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6534B1 - 타이어 마킹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마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534B1
KR101936534B1 KR1020177021100A KR20177021100A KR101936534B1 KR 101936534 B1 KR101936534 B1 KR 101936534B1 KR 1020177021100 A KR1020177021100 A KR 1020177021100A KR 20177021100 A KR20177021100 A KR 20177021100A KR 101936534 B1 KR101936534 B1 KR 101936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printing
roller
print
m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1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6976A (ko
Inventor
지로 아가와
야스타카 세이모토
히로아키 요네다
구니오 마츠나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6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72Side-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006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 B41F16/0073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with means for printing on specific materials or products
    • B41F16/008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from an inked or preprinted foil or band with means for printing on specific materials or products for printing on three-dimension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3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s not being in sheet or web form, e.g. spherical or cubic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3/00Apparatus for stamping articles having integral mean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 B41K3/02Apparatus for stamping articles having integral mean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with stamping surface located above article-supporting surface
    • B41K3/04Apparatus for stamping articles having integral mean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with stamping surface located above article-supporting surface and movable at right angles to the surface to be stamped
    • B41K3/10Apparatus for stamping articles having integral mean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with stamping surface located above article-supporting surface and movable at right angles to the surface to be stamped having automatic means for changing type-characters, e.g. numb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01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4Determining unbalance
    • G01M1/16Determining unbalance by oscillating or rotating the body to be tested
    • G01M1/26Determining unbalance by oscillating or rotating the body to be tested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marking, e.g. by dril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2Tyres
    • G01M17/022Tyres the tyr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 G01M17/024Tyres the tyr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combined with tyre surface correcting or mar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72Side-walls
    • B29D2030/728Decorating or marking the sidewalls after tyre vulcanization

Abstract

이 타이어 마킹 장치는, 타이어에 마킹을 행하기 위한 타이어 마킹 장치로서, 타이어의 인자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조정되는 회전축을 갖는 원반부와, 원반부에 인자면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어, 회전축 둘레에 복수 배치된 인자부와, 타이어의 인자면에 대향하는 인자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인자부를 진출시키는 인자 구동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타이어 마킹 장치
본 발명은, 타이어에 마킹을 행하기 위한 타이어 마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의 불균일성을 계측하는 타이어 유니포미티 머신, 혹은 타이어의 언밸런스를 계측하는 밸런싱 머신 등의 완성된 타이어를 시험·검사하는 설비에는, 타이어에 마킹을 행하는 타이어 마킹 장치(이하, "마킹 장치"라고도 약칭함)를 구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마킹 장치에서는, ○형이나 △형 등의 마킹을 타이어의 사이드 월 상으로서, 계측 결과와 판정 기준으로부터 결정되는 타이어의 둘레 방향의 위치(위상)에 타점하는(마킹을 행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마킹의 형상과 색에 대해서는, 최근 요망이 다양화되고 있어, 타이어에 복수의 마킹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타이어에 마킹을 행하는 위치의 종류에는, 결정한 타이어의 위상 상에 마킹을 요구하는 것과, 사이드 월 상의 임의의 위상 상에 마킹을 행하는 것이 허용되는 것이 있다.
타이어에 복수의 마킹을 행하는 경우, 타이어의 사이드 월 상에 타이어의 직경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복수의 마킹을 행하거나, 타이어의 둘레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복수의 마킹을 행하거나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타이어의 직경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는 것, 및 둘레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는 것을 조합하여, 마킹의 수를 늘리는 것도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마킹 장치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6개의 스탬핑 요소(인자부)를 포함하는 스탬핑·바 조립체와, 스탬핑 요소를 움직여 창문 구조에 있어서 테이프를 타이어에 압압하는 마킹·액추에이터(인자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다. 6개의 스탬핑 요소는, 직선 형상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스탬핑·바 조립체가 레일을 따라 소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6개의 스탬핑 요소 중 어느 하나가 창문 구조와 소정의 정렬 상태를 이룬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3-519102호
그러나, 스탬핑 요소가 레일을 따라 평행 이동하는 경우에는, 마킹 장치가 구비하는 스탬핑 요소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복수의 스탬핑 요소의 전체로서의 외형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복수의 인자부의 전체로서의 외형을 작게 억제한 마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마킹 장치는, 타이어에 마킹을 행하기 위한 타이어 마킹 장치로서, 상기 타이어의 인자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조정되는 회전축을 갖는 원반부와, 상기 원반부에 상기 인자면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 둘레에 복수 배치된 인자부와, 상기 타이어의 상기 인자면에 대향하는 인자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인자부를 진출시키는 인자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양태에 의하면, 복수의 인자부가 회전축 둘레에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인자부의 수가 증가해도, 복수의 인자부가 직선 형상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복수의 인자부의 전체로서의 외형을 억제하여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인자부로부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인자부를 인자 구동부에 의하여 진출시킴으로써, 타이어의 인자면에 마킹을 행할 수 있다.
또, 상기의 마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자 구동부는 복수의 상기 인자부를 진출시켜도 된다.
이 양태에 의하면, 타이어에 다수의 마킹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상기의 마킹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인자부는, 상기 회전축 둘레에 등각도마다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인접하는 인자부에 대한 중심각을 단위로 하여 원반부를 회전시키면 되기 때문에, 원반부를 회전시키는 제어가 용이해진다.
또, 상기의 마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자 위치의 상기 인자부와 상기 타이어의 사이에 잉크 리본을 배치시키는 리본 공급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인자부는 상기 잉크 리본을 상기 타이어에 압압함으로써 인자를 행해도 된다.
이 양태에 의하면, 리본 공급 기구가 잉크 리본을 배치하고, 인자부가 잉크 리본을 타이어에 압압함으로써 인자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킹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인자부의 전체로서의 외형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타이어 마킹 장치의 전체 구성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동 타이어 마킹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동 타이어 마킹 장치의 반송 레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동 반송 레인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동 반송 레인의 제1 위치 결정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동 제1 위치 결정부의 구동 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동 반송 레인의 지지 암 및 회전 구동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동 타이어 마킹 장치의 회전량 검출부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동 타이어 마킹 장치의 헤드부 및 리본 공급 기구의 일부를 파단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 중의 절단선 A1-A1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동 리본 공급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의 화살표 A2 방향에서 본 도이다.
도 13은 동 리본 공급 기구의 제1 풀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타이어 마킹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 1부터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마킹 장치(1)는, 타이어(T)에 마킹(인자)을 행하기 위한 것이고, 타이어(T)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반송하는 반송부(10)와, 반송부(10)의 상방에 배치된 헤드부(80)와, 헤드부(80)에 장착된 리본 공급 기구(100)와, 반송부(10), 헤드부(80) 및 리본 공급 기구(100)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14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헤드부(80) 및 리본 공급 기구(100)로, 인자 장치(2)를 구성한다.
