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794B1 - 덧버선의 편직방법 및 그 덧버선 - Google Patents

덧버선의 편직방법 및 그 덧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794B1
KR101936794B1 KR1020180044894A KR20180044894A KR101936794B1 KR 101936794 B1 KR101936794 B1 KR 101936794B1 KR 1020180044894 A KR1020180044894 A KR 1020180044894A KR 20180044894 A KR20180044894 A KR 20180044894A KR 101936794 B1 KR101936794 B1 KR 101936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s
band
yarn
knitting
kn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은주
박철환
Original Assignee
박철환
신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환, 신은주 filed Critical 박철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0Stocking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41B11/123Elastic or flexible bands attached at the upper e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6Non-run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덧버선 및 그 편직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덧버선은, 앞측에 형성되어 발의 앞꿈치를 감싸는 앞꿈치부(120)와; 뒤측에 형성되어 발의 뒷꿈치를 감싸는 뒷꿈치부(130)와; 앞꿈치부(120)와 뒷꿈치부(130) 사이에 형성되어 발바닥에 대응하는 발바닥부(151)와 발바닥부(151)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양측 가림부(152)를 포함하는 중간부(150)와; 중간부(150)의 상측에 개방된 형상의 개구부(140)의 후측에 덧버선의 흘러내림 방지를 위하여 신축성 있는 재질로 편직된 밴드부(110)와; 그리고 개구부(14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일단은 밴드부(110)의 시작점(11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대적으로 높은 앞꿈치부의 시작점(121)에 연결됨으로써 경사형상을 갖되, 아래의 함수식에 따라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는 텐션 전달부(200)와; 개구부(140)의 둘레에 형성된 띠형상의 올터짐 방지부(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덧버선의 편직방법 및 그 덧버선{Method of knitting outer socks and the outer socks}
본 발명은 덧버선의 편직방법 및 그 덧버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구부 둘레에 곡선형상의 텐션 전달부 및 올터짐 방지띠를 형성하되, 이 곡선이 뒤꿈치부의 텐션을 앞꿈치부로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곡률을 갖도록 함으로써 착용시 벗겨짐이 방지되고, 올터짐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덧버선은 목이 길어 신거나 벗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양말과 달리 목 없이 만들어져 맨발 또는 양말 위에 신속 간편하게 덧신거나 벗을 수 있는 일종의 목 없는 버선을 의미한다.
이러한 덧버선은 도 1(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측에는 발의 앞꿈치가 들어가는 앞꿈치부(2)가 형성되고, 뒷측에는 발의 뒷꿈치가 신겨지는 뒷꿈치부(3)가 형성되며, 그 사이에는 발바닥 및 그 측면부로 이루어지는 중간부(4)와, 중간부(4)의 위쪽에 뚫려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발이 들어갈 수 있는 개구부(140)(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개구부(5) 둘레에는 탄력성을 갖는 밴드부(6)가 형성되어 덧버선을 착용하였을 때 흘러내림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밴드부(6)가 개구부(5)에 형성되는 형상에 따라 2종류로 구분될 수 있는 바, 개구부(5)의 전 둘레에 형성되는 타입과, 개구부(5)의 뒤쪽에 형성되는 타입으로 구분된다.
위 2가지 종류 중 상기 개구부(5) 전둘레 2겹 밴드형 덧버선은, 개구부(5)의 전체 둘레에 두터운 밴드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부(5) 전둘레에 상당한 정도의 신축력과 조임력이 인가됨으로 덧버선의 벗겨짐 방지에는 확실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대신 개구부(5) 전체 둘레에 가해지는 조임력이 너무 강하여 사용자의 발등에 자국을 형성하거나 압박으로 양말보다 더 답답한 느낌을 주기도 하고 착용하는 사람에 따라서는 조임의 통증으로 극심한 불편성을 호소하기도 하는 상당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뒷꿈치 밴드형 덧버선의 경우에는, 도 1(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바와 같이 개구부(5)의 후측(발뒤꿈치의 윗 부분에 닿는 위치)에 2겹으로 겹쳐진 2중 구조의 폭넓은 뒤꿈치 집중 밴드부(6) 하나가 뒷꿈치 상단에 국부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밴드에 의한 압박 조임력이 훨씬 덜하기 때문에 답답하지 않고 아주 편안하게 착용이 가능함으로 젊은층으로 부터 크게 호응을 받고 있는 품목이다.
