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099B1 - 한방 열매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방 열매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099B1
KR101758099B1 KR1020100112899A KR20100112899A KR101758099B1 KR 101758099 B1 KR101758099 B1 KR 101758099B1 KR 1020100112899 A KR1020100112899 A KR 1020100112899A KR 20100112899 A KR20100112899 A KR 20100112899A KR 101758099 B1 KR101758099 B1 KR 101758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composition
weight
external application
perf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1456A (ko
Inventor
고승호
신선영
서형제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112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8099B1/ko
Publication of KR20120051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0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4Crataegus (haw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4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 열매의 고유 향취를 재현하면서 뛰어난 기호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사자, 복분자, 노간주 열매 및 노박덩굴 열매를 포함하는 한방 열매의 고유 향취를 SDE(Stimulatus distillation extract) 방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한방 열매의 향을 그대로 재현하면서 기호성이 우수하도록 제조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한방 열매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for expressing the fragrance of fruity Hanbang and the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한방 열매의 고유 향취를 재현하면서 뛰어난 기호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사자, 복분자, 노간주 열매 및 노박덩굴 열매를 포함하는 한방 열매의 고유 향취를 SDE(Stimulatus distillation extract) 방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한방 열매의 향을 그대로 재현하면서 기호성이 우수하도록 제조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사나무는 "아가위나무"라고도 하며,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열매는 술을 담궈먹기도 한다. 햇볕에 말린 산사나무의 열매를 "산사자"라고 하여 한방에서 치습제 또는 평사제로 사용한다.
복분자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인 복분자 딸기(Rubus coreanus Miquel)의 채 익지 않은 열매로 만든 약재로서, 7∼8월에 열매가 붉게 익기 시작하는데 한방에서는 익기 전 어린 열매를 말려 보신제로 사용하며, 술을 담구거나 식용으로도 사용한다.
노간주 나무는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교목으로 "노가지나무"라고도 한다. 노간주 나무의 열매는 10월에 진한 갈색으로 동그랗게 익고 맛이 좀 쓰며, "두송실(杜松實)"이라고도 불린다. 두송실은 가을에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린 것으로 한방에서는 발한, 이뇨, 신경통 또는 류머티즘의 치료에 사용한다. 열매로 술을 담근 것을 두송주라고 한다.
노박덩굴은 노박덩굴과(Celastraceae)에 속하는 덩굴식물이며 열매는 삭과로 공 모양이며 지름 8 mm 정도이다. 10월에 노란색으로 익으며 3개로 갈라지고, 종자는 노란빛을 띤 붉은색의 가종피에 싸여 있다. 열매는 한방에서 생리통에 특효약으로 사용하며, 관절염 또는 신경 쇠약 등에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천연물의 향취를 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적인 방법으로 용매를 사용하여 향취성분을 추출하는 용매추출법과 향기성분을 정유(Essential oil)로 만드는 수증기증류법 등이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한방재료들은 탕약으로 끓여서 복용하는 경우가 많고,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탕약을 끓일 때 나는 냄새를 한방 향으로 인식하고, 상기 방법들로는 한방 고유의 향취를 재현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산사자, 복분자, 노간주 열매 및 노박덩굴 열매로 구성된 한방 열매의 향취를 재현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던 중, SDE법을 이용하여 상기 한방 열매들의 향취 성분을 분석한 결과, α-피넨(α-Pinene), 카료필렌(Caryophyllene), 헥사노익산(Hexanoic Acid) 및 D-리모넨(D-Limonene) 등이 한방 열매 향의 주성분임을 발견하고, 이를 이용하여 한방 열매향취를 재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기 향취 성분 이외에 메틸헵텐온을 특정 범위로 더 함유할 경우 향료의 기호성을 높일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방 열매 고유의 향취를 재현하면서 기호성이 우수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한방 열매 향취의 주성분으로서, α-피넨, 카료필렌, 헥사노익산 및 D-리모넨으로 구성된 향취 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5∼65 중량%로 함유하는 한방 열매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SDE법에 의해서 