본 마킹 장치(1)는, 인자 장치(2)를 구비하고 있다.
도 3 및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부(10)는, 반송부(10)의 반송 방향(D)의 상류측(D1)에, 제1 반송 레인(16A)과 제2 반송 레인(16B)이 반송부(10)의 폭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된 분할 반송 레인(15)과, 반송부(10)의 하류측(D2)에 배치된 일체 반송 레인(30)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반송 레인(16A) 및 제2 반송 레인(16B)의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제1 반송 레인(16A)의 구성에 대해서는 숫자나 영소문자에 영대문자 "A"를 붙이고, 제2 반송 레인(16B)의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숫자나 영소문자에 영대문자 "B"를 붙임으로써 나타낸다. 이로써,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후술하는 위치 결정부(36A, 36B), 인자 핀(90A∼90H) 등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제1 반송 레인(16A)의 후술하는 제1 구동 롤러(17A)와 제2 구동 롤러(17B)의 구성은 동일하다.
제1 반송 레인(16A)에서는, 각 제1 구동 롤러(17A), 제1 종동 롤러(18A)는, 폭방향의 양 단부에서 지지 부재(19A)에 의하여 각각의 축선(17aA, 18a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구동 롤러(17A)의 상면의 높이와 제1 종동 롤러(18A)의 상면의 높이는 대략 일치하고 있거나, 제1 구동 롤러(17A)의 상면쪽이 약간 높게 배치되어 있다. 제1 구동 롤러(17A) 및 제1 종동 롤러(18A)는, 반송 방향(D)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제1 구동 롤러(17A), 제1 종동 롤러(18A)는, 축선(17aA, 18aA)이 수평면에 평행한 동일한 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각 제1 구동 롤러(17A)에는 도시하지 않은 벨트가 접속되어 있다. 이 벨트에, 도 2에 나타내는 제1 롤러 구동 모터(20A)의 회전축이 접속되어 있다. 제1 롤러 구동 모터(20A)의 회전축은, 정방향(제1 방향) 및 역방향(제2 방향)으로 전환하여 구동할 수 있다. 제1 롤러 구동 모터(20A) 및 제2 롤러 구동 모터(20B)로, 반송 구동부(21)를 구성한다.
도 3 및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1 구동 롤러(17A), 제1 종동 롤러(18A), 제2 구동 롤러(17B), 및 제2 종동 롤러(18B) 상에 타이어(T)를 배치한다. 이때, 타이어(T)의 사이드 월(인자면)(T1)에 있어서의 타이어(T)의 축선(T6)에 대한 일방측에 적어도 제1 구동 롤러(17A)의 측면이 맞닿고, 보조적으로 제1 종동 롤러(18A)의 측면이 맞닿도록 타이어(T)를 배치한다. 사이드 월(T1)에 있어서의 축선(T6)에 대한 타방측에 적어도 제2 구동 롤러(17B)의 측면이 맞닿고, 보조적으로 제2 종동 롤러(18B)의 측면이 맞닿도록 타이어(T)를 배치한다. 롤러(17A, 18A) 및 롤러(17B, 18B)는, 타이어(T)의 일방의 사이드 월(T1)에 각각 맞닿는다.
제1 롤러 구동 모터(20A)의 회전축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1 구동 롤러(17A)가 축선(17aA)을 중심으로 정방향(F1)으로 회전한다. 제2 롤러 구동 모터(20B)의 회전축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각 제2 구동 롤러(17B)가 축선(17aB)을 중심으로 정방향(F1)으로 회전한다. 이때, 각 구동 롤러(17A, 17B) 상에 배치된 타이어(T)는, 상류측(D1)으로부터 하류측(D2)을 향하여 반송된다. 반송되는 타이어(T)를 지지하는 각 제1 종동 롤러(18A) 및 제2 종동 롤러(18B)는, 타이어(T)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동반 회전을 한다.
이와 같이, 구동 롤러(17A, 17B)는 타이어(T)를 회전 구동하는 롤러이며, 종동 롤러(18A, 18B)는 회전하는 타이어(T)에 따라 종동하는 롤러이다.
한편, 롤러 구동 모터(20A, 20B)의 회전축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구동 롤러(17A)가 축선(17aA)을 중심으로 역방향(F2)으로 회전하고, 제2 구동 롤러(17B)가 축선(17aB)을 중심으로 역방향(F2)으로 회전한다. 이때, 각 구동 롤러(17A, 17B) 상에 배치된 타이어(T)는, 하류측(D2)으로부터 상류측(D1)을 향하여 반송된다.
제1 반송 레인(16A)에 있어서, 도 3 및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 부재(19A)는, 연결 부재(24A)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연결 부재(24A)는, 상하 방향으로 뻗는 다리부(25A)에 마련된 지지 부재(26A)에 장착되어 있다. 다리부(25A)의 하단부가 도시하지 않은 마루면 상에 배치됨으로써, 제1 반송 레인(16A)은 마루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간한 위치에서 지지되어 있다.
일체 반송 레인(30)은, 반송 레인(16A, 16B)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체 반송 레인(30)에 있어서, 각 제3 구동 롤러(31), 제3 종동 롤러(32)는, 폭방향의 양 단부에서 지지 부재(33)에 의하여 각각의 축선(31a, 32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33)는, 상술한 지지 부재(26A, 26B)에 장착되어 있다.
각 제3 구동 롤러(31)에는 도시하지 않은 벨트가 접속되어 있다. 이 벨트에 제3 롤러 구동 모터(34)(도 2 참조)의 회전축이 접속되어 있다. 제3 롤러 구동 모터(34)의 회전축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전환하여 구동할 수 있다.
지지 부재(26A)에는, 제1 위치 결정부(36A)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위치 결정부(36A)에서는, 지지대(37A) 상에 한 쌍의 지지 암(38A, 39A)이 지지 암(38A, 39A)의 제1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 암(38A, 39A)은, 암 구동 실린더(42A)(도 2 참조)에 의하여 기어(40A, 41A)를 통하여 각각의 제1 단부를 중심으로 수평면에 평행한 면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지지 암(38A)은, 지지 암(39A)보다 하류측(D2)에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암(38A)의 제2 단부에는 원기둥 형상의 축부재(38aA)가 마련되어 있다. 이 축부재(38aA)에는, 도 5 및 6에 나타내는 구동 롤러(44A)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 롤러(44A)는, 수평면에 직교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5 및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롤러(44A)는, 원통 형상의 롤러 본체(45A)와, 롤러 본체(45A)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롤러 본체(45A)의 축선을 따라 뻗는 복수의 외측 볼록부(46A)를 갖고 있다. 복수의 외측 볼록부(46A)는, 롤러 본체(45A)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동 롤러(44A)를 구성하는 롤러 본체(45A) 및 외측 볼록부(46A)는, 스틸제의 타이밍 풀리를 이용하여 구성하거나, 나일론이나 폴리옥시메틸렌(POM) 등의 수지로 일체로 형성하거나 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암(38A)에는, 구동 롤러(44A)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부(48A)가 장착되어 있다.