그러나 이는 상기 뒤꿈치 집중 밴드부(6) 하나의 신축력에 의해 앞쪽의 천들을 잡아당겨서 개구부(5)에 어느정도의 조임성을 갖도록 하고 있기는 하지만, 상기 뒤꿈치 집중 밴드부(6)와 개구부(5) 앞쪽부분 사이의 구조적인 불합리성으로 인하여 그 신축성이 개구부(5)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지나치게 헐렁하게 되는 등 사용 중 덧버선의 흘러내림 벗겨짐 현상이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뒷꿈치 밴드형 덧버선은, 그 뒷꿈치 밴드부(6)의 내면 또는 뒷꿈치부(3)의 내면에 논슬립 기능의 실리콘을 부착하여 흘러내림 및 벗겨짐에 대하여 보완을 계속하고 있지만, 뒤꿈치 집중 밴드부(6)의 내면 또는 뒷꿈치부(3) 내면에 논슬립 기능의 실리콘을 부착하더라도, 기본적인 구조자체가 개구부(5)에 인가되는 조임력이 매우 약한 구조이기 때문에 덧버선의 흘러내림 및 벗겨짐을 방지에 어느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더군다나 뒷꿈치 밴드형 덧버선의 개구부(5) 둘레가 앞꿈치부의 상측으로 이어질 때,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만 형성되거나,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하게 경사진 형태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상기 뒤꿈치 집중 밴드부(6)의 신축성에 따라 뒤로 당겨지는 힘이 앞쪽의 개구부(6)까지 유효하게 전달되지 못함으로써 개구부(6)의 조임력에 특별히 도움을 주지 못하여 덧버선 착용시 쉽게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15-5352호(명칭: 더블섬유 밴드 실리콘 덧버선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덧버선 편직기)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구부 둘레에 곡선형상의 텐션 전달부 및 올터짐 방지띠를 편직하되, 이 곡선이 뒤꿈치부의 텐션을 앞꿈치부로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곡률을 갖도록 함으로써 착용시 벗겨짐이 방지되고, 올터짐을 방지할 수 있는 덧버선 및 그 편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앞측에 형성되어 발의 앞꿈치를 감싸는 앞꿈치부(120)와;
뒤측에 형성되어 발의 뒷꿈치를 감싸는 뒷꿈치부(130)와;
앞꿈치부(120)와 뒷꿈치부(130) 사이에 형성되어 발바닥에 대응하는 발바닥부(151)와 발바닥부(151)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양측 가림부(152)를 포함하는 중간부(150)와;
중간부(150)의 상측에 개방된 형상의 개구부(140)와;
뒤꿈치부(130)의 상부에 형성되어 덧버선의 흘러내림 방지를 위하여 신축성 있는 재질로 편직된 밴드부(110)와; 그리고
개구부(14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일단은 밴드부(110)의 시작점(11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대적으로 높은 앞꿈치부의 시작점(111)에 연결됨으로써 경사형상을 갖되,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는 텐션 전달부(200)와;
개구부(140)의 둘레에 형성된 띠형상의 올터짐 방지부(300)를 포함하는 덧버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니들 실린더의 360도 원주구간에 200개의 바늘을 이용하여 덧버선을 편직하되,
초기에는 니들실린더를 정회전시킬 때는 원주구간의 바늘 200개중 100개를 1:1 교호로 선택하여 실을 잡아주고, 다시 니들실린더를 360ㅀ 회전시킬 때는 원주구간의 바늘 200개 전부가 실을 잡아주어 편직을 준비하는 제 1단계(S100)와;
준비단계(S100)에서 교호로 선택된 100개의 바늘이 잡고 있는 실에 실린더를 360ㅀ 다수회 정회전시켜서 일정 코스 폭의 올터짐 방지띠를 편직하는 제 2단계(S110)와;
올터짐 방지띠(300)가 형성되면, 니들 실린더를 180도 내지 230도로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하면서 원주구간의 바늘 200개중 50 내지 60개를 이용하여 일정폭의 밴드부(110)를 편직하는 제 3단계(S120)와;
밴드부(110) 형성 후, 다시 바늘 100개를 이용하여 뒤꿈치부와, 발바닥부와, 측면 가림부를 포함하는 중간부(150)를 일체로 편직하는 제 4단계(S130)와;
제 4단계(S130)에서 중간부(150)를 편직할 때, 100 내지 130개의 바늘에 의하여 편직하며, 니들 실린더의 위로 상승한 바늘 100개중 좌,우 양측단에 각각 배치된 바늘을 하나씩 정,역회전 2∼4회전마다 순차적으로 내려서 편목을 계단식으로 늘림으로써 텐션 전달부(200)를 편직하는 제 5단계(S140)와;
