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514B1 - 자세 유지구 - Google Patents

자세 유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514B1
KR101939514B1 KR1020177013804A KR20177013804A KR101939514B1 KR 101939514 B1 KR101939514 B1 KR 101939514B1 KR 1020177013804 A KR1020177013804 A KR 1020177013804A KR 20177013804 A KR20177013804 A KR 20177013804A KR 101939514 B1 KR101939514 B1 KR 101939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operator
arm portion
worker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3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1180A (ko
Inventor
마사히코 하야시
시게키 하야시
가즈히코 구로키
히로미치 후지모토
고 시로가우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76048A external-priority patent/JP602150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76047A external-priority patent/JP602150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76049A external-priority patent/JP590206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70061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54Artificial arms or hand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3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n audio-responsive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8/00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3/00Manipulators of master-slave type, i.e. both controlling unit and controlled unit perform corresponding spatial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8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61F2005/0167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ursing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anipulator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작업자가 장착하여 사용하는 자세 유지구에 있어서, 작업자가 팔부 또는 다리부를 원하는 위치로 움직일 때, 자세 유지구가 저항으로 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작업자에게 장착되는 본체부(2, 4)와, 본체부(2, 4)에 근접하는 작업자의 관절부로부터 연장되는 팔부 또는 다리부에 장착되는 아암부(5, 6)를 구비한다. 아암부(5, 6)에 장착되는 작업자의 팔부 또는 다리부의 동작에 수반되는 아암부(5, 6)의 동작을 허용하는 허용 상태와, 본체부(2, 4)에 대해 아암부(5, 6)를 원하는 위치에서 유지하는 유지 상태로 전환 가능한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작업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유지 기구를 조작하는 조작부(3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자세 유지구{POSTURE HOLDER}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작업시에, 작업자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자세 유지구에 관한 것이다.
작업자가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업자의 몸통부에 장착되는 상부 부분, 및 작업자의 다리부에 장착되는 하부 부분을 구비하고, 상부 및 하부 부분에 걸쳐 고무 튜브 등의 탄성재를 접속한 것이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힌 경우, 탄성재가 잡아 늘여져, 탄성재가 작업자의 상체를 들어올리려고 하는 것으로, 특허문헌 1의 도 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힌 상태(전굴)를 유지하는 경우에, 탄성체가 작업자를 보조하게 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9276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84942호 공보
특허문헌 1에서는, 탄성재가 작업자의 상체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항상 작용하고 있어, 작업자가 직립 상태로부터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히는 경우, 작업자는 탄성재를 잡아 늘이면서 상체를 굽히게 되므로(탄성재에 저항하여 상체를 굽히게 되므로), 작업자가 직립 상태로부터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힐 때 저항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다음으로 특허문헌 1에서는, 탄성재가 잡아 늘여질수록(작업자가 상체를 크게 전방 하방으로 굽힐수록), 탄성재의 들어올림력은 커지므로, 작업자가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힌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탄성체의 들어올림력과 작업자의 상체의 중량이 균형이 맞는 각도는 1개소밖에 없다.
이에 의해, 특허문헌 1에서는, 작업자가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힌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체를 전술한 1개소의 각도보다도 작은 각도로 유지할 때, 작업자에게 있어서 탄성재의 들어올림력이 부족해지므로, 작업자는 상체가 내려가지 않도록 허리 등에 힘을 줄 필요가 있다. 반대로 상체를 전술한 1개소의 각도보다도 큰 각도로 유지할 때, 작업자에게 있어서 탄성재의 들어올림력이 지나치게 강해지므로, 작업자는 상체가 올라가지 않도록 허리 등에 힘을 줄 필요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과수원에서는, 작업자의 신장보다도 약간 높은 정도의 시렁이 둘러쳐지고, 이 시렁에 포도 등의 과수를 재배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과수원에 있어서, 작업자는 상완부를 대략 수평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전완부를 상방을 향하게 하여, 상방의 시렁의 과수에 대해 작업을 행하는 경우가 많고, 이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의 상완부에 큰 부하가 걸린다. 예를 들어 건물 내에서의 배관 및 배선 작업을 행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상완부를 대략 수평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전완부를 상방을 향하게 하여, 상방의 천장부의 배관 및 배선에 대해 작업을 행하는 경우가 있고, 이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의 상완부에 큰 부하가 걸린다.
이 경우, 특허문헌 1은 작업자의 허리부에의 부하를 경감시키는 것이므로, 이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상완부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시키는 자세 유지구의 요망이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장착하여 사용하는 자세 유지구에 있어서, 작업자가 팔부 또는 다리부를 원하는 위치로 움직일 때, 자세 유지구가 저항으로 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또한 작업자가 팔부 또는 다리부를 각종 원하는 위치로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장착하여 사용하는 자세 유지구에 있어서, 작업자의 상완부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는 자세 유지구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자세 유지구는, 작업자에게 장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에 근접하는 작업자의 관절부로부터 연장되는 팔부 또는 다리부에 장착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에 장착되는 작업자의 팔부 또는 다리부의 동작에 수반되는 상기 아암부의 동작을 허용하는 허용 상태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아암부를 원하는 위치에서 유지하는 유지 상태로 전환 가능한 유지 기구와,
작업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상기 유지 기구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유지 기구의 허용 상태에 의해, 작업자가 팔부(다리부)를 움직이는 데 수반하여 아암부가 팔부(다리부)에 추종하도록 움직이는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팔부(다리부)의 동작에 대해 아암부가 저항으로 되는 일은 없으므로,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는 팔부(다리부)를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이며, 팔부(다리부)를 원하는 위치로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자세 유지구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가 팔부(다리부)를 원하는 위치로 움직인 후, 작업자가 유지 기구를 유지 상태로 조작하면, 아암부가 원하는 위치에 유지되므로, 작업자는 팔부(다리부)를 아암부에 맡김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팔부(다리부)를 다른 원하는 위치로 움직인 후에, 작업자가 유지 기구를 유지 상태로 조작하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팔부(다리부)를 다른 원하는 위치에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는 팔부(다리부)를 각종 원하는 위치에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자세 유지구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세 유지구에 있어서 아암부를 구동하는 전동 실린더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량이며 저렴한 자세 유지구가 얻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유지 기구가,
상기 아암부에 장착되는 작업자의 팔부 또는 다리부의 동작에 수반되는 상기 아암부의 상방으로의 동작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아암부의 하방으로의 동작을 저지하여 상기 아암부를 원하는 위치에서 유지하는 일방향 기구와,
상기 일방향 기구에 의한 상기 아암부의 하방으로의 동작의 저지를 해제하여, 상기 아암부의 하방으로의 동작을 허용하는 해제 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작부가, 상기 해제 기구를 조작하는 것이면 적합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유지 기구가,
상기 아암부에 장착되는 작업자의 팔부 또는 다리부의 동작에 수반되는 상기 아암부의 상방으로의 동작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아암부의 하방으로의 동작을 저지하여 상기 아암부를 원하는 위치에서 유지하는 일방향 기구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아암부를 접속하여 상기 일방향 기구를 기능시키는 접속 상태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아암부를 차단하여 상기 아암부의 동작을 허용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접속 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접속 기구를 조작하는 것이면 적합하다.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가 팔부(다리부)를 아암부에 맡겨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는 경우, 팔부(다리부)를 아암부에 의해 받아내면, 작업자에게 있어서 편안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일방향 기구와 해제 기구(접속 기구)를 구비하여, 자세 유지구의 유지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는 조작부에 의해 해제 기구(접속 기구)를 조작하지 않아도, 팔부(다리부)를 상방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일방향 기구에 의해 아암부의 상방으로의 동작이 허용되는 것에 의한), 자세 유지구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가 팔부(다리부)의 상방으로의 동작을 멈추면, 멈춘 위치로부터 아암부의 하방으로의 조작이 일방향 기구에 의해 저지되므로, 이 멈춘 위치에 있어서 아암부가 유지된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팔부(다리부)(아암부)를 원하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가 팔부(다리부)를 하방으로 움직이는 경우, 작업자는 조작부에 의해 해제 기구(접속 기구)를 해제 상태(차단 상태)로 조작함으로써, 팔부(다리부)를 하방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며, 팔부(다리부)를 하방으로 움직이는 것에 수반하여, 아암부가 팔부(다리부)에 추종하도록 하방으로 움직이는 상태로 된다. 이후, 작업자가 조작부에 의해 해제 기구(접속 기구)를 정지 상태(접속 상태)로 조작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팔부(다리부)(아암부)를 원하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구성에 따르면, 일방향 기구의 기능을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써, 유지 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유지 기구를 일방향 기구 및 해제 기구(접속 기구)에 의해 간소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작업자의 몸통부 또는 어깨부에 장착되는 것이고, 상기 아암부가 작업자의 상완부에 장착되는 것이면 적합하다.
