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3375B1 - 발아곡류를 이용한 가축용 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아곡류를 이용한 가축용 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3375B1
KR100643375B1 KR1020050069147A KR20050069147A KR100643375B1 KR 100643375 B1 KR100643375 B1 KR 100643375B1 KR 1020050069147 A KR1020050069147 A KR 1020050069147A KR 20050069147 A KR20050069147 A KR 20050069147A KR 100643375 B1 KR100643375 B1 KR 100643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fu
weight
feed
germinated
livest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제
Original Assignee
김성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제 filed Critical 김성제
Priority to KR1020050069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33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3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3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mola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아곡류를 이용한 가축용 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곡류를 2~3일 동안 충분히 발아시킨 후 미생물 복합균, 당밀, 소금 및 유기태 미네랄 등을 믹서기로 혼합하여 적절한 온도에서 2~10일간 발효시킴으로써 젖소의 담근먹이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축의 각종 질병과 면역력 부족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현저히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젖소의 유량 및 유지율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가축용 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발아, 발아곡류, 발효사료, 미생물복합균, 유량

Description

발아곡류를 이용한 가축용 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Fermented animal feed using germinated cereals and a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발아곡류를 이용한 가축용 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류를 2~3일 동안 충분히 발아시킨 후 미생물 복합균, 당밀, 소금 및 유기태 미네랄 등을 믹서기로 혼합하여 적절한 온도에서 2~10일간 발효시킴으로써 한우 및 젖소의 담근먹이로 활용할 수 있는 가축용 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옥수수, 수수, 귀리, 호밀 등의 곡류는 그 성분상 가축에게 매우 유용한 사료인 것이다. 대부분의 곡류는 미국, 중국, 남미 등 수입에 의존하여 사료제조회사들이 배합사료를 제조하여 시판하고 있으며 대부분 분쇄 또는 펠렛팅하여 가축에게 공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곡류 발아시에 많은 유용한 변화가 일어난다.
먼저, 효소가 대폭 증가한다. 곡류가 발아할 때는 엄청난 냥의 효소가 활성화된다. 그 동안 보관중이던 영양소들을 대폭 증가된 효소의 작용으로 비타민, 아미노산 등과 같이 고급 영양소로 변화시켜 새싹의 성장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 다.
둘째, 당화작용을 한다. 사람이 녹말을 포도당으로 변화시켜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듯 곡류가 발아할 때도 새싹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탄수화물을 포도당으로 단당화시켜 이용한다. 발아곡류의 소화흡수율이 높은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셋째,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변화한다. 곡류가 발아될 때는 곡류 중에 함유된 식물성 단백질이 효소작용에 의해 아미노산으로 전환되어 새싹의 영양으로 사용된다.
넷째,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다. 곡류가 발아할 때는 곡류 중에 함유된 지방이 불포화지방산인 리놀산으로 변화한다. 리놀산은 동맥경화의 원인이 되는 혈관 벽으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을 제거함으로써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각종 질병을 예방한다.
다섯째, 미네랄의 흡수율이 높아진다. 곡류의 겨층에는 철분, 아연, 마그네슘, 칼륨, 칼슘 등의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피친산(Phytic Acid)에 의해 단단히 둘러싸여 있어 소화흡수가 어렵다. 발아가 되면 피타제(Phytase)라는 효소에 의해 피친산이 분해되므로 미네랄의 흡수율이 3~4배까지 높아져 미네랄 공급을 원활하게 도와준다.
여섯째, 중금속 제거 효과가 탁월해진다. 미네랄과 결합되어 있던 피친산이 분해되면 중금속이나 농약, 다이옥신, 아질산 등과 같은 유해 물질들과 다시 결합하게 되어 체외로 배출된다. 이외 풍부한 식이섬유로 인해 다공질 사이로 흡착된 유해물질들이 장에서 흡수되지 않고 몸 밖으로 자연스럽게 빠져나간다.
