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141B1 - 스마트 디지털 운행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디지털 운행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141B1
KR101937141B1 KR1020170004123A KR20170004123A KR101937141B1 KR 101937141 B1 KR101937141 B1 KR 101937141B1 KR 1020170004123 A KR1020170004123 A KR 1020170004123A KR 20170004123 A KR20170004123 A KR 20170004123A KR 101937141 B1 KR101937141 B1 KR 101937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ing
digital
concentration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4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3016A (ko
Inventor
김광희
김유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카
김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카, 김광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카
Priority to KR1020170004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141B1/ko
Publication of KR20180083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6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indicating a condition of sleep, e.g. anti-dozing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업용 차량에 설치되는 디지털 운행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디지털 운행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디지털 운행기록 장치{A SMART DIGITAL TACHOGRAPH}
본 발명은 영업용 차량에 설치되는 디지털 운행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디지털 운행기록장치의 설치 취지에 맞게 그 가치를 함양시켜 운전자의 권익 보호하고, 운전형태를 개선하는 한편, 미연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운행기록장치는 버스나 화물차량와 같은 영업용 차량(이하, 차량이라고 통칭함.)에 설치되어 운행정보를 기록하는 장치로써,
시계, 속도계, 주행거리계, GPS수신기 및 이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와 함께 케이스 외측에 상기 기억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동식 기억장치로 백업하기 위한 버튼 및 출력포트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디지털 운행기록장치는, 1초 단위로 6개월 이상 운행정보를 기록하고 보관할 수 있어야 하며, 특히 제출된 운행정보를 토대로 교통안전공단의 디지털 운행기록분석시스템이 지정된 포멧에 따라 해당 차량의 운행정보를 로드하여 분석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구축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디지털 운행기록계는 "교통안전법 시행규칙" "제29조의2제1항"에 그 기능이 명시되어 있고, 특히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에 의해 화물 및 운수차량은 의무적으로 디지털 운행기록장치를 장착하여,
운전자의 운전형태를 개선하는 한편,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기록된 운행정보를 토대로 영업자로부터 운전자의 권익을 보호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운행기록장치는, 6개월에 한두 번 운행데이터를 제출할 때를 제외하고는 거의 사양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차량의 센터페시아나 대쉬보드 일측에 방치된 상태로 놓여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운전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임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차량이 아직까지도 장착하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효율 가치도 낮은 측면이 있었다.
KR 10-1595700 B KR 10-1364439 B KR 10-1283356 B KR 10-2010-0116291 B
이에 본 발명에서는, 운전자의 권익 보호 및 운전형태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에 맞게 디지털 운행기록장치의 가치를 함양시키면서 보다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케이스 일측에 복수의 커넥터(11b,11c)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11b)는 GPS 안테나(8)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11c)는 차량의 CAN 버스를 통해 ECU(7)와 연결되어 영업용 차량의 이동속도와 가속도와 분당 엔진 회전수 브레이크 신호들을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지속적으로 전송받아 지정된 포멧에 맞춰 메모리 또는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한편, 상기 케이스 외측에 형성된 버튼 및 포트를 통해 상기 메모리 또는 저장장치에 저장된 운행정보가 이동식 기억장치로 백업되어져 디지털 운행기록분석시스템에 의해 분석될 수 있게 만들어진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는 복수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11a)를 통해 연결되는 공기의 질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유해가스센서(2)와 연결되고.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의 복수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11d)를 통해 연결되는 차선 변경이나 추돌 위험들을 확인하기 위한 카메라(3)와 연결되고,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장치와 근거리통신채널을 형성하는 스마트단말(5)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는 메모리 혹은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영업용 차량의 이동속도와 가속도와 분당 엔진 회전수 브레이크 신호들을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저장하고, 더불어 유해가스센서(2)를 통해 확인된 차내의 공기의 질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카메라(3)를 통해 확인된 영상정보를 저장하여, 케이스 외측에 형성된 버튼 및 포트를 통해 상기 메모리 또는 저장장치에 저장된 운행정보가 이동식 기억장치로 백업되어져 디지털 운행기록분석시스템에 의해 분석될 수 있게 구성되고,
더불어 상기 스마트단말과 근거리통신채널을 형성하였을 때 저장된 영업용 차량의 이동속도와 가속도와 분당 엔진 회전수 브레이크 신호들을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기반으로 유해가스센서(2)를 통해 확인된 차내의 공기의 질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카메라(3)를 통해 확인된 영상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스마트단말로 전송하여,
영업용 차량의 졸음위험과 운전자의 컨디션 및 운전상태와 차선변경이나 이탈여부 및 추돌위험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지털 운행기록장치를 플렛폼으로 하여 추돌위험이나, 과속 위험, 졸음 운전, 교통 단속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디지털 운행기록장치 설치 취지에 맞게 그 가치를 함양시킬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켰으며, 보다 더 운전자의 권익 보호하고, 운전형태를 개선하는 한편, 미연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운행기록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운행기록장치의 블럭도.
