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400B1 -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상기 사료첨가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상기 사료첨가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400B1
KR101934400B1 KR1020170088646A KR20170088646A KR101934400B1 KR 101934400 B1 KR101934400 B1 KR 101934400B1 KR 1020170088646 A KR1020170088646 A KR 1020170088646A KR 20170088646 A KR20170088646 A KR 20170088646A KR 101934400 B1 KR101934400 B1 KR 101934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illus
feed additive
feed
lactic acid
ricinifom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진
오은선
박민아
우서형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8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400B1/ko
Priority to PCT/KR2017/008446 priority patent/WO2019013382A1/ko
Priority to JP2018501973A priority patent/JP6663977B2/ja
Priority to US15/745,087 priority patent/US20190014795A1/en
Priority to CA3069404A priority patent/CA3069404C/en
Priority to BR112020000540-1A priority patent/BR112020000540B1/pt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400B1/ko
Priority to US16/877,874 priority patent/US1163843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10Bacillus licheniform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 C12R2001/125Bacillus subtilis ; Hay bacillus; Grass bacill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7Poultry or ruminant f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rds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Dairy Produc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상기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상기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상기 사료첨가제의 제조 방법{Feed additive comprising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licheniformis, a feed composition comprising the feed additiv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feed additive}
본 출원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상기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 에 관한 것이다.
소와 같은 반추동물은 섭취하는 조사료의 양이 비육우의 경우 사료의 약 20%, 낙농우의 경우 약 60%를 차지하고 있으며, 섭취한 조사료는 제1위인 반추위내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필요한 영양소 및 에너지가 흡수된다. 영양적/생리적 측면에서 보면, 반추동물은 반추위에 서식하는 미생물과 동물의 조직이 필요로 하는 단백질, 에너지, 지방산, 광물질 및 비타민 등의 많은 부분을 조사료로부터 섭취한다. 조사료는 생초, 건초 또는 사일리지의 형태로 동물에 급여되고 건조상태에서 20~30% 이상의 조섬유를 함유하고 있으며 비교적 분해되기 어려운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조사료의 소화율을 높여 사료가치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과거부터 여러 연구가 이루어 졌는데 대표적으로 물리적 처리방법(침지, 분쇄, 가압 증기처리, 팽창, 감마선 조사, 펠렛팅)과 화학적 처리방법(가성소다, 요소, 암모니아, 석회, 수산화칼슘,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염소, 오존, 과산화수소 등), 생물학적 처리방법(발효, 효소처리, 사일리지 등)이 있다. 그러나 이 중 물리적 처리방법은 가공에 많은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고, 화학적 방법은 가공비용의 증가는 물론 취급 시 위험성이 따르며 토양을 오염시키거나 동물의 정상적인 생리현상에 변화를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지양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섬유소를 분해하는 효소나 그러한 효소를 많이 생산하는 미생물을 첨가하는 생물학적 처리방법을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셀룰로오스의 분해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낙농우와 비육우에게 조사료만으로는 부족한 에너지 요구량을 충족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피가 작고 에너지 함량이 높으며 조사료에 비해 소화가 잘 되는 농후사료를 함께 급여한다. 하지만 농후사료를 많이 급여하는 경우 전분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젖산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는 반추위내 pH를 급격히 감소시켜 반추위 유용 미생물의 생장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고, 과산증으로까지 이어져 사료섭취량 감소, 소화장애, 심한 탈수증상과 설사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셀룰로오스 및 젖산 분해능을 높일 수 있는 사료첨가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721900호
본 출원의 일 목적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유지방 개선에 도움되며, 유량 증진에도 유용한 사료 첨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다른 일 목적은 본원에 기술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가 포함된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출원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내용은 본 출원의 기술 분야 또는 유사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의 일 양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유지방 및 유량 증진용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는 소화효소, 예를 들어, 셀룰라아제 및/또는 만나아제를 생산하여 섬유소 등을 분해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본원에서 사용할 수 있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는 주로 토양, 된장, 또는 고추장 속에서 서식하며, 그람 양성균이며, 호기성 간균이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의 예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JBS62(Bacillus subtilis CJBS62),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JBS16을 들 수 있다. 특히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JBS62를 사용할 수 있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JBS62는 KCCM(한국 미생물 보존 센터: 대한민국 서울시 서대문구 홍제내-2가-길, 유림 빌딩 45)에 2017. 6. 22. 자로 기탁명: KCCM12039P로 기탁되었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JBS62 균주의 16s 리보좀 DNA의 염기서열(5'→3')은 서열번호 3과 같다.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는 젖산을 분해하여 아세트산을 합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본원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젖산 함유 배지에서 9 시간 내지 48 시간 배양한 경우, 상기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의 초기 젖산량 대비 아세테이트 전환율은 30% 내지 70%, 구체적으로 50% 내지 65%일 수 있고, 또는, 상기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의 젖산 소모량 대비 아세테이트 전환율은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또는 8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초기 젖산량 대비 전환율은 하기의 식 1을 참고할 수 있으며, 상기 젖산 소모량 대비 아세테이트 전환율은 하기의 식 2를 참고할 수 있다:
[식 1]
초기 젖산 대비 아세테이트 전환율 = (아세트산 생성량/ 초기 젖산 량)*100
[식 2]
젖산 소모량 대비 전환율(%) = (아세트산 생성량/ 젖산 소모량)*100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는 추가로, 셀룰라아제 및/또는 만나아제를 생산할 수 있는 균주일 수 있다.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는 주로 된장, 또는 고추장 속에서 서식하며, 그람 양성균이며, 호기성 간균이다.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의 예로,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CJBL215(Bacillus licheniformis CJBL215)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CJBL219(Bacillus licheniformis CJBL219) 를 들 수 있다. 특히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CJBL219 를 사용할 수 있다.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CJBL215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CJBL219는 각각 KCCM (한국 미생물 보존 센터: 대한민국 서울시 서대문구 홍제내-2가-길, 유림 빌딩 45)에 2017. 6. 22. 자로 기탁명: KCCM12040P 및 KCCM12041P 로 기탁되었다.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CJBL215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CJBL219의 16s 리보좀 DNA의 염기서열(5'→3')은 각각 서열번호 1 및 2와 같다.
본 출원에 따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는, 반추동물의 반추위 pH 를 안정화 시킬 수 있으며, 반추동물의 사료 소화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료 첨가제는, 착유우가 생산하는 우유 내 유지방 개선에 효과적일 뿐 아니라, 생산되는 유량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사료 첨가제 1g 당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와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는 각각 독립적으로, 1 x 107 cfu 이상, 구체적으로 1 x 108 cfu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 1 x 109 cfu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농도이면, 섬유소를 효과적으로 분해하고 유지방 증가에 효과적인 사료 첨가제를 제공할 수 있다.