회전 구동부(48A)는, 도 5 및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49A) 상에서 진퇴 구동하는 에어 실린더(50A)와, 에어 실린더(50A)의 진출 방향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링크 부재(51A)와, 링크 부재(51A)에 장착된 공지의 클러치 기구(52A)를 갖고 있다. 또한, 링크 부재(51A) 및 클러치 기구(52A)로 변환부(53A)를 구성한다.
에어 실린더(50A)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본체(50aA) 내에, 로드(봉 형상 부재)(50bA)가 실린더 본체(50aA)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삽통되어 구성되어 있다. 실린더 본체(50aA)에는, 도시하지 않은 튜브를 통하여 에어 컴프레서 등의 압축 공기의 공급·배출이 가능한 실린더 구동부(50cA)(도 2 참조)가 접속되어 있다.
실린더 구동부(50cA)에 의하여 실린더 본체(50aA) 내의 헤드측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면, 실린더 본체(50aA)에 대하여 로드(50bA)가 진출한다. 한편, 실린더 구동부(50cA)에 의하여 실린더 본체(50aA) 내의 로드측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면, 실린더 본체(50aA)에 대하여 로드(50bA)가 후퇴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동부인 에어 실린더(50A)는 압축 공기로 구동하는 것으로 했지만, 직동부가 유압이나 자력 등으로 구동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로드(50bA)의 진출 방향의 선단부와 링크 부재(51A)의 제1 단부는, 부호를 생략한 핀 등으로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 부재(51A)의 제2 단부(51aA)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단부(51aA)의 통구멍 내에는, 지지 암(38A)의 축부재(38aA)가 제2 단부(51a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이 제2 단부(51aA)의 외주면에, 상술한 클러치 기구(52A)가 고정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52A)는, 구동 롤러(44A)의 롤러 본체(45A)의 통구멍 내에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52A)는, 클러치 기구(52A)에 대하여 구동 롤러(44A)가 축부재(38aA)의 축선(38bA)을 중심으로 방향 E1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한다. 한편, 클러치 기구(52A)에 대하여 구동 롤러(44A)가 축선(38bA)을 중심으로 방향 E2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 구동부(48A)는, 실린더 본체(50aA)에 대하여 로드(50bA)가 도 7의 위치 P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출하면, 링크 부재(51A)가 축선(38bA)을 중심으로 방향 E2로 회전하고, 위치 P4로 이동한다. 이때, 클러치 기구(52A)와 구동 롤러(44A)가 접속되어, 링크 부재(51A)의 제2 단부(51aA)와 함께 클러치 기구(52A) 및 구동 롤러(44A)가 축선(38bA)을 중심으로 방향 E2로 회전한다.
한편, 실린더 본체(50aA)에 대하여 로드(50bA)가 후퇴하면, 링크 부재(51A)가 축선(38bA)을 중심으로 방향 E1로 회전한다. 이때, 클러치 기구(52A)와 구동 롤러(44A)의 접속이 해제되어, 구동 롤러(44A)는 회전하지 않는다(공전한다).
이와 같이, 클러치 기구(52A)는, 링크 부재(51A)의 제2 단부(51aA)에 대한 구동 롤러(44A)의 축선(38bA)을 중심으로 하는 방향 E2만의 회전을 허용한다.
변환부(53A)는, 에어 실린더(50A)의 진퇴 구동의 힘을 구동 롤러(44A)의 축선(38bA)을 중심으로 하는 방향 E2의 회전력으로 변환한다.
회전 구동부(48A)가 에어 실린더(50A) 및 변환부(53A)를 구비하고, 에어 실린더(50A)가 직선(49A) 상에서 진퇴 구동하는 움직임을 변환부(53A)에서 변환함으로써, 구동 롤러(44A)가 방향 E2로 회전한다.
실린더 구동부(50cA)에 의하여 로드(50bA)의 진출 및 후퇴를 행하면, 구동 롤러(44A)가 축선(38bA)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한다.
로드(50bA)의 진출 및 후퇴를 세트로 하여 소정 횟수 반복함으로써, 구동 롤러(44A)가 일정 각도의 소정 횟수배 회전하는, 이른바 인칭 구동을 한다.
지지 암(39A)의 제2 단부에는, 도 3에 나타내는 종동 롤러(57A)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종동 롤러(57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하는 타이어(T)에 따라 종동하는 것이다.
지지 부재(26B)에는, 제2 위치 결정부(36B)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위치 결정부(36A) 및 제2 위치 결정부(36B)로, 중심 위치 조정 기구(59)를 구성한다.
제2 위치 결정부(36B)의 지지 암(38B)은, 지지 암(39B)보다 상류측(D1)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위치 결정부(36A) 및 제2 위치 결정부(36B)는, 분할 반송 레인(15)의 하류측(D2)의 단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중심 위치 조정 기구(59)에서는, 반송부(10)에 의하여 반송된 타이어(T)가 제1 위치 결정부(36A)와 제2 위치 결정부(36B)의 사이에 규정되는 마킹 위치(P1)에 온 것을 타이어 검출 센서(61)(도 2 참조)가 검출한다. 타이어 검출 센서(61)로서는, 공지의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의 센서를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타이어 검출 센서(61)는, 검출 결과를 제어 유닛(140)에 송신한다.
타이어 검출 센서(61)로 마킹 위치(P1)에 타이어(T)가 온 것을 검출했을 때에, 이하와 같이 제어된다.
또한, 중심 위치 조정 기구(59)는 타이어(T)의 위치를 조정하지 않는 통상 시에는, 지지 암(38A, 39A, 38B, 39B)이 타이어(T)의 반송 방향(D)에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타이어(T)의 반송에 지장이 없다.
암 구동 모터(40A, 41A, 40B, 41B)를 구동하고, 지지 암(38A, 39A, 38B, 39B)을 회전시켜, 롤러(44A, 57A, 44B, 57B)를 타이어(T)의 트레드(T2)에 둘레 방향의 복수 위치로부터 맞닿게 한다.