분석된 α-피넨, 카료필렌, 헥사노익산 및 D-리모넨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메틸헵텐온을 더 첨가함으로써 프루티(Fruity)하고 시트러시(Citrusy)한 느낌을 부여하여 기존에 인식되어 오던 한방 향과는 다르게 가볍고(Light) 상큼한 느낌을 주는 한방 열매의 고유 향취를 그대로 재현하면서 향취의 기호성도 증진시킬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산사자, 복분자, 노간주 열매 및 노박덩굴 열매를 포함하는 한방 열매의 고유 향취를 SDE법으로 분석하였다. SDE법은 물과 시료를 함께 섞어서 가온하여 용매를 통해 추출하는 방법으로 용매를 증발 건조시켜(evaporation) 오일을 얻어 GC-MS를 통해 분석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SDE법은 한약을 제조할 때 끓일 때 나는 한방 향취를 재현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는 SDE법에 의해서 분석된 한방 열매의 향취 성분을 토대로 하여 조합향료를 조성하고, 이에 대해 한방 열매 향취와의 유사성 및 기호성을 후각관능검사를 통해 수행하였다. 관능검사는 전문 조향사 및 일반인에 의해 실시되었고, 한방 향취와의 유사성 및 향취의 기호성은 설문 조사를 통해 평가되었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한방 열매 향취의 주성분인 α-피넨, 카료필렌, 헥사노익산 및 D-리모넨으로 구성된 향취 성분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5∼65 중량%, 바람직하게는 50∼60 중량%로 함유하는 한방 열매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α-피넨 12∼26 중량%, 카료필렌 10∼22 중량%, 헥사노익산 10∼22 중량% 및 D-리모넨 6∼14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향료 조성물은 기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메틸헵텐온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6 중량%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에서, 한방 열매 향취를 재현하기 위한 주요 성분들로 사용된 α-피넨, 카료필렌, 헥사노익산, D-리모넨 및 메틸헵텐온은 상기 범위를 벗어난 범위로 사용될 경우, 실제 한방 열매와의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고 향취의 기호성도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향료 조성물은 상기 주성분 이외에 한방 열매 향취를 나타내는 부차적인 향취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리날로올(Linalool) 3∼6 중량%, 펜칠 알코올(Fenchyl Alcohol; 1,3,3-Trimethyl-2-norbornanol) 3∼6 중량%, 예를 들어 3 내지 5.6 중량%, ρ-시멘(ρ-Cymene) 3∼6 중량%, 예를 들어 3 내지 5.6 중량%, 시트로넬롤(Citronellol) 2 내지 5 중량%, 예를 들어 2.5∼4.8 중량%, α-테르피네올(α-Terpineol) 2 내지 5 중량%, 예를 들어 2.3∼4.5 중량%, 제라니올(Geraniol) 1 내지 4 중량%, 예를 들어 1.8∼3.4 중량%, 알데하이드 C-9(Aldehyde C-9) 1 내지 4 중량%, 예를 들어 1.8∼3.4 중량% 및 아밀비닐카비놀(Amyl Vinyl Carbinol) 1 내지 4 중량%, 예를 들어 1.8∼3.4 중량%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부차적인 성분들은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한방 열매의 향취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한방 열매 향취를 재현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양으로도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방 열매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2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에 명시된 범위로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함유될 때, 사용자로 하여금 한방 열매와 유사한 향을 인지하게 할 수 있고, 높은 기호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향의 지속력 또한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는 예를 들면, 연고, 로션, 가용화상, 현탁액, 에멀젼, 크림,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또는 물파스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고, 당 업계에 주지된 어떠한 기제에도 배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른 적용, 변형 등도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SDE법을 이용한 한방 열매향의 향취 분석
산사자, 복분자, 노간주 열매 및 노박덩굴 열매를 40:10:30:20의 중량비로 평량한 시료 혼합물 100 g을 물 450 g과 혼합하여 1,0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넣었다. 그런 다음, 25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에틸에테르 100 g을 넣었다. SDE 장치에 각각의 둥근바닥 플라스크를 설치하고 물과 시료 파트는 100℃로 가열하고, 에테르 파트는 40℃로 가열하였다. 3시간을 가열한 후 에테르 파트를 옮겨 에테르를 제거한 후 오일을 GC-MS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이때, GC-MS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다.
분 석 조 건
· 분석기기: HP 5890 II GC · 검출기: HP 5972 MSD
· 컬럼: DB-1(60m x 0.25mm x 0.25㎛) · 이동 기체: He
· 주입부 온도: 250℃ · 검출부 온도: 280℃
· 오븐 온도: 70∼220℃(3℃/min) · 이온화 전압: 70 eV
· 탈착 시간: 2 min
그 결과, SDE법에 의해 분석된 한방 열매의 향취 성분은 표 1과 같다(단위: 중량%).