일곱째, 비타민이 대폭 증가한다. 발아에 의해 비타민 B1, B2, B6, 콜린, 이노시톨, 판토텐산, 니콜틴산, 염산, 비타민 E, 비타민 C 전구체 등이 증가하여 마치 종합비타민제와 같은 상태가 된다.
여덟째, 섬유질이 증가한다. 발아 전에는 식이섬유가 1~2% 함유되어 있지만 발아가 되면 4% 이상으로 증가한다. 특히, 발아곡류중의 식이섬유는 발아과정 중의 효소에 의해 스폰지나 숯 표면에 미세구공과 같은 상태가 되므로 일반 식이섬유보다 훨씬 흡착력이 증대한다. 이러한 식이섬유는 콜레스테롤 제거, 장내 중금속이나 유해 물질 제거, 혈당조절, 유산균 증식활성화, 변비 해소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변비를 해소시켜 배변을 크게 증대시키고 이에 따라 가축의 성장속도도 증가하게 되고 증체 효과가 크다.
아홉번째, SOD가 증가한다. 활성산소를 제거시키는 SOD(Super Oxide Dismutase)가 현저하게 증가하여 생체의 세포를 공격하여 파괴하는 활성산소를 없애준다. 특히, 효소 작용으로 SOD의 분자량을 작게 하여 세포내로 흡수가 용이하게 하므로 일반 SOD에 비해 효과가 증대된다.
열번째, 엽록소가 증가한다. 발아곡류 중의 엽록소는 생체의 헤모글로빈과 일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녹색 혈액 또는 조혈인자라고 불리고 있다. 엽록소는 깨끗한 혈액을 만들어 주고 암세포나 바이러스 발생을 억제하며 해독작용, 항알레르기 작용을 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열한번째, 가바(GABA) 성분이 증가한다. 가바 성분이 발아과정 중 효소에 의해 대폭 증가한다. 신경전달물질로 뇌혈류를 활발하게 하여 산소 공급량을 증가시 키고 뇌세포 대사 기능을 높여준다. 혈관 운동을 증가시키고 혈압 저하 작용, 신장기능 활성화 작용, 간기능 증대 작용, 비만방지 작용, 알콜 대사 촉진 작용, 정력증진 작용, 에너지 대사 촉진 작용 등에도 관여한다.
열두번째, 아라비녹시란이 생성된다. 미국 UCLA대학 M.GHONEIM 박사의 연구진에 의해 강한 면역력 증진 효과가 밝혀진 물질로 곡류 중에 함유된 헤미셀룰로오스가 발아과정에서 효소에 의해 가수분해되어 생성된다. 아라비녹시란은 NK세포(자연살상세포)를 강화(약 9배)시킴과 동시에 인터루킹II의 생산을 증대시키고 T임파구의 유도 및 생산을 촉진하는 등 면역체계를 극대화시켜 암세포를 파괴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부작용이 없고 지금까지 발견된 면역증대 물질 중 가장 강력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심지어 기존의 버섯 추출물인 AHCC보다 무려 7배나 높은 면역력을 발휘한다.