실린더 구동부(50cA, 50cB)가 구동 롤러(44A, 44B)를 인칭 구동에 의하여 회전시키면, 타이어(T)는 축선(T6)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 방향으로 회전한다.
타이어(T)가 회전하면, 종동 롤러(57A, 57B)는 종동하여 동반 회전한다.
구동 롤러(44A, 44B)를 인칭 구동함으로써, 타이어(T)의 축선(T6)의 위치가 조정된다(타이어(T)가 센터링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타이어(T)의 위치를 조정하는 중심 위치 조정 기구(59)의 구동 롤러(44A, 44B)가, 타이어(T)를 축선(T6)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위치 조정 롤러를 겸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부(25A)에는, 지지 부재(64)를 통하여 회전량 검출부(65)가 장착되어 있다.
회전량 검출부(65)에서는, 에어 실린더(66)의 로드(66a)의 선단부에, 연결 부재(67)를 통하여 회전축(68)이 장착되어 있다. 로드(66a)는, 에어 실린더(66)의 실린더 본체(66b) 내에 진퇴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실린더 본체(66b)는, 상술한 지지 부재(64)에 의하여 다리부(25A)에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 본체(66b)에는, 도시하지 않은 튜브를 통하여 실린더 구동부(70)(도 2 참조)가 접속되어 있다.
실린더 구동부(70)에 의하여 실린더 본체(66b) 내의 헤드측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면, 실린더 본체(66b)에 대하여 로드(66a)가 진출한다. 한편, 실린더 구동부(70)에 의하여 실린더 본체(66b) 내의 로드측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면, 실린더 본체(66b)에 대하여 로드(66a)가 후퇴한다.
회전축(68)은, 수평면에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회전축(68)은, 연결 부재(67)에 의하여 회전축(68)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68)의 하방의 단부에는 검출 롤러(71)가, 상부에는 인코더(72)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로드(66a)가 진출했을 때에 검출 롤러(71)가 위치 P5로 이동하여, 마킹 위치(P1)에 있는 타이어(T)의 트레드(T2)에 검출 롤러(71)의 측면이 맞닿는다. 타이어(T)가 축선(T6)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량(회전 각도)과, 회전축(68)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량의 사이에는, 일정한 관계가 있다.
인코더(72)는, 회전축(68)의 회전량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보정하여 타이어(T)의 회전량을 검출한다. 인코더(72)는, 검출 결과를 제어 유닛(140)에 송신한다.
헤드부(80)에서는, 도 1 및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대(81) 상에 베이스(82)가 지지되어 있다. 베이스(82)의 상부에는, 관통 구멍(83a)이 형성된 연결 부재(83)가 장착되어 있다. 관통 구멍(83a)은,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82)의 하방의 단부에는, 가이드판(84)이 장착되어 있다. 도 9 및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판(84)에는, 한 쌍의 관통 구멍(8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는, 가이드판(84) 중 한 쌍의 관통 구멍(84a)만 나타내고 있다.
한 쌍의 관통 구멍(84a)의 피치는, 후술하는 인자 핀(90A∼90H) 중 턴테이블(86)의 둘레 방향에 인접하는 것의 피치와 동일하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관통 구멍(84a)에 겹쳐지는 인자 핀(90A∼90H)이나 후술하는 잉크 리본(R1, R2)의 위치가 인자 위치(P10, P11)이다. 인자 위치(P10, P11)는, 마킹 위치(P1)에 배치된 타이어(T)의 사이드 월(T1)에 대향한다.
가이드판(84)에는, 후술하는 잉크 리본(R1, R2)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85)가 장착되어 있다.
연결 부재(83)의 관통 구멍(83a)에는, 원판 형상의 턴테이블(원반부)(86)의 중심축(회전축)(86a) 상에 장착된 로드(87)가 연결 부재(83)의 관통 구멍(83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턴테이블(86)에는, 중심축(86a) 둘레에 등각도마다 8개의 관통 구멍(86b)이 형성되어 있다. 턴테이블(86)의 중심축(86a)은, 마킹 위치(P1)에 있는 타이어(T)의 사이드 월(T1)에 대하여 대략 수직(수직도 포함함)으로 배치되도록, 도시하지 않은 전동 장치에 의하여 조정된다.
턴테이블(86) 내에는, 히터 등을 갖는 가열 수단(86c)(도 2 참조)이 배치되어 있다. 가열 수단(86c)은, 히터에 소정 전력을 인가함으로써, 후술하는 인자 핀(90A∼90H)을 가열한다.
로드(87)의 상방 단부에는, 로드(87)를 통하여 턴테이블(86)을 중심축(86a)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모터 혹은 에어 인덱싱의 원반 회전 구동 장치(원반 구동부)(88)가 장착되어 있다. 원반 회전 구동 장치(88)는, 연결 부재(83)에 고정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턴테이블(86)에는 8개의 인자 핀(90A∼90H)이 중심축(86a) 둘레에 등각도, 즉 45°마다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원반 회전 구동 장치(88)는 턴테이블(86)을 중심축(86a)을 중심으로, 인접하는 인자 핀(90A∼90H)에 대한 중심각인 45°를 단위로 하여 회전시키면 된다.
턴테이블(86)의 각 관통 구멍(86b)에는, 8개의 인자 핀(인자부)(90A∼90H)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또한, 인자 핀(90A∼90H)은, 인자 핀(90A, 90B, 90C, 90D, 90E, 90F, 90G, 90H)을 약기한 것이다.
즉, 8개의 인자 핀(90A∼90H)은, 중심축(86a) 둘레에 등각도마다 배치되어 있다. 8개의 인자 핀(90A∼90H)이 중심축(86a) 둘레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헤드부(80)가 구비하는 인자 핀의 수가 늘어나도, 인자 핀(90A∼90H)이 직선 형상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인자 핀(90A∼90H)의 전체로서의 외형이 억제된다.
인자 핀(90A)은, 봉 형상의 핀 본체(90aA)의 상방의 단부, 하방의 단부에 확경부(90bA, 90cA)가 마련되어 구성되어 있다(인자 핀(90B, 90C, 90E, 90F, 90G, 90H)에 있어서의 핀 본체(90aA), 확경부(90bA, 90cA)에 대응하는 구성은 도시하지 않음).