향취 성분 함량
α-피넨 15.500
카료필렌 13.000
헥사노익산 13.000
D-리모넨 7.700
리날룰 4.400
펜칠 알코올 4.100
ρ-시멘 4.100
시트로넬롤 3.600
α-테르피네올 3.200
제라니올 2.600
알데하이드 C-9 2.600
아밀비닐카비놀 2.600
기타 23.600
총 함량 100.0000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한방 열매의 향취 성분 중 α-피넨, 카료필렌, 헥사노익산 및 D-리모넨 등이 주성분으로 검출되었으며, 이들 주성분이 향취 성분 전체의 49.2 중량%를 차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조합향료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하여 하기 표 2의 조성을 갖는 조합향료(샘플 B)를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향취 성분 함량
α-피넨 15.500
카료필렌 13.000
헥사노익산 13.000
D-리모넨 7.700
리날룰 4.400
펜칠 알코올 4.100
ρ-시멘 4.100
시트로넬롤 3.600
α-테르피네올 3.200
제라니올 2.600
알데하이드 C-9 2.600
아밀비닐카비놀 2.600
디트로틸렌 글라이콜(용제) 23.600
총 함량 100.0000
[시험예 1] 조합향료와 천연 한방 열매 향취를 비교한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조합항료(샘플 B)와 실시예 1에서 한방원료를 끓인 한방 탕약(샘플 A)의 향취 유사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평가는 20∼45세의 일반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같은 비율의 한약재를 넣고 끊인 탕약 샘플 A와, SDE법으로 재현한 조합향료의 샘플 B의 향취를 각각 맡아보도록 하고, 하기 표 3의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함으로써 탕약 샘플 A와 샘플 B의 향취 유사성(질문 1) 및 향취의 기호성(질문 2)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설문지
(1) 질문 1: 샘플 A와 샘플 B의 향취는 얼마나 유사(비슷)한가?
1) 전혀 유사하지 않다.
2) 별로 유사하지 않다.
3) 그저 그렇다.
4) 어느 정도 유사하다.
5) 매우 유사하다.
(2) 질문 2: 샘플 B의 향취를 얼마나 좋아하는가?
1) 전혀 좋지 않다.
2) 별로 좋지 않다.
3) 그저 그렇다.
4) 약간 좋다.
5) 매우 좋다.
평가요원 질문 1(유사성) 질문 2(기호성)
1 2 2
2 2 2
3 1 2
4 3 3
5 3 3
6 2 2
7 2 3
8 1 2
9 3 2
10 2 2
11 3 2
12 3 1
13 2 3
14 2 3
15 2 2
16 2 2
17 2 1
18 1 2
19 1 2
20 3 3
평균 2.10 2.20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조합향료의 샘플 B는 실제 한방 열매의 향취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2] 전문 평가단에 의한 향취 분석
상기 시험예 1의 결과에서, SDE법에 의해 분석된 성분으로 조성한 조합향료 조성물이 실제 한방 열매 탕약과 항취 유사성이 없었다. 이에, 조향사로 구성된 전문 평가단이 한방 열매 각각의 향취 성분들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한방 열매 향취 성분들 중, 웜 레지너스(Warm Resinous)한 향취를 내는 α-피넨, 우디 스파이시(Woody Spicy)한 향취를 내는 카료필렌, 프루티 스위트(Fruit Sweet)한 향취를 내는 헥사노익산, 및 시트러스 스위트(Citrus Sweet)한 향취를 내는 D-리모넨, 이들 네가지 성분이 한방 향취를 만들어내는 주성분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주성분의 함량 변화에 따른 새로운 조합향료 제조
상기 시험예 2로부터, 한방 열매의 독창적 향취의 주성분이 α-피넨, 카료필렌, 헥사노익산 및 D-리모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들 네가지 성분을 함유하여, 한방 열매의 향취를 그대로 나타내면서, 기호성이 좋은 향료를 제조하기 위해서 하기 #1 내지 #4의 새로운 조합향료들을 제조하였다.