도 3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운행기록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운행기록장치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운행기록장치의 구성 및 스마트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운행기록장치를 통해 차선이탈이나, 졸음운전, 혹은 차내 공기의 질을 안내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는, 케이스 일측에 복수의 커넥터(11b,11c)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11b)는 GPS 안테나(8)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11c)는 차량의 CAN 버스를 통해 ECU(7)와 연결되어 영업용 차량의 이동속도와 가속도와 분당 엔진 회전수 브레이크 신호들을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지속적으로 전송받아 지정된 포멧에 맞춰 메모리 또는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한편, 상기 케이스 외측에 형성된 버튼 및 포트를 통해 상기 메모리 또는 저장장치에 저장된 운행정보가 이동식 기억장치로 백업되어져 디지털 운행기록분석시스템(e-Tax)에 의해 분석될 수 있게 구성되고,
더불어 복수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11a)에는, 유해가스센서(2)와 연결되어 차내 공기의 질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검출하여 졸음 위험 및 컨디션 등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는 한편,
복수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에(11d)는, 카메라(3)와 연결되어, 차선 변경이나 전방 추돌 위험 등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와 근거리통신채널을 형성하는 스마트단말(5) 및 진동밴드(6)가,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를 통해 확보한 정보를 토대로 운전자에게 졸음운전이나 사고 위험 혹은 차선변경이나 충돌 위험 혹은 운전상태 혹은 차내 공기 질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안내함으로써,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의 설치 목적에 맞게, 운전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운전형태를 개선해 나갈 수 있게 한 것이다.
참고로, 스마트단말(5)은 근거리통신모듈을 내장하여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와 채널을 형성하고, 일정한 주기로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장치가 전송한 정보를 토대로 운전자의 운전상태와, 차내의 공기 질과, 위험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말기이다. 대표적으로 근거리통신모듈을 내장하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휴대 단말기, 혹은 타블릿 PC나 노트북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진동밴드(6)는 밴드 형태로 이루어진 몸체 안쪽에, 진동모터(32)와 근거리통신모듈(33)을 내장하여, 운전자의 신체에 장착되는 것으로써,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 혹은 스마트단말(5)과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장치 혹은 스마트단말의 지시에 따라 진동모터를 구동시켜, 운전자에게 졸음 또는 차선이탈 혹은 충돌 위험 등을 진동으로 알려주는 장치이다.
이때의 진동밴드(6)는, 실시 예에 따라 몸체 안쪽에 운전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한 상태로 설치되는 맥박센서(3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운전자의 호흡이나 맥박수를 측정하고, 상기 스마트단말(5)로 보고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맥박수이나 호흡수는, 평균값(정상범위)에서 계속해서 내려가 설정값 이하가 되면 졸음운전으로 판단하고, 반대로 맥박수나 호흡수가 평균치에서 갑자기 상승하여 설정값 이상이 될 경우에는, 뒷 차량이 앞 차량을 가로질러 가게 되면서 발생하는 충돌 위험에 의한 흥분으로 보복운전이나 난폭운전 혹은 위험운전이 발생하는 것을 경고토록 하기 위한 것이며, 실시 예에 따라서는 맥박수이나 호흡수를 통해 음주 운전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경고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유해가스센서(2)는 차량이 배출한 유해가스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거나 혹은 에어콘/히터를 통해 차량 내부로 유입되거나 혹은 운전자 혹은 탑승자가 호흡할 때 배출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통해 차량 내부의 공기 질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기판(2c) 위에 탐지부(2a)와 출력부(2b)를 형성하여, 차량 내부에 유해가스센서(2)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고정기판(2c) 위에 설치된 탐지부(2a)에 흡착된 가스의 농도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하게 되면, 상기 출력부(2b)가 탐지부(2a)의 저장값에 대응하는 전류값 혹은 전압값을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로 출력한다.
