부재(26)의 측면에 접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코너지지부재(26)에 걸쳐지게 설치된 경사판넬(25)의 상단부와 접하게 수평판넬(27)을 수평으로 설치하고, 슬래브의 설치를 위한 철근(미도시)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교량상부슬래브(18)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교량상부슬래브(18)를 시공한 후에 상기 양측에 설치된 쐐기부재(22)를 먼저 제거하여 공간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공간부를 이용하여 하부지지부재, 지지부재(23), 상부지지부재, 높이조절부재, 코너지지부재, 복부판넬, 경사판넬 및 수평판넬을 해체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I형 콘크리트 빔의 하부플랜지에 조립식으로 설치된 무지보거푸집을 이용한 교량상부슬래브 시공과 무지보거푸집해체방법.
KR1020070080106A 2007-08-09 2007-08-09 I형 콘크리트 빔의 하부플랜지에 조립식으로 설치된무지보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량상부슬래브 시공과무지보거푸집해체방법 KR100928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106A KR100928166B1 (ko) 2007-08-09 2007-08-09 I형 콘크리트 빔의 하부플랜지에 조립식으로 설치된무지보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량상부슬래브 시공과무지보거푸집해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106A KR100928166B1 (ko) 2007-08-09 2007-08-09 I형 콘크리트 빔의 하부플랜지에 조립식으로 설치된무지보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량상부슬래브 시공과무지보거푸집해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624A KR20090015624A (ko) 2009-02-12
KR100928166B1 true KR100928166B1 (ko) 2009-11-25

Family

ID=40685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106A KR100928166B1 (ko) 2007-08-09 2007-08-09 I형 콘크리트 빔의 하부플랜지에 조립식으로 설치된무지보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량상부슬래브 시공과무지보거푸집해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1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18479B (zh) * 2009-10-10 2012-08-29 中交二公局第二工程有限公司 移动模架空中退行解体拆除施工工艺
KR102044149B1 (ko) * 2019-06-13 2019-11-13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수평탈형재를 이용한 강재거푸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611Y1 (ko) 2000-07-06 2001-05-15 한국스틸폼주식회사 피씨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20020033125A (ko) * 2002-03-06 2002-05-04 전병철 철골콘크리트 구조물의 상판 거푸집 지지구조
KR200275827Y1 (ko) 2002-02-07 2002-05-16 동양종합건업 주식회사 피시빔용 거푸집 설치구
KR20050082473A (ko) * 2004-02-19 2005-08-24 김병화 피씨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611Y1 (ko) 2000-07-06 2001-05-15 한국스틸폼주식회사 피씨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200275827Y1 (ko) 2002-02-07 2002-05-16 동양종합건업 주식회사 피시빔용 거푸집 설치구
KR20020033125A (ko) * 2002-03-06 2002-05-04 전병철 철골콘크리트 구조물의 상판 거푸집 지지구조
KR20050082473A (ko) * 2004-02-19 2005-08-24 김병화 피씨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624A (ko) 200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5418B2 (ja) 箱桁橋の構築方法
KR101178876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라멘교 시공방법
JP5184836B2 (ja) 合成鋼床版桁橋の施工方法
KR100728106B1 (ko)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JP2011157720A (ja) 鉄道rcラーメン構造高架橋の構築方法
KR20090072224A (ko) 강합성 거더 제작방법
KR100923564B1 (ko) 스틸 플레이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그 시공방법 및 구조
KR200443605Y1 (ko) 교량상판 타설용 거푸집 지지장치
KR100928166B1 (ko) I형 콘크리트 빔의 하부플랜지에 조립식으로 설치된무지보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량상부슬래브 시공과무지보거푸집해체방법
KR100631029B1 (ko) 피씨플레이트 조립체 및 그 피씨플레이트 조립체를 이용한피씨플레이트 설치방법
KR20080093261A (ko) 초간편시공이 가능한 강합성 교량 시공방법
KR100634344B1 (ko) 합성바닥판 및 그 연결구조
KR100565384B1 (ko) 빔 연결부재와 강재가로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피에스씨빔의 연속화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014195B1 (ko) 프리스트레스트 웨브 골형강판 합성보
KR100811748B1 (ko) 콘크리트 슬래브 거푸집용 삼중폐단면강 및 이를 통한거푸집의 설치구조
KR100989153B1 (ko) 바닥판 주철근 대체가 용이하도록 횡방향 강성연결재를 구비한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 연결구조 및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631030B1 (ko) 피씨플레이트 및 그 피씨플레이트를 이용한 교량의 슬래브시공방법
KR20080004752U (ko) 초간편시공이 가능한 강합성 교량
KR101121725B1 (ko) 슬래브용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피에스씨 거더와 슬래브의 시공방법 및 슬래브용 프리캐스트 데크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0650444B1 (ko) 교량의 캔틸레버부 시공방법
KR20080093263A (ko) 강합성 형강 교량의 연속화 시공방법
KR200407184Y1 (ko) 피씨플레이트
JP3839648B2 (ja) 合成床版および鋼橋
KR102120266B1 (ko) 강판으로 보강된 복부를 갖는 콘크리트 분할타설 타입의 psc i형 거더의 제작 방법
KR100631031B1 (ko) 피씨플레이트 및 그 피씨플레이트를 이용한 교량의 슬래브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