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151B1 -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151B1
KR101937151B1 KR1020110121026A KR20110121026A KR101937151B1 KR 101937151 B1 KR101937151 B1 KR 101937151B1 KR 1020110121026 A KR1020110121026 A KR 1020110121026A KR 20110121026 A KR20110121026 A KR 20110121026A KR 101937151 B1 KR101937151 B1 KR 101937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ragrance
hyper
flower
acetophen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5331A (ko
Inventor
최지영
고승호
서형제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10121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151B1/ko
Publication of KR20130055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5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1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SPME법 및 용제추출법에 의해 고광나무꽃의 향취 성분으로서 분석된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ethyl alcohol), 아세토페논(Acetophenone) 및 메틸자스모네이트(Methyl Jasmonate) 등에 2-페닐에틸아세테이트(2-Phenylethyl acetate), 베타-이오논(beta-ionone) 및 감마-노나락톤(gamma-nonalact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고광나무꽃 고유의 향취를 재현하면서 뛰어난 기호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for expressing the fragrance of Philadelphus schrenkii Rupr. var. Schrenkii flower}
본 발명은 고광나무(Philadelphus schrenkii Rupr . var . Schrenkii)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광나무(Philadelphus schrenkii Rupr . var . Schrenkii)는 식물분류상 장미목 범의귀과의 낙엽활엽 관목으로, 한국이 원산지이며, 한국, 일본, 중국 둥베이 등에 분포한다. 키는 2~4m 가량이고, 잎은 어긋나며 길이 7~13㎝, 폭 4~7㎝로 표면은 녹색이고 털이 거의 없으며, 뒷면은 연녹색으로 잔털이 있고 달걀 모양을 하고 있다. 가지는 2개로 갈라지고 작은 가지는 갈색으로 털이 있으며 2년생 가지는 회색이고 껍질이 벗겨진다. 꽃은 4~5월 경에 정상부 혹은 잎이 붙은 곳에서 긴 꽃대에 여러 개의 꽃들이 백색으로 달리는데, 향이 매우 좋고 밤에 보면 야광나무와 같이 밝게 보인다 하여 고광나무라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열매는 9월경에 길이 0.6~0.9㎝, 직경 0.4~0.5㎝로 타원형으로 달린다. 주로 관상용으로 쓰이며, 어린잎은 식용으로 쓰인다.
영문명은 ‘Mock-orange’로, 꽃이 오렌지나 레몬꽃과 유사하고 향기가 좋아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실제로 1981년도 프랑스의 한 향수회사의 조사에서 선호하는 향기 10가지 중 하나로 꼽히기도 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한국 자생 방향식물로서 그 가치를 주목받지 못하고 있으며 고광나무꽃의 향기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고광나무꽃의 향기는 오렌지나 레몬의 꽃과는 달리 동양적이며 맑고 고급스러운 향기를 지니고 있어 국산 향료물질로서 그 중요성이 부각될 수 있다.
상기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적인 방법으로 고광나무꽃의 향취 성분을 화정유(Absolute) 형태로 만드는 용매추출법과 향취 성분을 정유(Essential oil)로 만드는 수증기증류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추출과정에서 높은 열을 가해야 하고 처리 과정이 복잡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본래의 향취와는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SPME법(고상 마이크로 추출법(Solid Phase Micro Extraction); SUPELCO international, Vol.13, No.4, p.9-10)을 비롯한 헤드 스페이스(Head Space)법이 개발되었다. 헤드 스페이스법은 기존의 추출법과는 달리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전처리 또한 필요 없어, 신속하고 간편하게 향취 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휘발성이 좋은 향취 성분은 분석이 용이하지만, 휘발성이 낮거나 분자량이 큰 향취 성분들은 이 방법으로는 분석이 쉽지않다는 단점도 지니고 있다.
한편, GC(Gas Chromatography)는 휘발성 물질의 정성 및 정량 분석을 하는 데 매우 유용한 기기분석이므로 모든 향취 성분 분석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향취 성분 중 역치값이 매우 낮아 저농도에서도 강하게 향을 발현하는 향취 성분들도 존재하는 반면, 그 역치값이 매우 높아 고농도에서도 향을 발현하지 못하는 휘발성 성분도 존재한다. 따라서 단순히 GC를 통해 정량적으로 주요하게 발견되는 휘발성 성분이 반드시 특정 물질의 주요 향취 성분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GC-O(Gas Chromatography Olfactometry, Guth H, Grosch W (1993) Lebensm Wiss U Technol, 196, 22-28)의 방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CG-O는 향취 성분을 크로마토그램의 피크를 통해 분석하는 동시에 직접 향기를 맡으면서 피크로는 나타나지 않지만 실제로 향을 내는 성분을 동정하는 방법이다.
국내특허출원 제 2007-0037741 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살아있는 천연물의 향취물질을 분석하는데 효과적인 SPME법을 이용하여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헤드 스페이스법으로 분석이 어려운 향취 성분들을 보완하기 위해 용제추출법을 동시에 실시하여 고광나무꽃 향취의 주성분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향취의 주성분만으로는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할 수 없어 GC-O를 통해 실제 고광나무꽃의 향기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향취 성분을 동정하였으며, SPME 및 용제추출을 이용하여 발견한 고광나무꽃의 향취 성분과 GC-O를 이용하여 발견한 향취 성분을 사용함으로써 고광나무꽃의 고유 향취를 재현할 수 있고, 뛰어난 기호성을 나타냄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광나무꽃의 고유 향취를 재현할 수 있고, 우수한 기호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광나무꽃의 향취 성분; 및 2-페닐에틸아세테이트(2-Phenylethyl acetate), 베타-이오논(beta-ionone) 및 감마-노나락톤(gamma-nonalact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SPME법 및 용제추출법에 의해서 분석된 고광나무꽃 향취를 재현하기 위한 주요 성분들로서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ethyl alcohol), 아세토페논(Acetophenone) 및 메틸자스모네이트(Methyl Jasmonate)등 고광나무꽃 향취의 주요 성분에 2-페닐에틸아세테이트(2-Phenylethyl acetate), 베타-이오논(beta-ionone), 감마-노나락톤(gamma-nonalactone) 중 적어도 한 개의 물질을 함유함으로써,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고, 향취의 기호성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조성물은 고광나무꽃의 향취 성분; 및 2-페닐에틸아세테이트(2-Phenylethyl acetate), 베타-이오논(beta-ionone) 및 감마-노나락톤(gamma-nonalactone) 중 적어도 한 개의 물질을 필수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고광나무꽃의 고유향취를 재현할 수 있으며, 우수한 기호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고광나무꽃의 향취 성분은 주요 성분들로서 2-페닐에틸알코올, 아세토페논, 메틸자스모네이트를, 부차적인 성분으로서 페닐아세트알데히드, 