열세번째, 옥타코사놀이 생성된다. 옥타코사놀은 철새들의 장거리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괴력의 에너지원으로 알려져 있다. 소맥배아, 쌀배아, 사과, 포도의 껍질 등에 극미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대량 추출하기가 어려워 값이 비싸다. 옥타코사놀은 혈액 내 산소운반 기능을 향상시켜 적은 양으로도 호흡곤란을 방지하는 기능이 뛰어나며 혈압조절작용도 탁월하다. 또 항스트레스 작용, 체력증진, 정력증진, 지구력증진, 에너지 대사 촉진 작용 등을 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이 점을 감안하여 발아된 옥수수 등의 곡류를 이용하여 미생물 복합균과 함께 발효시켜 옥수수 등의 곡류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성분은 최대한 활용하고 특별히 발아시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영양적, 기능적 변화를 이용하는 노하우와 미생물 복합균과 유산균 발효로 인한 발효물질의 효능을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가축의 각종 질병과 면역력 부족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현저히 방지할 수 있는 가축사료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아된 옥수수 등의 곡류를 이용하여 미생물 복합균과 함께 발효시켜 제조한 가축의 각종 질병과 면역력 부족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현저히 방지할 수 있는 가축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발아옥수수, 발아수수, 발아귀리 및 발아호밀을 이용하여 발아발효사료를 제조한 다음 상기 발아발효사료를 젖소에 급여하여 유량 및 유지율을 조사함으로써 달성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발아옥수수를 이용하여 발아발효사료를 제조하는 단계; 발아수수를 이용하여 발아발효사료를 제조하는 단계; 발아귀리를 이용하여 발아발효사료를 제조하는 단계; 발아호밀을 이용하여 발아발효사료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의 발아발효사료를 젖소에 급여하여 유량 및 유지율을 조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곡류를 발아시키는 방법은 통상의 곡류 발아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하기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곡류를 수조에서 6~15시간 동안 깨끗한 물 또는 기능수에 충분히 불린다. 불려진 곡류를 건진 후 발아조에 옮겨 약 10~30cm 정도의 두께로 낀 후 일일 5~8회 정도 수분을 공급한다. 이 때 주변은 어둡게 하거나, 헝겊으로 덮어 광선을 차단한다. 온도는 발아 적온으로 25~30℃로 유지한다. 공기는 잘 통하게 하고 음악 등 파동 에너지를 공급하면 더욱 생육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발아시간은 36~48시간이 요구되며 길이가 1cm 정도가 되면 발아를 중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잘 발아된 곡류의 수분은 40% 내외로서 미생물이 발효하기에 적합한 수분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발아된 곡류를 이용하여 발효 가축사료를 제조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상기 방법으로 발아시킨 발아곡류 85~97중량%, 당밀 1~8중량%, 물 1~8중량%, 미생물 복합균 0.2~0.4중량%, 김치유산균 0.2~0.4중량%, 소금 0.1~0.2중량%, 유기태 미네랄 0.05~0.1중량%를 믹서기로 혼합한 후 10~30℃에서 2~10일간 숙성시킨다.
상기와 같은 원료 조성비율 및 발효조건에서 제조되어져야 발효사료의 기호성이 좋고 아울러 가축의 생산성, 예를 들어 젖소의 유량 및 유지율이 좋다.
본 발명에서 곡류는 가축사료로 이용할 수 있는 곡류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옥수수, 수수, 귀리 및 호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기태 미네랄은 아미노산 함유 유기태 미네랄 또는 글루콘산 함유 미네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미네랄의 종류는 아연(Zn), 철분(Fe)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미생물 복합균은 길항성이 없는 복합균으로서 효모를 비롯하여 유산균, 섬유소 분해 미생물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데 바람직하기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2.0×107cfu/g~4.0×107cfu/g,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tobacillus acidophilus) 2.0×107cfu/g~3.0×107cfu/g,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2.0×107cfu/g~4.0×107cfu/g,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1.0×107cfu/g~3.0×107cfu/g 및 셀룰로모나스 에스피.(Cellulomonas sp .) 1.0×107cfu/g~1.5×107cfu/g로 구성되는 것이 좋으며,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3.0×107cfu/g,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tobacillus acidophilus) 2.5×107cfu/g,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3.0×107cfu/g,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2.0×107cfu/g 및 셀룰로모나스 에스피.(Cellulomonas sp .) 1.2×107cfu/g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이 때 각각의 미생물은 해당 종류의 공지 균주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다. 그 예로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의 경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KCTC 1021,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KCTC 1104,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tobacillus acidophilus)의 경우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tobacillus acidophilus) KCTC 3140,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Latobacillus acidophilus) KCCM 32820,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의 경우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KCTC 7904,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KCCM 11201,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의 경우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KCTC 6909,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KCCM 11530, 셀룰로모나스 에스피.(Cellulomonas sp .)의 경우 셀룰로모나스 에스피.(Cellulomonas sp .) KCTC 1371, 셀룰로모나스 에스피.(Cellulomonas sp .) KCCM 11705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발효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미생물 복합균과 더불어 김치유산균을 더 첨가한다. 김치유산균은 공지의 락토바실러스 에스피.(Lactobacillus sp .)를 사용하면 된다. 그 예로는 락토바실러스 에스피.(Lactobacillus sp .) KCTC 1120, 락토바실러스 에스피.(Lactobacillus sp .) KCCM 32821 등이 있다. 바람직한 락토바실러스 에스피.(Lactobacillus sp .)의 함량은 2.0×107cfu/g~3.0×107cfu/g이 좋으며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2.5×107cfu/g이 좋다.