핀 본체(90aA)의 하면에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형이나 △형 등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핀 본체(90aA)는, 턴테이블(86)의 관통 구멍(86b)에 삽통되어 있다. 확경부(90bA, 90cA)는, 턴테이블(86)보다 상방, 하방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인자 핀(90A)의 확경부(90bA)의 하면과 턴테이블(86)의 상면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91A)이 배치되어 있다(코일 스프링(91aB, 91aC, 91E, 91F, 91G, 91H)은 도시하지 않음). 코일 스프링(91A)은, 핀 본체(90aA)에 삽통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91A)은, 인자 핀(90A)의 확경부(90bA)를 상방으로 부세(付勢)한다.
후술하는 에어 실린더(94A)가 인자 핀(90A)을 하방으로 부세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인자 핀(90A)의 하면은 가이드판(84)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83)에는, 에어 실린더(94A, 94B)가 장착되어 있다.
에어 실린더(94A)는, 실린더 본체(94aA) 내에, 로드(94bA)가 실린더 본체(94aA)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삽통되어 구성되어 있다(실린더 본체(94aB) 및 로드(94bB)는 도시하지 않음).
실린더 본체(94aA)는, 연결 부재(83)에 장착되어 있다. 실린더 본체(94aA)에는, 도시하지 않은 튜브를 통하여 도 2에 나타내는 실린더 구동부(95A)(도 2 참조)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에어 실린더(94A, 94B) 및 실린더 구동부(95A, 95B)로 인자 구동부(96)를 구성한다. 에어 실린더(94A, 94B)는 인자 위치(P10, P1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실린더 구동부(95A)에 의하여 실린더 본체(94aA) 내의 헤드측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면, 실린더 본체(94aA)에 대하여 로드(94bA)가 하방으로 진출한다. 이때, 코일 스프링(91A)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인자 핀(90A)을 진출시킴으로써, 인자 핀(90A)의 하면은 가이드판(84)의 하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된다.
가열된 인자 핀(90A)이 후술하는 잉크 리본(R1)을 타이어(T)의 사이드 월(T1)에 압압함으로써, 타이어(T)에 마킹(인자)이 행해진다.
한편, 실린더 구동부(95A)에 의하여 실린더 본체(94aA) 내의 로드측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면, 코일 스프링(91A)의 부세력을 받아 실린더 본체(94aA)에 대하여 로드(94bA)가 상방으로 후퇴한다.
이와 같이, 인자 핀(90A)은, 턴테이블(86)에 있어서, 타이어(T)의 사이드 월(T1)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인자 구동부(96)는, 인자 핀(90A∼90H) 중 인자 위치(P10, P11)에 배치된 2개를 동시에 진출 및 후퇴시킨다.
리본 공급 기구(100)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80)의 베이스(82)에 고정된 리본 공급 유닛(101) 및 리본 권취 유닛(102)을 갖고 있다.
리본 공급 유닛(101)은, 공지의 구성의 것이다. 리본 공급 유닛(101)에서는, 베이스(82)에 고정된 보조 베이스(105)에 제1 공급 롤러(106) 및 제2 공급 롤러(107)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공급 롤러(106)에는, 예를 들면 적색의 잉크 리본(R1)이 권회(卷回)되어 있다. 잉크 리본(R1)으로서는, 가압 및 가열됨으로써 잉크가 전사되는 열전사 타입의 리본이 이용되고 있다.
제1 공급 롤러(106)로부터 인출되어 공급된 잉크 리본(R1)은, 잉크 리본(R1)에 일정한 장력이 작용하도록 가이드 롤러(85) 등에 권회된 후에, 가이드판(84)의 하면에 안내되고 있다. 잉크 리본(R1)은, 가이드판(84)의 하면의 인자 위치(P10)를 통과한다. 즉, 잉크 리본(R1)은, 인자 위치(P10)의 인자 핀(90A)과 타이어(T)의 사이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 공급 롤러(107)에는, 예를 들면 황색 잉크 리본(R2)이 권회되어 있다. 제2 공급 롤러(107)로부터 인출되어 공급된 잉크 리본(R2)은, 잉크 리본(R2)에 일정한 장력이 작용하도록 가이드 롤러(85) 등에 권회된 후에, 가이드판(84)의 하면에 안내되고 있다. 잉크 리본(R2)은, 가이드판(84)의 하면의 인자 위치(P11)를 통과한다.
잉크 리본(R1, R2)의 각각은, 가이드판(84)의 관통 구멍(84a)을 사이에 두고, 인자 핀(90A∼90H) 중 어느 하나의 하면에 대향하고 있다(도 10 참조).
도 11 및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본 권취 유닛(102)에서는, 헤드부(80)의 베이스(82)에 고정된 지지 부재(111)에 제1 권취 롤러(112) 및 제2 권취 롤러(113)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111)에는, 제1 권취 롤러(112) 및 제2 권취 롤러(113)를 회전시키는 롤러 구동부(114)가 장착되어 있다.
롤러 구동부(114)는, 1개의 권취 모터(모터)(117)와, 제1 권취 롤러(112)에 동 축에 장착된 제1 풀리(제1 종동륜)(118)와, 제2 권취 롤러(113)에 동 축에 장착된 제2 풀리(제2 종동륜)(119)와, 제1 풀리(118), 제2 풀리(119), 및 권취 모터(117)의 회전축(117b)에 각각 접속된 1개의 벨트(환 형상 부재)(120)를 갖고 있다.
권취 모터(117)는, 모터 본체(117a)에 대하여 회전축(117b)이 정방향(F6) 및 역방향(F7)으로 각각 회전 가능한 것이다. 모터 본체(117a)는, 상술한 지지 부재(111)에 의하여 베이스(82)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축(117b)에는, 모터 풀리(117c)가 장착되어 있다.
지지 부재(111)에는, 제1 풀리(118) 및 제2 풀리(119)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권취 모터(117)의 모터 풀리(117c), 제1 풀리(118), 및 제2 풀리(119)는, 동일한 면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풀리(118)는, 제1 권취 롤러(112)의 축부재(112a)에 공지의 제1 클러치 기구(122a, 122b) 및 베어링(123)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1 풀리(118), 제1 클러치 기구(122a, 122b), 및 벨트(120)로, 제1 전달 기구(124)를 구성한다. 축부재(112a)는, 지지 부재(111)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관통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제1 클러치 기구(122a)는, 제1 풀리(118)를 축부재(112a)에 대하여 방향 F8로는 연결을 끊고, 한편으로 방향 F9로는 연결한다. 이로써 제1 풀리(118)의 회전에 대하여, 축부재(112a)를 축선(112b)을 중심으로 방향 F8로는 회전을 규제하고, 방향 F9로는 회전을 허용한다.
이때, 제1 클러치 기구(122b)는 축부재(112a)에 대하여, 방향 F8로의 회전을 규제하여 브레이크의 역할을 담당하고, 한편으로 방향 F9로는 회전을 허용한다.
