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595B1 -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9595B1 KR101939595B1 KR1020140082053A KR20140082053A KR101939595B1 KR 101939595 B1 KR101939595 B1 KR 101939595B1 KR 1020140082053 A KR1020140082053 A KR 1020140082053A KR 20140082053 A KR20140082053 A KR 20140082053A KR 101939595 B1 KR101939595 B1 KR 1019395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skin
- automobile interior
- materials
- res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일면에 홈부 및 돌출부를 포함하는 요철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홈부의 깊이, 상기 돌출부의 높이 또는 이들 모두가 0.01mm 내지 1.5mm인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및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내장재의 표면층을 형성하는 표피재 등은 탑승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고, 지속적으로 신체적 접촉이 있는 부분이므로 안전성, 디자인, 편의성 측면에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표피재는 자동차 내장재의 미감이나 질감 표현 등을 위하여 전주 금형 등을 사용하여 표면에 엠보 무늬를 형성하고 있으나, 엠보 무늬의 깊이가 매우 얕아 충분한 입체감을 부여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단조로운 디자인으로 제조되고 있어, 다양한 디자인을 원하는 수요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전주 금형 등으로 엠보 무늬를 부여하는 경우 금형 내에 원재료를 안착하고 압축한 후 탈형하는 등의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시간 및 비용이 소모되어 생산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우수한 디자인성 및 우수한 경제성을 구현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일면에 홈부 및 돌출부를 포함하는 요철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홈부의 깊이, 상기 돌출부의 높이 또는 이들 모두가 약 0.01mm 내지 약 1.5mm인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를 제공한다.
상기 요철 패턴에 포함된 홈부의 깊이, 돌출부의 높이 또는 이들 모두를 조절하여 상기 요철 패턴에 의해 상기 일면에 구현되는 표면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요철 패턴은 깊이가 약 0.5mm 내지 약 1.5mm인 홈부, 높이가 약 0.5mm 내지 약 1.5mm인 돌출부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부의 최대 폭, 상기 돌출부의 최대 폭 또는 이들 모두가 약 1.5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가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스킨층/안정층/쿠션층 또는 표면처리층/스킨층/안정층/쿠션층의 다층 구조를 포함하는 적층체이고, 상기 적층체의 상부 표면에 상기 요철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킨층; 또는 상기 표면처리층의 양면이 서로 순응하도록 형성된 요철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킨층의 두께를 기준으로 상기 쿠션층의 상대 두께비가 약 1:14.3 내지 약 1:49일 수 있다.
상기 스킨층은 두께가 약 0.05mm 내지 약 0.15mm인 열가소성 수지층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이 폴리염화비닐 수지(PVC),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수지(TPO) ,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TPU)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P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정층은 평균 두께가 약 1.4mm 내지 약 1.6mm인 유기 섬유 또는 무기 섬유 재질의 직포나 부직포층일 수 있다.
상기 쿠션층은 쿠션재의 단층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쿠션재 및 상기 쿠션재의 하부에 형성된 면재를 포함한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쿠션재는 솜, 인조 솜, 스펀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재는 유기 섬유 또는 무기 섬유 재질의 직포, 종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층의 전체 두께가 약 2.15mm 내지 약 2.45mm일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층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불소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는 핸들, 대쉬패널, 도어트림 또는 시트의 용도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쿠션층, 안정층 및 스킨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적층체를 준비하는 단계; 한 쌍의 엠보롤에 열을 가하여 가온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온된 한 쌍의 엠보롤 사이로 상기 적층체를 통과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한 쌍의 엠보롤을 약 165℃ 내지 약 180℃로 가온시킬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엠보롤에서, 각각의 엠보롤의 마주보는 면이 맞물리도록 상기 각각의 엠보롤의 요철 패턴이 서로 순응하게 양각 및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엠보롤의 요철 패턴은 깊이가 약 0.5mm 내지 약 1.5mm인 음각부, 높이가 0.5mm 내지 1.5mm인 양각부,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는 우수한 디자인성 및 우수한 경제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의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공정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예시로서 상기 제조방법에서 사용된 한 쌍의 엠보롤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의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공정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예시로서 상기 제조방법에서 사용된 한 쌍의 엠보롤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형성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형성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일면에 홈부 및 돌출부를 포함하는 요철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홈부의 깊이, 상기 돌출부의 높이 또는 이들 모두가 약 0.01mm 내지 약 1.5mm인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의 입체 무늬는 표피재에 전사시키기 위한 엠보 무늬가 내부에 형성된 전주 금형 등에 표피재를 안착시키고 이를 압축한 후 탈형하는 공정 등을 통해 부여되었고, 그에 따라 홈부의 깊이나 돌출부의 높이를 0.5mm 이상으로 형성할 수 없어, 깊은 입체감을 표현하지 못하고 단조로운 무늬만 부여할 수 있어, 미끄러짐이 쉽게 발생하고 디자인 표현에 한계가 존재했다. 