본 발명에서 각 미생물은 상기 각 함량의 하한보다 낮으면 발효효율이 떨어지고 상기 각 함량의 상한보다 높아도 더 이상 발효효율이 향상되지 않고 오히려 다소 감소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옥수수를 이용한 가축사료의 제조
옥수수를 수조에서 10시간 동안 깨끗한 물에 충분히 불린 후 불려진 옥수수를 건진 다음 발아조에 옮겨 약 20cm 정도의 두께로 낀 후 일일 7회 수분을 공급하면서 48시간 동안 발아시켰다. 이 때 주변은 어둡게 하거나, 헝겊으로 덮어 광선을 차단하였으며 온도는 25℃로 유지하였고 공기는 잘 통하게 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발아시킨 옥수수 95중량%, 당밀 2중량%, 물 2중량%, 미생물 복합균 0.3중량%, 김치유산균 0.4중량%, 소금 0.2중량% 및 유기태 미네랄 0.1중량%를 믹서기로 혼합한 후 25℃에서 7일간 숙성시켜 본 발명 가축사료를 제조하였다.
이 때 미생물 복합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3.0×107cfu/g,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tobacillus acidophilus) 2.5×107cfu/g,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3.0×107cfu/g,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2.0×107cfu/g 및 셀룰로모나스 에스피.(Cellulomonas sp .) 1.2×107cfu/g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고 김치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에스피.(Lactobacillus sp .)로 2.5×107cfu/g의 함량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수수를 이용한 가축사료의 제조
수수를 수조에서 10시간 동안 깨끗한 물에 충분히 불린 후 불려진 수수를 건진 다음 발아조에 옮겨 약 20cm 정도의 두께로 낀 후 일일 8회 수분을 공급하면서 36시간 동안 발아시켰다. 이 때 주변은 어둡게 하거나, 헝겊으로 덮어 광선을 차단하였으며 온도는 30℃로 유지하였고 공기는 잘 통하게 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발아시킨 수수 95중량%, 당밀 1중량%, 물 3중량%, 미생물 복합균 0.4중량%, 김치유산균 0.3중량%, 소금 0.2중량% 및 유기태 미네랄 0.1중량%를 믹서기로 혼합한 후 30℃에서 10일간 숙성시켜 본 발명 가축사료를 제조하였다.
이 때 미생물 복합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3.0×107cfu/g,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tobacillus acidophilus) 2.5×107cfu/g,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3.0×107cfu/g,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2.0×107cfu/g 및 셀룰로모나스 에스피.(Cellulomonas sp .) 1.2×107cfu/g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고 김치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에스피.(Lactobacillus sp .)로 2.5×107cfu/g의 함량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 : 귀리를 이용한 가축사료의 제조
귀리를 수조에서 10시간 동안 깨끗한 물에 충분히 불린 후 불려진 귀리를 건진 다음 발아조에 옮겨 약 20cm 정도의 두께로 낀 후 일일 5회 수분을 공급하면서 48시간 동안 발아시켰다. 이 때 주변은 어둡게 하거나, 헝겊으로 덮어 광선을 차단하였으며 온도는 28℃로 유지하였고 공기는 잘 통하게 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발아시킨 귀리 95중량%, 당밀 3중량%, 물 1중량%, 미생물 복합균 0.4중량%, 김치유산균 0.4중량%, 소금 0.1중량% 및 유기태 미네랄 0.1중량%를 믹서기로 혼합한 후 10℃에서 10일간 숙성시켜 본 발명 가축사료를 제조하였다.