벤잘데히드, 데카날, 게라니올을 사용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페닐에틸알코올을 38.00~50.00중량부, 아세토페논을 0.01~11.00중량부, 메틸자스모네이트를 0.01~10.00중량부, 페닐아세트알데히드를 4.00~18.00중량부, 벤잘데히드를 2.00~12.00중량부, 데카날을 2.00~12.00중량부, 게라니올을 0.01~5.00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고광나무꽃의 고유 향취를 재현하여 고광나무꽃과의 향취 유사성을 높이고 우수한 기호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향취 성분에 더하여 2-페닐에틸아세테이트(2-Phenylethyl acetate), 베타-이오논(beta-ionone) 및 감마-노나락톤(gamma-nonalactone) 중 1종 이상의 물질을 필수성분으로서 함유하며, 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페닐에틸아세테이트는 1.00~15.00중량부, 베타-이오논은 5.00~15.00중량부, 감마-노나락톤은 1.00~10.00중량부의 범위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주요 성분인 2-페닐에틸알코올, 아세토페논, 메틸자스모네이트; 부차적인 성분인 페닐아세트알데히드, 벤잘데히드, 데카날, 게라니올; 및 그 밖의 필수성분인 2-페닐에틸아세테이트(2-Phenylethyl acetate), 베타-이오논(beta-ionone) 및 감마-노나락톤은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난 범위로 사용할 경우, 고광나무꽃과의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고, 향취의 기호성도 낮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의 범위로 혼합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향수, 화장품 등의 피부 외용 기제에 배합될 수 있고, 배합량은 당업계에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목적하는 효과를 이루기 위해 적절하게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외용기제로는 예를 들면, 연고, 로션, 가용화상, 현탁액, 에멀젼, 크림,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또는 물파스 등이 있지만,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 주지된 어떠한 기제에도 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고광나무꽃의 향취 성분에 대한 분석방법으로는 SPME법과 용제추출법을 동시에 사용한다. SPME법은 특별한 전처리없이 화이버(Fiber)에 흡착된 향취 성분들이 GS-MS 컬럼안으로 빠르게 탈착, 주입될 수 있어, 분석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으므로, 휘발성이 강한 고광나무꽃의 향취 성분을 분석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용제추출법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SPME법에서 검출되지 않은 물질을 검출하여 각 추출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고광나무꽃의 향기 발현에 실제로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향취 성분을 밝혀내기 위하여 GC-O 방법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SPME법과 용제추출법에 의해서 분석된 고광나무꽃의 향취 성분을 토대로 조합 향료를 조성하고, 이에 대해 고광나무꽃 향취와의 유사성 및 향취의 기호성을 후각관능검사를 통해 수행하였다. 관능검사는 전문 조향사 및 일반인에 의해 실시되었고, 고광나무꽃 향취와의 유사성 및 향취의 기호성은 설문 조사를 통해 평가되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른 적용, 변형 등도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참고예 1] SPME법 및 용제추출법을 이용한 고광나무꽃의 향취 분석
향기가 강한 고광나무꽃 한 줄기를 골라 2시간동안 85㎛의 폴리아크릴레이트로 코팅된 화이버(Polyacrylate Fiber)에 향취 성분을 흡착시켜 향취 성분을 포집하였다. 포집은 전주수목원에서 이루어졌다.
고광나무꽃의 향을 용제추출법을 이용하여 얻기 위해 고광나무꽃 720g을 따서 1리터짜리 삼각플라스크 3개에 나눈 다음 꽃들이 완전히 잠기도록 에틸 에테르(Ethyl Ether, 순도 99.0%, Fisher Scientific) 1.5리터를 붓고 4시간 15분 동안 침적시켰다. 침적물을 아드방테크 2번 여과지(Advantec No.2, 지름 185mm)로 여과 후 꽃은 버리고, 추출물은 무수황산나트륨(Na2SO4 , Sodium Sulfate, 순도 99.7%, Sigma Aldrich) 100g을 사용하여 수분을 제거하였으며, 다시 아드방테크 2번 여과지를 이용해서 여과했다. 그런 다음 38℃의 물중탕에서 용제인 에틸 에테르를 휘발시키고, 다시 감압수증기증류를 실시하여 13.2mg의 향기농축물을 얻었다. 이 향기농축물을 분석을 위해 오염되지 않은 유리병에 담아 뚜껑을 닫은 다음 밀봉해서 냉장고에 보관했다.
위와 같이 SPME법과 용제추출법을 이용하여 얻은 고광나무꽃의 향기 성분은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GC-MS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다.
분석 조건
. 분석기기: HP 5890 II GC
. 검출기: HP 5972 MSD
. 컬럼(Column): DB-1(60m X 0.25mm X 0.25㎛)
. 이동 기체(Carrier Gas): He
. 주입부 온도(Injection Temperature): 250℃
. 검출부 온도(Detector Temperature): 280℃
. 오븐 온도(Oven Temperature): 70℃~220℃(3℃/분)
. 이온화 전압(Ionization Voltage): 70eV
. 탈착 시간: 2분 (SPME)
그 결과, SPME법 및 용제추출법에 의해 분석된 고광나무꽃의 향취 성분은 하기 표 1과 같다.
향료명 함량(%)
2-페닐에틸알코올 33.12
페닐아세트알데히드 11.17
벤잘데히드 7.11
데카날 6.95
메틸자스모네이트 4.21
아세토페논 3.84
게라니올 2.15
기타 31.45
총함량 100.0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광나무꽃은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ethyl alcohol), 페닐아세트알데히드(Phenylacetaldehyde) 및 벤잘데히드(Benzaldehyde)를 주요 향취 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이들 주요성분은 전체의 51.4%를 차지한다.
[시험예 1] 분석결과로 조성된 향료와 천연 고광나무꽃의 향취와의 비교관능평가
상기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새로이 조성한 하기 표 2의 조성을 갖는 조합향료(샘플 B)를 만들고, 이 조합항료와 천연 고광나무꽃의 향취 유사성을 관능평가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향료명 함량(%)
2-페닐에틸알코올 33.12
페닐아세트알데히드 11.17
벤잘데히드 7.11
데카날 6.95
메틸자스모네이트 4.21
아세토페논 3.84
게라니올 2.15
디프로필렌글라이콜 31.45
총함량 100.0
관능평가는 20~45세의 일반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고광나무꽃 화분의 샘플 A와, SPME법과 용제추출법으로 재현한 상기 표 2의 샘플 B의 향취를 각각 맡아보도록 하고, 하기 표 3의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함으로써 샘플 A와 샘플 B의 향취 유사성(질문 1) 및 향취의 기호성(질문 2)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설문지
(1) 질문 1: 샘플A와 샘플B의 향취가 얼마나 유사(비슷)한가?
1) 전혀 유사하지 않다.
2) 별로 유사하지 않다.
3) 그저 그렇다.
4) 어느 정도 유사하다.
5) 매우 유사하다.
(2) 질문 2: 샘플 B의 향취를 얼마나 좋아하는가?
1) 전혀 좋지 않다.
2) 별로 좋지 않다.
3) 그저 그렇다.
4) 약간 좋다.
5) 매우 좋다.
평가요원 질문 1 (유사성) 질문 2 (기호성)
1 1 3
2 1 2
3 2 1
4 2 2
5 2 2
6 2 2
7 2 1
8 4 1
9 2 2
10 2 2
11 2 2
12 3 2
13 2 3
14 1 3
15 3 1
16 2 1
17 2 3
18 1 2
19 2 3
20 2 1
평균 2.00 1.95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합향료인 샘플 B는 천연 고광나무꽃 화분의 꽃 향취와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호성도 낮게 나타났다.
[시험예 2] 전문 평가단에 의한 향취분석과 고광나무꽃과의 향취 비교
상기 시험예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SPME법과 용제추출법만으로 분석된 성분으로 조성한 향료 조성물은 고광나무꽃과 항취 유사성이 없었다.