게다가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시간 및 비용이 소모됨에 따라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는 후술되는 제조방법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가온된 한 쌍의 엠보롤을 사용함으로써 홈부의 깊이 또는 돌출부의 높이를 약 1.5mm의 깊거나 높은 수준으로 형성할 수 있어, 충분한 입체감을 부여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디자인의 자유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우수한 디자인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제조공정이 단순화되어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됨에 따라 우수한 경제성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100)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100)는 일면에 홈부(111) 및 돌출부(112)를 포함하는 요철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홈부(111)의 깊이(H1), 상기 돌출부(112)의 높이(H2) 또는 이들 모두가 0.01mm 내지 1.5mm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깊이(H1)를 갖는 홈부(111) 또는 상기 범위 내의 높이(H2)를 갖는 돌출부(112)를 포함함으로써 충분한 입체감을 부여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디자인의 자유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우수한 디자인성을 구현할 수 있다.
후술하는 제조방법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100)는 쿠션층, 안정층 및 스킨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준비한 적층체를 가온된 한 쌍의 엠보롤 사이로 통과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홈부(111) 또는 상기 돌출부(112)는 상기 한 쌍의 엠보롤 사이로 통과하기 전의 적층체의 일면을 기준으로 상기 적층체가 상기 한 쌍의 엠보롤 사이로 통과한 후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 또는 볼록하게 돌출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부(111)의 깊이(H1)는 상기 한 쌍의 엠보롤 사이로 통과하기 전의 적층체의 상기 일면에서부터 가장 오목하게 들어간 지점까지의 거리일 수 있고, 상기 돌출부(112)의 높이(H2)는 상기 일면에서부터 가장 볼록하게 돌출된 지점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상기 요철 패턴에 포함된 홈부(111)의 깊이, 돌출부(112)의 높이 또는 이들 모두를 조절하여 상기 요철 패턴에 의해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100)의 상기 일면에 구현된 표면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입체감을 연출하여 상기 일면에 구현하고자 하는 장식 효과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요철 패턴은 깊이가 약 0.5mm 내지 약 1.5mm인 홈부, 높이가 약 0.5mm 내지 약 1.5mm인 돌출부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더욱 다양한 표면 입체감을 구현하여 디자인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요철 형상은 예를 들어 사각 패턴, 삼각 패턴, 곡선 패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원하는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해 적절히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홈부(111)의 최대 폭(L1), 상기 돌출부(112)의 최대 폭(L2) 또는 이들 모두가 예를 들어, 약 1.5mm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1.5mm 내지 약 20mm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폭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요철 패턴에 충분한 내구성을 부여하여 쉽게 구부러지거나 부서지지 않으면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홈부(111)의 최대 폭(L1), 상기 돌출부(112)의 최대 폭(L2) 또는 이들 모두를 각각 상기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상기 요철 패턴에 의해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100)의 상기 일면에 구현된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입체감을 연출하여 상기 일면에 구현하고자 하는 장식 효과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100)가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스킨층(120)/안정층(130)/쿠션층(140) 또는 표면처리층(110)/스킨층(120)/안정층(130)/쿠션층(140)의 다층 구조를 포함하는 적층체이고, 상기 적층체의 상부 표면에 상기 요철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요철 패턴은 상기 적층체의 상부 표면으로서 상기 스킨층(120)의 상부면 또는 상기 표면처리층(11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수요자가 직접 육안으로 관찰하거나 신체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100)의 일면에 상기 요철 패턴이 부여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다양한 디자인의 연출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스킨층(120); 또는 상기 표면처리층(110)의 양면이 서로 순응하도록 형성된 요철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킨층(120) 또는 상기 표면처리층(110)의 일면에서 홈부(111)가 형성된 부분에 상응하는 반대면 부분에는 돌출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스킨층(120) 또는 상기 표면처리층(110)의 일면에서 돌출부(112)가 형성된 부분에 상응하는 반대면 부분에는 홈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각 층의 양면이 서로 순응하도록 형성된 요철 패턴을 가짐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균등하게 분산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스킨층(120)의 두께(d)를 기준으로 상기 쿠션층(140)의 상대 두께비는 약 1:14.3 내지 약 1:49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두께비를 가짐으로써 상기 스킨층(120)의 내구성 