제 5단계(S140) 완료 후, 니들 실린더를 360도 정회전시키면서 원주구간의 바늘 130개와 함께 편성에 가담하지 않은 바늘 70개를 포함하여 200개의 바늘 전체를 이용하여 앞꿈치부를 편직하는 제 6단계(S150)를 포함하는 덧버선 편직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덧버선은 개구부의 테두리에, 덧버선의 뒤꿈치부 시작점에서 앞꿈치부 시작점 방향으로 곡선형상을 갖는 텐션 전달부를 형성하되, 이 곡선이 뒤꿈치부의 텐션을 앞꿈치부로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곡률을 갖도록 함으로써 덧버선의 후방에 형성된 밴드부의 수축력이 텐션 전달부를 따라 앞꿈치 방향으로 전달되어 개구부 전체 둘레에 수축력이 균일하게 작용함으로써 덧버선이 쉽게 벗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텐션 전달부의 상측에 올터짐 방지띠를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덧버선의 착용시 올이 터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올터짐 방지띠는 텐션 전달부와 일체로 편직됨으로써 텐션 전달부가 개구부를 조일 때, 같이 조임으로써 착용시 덧버선이 벗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 및 (b)은 종래의 덧버선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덧버선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덧버선의 개구부에 형성된 곡선형상의 텐션 전달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덧버선을 편직하기 위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편직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덧버선의 편직단계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덧버선 및 그 편직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덧버선은 앞측에 형성되어 발의 앞꿈치를 감싸는 앞꿈치부(120)와; 뒤측에 형성되어 발의 뒷꿈치를 감싸는 뒷꿈치부(130)와; 앞꿈치부(120)와 뒷꿈치부(130) 사이에 형성되어 발바닥에 대응하는 발바닥부(151)와 발바닥부(151)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양측 가림부(152)를 포함하는 중간부(150)와; 중간부(150)의 상측에 개방된 형상의 개구부(140)의 후측에 덧버선의 흘러내림 방지를 위하여 신축성 있는 재질로 편직된 밴드부(110)와; 개구부(14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일단은 밴드부(110)의 시작점(111)에 연결되고 타단은 앞꿈치부의 시작점(121)에 연결되며 일정 곡률을 갖는 곡선형상인 텐션 전달부(200)와;
개구부(140)의 둘레에 형성된 띠형상의 올터짐 방지부(30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덧버선에 있어서, 앞꿈치부(120), 뒷꿈치부(130), 중간부(150), 밴드부(110)는 일반적인 덧버선의 구조와 동일하다.
그리고, 텐션 전달부(200)는 덧버선의 개구부(140) 테두리를 따라 형성됨으로써 밴드부(110)의 탄성력을 텐션 전달부(200)를 통하여 개구부(140) 전체 테두리에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개구부(140)의 전 테두리는 밴드부(110)를 중심으로 당겨짐으로써 발에 밀착되어 벗겨짐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텐션 전달부(200)는 밴드부(110)의 탄성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개구부(140)를 수축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형상을 갖는다.
즉, 밴드부(110)의 시작점(111)이 앞 꿈치부의 시작점(121) 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므로 밴드부(110)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시점도 앞 꿈치부의 시작점(121) 보다 낮은 지점이다. 결국, 밴드부(110)의 탄성력을 개구부(140) 전 테두리에 균일하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텐션 전달부(200)가 뒤꿈치에서 앞 꿈치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텐션 전달부(200)가 형성하는 곡선은 아래의 베지어 곡선 함수식에 의하여 형성가능하다.