또한, 카메라(3)는 모듈화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영업용 차량의 샤시나 사이드 미러에 고정설치되거나, 혹은 전조등이나 안개 등 안쪽에 내입된 상태로 고정설치되어, 전방에 위치한 차량과의 위치와 해당 차량을 중심으로 이웃한 차선을 주시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카메라는 케이스 일측에 렌즈체를 형성하고, 상기 렌즈체 안쪽에 이미지센서 및 출력부를 형성하여, 렌즈체 안쪽으로 입사된 광학 정보를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운행기록장치로 출력한다.
또한, 디스플레이(4)는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에 출력포트(16)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3)를 통해 확보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이때의 영상은 해당 차량을 중심으로 이웃한 차선을 디스플레이하여 차선의 변경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면서 전방에 위치한 차량과의 거리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는 대쉬보드 중앙의 센터페시아에 장착될 수 있도록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케이스 양 측면에 조립편을 설치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하고, 프런트케이스의 일측에 윈도우 및 조작버튼을 형성하여 디지털 운행기록장치의 설정모드나 설정값 등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런트케이스의 일측에는 USB포트를 형성하여 이동식저장장치가 연결되면, 기록된 운행정보를 이동식 저장장치로 백업하여 준다.
그리고 이러한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는, 후단에 복수 개의 커넥터(11a, 11b, 11c, 11d)를 형성하여, 차량의 CAN 버스에 접속하여 ECU(7)로부터 차량의 이동속도와 가속도 그리고 분당 엔진 회전수와 브레이크 신호 등을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게 구성하는 한편, 복수의 개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11a)에는 유해가스센서(2)가 연결되어 차량의 공기의 질을 측정할 수 있게 구성하고, 더불어 복수 개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11d)에는 카메라가 연결되어 전방에 위치한 차량과의 추돌 위험 및 차선 변경 여부 등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또한,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는, 운전자의 스마트단말(5)과 근거통신채널(이하, 근거리무선통신채널 혹은 채널 혹은 무선채널이라고도 함)을 형성하여,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가 확보한 정보를 스마트단말(5)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단말(5)이 지정된 플렛폼에 따라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의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진동밴드(6)를 구동시켜 주거나 혹은 경고음을 출력함으로써, 미연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참고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운행기록장치와, 스마트단말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블럭도로써,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는, 케이스 후단에 유해가스센서(2)와 ECU(7)와, GPS 안테나(8)와, 카메라(3)가 각각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1)를 형성하고, 내측에는 유해가스측정모듈(12)과, 차선이탈경보/전방추돌경보모듈(13)과, DTG처리부(14)와, 근거리통신모듈(15)을 모듈화한 상태로 내장되며, 한정하지는 않는다.
참고로, 인터페이스(11)는 복수 개의 커넥터(11a, 11b, 11c, 11d)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커넥터는 서로 다른 숫자와 포멧을 유지하고 있으며, 각각 유해가스센서(2)와 연결되는 커넥터(11a)와, 차량의 CAN버스에 접속하기 위한 CAN버스커넥터(11b) 그리고 GPS 안테나와 연결되는 GPS 커넥터(11c)와, 카메라(3)와 연결되는 입력커넥터(11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유해가스측정모듈(12)은 유해가스센서(2)의 탐지부(2a)에 흡착된 가스의 농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면서 출력부(2b)에 의해 대응하는 전류값 혹은 전압값을 인가받게 되면, 각각의 전류값이나 전압값을 수치화하는 한편, 각각의 전압값 혹은 전류값에 대응하는 농도값을 테이블화하고 있는 메모리로부터 수치화된 전압값 혹은 전류값에 대응하는 농도값을 로드한다. 그리고 이때 로드된 농도값을 DTG처리부(14)에 인가하여, 운행상태에 따른 차량의 공기 질을 기록하도록 하고, 스마트단말기(5)로 전송하여 차량의 공기질을 모니터링하도록 한다.
이때 측정된 유해가스의 농도는, 그 농도에 따라 DTG처리부가 디스플레이 혹은 엘이디 혹은 스피커를 통해 경보할 수도 있는 것이다.