예를 들어 과수원에서는, 작업자의 신장보다도 약간 높은 정도의 시렁이 둘러쳐지고, 이 시렁에 포도 등의 과수를 재배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과수원에 있어서, 작업자는 상완부를 대략 수평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전완부를 상방을 향하게 하여, 상방의 시렁의 과수에 대해 작업을 행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건물 내에서의 배관 및 배선 작업을 행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상완부를 대략 수평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전완부를 상방을 향하게 하여, 상방의 천장부의 배관 및 배선에 대해 작업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의 상완부가 아암부에 장착되는 것이며, 작업자가 상완부를 아암부에 맡김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가 상완부를 대략 수평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상방의 과수나 배관 및 배선에 대해 작업을 행하는 경우, 작업자는 상완부를 아암부에 의해 대략 수평을 향하게 한 위치에 유지하고, 전완부를 상방을 향하게 함으로써, 상방의 과수나 배관 및 배선에 대해 편안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과수원이나 건물 내에서의 작업에 적합한 자세 유지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작업자의 전완부의 동작에 의해 조작되도록 상기 아암부에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의 상완부가 아암부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 작업자의 전완부는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상완부를 아암부에 맡김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아암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전완부에 의해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유지 기구를 허용 상태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가 상완부를 움직임으로써 아암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며,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전완부에 의해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유지 기구를 유지 상태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과수원이나 건물 내에서의 작업에 적합한 자세 유지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수평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설정된 상방 설정 위치보다도 상방의 범위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관계없이 상기 아암부의 동작이 허용되도록, 상기 유지 기구를 구성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수평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설정된 하방 설정 위치보다도 하방의 범위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관계없이 상기 아암부의 동작이 허용되도록, 상기 유지 기구를 구성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예를 들어 과수원이나 건물 내에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 시렁이나 천장부의 높이는 대략 일정하므로,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자세 유지구의 아암부를 대략 수평 위치로 유지해 두면, 상방의 과수나 배관 및 배선에 대한 작업은 행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 바꾸어 말하면,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아암부를 대략 수평 위치로부터 크게 상방 또는 하방의 위치로 변경한 경우에는, 상방의 과수나 배관 및 배선에 대한 작업 이외의 작업을 행하는 상태인 것이 상정된다.
본 구성에 따르면,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상방 설정 위치보다도 상방의 범위(하방 설정 위치보다도 하방의 범위)에서는, 작업자는 조작부에 의해 유지 기구를 허용 상태로 조작하지 않아도 상완부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상방의 과수나 배관 및 배선에 대한 작업 이외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과수원이나 건물 내에서의 작업에 적합한 자세 유지구를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에 관한 자세 유지구는, 작업자의 허리부에 권취되어 장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작업자의 등부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세로 프레임부와,
상기 세로 프레임부로부터 작업자의 어깨부를 따라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프레임부와,
상기 가로 프레임부의 좌우축의 중심 주위로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것이며 작업자의 상완부에 장착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에 장착되는 작업자의 상완부의 동작에 수반되는 상기 아암부의 동작을 허용하는 허용 상태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아암부를 원하는 위치에서 유지하는 유지 상태로 전환 가능한 유지 기구와,
작업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상기 유지 기구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 허리부에 자세 유지구의 본체부를 권취하여 장착하여, 작업자의 상완부에 자세 유지구의 아암부를 장착한다. 따라서, 유지 기구를 유지 상태로 조작하여 아암부를 원하는 위치에서 유지하면, 작업자가 상완부를 아암부에 맡김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과수원이나 건물 내에서의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가 상완부를 대략 수평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상방의 과수나 배관 및 배선에 대해 작업을 행하는 경우, 작업자는 상완부를 아암부에 의해 대략 수평을 향하게 한 위치로 유지하고, 전완부를 상방을 향하게 함으로써, 상방의 과수나 배관 및 배선에 대해 편안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의 상완부로부터 아암부에 걸리는 부하는 가로 프레임부 및 세로 프레임부를 통해 본체부에 전달되어, 작업자의 허리부로 받아내어지는 것으로, 작업자의 상완부로부터의 부하가 허리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받아내어져 지지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과수원에서의 작업에 적합한 자세 유지구를 얻을 수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탄성재가 작업자의 상체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항상 작용하고 있고, 작업자가 직립 상태로부터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히는 경우, 작업자는 탄성재를 잡아 늘이면서 상체를 굽히게 되므로(탄성재에 저항하여 상체를 굽히게 되므로), 작업자가 직립 상태로부터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힐 때 저항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다음으로 특허문헌 1에서는, 탄성재가 잡아 늘여질수록(작업자가 상체를 크게 전방 하방으로 굽힐수록), 탄성재의 들어올림력은 커지므로, 작업자가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힌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탄성체의 들어올림력과 작업자의 상체의 중량이 균형이 맞는 각도는 1개소밖에 없다.