Figure 112018038394235-pat00001
--수식 1
Figure 112018038394235-pat00002
[B(u):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N개의 조절점을 연결하는 곡선 함수
Pk: 조절점 (K=0,1,2,3...N),
u=0이면 첫번째 조절점(k=0), u=1이면 마지막 조절점(k=N)]
그리고, 이러한 함수식을 본 발명과 같은 형상의 곡선에 적용하기 위하여 뒤꿈치부의 시작점(111)과 앞 꿈치부의 시작점(121)을 연결하는 곡선구간을 5개 구간으로 분할함으로써 조절점(Pk)을 n=5하였을 때는 상기 함수식이 아래와 같이 정리된다. 물론 n=5에 한정되지 않고 임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B(u) = P0*(1-u)5+5P1u(1-u)4+10P2u2(1-u)3+10P3u3(1-u)2+5P4u4(1-u)+P5*u5
(0<U<1) --------- 수식 2
그리고, 텐션 전달부(200)가 형성하는 곡선은 뒷꿈치의 텐션이 앞꿈치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형상으로서, 바람직하게는 X축 방향 길이와, Y축 방향 길이가 8:2의 비율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형상의 곡선을 얻기 위하여, 첫 번째 조절점인 시작점(u=0)의 좌표는 (0,0)으로 하고, 두번째 좌표(u=1)는 (3, 0.8), 세번째 좌표(u=2)는 (5, 1), 네번째 좌표(u=3)는 (7, 1.8), 마지막 조절점 좌표(u=4)는 (8,2)로 하여 상기 함수식에 적용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밴드부(110)의 시작점(111)과 앞 꿈치부의 시작점(121)을 연결하되, X축 방향 길이와, Y축 방향 길이가 8:2의 비율을 갖는 곡선형상을 얻을 수 있다.
만약, X축 방향 길이와, Y축 방향 길이 비율이 8:2 보다 작은 경우에는 텐션 전달부(200)가 수평에 근사한 형상이 되어 과도하게 조여짐으로써 착용시 불편하고, 8:2 보다 큰 경우에는 수직에 근사한 형상이 되어 텐션을 앞꿈치로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없어서 쉽게 벗겨질 수 있다.
이러한 곡선 형상의 텐션 전달부(200)는 후술하는 편직과정에 의하여 편성될 수 있는 바, 밴드부(110)의 편성이 완료된 후, 니들 실린더 위로 올라간 바늘 100개 중, 좌우 양측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하나씩의 바늘들을 정역 2∼4회전 마다 차례로 내려 편목을 늘리는 방법으로 경사진 곡선형상으로 편직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텐션 전달부(200)의 상측에는 올터짐 방지띠(300)가 추가로 배치됨으로써 개구부(140) 둘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올터짐을 방지하고, 동시에 텐션 전달부(200)의 수축방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와 같이, 덧버선의 개구부(140) 둘레에 올터짐 방지띠(300)와 텐션 전달부(200)를 같이 형성함으로써 텐션 전달부(200)로 인하여 밴드부(110)의 수축력이 개구부(140) 전 둘레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고, 동시에 텐션 전달부(200)로 인하여 올이 터질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추가 효과가 있으며, 또한 올터짐 방지띠(300)도 개구부(140)의 둘레에 배치되므로 텐션 전달부(200)와 같이 협력하여 수축력이 전 둘레에 전달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는 상승효과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올터짐 방지띠(300)를 별도로 편직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올터짐 방지띠(300)를 생략하고 텐션 전달부(200)가 개구부의 테두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 전달부(200) 및 올터짐 방지띠(300)가 형성된 덧버선의 편직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뒷꿈치 밴드형 덧버선 편직에 사용되는 편직기는 통상의 편직기를 사용한다.
즉, 이러한 편직기는 다양하지만, 일 예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선등록한 특허등록 제10-1178028호와 특허등록 제10-1436739호, 제10-1459025호, 제10-1436683호에 제시된 편직기에 의하여 덧버선을 편직한다.
상기 편직기는, 캠 설치판(12)의 중심에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니들 실린더(14)가 배치된다. 니들 실린더(14)는 원통형상이며, 외벽면에 형성된 삽입홀에는 약 200개의 바늘이 삽입되어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바, 180도~230도 구간에는 약 100~128개의 바늘이 중바늘(N2)과 소바늘(N3)이 1:1 비율로 교대로 배치되고, 나머지 130도~180도 구간에는 약 72~100개의 대,중,소 바늘(N1,N2,N3)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결국, 니들 실린더(14)의 원주구간에는 대,중,소바늘(N1,N2,N3) 또는 중,소바늘(N2,N3)을 포함하는 종류의 바늘(높이는 같지만 후측 하단 돌출편의 길이가 서로 달라 대, 중, 소로 구분됨)들이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니들 실린더(14)의 외측 캠 설치판(12)에는 니들 실린더(14)와 함께 회전하면서 바늘들을 패턴에 따라 순차적으로 승하강시킴으로써 덧버선(1)을 편직할 수 있는 다수개의 캠이 배치된다.