참고로, DTG처리부(14)는, 유해가스측정모듈(12)을 통해 측정된 유해가스(이산화탄소)의 농도가, 0~700 ppm 이하일 경우에는 정상으로 인식하고, 700~1000 ppm의 경우에는 불쾌감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여 주의 경보를 안내하고, 1000~2000 ppm의 경우에는 졸림을 느끼거나 컨디션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여 경보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차선이탈경보/전방추돌경보모듈(13)은 GPU가 설치된 영상처리보드로써, 카메라(3)를 통해 확보된 영상정보를 토대로 특정 세숄드 값을 토대로 바이너리화한 상태에서 에지 디텍션 기법에 따라 차선의 패턴 및 전방에 위치한 차량을 인식한다. 이때 차선이탈경보/전방추돌경보모듈(13)은 인식된 차선의 패턴과 전방에 위치한 차량의 패턴을 특정 색상이나 라인으로 출력포트에 연결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출한다.
이때 표출되는 차선의 패턴이 해당 차량을 중심으로 일정거리 이내에 좌측과 우측에 차선이 존재하지 않게 되면, 차선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한다. 더불어 해당 차선의 전방에 위치한 차량과 일정거리 이내로 인접해 있게 되면 충돌 위험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경보 한다. 더불어 경보시에는 DTG처리부(14)로 차선을 변경하거나 추돌 위험 등이 있었다는 사실을 전송하여 기록하도록 한다. 이때 DTG처리부(14)로 인가되는 정보는. 실시 예에 따라 영상정보를 압축알고리즘에 따라 일정한 시간 간격을 축소한 썸네일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DTG처리부(14)는 회로기판에 마이컴 및 RAM, SDRAM, DRAM, ROM, EPROM, EEPROM, NAND Flash Memory, HDD와 같은 메모리나 저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지정된 장소에 운행정보를 보관한다. 이때의 메모리나 저장장치는 다수개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특정 영역에 운행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혹은 복수 개의 메모리나 저장장치를 어레이시켜 특정 블럭에 운행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참고로 상기 메모리나 저장장치에 저장되는 정보에는, GPS안테나 및 CAN 버스를 통해 ECU(7)로부터 확보된 차량의 이동속도나 가속도, 혹은 분당 엔진 회전수나, 브레이크 신호 ON/OFF, 등의 운행정보와, 상기 차선이탈경보/전방추돌경보모듈(13)을 통해 확보된 경보와, 유해가스센서(2)를 통해 확보된 농도값 등이 상기 운행정보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화된다.
또한, 근거리통신모듈(15)은, 스마트단말(5)과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가 확보한 운행정보와, 유해가스의 농도값과, 차선이탈경보 혹은 전방에 위치한 차량과의 거리나 충돌위험 경보를 스마트단말(5)로 전송하는 모듈로써,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b/g/n를 기반으로 한 와이파이(Wi-fi)모듈이거나 혹은, IEEE 802.16e 규격을 기반으로 한 와이맥스(WiMax)모듈이거나 혹은, IEEE 802.15.1 규격을 기반으로 한 블루투스 모듈중 어느 하나이며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스마트단말(5)은 근거리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디지털 운행기록장치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토대로 운전자의 운전상태와, 차내의 공기의 질과, 위험 여부 등을 모니터링하는 단말기이며, 차내공기질분석모듈(21)과, 차선이탈/추돌경보모듈(22)과, 운전상태모듈(23)과, 졸음운전경보모듈(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고로, 차내공기질분석모듈(21)은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를 통해 전송받은 유해가스센서(2)의 측정값을 토대로 차량 운전시 배출한 유해가스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면서 차내의 오염 정도가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거나, 혹은 에어콘이나 히터를 작동시 차량 내부의 공기 질이 어떻게 되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거나, 혹은 운전자 혹은 탑승자가 호흡할 때 배출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확인하고, 각각의 농도에 따라 운전자의 컨디션상태를 안내하거나 혹은 창문을 열어 환기시키도록 하는 명령음을 출력한다.
또한, 차선이탈/추돌경보모듈(22)은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를 통해 전송받은 카메라(3)가 촬영한 이미지나 영상정보 혹은 경고정보를 토대로 앞 차량과의 충돌위험이나 차선변경 여부를 음성 혹은 영상으로 출력 한다.