및 상기 쿠션층(140)의 완충성을 적절히 조절하여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100)의 요철 패턴을 장기간 일정하게 구현하면서 사용자에게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킨층(120)은 예를 들어, 시트 또는 필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스킨층(120)의 두께(d)는 양면이 서로 순응하도록 형성된 요철 패턴을 갖는 시트 또는 필름 자체의 두께로서 상기 시트 또는 필름의 양면 사이를 잇는 직선의 길이 중에서 최단 길이를 의미하는 것이고, 거시적인 층으로서의 두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스킨층(120)은 열가소성 수지층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시트 또는 필름 형상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은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수지(PVC),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수지(TPO),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TPU)또는 폴리우레탄 수지(PU)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하고 스크래치 등의 발생을 방지하여 우수한 친환경성 및 우수한 내구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스킨층(120)은 구체적으로, 두께(d)가 약 0.05mm 내지 약 0.15mm인 열가소성 수지층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100)의 총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충분한 입체감을 안정적으로 부여하여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100)의 형상을 장기간 일정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안정층(130)은 완충성이 있는 유기 섬유 또는 무기 섬유 재질의 직포나 부직포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스킨층(120)의 상기 요철 패턴이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안정층(130)은 구체적으로, 평균 두께가 약 1.4mm 내지 약 1.6mm인 유기 섬유 또는 무기 섬유 재질의 직포나 부직포층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100)의 총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스킨층(120)에 충분한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쿠션층(140)은 쿠션재의 단층(141)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쿠션재 및 상기 쿠션재의 하부에 형성된 면재(142)를 포함한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쿠션층(140)은 쿠션재의 단층(141)을 포함하여 운전시 소음을 줄여 심리적 안정감을 부여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쿠션재의 하부에 면재(142)를 더 포함하여 상기 쿠션재의 단층(141)에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쿠션재는 예를 들어, 솜, 인조 솜, 스펀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재(142)는 예를 들어, 유기 섬유 또는 무기 섬유 재질의 직포, 종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층(140)의 전체 두께가 약 2.15mm 내지 약 2.45mm일 수 있다. 상기 번위 내의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100)의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소음 및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쿠션재의 단층(141)의 두께가 예를 들어, 약 2.1mm 내지 약 2.3mm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쿠션층(140)의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충분한 완충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면재(142)의 두께가 예를 들어, 약 0.05mm 내지 약 0.15mm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쿠션층(140)의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쿠션재의 단층(141)에 안정성을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층(110)은 상기 스킨층(120)의 상부에 코팅되어 예를 들어, 내오염 방지, 대전 방지, 발수 특성 등을 부여하는 층일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층(110)은 예를 들어,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상기 스킨층(120)의 상부에 도포한 후 열경화 또는 광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고, 또는 별개의 필름으로 준비된 후 상기 스킨층(120)의 상부에 적층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불소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조성물은 예를 들어, 난연제, 발수제, 대전방지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열개시제, 광개시제, 또는 이들 모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100)는 예를 들어, 핸들, 대쉬패널, 도어트림(door trim) 또는 시트의 표피를 형성하는 용도로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의 제조방법의 공정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제조방법은 쿠션층, 안정층 및 스킨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적층체를 준비하는 단계(S1); 한 쌍의 엠보롤에 열을 가하여 가온시키는 단계(S2); 및 상기 가온된 한 쌍의 엠보롤 사이로 상기 적층체를 통과시키는 단계(S3);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가온된 한 쌍의 엠보롤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의 일면에 요철 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요철패턴이 깊이가 약 0.01mm 내지 약 1.5mm인 홈부, 높이가 약 0.01mm 내지 약 1.5mm인 돌출부,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의 일면에 충분한 입체감을 부여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디자인의 자유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우수한 디자인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조공정이 단순화되어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됨에 따라 우수한 경제성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쿠션층, 안정층 및 스킨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적층체를 준비할 수 있다.