이에, 조향사로 구성된 전문 평가단은 고광나무꽃의 각각의 향취 성분들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고광나무꽃의 향취 성분들 중, 장미꽃(Rose Petal)과 같은 향취 향취를 만들어내는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ethyl alcohol), 오렌지 꽃과 같이 신선한 깨끗한 꽃 향취(White Floral)를 느낄 수 있는 아세토페논(Acetophenone), 달콤한 자스민(Jasmine)과 유사한 향취를 내는 메틸자스모네이트(Methyl jasmonate)의 세 성분이 고광나무꽃의 고유향취를 만들어내는 주요성분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세가지 주성분의 함량변화에 따른 새로운 조합향료의 제조
상기 시험예 2로부터, 고광나무꽃의 독창적 향취의 주성분이 2-페닐에틸알코올, 아세토페논 및 메틸자스모네이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들 세 성분을 함유하여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그대로 나타내면서, 기호성이 좋은 향료를 제조하기 위해서 하기 #1 내지 #4의 새로운 조합 향료들을 만들었다.
조합향료 #1부터 #4는 이들 세 성분의 비율은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세가지 향료의 함량을 50~65중량부로 변화시켜 제조하였으며,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향료명 #1 #2 #3 #4
(50중량부) (55중량부) (60중량부) (65중량부)
2-페닐에틸알코올 40.24 44.27 48.29 52.31
아세토페논 5.12 5.63 6.14 6.65
메틸자스모네이트 4.64 5.1 5.57 6.04
페닐아세트알데히드 20.39 18.35 16.31 14.27
벤잘데히드 12.98 11.68 10.39 9.09
데카날 12.69 11.42 10.15 8.88
게라니올 3.94 3.55 3.15 2.76
총 함량 100.0 100 100.0 100
[시험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향료들의 관능평가
새로이 조합된 상기 실시예 1의 4가지의 향료에 대해, 고광나무꽃 향취와의 유사성 및 기호성을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의 관능평가에 의해 실시하였다. 한편, 두 개의 조합향료에 대한 비교관능평가를 실시한 후, 5분 동안의 휴식시간을 주어 후감각 마비현상이 없도록 하였다. 새로운 조합향료와 고광나무꽃과의 향취 유사성 및 기호성에 관한 관능평가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평가
요원
질문1 (유사성) 질문2 (기호성)
조합향료번호 조합향료번호
#1 #2 #3 #4 #1 #2 #3 #4
1 2.0 4.0 3.0 2.0 2.0 3.0 3.0 1.0
2 2.0 3.0 3.0 3.0 2.0 3.0 3.0 2.0
3 3.0 3.0 4.0 3.0 1.0 4.0 3.0 2.0
4 2.0 3.0 3.0 2.0 2.0 3.0 2.0 3.0
5 2.0 4.0 2.0 2.0 1.0 3.0 3.0 4.0
6 2.0 4.0 3.0 2.0 2.0 4.0 2.0 3.0
7 3.0 4.0 2.0 2.0 2.0 2.0 1.0 3.0
8 2.0 3.0 3.0 2.0 1.0 3.0 2.0 3.0
9 3.0 4.0 3.0 2.0 2.0 3.0 3.0 3.0
10 2.0 4.0 2.0 3.0 1.0 4.0 3.0 2.0
11 2.0 3.0 4.0 2.0 2.0 3.0 2.0 3.0
12 3.0 4.0 3.0 3.0 3.0 3.0 3.0 2.0
13 2.0 2.0 2.0 3.0 2.0 3.0 2.0 2.0
14 3.0 2.0 3.0 3.0 3.0 2.0 3.0 2.0
15 3.0 4.0 3.0 2.0 3.0 3.0 3.0 2.0
16 2.0 3.0 3.0 2.0 2.0 3.0 3.0 2.0
17 2.0 3.0 3.0 2.0 3.0 3.0 3.0 3.0
18 1.0 4.0 3.0 3.0 3.0 4.0 3.0 2.0
19 2.0 4.0 3.0 3.0 2.0 4.0 3.0 3.0
20 2.0 3.0 3.0 2.0 3.0 3.0 2.0 2.0
평균 2.25 3.4 2.90 2.40 2.10 3.15 2.60 2.45
상기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요 세 성분의 총함량이 55중량부를 차지하는 샘플 #2가 4개의 조합향료 중 가장 뛰어난 유사성과 기호성을 갖는 것으로 보여졌으나, 유사성과 기호성이 모두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예 2] GC-O법을 이용한 고광나무꽃의 향취 분석
상기 참고예 1을 통해 얻은 향기성분을 GC-O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분석과 후각을 이용한 관능적인 분석을 통하여 실제로 고광나무꽃의 향취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향기활성성분을 동정하였다. GC-O는 기계 분석을 위한 GC(3900, Varian, Walnut Creek, USA)와 냄새를 맡기 위한 스니핑 포트(Sniffing port)(ODO II, SGE, Ringwood, Australia)를 연결하여 기계분석과 후각분석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GC 분석 조건은 참고예 1에서의 조건과 동일하다.
그 결과, GC-O를 통해 고광나무꽃에서 실제로 향을 강하게 내는 향기활성성분으로 제라늄의 향을 내는 게라니올(Geranipol), 달콤한 꽃향기를 나타내는 2-페닐에틸아세테이트(2-Phenylethyl acetate), 따뜻한 나무와 같은 향취를 내는 베타-이오논(beta-ionone), 체리와 같은 꽃향을 나타내는 아니스알데히드(Anisaldehyde), 자스민과 같은 향취를 나타내는 메틸자스모네이트(Methyl jasmonate), 코코넛의 특징적인 향을 나타내는 감마-노나락톤(gamma-nonalactone), 바닐라의 특징적인 향취를 나타내는 바닐린(Vanillin)이 동정되었다. 이 중 2-페닐에틸아세테이트, 베타-이오논, 감마-노나락톤은 GC-MS를 이용한 분석에는 피크로 나타나지 않았으나 GC-O를 이용한 후각 분석을 통해 고광나무꽃의 향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향기활성성분으로 새롭게 동정되었다.
[실시예 2] 전문 평가단의 분석에 의한 향취 개선향료 제조 1
상기 표 6에서 고광나무꽃의 향취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 샘플 #2의 향료의 유사성 및 기호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상기 샘플 #2에서와 같이 2-페닐에틸알코올, 아세토페논 및 메틸자스모네이트의 함량을 55중량부로 하고, 여기에 GC-O를 통해 고광나무꽃 향기의 재현에 특유의 향을 갖게 만드는 향취 성분으로 새롭게 동정한 2-페닐에틸아세테이트(2-Phenylethyl acetate)를 사용하여 새로운 조합향료를 제조하였다. 이때, 2-페닐에틸아세테이트의 함량기준은 조향사 전문가 집단의 판단에 의해서 기준을 잡았으며, 1.00중량부, 5.00중량부, 10.00중량부, 15.00중량부, 20.00중량부, 25.00중량부 및 30.00중량부의 함량으로 첨가하였고, 그 외 성분들은 2-페닐에틸아세테이트의 함량 변화에 따라 총 함량을 100으로 맞추기 위해 조절하였다. 이들 재조합 향료의 조성은 하기 표 7과 같다.