조합향료 #1 내지 #4는 이들 네 가지 성분의 비율은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네 가지 향료의 총 함량을 40∼70 중량%로 변화시켜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향취 성분 #1 #2 #3 #4
α-피넨 12.6 15.9 19.0 22.1
카료필렌 10.7 13.3 16.0 18.7
헥사노익산 10.7 13.3 16.0 18.7
D-리모넨 6.0 7.5 9.0 10.5
리날룰 9.7 8.1 6.5 4.9
펜칠 알코올 9.1 7.5 6.0 4.5
ρ-시멘 9.1 7.5 6.0 4.5
시트로넬롤 7.9 6.6 5.4 4.0
α-테르피네올 7.1 5.9 4.7 3.4
제라니올 5.7 4.8 3.8 2.9
알데하이드 C-9 5.7 4.8 3.8 2.9
아밀비닐카비놀 5.7 4.8 3.8 2.9
총 함량 100 100 100 100
네 가지 주성분의 총 함량 40 50 60 70
[시험예 3]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조합향료들의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4가지의 조합향료에 대하여,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한방 열매 향취와의 유사성 및 기호성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한편, 두 개의 향료에 대한 비교관능평가를 실시한 후, 5분 동안의 휴식시간을 주어 후감각 마비현상이 없도록 하였다. 새로운 조합향료와 한방 열매 샘플과의 향취 유사성 및 기호성에 관한 관능평가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평가
요원
질문1 (유사성) 질문2 (기호성)
#1 #2 #3 #4 #1 #2 #3 #4
1 2.0 3.0 3.0 3.0 2.0 3.0 3.0 3.0
2 2.0 3.0 3.0 2.0 2.0 3.0 3.0 3.0
3 3.0 3.0 4.0 3.0 3.0 4.0 3.0 3.0
4 2.0 2.0 3.0 3.0 2.0 3.0 4.0 2.0
5 2.0 3.0 3.0 2.0 2.0 2.0 3.0 3.0
6 1.0 2.0 3.0 3.0 1.0 3.0 4.0 2.0
7 2.0 3.0 4.0 4.0 2.0 2.0 3.0 3.0
8 2.0 2.0 3.0 3.0 2.0 3.0 3.0 2.0
9 3.0 3.0 3.0 2.0 3.0 3.0 3.0 3.0
10 2.0 2.0 3.0 2.0 2.0 3.0 3.0 2.0
11 2.0 2.0 4.0 3.0 2.0 2.0 4.0 2.0
12 3.0 3.0 3.0 2.0 3.0 3.0 3.0 3.0
13 2.0 3.0 2.0 3.0 2.0 2.0 3.0 3.0
14 3.0 2.0 3.0 2.0 3.0 3.0 3.0 2.0
15 3.0 3.0 3.0 3.0 3.0 2.0 3.0 3.0
16 2.0 2.0 4.0 3.0 2.0 3.0 2.0 2.0
17 2.0 3.0 3.0 3.0 2.0 2.0 3.0 3.0
18 1.0 1.0 3.0 2.0 1.0 3.0 2.0 1.0
19 2.0 3.0 3.0 4.0 2.0 3.0 3.0 3.0
20 2.0 3.0 2.0 3.0 2.0 2.0 2.0 3.0
평균 2.2 2.6 3.1 2.8 2.2 2.7 3.0 2.6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주성분의 총 함량이 60%를 차지하는 샘플 #3가 4개의 조합향료 중 가장 뛰어난 유사성과 기호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전문 평가단의 분석에 의한 향취 개선 향료 제조
상기 표 6에서 한방 열매 조합의 향취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 샘플 #3의 향료의 유사성 및 기호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샘플 #3에서와 같이 α-피넨, 카료필렌, 헥사노익산 및 D-리모넨을 60 중량%로 함유하고, 여기에 한방열매의 향기의 재현에 있어서 특유의 향을 갖게 만드는 메틸헵텐온을 더 첨가하여 새로운 조합향료를 제조하였다. 메틸헵텐온의 함량은 1.0, 2.0, 3.0, 4.0, 5.0, 6.0 및 7.0 중량%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이들 재조합향료의 조성은 하기 표 7과 같다(단위: 중량%).