사료 첨가제의 사용량은, 0.1g 내지 1kg/마리/1일, 구체적으로 5g 내지 900g/마리/1일, 보다 구체적으로 10 g 내지 800 g/마리/1일일 수 있다.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와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의 중량비는 1:9 내지 9:1, 구체적으로는 2:8 내지 8:2, 구체적으로는 3:7 내지 7:3, 보다 구체적으로는 1:2 내지 2:1 일수 있다.
사료 첨가제는 액상 또는 고상일 수 있고, 액상인 경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와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의 균체,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의 균체,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농축액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고상인 경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의 균체,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의 균체,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농축액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열 또는 동결 건조 등에 의해 제조된, 분말, 정제, 펠릿제, 과립, 피복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양태는, 본원에 기술된 사료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료 조성물 중 사료 첨가제의 함량은 사료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50 중량%, 구체적으로는 0.1 중량% 내지 4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1 중량% 내지 20 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사료 조성물은 본원의 사료 첨가제 외에, 동물의 성장 촉진에 유효한 성분, 영양 성분, 영양 보조 성분, 보존 안정성을 높이는 성분, 피복제 성분 등의 임의 성분을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사료 조성물은, 다른 생균제;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등의 효소; L-아스코르브산, 염화콜린, 이노시톨 등의 비타민; 염화칼륨, 시트르산철, 산화마그네슘, 인산염류 등의 미네랄; 리신, 알라닌, 메티오닌 등의 아미노산; 푸마르산, 부티르산, 락트산 등의 유기산 또는 이의 염; 비타민 C, 비타민 E 등의 항산화제, 프로피온산칼슘 등의 곰팡이 방지제; 레시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유화제; 색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료는 동물 사료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반추 동물 사료일 수 있으며, 반추 동물의 예로는 소, 물소, 산양, 양, 염소 또는 사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섭취시키는 사료의 양은 동물의 종류, 체중, 연령, 성별, 건강 상태, 사료의 성분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양태는, 본원에 기술된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조 방법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와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배양하고, 상기 균주들의 배양된 균체,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농축액을 건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양은 구체적으로 균주를 접종한 후 30℃ 내지 50℃에서, 2 시간 내지 60 시간 동안, 예를 들어, 32℃ 내지 40℃에서, 5시간 내지 50 시간 동안 배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양은 보다 구체적으로, 균주를 접종한 후 30℃ 내지 50℃에서, 2시간 내지 60 시간 동안, 예를 들어, 32℃ 내지 40℃에서 5시간 내지 50 시간 동안 1차 배양하여 균주가 배양물 1g 당 1 x 107 cfu 이상이 되도록 하고, 이후, 상기 배양물에 옥수수, 소맥피, 대두박, 당밀 중 하나 이상의 원료를 첨가하여 30℃ 내지 50℃에서, 2시간 내지 60 시간 동안, 예를 들어, 32℃ 내지 40℃에서 5시간 내지 50 시간 동안 2차 배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배양된 균체,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농축액을 40℃ 내지 70℃에서 5시간 내지 120 시간 동안, 예를 들어, 40℃ 내지 60℃에서, 5시간 내지 60 시간 동안 건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조 방법은 일 구체예에서, 상기 건조 후 추가로 분쇄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양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물의 유지방 및 유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해 양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원에 기재된 다른 양태에서 기재된 바와 같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양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물, 특히 반추 동물의 반추위 pH를 안정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해 양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원에 기재된 다른 양태에서 기재된 바와 같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양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물, 특히 반추 동물의 소화율 증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해 양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원에 기재된 다른 양태에서 기재된 바와 같다.
본 출원에 따른 사료 첨가제는 동물, 특히 반추 동물의 유지방 개선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하절기 고온 스트레스에 따른 유지방 감소 현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반추위 내 젖산 분해에 효과가 있어 젖산으로 인한 반추위 pH 감소와 이로 인한 고산증 예방에도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JBS62 균주,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CJBL215, CJBL219 균주의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젖산 소모 균주의 선발에 이용된 배지의 색 변화를 도시한다. 여기서, 배지의 색이 노란색(좌측)에서 보라색(우측)으로 변하면 배지 내 균주가 젖산을 소모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각 균주별 아세테이트로의 전환율을 보여주는 막대그래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9h, 48h 배양에 따른,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CJBL215, CJBL219 균주의 젖산 양, 아세테이트 양(좌측 y축)과, 아세테이트로의 전환율(우측 y축)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JBS62 균주,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CJBL215, CJBL219 균주의 용혈성 확인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농후사료에 첨가시 배양 시간에 변화에 따른 젖산 농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농후사료에 첨가시 배양 시간에 변화에 따른 아세테이트 농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농후사료에 첨가시 pH 안정화 효과를 대조구와 비교하여 보여주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농후사료에 첨가시 소화율개선 정도를 보여주는 막대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TMR 사료에 첨가시 소화율개선 정도를 보여주는 막대 그래프이다.
이하, 본 출원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이는 본 출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출원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균주 분리 및 선발>
(1) 시료 확보 및 균주 분리
전통 장류인 된장, 고추장 등의 시료를 확보하여, 확보된 시료를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BHI(Brain Heart Infusion, Difco) 고체배지에 도말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각 시료에서 분리된 균주들을 새로운 배지에 옮겨 배양하는 방법으로 순수 분리하였으며, 순수 분리되어 배양된 균을 총 중량대비 20중량% 글리세롤이 첨가된 배지에 담아 -70℃ 이하에서 보존하였다. 이 중 아래의 방법으로 셀룰라아제 활성이 우수한 균주와, 젖산을 분해하여 아세트산을 생산하는 능력이 우수한 균주들을 분리하였다.
(2)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 조사
상기 분리된 균주의 동정을 위하여, 일차적으로 형태학적, 생화학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형태학적인 특징으로 그람 염색결과 분리된 균주들 모두 그람 양성이였으며, 전자현미경 촬영결과, 간균임을 확인하였다(도 1).