(함량: 중량부)
조합향료 번호 #가 #나 #다 #라 #마 #바 #사
향료명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2-페닐에틸알코올 44.27 44.27 44.27 44.27 44.27 44.27 44.27
아세토페논 5.63 5.63 5.63 5.63 5.63 5.63 5.63
메틸자스모네이트 5.1 5.1 5.1 5.1 5.1 5.1 5.1
2-페닐에틸아세테이트 1.0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페닐아세트알데히드 17.94 16.31 14.27 12.23 10.20 8.15 6.12
벤잘데히드 11.42 10.38 9.09 7.79 6.49 5.19 3.89
데카날 11.17 10.15 8.88 7.61 6.34 5.08 3.81
게라니올 3.47 3.16 2.76 2.37 1.97 1.58 1.18
총함량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시험예 4]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조합향료들의 관능평가
상기에서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조합 향료들에 대해 고광나무꽃과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의 기호성을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두 개의 조합향료에 대한 비교관능평가를 실시한 후, 5분 동안의 휴식시간을 주어, 후감각 마비현상이 없도록 하였다. 새로운 조합향료와 고광나무꽃과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 기호성에 결과는 하기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다.
평가요원 질문1 (유사성) 질문2 (기호성)
조합향료번호 조합향료번호
#가 #나 #다 #라 #마 #바 #사 #가 #나 #다 #라 #마 #바 #사
1 4.0 5.0 5.0 3.0 4.0 4.0 3.0 4.0 4.0 5.0 4.0 4.0 4.0 4.0
2 3.0 4.0 4.0 4.0 3.0 3.0 3.0 4.0 4.0 4.0 3.0 3.0 3.0 3.0
3 3.0 3.0 4.0 3.0 3.0 4.0 3.0 4.0 4.0 3.0 3.0 3.0 3.0 3.0
4 4.0 4.0 4.0 3.0 3.0 3.0 2.0 4.0 3.0 4.0 3.0 3.0 3.0 2.0
5 3.0 4.0 4.0 4.0 3.0 3.0 3.0 3.0 3.0 5.0 4.0 4.0 3.0 3.0
6 3.0 4.0 3.0 3.0 3.0 4.0 3.0 3.0 4.0 4.0 3.0 4.0 3.0 4.0
7 4.0 4.0 4.0 4.0 3.0 2.0 3.0 3.0 3.0 4.0 4.0 4.0 3.0 3.0
8 4.0 3.0 4.0 4.0 3.0 3.0 3.0 3.0 4.0 3.0 4.0 3.0 3.0 4.0
9 4.0 4.0 3.0 3.0 3.0 3.0 3.0 3.0 3.0 5.0 4.0 4.0 4.0 3.0
10 4.0 4.0 5.0 4.0 4.0 3.0 3.0 4.0 4.0 4.0 3.0 4.0 3.0 3.0
11 3.0 3.0 4.0 4.0 3.0 4.0 3.0 3.0 5.0 4.0 4.0 3.0 3.0 4.0
12 3.0 4.0 5.0 4.0 4.0 3.0 3.0 4.0 4.0 4.0 3.0 4.0 4.0 3.0
13 4.0 3.0 3.0 3.0 3.0 3.0 3.0 3.0 4.0 4.0 4.0 2.0 3.0 2.0
14 3.0 3.0 4.0 3.0 3.0 4.0 2.0 5.0 3.0 3.0 3.0 2.0 4.0 2.0
15 4.0 4.0 4.0 4.0 4.0 3.0 4.0 4.0 4.0 4.0 4.0 4.0 3.0 3.0
16 4.0 4.0 4.0 4.0 3.0 3.0 2.0 3.0 4.0 5.0 4.0 3.0 3.0 3.0
17 3.0 4.0 4.0 4.0 3.0 4.0 3.0 5.0 4.0 4.0 4.0 3.0 3.0 4.0
18 4.0 2.0 5.0 3.0 4.0 2.0 3.0 4.0 4.0 4.0 3.0 4.0 4.0 2.0
19 4.0 4.0 4.0 3.0 4.0 3.0 3.0 4.0 4.0 5.0 4.0 4.0 4.0 3.0
20 4.0 4.0 4.0 4.0 3.0 3.0 4.0 3.0 4.0 5.0 4.0 3.0 3.0 4.0
평균 3.60 3.70 4.05 3.55 3.30 3.20 2.95 3.65 3.80 4.15 3.60 3.4 3.30 3.10
상기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2-페닐에틸알코올, 아세토페논 및 메틸자스모네이트로 이루어진 고광나무꽃의 주요 향취 성분에 2-페닐에틸아세테이트를 1.00 내지 25.00중량부를 함유할 때,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보다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고, 기호성이 더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평균 3.0 이상). 특히, 2-페닐에틸아세테이트를 1.00 내지 15.00중량부로 함유할 경우에는 고광나무꽃과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 기호성이 매우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평균 3.5 이상).
반면, 2-페닐에틸아세테이트를 25.00중량부 초과로 함유하면 오히려 향취의 유사성 및 기호성이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전문 평가단의 분석에 의한 향취 개선향료 제조 2
상기 표 6에서 고광나무꽃의 향취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 샘플 #2의 향료의 유사성 및 기호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상기 샘플 #2에서와 같이 2-페닐에틸알코올, 아세토페논 및 메틸자스모네이트를 55중량부의 함량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GC-O를 통해 고광나무꽃 향기의 재현에 특유의 향을 갖게 만드는 향취 성분으로 동정한 베타-이오논(beta-ionone)을 사용하여 새로운 조합향료를 제조하였다. 이때, 베타-이오논의 함량기준은 조향사 전문가 집단의 판단에 의해서 기준을 잡았으며, 1.00중량부, 5.00중량부, 10.00중량부, 15.00중량부, 20.00중량부, 25.00중량부 및 30.00중량부의 함량으로 첨가하였고, 그 외 성분들은 베타-이오논의 함량 변화에 따라 총 함량을 100으로 맞추기 위해 조절하였다. 이들 재조합 항료의 조성은 하기 표 9와 같다.
(함량: 중량부)
조합향료 번호 #A #B #C #D #E #F #G
향료명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2-페닐에틸알코올 44.27 44.27 44.27 44.27 44.27 44.27 44.27
아세토페논 5.63 5.63 5.63 5.63 5.63 5.63 5.63
메틸자스모네이트 5.1 5.1 5.1 5.1 5.1 5.1 5.1
베타-이오논 1.0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페닐아세트알데히드 17.94 16.31 14.27 12.23 10.20 8.15 6.12
벤잘데히드 11.42 10.38 9.09 7.79 6.49 5.19 3.89
데카날 11.17 10.15 8.88 7.61 6.34 5.08 3.81
게라니올 3.47 3.16 2.76 2.37 1.97 1.58 1.18
총함량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시험예 5]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조합향료들의 관능평가
상기에서 #A, #B, #C, #D, #E, #F, #G 조합 향료들에 대해 고광나무꽃과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의 기호성을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두 개의 조합향료에 대한 비교관능평가를 실시한 후, 5분 동안의 휴식시간을 주어, 후감각 마비현상이 없도록 하였다. 새로운 조합향료와 고광나무꽃과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 기호성에 결과는 하기 표 10에서 보는 바와 같다.
