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530B1 - 폐기줄풀로부터 셀룰로오스, 단백질 및 지질을 분해하는 미생물군의 분리와 줄풀을 이용한 사료첨가제를 생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폐기줄풀로부터 셀룰로오스, 단백질 및 지질을 분해하는 미생물군의 분리와 줄풀을 이용한 사료첨가제를 생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530B1
KR101890530B1 KR1020170075569A KR20170075569A KR101890530B1 KR 101890530 B1 KR101890530 B1 KR 101890530B1 KR 1020170075569 A KR1020170075569 A KR 1020170075569A KR 20170075569 A KR20170075569 A KR 20170075569A KR 101890530 B1 KR101890530 B1 KR 101890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strains
mixed
waste
prote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균
정현이
조자영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75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네우리바실러스 sp.(Aneurinibacillus sp. mandana . zarei) 균주, 브레비바실러스 보스테렌시스 AAMR1(Brevibacillus borstelensis AAMR1) 균주 및 지오바실러스 sp. LC300(Geobacillus sp. LC300) 균주로 이루어진 혼합 균주(수탁번호 KCTC13281BP)를 제공하고, 상기 혼합 균주를 폐기 곡물에 접종하여 발효된 폐기 곡물 발효물을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기줄풀로부터 셀룰로오스, 단백질 및 지질을 분해하는 미생물군의 분리와 줄풀을 이용한 사료첨가제를 생산하는 방법{Isolation of Cellulose-, Protein- and Lipid-degrading Microbes from Waste Wild Rice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Feed Additives by the Use of Wild Rice}
본 발명은 혼합 균주, 상기 균주를 이용한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매년 식용으로 생산되는 식품 40억 톤 중 1/4~1/3은 손실되거나 폐기되고 있는데, 곡물은 열량 기준 세계 식품 손실·폐기물의 절반 이상인 53%를 차지하며, 과채류는 중량 기준 세계 식품 손실·폐기물의 44%를 차지하고 있다.
수입 자유화로 인하여, 농수산축산물의 생산비 절감, 품질의 고급화와 안전한 먹거리가 요구되고 있는데, 우리나라 배합사료 제조에 필요한 사료원료의 90%가 수입되어 이용되고 있어, 국제 곡물가격의 변동에 따라 사료가격의 등락이 거듭되고 있다. 또한, 2012년부터 축산사료에 항생제 투입을 금지함에 따라 항생제 대체 효과를 나타내거나 면역강화 기능을 지닌 발효사료의 공급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 어류양식 산업은 해양 환경의 급변화와 빈번하게 발생하는 질병 발생 등으로 인한 대량폐사 때문에 양식 어민들의 경제적 손실은 아주 심각한 실정이며, 이러한 대량폐사를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의 양어용 사료첨가제 개발은 지속적으로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양식중인 어류의 대량폐사를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의 사료내 합성항산화제나 합성항생제의 사용은 이들 물질의 어체 내 잔류, 환경오염 및 식품으로서의 안전성 위협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유럽의 몇몇 나라에서는 이들의 사용을 전면 금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사료 회사에서 양어용 배합사료를 생산할 때에는 합성항생제(동물용 의약품)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법규로 규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어류의 양식생산량 증대를 위해서는 이들 합성 항산화제나 합성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천연소재의 식품으로서도 안전한 사료첨가제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0133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아네우리바실러스 sp.(Aneurinibacillus sp. mandana.zarei) 균주, 브레비바실러스 보스테렌시스 AAMR1(Brevibacillus borstelensis AAMR1) 균주 및 지오바실러스 sp. LC300(Geobacillus sp. LC300) 균주로 이루어진 혼합 균주(수탁번호 KCTC13281BP)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혼합 균주를 폐기 곡물 파우더의 액체배지에 접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혼합 균주를 폐기 곡물 파우더의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발효된 폐기 곡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네우리바실러스 sp.