상기 쿠션층, 상기 안정층 및 상기 스킨층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시트 또는 필름 형상으로 준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스킨층은 열가소성 수지층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시트 또는 필름 형상의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은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수지(PVC),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수지(TPO),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TPU)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PU)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하고 스크래치 등의 발생을 방지하여 우수한 친환경성 및 우수한 내구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스킨층은 두께가 약 0.05mm 내지 약 0.15mm인 열가소성 수지층으로서일 수 준비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의 총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충분한 입체감을 안정적으로 부여하여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의 형상을 장기간 일정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안정층은 완충성이 있는 유기 섬유 또는 무기 섬유 재질의 직포나 부직포로 준비되어 외부로부터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스킨층의 상기 요철 패턴이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안정층은 구체적으로, 평균 두께가 약 1.4mm 내지 약 1.6mm인 유기 섬유 또는 무기 섬유 재질의 직포나 부직포층으로서 준비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의 총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스킨층에 충분한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쿠션층은 쿠션재의 단층으로 준비되거나, 또는 쿠션재 및 상기 쿠션재의 하부에 형성된 면재를 포함한 다층으로 준비될 수 있다.
상기 쿠션층은 쿠션재의 단층을 포함하여 운전시 소음을 줄여 심리적 안정감을 부여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쿠션재의 하부에 면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쿠션재의 단층에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쿠션재는 예를 들어, 솜, 인조 솜, 스펀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재는 예를 들어, 유기 섬유 또는 무기 섬유 재질의 직포, 종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층의 전체 두께를 약 2.15mm 내지 약 2.45mm로 준비할 수 있다. 상기 번위 내의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의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소음 및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쿠션재의 단층의 두께를 예를 들어, 약 2.1mm 내지 약 2.3mm로 준비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쿠션층의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충분한 완충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면재의 두께를 예를 들어, 약 0.05mm 내지 약 0.15mm로 준비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쿠션층의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쿠션재의 단층에 안정성을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상기 한 쌍의 엠보롤을 가온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65℃ 내지 약 180℃로 가온시킬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온도로 가온시킴으로써 상기 가온된 한 쌍의 엠보롤을 통과하여 열압축되는 상기 적층체에 충분한 깊이의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적층체가 상기 엠보롤에 들러붙지 않아 우수한 가공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에서 일 예시로서 상기 제조방법에서 사용된 한 쌍의 엠보롤(200)의 개략적인 모식도를 나타낸다.