평가요원 질문1 (유사성) 질문2 (기호성)
조합향료번호 조합향료번호
#A #B #C #D #E #F #G #A #B #C #D #E #F #G
1 2.0 4.0 4.0 4.0 3.0 3.0 4.0 4.0 3.0 3.0 3.0 4.0 4.0 3.0
2 3.0 3.0 4.0 4.0 3.0 2.0 3.0 3.0 3.0 4.0 4.0 3.0 3.0 3.0
3 4.0 4.0 5.0 5.0 3.0 3.0 2.0 3.0 4.0 5.0 4.0 3.0 3.0 2.0
4 3.0 4.0 4.0 4.0 3.0 3.0 3.0 2.0 4.0 4.0 4.0 3.0 2.0 3.0
5 3.0 3.0 4.0 4.0 3.0 3.0 3.0 3.0 4.0 5.0 3.0 3.0 3.0 3.0
6 4.0 3.0 3.0 4.0 3.0 2.0 3.0 4.0 3.0 4.0 4.0 3.0 3.0 2.0
7 4.0 4.0 4.0 3.0 3.0 3.0 3.0 3.0 3.0 4.0 3.0 3.0 3.0 2.0
8 3.0 4.0 4.0 3.0 4.0 3.0 3.0 4.0 4.0 3.0 4.0 3.0 3.0 3.0
9 3.0 4.0 4.0 4.0 3.0 3.0 2.0 3.0 3.0 5.0 3.0 4.0 3.0 3.0
10 3.0 3.0 5.0 4.0 4.0 3.0 3.0 3.0 4.0 4.0 4.0 3.0 3.0 3.0
11 4.0 3.0 3.0 4.0 3.0 3.0 3.0 4.0 3.0 4.0 5.0 3.0 3.0 4.0
12 3.0 4.0 5.0 3.0 4.0 3.0 2.0 3.0 4.0 4.0 4.0 4.0 3.0 3.0
13 3.0 3.0 3.0 2.0 3.0 4.0 2.0 2.0 3.0 4.0 4.0 3.0 3.0 3.0
14 4.0 3.0 5.0 3.0 3.0 3.0 2.0 2.0 5.0 3.0 3.0 4.0 2.0 2.0
15 3.0 4.0 4.0 4.0 4.0 3.0 3.0 3.0 4.0 4.0 4.0 3.0 3.0 3.0
16 3.0 4.0 4.0 4.0 3.0 3.0 3.0 3.0 3.0 5.0 4.0 3.0 2.0 2.0
17 4.0 3.0 4.0 4.0 3.0 3.0 3.0 4.0 5.0 4.0 4.0 3.0 3.0 2.0
18 3.0 4.0 4.0 3.0 4.0 4.0 3.0 2.0 4.0 4.0 4.0 4.0 3.0 3.0
19 2.0 4.0 4.0 4.0 4.0 2.0 3.0 3.0 4.0 5.0 4.0 4.0 3.0 2.0
20 3.0 4.0 4.0 4.0 3.0 2.0 3.0 4.0 3.0 5.0 4.0 3.0 4.0 3.0
평균 3.20 3.60 4.05 3.70 3.30 2.90 2.80 3.10 3.65 4.15 3.80 3.30 2.95 2.70
상기 표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2-페닐에틸알코올, 아세토페논 및 메틸자스모네이트로 이루어진 고광나무꽃의 주요 향취 성분에 베타-이오논을 1.00 내지 20.00중량부를 함유할 때,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보다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고, 기호성이 더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평균 3.0 이상). 특히, 베타-이오논을 5.00 내지 15.00중량부로 함유할 경우에는 고광나무꽃과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 기호성이 매우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평균 3.5 이상).
반면, 베타-이오논을 20.00중량부 초과로 함유하면 오히려 향취의 유사성 및 기호성이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전문 평가단의 분석에 의한 향취 개선향료 제조 3
상기 표 6에서 고광나무꽃의 향취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 샘플 #2의 향료의 유사성 및 기호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상기 샘플 #2에서와 같이 2-페닐에틸알코올, 아세토페논 및 메틸자스모네이트를 55중량부의 함량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GC-O를 통해 고광나무꽃 향기의 재현에 특유의 향을 갖게 만드는 향취 성분으로 동정한 감마-노나락톤(gamma-nonalactone)을 사용하여 새로운 조합향료를 제조하였다. 이때, 감마-노나락톤의 함량기준은 조향사 전문가 집단의 판단에 의해서 기준을 잡았으며, 1.00중량부, 5.00중량부, 10.00중량부, 15.00중량부, 20.00중량부, 25.00중량부 및 30.00중량부의 함량으로 첨가하였고, 그 외 성분들은 감마-노나락톤의 함량 변화에 따라 총 함량을 100으로 맞추기 위해 조절하였다. 이들 재조합 항료의 조성은 하기 표 11과 같다.
(함량: 중량부)
조합향료 번호 #I #II #III #IV #V #VI #VII
향료명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2-페닐에틸알코올 44.27 44.27 44.27 44.27 44.27 44.27 44.27
아세토페논 5.63 5.63 5.63 5.63 5.63 5.63 5.63
메틸자스모네이트 5.1 5.1 5.1 5.1 5.1 5.1 5.1
감마-노나락톤 1.0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페닐아세트알데히드 17.94 16.31 14.27 12.23 10.20 8.15 6.12
벤잘데히드 11.42 10.38 9.09 7.79 6.49 5.19 3.89
데카날 11.17 10.15 8.88 7.61 6.34 5.08 3.81
게라니올 3.47 3.16 2.76 2.37 1.97 1.58 1.18
총함량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시험예 6] 실시예 7에서 제조된 조합향료들의 관능평가
상기에서 #I, #II, #III, #IV, #V, #VI, #VII 조합 향료들에 대해 고광나무꽃과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의 기호성을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두 개의 조합향료에 대한 비교관능평가를 실시한 후, 5분 동안의 휴식시간을 주어, 후감각 마비현상이 없도록 하였다. 새로운 조합향료와 고광나무꽃과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 기호성에 결과는 하기 표 12에서 보는 바와 같다.