분리된 균주들의 생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API 50 CHB system(biomerieux Vitek, Inc, 프랑스)을 사용하여, 각 균주의 당 발효 패턴을 분석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결과 결과
CJBL215 CJBL219 CJBS62 CJBL215 CJBL219 CJBS62
control - - - Esculine + + +
Glycerol + + + Salicine + + -
Ertythritol - - - Cellobiose + + -
D-Arabinose - - - Maltose + + +
L-Arabinose + + + Lactose - + -
Ribose + + + Melibiose - - -
D-Xylose + - - Saccharose + + +
L-Xylose - - - Trehalose + + +
Adonitol - - - Inuline - - +
β Methyl-xyloside - - - Melezitose - - -
Galactose - + - D-Raffinose + - +
D-Glucose + + + Amidon + + +
D-Frutose + + + Glycogene + + -
D-Mannose + + - Xylitol - - -
L-sorbose - - - β Gentiobiose - - -
Rhamnose - + - D-Turanose + + -
Dulcitol - - - D-Lyxose - - -
Inositol + - + D-Tagatose + + -
Mannitol + + + D-Fucose - - -
Sorbitol - + + L-Fucose - - -
α Methyl-D-mannoside - - - D-Arabitol - - -
α Methyl-D-glucoside + + - L-Arabitol - - -
N Acetyl gllucosamine - - - Gluconate - - -
Amygdaline + + - 2 ceto-gluconate - - -
Arbutine + + - 5 ceto-gluconate - - -
+ 양성, - 음성
균주의 당 발효 패턴을 분석한 결과, CJBL215 는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신뢰도 99.7%), CJBL219 도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신뢰도99.9%). 또한 CJBS62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아밀로리퀴펜셔스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신뢰도 99.6%).
(3) 균주 동정
균주의 보다 정확한 동정을 위하여, DNA 염기서열에 의한 분자계통분류학적 방법을 실시하였다. 염기서열분석은 PCR premix(바이오니아, 대한민국)와 유니버셜 프라이머 27F(5' AGAGTTTGATCMTGGCTCAG 3')와 1492R(5' GGTTACCTTGTTACGACTT 3')을 사용하여 16s rDNA의 유전자 증폭을 시켰다. 유전자 증폭 시 총 반응액은 20 ㎕로 맞추어 94℃ 1분, 56℃ 1분, 72℃ 1분을 총 30회 반복하여, 증폭된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분리 균주의 분석된 16s rDNA의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 내지 3과 같다. 상기 분석결과, CJBL215와 CJBL219는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CJBS62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와 99% 상동성을 가지는 미생물로 동정되었다. 이에 상기 분리된 균주를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CJBL215',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CJBL219',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JBS62'로 각각 명명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동정된 본 발명의 신규한 미생물들은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에 2017년 6월 22일자로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CJBL215,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CJBL219,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JBS62를 각각 기탁명, KCCM12040P, KCCM12041P, KCCM12039P로 기탁하였다.
<실시예 2: 분리 균주의 소화효소 활성 측정>
(1) 균주의 소화 효소 활성
복합 소화 효소 활성이 있는 균주를 선별하기 위해, 분리된 장류 유래균에 대해서 만나아제(mannase), 셀룰라아제 2종에 대한 효소 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효소 활성 평가는 각 효소에 대한 기질이 들어있는 배지를 사용하여 투명환(clear zone) 형성 정도에 따라 효소 활성 능력을 측정하였다.
상기 분리한 균주를 BHI(Brain Heart Infusion, Difco) 액체 배지에서 24시간 배양 후 얻어진 배양액을 채취하여 효소 활성 분석을 위한 조효소액으로 사용하였고, 아래와 같이 각 효소별 각각의 기질이 들어있는 배지를 사용하여 기질 분해 정도를 판정하였다.
1) 만나아제 활성 측정
1% 만난(logust bean gum, sigma, USA)이 첨가된 기질배지(Yeast extract 3g/L, Peptone 5g/L, KH2PO4 1g/L, Agar 20g/L, Ph 5)를 제조하였다. 조효소액을 1.5 ㎕씩 기질배지에 점적한 후, 37℃에서 15~18 시간 반응 후 투명환 형성 정도에 따라 효소의 활성능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2) 셀룰라아제 활성 측정
1% CMC(carboxymethylcellulose) 기질이 첨가된 YM 배지를 제조하였다. 조효소액을 1.5 ㎕씩 기질 배지에 점적하여 37℃에서 15~18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투명환을 측정하기 위해 0.2% 콩고 레드(Congo red) 용액으로 30분 동안 염색하였으며, 1M NaCl 수용액으로 탈색하였다. 균주 주위의 기질이 분해되어 생기는 투명환의 형성 정도에 따라 효소의 활성 능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평가를 바탕으로 선발 균주 중 만나아제 활성이 우수하면서 셀룰라아제 활성이 가장 우수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JBS16, CJBS62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 균주의 소화효소 활성 (단위 : mm)
  CJBS16 CJBL215 CJBL219 CJBS62
만나아제 5 0 2.5 3.5
셀룰라아제 2 3 2 3.5
(2) 배양 상등액 내의 셀룰로스 분해 활성
선발된 균주의 배양 상등액에서의 셀룰로스 분해능을 확인하기 위해, 균주를 24시간 배양하여 10,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0.2㎛ 주사기필터를 이용하여 필터링하였다. 이 상층액을 Cellulose 가 함유된 배지(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salt 10g/L, Bacto agar 15g/L)에 20㎕ 떨어뜨리고 37℃에서 1일 반응한 후, 0.4% 콩고 레드 용액을 부어 20분간 염색한다. 염색 후 1M NaCl 용액으로 탈색하여 투명환의 크기를 측정하여 배양 상등액 내의 셀룰로스 분해능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선발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JBS62 균주가 배양 상등액 평가에서도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선발 균주의 배양상등액내 셀룰로스 분해 활성 (단위 : mm)
  CJBS16 CJBL215 CJBL219 CJBS62
셀룰로스 분해 활성 16.5 16.5 14 24
<실시예 3 : 젖산 소모 균주 및 아세테이트 생산 균주 선발>
젖산을 소모하는 균주를 선별 하기 위해, 젖산를 첨가한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 후 BCP 발색법을 통하여 젖산 소모 유무를 정성적인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발색을 위한 Bromophenol blue (BCP) 및 15mM 젖산을 함유한 배지(15mM lactate, Yeast extract 10g/L, Peptone 20g/L, NaCl 10g/L, Bromophenol blue (BCP) 0.0004g/L) 를 제조하였다. Microcentrifuge tube에 상기 배지를 1.5ml씩 분주한 후, BHI(Brain Heart Infusion, Difco) 배지에서 전배양된 균주들을 각각 50㎕ 접종하였다. 상기 균주들을 튜브 내에서 37℃에서 4~5일 정치 배양하였다. 배지의 색을 관찰하여 배지의 색이 노란색에서 보라색으로 변하면 배지 내의 젖산을 소모한 것으로 판단하여 1차로 젖산 소모균을 선별하였다. 시료에서 분리된 177주의 균주들을 배양한 결과, CJBS16, CJBL215, CJBL219, CJBS62 총 4주를 선발하였다(도 2).