 향취 성분 #가 #나 #다 #라 #마 #바 #사
α-피넨 19.0 19.0 19.0 19.0 19.0 19.0 19.0
카료필렌 16.0 16.0 16.0 16.0 16.0 16.0 16.0
헥사노익산 16.0 16.0 16.0 16.0 16.0 16.0 16.0
D-리모넨 9.0 9.0 9.0 9.0 9.0 9.0 9.0
메틸헵텐온 1.0 2.0 3.0 4.0 5.0 6.0 7.0
리날룰 7.0 6.8 6.5 6.3 6.0 5.7 5.5
펜칠 알코올 5.7 5.6 5.5 5.3 5.2 5.1 5.0
ρ-시멘 5.7 5.6 5.5 5.3 5.2 5.1 5.0
시트로넬롤 5.2 5.0 4.9 4.8 4.7 4.6 4.5
α-테르피네올 4.3 4.2 4.1 4.1 4.0 3.9 3.7
제라니올 3.7 3.6 3.5 3.4 3.3 3.2 3.1
알데하이드 C-9 3.7 3.6 3.5 3.4 3.3 3.2 3.1
아밀비닐카비놀 3.7 3.6 3.5 3.4 3.3 3.2 3.1
총 함량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시험예 4]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조합향료들의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가 내지 #사 조합향료들에 대하여,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한방 열매 향취와의 향취 유사성 및 기호성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2 개의 향료에 대한 비교관능평가를 실시한 후, 5분 동안의 휴식시간을 주어, 후각 마비현상이 없도록 하였다. 새로운 조합향료와 한약재를 넣고 끊인 탕약 샘플과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 기호성에 결과는 하기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다.
평가
요원
질문1 (유사성) 질문2 (기호성)
#가 #나 #다 #라 #마 #바 #사 #가 #나 #다 #라 #마 #바 #사
1 3.0 3.0 4.0 4.0 5.0 3.0 4.0 2.0 3.0 3.0 3.0 5.0 4.0 2.0
2 3.0 2.0 4.0 4.0 3.0 3.0 3.0 3.0 3.0 3.0 5.0 3.0 3.0 3.0
3 2.0 3.0 3.0 3.0 4.0 4.0 3.0 3.0 4.0 3.0 4.0 3.0 4.0 2.0
4 3.0 3.0 3.0 3.0 4.0 3.0 3.0 3.0 3.0 2.0 4.0 4.0 3.0 3.0
5 3.0 3.0 4.0 4.0 5.0 4.0 3.0 3.0 2.0 3.0 3.0 4.0 4.0 4.0
6 2.0 2.0 3.0 3.0 3.0 3.0 3.0 2.0 4.0 3.0 3.0 5.0 3.0 3.0
7 2.0 3.0 3.0 5.0 4.0 4.0 3.0 3.0 2.0 5.0 3.0 4.0 3.0 3.0
8 3.0 3.0 3.0 4.0 4.0 3.0 2.0 3.0 3.0 4.0 4.0 3.0 3.0 3.0
9 3.0 3.0 3.0 3.0 5.0 3.0 3.0 2.0 3.0 3.0 3.0 4.0 4.0 4.0
10 3.0 3.0 4.0 4.0 5.0 3.0 4.0 2.0 3.0 4.0 4.0 5.0 4.0 3.0
11 4.0 3.0 4.0 4.0 3.0 5.0 4.0 2.0 4.0 3.0 5.0 3.0 3.0 3.0
12 3.0 3.0 3.0 3.0 4.0 4.0 3.0 4.0 3.0 4.0 4.0 5.0 4.0 2.0
13 3.0 4.0 4.0 4.0 5.0 4.0 2.0 3.0 2.0 3.0 3.0 5.0 4.0 2.0
14 2.0 3.0 3.0 3.0 5.0 3.0 3.0 2.0 3.0 3.0 5.0 3.0 4.0 2.0
15 3.0 3.0 4.0 5.0 4.0 4.0 3.0 3.0 3.0 5.0 4.0 4.0 3.0 3.0
16 2.0 3.0 4.0 4.0 5.0 4.0 4.0 3.0 3.0 5.0 3.0 4.0 4.0 3.0
17 2.0 3.0 3.0 3.0 5.0 3.0 3.0 4.0 4.0 3.0 5.0 5.0 4.0 4.0
18 3.0 4.0 3.0 4.0 4.0 3.0 2.0 3.0 3.0 4.0 5.0 4.0 5.0 3.0
19 2.0 2.0 4.0 3.0 4.0 5.0 3.0 3.0 2.0 4.0 4.0 3.0 3.0 3.0
20 3.0 4.0 4.0 4.0 3.0 4.0 4.0 3.0 3.0 3.0 3.0 4.0 3.0 3.0
평균 2.7 3.0 3.5 3.7 4.2 3.6 3.1 2.8 3.0 3.5 3.8 4.0 3.6 2.9
상기 표 8의 결과에서, α-피넨, 카료필렌, 헥사노익산 및 D-리모넨의 한방 열매 향료의 주요 향취성분에, 메틸헵텐온을 3∼6 중량%로 함유할 때, 한방 열매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고, 뛰어난 기호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평균 3.5이상).