(Aneurinibacillus sp. mandana . zarei) 균주, 브레비바실러스 보스테렌시스 AAMR1(Brevibacillus borstelensis AAMR1) 균주 및 지오바실러스 sp. LC300(Geobacillus sp. LC300) 균주로 이루어진 혼합 균주(수탁번호 KCTC13281BP)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 균주는 줄풀 및 줄풀이 서식하는 부식토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 균주는 폐기 곡물에 포함된 셀룰로오스, 단백질 및 지질에 대한 분해능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 균주를 폐기 곡물 파우더의 액체배지에 접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 균주는 폐기 곡물 파우더의 액체배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로 접종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중량부로 접종되는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중량부로 접종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 균주가 접종된 후,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150 내지 200 rpm으로 1 내지 5일 동안 분해 반응시키는 단계를 더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곡물은 줄풀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 균주는 폐기 곡물에 포함된 셀룰로오스, 단백질 및 지질에 대한 분해능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 균주를 폐기 곡물 파우더의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발효된 폐기 곡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폐기 곡물은 줄풀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 균주는 폐기 곡물에 포함된 셀룰로오스, 단백질 및 지질에 대한 분해능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료는 양어용, 양만용, 가금류용 또는 가축용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네우리바실러스 sp.(Aneurinibacillus sp. mandana . zarei) 균주, 브레비바실러스 보스테렌시스 AAMR1(Brevibacillus borstelensis AAMR1) 균주 및 지오바실러스 sp. LC300(Geobacillus sp. LC300) 균주로 이루어진 혼합 균주(수탁번호 KCTC13281BP)를 폐기 곡물에 접종하여 발효된 폐기 곡물 발효물은 양어용, 양만용, 가금류용 또는 가축용 사료 첨가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분리된 HY1, HY2 및 HY3 균주 각각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고체 평판 배지에 45℃에서 24시간 배양하였을 때, 셀룰로오스 분해에 의해 투명환(clear zone)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2는 분리된 HY1, HY2 및 HY3 균주 각각을 탈지분유 고체 평판 배지에 45℃에서 24시간 배양하였을 때, 단백질 분해에 의해 투명환(clear zone)을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3은 분리된 HY1, HY2 및 HY3 균주 각각을 Spirit Blue 고체 평판 배지에 45℃에서 24시간 배양하였을 때, 지질 분해에 의해 푸른색을 나타내는 모습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4는 분리된 3종(HY1, HY2 및 HY3)의 각각 다른 균을 교차 도말하여 균 상호 간의 길항 작용 여부를 나타낸 결과이다((a) HY1; (b) HY2; 및 (c) HY3).
도 5는 분리된 3종(HY1, HY2 및 HY3)의 혼합 균주에 의한 줄풀분말 액체배지에서의 분해반응 결과이다.
도 6은 분리된 3종(HY1, HY2 및 HY3)의 혼합 균주에 의한 줄풀분말 액체배지에서의 분해반응 동안 항산화 활성 결과이다.
본 발명은 아네우리바실러스 sp.(Aneurinibacillus sp. mandana . zarei) 균주, 브레비바실러스 보스테렌시스 AAMR1(Brevibacillus borstelensis AAMR1) 균주 및 지오바실러스 sp. LC300(Geobacillus sp. LC300) 균주로 이루어진 혼합 균주(수탁번호 KCTC13281BP)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혼합 균주를 폐기 곡물에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폐기 곡물이 발효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에는 아미노산, 무기염류, 비타민, 항생물질, 항균물질, 항산화, 항곰팡이 효소, 다른 생균 형태의 미생물 제제 등과 같은 보조제 성분; 곡물, 예를 들면 분쇄 또는 파쇄된 밀, 귀리, 보리, 옥수수 및 쌀; 식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평지, 콩 및 해바라기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 동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혈분, 육분, 골분 및 생선분; 당분 및 유제품, 예를 들면 각종 분유 및 유장 분말로 이루어지는 건조성분; 지질, 예를 들면 가열에 의해 임의로 액화시킨 동물성 지방 및 식물성 지방 등과 같은 주성분; 영양보충제, 소화 및 흡수향상제, 성장촉진제, 질병 예방제와 같은 첨가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분말 또는 액체 상태의 제제 형태일 수 있으며, 사료 첨가용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사료 첨가용 부형제로는 예를 들어, 탄산칼슘, 말분, 제올라이트, 옥분 또는 미강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혼합 균주는 공지의 발효기술에 의해 액체 배지 또는 고체 배지에서 배양될 수 있다. 