상기 선발된 CJBS16, CJBL215, CJBL219 및 CJBS62를 BHI(Brain Heart Infusion, Difco) 배지에 접종하고, 37℃, 200rpm에서 16시간 배양하여 균을 활성화시켰다. 15mM 젖산을 함유한 배지(15mM 젖산, Yeast extract 10g/L, Peptone 20g/L, NaCl 10g/L)에 상기 균을 5% 접종하여, 37℃, 200rpm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배양액의 10% BCP를 첨가하여 젖산 소모 유무를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 상기 4종 균주 모두 젖산을 소모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배양액 색 변화: 노란색->보라색).
<실시예 4 : 젖산 소모 및 아세테이트 생산 함량 측정>
(1) 아세테이트 생산량 측정
상기 선발된 CJBS16, CJBL215, CJBL219 및 CJBS62를 BHI(Brain Heart Infusion, Difco) 배지에 접종하고, 37℃, 200rpm에서 16시간 배양하여 균을 활성화시켰다. 15mM 젖산을 함유한 배지(15mM 젖산, Yeast extract 10g/L, Peptone 20g/L, NaCl 10g/L)에 상기 균을 5% 접종하여, 37℃, 200rpm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회수한 상등액 1ml에 25% metaphosphoric acid 0.2ml을 첨가하였다. 10,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회수한 상등액을 0.2um 필터로 필터링 후 GC(Agilent Technologies 7890A)를 이용하여 아세테이트 함량을 분석하였다.
젖산을 소모하는 균주 4종에 대해 젖산을 소모하여 아세테이트를 생성한 함량을 측정하였고, 그 전환율을 식 1에 의해 환산하였다. 그 결과, CJBL219균주의 전환율이 59.4%로 전환율이 가장 높았으며, CJBL215 균주의 전환율은 44.9% 였다(표 4, 도 3).
[식 1]
초기 젖산 대비 아세테이트 전환율 = (아세트산 생성량/ 초기 젖산 량.)*100
배지 내 젖산 소모 후 아세테이트 생성량 및 전환율
균주 No. 아세테이트함량(mM) 식 1에 의한 전환율(%)
CJBL219 8.91 59.4
CJBL215 6.74 44.9
CJBS16 3.74 24.9
CJBS62 1.99 13.3
(2) 선발균주의 젖산 소모량 및 아세테이트 생성량 측정
선발균주의 배지 내 젖산 소모량 및 아세테이트 생성량을 정량하고자 하였다.
상기 선발된 CJBS16, CJBL215, CJBL219 및 CJBS62를 BHI(Brain Heart Infusion, Difco) 배지에 접종하여, 37℃, 200rpm에서 16시간 배양하여 균을 활성화 시켰다.
15mM 젖산을 함유한 배지(15mM 젖산, Yeast extract 10g/L, Peptone 20g/L, NaCl 10g/L)에 상기 배양된 균을 5중량% 접종하여, 37℃, 200rpm에서 48시간 배양하면서, 9시간, 48시간에 각각 샘플링하였다.
1) 젖산의 정량
상기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회수한 상등액을 0.2um 필터로 필터링하여 준비하였다. 필터링된 배양상등액을 microcentrifuge tube에 담아 Cedex Bio(ROCHE)의 젖산 bio(ROCHE) 장비를 이용하여 젖산 함량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2) 아세테이트의 정량
상기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회수한 상등액 1ml에 25% metaphosphoric acid 0.2ml을 첨가하였다. 10,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회수한 상등액을 0.2um 필터로 필터링 후 GC(Agilent Technologies 7890A)를 이용하여 아세테이트 함량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표 5,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식 2]
소모된 젖산 대비 아세테이트 전환율 = (아세트산 생성량/ 젖산 소모량)*100
표 5를 참고하면, CJBL215 균주는 48시간 배양 시, 초기 젖산량 중에서 49.8%의 젖산을 소모하였으며, 소모된 젖산의 약 91.1%를 아세테이트로 전환시켰다. CJBL219균주는 48시간 배양시, 초기 젖산량 중에서 48.6%의 젖산을 소모하였으며, 소모된 젖산을 모두 아세테이트로 전환시켰다(도 4).
시간 경과에 따른 배지 내 젖산 함량, 아세테이트 함량 및 전환율
  0h 9h 48h
CJBL
215
젖산양(mM) 13.12 8.35 6.59
아세테이트 양(mM) 0 2.50 5.94
식 2에 의한 전환율(%)   52.4 91.1
CJBL
219
젖산 양(mM) 13.12 8.52 6.74
아세테이트 양(mM) 0 2.87 6.49
식 2에 의한 전환율(%)   62.4 101.8
<실시예 5 : 균주의 안전성>
(1) 균주의 용혈성 확인
β-용혈이란 유해균 중 인지질 효소를 생산하여 적혈구에 의해서 공급되는 인지질을 가수분해하여 적혈구를 용혈시키는 작용이다. 분리균주의 용혈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혈액한천평판배지(sheep blood 5%, ㈜한일코메드, 대한민국)를 이용하였다. 준비된 혈액한천평판배지에 선형 접종(streaking)한 후, 37℃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용혈 여부를 확인한 결과, 도 5와 같이 용혈성을 나타내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확인
선발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을 확인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선발균주를 BHI(Brain Heart Infusion, Difco) 배지에 접종하여, 37℃, 200rpm에서 16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균을 멸균된 면봉에 적셔 Mueller Hinton Ⅱ Agar plate(Difco)에 도말한다. 균이 도말된 평판배지에 항생제 디스크를 올려 37℃에서 15~18시간 배양한다. 항생제 검사를 위해 Ampicillin, Clindamycin, Gentamicin, Kanamycin, Tetracyclin, Vancomycin, Erythromycin, Ampcillin/Sulbactam, Chloramphenicol, Streptomycin 디스크(OXOID)를 준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배양 후 항생제 디스크 주위의 성장저해영역(clear zone) 형성 정도에 따라 항생제 감수성을 확인하였다. 선발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 대한 결과, 선발 균주는 위의 항생제에 내성을 갖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6).