베어링(123)은, 제1 풀리(118)에 대하여 축부재(112a)가 매끄럽게 회전하도록 지지한다.
제1 권취 롤러(112)에는, 잉크 리본(R1)이 권회되어 있다.
제2 풀리(119)는, 제1 풀리(118)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풀리(119)는, 제2 권취 롤러(113)의 축부재(113a)에 제2 클러치 기구(126a, 126b) 및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 풀리(119), 제2 클러치 기구(126a, 126b) 및 벨트(120)로, 제2 전달 기구(128)를 구성한다. 벨트(120)는, 제1 전달 기구(124) 및 제2 전달 기구(128)를 겸하고 있다.
제2 클러치 기구(126a)가 축부재(113a)에 연결되어 축부재(113a)를 회전시키는 방향은, 제1 클러치 기구(122a)와는 역방향으로 되어 있다. 즉, 제2 클러치 기구(126a)는, 제2 풀리(119)를 축부재(113a)에 대하여 방향 F10으로는 연결을 끊고, 한편으로 방향 F11로는 연결한다. 이로써 제2 풀리(119)의 회전에 대하여, 축부재(113a)를 축선(113b)을 중심으로 방향 F10으로는 회전을 규제하고, 방향 F11로는 회전을 허용한다.
이때, 제2 클러치 기구(126b)는 축부재(113a)에 대하여, 방향 F10으로의 회전을 규제하여 브레이크의 역할을 담당하고, 한편으로 방향 F11로는 회전을 허용한다.
제2 권취 롤러(113)는, 제1 권취 롤러(112)에 대하여 제1 권취 롤러(112)의 폭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권취 롤러(113)에는, 잉크 리본(R2)이 권회되어 있다.
잉크 리본(R1, R2)에 작용하는 장력을 높이기 위하여, 지지 부재(111)에 가이드 롤러(130)가 장착되어 있다.
모터 풀리(117c), 제1 풀리(118), 및 제2 풀리(119)에는, 상술한 벨트(120)가 권회되어 있다. 벨트(120)에 작용하는 장력을 높이기 위하여, 지지 부재(111)에 가이드 풀리(131)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리본 공급 기구(100)에서는, 권취 모터(117)의 회전축(117b)을 정방향(F6)으로 회전시키면, 제1 풀리(118)가 방향 F9로 회전하고, 제2 풀리(119)가 방향 F10으로 회전한다. 권취 모터(117)의 회전축(117b)에 의하여, 벨트(120)를 통하여 제1 풀리(118) 및 제2 풀리(119)가 회전한다.
이때, 제1 클러치 기구(122a)에 의하여 제1 풀리(118)와 축부재(112a)가 연결되어, 제1 풀리(118)와 함께 제1 권취 롤러(112)가 방향 F9로 회전한다. 제2 클러치 기구(126a)에서는 제2 풀리(119)와 축부재(113a)의 연결이 끊어져 있기 때문에, 제2 풀리(119)가 방향 F10으로 회전해도 제2 권취 롤러(113)는 회전하지 않는다.
즉, 권취 모터(117)의 회전축(117b)을 정방향(F6)으로 회전시키면, 제1 권취 롤러(112)에 의하여 잉크 리본(R1)이 권취되지만, 잉크 리본(R2)은 권취되지 않는다. 리본 공급 유닛(101)의 제1 공급 롤러(106)로부터 잉크 리본(R1)이 인출된다.
한편, 권취 모터(117)의 회전축(117b)을 역방향(F7)으로 회전시키면, 제1 풀리(118)가 방향 F8로 회전하고, 제2 풀리(119)가 방향 F11로 회전한다. 이때, 제1 클러치 기구(122a)에서는 제1 풀리(118)와 축부재(112a)의 연결이 끊어져 있기 때문에, 제1 풀리(118)가 방향 F8로 회전해도 제1 권취 롤러(112)는 회전하지 않는다. 제2 클러치 기구(126a)에 대하여 축부재(113a)가 연결되어, 제2 풀리(119)와 함께 제2 권취 롤러(113)가 방향 F11로 회전한다.
즉, 권취 모터(117)의 회전축(117b)을 역방향(F7)으로 회전시키면, 제2 권취 롤러(113)에 의하여 잉크 리본(R2)이 권취되지만, 잉크 리본(R2)은 회전하지 않는다. 제2 공급 롤러(107)로부터 잉크 리본(R2)이 인출된다.
이와 같이, 제1 전달 기구(124)는, 제1 권취 롤러(112)에 대하여 권취 모터(117)의 회전축(117b)의 정방향(F6)의 회전만을 전달시킨다. 회전축(117b)이 정방향(F6)으로 회전했을 때만, 제1 권취 롤러(112)에 의하여 잉크 리본(R1)이 권취된다.
제2 전달 기구(128)는, 제2 권취 롤러(113)에 대하여 권취 모터(117)의 회전축(117b)의 역방향(F7)의 회전만을 전달시킨다. 회전축(117b)이 역방향(F7)으로 회전했을 때만, 제2 권취 롤러(113)에 의하여 잉크 리본(R2)이 권취된다.
잉크 리본(R1, R2)을 권취하기 위하여 필요한 모터가, 권취 모터(117) 중 하나이다.
리본 공급 기구(100)는, 인자 위치(P10, P11)의 인자 핀(90A, 90H)과 타이어(T)의 사이에 배치된 잉크 리본(R1, R2)을 권취한다.
제어 유닛(14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스(141)에 접속된 제어부(142)를 갖고 있다. 버스(141)에는, 반송부(10)의 롤러 구동 모터(20A, 20B, 34), 암 구동 실린더(42A, 42B), 실린더 구동부(50cA, 50cB, 70), 타이어 검출 센서(61), 인코더(72), 헤드부(80)의 가열 수단(86c), 원반 회전 구동 장치(88), 실린더 구동부(95A, 95B), 및 리본 공급 기구(100)의 권취 모터(117)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142)는, 타이머, 연산 소자, 메모리, 및 제어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된 마킹 장치(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킹 장치(1)를 기동하면, 제어 유닛(140)의 제어부(142)는 롤러 구동 모터(20A, 20B, 34)의 회전축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동 롤러(17A, 17B, 31)가 정방향(F1)으로 회전한다. 가열 수단(86c)에 의하여 턴테이블(86)을 가열함으로써, 인자 핀(90A∼90H)을 소정 온도로 가열한다.
타이어 유니포미티 머신 등의 시험 장치로 소정의 시험·검사를 마친 타이어(T)는, 분할 반송 레인(15) 상에 배치된다.