즉, 니들 실린더(14)의 원주방향을 따라 센터캠(16)을 기준으로 라이트스티치 캠(18)과, 레이싱 캠유닛(20)과, 레프트 스티치 캠(19)과, 트랜스퍼 캠과, 보조 캠들이 배치된다.
그리고, 이들 캠에 의하여 니들 실린더(14)가 회전하는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이싱홈에 대, 중, 소 바늘의 승하강이 유도되고, 이때 바늘의 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덧버선(1)의 밴드 및 앞, 뒤꿈치부의 편직이 가능하다.
특히, 강화밴드(6)를 편직하는 경우에는 레이싱 캠유닛(20)과 트랜스퍼 캠유닛(30)이 사용된다.
즉, 레이싱 캠유닛(20)과 트랜스퍼 캠유닛(30)은 덧버선(1)의 강화밴드(6) 이외의 부분을 편직하는 경우에는 완전히 전진한 상태로서 앞꿈치 및 뒤꿈치부의 편직에 관여하지 않으며, 강화밴드부(6)를 편직하는 경우에는 후진함으로써 편직에 관여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덧버선 편직기(캠으로 바늘을 승,하강 시키는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 및 등록된 바 있는 또 다른 특허등록 제10-1459260호(쟈크를 이용한 덧버선의 밴드 편직방법과 그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덧버선 편직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뒷꿈치 밴드형 덧버선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니들 실린더의 360도 원주구간에 200개의 바늘(대, 중, 소 바늘 중 2가지 이상의 바늘)을 이용하여 덧버선을 편직하되,
초기에는 니들실린더를 정회전시킬 때는 원주구간의 바늘 200개중 100개를 1:1 교호로 선택하여 실을 잡아주고, 다시 니들실린더를 360ㅀ 회전시킬 때는 원주구간의 바늘 200개 전부가 실을 잡아주어 편직을 준비하는 제 1단계(S100)와;
준비단계(S100)에서 교호로 선택된 100개의 바늘이 잡고 있는 실에 실린더를 360ㅀ 다수회 정회전시켜서 일정 코스 폭의 올터짐 방지띠를 편직하는 제 2단계(S110)와;
올터짐 방지띠(300)가 형성되면, 니들 실린더를 180도 내지 230도로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하면서 원주구간의 바늘 200개중 50 내지 60개를 이용하여 일정폭의 밴드부(110)를 편직하는 제 3단계(S120)와;
밴드부(110) 형성 후, 다시 바늘 100개를 이용하여 뒤꿈치부와, 발바닥부와, 측면 가림부를 포함하는 중간부(150)를 일체로 편직하는 제 4단계(S130)와;
제 4단계(S130)에서 중간부(150)를 편직할 때, 100 내지 130개의 바늘에 의하여 편직하며, 니들 실린더의 위로 상승한 바늘 100개중 좌,우 양측단에 각각 배치된 바늘을 하나씩 정,역회전 2∼4회전마다 순차적으로 내려서 편목을 계단식으로 늘림으로써 텐션 전달부(200)를 편직하는 제 5단계(S140)와;
제 5단계(S140) 완료 후, 니들 실린더를 360도 정회전시키면서 원주구간의 바늘 130개와 함께 편성에 가담하지 않은 바늘 70개를 포함하여 200개의 바늘 전체를 이용하여 앞꿈치부를 편직하는 제 6단계(S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덧버선 편직 방법에 있어서,
제 1단계(S100)에서는 니들실린더를 360ㅀ정회전하는 원주 구간에서 총 200개의 바늘 중 교호로 선택된 100개의 바늘이 실을 잡아준다.
그리고, 다시 니들실린더를 360ㅀ정회전시킴으로써 원주구간 바늘 200개 전부를 사용하여 실을 잡은 상태에서 편직을 준비하게 된다.
이때, 원주구간에는 다양한 종류의 바늘이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대,중,소 바늘이 배치된다.
제 2단계(S110)에서는 올터짐 방지띠(300)를 형성하는 바, 이러한 올터짐 방지띠(300)는 다수의 코스로 편직되는 바, 예를 들면 3-4개의 코스로 편직된다.
이때, 코스는 니들 실린더가 1회전, 즉 360ㅀ회전할 때 마다 생기는 편환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4코스라면 편목 혹은 루프가 4단인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폭이 넓은 편직물을 편직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코스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올터짐 방지띠(300)는 1 내지 20코스의 폭으로 편직할 수 있으나, 코스의 수가 너무 적으면 폭이 좁아져서 벗겨짐 방지효과가 미미하고, 코스의 수가 과도하면 올터짐 방지띠(300)의 폭이 넓어져 착용시 불편을 초래한다. 따라서, 4 내지 6개의 코스가 적절하다.