배지로는 천연배지, 반합성배지 및 합성배지와 같은 각종 배지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탄소원으로는 포도당, 수크로스, 전분, 몰라세, 물엿, 맥아당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질소원으로는 펩톤, 육류 추출물, 효모 추출물, 건조된 효모, 대두분, 암모늄염, 나이트레이트염 및 기타 유기 또는 무기 질소-함유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무기염으로는 마그네슘, 망간, 포타슘, 칼슘, 철 등의 포스페이트, 카보네이트, 클로라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탄소원, 질소원 및 무기염은 반드시 상기 성분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에도 아미노산, 비타민, 핵산 및 그와 관련된 화합물들이 배지에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균주는 공지의 발효 기술에 따라 적당한 온도에서 적당한 기간 동안 배양되며, 바람직하게는 20℃~50℃에서 10시간 내지 5일 동안 배양되는 것일 수 있ㄱ고, 40℃~50℃에서 1 내지 5일 동안 배양되는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5℃에서 3일 동안 배양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수득된 미생물 배양액은 원심분리 후 세척 또는 농축에 의해 분리된 세포와 함께 또는 배양액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효성분이 포함된 전체 배양액을 첨가제를 가하거나 가하지 않은 채로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되어 제제화될 수 있다. 이렇게 수득된 제제는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또는 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배양액을 직접 제제화하거나 말분, 밀분, 녹말, 텍스트린 등의 희석제 및 볏짚, 곡류, 왕겨 및 탈지 쌀겨와 같은 겨, 오일 및 지방분이 풍부한 종자 케이크와 같은 사료용 원료와 함께 제제화될 수 있다. 혼합 균주에 발효된 발효물은 이를 함유한 사료형태로 또는 사료 첨가제 형태로 적당량 동물에 투여되어 체중 증가 및 촉진 성장을 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은 건조 또는 액체 상태의 제제 형태일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효소 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첨가되는 효소 제제는 건조 또는 액체 상태가 모두 가능하며, 피틴산(phytic acid)을 분해하여 인산염과 이노시톨인산염을 만들어 동물이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파이타제(phytase), 녹말과 글리코겐(glycogen)을 가수분해하는 효소인 아밀라제(amylase), 셀룰로스(cellulose)를 분해하는 셀룰라제(cellulase), 아라비난 (arabinan)을 분해하는 아라비나제 (arabinase), 아라비노갈락탄 (arabinogalactan)을 분해하는 아라비노퓨라노시타제 (arabinofuranosidase), 갈락탄을 분해하는 갈락타나제 (galactanase), 자일로스(xylose)를 분해하는 자일라나제(xylanase), 펙틴성분이 다수 포함된 식물성원료를 분해하는 펙티나제(pectinase), 말토오스(maltose)를 두 분자의 글루코스(glucose)로 가수분해하는 말타제(maltase) 및 사카로스(saccharose)를 가수분해하여 글루코스-프룩토스(glucose-fructose) 혼합물을 만드는 전환효소(invertase), 리파제(lipase)와 같은 지방 분해효소등과 같은 효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는 동물의 대표적인 예는 식용우, 젖소, 송아지, 돼지, 돼지새끼, 개, 고양이 등과 같은 가축, 병아리, 알닭, 가정용 닭, 수탉, 오리, 거위 등과 같은 가금류, 및 잉어, 뱀장어, 참돔, 방어, 넙치, 문어 등의 유영성 동물, 대하, 보리새우, 꽃게 등의 유영성 저서 은신 동물, 전복, 소라, 해삼, 성게 등의 포복성 저서 동물 등의 어류일 수 있다. 또한, 투여량은 투여될 동물의 종류, 나이 및 기타 사료 성분의 종류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셀룰로오스 분해 미생물의 순수 분리
본 발명자들은 폐기줄풀이 이루고 있는 주요 구성성분인 셀룰로오스를 효과적으로 분해하는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해 줄풀 및 줄풀 서식 부식토로부터 채취한 샘플에서 미생물 분리를 실시하였다.
채취해온 샘플을 250ml 플라스크의 줄풀 파우더가 첨가된 배지(NH4Cl 0.3g/L, 줄풀가루 10g/L, pH 7.0)에 접종하여 2주간 45℃, 180 rpm에서 진탕 배양한 후, 0.8% 영양 배지(Nutrient broth, pH 6.8)에 1.5% 한천을 첨가한 고체 배지에 도말하였다. 고체 배지 위에 형성된 다른 형태의 콜로니를 각각 선별하여 순수한 콜로니로 분리될 때까지 계속하여 새로운 고체 배지에 도말하여 최종 각 균주를 순수 분리하였다. 분리된 순수 균주는 4℃에 보관하면서 2주에 한 번씩 계대배양 하였다.