타이어(T)는, 시험 장치에 의하여 마킹을 행하는 둘레 방향의 위치가 조정된 상태로, 분할 반송 레인(15) 상에 배치된다.
타이어(T)는 구동 롤러(17A, 17B)에 의하여 상류측(D1)으로부터 하류측(D2)을 향하여 반송된다. 시험 장치로부터 마킹 장치(1)의 제어 유닛(140)에, 타이어(T)의 외경, 타이어(T)에 행하는 마킹의 형상이나 색 등의 정보가 송신된다.
이 예에서는, 예를 들면 적색 ○형, 황색 △형, 적색 □형, 그리고 황색 ×형을 타이어(T)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하여 마킹하는 지시가 시험 장치로부터 송신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타이어(T)가 마킹 위치(P1)까지 반송되면, 타이어 검출 센서(61)는 타이어(T)가 마킹 위치(P1)에 온 것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제어 유닛(140)의 제어부(142)에 송신한다.
제어부(142)는, 암 구동 실린더(42A, 42B)를 구동하여, 타이어(T)의 트레드(T2)에 롤러(44A, 57A, 44B, 57B)를 맞닿게 한다. 이때, 롤러(44A, 57A, 44B, 57B)는, 도 3의 위치 P6으로 이동한다.
제1 마킹을 하기 위하여, 실린더 구동부(95A, 95B)를 구동하고, 에어 실린더(94A, 94B)의 로드(94bA, 94bB)와 함께 2개의 인자 핀(90A, 90H)을 동시에 진출시킨다. 잉크 리본(R1, R2)이 가압 및 가열됨으로써, 타이어(T)의 사이드 월(T1)에 예를 들면 적색으로 ○형, 황색으로 △형의 마킹이 타이어(T)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어 행해진다. 한번에 2개의 마킹을 행함으로써, 타이어(T)에 마킹을 1개씩 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타이어(T)에 행하는 마킹이 효율적이 된다.
실린더 구동부(95A, 95B)를 구동하여, 인자 핀(90A, 90H)을 후퇴시킨다. 원반 회전 구동 장치(88)를 구동하여 턴테이블(86)을 회전시켜, 인자 위치(P10)에 인자 핀(90C)을 배치시킴과 함께 인자 위치(P11)에 인자 핀(90B)을 배치시킨다.
권취 모터(117)를 구동하고, 회전축(117b)을 정방향(F6)으로 회전시킨다.
제1 권취 롤러(112)가 방향 F9로 회전하고, 제1 권취 롤러(112)에 의하여 잉크 리본(R1)이 일정 길이 권취된다.
또한, 권취 모터(117)를 구동하고, 회전축(117b)을 역방향(F7)으로 회전시킨다.제2 권취 롤러(113)가 방향 F11로 회전하고, 제2 권취 롤러(113)에 의하여 잉크 리본(R2)이 일정 길이 권취된다.
제어부(142)가 실린더 구동부(70)를 구동하여 로드(66a)를 진출시키면, 타이어(T)의 트레드(T2)에 검출 롤러(71)의 측면이 맞닿는다.
구동 롤러(44A, 44B)를 소정 횟수 인칭 구동하여, 타이어(T)를 축선(T6)을 중심으로 소정의 목표 회전량 회전시킨다. 구동 롤러(44A)에 외측 볼록부(46A)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구동 롤러(44A)와 타이어(T)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 구동 롤러(44A, 44B)가 타이어(T)를 축선(T6)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회전하는 타이어(T)에 따라 종동 롤러(57A, 57B)가 종동하여 회전한다.
이때, 타이어(T)에 맞닿은 검출 롤러(71)는,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회전량 검출부(65)는, 타이어(T)의 회전량을 검출하고, 검출한 타이어(T)의 회전량을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42)에 송신하여 소정의 목표 회전량 회전했는지를 확인한다.
이 회전량이 목표 회전량보다 작은 경우에는, 구동 롤러(44A, 44B)를 인칭 구동해도 구동 롤러(44A, 44B)와 타이어(T)의 사이가 미끄러져, 타이어(T)가 충분히 회전하고 있지 않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2)는 실린더 구동부(50cA, 50cB)를 더 구동하여 에어 실린더(50A, 50B)의 로드(50bA, 50bB)를 진출시킨다.
다음으로 제2 마킹을 하기 위하여, 실린더 구동부(95A, 95B)를 구동하고, 2개의 인자 핀(90C, 90B)을 진출시킨다. 잉크 리본(R1, R2)이 가압 및 가열됨으로써, 타이어(T)의 사이드 월(T1)에 예를 들면 적색으로 □형, 황색으로 ×형의 마킹이, ○형 및 △형의 마킹에 대하여 타이어(T)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타이어(T)에 있어서 제1 마킹을 한 위치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제2 마킹 이후의 마킹이 순차 실시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자 장치(2)는, 한 쌍의 잉크 리본(R1, R2)으로 타이어(T)에 마킹을 행할 수 있다.
제어부(142)가 실린더 구동부(70)를 구동하여 로드(66a)를 후퇴시키면, 타이어(T)의 트레드(T2)로부터 검출 롤러(71)가 이간한다.
암 구동 실린더(42A, 42B)를 구동하여, 타이어(T)로부터 롤러(44A, 57A, 44B, 57B)를 이간시킨다.
4개의 마킹이 행해진 타이어(T)가, 일체 반송 레인(30)에 의하여 마킹 위치(P1)로부터 하류측(D2)을 향하여 반송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마킹 장치(1)에 의하면, 8개의 인자 핀(90A∼90H)이 중심축(86a) 둘레에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인자 핀의 수가 증가해도, 복수의 인자 핀이 직선 형상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복수의 인자 핀의 전체로서의 외형을 억제하여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인자 구동부(96)가 2개의 인자 핀을 동시에 진출시키기 때문에, 타이어(T)에 복수의 마킹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8개의 인자 핀(90A∼90H)은, 중심축(86a) 둘레에 등각도마다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인접하는 인자 핀(90A∼90H)에 대한 중심각인 45°를 단위로 하여 턴테이블(86)을 회전시키면 되기 때문에, 턴테이블(86)을 회전시키는 제어가 용이해진다.