이에 의해, 특허문헌 1에서는, 작업자가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힌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체를 전술한 1개소의 각도보다도 작은 각도로 유지할 때, 작업자에게 있어서 탄성재의 들어올림력이 부족해지므로, 작업자는 상체가 내려가지 않도록 허리 등에 힘을 줄 필요가 있다. 반대로 상체를 전술한 1개소의 각도보다도 큰 각도로 유지할 때, 작업자에게 있어서 탄성재의 들어올림력이 지나치게 강해지므로, 작업자는 상체가 올라가지 않도록 허리 등에 힘을 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유지 기구의 허용 상태에 의해, 작업자가 상완부를 움직이는 데 수반하여 아암부가 상완부에 추종하도록 움직이는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상완부의 동작에 대해 아암부가 저항으로 되는 일은 없으므로,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는 상완부를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어, 상완부를 원하는 위치로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자세 유지구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가 상완부를 원하는 위치로 움직인 후, 작업자가 유지 기구를 유지 상태로 조작하면, 아암부가 원하는 위치에 유지되므로, 작업자는 상완부를 아암부에 맡김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상완부를 다른 원하는 위치로 움직인 후에, 작업자가 유지 기구를 유지 상태로 조작해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상완부를 다른 원하는 위치에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는 상완부를 각종 원하는 위치에 있어서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자세 유지구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세 유지구에 있어서 아암부를 구동하는 전동 실린더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량이며 저렴한 자세 유지구가 얻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작업자의 어깨부에 장착되고, 상기 세로 프레임부 및 상기 가로 프레임부가 작업자의 등부로부터의 이격되는 것을 저지하는 벨트를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작업자의 허리부에 본체부를 권취하여 장착하고, 작업자의 상완부에 아암부를 장착하면, 세로 및 가로 프레임부는 작업자의 등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에, 본 구성에 따르면, 작업자의 어깨부에 벨트를 장착함으로써, 세로 및 가로 프레임부가 작업자의 등부와 이격되지 않도록 따르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상완부로부터 아암부에 걸리는 부하가 본체부에 전달되어, 작업자의 허리부에 받아 내어지게 되어, 자세 유지구의 기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부에 대한 상기 아암부의 위치를 횡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가로 조절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가로 프레임부에 대한 아암부의 장착 위치를 작업자의 체격에 따라서 횡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자세 유지구를 작업자의 체격(특히, 작업자의 어깨 넓이)에 맞추어 장착시킬 수 있게 되어, 자세 유지구의 기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로 프레임부에 대한 상기 아암부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전후 조절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가로 프레임부에 대한 아암부의 장착 위치를 작업자의 체격에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자세 유지구를 작업자의 체격(특히, 작업자의 상완부의 길이)에 맞추어 장착시킬 수 있게 되어, 자세 유지구의 기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세로 프레임부에 대한 상기 가로 프레임부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상하 조절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세로 프레임부에 대한 가로 프레임부의 장착 위치를 작업자의 체격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자세 유지구를 작업자의 체격(특히, 작업자의 신장)에 맞추어 장착시킬 수 있게 되어, 자세 유지구의 기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자세 유지구는,
작업자의 등부에 장착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우측 및 좌측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에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우측 및 좌측부의 좌우축의 중심 주위로 상하로 요동 가능하고, 또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우측 및 좌측 아암부와,
상기 우측 및 좌측 아암부의 횡방향 외측으로의 동작에 대해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 기구와,
상기 아암부에 장착되는 작업자의 상완부의 동작에 수반되는 상기 아암부의 상하 동작을 허용하는 허용 상태와 상기 프레임부에 대해 상기 아암부를 원하는 위치에서 유지하는 유지 상태로 전환 가능한 유지 기구와,
작업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상기 유지 기구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 등부에 프레임부를 장착하고,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에 자세 유지구의 우측 및 좌측 아암부를 장착한다. 따라서, 유지 기구를 유지 상태로 조작하여 우측 및 좌측 아암부를 원하는 위치에서 유지하면, 작업자가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우측 및 좌측 아암부에 맡김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과수원이나 건물 내에서의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가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대략 수평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상방의 과수나 배관 및 배선에 대해 작업을 행하는 경우, 작업자는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우측 및 좌측 아암부에 의해 대략 수평을 향하게 한 위치에 유지하고, 우측 및 좌측 전완부를 상방을 향하게 함으로써, 상방의 과수나 배관 및 배선에 대해 편안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대략 수평을 향하게 하고, 우측 및 좌측 전완부를 상방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 작업자가 지치면,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가 하방으로 내려가려고 하는 것에 더하여, 우측 및 좌측의 횡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측 및 좌측 아암부의 횡방향 외측으로의 동작에 대해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지쳐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가 우측 및 좌측의 횡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려고 하는 상태를 저항 기구에 의해 억제할 수 있어, 상방의 과수나 배관 및 배선에 대해 편안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과수원이나 건물 내에서의 작업에 적합한 자세 유지구를 얻을 수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탄성재가 작업자의 상체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항상 작용하고 있고, 작업자가 직립 상태로부터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히는 경우, 작업자는 탄성재를 잡아 늘이면서 상체를 굽히게 되므로(탄성재에 저항하여 상체를 굽히게 되므로), 작업자가 직립 상태로부터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힐 때 저항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다음으로 특허문헌 1에서는, 탄성재가 잡아 늘여질수록(작업자가 상체를 크게 전방 하방으로 굽힐수록), 탄성재의 들어올림력은 커지므로, 작업자가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힌 상태로 유지하는 경우, 탄성체의 들어올림력과 작업자의 상체의 중량이 균형이 맞는 각도는 1개소밖에 없다.
이에 의해, 특허문헌 1에서는, 작업자가 상체를 전방 하방으로 굽힌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체를 전술한 1개소의 각도보다도 작은 각도로 유지할 때 작업자에게 있어서 탄성재의 들어올림력이 부족해지므로, 작업자는 상체가 내려가지 않도록 허리 등에 힘을 줄 필요가 있다. 반대로 상체를 전술한 1개소의 각도보다도 큰 각도로 유지할 때, 작업자에게 있어서 탄성재의 들어올림력이 지나치게 강해지므로, 작업자는 상체가 올라가지 않도록 허리 등에 힘을 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유지 기구의 허용 상태에 의해, 작업자가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움직이는 것에 수반하여, 우측 및 좌측 아암부가 우측 및 좌측 상완부에 추종하도록 움직이는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우측 및 좌측 상완부의 동작에 대해 우측 및 좌측 아암부가 저항으로 되는 일은 없으므로,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는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이며,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원하는 위치로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자세 유지구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가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원하는 위치로 움직인 후, 작업자가 유지 기구를 유지 상태로 조작하면, 우측 및 좌측 아암부가 원하는 위치에 유지되므로, 작업자는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우측 및 좌측 아암부에 맡김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다른 원하는 위치로 움직인 후에, 작업자가 유지 기구를 유지 상태로 조작해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다른 원하는 위치에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는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각종 원하는 위치에 있어서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자세 유지구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세 유지구에 있어서 아암부를 구동시키는 전동 실린더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량이며 저렴한 자세 유지구가 얻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저항 기구가, 상기 우측 및 좌측 아암부를 상기 프레임부의 좌우 중앙측에 가압하는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저항 기구가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가 우측 및 좌측의 횡방향 외측으로 벌어질수록, 우측 및 좌측 아암부를 프레임부의 좌우 중앙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의 변위가 커져, 이 스프링의 가압력(저항)이 커지므로, 작업자가 지쳐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가 우측 및 좌측의 횡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는 상태를 잘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자세 유지구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우측 및 좌측 아암부에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우측 및 좌측 아암부가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될수록 서로 접근하는 경사 자세로 되어, 상기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가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평행하게 늘이면, 스프링에 변위가 발생하여, 우측 및 좌측 아암부를 프레임부의 좌우 중앙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의 가압력이 발생한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평행하게 늘인 통상의 상태에 있어서, 우측 및 좌측 아암부가 프레임부의 좌우 중앙측으로 가압되어 있고, 이 스프링의 가압력이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에 걸리므로,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가 우측 및 좌측의 횡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는 상태가 억제되면서, 작업자가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평행하게 늘인 통상의 상태에서의 작업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되어, 자세 유지구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으로서 판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프레임부를 구성하고,
상기 판 스프링이 구부러지는 것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 전체가 구부러짐으로써, 상기 우측 및 좌측 아암부를 상기 프레임부의 좌우 중앙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우측 및 좌측 아암부를 프레임부의 좌우 중앙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프레임부가 우측 및 좌측 아암부를 프레임부의 좌우 중앙측으로 가압하는 기능을 구비하게 되므로, 자세 유지구의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우측 및 좌측 아암부가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의 횡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부의 좌우 중앙측을 향해 개방된 コ자 형상의 수용부를 상기 우측 및 좌측 아암부에 구비하고,
상기 우측 및 좌측 아암부의 수용부에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삽입함으로써,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에 상기 우측 및 좌측 아암부가 장착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우측 및 좌측 아암부가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의 횡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프레임부의 좌우 중앙측을 향해 개방된 コ자 형상의 수용부가, 우측 및 좌측 아암부에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우측 및 좌측 아암부에 장착하는 경우, 작업자가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횡방향 외측으로 움직여 우측 및 좌측 아암부의 수용부에 삽입함으로써,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가 용이하게 우측 및 좌측 아암부에 장착된 상태로 되는 것으로, 자세 유지구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작업자가 우측 및 좌측 상완부를 평행하게 늘인 통상의 상태에 있어서, 우측 및 좌측 아암부가 프레임부의 좌우 중앙측으로 가압되어, 이 스프링의 가압력이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에 걸리는 구성이면, 작업자의 우측 및 좌측 상완부가 우측 및 좌측 아암부의 수용부로부터 빠지기 어려운 상태로 되는 것이며, 우측 및 좌측 아암부에의 장착 상태가 확실한 것으로 된다.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는 팔부(다리부)를 각종 원하는 위치에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자세 유지구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자세 유지구에 있어서 아암부를 구동하는 전동 실린더 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량이며 저렴한 자세 유지구가 얻어진다.