제 3단계(S120)에서는 밴드부(110)를 편직하는 바,
니들 실린더를 180 내지 230도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하면서 원주구간 바늘 200개중 1:1 바늘을 50 내지 60개를 이용하여 일정폭의 밴드부(110)를 편직하되, 편직에 가담한 바늘중 양측에 각각 배치된 다수개의 바늘을 정,역 1회전마다 하나씩 올려서 편성에서 제외하여 상부로 갈수록 좌,우폭이 좁아지도록 하여 밴드부(110)의 전면을 편직한다.
이와 같이 밴드부(110) 전면을 편직한 후,
다시 역순으로 매 1회전마다 하나씩 내려서 편성에 가담시켜 좌,우폭이 넓어지도록 하여 밴드부(110) 후면을 편직하고, 또한, 원주구간 바늘 100개를 이용하여 밴드부(110)의 후면 하단부를 편직함으로써 밴드부(110)에 대한 편직을 완료하게 된다.
제 3단계(S120)가 완료된 후, 제 4단계(S130)가 진행되는 바, 뒤꿈치부와, 발바닥부와, 측면 가림부를 포함하는 중간부(150)의 순서로 편직이 진행된다.
이때, 뒤꿈치부와, 중간부(150)를 편직하는 공정은 통상적인 공정에 의하여 진행되는 바, 뒤꿈치 집중 밴드부의 후면 하단부를 봉합 편직이 완료되면 중·소 바늘귀가 형성된 바늘 100개를 사용하여 뒤꿈치부 및 발바닥부와 측면 가림부를 포함하는 중간부를 일체로 편직한다.
제 5단계(S140)에서는 측면 가림부의 상부, 즉 올터짐 방지띠(300)의 하부에 연결하여 텐션 전달부(200)를 편직하게 된다.
즉, 제 4단계(S130)에서 중간부(150)를 편직할 때, 100 내지 130개의 바늘에 의하여 편직하며, 니들 실린더의 위로 상승한 바늘 100개중 좌,우 양측단에 각각 배치되어 편성에 가담하지 않던 장바늘귀가 형성된 바늘을 정,역회전 2∼4회전마다 하나씩 순차적으로 내려서 15개(양측면에서 보았을 때는 30개)의 바늘을 가담시켜서 편목을 계단식으로 늘림으로써 일정 곡률의 곡선형상을 갖는 텐션 전달부(200)를 편직하게 된다.
이때, 텐션 전달부(200)는 100 내지 130개의 바늘로 편직되는 바, 양측면을 고려하면 100 내지 150개의 바늘로 편직될 수 있다.
그리고, 밴드부(110)의 시작점(111)이 앞 꿈치부의 시작점(121) 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므로 텐션 전달부(200)가 뒤꿈치에서 앞 꿈치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되 일정 곡률의 곡선형상을 따라 형성된다.
이때, 곡선의 형상은 아래의 수식에 의하여 결정된다.
Figure 112018038394235-pat00003
이때, 텐션 전달부(200)의 X축 방향 길이와, Y축 방향 길이는 8:2의 비율을 가지며, 밴드부(110)의 시작점(111)과 앞 꿈치부의 시작점(121)을 연결하는 직선을 중심으로 하부에 곡선이 일정 곡률로 형성된다.
이러한 곡선 형상의 텐션 전달부(200)는 후술하는 편직과정에 의하여 편성될 수 있는 바, 밴드부(110)의 편성이 완료된 후, 니들 실린더 위로 올라간 바늘 100개 중, 좌우 양측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하나씩의 바늘들을 정역 2∼4회전 마다 차례로 내려 편목을 늘리는 방법으로 경사진 곡선형상으로 편직할 수 있다.
제 6단계(S150)에서는 앞꿈치부를 편직하는 바, 제 5단계(S140)에서 중간부(150) 편직이 완료되면 니들실린더를 360ㅀ 정회전 시키면서 원주구간 바늘 100개 뿐만 아니라 편직에 가담하고 있지 아니하던 장바늘 100개를 포함하여 200개의 바늘 전체를 이용하여 앞꿈치부를 편직한다.