항생제에 따른 균주의 성장저해도
항생제(Antibiotics) 항생제를 중심으로 한 성장저해영역 반지름(mm)
CJBL215 CJBL219 CJBS62
Amp10 (Ampicillin) 10 8 10
C30 (Clindamycin) 14 4 9
CN120 (Gentamicin) 18 12 12
K30 (Kanamycin) 13 9 10
TE30 (Tetracycline) 5 8 12
VA30 (Vancomycin) 9 6 7
E15 (Erythromycin) 13 13 11
SAM20 (Ampicillin/Sulbactam) 15 12 13
S10 (Chloramphenicol) 3 3 6
DA2 (Streptomycin) 6 7 9
<실시예 6. 균주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의 제조>
상기 바실러스 균주 CJBL215, CJBL219 및 CJBL62 (Bacillus licheniformis 2종, Bacillus subtilis 1종)를 각각 Tryptic Soy broth 9L 에 접종한 후 36℃에서 36시간 배양하였다. Tryptic Soy agar 배지에 상기 균주를 도말하여 콜로니 수를 측정하였을 때, 각 균주 당 1g 중 1 x 109 cfu 이상이 될 때까지 각 균주를 배양하였다. 또한 고상발효의 원료로는 옥수수 20kg, 소맥피 30kg, 대두박 45kg, 및 당밀 5kg이 혼합된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배양한 바실러스 균주 3종의 배양액을 각각 9 L씩 혼합하여 총 27L의 배양액 혼합액을 만들고, 고상발효 원료 100kg에 추가하였다. 상기 균주가 고상발효 원료 내에서 고르게 발효될 수 있도록 교반을 하면서 34℃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발효되었다. 발효가 끝난 후, 50℃ 온도에서 48시간 동안의 건조 과정을 거친 뒤 분쇄하여 사료첨가제를 얻었다.
<실시예 7. 사료 첨가제의 기질별 반추위 발효 성상에 미치는 효과 측정>
하기, 건물소화율 개선 및 아세트산 증진 효과 실험은 다음과 같이 반추위 모형 정치배양 시스템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 처리구: 200ml 세럼바틀에 상기 실시예 6 에서 제조한 사료 첨가제 50mg과 0.5g의 기질을 투입하고 이산화탄소 가스로 환원시킨 버퍼 37.5ml과 반추위액 12.5ml을 이산화탄소 가스로 혐기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산화탄소 가스를 약 30초 동안 충진시킨 후, 고무마개로 세럼바틀 입구를 막고 알루미늄캡으로 밀봉하였다. 이를 39℃ 정치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 때 기질은 농후사료 또는 TMR(Total Mixed Ration, 완전배합사료)을 사용하였으며, 사료첨가제는 기질 0.5g 당 10 wt%의 비율만큼 첨가하였다. 버퍼용액은 인산수소나트륨(Sodium Phosphate, monobasic, NaH2PO4-2H2O) 9.3g/L, 탄산수소나트륨(Sodium bicarbonate, NaHCO3) 9.8g/L,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NaCl) 0.47g/L, 염화칼륨(Potassium chloride, KCl) 0.57g/L, 염화마그네슘(Magnesium chloride, MgCl2) 0.256g/L, 염화칼슘(Calcium chloride, CaCl2) 0.106g/L, 카제인(Caseine, N-Z-Amine) 2.5g/L, 및 레자주린(resazurine) 용액 1.25ml/L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 대조구: 사료첨가제가 추가되지 않은 기질이 준비되었으며, 상기 처리구와 동일한 조건에서 배양되었다.
상기 처리구 및 대조구를 39℃ 정치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각각의 젖산 함량, 아세테이트 함량, pH, 및 건물소화율을 다음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젖산 함량은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회수한 상등액을 0.2um 필터로 필터링한 후 microcentrifuge tube에 담아 Cedex Bio(ROCHE)의 젖산 bio(ROCHE)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아세테이트 함량은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회수한 상등액 1ml에 25% metaphosphoric acid 0.2ml을 첨가하고, 10,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회수한 상등액을 0.2um 필터로 필터링 후 GC(Agilent Technologies 7890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건물소화율은 아래 식 3으로 계산하였다.
[식 3]
건물소화율(%) = (배양전 기질양 - 배양후 기질양)/배양전 기질양 * 100
상기'배양 전 기질양'또는 '배양 후 기질양'은, 배양 전 또는 배양 후 배양액을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Filter paper에 필터링 한 후 건조하여(60℃, overnight) 측정하였다.
처리구 및 대조구에서, 배양시간에 따라 측정된 젖산의 농도 변화 및 아세테이트의 농도 변화를 각각 도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6를 참고하면, 상기 처리구에서의 최소 젖산 농도는, 상기 대조구에서의 최소 젖산 농도보다 약 10% 더 낮았다. 또한,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처리구에서의 최대 아세테이트 농도는, 상기 대조구에서의 최대 아세테이트 농도보다 약 2.5배 높았다.
처리구 및 대조구의 pH 및 건물소화율(%)을 각각 도 8,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8을 참고하면, 대조구의 pH는 초기 대비 0.5 감소하였으나, 처리구의 pH는 초기 대비 0.42 감소하였는 바, 본 출원에 따른 사료첨가제가 반추위안정화에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농후사료 및 TMR을 각각 기질로 사용한 경우에, 대조구의 건물소화율 대비 처리구의 건물소화율이 각각 4% 및 1.3%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즉, 본 출원에 따른 사료첨가제는 반추위 내 소화율을 개선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아세트산 합성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바, 이는 유지방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8. 유지방 증진용 사료 첨가제가 착유우의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
하기, 착유우 사양시험에 사용된, 본 출원에 따른 사료 첨가제는 상기 실시예 6 에서 언급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공지된 낙농사양시험을 통하여, 본 출원의 사료첨가제가 착유우의 우유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였다. 착유우 72두를 대조구(36두)와 처리구(36두)로 배치하였으며, 4주의 시험기간 동안 대조구에는 기존의 사료만을 투여하고 처리구에는 본 출원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탑 드레싱 형태로 두당 20g/day씩 기존사료에 섞어 급여하였다. 개시 전과 급여 후의 유지방, 유단백 및 유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7, 표 8, 표 9에 나타내었다.
상기 사료첨가제를 착유우에 지속적으로 두당 20g/day씩 급여한 결과, 하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지방이 0.3%p 증가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하기 표 8에서 볼 수 있듯이 대조구에서는 유단백의 변화가 없었으나, 처리구에서 0.1%p 개선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유량의 측정시에도 대조구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나, 처리구에서는 0.4kg 증가하였다(표 9).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출원에 따른 사료첨가제는 유지방, 유단백 및 유량을 모두 긍정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착유우의 우유 생산성과 우유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사료첨가제의 유지방 개선 효과
  대조구 처리구
개시 전(3주 평균) 4.7 % 4.7 %
급여 후(4주 평균) 4.7 % 5.0 %
유지방 개선효과(%p) 0.0 0.3
사료첨가제의 유단백 개선 효과
  대조구 처리구
개시 전(3주 평균) 3.4 % 3.2 %
급여 후(4주 평균) 3.4 % 3.3 %
유단백 개선효과(%p) 0.0 0.1
사료첨가제의 유량 개선 효과
  대조구 처리구
개시 전(3주 평균) 27.9 kg 31.9 kg
급여 후(4주 평균) 28.0 kg 32.3 kg
유량 개선효과(kg) 0.1 0.4
<실시예 9. 유지방 증진용 사료첨가제가 하절기 고온스트레스시 착유우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하기, 착유우 사양시험에 사용된, 본 출원에 따른 사료 첨가제는 상기 실시예 6 에서 언급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공지된 낙농사양시험을 통하여, 고온 스트레스 환경에서 본 출원에 따른 사료첨가제가 착유우의 우유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였다. 통상적으로 낙농우가 고온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되는 기간을 선정하여(5/26~6/23, 4주), 해당 기간 동안에 착유우 150두에게 본 출원에 따른 사료첨가제가 0.2wt% 포함된 사료를 급여하여 급여 전/후를 비교하였다.