또한, 운전상태모듈(23)은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를 통해 전송받은 차량의 운행정보를 토대로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장시간 연속운전하는 것인지, 혹은 지정된 속도 이상으로 과속하여 운전하는 것인지와, 지정된 속도 이상으로 혹은 이하로 급가속/급감속을 통한 위험운전 여부 판단하고 운전자의 운전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졸음운전 경보모듈(24)은 차내공기질분석모듈(21)을 통해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0~700 ppm 이하일 경우에는 정상으로 인식하고, 700~1000 ppm의 경우에는 불쾌감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여 주의 경보를 안내하고, 1000~2000 ppm의 경우에는 졸림을 느끼거나 컨디션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여 경보한다.
더불어 진동밴드(6)를 통해 전송된 운전자의 맥박수나 호흡수가 정상범위 안쪽에 있다가, 천천히 계속해서 내려가다가 60회 이하로 내려가면 졸음운전으로 판단하여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고, 반대로 맥박수나 호흡수가 정상범위 안쪽에 있다가 갑자기 10% 이상 상승하게 되면, 놀라거나 흥분상태로 진입한 것으로 인식하여 보복운전이나 난폭운전이나 과속운전이나 등을 조심할 것을 경고하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때 졸음운전 경보모듈은 실시 예에 따라 맥박수이나 호흡수가 정상범위를 벗어나 있을 경우에는 음주운전으로 판단하여 운전하지 말 것을 경고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를 플렛폼으로 하여 추돌위험이나, 과속 위험, 졸음 운전, 교통 단속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디지털 운행기록장치의 가치를 증대시켜 보다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되면서 보다 더 운전자의 권익 보호하고, 운전형태를 개선하여 미연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위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디지털 운행기록장치 2:유해가스센서
3:카메라 4:디스플레이
5:스마트단말 6:진동밴드
7:ECU 8:GPS 안테나
11:인터페이스 11a:커넥터
11b:CAN버스 커넥터 11c:GPS 안테나
11d:입력커넥터 12:유해가스측정모듈
13:차선이탈경보/전방추돌경보모듈 14:DTG처리부
15:근거리통신모듈 16:출력포트
21:차내공기질분석모듈 22::차선이탈/추돌경보모듈
23:운전상태모듈 24:졸음운전경보모듈
31:맥박센서 32:진동모터
33:근거리통신모듈

Claims (7)

  1. 케이스 일측에 복수의 커넥터(11b,11c)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11b)는 GPS 안테나(8)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11c)는 차량의 CAN 버스를 통해 ECU(7)와 연결되어 영업용 차량의 이동속도와 가속도와 분당 엔진 회전수 브레이크 신호들을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지속적으로 전송받아 지정된 포멧에 맞춰 메모리 또는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한편, 상기 케이스 외측에 형성된 버튼 및 포트를 통해 상기 메모리 또는 저장장치에 저장된 운행정보가 이동식 기억장치로 백업되어져 디지털 운행기록분석시스템에 의해 분석될 수 있게 만들어진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는 복수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11a)를 통해 연결되는 공기의 질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유해가스센서(2)와 연결되고,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의 복수의 커넥터 중 어느 하나(11d)를 통해 연결되는 차선 변경이나 추돌 위험들을 확인하기 위한 카메라(3)와 연결되고,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장치와 근거리통신채널을 형성하는 스마트단말(5)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는 메모리 혹은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영업용 차량의 이동속도와 가속도와 분당 엔진 회전수 브레이크 신호들을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저장하고, 더불어 유해가스센서(2)를 통해 확인된 차내의 공기의 질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카메라(3)를 통해 확인된 영상정보를 저장하여, 케이스 외측에 형성된 버튼 및 포트를 통해 상기 메모리 또는 저장장치에 저장된 운행정보가 이동식 기억장치로 백업되어져 디지털 운행기록분석시스템에 의해 분석될 수 있게 구성되고,
    더불어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장치가 스마트단말과 근거리통신채널을 형성하였을 때, 저장된 영업용 차량의 이동속도와 가속도와 분당 엔진 회전수 브레이크 신호들을 포함하는 운행정보를 기반으로 유해가스센서(2)를 통해 확인된 차내의 공기의 질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카메라(3)를 통해 확인된 영상정보를, 상기 스마트단말로 전송하여,