상기 한 쌍의 엠보롤(200)에서, 각각의 엠보롤의 마주보는 면이 맞물리도록 상기 각각의 엠보롤의 요철 패턴이 서로 순응하게 양각 및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에 포함된 스킨층의 양면에 상기 한 쌍의 엠보롤(200)에 의해 형성된 요철 패턴이 서로 순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균등하게 분산시킴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엠보롤의 요철 패턴은 음각부(211) 및 양각부(212)를 포함하고, 상기 음각(211)부의 깊이(H1'), 상기 양각부(212)의 높이(H2') 또는 이들 모두가 약 0.01mm 내지 약 1.5mm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깊이(H1')를 갖는 음각부(211) 또는 상기 범위 내의 높이(H2')를 갖는 양각부(212),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의 일면에 형성된 요철 패턴에 포함된 홈부의 깊이, 돌출부의 높이 또는 이들 모두는 일 구현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약 0.01mm 내지 약 1.5mm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엠보롤(200)을 사용하여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의 일면에 형성한 요철 패턴은 상기 일면에 충분한 입체감을 부여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디자인의 자유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우수한 디자인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엠보롤의 요철 패턴에 포함된 상기 음각(211)부의 깊이(H1'), 상기 양각부(212)의 높이(H2') 또는 이들 모두를 조절하여 상기 엠보롤에 의해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요철 패턴을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일면에 구현되는 표면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엠보롤의 요철 패턴은 깊이가 약 0.5mm 내지 약 1.5mm인 음각부, 높이가 약 0.5mm 내지 약 1.5mm인 양각부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더욱 다양한 표면 입체감을 구현하여 디자인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요철 형상은 예를 들어 사각 패턴, 삼각 패턴, 곡선 패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원하는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해 적절히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각각의 엠보롤에서, 상기 양각의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양각부의 폭이 상기 음각의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음각부의 폭이 약간 작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각각의 엠보롤의 마주보는 면이 용이하게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각각의 엠보롤에서, 상기 음각부(211)의 최대 폭(L1'), 상기 양각부(212)의 최대 폭 (L2') 또는 이들 모두가 예를 들어, 약 1.5mm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1.5mm 내지 약 20mm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폭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요철 패턴에 충분한 내구성을 부여하여 쉽게 구부러지거나 부서지지 않으면서 미끄러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음각부(211)의 최대 폭(L1') 및 상기 양각부(211)의 최대 폭(L2')은 상기 범위 내에서 조절되어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의 상기 일면에 상기 요철 패턴에 의해 구현된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입체감을 연출하여 상기 일면에 구현하고자 하는 장식 효과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상기 가온된 한 쌍의 엠보롤 사이로 상기 적층체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적층체의 일면에 요철 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가온된 한 쌍의 엠보롤 사이를 통과한 적층체의 일면 즉,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요철 패턴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온된 한 쌍의 엠보롤을 사용하여 상기 적층체에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적층체에 포함된 스킨층의 양면에 서로 순응하도록 형성된 요철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안정층의 상부면이 상기 스킨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요철 패턴에 순응하도록 형성된 요철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안정층의 하부면 및 상기 쿠션층의 양면은 상기 안정층 및 상기 쿠션층 각각의 재질이 완충성을 가지고 있어 오목하게 들어가 홈이 형성된 부분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복구되어 본래의 평평한 면으로 회복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상기 적층체를 준비하기 전, 상기 스킨층의 일면에 표면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층은 상기 스킨층의 상부에 코팅되어 예를 들어, 내오염 방지, 대전 방지, 발수 특성 등을 부여하는 층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표면 처리층의 양면에는 상기 스킨층과 동일한 요철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층은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상기 스킨층의 상부에 도포한 후 열경화 또는 광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고, 또는 별개의 필름으로 준비된 후 상기 스킨층의 요철 패턴이 형성된 상부면에 적층시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지조성물의 도포는 예를 들어, 그라비아(gravure) 코팅법, 슬롯 다이(slot die) 코팅법, 스핀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바 코팅법, 침적 코팅법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불소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조성물은 예를 들어, 난연제, 발수제, 대전방지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열개시제, 광개시제, 또는 이들 모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는 예를 들어, 핸들, 대쉬패널, 도어트림(door trim) 또는 시트의 표피를 형성하는 용도로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고,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실시예
1
0.1mm 두께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시트로 스킨층을 준비하고, 1.5mm 평균 두께의 유기 섬유 재질의 부직포로 안정층을 준비하였다. 또한, 0.1mm두께의 유기 섬유 재질의 직포의 상부에 2.2mm 두께의 스펀지를 적층시켜 쿠션층을 준비하였다. 이어서, 상기 쿠션층의 상부에 상기 안정층을 적층하고, 상기 안정층의 상부에 상기 스킨층을 적층하여 적층체를 준비한 후 상기 적층체를 180℃로 가온된 한 쌍의 엠보롤(대구특수엠보 텍스, LGD 1407 1408)을 통과시킴으로써 상부면에 요철 패턴이 형성된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에서 상기 요철 패턴은 1.0mm인 홈부를 포함하였고, 상기 홈부의 최대 폭은 80mm였다. 그에 따라, 실시예 1의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의 상부면에는 더욱 깊이 있고 다양한 입체감을 부여한 요철 패턴이 형성되어 우수한 표면 장식 효과를 구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
가온하지 않아 상온의 온도를 갖는 한 쌍의 엠보롤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 하에 상부면에 요철 패턴이 형성된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에서 상기 요철 패턴은 0.35mm인 홈부를 포함하였고, 상기 홈부의 최대 폭은 1mm였다. 그에 따라, 비교예 1의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의 상부면에는 현저히 작고 단조로운 입체감을 부여한 요철 패턴이 형성되어 표면 장식 효과가 미미하였음을 확인하였다.