고온 스트레스가 없는 환경에서 4주 동안, 어떠한 사료첨가제도 포함되지 않은 사료가 급여된 착유우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였으며, 고온 스트레스 환경에서 4주 동안, 상기 사료첨가제가 0.2wt% 포함된 사료가 급여된 착유우를 처리구로 설정하였다. 각각의 처리구와 대조구에게 급여된 기본 사료 조성은 동일하였다.
사료첨가제가 하절기 유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유지방 유량
대조구 3.7 % 36.2 kg
처리구 3.9 % 36.7 kg
개선효과 0.2 %p 0.5 kg
상기 표 10을 참고하면, 대조구에서 측정된 유지방 및 유량에 비하여, 처리구에서 측정된 유지방 및 유량은 각각 0.2%p 및 0.5kg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상적으로 착유우가 고온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착유우로부터 생산되는 유량과 유지방이 감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사료첨가제가 제공된 착유우에서는, 고온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유지방 및 유량 감소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오히려 유지방 및 유량이 개선될 수 있다.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2039P 20170622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2040P 20170622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2041P 20170622
<110> CJ CHEILJEDANG CORPORATION <120> Feed additive comprising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licheniformis, a feed composition comprising the feed additiv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feed additive <130> P17-0228 <160> 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50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JBL215 16s rDNA <400> 1 tcaccttttt cgggtttccc ctttacgact tcaccccaat catctgtccc accttcggcg 60 gctggctcca aaaggttacc tcaccgactt cgggtgttac aaactctcgt ggtgtgacgg 120 gcggtgtgta caaggcccgg gaacgtattc accgcggcat gctgatccgc gattactagc 180 gattccagct tcacgcagtc gagttgcaga ctgcgatccg aactgagaac agatttgtgg 240 gattggctta gcctcgcggc ttcgctgccc tttgttctgc ccattgtagc acgtgtgtag 300 cccaggtcat aaggggcatg atgatttgac gtcatcccca ccttcctccg gtttgtcacc 360 ggcagtcacc ttagagtgcc caactgaatg ctggcaacta agatcaaggg ttgcgctcgt 420 tgcgggactt aacccaacat ctcacgacac gagctgacga caaccatgca ccacctgtca 480 ctctgccccc gaaggggaag ccctatctct agggttgtca gaggatgtca agacctggta 540 aggttcttcg cgttgcttcg aattaaacca catgctccac cgcttgtgcg ggcccccgtc 600 aattcctttg agtttcagtc ttgcgaccgt actccccagg cggagtgctt aatgcgtttg 660 ctgcagcact aaagggcgga aaccctctaa cacttagcac tcatcgttta cggcgtggac 720 taccagggta tctaatcctg ttcgctcccc acgctttcgc gcctcagcgt cagttacaga 780 ccagagagtc gccttcgcca ctggtgttcc tccacatctc tacgcatttc accgctacac 840 gtggaattcc actctcctct tctgcactca agttccccag tttccaatga ccctccccgg 900 ttgagccggg ggctttcaca tcagacttaa gaaaccgcct gcgcgcgctt tacgcccaat 960 aattccggac aacgcttgcc acctacgtat taccgcggct gctggcacgt agttagccgt 1020 ggctttctgg tcaggtaccg tcaaggtacc gccctattcg aacggtactt gttcttccct 1080 aacaacagag ttttacgatc cgaaaacctt catcactcac gcggcgttgc tccgtcagac 1140 tttcgtccat tgcggaagat tccctactgc tgcctcccgt aggagtctgg gccgtgtctc 1200 agtcccagtg tggccgatca ccctctcagg tcggctacgc atcgttgcct tggtgagccg 1260 ttacctcacc aactagctaa tgcgccgcgg gtccatctgt aagtggtagc taaaagccac 1320 cttttatgtt tgaaccatgc ggttcaaaca agcatccggt attagccccg gtttcccgga 1380 gttatcccag tcttacaggc aggttaccca cgtgttactc acccgtccgc cgctaacatc 1440 agggagcaag ctcccatctg tccgctcgac ttgcatgtat taggcacgcc gccagcgttc 1500 gtctga 1506 <210> 2 <211> 150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JBL219 16s rDNA <400> 2 ttttttccgg tttccccttt acgacttcac cccaatcatc tgtcccacct tcggcggctg 60 gctccaaaag gttacctcac cgacttcggg tgttacaaac tctcgtggtg tgacgggcgg 120 tgtgtacaag gcccgggaac gtattcaccg cggcatgctg atccgcgatt actagcgatt 180 ccagcttcac gcagtcgagt tgcagactgc gatccgaact gagagcagat ttgtgggatt 240 ggcttagcct cgcggcttcg ctgccctttg ttctgcccat tgtagcacgt gtgtagccca 300 ggtcataagg ggcatgatga tttgacgtca tccccacctt cctccggttt gtcaccggca 360 gtcaccttag agtgcccaac tgaatgctgg caactaagat caagggttgc gctcgttgcg 420 ggacttaacc caacatctca cgacacgagc tgacgacaac catgcaccac ctgtcactct 480 gcccccgaag gggaagccct atctctaggg gtgtcagagg atgtcaagac ctggtaaggt 540 tcttcgcgtt gcttcgaatt aaaccacatg ctccaccgct tgtgcgggcc cccgtcaatt 600 cctttgagtt tcagtcttgc gaccgtactc cccaggcgga gtgcttaatg cgtttgctgc 660 agcactaaag ggcggaaacc ctctaacact tagcactcat cgtttacggc gtggactacc 720 agggtatcta atcctgttcg ctccccacgc tttcgcgcct cagcgtcagt tacagaccag 780 agagtcgcct