평가요원 질문1 (유사성) 질문2 (기호성)
조합향료번호 조합향료번호
#I #II #III #IV #V #VI #VII #I #II #III #IV #V #VI #VII
1 4.0 4.0 5.0 4.0 4.0 4.0 2.0 4.0 5.0 4.0 3.0 4.0 4.0 3.0
2 4.0 5.0 4.0 3.0 3.0 3.0 3.0 4.0 4.0 3.0 3.0 3.0 3.0 3.0
3 4.0 4.0 3.0 3.0 3.0 4.0 4.0 4.0 3.0 3.0 3.0 3.0 3.0 3.0
4 3.0 3.0 4.0 3.0 3.0 3.0 3.0 4.0 4.0 4.0 3.0 3.0 2.0 2.0
5 3.0 3.0 4.0 4.0 3.0 3.0 3.0 3.0 5.0 3.0 3.0 3.0 3.0 3.0
6 4.0 4.0 4.0 4.0 3.0 4.0 3.0 3.0 4.0 3.0 3.0 3.0 4.0 3.0
7 3.0 4.0 4.0 4.0 3.0 2.0 2.0 3.0 4.0 4.0 3.0 3.0 3.0 3.0
8 4.0 5.0 3.0 3.0 3.0 3.0 3.0 3.0 3.0 4.0 4.0 3.0 4.0 3.0
9 3.0 4.0 4.0 4.0 3.0 3.0 2.0 3.0 5.0 4.0 3.0 4.0 3.0 3.0
10 4.0 4.0 4.0 4.0 4.0 3.0 3.0 4.0 4.0 4.0 4.0 3.0 3.0 3.0
11 5.0 5.0 3.0 3.0 3.0 4.0 3.0 3.0 4.0 3.0 3.0 3.0 4.0 3.0
12 4.0 4.0 4.0 4.0 4.0 3.0 2.0 4.0 4.0 3.0 4.0 4.0 3.0 3.0
13 4.0 4.0 3.0 2.0 3.0 3.0 2.0 3.0 4.0 4.0 3.0 3.0 2.0 3.0
14 3.0 3.0 3.0 2.0 3.0 4.0 3.0 5.0 3.0 3.0 3.0 4.0 2.0 2.0
15 4.0 5.0 4.0 4.0 4.0 3.0 3.0 4.0 4.0 4.0 4.0 3.0 3.0 4.0
16 4.0 4.0 4.0 3.0 3.0 3.0 3.0 3.0 5.0 4.0 3.0 3.0 3.0 2.0
17 4.0 3.0 4.0 3.0 3.0 4.0 3.0 5.0 4.0 3.0 3.0 3.0 4.0 3.0
18 4.0 5.0 2.0 4.0 4.0 2.0 3.0 4.0 4.0 4.0 4.0 4.0 2.0 3.0
19 4.0 4.0 4.0 4.0 4.0 3.0 3.0 4.0 5.0 4.0 4.0 4.0 3.0 3.0
20 4.0 4.0 4.0 3.0 3.0 3.0 3.0 3.0 5.0 4.0 3.0 3.0 4.0 4.0
평균 3.80 4.05 3.70 3.40 3.30 3.20 2.80 3.65 4.15 3.60 3.30 3.30 3.10 2.95
상기 표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2-페닐에틸알코올, 아세토페논 및 메틸자스모네이트로 이루어진 고광나무꽃의 주요 향취 성분에 감마-노나락톤(gamma-nonalactone)을 1.00 내지 25.00중량부를 함유할 때,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보다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고, 기호성이 더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평균 3.0 이상). 특히, 감마-노나락톤을 1.00 내지 10.00중량부로 함유할 경우에는 고광나무꽃과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 기호성이 매우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평균 3.5 이상).
반면, 감마-노나락톤을 25.00중량부 초과로 함유하면 오히려 향취의 유사성 및 기호성이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전문 평가단의 분석에 의한 향취 개선향료 제조 4
상기 표 6에서 고광나무꽃의 향취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 샘플 #2의 향료의 유사성 및 기호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상기 샘플 #2에서와 같이 2-페닐에틸알코올, 아세토페논 및 메틸자스모네이트를 55중량부의 함량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GC-O를 통해 고광나무꽃 향기의 재현에 특유의 향을 갖게 만드는 향취 성분으로 동정한 2-페닐에틸아세테이트(2-Phenylethyl acetate)와 베타-이오논(beta-ionone)을 동시에 사용하여 새로운 조합향료를 제조하였다. 이때, 2-페닐에틸아세테이트와 베타-이오논의 함량기준은 조향사 전문가 집단의 판단에 의해서 기준을 잡았으며, 2-페닐에틸아세테이트는 1.00중량부, 5.00중량부, 10.00중량부, 베타-이오논은 5.00중량부, 10.00중량부, 15.00중량부의 함량으로 첨가하였고, 그 외 성분들은 2-페닐에틸아세테이트와 베타-이오논의 함량 변화에 따라 총 함량을 100으로 맞추기 위해 조절하였다. 이들 재조합 향료의 조성은 하기 표 13과 같다.
(함량: 중량부)
조합향료 번호 #a #b #c #d #e #f #g #h #i
향료명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2-페닐에틸알코올 44.27 44.27 44.27 44.27 44.27 44.27 44.27 44.27 44.27
아세토페논 5.63 5.63 5.63 5.63 5.63 5.63 5.63 5.63 5.63
메틸자스모네이트 5.1 5.1 5.1 5.1 5.1 5.1 5.1 5.1 5.1
2-페닐에틸아세테이트 1.00 1.00 1.00 5.00 5.00 5.00 10.00 10.00 10.00
베타-이오논 5.00 10.00 15.00 5.00 10.00 15.00 5.00 10.00 15.00
페닐아세트알데히드 15.90 13.86 11.82 14.27 12.23 10.20 12.23 10.20 8.15
벤잘데히드 10.12 8.83 7.53 9.09 7.79 6.49 7.79 6.49 5.19
데카날 9.90 8.63 7.36 8.88 7.61 6.34 7.61 6.34 5.08
게라니올 3.08 2.68 2.29 2.76 2.37 1.97 2.37 1.97 1.58
총함량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시험예 7] 실시예 5에서 제조된 조합향료들의 관능평가
상기에서 #a, #b, #c, #d, #e, #f, #g 조합 향료들에 대해 고광나무꽃과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의 기호성을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두 개의 조합향료에 대한 비교관능평가를 실시한 후, 5분 동안의 휴식시간을 주어, 후감각 마비현상이 없도록 하였다. 새로운 조합향료와 고광나무꽃과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 기호성에 결과는 하기 표 14에서 보는 바와 같다.
평가요원 질문1 (유사성) 질문2 (기호성)
조합향료번호 조합향료번호
#a #b #c #d #e #f #g #h #i #a #b #c #d #e #f #g #h #i
1 4.0 4.0 5.0 4.0 4.0 4.0 4.0 4.0 4.0 4.0 5.0 4.0 5.0 4.0 4.0 4.0 4.0 4.0
2 4.0 4.0 4.0 5.0 4.0 3.0 3.0 3.0 4.0 4.0 4.0 3.0 4.0 4.0 4.0 4.0 4.0 4.0
3 4.0 4.0 3.0 4.0 4.0 3.0 3.0 4.0 4.0 4.0 3.0 3.0 4.0 3.0 4.0 4.0 3.0 4.0
4 3.0 4.0 4.0 3.0 4.0 3.0 4.0 4.0 4.0 4.0 4.0 4.0 4.0 3.0 4.0 4.0 4.0 4.0
5 3.0 3.0 4.0 3.0 3.0 4.0 3.0 4.0 3.0 3.0 5.0 3.0 5.0 4.0 4.0 3.0 3.0 3.0
6 4.0 4.0 4.0 4.0 3.0 4.0 3.0 3.0 3.0 3.0 4.0 3.0 4.0 4.0 4.0 3.0 3.0 3.0
7 3.0 4.0 4.0 4.0 3.0 4.0 4.0 3.0 3.0 3.0 4.0 4.0 4.0 4.0 4.0 4.0 4.0 3.0
8 4.0 4.0 3.0 5.0 3.0 3.0 4.0 3.0 3.0 3.0 3.0 4.0 4.0 3.0 4.0 4.0 4.0 4.0
9 3.0 3.0 4.0 4.0 3.0 4.0 4.0 3.0 3.0 3.0 5.0 4.0 5.0 4.0 3.0 3.0 4.0 4.0
10 4.0 4.0 4.0 4.0 4.0 4.0 4.0 3.0 4.0 4.0 4.0 4.0 4.0 4.0 4.0 4.0 4.0 3.0
11 5.0 5.0 3.0 5.0 3.0 3.0 3.0 3.0 3.0 3.0 4.0 3.0 4.0 4.0 5.0 3.0 3.0 3.0
12 4.0 4.0 4.0 4.0 4.0 4.0 3.0 4.0 4.0 4.0 4.0 3.0 4.0 4.0 4.0 4.0 3.0 3.0
13 4.0 4.0 3.0 4.0 3.0 3.0 4.0 3.0 3.0 3.0 4.0 4.0 4.0 3.0 4.0 3.0 4.0 3.0
14 3.0 3.0 3.0 3.0 5.0 4.0 3.0 4.0 3.0 5.0 3.0 3.0 3.0 4.0 3.0 5.0 3.0 3.0
15 4.0 4.0 4.0 5.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16 4.0 5.0 4.0 4.0 3.0 3.0 4.0 3.0 3.0 3.0 5.0 4.0 5.0 3.0 5.0 3.0 4.0 4.0
17 4.0 4.0 4.0 3.0 5.0 3.0 3.0 4.0 3.0 5.0 4.0 3.0 4.0 3.0 4.0 5.0 3.0 4.0
18 4.0 4.0 2.0 5.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3.0
19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5.0 4.0 5.0 4.0 4.0 4.0 4.0 3.0
20 4.0 4.0 4.0 4.0 3.0 3.0 4.0 4.0 4.0 3.0 5.0 4.0 5.0 4.0 4.0 3.0 4.0 4.0
평균 3.80 3.95 3.70 4.05 3.65 3.55 3.60 3.55 3.50 3.65 4.15 3.60 4.25 3.70 4.00 3.75 3.65 3.50
상기 표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2-페닐에틸알코올, 아세토페논 및 메틸자스모네이트로이루어 진 고광나무꽃의 주요 향취 성분에 2-페닐에틸아세테이트는 1.00내지 10.00중량부로, 베타-이오논은 5.00내지 15.00중량부의 함량 함유할 때,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보다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고, 고광나무꽃과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 기호성이 매우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평균 3.5이상).