그리고, 다시 바늘귀가 형성된 바늘 100개로 앞꿈치부의 끝부분을 편직함으로써 마무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덧버선의 올터짐 방지띠(300)에 사용되는 실은, 나이론사, 폴리에스테르사, 면사, 코아사, 아크릴사 그리고 고무사, 스판덱스사 등을 사용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2가지 이상의 실을 썩은 혼합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210데니어의 스판덱스사를 심사로 하고, 그 심사의 외부에 두가닥의 70데니어 나이론사를 각각 왼쪽과 오른쪽으로 감아 일체화로 합사한 하나의 커버링사를 이용하면, 하나의 실로 일정한 정도의 탄성을 갖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올터짐방지에 필요한 개구부(140)의 내측 둘레에 견고히 결속되고 일정한 정도의 강도도 확보됨으로 유용하다.
한편, 상기에서는 올터짐 방지띠(300)를 별도로 편직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올터짐 방지띠(300)를 생략하고 텐션 전달부(200)가 개구부의 테두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Claims (6)

  1. 앞측에 형성되어 발의 앞꿈치를 감싸는 앞꿈치부(120)와;
    뒤측에 형성되어 발의 뒷꿈치를 감싸는 뒷꿈치부(130)와;
    앞꿈치부(120)와 뒷꿈치부(130) 사이에 형성되어 발바닥에 대응하는 발바닥부(151)와 발바닥부(151)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양측 가림부(152)를 포함하는 중간부(150)와;
    중간부(150)의 상측에 개방된 형상의 개구부(140)와;
    뒤꿈치부(130)의 상부에 형성되어 덧버선의 흘러내림 방지를 위하여 신축성 있는 재질로 편직된 밴드부(110)와; 그리고
    개구부(14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일단은 밴드부(110)의 시작점(11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대적으로 높은 앞꿈치부의 시작점(121)에 연결됨으로써 경사형상을 갖되,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는 텐션 전달부(200)와;
    개구부(140)의 둘레에 형성된 띠형상의 올터짐 방지부(300)를 포함하며,
    텐션 전달부(200)는 X축 방향 길이와, Y축 방향 길이는 8:2의 비율을 가지며, 밴드부(110)의 시작점(111)과 앞 꿈치부의 시작점(121)을 연결하는 직선을 중심으로 하부에 아래의 함수식에 의한 곡률을 갖는 곡선이 형성되는 덧버선.
    Figure 112018112276585-pat00004
    --함수식
    Figure 112018112276585-pat00005

    [B(u):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N개의 조절점을 연결하는 곡선 함수
    Pk: 조절점 (K=0,1,2,3...N),
    u=0이면 첫번째 조절점(k=0), u=1이면 마지막 조절점(k=N)]
  2. 삭제
  3. 니들 실린더의 360도 원주구간에 200개의 바늘(대, 중, 소 바늘 중 2가지 이상의 바늘)을 이용하여 덧버선을 편직하되,
    초기에는 니들실린더를 정회전시킬 때는 원주구간의 바늘 200개중 100개를 1:1 교호로 선택하여 실을 잡아주고, 다시 니들실린더를 360ㅀ 회전시킬 때는 원주구간의 바늘 200개 전부가 실을 잡아주어 편직을 준비하는 제 1단계(S100)와;
    준비단계(S100)에서 교호로 선택된 100개의 바늘이 잡고 있는 실에 실린더를 360ㅀ 다수회 정회전시켜서 일정 코스 폭의 올터짐 방지띠를 편직하는 제 2단계(S110)와;
    올터짐 방지띠(300)가 형성되면, 니들 실린더를 180도 내지 230도로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하면서 원주구간의 바늘 200개중 50 내지 60개를 이용하여 일정폭의 밴드부(110)를 편직하는 제 3단계(S120)와;
    밴드부(110) 형성 후, 다시 바늘 100개를 이용하여 뒤꿈치부와, 발바닥부와, 측면 가림부를 포함하는 중간부(150)를 일체로 편직하는 제 4단계(S130)와;
    제 4단계(S130)에서 중간부(150)를 편직할 때, 100 내지 130개의 바늘에 의하여 편직하며, 니들 실린더의 위로 상승한 바늘 100개중 좌,우 양측단에 각각 배치된 바늘을 하나씩 정,역회전 2∼4회전마다 순차적으로 내려서 편목을 계단식으로 늘림으로써 텐션 전달부(200)를 편직하는 제 5단계(S140)와;
    제 5단계(S140) 완료 후, 니들 실린더를 360도 정회전시키면서 원주구간의 바늘 130개와 함께 편성에 가담하지 않은 바늘 70개를 포함하여 200개의 바늘 전체를 이용하여 앞꿈치부를 편직하는 제 6단계(S150)를 포함하는 덧버선 편직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제 5단계(S140)에서는, 텐션 전달부(200)의 X축 방향 길이와, Y축 방향 길이는 8:2의 비율을 가지며, 밴드부(110)의 시작점(111)과 앞 꿈치부의 시작점(121)을 연결하는 직선을 중심으로 하부에 아래 함수식에 의한 곡률의 곡선이 형성되는 덧버선 편직방법.