실시예 2: 셀룰로오스 분해 능력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한 48종의 균주 중에서 셀룰로오스 분해능이 있는 미생물을 선별하기 위해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한천배지(carboxycellulose sodium salt 1g/L, yeast extract 5g/L, peptone 2g/L, pH 6.8)의 중앙에 12시간 영양 액체 배지(0.8% Nutrient broth)에서 배양한 48종의 균주 배양액을 각각 5㎕씩 점적(drop)하여 건조시킨 후, 45℃에서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지 위에서 각 균주가 형성한 콜로니를 확인한 후, 각 평판배지에 그람 요오드 용액(Gram's iodine solution) 10ml을 투여하여 5분간 염색한 후 액을 세척하고, 그람 요오드 용액으로 인해 검게 염색된 평판배지 상의 콜로니 주변에 형성된 투명환(clear zone)의 형성 유무 및 시간에 따른 환의 크기 변화를 관찰하였다(Kadana et al., Curr Microbial, 57, 503, 2008).
상기의 방법대로 실험한 결과, 분리된 균주 중 3종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고체 평판배지에서 높은 분해능을 가지는 균주임을 확인하였고(도 1), 각 균주를 HY1, HY2 및 HY3으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3: 셀룰로오스 분해 미생물의 단백질 및 지질 분해 능력 측정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2에서 분리된 균주 HY1, HY2 및 HY3이 줄풀의 대표적 구성성분인 셀룰로오스 외에 줄풀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 및 지질을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탈지분유(Skim milk 10g/L)에 1.5% 한천을 첨가한 고체 평판배지의 중앙에, 12시간 영양 액체 배지(0.8% Nutrient broth)에서 각각 배양한 HY1, HY2 및 HY3 균주 배양액 5㎕씩을 점적(drop)하여 건조시킨 후, 45℃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3종의 균주가 각 고체 평판배지 위에 콜로니를 형성한 후, 콜로니 주변에 생성되는 투명한 환의 크기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HY1 및 HY2 균주는 탈지분유 평판배지에서 콜로니 주변의 투명한 환이 24시간 및 48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백질 분해에 의한 환의 반지름이 0.5cm 및 1.6cm으로 점차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2 및 표 1)
또한, 지질 분해능을 알아보기 위해서 Spirit Blue Agar(spirit blue agar 3.215g/L, lipase substrate 30ml/L)에 HY1, HY2 및 HY3 균주를 스트리킹하고, Spirit Blue Agar 배지에서 콜로니가 푸른색을 띄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Spirit Blue Agar 배지에서 배양한 HY2 및 HY3 균주에서 콜로니가 푸른색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3).
따라서, 순수 분리한 HY1, HY2 및 HY3 로 이루어진 혼합 균주 중 HY1 및 HY2 균주는 셀룰로오스 외에 단백질을 분해하는 능력이 있고, HY2 및 HY3 균주는 셀룰로오스 외에 지질을 분해하는 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탄수화물 (cm) 단백질 (cm) 지질
HY1 1.2 0.5 -
HY2 0.8 1.6 +
HY3 0.6 - +
* 24시간 배양
실시예 4: 셀룰로오스, 단백질 및 지질 분해 미생물의 동정 및 기탁
상기 실시예 2에서 분리한 HY1, HY2 및 HY3 각 균주를 그람 염색(Gram staining), 카탈라제 테스트, 콜로니 형태 및 현미경 검사를 통하여 일차적으로 동정하였다. 상기 3종의 각 균주는 영양 상태에서 활발한 운동성을 가지고, 모두 카탈라제 테스트에 양성을 나타내었다 (표 2).
특징
셀 모양 콜로니 색 그람 염색 내성 포자
생성 여부
카탈라아제 테스트
HY1 L: 5~7 ㎛, W: 1.5 ㎛ 아이보리 + + +
HY2 L: 3~5 ㎛, W: 1.0 ㎛ 아이보리 + + +
HY3 L: 4~6 ㎛, W: 1.0 ㎛ 아이보리 + - +
2차 동정은 16S rRNA(16S rRNA coding gene) 염기서열에 기초한 분자계통분류학적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DNA 추출, PCR 및 16S-rRNA sequencing 분석은 (주)코스모진텍에 분석을 의뢰하였다. 그 결과, HY1은 Aneurinibacillus sp. strain mandana.zarei, HY2는 Brevibacillus borstelensis strain AAMR1, HY3은 Geobacillus sp. LC300로 동정되었다(표 3).
미생물 GenBank
Accession No.