도 1은 작업자가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를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자세 유지구를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자세 유지구의 하부 프레임부, 세로 프레임부, 제1 및 제2 가로 프레임부, 가설 부재, 커버 등을 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자세 유지구의 세로 프레임부, 제1 및 제2 가로 프레임부, 가설 부재, 지지 부재 등을 후방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자세 유지구의 제2 가로 프레임부, 기판, 제1 아암부 및 유지 기구 등을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자세 유지구의 기판 및 유지 기구 등을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자세 유지구의 제2 가로 프레임부, 제1 및 제2 아암부, 세로 수용부, 하부 수용부 및 상부 수용부, 조작부 등을 후방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는 자세 유지구의 제1 및 제2 아암부, 세로 수용부, 하부 수용부 및 상부 수용부, 조작부 등을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b는 자세 유지구의 제1 및 제2 아암부, 세로 수용부, 하부 수용부 및 상부 수용부, 조작부 등을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작업자가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를 좌측의 횡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10은 자세 유지구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11은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의 제2 가로 프레임부, 제1 아암부, 전자 클러치 및 원웨이 클러치 등을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1]
도 1,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세 유지구는, 하부 프레임부(1)(본체부, 프레임부에 상당), 우측 및 좌측 세로 프레임부(2)(본체부에 상당), 우측 및 좌측 제1 가로 프레임부(3)(본체부, 가로 프레임부, 프레임부에 상당)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자세 유지구는, 우측 및 좌측 제2 가로 프레임부(4)(본체부, 가로 프레임부, 프레임부에 상당), 우측 및 좌측 제1 아암부(5)(아암부에 상당), 우측 및 좌측 제2 아암부(6)(아암부에 상당), 우측 및 좌측 유지 기구(7)(도 6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자세 유지구는, 작업자의 허리부에의 고정용의 우측 및 좌측 벨트(8), 패드(9), 작업자의 어깨부에의 고정용의 우측 및 좌측 벨트(1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 각 부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설명 중의 「상」「하」 「우」「좌」「전」「후」는, 작업자가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작업자로부터 보아 상, 하, 우, 좌, 전, 후를 의미하고 있다.
[2]
하부 프레임부(1), 우측 및 좌측 세로 프레임부(2)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부(1)는 판금제로 상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유지 기구(7)[솔레노이드(23)]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8)가 장착되고, 작업자의 허리부에의 고정용으로 직물제의 벨트(8)가 하부 프레임부(1)의 우측 및 좌측 횡부에 장착되어 있다. 합성 수지제의 커버(15)가, 하부 프레임부(1)의 후방측부에 장착되어 있고, 커버(15)에 의해 배터리(18)나 벨트(8)의 하부 프레임부(1)에의 장착 부분, 후술하는 세로 프레임부(2)의 하부 프레임부(1)에의 연결 부분이 덮여 있다.
도 2,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금제의 세로 프레임부(2)가,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하부 프레임부(1)의 우측 및 좌측 횡부에 연결되어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판금제(판 스프링제)이며 평판 형상인 가설 부재(11)(프레임부, 저항 기구, 스프링 및 판 스프링에 상당)가, 우측 및 좌측 세로 프레임부(2)의 상부에 걸쳐 연결되어 있고, 판금제(판 스프링제)의 평판 형상이며 원호 형상인 가설 부재(12)(프레임부, 저항 기구, 스프링 및 판 스프링에 상당)가 우측 및 좌측 세로 프레임부(2)의 상부에 걸쳐 가설 부재(1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 2,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부(1), 우측 및 좌측 세로 프레임부(2), 가설 부재(11)에 걸쳐, 정면에서 보아 직사각 형상인 패드(9)가 장착되어 있다. 우측 세로 프레임부(2)의 상부[패드(9)]와 벨트(8)에 걸쳐 우측 벨트(10)가 장착되고, 좌측 세로 프레임부(2)의 상부[패드(9)]와 벨트(8)에 걸쳐 좌측 벨트(10)가 장착되어 있다.
[3]
다음으로, 우측 및 좌측 제1 가로 프레임부(3), 우측 및 좌측 제2 가로 프레임부(4)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제의 제1 가로 프레임부(3)가 볼트(13)에 의해 세로 프레임부(2)에 연결되어 우측 및 좌측의 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세로 프레임부(2)의 상부에 상하 방향의 긴 구멍(2a)(상하 조절부에 상당)이 형성되어, 볼트(13)가 세로 프레임부(2)의 긴 구멍(2a)에 삽입되어 체결되어 있고, 세로 프레임부(2)에 대한 제1 가로 프레임부(3)의 위치를, 세로 프레임부(2)의 긴 구멍(2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질의 합성 수지제로 블록 형상의 지지 부재(14)가 판금제의 제2 가로 프레임부(4)의 베이스부(4a)에 장착되어 있고, 제2 가로 프레임부(4)의 베이스부(4a) 및 지지 부재(14)가 볼트(16)에 의해 제1 가로 프레임부(3)에 연결되어, 제2 가로 프레임부(4)가 제1 가로 프레임부(3)로부터 우측(좌측) 횡방향 외측 비스듬히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가로 프레임부(4)의 베이스부(4a) 및 지지 부재(14)(전후 조절부에 상당)에 좌우 방향의 긴 구멍[4b(가로 조절부에 상당), 14a(가로 조절부에 상당)]이 형성되어, 볼트(16)가 제2 가로 프레임부(4) 및 지지 부재(14)의 긴 구멍(4b, 14a)에 삽입되어 체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가로 프레임부(3)에 대한 제2 가로 프레임부(4)의 위치를, 제2 가로 프레임부(4) 및 지지 부재(14)의 긴 구멍(4b, 14a)을 따라 좌우 방향(횡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제1 가로 프레임부(3)에 대한 제1 및 제2 아암부(5, 6)[제2 가로 프레임부(4)에 지지되는]의 위치를, 좌우 방향(횡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제의 커버(17)가 제1 가로 프레임부(3)의 후방측부에 장착되어 있다. 커버(17)에 의해 가설 부재(11, 12)의 세로 프레임부(2)에의 연결 부분, 제2 가로 프레임부(4)의 베이스부(4a) 및 지지 부재(14)가 덮여 있다.
[4]
다음으로, 우측 및 좌측 제1 아암부(5), 유지 기구(7)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가로 프레임부(4)의 전방부(4c)에 기판(19)이 연결되어, 제2 가로 프레임부(4)의 전방부(4c) 및 기판(19)에 동심 형상의 개구부(4d, 19a)가 형성되어 있고, 기판(19)의 개구부(19a)의 내주부에 볼록부(19b)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아암부(5)의 베이스부(5a)에 원판부(5b)가 장착되어 있고, 제1 아암부(5)의 원판부(5b)가 제2 가로 프레임부(4)의 전방부(4c) 및 기판(19)의 개구부(4d, 19a)에 내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제1 아암부(5)의 원판부(5b)가 기판(19)의 볼록부(19b)의 내측부에 접촉하고 있다. 링 형상의 기판(5c)이 구비되어, 볼트(38)가 제1 아암부(5)의 베이스부(5a), 원판부(5b) 및 기판(5c)에 걸쳐 체결되어 있고, 기판(19)의 볼록부(19b)가 제1 아암부(5)의 원판부(5b) 및 기판(5c)에 의해 끼워 넣어져 있다.