tcgccactgg tgttcctcca catctctacg catttcaccg ctacacgtgg 840 aattccactc tcctcttctg cactcaagtt ccccagtttc caatgaccct ccccggttga 900 gccgggggct ttcacatcag acttaagaaa ccgcctgcgc gcgctttacg cccaataatt 960 ccggacaacg cttgccacct acgtattacc gcggctgctg gcacgtagtt agccgtggct 1020 ttctggttag gtaccgtcaa ggtaccgccc tgttcgaacg gtacttgttc ttccctaaca 1080 acagagtttt acgatccgaa aaccttcatc actcacgcgg cgttgctccg tcagactttc 1140 gtccattgcg gaagattccc tactgctgcc tcccgtagga gtctgggccg tgtctcagtc 1200 ccagtgtggc cgatcaccct ctcaggtcgg ctacgcatcg tcgccttggt gagccgttac 1260 ctcaccaact agctaatgcg ccgcgggtcc atctgtaagt ggtagctaaa agccaccttt 1320 tataattgaa ccatgcggtt caatcaagca tccggtatta gccccggttt cccggagtta 1380 tcccagtctt acaggcaggt tacccacgtg ttactcaccc gtccgccgct aacctaaggg 1440 agcaagctcc cgtcggttcg ctcgacttgc atgtattagg cacgccgcca gcgttcgtcc 1500 tgac 1504 <210> 3 <211> 149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JBS62 16s rDNA <400> 3 ccccttacga cttcacccca atcatctgtc ccaccttcgg cggctggctc ctaaaaggtt 60 acctcaccga cttcgggtgt tacaaactct cgtggtgtga cgggcggtgt gtacaaggcc 120 cgggaacgta ttcaccgcgg catgctgatc cgcgattact agcgattcca gcttcacgca 180 gtcgagttgc agactgcgat ccgaactgag aacagatttg tgggattggc ttaacctcgc 240 ggtttcgctg ccctttgttc tgtccattgt agcacgtgtg tagcccaggt cataaggggc 300 atgatgattt gacgtcatcc ccaccttcct ccggtttgtc accggcagtc accttagagt 360 gcccaactga atgctggcaa ctaagatcaa gggttgcgct cgttgcggga cttaacccaa 420 catctcacga cacgagctga cgacaaccat gcaccacctg tcactctgcc cccgaagggg 480 acgtcctatc tctaggattg tcagaggatg tcaagacctg gtaaggttct tcgcgttgct 540 tcgaattaaa ccacatgctc caccgcttgt gcgggccccc gtcaattcct ttgagtttca 600 gtcttgcgac cgtactcccc aggcggagtg cttaatgcgt tagctgcagc actaaggggc 660 ggaaaccccc taacacttag cactcatcgt ttacggcgtg gactaccagg gtatctaatc 720 ctgttcgctc cccacgcttt cgctcctcag cgtcagttac agaccagaga gtcgccttcg 780 ccactggtgt tcctccacat ctctacgcat ttcaccgcta cacgtggaat tccactctcc 840 tcttctgcac tcaagttccc cagtttccaa tgaccctccc cggttgagcc gggggctttc 900 acatcagact taagaaaccg cctgcgagcc ctttacgccc aataattccg gacaacgctt 960 gccacctacg tattaccgcg gctgctggca cgtagttagc cgtggctttc tggttaggta 1020 ccgtcaaggt accgccctat tcgaacggta cttgttcttc cctaacaaca gagctttacg 1080 atccgaaaac cttcatcact cacgcggcgt tgctccgtca gactttcgtc cattgcggaa 1140 gattccctac tgctgcctcc cgtaggagtc tgggccgtgt ctcagtccca gtgtggccga 1200 tcaccctctc aggtcggcta cgcatcgtcg ccttggtgag ccgttacctc accaactagc 1260 taatgcgccg cgggtccatc tgtaagtggt agccgaagcc accttttatg tttgaaccat 1320 gcggttcaaa caaccatccg gtattagccc cggtttcccg gagttatccc agtcttacag 1380 gcaggttacc cacgtgttac tcacccgtcc gccgctaaca tcagggagca agctcccatc 1440 tgtccgctcg acttgcatgt attaggcacg ccgccagcgt tcgtctgacg 1490

Claims (8)

  1. 삭제
  2.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JBS62(Bacillus subtilis CJBS62(KCCM12039P))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유지방 및 유량 증진용 사료첨가제.
  3.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고,
    상기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는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CJBL215(Bacillus licheniformis CJBL215(KCCM12040P))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CJBL219(Bacillus licheniformis CJBL219(KCCM12041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유지방 및 유량 증진용 사료첨가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첨가제 1g당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각각 1 x 107 cfu 이상 포함하는, 유지방 및 유량 증진용 사료첨가제.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는, 젖산 함유 배지에서 9시간 내지 48시간 배양되어 아세테이트를 생성하는 것이고, 상기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의 초기 젖산량 대비 아세테이트 전환율은 30% 내지 70%인, 유지방 및 유량 증진용 사료 첨가제.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상기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의 배합 중량비가 1: 9 내지 9:1 인, 유지방 및 유량 증진용 사료 첨가제.
  7. 제2항 또는 제3항에 따른 사료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는,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CJBL215(Bacillus licheniformis CJBL215(KCCM12040P))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 CJBL219(Bacillus licheniformis CJBL219(KCCM12041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유지방 및 유량 증진용 사료첨가제.