균주명 상동성
HY1 KY270877 Aneurinibacillus sp. strain mandana.zarei 100%
HY2 KY494860 Brevibacillus borstelensis strain AAMR1 100%
HY3 CP008903 Geobacillus sp. LC300 100%
실시예 5: 분리된 3종의 균주 상호간의 길항작용 측정
상기 실시예 2에서 분리된 3종의 순수 균주가 서로에 대한 길항물질을 생산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0.8% 영양 배지(Nutrient broth, pH 6.8)에 1.5% 한천을 첨가한 고체 배지에 서로 교차 되도록 도말하여 45℃에서 1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 결과, 분리된 3종 균주 상호간에는 길항물질을 생산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도 4).
실시예 6: 혼합 균주에 의한 줄풀 분해반응 측정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분리된 3종의 혼합 균주를 이용하여 폐기 줄풀을 분해하여 유용 물질을 생산하는 반응특성을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3종의 순수 균주는 각각 1 g/L의 셀룰로오스 액체 배지에 배양하여 대수 증식기가 끝났을 때 원심분리로 각 균주들을 수확한 후, 3종의 균주를 동량으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40ml 줄풀 분말 액체배지가 담긴 100ml 플라스크를 사용하여, 상기 3종 균주를 같은 양으로 각각 1:1:1 비율로 총 80μg(wet cell)을 플라스크 내로 접종하여 45℃, 180 rpm에서 3일간 분해 반응을 수행하였다. 상기와 같이 생물분해 반응을 수행하는 동안 24시간 간격으로 플라스크 내의 샘플을 채취하여 분해반응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해반응 동안 배양 배지 내의 pH 변화는 pH meter(이스텍, 한국)를 이용해 측정하였으며, 미생물 균주의 농도(밀도)는 샘플을 증류수에 3배 희석한 후 큐벳에 담고, 분광광도계(한빛 나노 바이오테크, 한국)를 이용하여 특정 파장(375 nm)에서 측정하였다. 분해 반응에서 생성되는 총 환원당 (Total reducing sugars) 농도는 배양액을 원심 분리(70,00rpm, 10분) 한 상등액 1ml와 4ml DNS(3.5-dinitrosalicylic acid) 용액을 vortex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끓는 물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5분간 냉수에서 식힌 다음,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70nm 파장에서, 글루코오스(glucose)를 대조군으로 한 표준곡선(standard curve)에 의하여 그 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분해반응 동안의 항산화활성(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을 측정하였다.
3종의 혼합 균주에 의한 줄풀의 분해 결과를 살펴보면, 10 g/L 줄풀 분말이 첨가된 액체배지에서는 배양 초기에 pH 6.5 이었고, 3일 후 최종 pH 값은 잎과 줄기 각각 pH 7.98 및 pH 7.9 로 측정되었다. 또한, 미생물 균주의 밀도(cell density)는 배양 1일(24시간)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이며, 3종의 혼합 균주의 분해 능력에 의해 생성되는 총 환원당(total reducing sugar)은 잎과 줄기 각각 1.68g/L 에서 1.32g/L, 1.53g/L 에서 1.25g/L로 약간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5). 항산화활성은 잎과 줄기 각각에서 86.6에서 77.5%, 91.7에서 79.5% 사이로 약간의 감소는 있었으나 높은 값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3281BP 20170608

Claims (12)

  1. Aneurinibacillus sp. strain mandana.zarei, Brevibacillus borstelensis strain AAMR1 및 Geobacillus sp. LC300로 이루어진 수탁번호 KCTC13281BP인 혼합 균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균주는 줄풀 및 줄풀이 서식하는 부식토에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균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균주는 폐기 곡물에 포함된 셀룰로오스, 단백질 및 지질에 대한 분해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균주.