리본 공급 기구(100)를 구비함으로써, 리본 공급 기구(100)가 잉크 리본(R1, R2)을 배치하고, 인자 핀(90A∼90H)이 잉크 리본(R1, R2)을 타이어(T)에 압압함으로써 인자를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서술했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구성 변경, 조합, 삭제 등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인자 구동부(96)는 8개의 인자 핀(90A∼90H) 중 2개의 인자 핀을 동시에 진출시키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인자 구동부가 동시에 진출시키는 인자 핀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여도 되며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 원반 회전 구동 장치(88)가 턴테이블(86)을 중심축(86a)을 중심으로 원하는 각도 회전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인자 핀(90A∼90H)은 중심축(86a) 둘레에 등각도마다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타이어를 회전시켜 마킹을 행하는 마킹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1 마킹 장치(타이어 마킹 장치)
86 턴테이블(원반부)
86a 중심축(회전축)
90A∼90H 인자 핀(인자부)
96 인자 구동부
100 리본 공급 기구
R1, R2 잉크 리본
T 타이어
T1 사이드 월(인자면)

Claims (4)

  1. 타이어에 마킹을 행하기 위한 타이어 마킹 장치로서,
    상기 타이어의 센터링을 행하는 중심 위치 조정 기구와,
    상기 타이어의 인자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조정되는 회전축을 갖는 원반부와,
    상기 원반부에 상기 인자면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회전축 둘레에 복수 배치된 인자부와,
    상기 타이어의 상기 인자면에 대향하는 인자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인자부를 진출시키는 인자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심 위치 조정 기구는,
    상기 타이어를 상기 타이어의 축선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인자면 상에 미리 정해진 위치와 상기 인자부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회전 위치 조정 롤러를 갖는 타이어 마킹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자 구동부는 복수의 상기 인자부를 진출시키는 타이어 마킹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인자부는, 상기 회전축 둘레에 등각도마다 배치되어 있는 타이어 마킹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자 위치의 상기 인자부와 상기 타이어의 사이에 잉크 리본을 배치시키는 리본 공급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인자부는 상기 잉크 리본을 상기 타이어에 압압함으로써 인자를 행하는 타이어 마킹 장치.
KR1020177021100A 2015-02-09 2015-02-09 타이어 마킹 장치 KR1019365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53502 WO2016129032A1 (ja) 2015-02-09 2015-02-09 タイヤマーキン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976A KR20170106976A (ko) 2017-09-22
KR101936534B1 true KR101936534B1 (ko) 2019-01-08

Family

ID=56614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1100A KR101936534B1 (ko) 2015-02-09 2015-02-09 타이어 마킹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57917B2 (ko)
JP (1) JP6022108B1 (ko)
KR (1) KR101936534B1 (ko)
CN (1) CN107206850B (ko)
DE (1) DE112015006129T5 (ko)
WO (1) WO20161290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104B1 (ko) 2019-07-31 2019-11-26 이상현 타이어에 균일하게 스티커를 마킹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57141A (zh) * 2017-10-31 2018-03-06 合肥汉闻数字印刷设备有限公司 一种轮胎辅助打印加工装置
US10996142B2 (en) * 2017-12-20 2021-05-04 Android Industries Llc Pneumatic tire pre-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JP2019174449A (ja) * 2018-03-29 2019-10-1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試験機及びタイヤのマーキング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745B1 (ko) * 2008-02-18 2009-02-26 세창엔터프라이즈(주) 타이어 마킹장치의 마킹유닛
JP2011203155A (ja) * 2010-03-26 2011-10-13 Yamato Scale Co Ltd マーキング装置
JP2012101392A (ja) 2010-11-08 2012-05-31 Bridgestone Corp タイヤ表面印刷方法およびタイヤ用印刷装置
JP2015010860A (ja) 2013-06-27 2015-01-1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マーキ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04Y2 (ko) * 1986-04-03 1992-01-23
JPH037620Y2 (ko) 1987-02-10 1991-02-26
JPH041549A (ja) 1990-04-18 1992-01-07 Yokohama Rubber Co Ltd:The テープ自動交換機構を備えたマーキング装置
JP2000329658A (ja) 1999-05-18 2000-11-30 Kokusai Keisokki Kk マーキング装置とそれを用いた試験ライン
JP2001198860A (ja) 2000-01-19 2001-07-24 Akashi Corp マーキング装置
JP4570755B2 (ja) * 2000-04-17 2010-10-27 大和製衡株式会社 タイヤのマーキング装置
JP2002122500A (ja) 2000-10-12 2002-04-26 Yamato Scale Co Ltd タイヤのマーキング装置
BR0318636A (pt) 2003-12-12 2006-10-31 Pirelli processo para fabricar um pneumático
EP2534304B1 (en) 2010-02-08 2017-10-18 Micro-Poise Measurement Systems, LLC Tire marking apparatus and method
JP5655238B2 (ja) * 2011-01-07 2015-01-2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マーキングヘッドおよびマーキング装置
JP5680447B2 (ja) 2011-03-01 2015-03-0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マーキング装置
CN202151948U (zh) * 2011-07-12 2012-02-29 北京贝特里戴瑞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在线式全自动轮胎热印旋转打标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745B1 (ko) * 2008-02-18 2009-02-26 세창엔터프라이즈(주) 타이어 마킹장치의 마킹유닛
JP2011203155A (ja) * 2010-03-26 2011-10-13 Yamato Scale Co Ltd マーキング装置
JP2012101392A (ja) 2010-11-08 2012-05-31 Bridgestone Corp タイヤ表面印刷方法およびタイヤ用印刷装置
JP2015010860A (ja) 2013-06-27 2015-01-1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マーキング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104B1 (ko) 2019-07-31 2019-11-26 이상현 타이어에 균일하게 스티커를 마킹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68233A1 (en) 2016-12-22
JP6022108B1 (ja) 2016-11-09
KR20170106976A (ko) 2017-09-22
JPWO2016129032A1 (ja) 2017-04-27
DE112015006129T5 (de) 2017-10-26
WO2016129032A1 (ja) 2016-08-18
CN107206850B (zh) 2019-07-19
CN107206850A (zh) 2017-09-26
US9757917B2 (en) 201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534B1 (ko) 타이어 마킹 장치
US9440405B2 (en) Tire marking apparatus
US8322279B2 (en) Marking or labeling machine and method
TWI448677B (zh) Marking device
TWI642922B (zh) 輪胎特性值量測裝置及輪胎特性值量測系統
KR101870588B1 (ko) 인자 장치 및 타이어 마킹 장치
KR20170105029A (ko) 타이어 마킹 장치
TWI564175B (zh) 輪胎標記裝置
US10279615B2 (en) Marking system
TWI615286B (zh) 印字裝置以及輪胎標記裝置
TW201629452A (zh) 輪胎標記裝置
JP4570755B2 (ja) タイヤのマーキング装置
JP2005007708A (ja) 金属箔熱転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