이에 의해,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아암부(5)가 제2 가로 프레임부(4)의 전방부(4c) 및 기판(19)의 개구부(4d, 19a)의 좌우축의 중심 P1 주위로,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기판(19)의 볼록부(19b)가 제1 아암부(5)의 원판부(5b) 및 기판(5c)에 의해 끼워 넣어져 있는 점, 및 후술하는 피결합부(20)[제1 아암부(5)의 기판(5c)에 연결되어 있음]가 기판(19)의 개구부(19a)의 테두리부에 접촉하고 있는 점에 의해, 제1 아암부(5)는 제2 가로 프레임부(4) 및 기판(19)으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비스듬한 기어 티스를 구비한 피결합부(20)(일방향 기구에 상당)가, 볼트(38)에 의해 제1 아암부(5)의 기판(5c)에 연결되어, 기판(19)의 좌우축의 중심 P2 주위로 결합 갈고리부(21)(일방향 기구에 상당)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결합 갈고리부(21)를 피결합부(20)에의 결합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22)(일방향 기구에 상당)이 구비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19)에 솔레노이드(23)(해제 기구에 상당)가 고정되어 있고, 결합 갈고리부(21)와 솔레노이드(23)에 걸쳐 접속 부재(24)가 연결되어 있다. 솔레노이드(23)는, 하부 프레임부(1)에 구비된 배터리(18)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는 것이며, 후술하는 조작부(31)의 리미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의해, 통전 상태로 되어 수축 작동한다.
이에 의해,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 갈고리부(21)가 피결합부(20)에 결합되는 범위에 있어서, 제1 아암부(5)가 상방으로 조작되면, 스프링(22)에 저항하여 결합 갈고리부(21)가 피결합부(20)로부터 빠져 다시 피결합부(20)에 결합되는 상태가 반복되어, 제1 아암부(5)의 상방으로의 동작이 허용된다(허용 상태).
결합 갈고리부(21)가 피결합부(20)에 결합되는 범위에 있어서, 제1 아암부(5)가 하방으로 조작되려고 해도, 결합 갈고리부(21)와 피결합부(20)의 결합에 의해, 제1 아암부(5)의 하방으로의 동작은 저지된다(유지 상태). 솔레노이드(23)에 통전하여 수축 작동시켜 결합 갈고리부(21)를 피결합부(20)로부터 이격 조작하면, 제1 아암부(5)를 자유롭게 상방 및 하방으로 조작할 수 있다.
도 2,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결합부(20), 결합 갈고리부(21), 스프링(22) 및 솔레노이드(23) 등에 의해 유지 기구(7)가 구성되어 있다. 합성 수지제의 커버(25)가 기판(19)의 횡방향 외측부에 장착되어 있고, 커버(25)에 의해 피결합부(20), 결합 갈고리부(21), 스프링(22) 및 솔레노이드(23), 제1 아암부(5)의 원판부(5b) 및 기판(5c) 등이 덮여 있다. 합성 수지제의 커버(39)가, 제1 아암부(5)의 베이스부(5a)의 내측부에 장착되어 있다.
[5]
다음으로, 우측 및 좌측 제2 아암부(6)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아암부(6)의 상부 및 하부의 테두리부에 레일부(6a)가 구성되어, 제2 아암부(6)의 상부 및 하부의 레일부(6a)가 제1 아암부(5)의 상부 및 하부의 테두리부(5d)에 끼워 넣어져 있고, 제2 아암부(6)가 제1 아암부(5)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아암부(5)에 대해 제2 아암부(6)를 원하는 장착 위치에서 고정하는 노브가 달린 볼트(26)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아암부(5)에 대한 제2 아암부(6)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제1 가로 프레임부(3)에 대한 제2 아암부(6)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2, 도 7,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아암부(6)의 전방부에 상하 방향의 세로 수용부(27)(수용부에 상당)가 구비되어 있고, 세로 수용부(27)의 하부로부터 횡방향 내측에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된 하부 수용부(28)(수용부에 상당)가 구비되어 있다. 제2 아암부(6)의 횡방향 내측부, 세로 수용부(27)의 횡방향 내측부 및 하부 수용부(28)의 상면부에, 패드(32, 33, 34)가 장착되어 있다.
도 2, 도 7,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로 수용부(27)의 상부의 전후축의 중심 P3 주위로, L자 형상의 상부 수용부(29)(수용부에 상당)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부 수용부(29)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30)이 구비되어 있고, 상부 수용부(29)는 세로 수용부(27)와의 접촉에 의해 도 8a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하방으로는 요동할 수 없고, 스프링(30)에 저항하여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요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세로 수용부(27), 하부 수용부(28) 및 상부 수용부(29)에 의해, 좌우 중앙측을 향해 개방된 コ자 형상(C자 형상)의 수용부가 구성되어 있다.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수용부(29)의 전방부의 경사축의 중심 P4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조작부(31)가 지지되어 있고,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조작부(31)가 하방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조작부(31)는, 상부 수용부(29)의 스토퍼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도 8a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하방으로는 요동할 수 없고, 스프링에 저항하여 도 8a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요동할 수 있는 것이며, 조작부(31)의 상방으로의 요동을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상부 수용부(29)에 구비되어 있다.
[6]
다음으로, 자세 유지구의 장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자세 유지구를 등에 메도록 하여, 작업자의 어깨부에 벨트(10)를 장착하고, 패드(9)를 작업자의 등부에 대고, 하부 프레임부(1)를 작업자의 허리부에 댄다. 벨트(8)에 면 파스너(도시하지 않음)[상품명·매직 테이프(등록 상표)]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벨트(8)를 작업자의 허리부에 권취하여 면 파스너에 의해, 하부 프레임부(1) 및 벨트(8)를 작업자의 허리부에 장착한다.
이에 의해, 하부 프레임부(1) 및 벨트(8)가 작업자의 허리부에 장착되고, 하부 프레임부(1)로부터 작업자의 등부를 따라 세로 프레임부(2)가 상방으로 연장되고, 세로 프레임부(2)로부터 제1 및 제2 가로 프레임부(3, 4)가 작업자의 어깨부를 따라 횡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되는 것이며, 하부 프레임부(1), 세로 프레임부(2), 제1 및 제2 가로 프레임부(3, 4)가 작업자의 몸통부에 장착된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작업자의 상완부의 횡방향 외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부 수용부(29)를 상방으로 조작하고, 작업자의 상완부를 세로 수용부(27), 하부 수용부(28) 및 상부 수용부(29) 중에 삽입하여, 상부 수용부(29)를 하방으로 조작한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작업자의 상완부에 장착된 상태로 된다.
이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가로 프레임부(4)(좌우축의 중심 P1)가 작업자의 어깨부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또한 작업자의 어깨부의 횡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세로 프레임부(2)에 대한 제1 가로 프레임부(3)의 장착 위치를 사전에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고(전항 [3] 참조), 제1 가로 프레임부(3)에 대한 제2 가로 프레임부(4)의 장착 위치를 좌우 방향(가로 방향)으로 사전에 조절해 둔다(전항 [3] 참조).
작업자의 팔꿈치부가 세로 수용부(27), 하부 수용부(28) 및 상부 수용부(29)의 약간 전방에 위치하여, 작업자의 전완부의 굴신 동작을 지장 없이 행할 수 있도록, 제1 가로 프레임부(3)에 대한 제2 아암부(6)의 장착 위치를 사전에 전후 방향으로 조절해 둔다(전항 [5] 참조).
도 10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자세 유지구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작업자의 상완부를 세로 수용부(27), 하부 수용부(28) 및 상부 수용부(29) 중에 삽입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우측 및 좌측 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제2 가로 프레임부(4)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될수록 서로 접근하는 경사 자세로 되도록, 우측 및 좌측 세로 프레임부(2)에의 가설 부재(11, 12)의 연결 상태가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완부를 전방을 향하게 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작업자의 상완부에 가볍게 압박되는 상태로 되므로, 작업자의 상완부와 제1 및 제2 아암부(5, 6)[세로 수용부(27), 하부 수용부(28) 및 상부 수용부(29)]의 일체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작업자의 상완부가 세로 수용부(27), 하부 수용부(28) 및 상부 수용부(29)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진다. 작업자가 자세 유지구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가설 부재(12)가 손잡이부로 되어 있어, 가설 부재(12)를 잡음으로써 자세 유지구를 용이하게 들 수 있다.