100: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110: 표면처리층 120: 스킨층 130: 안정층
140: 쿠션층 141: 쿠션재의 단층 142: 면재
111: 홈부 112: 돌출부
L1: 홈부의 최대폭 L2: 돌출부의 최대 폭
H1: 홈부의 깊이 H2: 돌출부의 높이
d: 스킨층의 두께
200: 한 쌍의 엠보롤
211: 음각부 212: 양각부
L1' 음각부의 최대 폭 L2' 양각부의 최대 폭
H1' 음각부의 깊이 H2' 양각부의 높이
110: 표면처리층 120: 스킨층 130: 안정층
140: 쿠션층 141: 쿠션재의 단층 142: 면재
111: 홈부 112: 돌출부
L1: 홈부의 최대폭 L2: 돌출부의 최대 폭
H1: 홈부의 깊이 H2: 돌출부의 높이
d: 스킨층의 두께
200: 한 쌍의 엠보롤
211: 음각부 212: 양각부
L1' 음각부의 최대 폭 L2' 양각부의 최대 폭
H1' 음각부의 깊이 H2' 양각부의 높이
Claims (20)
-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가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스킨층/안정층/쿠션층 또는 표면처리층/스킨층/안정층/쿠션층의 다층 구조를 포함하는 적층체이고,
상기 쿠션층은 쿠션재 및 상기 쿠션재의 하부에 형성된 면재를 포함한 다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면재는 유기 섬유 또는 무기 섬유 재질의 직포, 종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면재는 두께가 0.05mm 내지 0.15mm이며,
상기 적층체의 상부 표면에 깊이가 0.5mm 내지 1.5mm인 홈부 및 높이가 0.5mm 내지 1.5mm인 돌출부를 포함하는 요철 패턴이 형성된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패턴에 포함된 홈부의 깊이, 돌출부의 높이 또는 이들 모두를 조절하여 상기 요철 패턴에 의해 상기 적층체의 일면에 구현되는 표면 입체감을 조절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최대 폭, 상기 돌출부의 최대 폭 또는 이들 모두가 1.5mm 이상인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 또는 상기 표면처리층의 양면이 서로 순응하도록 형성된 요철 패턴을 갖는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의 두께를 기준으로 상기 쿠션층의 상대 두께비가 1:14.3 내지 1:49인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층은 두께가 0.05mm 내지 0.15mm인 열가소성 수지층인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층이 폴리염화비닐 수지(PVC),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수지(TPO) ,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TPU)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PU)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층은 평균 두께가 1.4mm 내지 1.6mm인 유기 섬유 또는 무기 섬유 재질의 직포나 부직포층인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층의 전체 두께가 2.15mm 내지 2.45mm인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층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불소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 제1항에 있어서,
핸들, 대쉬패널, 도어트림 또는 시트의 용도로 적용된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 쿠션층, 안정층 및 스킨층을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적층체를 준비하는 단계;
한 쌍의 엠보롤에 열을 가하여 가온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온된 한 쌍의 엠보롤 사이로 상기 적층체를 통과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엠보롤의 요철 패턴은 깊이가 0.5mm 내지 1.5mm인 홈부 및 높이가 0.5mm 내지 1.5mm인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엠보롤에서, 각각의 엠보롤의 마주보는 면이 맞물리도록 상기 각각의 엠보롤의 요철 패턴이 서로 순응하게 양각 및 음각으로 형성된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2053A KR101939595B1 (ko) | 2014-07-01 | 2014-07-01 |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및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2053A KR101939595B1 (ko) | 2014-07-01 | 2014-07-01 |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및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3990A KR20160003990A (ko) | 2016-01-12 |
KR101939595B1 true KR101939595B1 (ko) | 2019-04-12 |
Family