한편, 메틸헵텐온(Methyl Heptenone)이 3∼6 중량% 범위를 벗어날 경우, 오히려 향취의 유사성 및 기호성이 유사하지 않아지거나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제형예 1]
하기 표 9에 기재된 조성으로 한방 열매의 향취와 유사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을 배합한 향수를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함량
한방 열매 향취재현 조합향료
(실시예 4의 조합향료 #다 내지 #바)
15
알코올 83
2
색소 적량
자외선차단제 적량

Claims (6)

  1.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α-피넨(α-Pinene), 카료필렌(Caryophyllene), 헥사노익산(Hexanoic Acid) 및 D-리모넨(D-Limonene)으로 구성된 향취 성분 45~60 중량%, 메틸헵텐온 3~6 중량%, 리날로올 3~6 중량%, 펜칠 알코올 3~6 중량%, ρ-시멘 3~6 중량%, 시트로넬롤 2~5 중량%, α-테르피네올 2~5 중량%, 제라니올 1~4 중량%, 알데하이드 C-9 1~4 중량% 및 아밀비닐카비놀 1~4 중량%를 함유하여, 산사자, 복분자, 노간주 열매 및 노박덩굴 열매의 향취를 포함하는 한방 열매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의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00112899A 2010-11-12 2010-11-12 한방 열매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58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899A KR101758099B1 (ko) 2010-11-12 2010-11-12 한방 열매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899A KR101758099B1 (ko) 2010-11-12 2010-11-12 한방 열매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456A KR20120051456A (ko) 2012-05-22
KR101758099B1 true KR101758099B1 (ko) 2017-07-18

Family

ID=4626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899A KR101758099B1 (ko) 2010-11-12 2010-11-12 한방 열매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80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147B1 (ko) * 2012-11-15 2019-05-15 (주)아모레퍼시픽 복분자딸기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593383B1 (ko) 2013-09-17 2016-02-12 (주)제이에스향료 노간주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AR110618A1 (es) * 2017-07-26 2019-04-17 Consejo Nacional De Investigaciones Cientificas Y Tecn Conicet Formulado que promueve la polinización dirigida de abejas melíferas hacia cultivos de pera
EP4032411A4 (en) * 2019-10-18 2022-10-12 Mizkan Holdings Co., Ltd. COMPOSITION CONTAINING ACETIC ACID BACTERI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33836A1 (en) * 2008-03-11 2009-09-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fuming method and produc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33836A1 (en) * 2008-03-11 2009-09-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fuming method and produc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AGRIC. FOOD CHEM (200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456A (ko) 201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879B1 (ko) 녹차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99027B1 (ko)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20180030375A1 (en) Fragrance composition reproducing the aroma of citrus flowers
KR101758099B1 (ko) 한방 열매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Hu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volatiles and active components in ethanol extracts of fruits of Litsea cubeba (Lour.)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nd 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 (GC-O)
KR101694484B1 (ko) 한방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258645B1 (ko) 비목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70682B1 (ko) 감국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001569A (ko)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867447B1 (ko) 한방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78147B1 (ko) 복분자딸기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610347B1 (ko) 학쟈스민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90180B1 (ko) 백선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80694B1 (ko) 칡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Sanchez et al. Sensory and analytical evaluation of hop oil oxygenated fractions
KR101924929B1 (ko) 단삼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35252B1 (ko) 치자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378321B1 (ko) 해당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50062967A (ko) 제주도 구상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50056184A (ko) 솔나리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608883B1 (ko) 춘란꽃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20190056859A (ko) 인삼열매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04752B1 (ko) 줄댕강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78146B1 (ko) 대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20056481A (ko) 술패랭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