[7]
다음으로, 자세 유지구의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제1).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완부를 제2 아암부(6)[하부 수용부(28)]에 맡겨도,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 갈고리부(21)가 피결합부(20)에 결합됨으로써, 제1 및 제2 아암부(5, 6)의 하방으로의 동작은 저지되는 것으로, 작업자는 상완부를 원하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의 상완부로부터 제2 아암부(6)[하부 수용부(28)]에 걸리는 부하는, 제1 아암부(5), 제1 및 제2 가로 프레임부(3, 4), 세로 프레임부(2) 및 벨트(10)를 통해, 하부 프레임부(1), 벨트(8) 및 패드(9)에 전달되어, 작업자의 허리부 및 등부나 어깨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받아내어져 지지된다.
특히 작업자의 어깨부에 벨트(10)를 장착함으로써, 작업자의 등부에 있어서 세로 프레임부(2) 및 제1 가로 프레임부(3)의 좌우 방향의 위치가 정해진다[작업자의 등부에 있어서 세로 프레임부(2) 및 제1 가로 프레임부(3)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음]. 이에 의해, 세로 프레임부(2) 및 제1 가로 프레임부(3)가 작업자의 등부와 이격되지 않도록 따르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상완부로부터 제2 아암부(6)[하부 수용부(28)]에 걸리는 부하가 낭비 없이, 하부 프레임부(1), 벨트(8) 및 패드(9)에 전달된다.
다음으로, 작업자가 상완부를 상방으로 움직이면[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상방으로 조작되면], 스프링(22)에 저항하여 결합 갈고리부(21)가 피결합부(20)로부터 빠져 다시 피결합부(20)에 결합되는 상태가 반복되어, 제1 아암부(5)의 상방으로의 동작은 허용되게 되어, 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작업자의 상완부에 추종하도록 상방으로 움직이는 상태로 된다.
이 경우, 작업자가 상완부를 상방으로 움직여도, 상부 수용부(29)가 상방으로 개방되어 작업자의 상완부가 세로 수용부(27), 하부 수용부(28) 및 상부 수용부(29)로부터 상방으로 빠지지 않고, 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작업자의 상완부에 추종하도록, 스프링(30)의 가압력이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가 전술한 바와 같이 상완부를 상방으로 움직인 후에 상완부를 멈추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 갈고리부(21)가 피결합부(20)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아암부(5, 6)의 하방으로의 동작은 저지되는 것으로, 작업자는 상완부를 원하는 위치(작업자가 상완부를 상방으로 움직인 후에 상완부를 멈춘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가 전완부를 상완부측으로 굽혀 전완부에 의해 조작부(31)를 상방으로 조작하면, 조작부(31)의 상방으로의 요동을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의 조작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23)에 통전되고, 솔레노이드(23)가 수축 작동하여, 결합 갈고리부(21)가 피결합부(20)로부터 이격 조작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상완부를 상방 및 하방으로 움직이면, 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작업자의 상완부에 추종하도록 상방 및 하방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작업자가 조작부(31)의 상방으로의 조작을 멈추면, 솔레노이드(23)에의 통전이 멈추어져,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22)의 가압력에 의해 결합 갈고리부(21)가 피결합부(20)에 결합된다.
[8]
다음으로, 자세 유지구의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제2).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결합부(20)에 있어서 기어 티스가 존재하는 영역은 한정되어 있고, 피결합부(20)에 있어서 기어 티스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결합 갈고리부(21)가 피결합부(20)(기어 티스)에 결합되지 않는 영역]이 피결합부(20)의 상측 및 하측에 존재한다. 피결합부(20)에 있어서 기어 티스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에 있어서, 솔레노이드(23)에 관계없이 결합 갈고리부(21)는 기능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로 프레임부(2)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바꾸어 말하면 작업자가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수평 위치 A1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상방으로 설정된 상방 설정 위치 A2로 제1 및 제2 아암부(5, 6)를 움직이면, 결합 갈고리부(21)가 피결합부(20)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된다. 수평 위치 A1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하방으로 설정된 하방 설정 위치 A3으로 제1 및 제2 아암부(5, 6)를 움직이면, 결합 갈고리부(21)가 피결합부(20)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 설정 위치 A2보다도 상방의 범위 및 하방 설정 위치 A3보다도 하방의 범위에 있어서, 결합 갈고리부(21)는 피결합부(20)에 결합되지 않으므로, 작업자는 조작부(31)의 조작에 관계없이 상완부[제1 및 제2 아암부(5, 6)]를 상방 및 하방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조작부(31)의 조작에 관계없이 유지 기구(7)가 제1 및 제2 아암부(5, 6)의 동작을 허용하는 상태에 상당].
이 경우, 수평 위치 A1과 하방 설정 위치 A3의 사이의 각도보다도, 수평 위치 A1과 상방 설정 위치 A2의 사이의 각도가 큰 것으로 되도록, 상방 설정 위치 A2가 높은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제1 및 제2 아암부(5, 6)를 작업자의 상완부에 장착하지 않는 상태에서 작업을 행하는 경우, 제1 및 제2 아암부(5, 6)를 상방 설정 위치 A2에 둠으로써[결합 갈고리부(21)가 피결합부(20)의 상단부에 결합됨으로써, 제1 및 제2 아암부(5, 6)는 상방 설정 위치 A2로부터 하강하지 않음], 작업자는 자유롭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작업자가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서 지치면, 작업자의 상완부가 하방으로 내려가려고 하는 것에 더하여, 우측(좌측)의 횡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이 경우, 도 10의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자의 상완부[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우측(좌측)의 횡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려고 하면, 가설 부재(11, 12)가 구부러지는 상태로 되고, 이것에 수반하여 세로 프레임부(2)가 상하축의 중심 주위로 비틀어지는 상태(구부러지는 상태)로 되므로, 가설 부재(11, 12) 및 세로 프레임부(2)의 저항에 의해, 작업자의 상완부[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우측(좌측)의 횡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려고 하는 상태가 억제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피결합부(20), 결합 갈고리부(21), 스프링(22) 및 솔레노이드(23) 등을 대신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유지 기구(7)를 구성해도 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가로 프레임부(4)에 지지 축(35)이 마찰식의 전자 클러치(36)(접속 기구에 상당)를 통해 지지되어 있고, 제1 및 제2 아암부(5, 6)의 상방으로의 동작을 허용하고, 또한 제1 및 제2 아암부(5, 6)의 하방으로 동작을 저지하는 원웨이 클러치(37)(일방향 기구에 상당)를 통해, 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지지 축(35)에 장착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클러치(36)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속 상태로 가압되어 있고, 전자 클러치(36)의 접속 상태에 있어서, 지지 축(35)은 제2 가로 프레임부(4)에 회전 불가능하게 유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원웨이 클러치(37)의 기능에 의해, 작업자의 상완부[제1 및 제2 아암부(5, 6)]를 상방으로 움직일 수 있다. 작업자가 상완부를 제2 아암부(6)[하부 수용부(28)]에 맡기면, 원웨이 클러치(37)의 기능에 의해, 제1 및 제2 아암부(5, 6)의 하방으로의 동작은 저지되어, 작업자는 상완부를 원하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조작부(31)를 상방으로 조작하면, 전자 클러치(36)에 통전되어, 전자 클러치(36)가 차단 상태로 조작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원웨이 클러치(37)는 기능하지 않게 되고, 지지 축(35)이 제2 가로 프레임부(4)의 좌우축의 중심 P1 주위로 자유 회전하는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상완부를 상방 및 하방으로 움직이면, 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작업자의 상완부에 추종하도록 상방 및 하방으로 움직이는 것이고, 작업자가 조작부(31)의 상방으로의 조작을 멈추면, 전자 클러치(36)에의 통전이 멈추어져, 전자 클러치(36)가 접속 상태로 된다.