[실시예 6] 전문 평가단의 분석에 의한 향취 개선향료 제조 5
상기 표 6에서 고광나무꽃의 향취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 샘플 #2의 향료의 유사성 및 기호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상기 샘플 #2에서와 같이 2-페닐에틸알코올, 아세토페논 및 메틸자스모네이트를 55중량부의 함량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GC-O를 통해 고광나무꽃 향기의 재현에 특유의 향을 갖게 만드는 향취 성분으로 동정한 2-페닐에틸아세테이트(2-Phenylethyl acetate), 베타-이오논(beta-ionone) 및 감마-노나락톤(gamma-nonalactone)을 동시에 사용하여 새로운 조합향료를 제조하였다. 이때, 2-페닐에틸아세테이트, 베타-이오논 및 감마-노나락톤의 함량기준은 조향사 전문가 집단의 판단에 의해서 기준을 잡았으며, 2-페닐에틸아세테이트는 1.00중량부 및 10.00중량부, 베타-이오논은 5.00중량부 및 15.00중량부, 감마-노나락톤은 1.00중량부 및 10.00중량부의 함량으로 첨가하였고, 그 외 성분들은 2-페닐에틸아세테이트, 베타-이오논 및 감마-노나락톤의 함량 변화에 따라 총 함량을 100으로 맞추기 위해 조절하였다. 이들 재조합 향료의 조성은 하기 표 15와 같다.
(함량: 중량부)
조합향료 번호 #i #ii #iii #iv #v #vi #vii #viii
향료명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2-페닐에틸알코올 44.27 44.27 44.27 44.27 44.27 44.27 44.27 44.27
아세토페논 5.63 5.63 5.63 5.63 5.63 5.63 5.63 5.63
메틸자스모네이트 5.1 5.1 5.1 5.1 5.1 5.1 5.1 5.1
2-페닐에틸아세테이트 1.00 1.00 1.00 1.00 10.00 10.00 10.00 10.00
베타-이오논 5.00 5.00 15.00 15.00 5.00 15.00 5.00 15.00
감마-노나락톤 1.00 10.00 1.00 10.00 1.00 1.00 10.00 10.00
페닐아세트알데히드 15.50 11.81 11.42 7.75 11.81 7.75 8.15 4.08
벤잘데히드 9.86 7.52 7.27 4.93 7.52 4.93 5.19 2.59
데카날 9.64 7.39 7.1 4.82 7.39 4.82 5.08 2.54
게라니올 3.00 2.28 2.21 1.50 2.28 1.50 1.58 0.79
총함량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실시예 12] 실시예 9에서 제조된 조합향료들의 관능평가
상기에서 #i, #ii, #iii, #iv, #v, #vi, #vii, #viii 조합 향료들에 대해 고광나무꽃과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의 기호성을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두 개의 조합향료에 대한 비교관능평가를 실시한 후, 5분 동안의 휴식시간을 주어, 후감각 마비현상이 없도록 하였다. 새로운 조합향료와 고광나무꽃과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 기호성에 결과는 하기 표 16에서 보는 바와 같다.
평가요원 질문1 (유사성) 질문2 (기호성)
조합향료번호 조합향료번호
#i #ii #iii #iv #v #vi #vii #viii #i #ii #iii #vi #v #vi #vii #viii
1 4.0 5.0 4.0 4.0 5.0 4.0 4.0 4.0 4.0 5.0 4.0 4.0 4.0 4.0 4.0 4.0
2 4.0 4.0 3.0 3.0 4.0 3.0 4.0 3.0 4.0 4.0 4.0 4.0 5.0 4.0 4.0 4.0
3 4.0 3.0 4.0 4.0 4.0 3.0 4.0 4.0 4.0 3.0 4.0 4.0 4.0 4.0 3.0 4.0
4 4.0 4.0 3.0 4.0 4.0 4.0 3.0 4.0 4.0 4.0 3.0 4.0 3.0 4.0 4.0 3.0
5 3.0 4.0 4.0 3.0 5.0 3.0 3.0 4.0 3.0 5.0 3.0 3.0 3.0 4.0 3.0 3.0
6 4.0 4.0 4.0 3.0 4.0 3.0 4.0 3.0 4.0 4.0 4.0 3.0 4.0 4.0 3.0 4.0
7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3.0 4.0 4.0 4.0 4.0 3.0
8 4.0 3.0 3.0 4.0 4.0 4.0 4.0 3.0 4.0 3.0 4.0 4.0 5.0 4.0 4.0 4.0
9 3.0 4.0 4.0 4.0 5.0 4.0 3.0 3.0 3.0 5.0 3.0 3.0 4.0 3.0 4.0 3.0
10 4.0 4.0 4.0 4.0 4.0 4.0 4.0 3.0 4.0 4.0 4.0 4.0 4.0 4.0 4.0 4.0
11 5.0 3.0 3.0 3.0 4.0 3.0 5.0 3.0 5.0 4.0 5.0 3.0 5.0 5.0 3.0 5.0
12 3.0 4.0 4.0 3.0 4.0 3.0 4.0 4.0 4.0 4.0 4.0 4.0 4.0 4.0 3.0 4.0
13 4.0 4.0 3.0 4.0 4.0 4.0 4.0 3.0 4.0 4.0 4.0 3.0 4.0 4.0 4.0 4.0
14 4.0 3.0 4.0 3.0 4.0 4.0 3.0 4.0 3.0 3.0 3.0 5.0 3.0 3.0 3.0 3.0
15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5.0 4.0 4.0 4.0
16 5.0 4.0 3.0 4.0 5.0 4.0 4.0 3.0 5.0 5.0 4.0 3.0 4.0 5.0 4.0 4.0
17 4.0 4.0 3.0 3.0 4.0 3.0 4.0 4.0 4.0 4.0 4.0 5.0 3.0 4.0 3.0 4.0
18 4.0 2.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5.0 4.0 4.0 4.0
19 4.0 4.0 4.0 4.0 5.0 4.0 4.0 4.0 4.0 5.0 4.0 4.0 4.0 4.0 4.0 4.0
20 4.0 4.0 3.0 4.0 5.0 4.0 4.0 4.0 4.0 5.0 4.0 3.0 4.0 4.0 4.0 4.0
평균 3.95 3.75 3.60 3.66 4.30 3.65 3.85 3.60 3.95 4.15 3.80 3.75 4.05 4.00 3.60 3.80
상기 표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2-페닐에틸알코올, 아세토페논 및 메틸자스모네이트로 이루어진 고광나무꽃의 주요 향취 성분에 2-페닐에틸아세테이트는 1.00 내지 10.00중량부로, 베타-이오논은 5.00 내지 15.00중량부, 감마-노나락톤은 1.00 내지 10.00중량부의 함량을 함유할 때,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보다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고, 고광나무꽃과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 기호성이 매우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평균 3.5이상).