KR1020170088646A 2017-07-12 2017-07-12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상기 사료첨가제의 제조 방법 KR101934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646A KR101934400B1 (ko) 2017-07-12 2017-07-12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상기 사료첨가제의 제조 방법
PCT/KR2017/008446 WO2019013382A1 (ko) 2017-07-12 2017-08-04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상기 사료첨가제의 제조 방법
JP2018501973A JP6663977B2 (ja) 2017-07-12 2017-08-04 バチルスサブチリスとバチルスリケニフォルミスを含む飼料添加剤、前記添加剤を含む飼料組成物及び前記飼料添加剤の製造方法
US15/745,087 US20190014795A1 (en) 2017-07-12 2017-08-04 Feed additive comprising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licheniformis, a feed composition comprising the feed additiv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feed additive
CA3069404A CA3069404C (en) 2017-07-12 2017-08-04 Feed additive comprising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licheniformis, a feed composition comprising the feed additiv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feed additive
BR112020000540-1A BR112020000540B1 (pt) 2017-07-12 2017-08-04 Aditivo alimentício para intensificar a gordura do leite e o rendimento do leite; e composição alimentícia
US16/877,874 US11638432B2 (en) 2017-07-12 2020-05-19 Feed additive comprising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licheniformis, a feed composition comprising the feed additiv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feed additi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646A KR101934400B1 (ko) 2017-07-12 2017-07-12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상기 사료첨가제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400B1 true KR101934400B1 (ko) 2019-03-25

Family

ID=65002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646A KR101934400B1 (ko) 2017-07-12 2017-07-12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상기 사료첨가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90014795A1 (ko)
JP (1) JP6663977B2 (ko)
KR (1) KR101934400B1 (ko)
BR (1) BR112020000540B1 (ko)
CA (1) CA3069404C (ko)
WO (1) WO20190133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743958A (en) 2016-01-07 2023-07-28 Native Microbials Inc Methods for improving milk production by administration of microbial consortia
EP3614847A4 (en) 2017-04-28 2021-09-01 Native Microbials, Inc. PROCESSES PROMOTING ENERGY AND / OR CEREAL RICH DIETS BY MEANS OF A SYNTHETIC BIO-SET OF MICROBES
KR102299266B1 (ko) * 2019-03-07 2021-09-08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jbs303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EP4326087A1 (en) * 2021-04-22 2024-02-28 Native Microbi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milk yield and milk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in ruminants
CN115251246B (zh) * 2021-04-30 2024-06-11 中国农业大学 一种降低猪肉滴水损失的饲料添加剂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2172A (ko) * 2010-03-08 2011-09-16 김중관 젖소 또는 육우용 혼합-발효사료
WO2011115306A1 (ja) * 2010-03-17 2011-09-22 カルピス株式会社 反芻動物の飼料利用効率改善剤
KR20150085410A (ko) * 2014-01-15 2015-07-23 안정수 반추위 발효 특성 개선을 위한 식물추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754B1 (ko) * 2000-02-07 2002-11-29 주식회사 이지바이오 시스템 가축사료 첨가제용 조성물
CN101076585A (zh) 2003-08-14 2007-11-21 生物平衡公司 细菌株系、包括该细菌株系的组合物和其益生菌用途
KR100643375B1 (ko) * 2005-07-28 2006-11-10 김성제 발아곡류를 이용한 가축용 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
JP5459980B2 (ja) * 2008-05-21 2014-04-02 土田 誠 健康食品並びに飼料並びに肥料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用の複合発酵菌体物
RU2437563C1 (ru) 2010-06-09 2011-12-27 Ольга Николаевна Дегтярёва Пробиотическая кормовая добавка
CN102283321B (zh) 2010-06-18 2012-08-22 哈尔滨爱特杰牧业有限公司 一种奶牛瘤胃发酵促进剂
CN102640855A (zh) 2012-04-27 2012-08-22 杨洪星 一种微生态类饲料添加剂
GB201213801D0 (en) * 2012-08-03 2012-09-12 Dupont Nutrition Biosci Aps Feed additive composition
CN103911323B (zh) 2014-03-28 2016-06-29 内蒙古和美科盛生物技术有限公司 地衣芽孢杆菌、枯草芽孢杆菌和植物乳杆菌制剂及制备
CN103918951A (zh) * 2014-04-28 2014-07-16 呼和浩特市百瑞尔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奶牛用微生态生物活性物质强化营养舔砖及其制备方法
KR101721900B1 (ko) 2014-10-22 2017-03-3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반추동물의 메탄 저감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CN109618552A (zh) 2017-08-04 2019-04-12 Cj第制糖株式会社 包含枯草芽孢杆菌及地衣芽孢杆菌的饲料添加剂、包含所述饲料添加剂的饲料组合物及生产所述饲料添加剂的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2172A (ko) * 2010-03-08 2011-09-16 김중관 젖소 또는 육우용 혼합-발효사료
WO2011115306A1 (ja) * 2010-03-17 2011-09-22 カルピス株式会社 反芻動物の飼料利用効率改善剤
KR20150085410A (ko) * 2014-01-15 2015-07-23 안정수 반추위 발효 특성 개선을 위한 식물추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13382A1 (ko) 2019-01-17
BR112020000540B1 (pt) 2023-04-11
CA3069404A1 (en) 2019-01-17
BR112020000540A2 (pt) 2020-07-21
JP2019524049A (ja) 2019-09-05
US20190014795A1 (en) 2019-01-17
CA3069404C (en) 2022-03-15
JP6663977B2 (ja) 2020-03-13
US20200275680A1 (en) 2020-09-03
US11638432B2 (en) 202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400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상기 사료첨가제의 제조 방법
KR101370941B1 (ko)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EP3662759A1 (en) Feedstuff additive containingbacillus subtilis
KR101734361B1 (ko) 장류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있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46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370942B1 (ko)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KR101235561B1 (ko) 항바이러스 및 항균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lp-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생균제
KR102387028B1 (ko) 알파-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를 생산하는 신규한 바실러스 코아귤란스 cc 균주
US20070009503A1 (en) Antibio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 Antibiotic, and Methods for Administering the Antibiotic and/or Said Compositions to Livestock
CN112980735B (zh) 丁酸梭菌、菌剂及它们的应用以及菌剂的制备方法
KR20170015684A (ko) 장류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있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090066410A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c1212 균주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용 조성물
KR10213064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식 어류 및 갑각류용 사료첨가제
US20190216867A1 (en) Lactobacillus salivarius cjls1511,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 comprising same bacterium or dead cells thereof,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dead cells
PH12014502245B1 (en) Novel separated bacillus licheniformis and probiotics using same
KR101155158B1 (ko) 생존율이 우수한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5?b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용 첨가제 조성물
KR20170020215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사료용 조성물
KR20190098465A (ko) 효모를 이용하여 이취가 개선된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03532B1 (ko) 내산성, 내담즙성의 적응력이 강하고, 병원성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고, 알파-갈락토시데이지 효소를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에스피 살리바리우스 df20(kctc10942bp) 미생물
KR101431250B1 (ko) 병원성 미생물의 항균활성을 가진 신규한 유산균과 유기물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유용 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용 발효사료 첨가제 조성물
KR100909452B1 (ko) 신규 유산균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030064462A (ko) 유해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신규 미생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생물 첨가제
KR102161276B1 (ko) 혈전분해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청국장 제조를 위한 스타터용 바실러스 서틸리스 srcm10370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0782048B1 (ko) 폐감귤박 배지에서 생장하는 신규 바실러스 속 ls 1-2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항균 프로바이오틱스 제조방법
KR101890530B1 (ko) 폐기줄풀로부터 셀룰로오스, 단백질 및 지질을 분해하는 미생물군의 분리와 줄풀을 이용한 사료첨가제를 생산하는 방법
KR20240103082A (ko) 신규한 내열성 포자형성 균주, 및 이의 프로바이오틱스 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