    영업용 차량의 졸음위험과 운전자의 컨디션 및 운전상태와 차선변경이나 이탈여부 및 추돌위험을 확인할 수 있어 운전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면서 운전형태가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지털 운행기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장치(1)는 유해가스센서의 탐지부에 흡착된 가스의 농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면서 출력부에 의해 대응하는 전류값 혹은 전압값을 인가받게 되면, 해당 전류값이나 전압값을 수치화하고, 각각의 전압값 혹은 전류값에 대응하는 농도값을 테이블화하고 있는 메모리로부터 수치화된 전압값 혹은 전류값에 대응하는 농도값을 로드하는 유해가스측정모듈과,
    카메라를 통해 확보된 영상정보를 토대로 차선변경 여부 및 앞차량과의 충돌 위험을 인식하고 경고하는 차선이탈경보/전방추돌경보모듈과,
    회로기판에 마이컴 및 하나 이상의 메모리나 저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지정된 장소에 설정된 포멧에 따라 운행정보 및, 상기 유해가스측정모듈을 통해 확보된 농도값과, 차선이탈경보/전방추돌경보모듈을 통해 확보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한편, 근거리통신모듈을 컨트롤하여 영상정보와 농도값과 운행정보를 스마트단말로 전송하도록 지시하는 DTG처리부와,
    상기 DTG처리부의 지시에 따라 스마트단말과 근거리통신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장치가 확보한 운행정보와, 유해가스의 농도값과, 영상정보를 스마트단말로 전송하는 근거리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마트단말은, 디지털 운행기록장치를 통해 전송받은 유해가스센서의 측정값을 토대로 차량운전시 배출한 유해가스가 차량 내부로 유입되면서 차내의 오염 정도가 얼마나 되는지 확인하거나, 혹은 에어콘이나 히터를 작동할 경우 차량 내부의 공기 질이 어떻게 되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거나, 혹은 운전자 혹은 탑승자가 호흡할 때 배출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확인하고, 각각의 농도에 따라 운전자의 컨디션상태를 안내하거나 혹은 창문을 열어 환기시키도록 지시하는 명령음을 출력하는 차내공기질분석모듈과,
    디지털 운행기록장치를 통해 전송받은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나 경고정보를 토대로 앞 차량과의 충돌위험이나 차선변경 여부들을 음성 혹은 영상으로 출력하여 경고하는 차선이탈/추돌경보모듈과,
    디지털 운행기록장치를 통해 전송받은 차량의 운행정보를 토대로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장시간 연속운전하는 것인지, 혹은 지정된 속도 이상으로 과속하여 운전하는 것인지와, 지정된 속도 이상으로 혹은 이하로 급가속/급감속을 통한 위험운전 여부 판단하고 운전자의 운전상태를 안내하는 운전상태모듈과,
    차내공기질분석모듈을 통해 확인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1000~2000 ppm의 경우에는 졸림을 느끼거나 컨디션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음을 출력하거나, 진동밴드의 맥박센서를 통해 측정된 값을 토대로 맥박수나 호흡수가 정상범위 안쪽에 있다가 천천히 계속해서 하강하다가 60회 이하로 내려가면 졸음운전으로 판단하여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반대로 맥박수나 호흡수가 정상범위 안쪽에 있다가 갑자기 10% 이상 상승하게 되면 흥분한 것으로 인식하여 보복운전이나 난폭운전 혹은 과속운전으로 인식하여 경고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졸음운전 경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지털 운행기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장치 또는 스마트단말은 근거리통신채널을 형성하는 운전자가 착용하는 진동밴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운전자가 졸음운전 또는 차선이탈 혹은 충돌위험이 있을 경우 상기 진동밴드를 동작시켜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지털 운행기록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가스센서는 차량 내부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고정기판 위에 탐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탐지부에 흡착된 가스의 농도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하게 되면, 상기 탐지부의 저장값에 따라 대응하는 전류값 혹은 전압값을 디지털 운행기록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지털 운행기록 장치.
  6. 삭제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밴드는 몸체 안쪽으로 운전자의 신체에 직접 진동을 가하기 위해 설치된 진동모터와, 운전자의 맥박수나 호흡수를 측정하기 위한 맥박센서와, 스마트단말 혹은 디지털 운행기록장치로 상기 맥박센서가 측정한 호흡수 혹은 맥박수를 보고하기 위한 근거리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지털 운행기록 장치.