ID=55170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2053A KR101939595B1 (ko) | 2014-07-01 | 2014-07-01 |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및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959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7416B1 (ko) * | 2016-05-20 | 2019-02-14 | (주)엘지하우시스 | 데코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449564B1 (ko) * | 2020-07-21 | 2022-09-30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용 크래쉬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35756A (ja) * | 1998-10-30 | 2000-05-16 | Honda Motor Co Ltd | 化粧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化粧シート付き成形品の製造方法 |
JP2005343384A (ja) * | 2004-06-04 | 2005-12-15 | Calsonic Kansei Corp | 車両用内装材 |
JP5396393B2 (ja) * | 2008-09-11 | 2014-01-22 | 三和工業株式会社 | 車両用成形内装材 |
JP2014043204A (ja) * | 2012-08-28 | 2014-03-13 | Toyota Motor Corp | 自動車の内装品、自動車の内装品の成形型、および自動車の内装品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78532U (ja) * | 1992-03-31 | 1993-10-26 | 高島屋日発工業株式会社 | 車輛用内装材 |
-
2014
- 2014-07-01 KR KR1020140082053A patent/KR10193959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35756A (ja) * | 1998-10-30 | 2000-05-16 | Honda Motor Co Ltd | 化粧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化粧シート付き成形品の製造方法 |
JP2005343384A (ja) * | 2004-06-04 | 2005-12-15 | Calsonic Kansei Corp | 車両用内装材 |
JP5396393B2 (ja) * | 2008-09-11 | 2014-01-22 | 三和工業株式会社 | 車両用成形内装材 |
JP2014043204A (ja) * | 2012-08-28 | 2014-03-13 | Toyota Motor Corp | 自動車の内装品、自動車の内装品の成形型、および自動車の内装品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3990A (ko) | 2016-0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861159T3 (es) | Método para fabricar un producto de revestimiento de suelos | |
JP6453095B2 (ja) | 座席用表皮材、及び座席用表皮材の製造方法 | |
JP5913755B1 (ja) | 座席用表皮材、座席用表皮材の製造方法、及びエンボスロール | |
CN111094650A (zh) | 人造革制造装置及利用该装置的人造革制造方法 | |
KR101939595B1 (ko) |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및 제조방법 | |
KR102542934B1 (ko) | 동조엠보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318821B1 (ko) | 발포에 의한 미끄럼 방지용 마루판의 제조방법 및 그 마루판 | |
JP2023174726A (ja) | 積層発泡体シートおよび表皮材 | |
WO2019065758A1 (ja) | 合成樹脂表皮材複合体及び合成樹脂表皮材複合体の製造方法 | |
KR101950388B1 (ko) | 치수 강화를 갖는 다층 폴리우레탄 엠보싱 복합재 | |
JP2019077040A (ja) | 化粧シート、エンボス加工方法及びエンボス加工型 | |
KR102064353B1 (ko) | 바닥 장식재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780529B1 (ko) |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467332B1 (ko) | 돌출부가 형성된 입체원단 및 그 제조방법 | |
KR101294397B1 (ko) | 엠보 유지가 우수한 장식 시트 제조 방법 | |
JP2019064168A (ja) | 木質化粧板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木質化粧板を用いた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 | |
JP6070944B2 (ja) | 建築用内装材、建築用内装材を用いた浴室用洗い場床及び浴室用壁パネル | |
KR101522520B1 (ko) | 합성수지 시트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시트, 및 상기 시트가 부착된 바닥재 | |
KR101581919B1 (ko) | 엠보싱무늬 벽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엠보싱무늬 벽지 | |
KR20220021233A (ko) | 동조엠보를 적용한 바닥재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동조엠보 바닥재 | |
JP6001262B2 (ja) | デザイン性に優れた衝撃吸収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衝撃吸収シート | |
KR101939597B1 (ko) |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재 및 그 제조 방법 | |
TW200906624A (en) | Method for making three dimensional convex patterns on the surface of foam material | |
JP2016128217A (ja) | 化粧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畳の製造方法 | |
JP2010069728A (ja) |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