    Figure 112018112276585-pat00006
    --함수식
    Figure 112018112276585-pat00007

    [B(u):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N개의 조절점을 연결하는 곡선 함수
    Pk: 조절점 (K=0,1,2,3...N),
    u=0이면 첫번째 조절점(k=0), u=1이면 마지막 조절점(k=N)]
  5. 제 3항에 있어서,
    제 5단계(S140)에서는, 중간부(150)를 편직할 때, 100 내지 130개의 바늘에 의하여 편직하며, 니들 실린더의 위로 상승한 바늘 100개중 좌,우 양측단에 각각 배치되어 편성에 가담하지 않던 장바늘귀가 형성된 바늘을 정,역회전 2∼4회전마다 하나씩 순차적으로 내려서 15개의 바늘을 가담시켜서 편목을 계단식으로 늘림으로써 앞꿈치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형상을 갖되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선형상으로 형성되는 텐션 전달부(200)를 포함하는 덧버선 편직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덧버선의 올터짐 방지띠(300)에 사용되는 실은, 나이론사, 폴리에스테르사, 면사, 코아사, 아크릴사 그리고 고무사, 스판덱스사를 적어도 하나 이상 사용하며,
    또는 210데니어의 스판덱스사를 심사로 하고, 그 심사의 외부에 두가닥의 70데니어 나이론사를 각각 왼쪽과 오른쪽으로 감아 일체화로 합사한 하나의 커버링사를 사용할 수도 있는 덧버선 편직방법.
KR1020180044894A 2017-09-11 2018-04-18 덧버선의 편직방법 및 그 덧버선 KR1019367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16212 2017-09-11
KR1020170116212 2017-09-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794B1 true KR101936794B1 (ko) 2019-01-09

Family

ID=65017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894A KR101936794B1 (ko) 2017-09-11 2018-04-18 덧버선의 편직방법 및 그 덧버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7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7434A (ja) * 2012-08-30 2014-03-17 Gunze Ltd フットカバー
KR101459025B1 (ko) * 2013-05-29 2014-11-07 박철환 밴드부를 포함하는 덧버선과 편직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7434A (ja) * 2012-08-30 2014-03-17 Gunze Ltd フットカバー
KR101459025B1 (ko) * 2013-05-29 2014-11-07 박철환 밴드부를 포함하는 덧버선과 편직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6651B2 (en) Lower leg supporter
US7721575B2 (en) Socks
JP2895473B2 (ja) くつ下の製造方法
KR101802184B1 (ko) 덧버선 강화밴드의 편직방법과 그 장치
US11717033B2 (en) Easy Don and Doff sock
JP2018048427A (ja) 編地及び靴下
KR101936794B1 (ko) 덧버선의 편직방법 및 그 덧버선
KR101357614B1 (ko) 발가락양말 및 그 편직방법
JP3211919U (ja) 靴下
JP3876377B2 (ja) 靴下
JP2005179867A (ja) 衣類
KR20220027717A (ko) 쿠션부가 있는 덧버선 및 그 편직방법
JP3944686B2 (ja) 靴下
JP5322874B2 (ja) 衣類
JP5936025B2 (ja) サポートソックス
JP3706966B2 (ja) 靴下
JP6562535B2 (ja) 靴下
JP4035964B2 (ja) 靴下
JPS6011041Y2 (ja) ストツキング
JP3227835U (ja) 靴下
CN113301818B (zh) 具有针织带的袜子
JPH0711121Y2 (ja) スポーツ用のくつ下
JP5092176B2 (ja) 靴下
KR200486657Y1 (ko) 바닥 무봉제 덧버선
KR200486292Y1 (ko) 벗겨지지 않는 덧버선 및 그 덧버선 제조용 편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