  4. 제 1 항의 혼합 균주를 폐기 곡물 파우더의 액체배지에 접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의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균주는 폐기 곡물 파우더의 액체배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로 접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균주가 접종된 후, 40 내지 50℃의 온도에서 150 내지 200 rpm으로 1 내지 5일 동안 분해 반응시키는 단계를 더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은 줄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균주는 폐기 곡물에 포함된 셀룰로오스, 단백질 및 지질에 대한 분해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의 혼합 균주를 폐기 곡물 파우더의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발효된 폐기 곡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 곡물은 줄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균주는 폐기 곡물에 포함된 셀룰로오스, 단백질 및 지질에 대한 분해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는 양어용, 양만용, 가금류용 또는 가축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70075569A 2017-06-15 2017-06-15 폐기줄풀로부터 셀룰로오스, 단백질 및 지질을 분해하는 미생물군의 분리와 줄풀을 이용한 사료첨가제를 생산하는 방법 KR101890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569A KR101890530B1 (ko) 2017-06-15 2017-06-15 폐기줄풀로부터 셀룰로오스, 단백질 및 지질을 분해하는 미생물군의 분리와 줄풀을 이용한 사료첨가제를 생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569A KR101890530B1 (ko) 2017-06-15 2017-06-15 폐기줄풀로부터 셀룰로오스, 단백질 및 지질을 분해하는 미생물군의 분리와 줄풀을 이용한 사료첨가제를 생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530B1 true KR101890530B1 (ko) 2018-08-21

Family

ID=63453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569A KR101890530B1 (ko) 2017-06-15 2017-06-15 폐기줄풀로부터 셀룰로오스, 단백질 및 지질을 분해하는 미생물군의 분리와 줄풀을 이용한 사료첨가제를 생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5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520B1 (ko) * 2011-06-21 2011-12-26 문홍순 아네우리니바실러스 서모아에로필러스 균주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를 위한 미생물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방법
KR101201337B1 (ko) 2010-07-22 2012-11-15 대한민국 신규한 락토바실러스속 유산균 복합 균주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KR20160143498A (ko) * 2016-03-31 2016-12-14 주식회사 빅바이오젠 발효 미생물의 생물전환 공정에 의한 생리활성이 증진된 발효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43499A (ko) * 2016-03-31 2016-12-14 주식회사 빅바이오젠 발효 미생물의 생물전환 공정에 의한 생리활성이 증진된 발효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337B1 (ko) 2010-07-22 2012-11-15 대한민국 신규한 락토바실러스속 유산균 복합 균주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KR101098520B1 (ko) * 2011-06-21 2011-12-26 문홍순 아네우리니바실러스 서모아에로필러스 균주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를 위한 미생물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방법
KR20160143498A (ko) * 2016-03-31 2016-12-14 주식회사 빅바이오젠 발효 미생물의 생물전환 공정에 의한 생리활성이 증진된 발효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43499A (ko) * 2016-03-31 2016-12-14 주식회사 빅바이오젠 발효 미생물의 생물전환 공정에 의한 생리활성이 증진된 발효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14023B (zh) 一种用于豆粕发酵的发酵酶解剂及其应用
KR101370941B1 (ko) 신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CN101999527B (zh) 一种免疫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4106726A (zh) 一种新的益生菌及用其制备的益生菌发酵饲料
CN110218688B (zh) 海内氏芽孢杆菌ly-23、菌剂及其应用和应用其的产品
CA2934976A1 (fr) Utilisation d'une composition enzymatique dans l'alimentation des ruminants
Wang et al. Growth performance and digestion improvement of juvenile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fed by solid‐state fermentation diet
CN112189770A (zh) 一种含发酵桑叶的无抗生素草鱼饲料及其制备方法
CN103396956A (zh) 一种酿酒酵母及其筛选培养方法和用于豆粕发酵的方法
KR20090030661A (ko) 양식어류용 사료첨가제, 사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양식어류의 사육방법
CN116083262A (zh) 有水产病原菌拮抗特性的植物乳杆菌菌株及其制剂的制备及应用
KR10213064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식 어류 및 갑각류용 사료첨가제
CN112314782A (zh) 一种用于发酵饲料的复合微生物制剂及发酵膨化颗粒饲料
KR20100126236A (ko) 히스타민 분해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 gb-lc2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히스타민이 감소된 어분의 제조방법
CN112961806B (zh) 高产乳酸的凝结芽孢杆菌、生物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131882B1 (ko) 효모를 이용하여 이취가 개선된 발효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60143499A (ko) 발효 미생물의 생물전환 공정에 의한 생리활성이 증진된 발효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11484B1 (ko) 다기능 어류용 생균제 및 이의 용도
CN112205542A (zh) 一种发酵型功能性精养草鱼膨化饲料及其生产工艺
KR100688441B1 (ko) 감귤박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143498A (ko) 발효 미생물의 생물전환 공정에 의한 생리활성이 증진된 발효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26777B1 (ko) 항영양인자 제어 미생물 마이크로박테리움 하이드로더멀 kbcbs102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어분 대체용 발효 대두박 제조 방법
KR101890530B1 (ko) 폐기줄풀로부터 셀룰로오스, 단백질 및 지질을 분해하는 미생물군의 분리와 줄풀을 이용한 사료첨가제를 생산하는 방법
KR101252134B1 (ko) 소의 성장촉진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축우 사료의 제조방법
KR101670955B1 (ko) 양식어류용 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양식시킨 양식어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