전술한 마찰식의 전자 클러치(36) 대신에, 도그 클러치 형식의 접속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나, 링 기어(도시하지 않음)에 갈고리부나 핀을 맞물리게 하는 접속 클러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맞물림식 접속 기구를 구성해도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2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에 있어서, 조작부(31)를 상부 수용부(29)에 구비하는 것이 아닌, 조작부(31)를 세로 수용부(27)나 하부 수용부(28)에 구비해도 된다. 제2 가로 프레임부(4)나 제2 아암부(6)로부터 하네스(도시하지 않음)를 연장하고, 하네스의 단부에 조작부(31)를 접속하여, 작업자가 손바닥으로 조작부(31)를 쥐고 조작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3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2 다른 형태]에 있어서, 상부 수용부(29)를 전후축의 중심 P3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아닌, 상부 수용부(29)를 세로 수용부(27)에 요동하지 않도록 고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상부 수용부(29)와 하부 수용부(28) 사이의 개방 부분의 간격을 약간 크게 설정하여, 작업자가 상완부를 세로 수용부(27), 하부 수용부(28) 및 상부 수용부(29) 중에 용이하게 넣을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4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발명의 실시의 제3 다른 형태]에 있어서, 지지 부재(14)(전후 조절부에 상당)를 두께가 다른 것으로 변경함으로써, 제1 가로 프레임부(3)에 대한 제2 가로 프레임부(4), 제1 및 제2 아암부(5, 6)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5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발명의 실시의 제4 다른 형태]에 있어서, 세로 수용부(27), 하부 수용부(28) 및 상부 수용부(29)가 일체로, 제2 아암부(6)의 전방부의 좌우축의 중심 주위로 상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6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발명의 실시의 제5 다른 형태]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부(1), 세로 프레임부(2), 제1 및 제2 가로 프레임부(3, 4)를 작업자의 몸통부에 장착하는 것이 아닌, 하부 프레임부(1) 및 세로 프레임부(2)를 폐지하여, 제1 및 제2 가로 프레임부(3, 4)를 작업자의 등부 또는 어깨부에 장착하고, 제1 및 제2 아암부(5, 6)를 작업자의 상완부에 장착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제1 및 제2 아암부(5, 6)의 구조를 변경하여, 제1 및 제2 아암부(5, 6)를 작업자의 대퇴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하부 프레임부(1), 세로 프레임부(2), 제1 및 제2 가로 프레임부(3, 4)를 상하 반전시켜 작업자의 몸통부에 장착하고, 제1 및 제2 아암부(5, 6)를 작업자의 대퇴부에 장착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작업자의 대퇴부에 대해, 작업자의 상체의 상방으로의 동작이 허용되고, 작업자의 상체의 하방으로의 동작이 저지되어 작업자의 상체가 지지되게 되는 것으로, 작업자의 허리부에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발명의 실시의 제5 다른 형태]에 있어서, 판 스프링제의 가설 부재(11, 12) 대신에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가설 부재(11, 12)를, 우측 부분, 좌측 부분, 우측 및 좌측 부분을 상하축의 중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부분에 의해 구성하여, 가설 부재(11, 12)의 우측 및 좌측 부분을 세로 프레임부(2) 또는 제1 가로 프레임부(3)에 연결한다. 가설 부재(11, 12)의 힌지 부분에 의해 우측 및 좌측 제1 및 제2 가로 프레임부(3, 4), 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서로 접근 및 이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가설 부재(11, 12)의 힌지 부분에 코일 스프링(저항 기구 및 스프링에 상당)을 장착한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자세 유지구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작업자의 상완부를 세로 수용부(27), 하부 수용부(28) 및 상부 수용부(29) 중에 삽입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우측 및 좌측 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제1 가로 프레임부(3)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될수록 서로 접근하는 경사 자세로 되도록, 가설 부재(11, 12)의 힌지 부분의 코일 스프링을 설정한다.
작업자가 자세 유지구를 장착한 상태에서 지쳐, 작업자의 상완부가 하방으로 내려가려고 하는 것에 더하여, 우측(좌측)의 횡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려고 하면, 가설 부재(11, 12)의 힌지 부분의 코일 스프링의 저항, 및 세로 프레임부(2)가 상하축의 중심 주위로 비틀어지는 상태(구부러지는 상태)로 되는 것에 의한 저항에 의해, 작업자의 상완부[제1 및 제2 아암부(5, 6)]가 우측(좌측)의 횡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려고 하는 상태가 억제된다.
하부 프레임부(1) 및 세로 프레임부(2)를 폐지하여, 제1 및 제2 가로 프레임부(3, 4)를 작업자의 대퇴부에 장착하고, 제1 및 제2 아암부(5, 6)의 구조를 변경하여, 제1 및 제2 아암부(5, 6)를 작업자의 종아리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작업자의 종아리부에 대해 작업자의 대퇴부의 상방으로의 동작이 허용되고, 작업자의 대퇴부의 하방으로의 동작이 저지되어 작업자의 상체가 지지되게 되는 것으로, 작업자의 무릎부에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발명의 실시의 제7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발명의 실시의 제6 다른 형태]에 있어서, 우측 및 좌측 양쪽에 제1 및 제2 가로 프레임부(3, 4), 제1 및 제2 아암부(5, 6) 등을 구비하는 것이 아닌, 제1 및 제2 가로 프레임부(3, 4), 제1 및 제2 아암부(5, 6) 등을 우측 또는 좌측에만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과수원이나 건물 내에서의 작업시에 있어서 작업자가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작업자의 상완부나 허리부, 무릎부의 부하를 경감시키는 자세 유지구에 적용할 수 있다.
1 : 하부 프레임부(본체부, 프레임부)
2 : 세로 프레임부(본체부, 프레임부)
2a : 긴 구멍(상하 조절부)
3 : 제1 가로 프레임부(본체부, 가로 프레임부, 프레임부)
4 : 제2 가로 프레임부(본체부, 가로 프레임부, 프레임부)
4b : 긴 구멍(가로 조절부)
5 : 제1 아암부(아암부)
6 : 제2 아암부(아암부)
6a : 레일부(전후 조절부)
7 : 유지 기구
10 : 벨트
11 : 가설 부재(프레임부, 저항 기구, 스프링, 판 스프링)
12 : 가설 부재(프레임부, 저항 기구, 스프링, 판 스프링)
14 : 지지 부재(전후 조절부)
14a : 긴 구멍(가로 조절부)
20 : 피결합부(일방향 기구)
21 : 결합 갈고리부(일방향 기구)
22 : 스프링(일방향 기구)
23 : 솔레노이드(해제 기구)
27 : 세로 수용부(수용부)
28 : 하부 수용부(수용부)
29 : 상방 수용부(수용부)
31 : 조작부
36 : 전자 클러치(접속 기구)
37 : 원웨이 클러치(일방향 기구)
A1 : 수평 위치
A2 : 상방 설정 위치
A3 : 하방 설정 위치
P1 : 좌우축의 중심

Claims (6)

  1. 작업자에게 장착되는 본체부와,
    작업자의 어깨부로부터 연장되는 팔부에 장착되는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에 장착되는 작업자의 팔부의 동작에 수반되는 상기 아암부의 동작을 허용하는 허용 상태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아암부를 유지하는 유지 상태로 전환 가능한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아암부가 작업자의 상완부에 장착되는 것이고,
    상기 아암부가 작업자의 어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아암부의 단부가 작업자의 팔꿈치부보다도 어깨부 측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작업자의 전완부를 자유롭게 움직이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유지 기구가, 수평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설정된 상방 설정 위치보다도 상방의 범위에 있어서의 상기 아암부의 동작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유지 기구가, 수평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설정된 하방 설정 위치보다도 하방의 범위에 있어서의 상기 아암부의 동작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 위치와 상기 하방 설정 위치 사이의 각도보다도, 상기 수평 위치와 상기 상방 설정 위치 사이의 각도가 큰 것으로 되도록, 상기 상방 설정 위치가 높은 위치로 설정되어 있는, 자세 유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작업자의 허리부에 장착되는 것이고,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세로 프레임부를 구비하고,
    상기 아암부가, 상기 세로 프레임부에 대하여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되어 있는, 자세 유지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기구가,
    상기 아암부에 장착되는 작업자의 팔부의 동작에 수반되는 상기 아암부의 상방으로의 동작을 허용하고, 또한, 상기 아암부의 하방으로의 동작을 저지하여 상기 아암부를 임의의 위치에서 유지하는 일방향 기구와,
    상기 세로 프레임부와 상기 아암부를 접속하여 상기 일방향 기구를 기능시키는 접속 상태와, 상기 세로 프레임부와 상기 아암부를 차단하여 상기 아암부의 동작을 허용하는 차단 상태로 전환 가능한 접속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자세 유지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기구가, 상기 아암부를 임의의 위치에서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자세 유지구.