KR1020170004123A 2017-01-11 2017-01-11 스마트 디지털 운행기록 장치 KR101937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123A KR101937141B1 (ko) 2017-01-11 2017-01-11 스마트 디지털 운행기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123A KR101937141B1 (ko) 2017-01-11 2017-01-11 스마트 디지털 운행기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016A KR20180083016A (ko) 2018-07-20
KR101937141B1 true KR101937141B1 (ko) 2019-01-14

Family

ID=63103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4123A KR101937141B1 (ko) 2017-01-11 2017-01-11 스마트 디지털 운행기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1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706A (ko) * 2018-09-12 2020-03-23 주식회사 이노카 차량 운행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복합 디지털 운행기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097B1 (ko) * 2019-06-20 2019-12-12 장희 졸음운전방지 로봇 시스템
RU209412U1 (ru) * 2021-12-02 2022-03-1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ОВЫЕ РЕШЕНИЯ ДРАЙВА" Цифровой тахогра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032B1 (ko) * 2015-01-28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 및 이를 포함하는 구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594A (ko) * 2009-01-06 2010-07-15 (주) 인바이런먼트 리딩 테크놀러지 차량용 다중 가스 센서 및 차량용 가스 측정 방법
KR20100116291A (ko) 2009-04-22 2010-11-01 신민호 차량의 운행 모니터링 시스템
KR101283356B1 (ko) 2010-11-23 2013-07-08 (주)세이브어스 차량배출 이산화탄소량 저감 기능을 가지는 차량운행기록장치 및 그 방법
KR101364439B1 (ko) 2013-07-08 2014-02-18 주식회사 이노카 안정적인 운행정보 데이터 저장이 가능한 디지털 타코 그래프
KR102368388B1 (ko) * 2015-05-20 2022-02-28 (주)이모션 차량 단말 및 웨어러블 기기 간 연동 장치 및 차량 단말 및 웨어러블 기기 간 연동 방법
KR101595700B1 (ko) 2015-07-01 2016-02-26 김재건 운전자의 편의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 스마트 디지털 운행 기록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032B1 (ko) * 2015-01-28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 및 이를 포함하는 구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706A (ko) * 2018-09-12 2020-03-23 주식회사 이노카 차량 운행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복합 디지털 운행기록 장치.
KR102095434B1 (ko) 2018-09-12 2020-04-02 주식회사 이노카 차량 운행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복합 디지털 운행기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016A (ko) 2018-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1082B2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US11731636B2 (en) System and method to determine responsiveness of a driver of a vehicle to feedback regarding driving behaviors
US20180144636A1 (en) Distracted driver detection, classification, warning, avoidance system
US9142064B2 (en) System for detecting vehicle driving mode and method of conducting the same
KR101768847B1 (ko) 차량 내부 모니터링 및 알림기능이 구비된 블랙박스
KR101306759B1 (ko) 자동차전용도로 2차 사고 방지 시스템
KR101937141B1 (ko) 스마트 디지털 운행기록 장치
JP2008524698A (ja) 交通信号を監視し運転者に警報する装置
JP7471021B2 (ja) 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等
JP7349694B2 (ja) 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等
WO2019163980A1 (ja) 危険行為解消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74390B1 (ko) 운행정보를 토대로 비상등을 자동으로 점등시켜 주는 디지털 운행기록장치.
KR101969773B1 (ko) 개별 또는 단체 차량 운행기록 시스템
KR101353047B1 (ko) 차량 감시용 vsdt 장치
JP2021060676A (ja) 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等
CN114212030A (zh) 渣土车监控管理系统
JP7207956B2 (ja) 車載器
CN113646818A (zh) 用于警告未保持安全距离的跟随车辆的设备和方法
CN111976738A (zh) 用于使车辆转变到安全状态中的方法
CN217477206U (zh) 一种车载监控装置及交通工具
CN214028549U (zh) 一种汽车座椅提醒装置
JP7376271B2 (ja) 車載器
CN217546172U (zh) 具有警示的机车摄像装置及机车摄像系统
JP7378768B2 (ja) 電子機器、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等
JP2005301832A (ja) 運転者異常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