[제조예 1]
상기에서와 같이 고광나무꽃의 향취와 유사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을 배합하여, 하기 표 17의 향수를 제조하였다.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향수
고광나무꽃 향취 재현 조합향료
알코올

색소
자외선차단제
15중량부
잔량
2중량부
적량
적량

Claims (11)

  1. 고광나무꽃의 향취 성분; 및 2-페닐에틸아세테이트(2-Phenylethyl acetat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로서,
    상기 고광나무꽃의 향취 성분은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ethyl alcohol), 아세토페논(Acetophenone) 및 메틸자스모네이트(Methyl Jasmonate)이며,
    상기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페닐에틸알코올을 38.00~50.00 중량%, 아세토페논을 0.01~11.00 중량%, 메틸자스모네이트를 0.01~10.00 중량% 및 2-페닐에틸아세테이트를 1.00~15.00 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페닐아세트알데히드(Phenylacetaldehyde)를 4.00~18.00 중량%, 벤잘데히드(Benzaldehyde)를 2.00~12.00 중량%, 데카날(Decanal)을 2.00~12.00 중량% 및 게라니올(Geraniol)을 0.01~5.00 중량%로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3. 고광나무꽃의 향취 성분; 및 베타-이오논(beta-iono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로서,
    상기 고광나무꽃의 향취 성분은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ethyl alcohol), 아세토페논(Acetophenone) 및 메틸자스모네이트(Methyl Jasmonate)이며,
    상기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페닐에틸알코올을 38.00~50.00 중량%, 아세토페논을 0.01~11.00 중량%, 메틸자스모네이트를 0.01~10.00 중량% 및 베타-이오논을 5.00~15.00 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페닐아세트알데히드(Phenylacetaldehyde)를 4.00~18.00 중량%, 벤잘데히드(Benzaldehyde)를 2.00~12.00 중량%, 데카날(Decanal)을 2.00~12.00 중량% 및 게라니올(Geraniol)을 0.01~5.00 중량%로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5. 고광나무꽃의 향취 성분; 및 감마-노나락톤(gamma-nonalacto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로서,
    상기 고광나무꽃의 향취 성분은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ethyl alcohol), 아세토페논(Acetophenone) 및 메틸자스모네이트(Methyl Jasmonate)이며,
    상기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페닐에틸알코올을 38.00~50.00 중량%, 아세토페논을 0.01~11.00 중량%, 메틸자스모네이트를 0.01~10.00 중량% 및 감마-노나락톤을 1.00~10.00 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페닐아세트알데히드(Phenylacetaldehyde)를 4.00~18.00 중량%, 벤잘데히드(Benzaldehyde)를 2.00~12.00 중량%, 데카날(Decanal)을 2.00~12.00 중량% 및 게라니올(Geraniol)을 0.01~5.00 중량%로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7. 고광나무꽃의 향취 성분; 및 2-페닐에틸아세테이트(2-Phenylethyl acetate) 및 베타-이오논(beta-iono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로서,
    상기 고광나무꽃의 향취 성분은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ethyl alcohol), 아세토페논(Acetophenone) 및 메틸자스모네이트(Methyl Jasmonate)이며,
    상기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페닐에틸알코올을 38.00~50.00 중량%, 아세토페논을 0.01~11.00 중량%, 메틸자스모네이트를 0.01~10.00 중량%, 2-페닐에틸아세테이트를 1.00~15.00 중량% 및 베타-이오논을 5.00~15.00 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페닐아세트알데히드(Phenylacetaldehyde)를 4.00~18.00 중량%, 벤잘데히드(Benzaldehyde)를 2.00~12.00 중량%, 데카날(Decanal)을 2.00~12.00 중량% 및 게라니올(Geraniol)을 0.01~5.00 중량%로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9. 고광나무꽃의 향취 성분; 및 2-페닐에틸아세테이트(2-Phenylethyl acetate), 베타-이오논(beta-ionone) 및 감마-노나락톤(gamma-nonalacto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로서,
    상기 고광나무꽃의 향취 성분은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ethyl alcohol), 아세토페논(Acetophenone) 및 메틸자스모네이트(Methyl Jasmonate)이며,
    상기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페닐에틸알코올을 38.00~50.00 중량%, 아세토페논을 0.01~11.00 중량%, 메틸자스모네이트를 0.01~10.00 중량%, 2-페닐에틸아세테이트를 1.00~15.00 중량%, 베타-이오논을 5.00~15.00 중량% 및 감마-노나락톤을 1.00~10.00 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페닐아세트알데히드(Phenylacetaldehyde)를 4.00~18.00 중량%, 벤잘데히드(Benzaldehyde)를 2.00~12.00 중량%, 데카날(Decanal)을 2.00~12.00 중량% 및 게라니올(Geraniol)을 0.01~5.00 중량%로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10121026A 2011-11-18 2011-11-18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37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026A KR101937151B1 (ko) 2011-11-18 2011-11-18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026A KR101937151B1 (ko) 2011-11-18 2011-11-18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331A KR20130055331A (ko) 2013-05-28
KR101937151B1 true KR101937151B1 (ko) 2019-01-11

Family

ID=48663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026A KR101937151B1 (ko) 2011-11-18 2011-11-18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15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5331A (ko) 2013-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879B1 (ko) 녹차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99027B1 (ko)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96903A (ko) 귤꽃류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0986894B1 (ko) 모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70682B1 (ko) 감국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58645B1 (ko) 비목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10001569A (ko)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58099B1 (ko) 한방 열매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63449B1 (ko) 풍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78147B1 (ko) 복분자딸기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480694B1 (ko) 칡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108501B1 (ko) 제주도 구상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70038709A (ko) 학쟈스민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37151B1 (ko) 고광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63448B1 (ko) 솔나리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73090B1 (ko) 미선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35252B1 (ko) 치자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37998B1 (ko) 산국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81579B1 (ko) 술패랭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04752B1 (ko) 줄댕강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234023B1 (ko) 홍매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58895B1 (ko) 제주도 유채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60094777A (ko) 무화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81580B1 (ko) 자두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81579B1 (ko) 초피나무 잎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