  5. 삭제
  6. 삭제
KR1020177013804A 2012-08-08 2013-02-25 자세 유지구 KR1019395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76047 2012-08-08
JP2012176048A JP6021506B2 (ja) 2012-08-08 2012-08-08 姿勢保持具
JP2012176047A JP6021505B2 (ja) 2012-08-08 2012-08-08 姿勢保持具
JPJP-P-2012-176049 2012-08-08
JPJP-P-2012-176048 2012-08-08
JP2012176049A JP5902065B2 (ja) 2012-08-08 2012-08-08 姿勢保持具
PCT/JP2013/054769 WO2014024506A1 (ja) 2012-08-08 2013-02-25 姿勢保持具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4226A Division KR101740573B1 (ko) 2012-08-08 2013-02-25 자세 유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180A KR20170061180A (ko) 2017-06-02
KR101939514B1 true KR101939514B1 (ko) 2019-01-16

Family

ID=500677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4226A KR101740573B1 (ko) 2012-08-08 2013-02-25 자세 유지구
KR1020177013804A KR101939514B1 (ko) 2012-08-08 2013-02-25 자세 유지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4226A KR101740573B1 (ko) 2012-08-08 2013-02-25 자세 유지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1740573B1 (ko)
CN (1) CN104379095B (ko)
WO (1) WO20140245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58427B2 (ja) * 2014-06-13 2018-07-18 国立大学法人 筑波大学 装着式動作補助装置
JP6548394B2 (ja) * 2015-01-14 2019-07-24 株式会社クボタ アシストスーツ
WO2017043587A1 (ja) * 2015-09-10 2017-03-16 タカノ株式会社 手術用補助器具
FR3046051B1 (fr) * 2015-12-24 2020-11-13 Sagem Defense Securite Module de dos pour une structure d'exosquelette
KR102276029B1 (ko) * 2016-01-15 2021-07-13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어시스트 기구
CN105583807A (zh) * 2016-02-29 2016-05-18 江苏常工动力机械有限公司 可穿戴式助力机械臂
CN105598949A (zh) * 2016-02-29 2016-05-25 江苏常工动力机械有限公司 助力式机械臂及其工作方法
US20190118371A1 (en) * 2016-03-30 2019-04-25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Kagawa University Muscular strength assisting apparatus
CN106826764A (zh) * 2016-05-25 2017-06-13 贵州诺义达智能科技有限公司 可穿戴助力设备
WO2018097301A1 (ja) * 2016-11-28 2018-05-31 国立大学法人 香川大学 筋力補助装置
CN107198577B (zh) * 2017-05-25 2019-06-11 沈文龙 一种智能手术座椅
US20190099877A1 (en) * 2017-09-29 2019-04-04 Airbus Operations Gmbh Exoskeleton System
KR102048931B1 (ko) * 2018-01-24 2020-01-08 (주)태림기연 웨어러블 자세유지 보조 장치
JP6542924B1 (ja) * 2018-02-01 2019-07-10 サクラ精機株式会社 リストレストおよびリストレストクッション
CN109330757B (zh) * 2018-12-19 2020-10-13 厦门杰斯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可单人操作的肩关节固定支具
CN109431628A (zh) * 2018-12-25 2019-03-08 吉林大学 一种用于外科医生进行微创手术的支撑辅助装置
EP3952795A4 (en) * 2019-04-10 2022-12-28 Abilitech Medical, Inc. UPPER TORSO WEARABLE ORTHOTIC DEVICE WITH DYNAMIC LEVELING SYSTEM
KR102358634B1 (ko) 2020-08-21 2022-02-07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상체 근력 보조 장치
KR102485765B1 (ko) * 2021-07-27 2023-01-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착용형 외골격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0195A (ja) 2008-03-13 2009-10-01 Shibaura Institute Of Technology 腕運動支援装置
JP2009273711A (ja) 2008-05-15 2009-11-26 Tokyo Univ Of Science 上腕保持装置、及び、上腕補助装置
JP2011092507A (ja) 2009-10-30 2011-05-12 Satsuma Tsushin Kogyo Kk 装着型筋力補助装置
JP2011251057A (ja) * 2010-06-03 2011-12-15 Tokyo Univ Of Agriculture & Technology パワーアシストスー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9859B2 (ja) * 1996-08-29 1999-05-10 保 柳沢 肩支え装置
JP2001187076A (ja) * 1999-12-27 2001-07-10 Agurosu:Kk 腕支え装置
JP4447330B2 (ja) 2004-01-07 2010-04-07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腰部負担軽減具
JP4585542B2 (ja) * 2007-05-31 2010-11-24 博 宇土 上肢挙上作業用支援装置
JP4469402B2 (ja) 2008-05-27 2010-05-26 インターリハ株式会社 アシスト装着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0195A (ja) 2008-03-13 2009-10-01 Shibaura Institute Of Technology 腕運動支援装置
JP2009273711A (ja) 2008-05-15 2009-11-26 Tokyo Univ Of Science 上腕保持装置、及び、上腕補助装置
JP2011092507A (ja) 2009-10-30 2011-05-12 Satsuma Tsushin Kogyo Kk 装着型筋力補助装置
JP2011251057A (ja) * 2010-06-03 2011-12-15 Tokyo Univ Of Agriculture & Technology パワーアシストスー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804A (ko) 2015-02-24
KR20170061180A (ko) 2017-06-02
CN104379095A (zh) 2015-02-25
CN104379095B (zh) 2016-12-21
WO2014024506A1 (ja) 2014-02-13
KR101740573B1 (ko) 201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514B1 (ko) 자세 유지구
US10285843B2 (en) Trunk supporting exoskeleton and method of use
JP5985974B2 (ja) 姿勢保持具
EP3345784A1 (en) Child car seat
US20200114181A1 (en) Harness With Adjustable Belt Strap
JP6021505B2 (ja) 姿勢保持具
EP3375414A1 (en) Wearable sitting posture assisting device
JP5902065B2 (ja) 姿勢保持具
WO2018087180A2 (en) Wearable sitting posture assisting device
JP2016052702A (ja) 上肢補助装置
JP2022512337A (ja) 受動型外骨格のネックスイッチ装置
JP6460966B2 (ja) 姿勢保持具
JP6656312B2 (ja) 姿勢保持具
CA2670463C (en) An arrangement for carrying a hand-held motor-driven tool on a harness
JP5968212B2 (ja) 姿勢保持具
US7958574B1 (en) Upper trunk protector and related methods
EP2525680B1 (en) Attaching structure for an attachable arrangement
WO2018167289A1 (en) Wearable sitting posture assisting device
JP2016190319A (ja) 姿勢保持具
JP6495809B2 (ja) アシストスーツ
EP1803487B1 (en) Safety harness
JP6021506B2 (ja) 姿勢保持具
JP2009112368A (ja) 高所作業用ハーネス
EP3189815A1 (en) Gripping device
JP5971164B2 (ja) 転倒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