이 때 미생물 복합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3.0×107cfu/g,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tobacillus acidophilus) 2.5×107cfu/g,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3.0×107cfu/g,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2.0×107cfu/g 및 셀룰로모나스 에스피.(Cellulomonas sp .) 1.2×107cfu/g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고 김치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에스피.(Lactobacillus sp .)로 2.5×107cfu/g의 함량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4 : 호밀을 이용한 가축사료의 제조
호밀을 수조에서 10시간 동안 깨끗한 물에 충분히 불린 후 불려진 호밀을 건진 다음 발아조에 옮겨 약 20cm 정도의 두께로 낀 후 일일 6회 수분을 공급하면서 48시간 동안 발아시켰다. 이 때 주변은 어둡게 하거나, 헝겊으로 덮어 광선을 차단하였으며 온도는 25℃로 유지하였고 공기는 잘 통하게 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발아시킨 호밀 95중량%, 당밀 2중량%, 물 2중량%, 미생물 복합균 0.4중량%, 김치유산균 0.3중량%, 소금 0.2중량% 및 유기태 미네랄 0.1중량%를 믹서기로 혼합한 후 25℃에서 6일간 숙성시켜 본 발명 가축사료를 제조하였다.
이 때 미생물 복합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3.0×107cfu/g,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tobacillus acidophilus) 2.5×107cfu/g,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3.0×107cfu/g,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2.0×107cfu/g 및 셀룰로모나스 에스피.(Cellulomonas sp .) 1.2×107cfu/g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고 김치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에스피.(Lactobacillus sp .)로 2.5×107cfu/g의 함량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 본 발명 가축 사료 섭취에 따른 유량변화 조사
1. 발아발효사료를 5kg/두 추가 급여시
산유량과 비유기가 비슷한 홀스타인 젖소 50두를 선발하여 10두씩 무첨가구, 실시예 1의 사료첨가구, 실시예 2의 사료첨가구, 실시예 3의 사료첨가구 및 실시예 4의 사료첨가구로 나누고,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가지는 TMR사료, 배합사료 및 본 발명 발아발효사료를 하기 표 2와 같은 사료 배합비율로 각각 혼합하여 각 실험구에 2005년 5월 1일부터 2005년 6월 30일까지 2개월 동안 급여한 후 총섭취량, 유 량 및 유지율을 측정하였다. 이 때 배합사료는 시중에서 선진(주)의 젖소용 배합사료를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발아발효사료 섭취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급여개시 후 5일간 1kg/일 증량 급여하였다. 또한 정확한 유량 체크를 위하여 무첨가구와 첨가구들을 번갈아가며 착유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았다.
TMR사료배합비
원료 급여량(kg/일) 건물량 비고
단백피 1.70 1.52
당밀 1.00 0.77
맥주박 5.00 1.00 수분80
6.00 -
비트펄프 펠렛 1.40 1.28
알팔파-건초 1.82 1.64 cp16Z
옥수수 분쇄물 1.50 1.27
전지면실 1.10 0.99
톨페스큐 1.90 1.72 스트로
티모시 1.72 1.55
합계 23.14 11.74
발아발효사료를 5kg/두 추가 급여시 사료 배합비율
구분 무첨가구 실시예 1의 사료첨가구 실시예 2의 사료첨가구 실시예 3의 사료첨가구 실시예 4의 사료첨가구
사료종류 및 섭취량 (kg/일) 배합사료 7.5 7.5 7.5 7.5 7.5
TMR사료 20.5 20.5 20.5 20.5 20.5
발아발효사료 - 5 5 5 5
발아발효사료를 5kg/두 추가 급여시 총섭취량, 유량 및 유지율 변화
구분 무첨가구 실시예 1의 사료첨가구 실시예 2의 사료첨가구 실시예 3의 사료첨가구 실시예 4의 사료첨가구
총섭취량(kg/일) 28 33 32 30 33
유량(kg) 24.5 29.4 29.1 28.9 29.3
유지율(%) 3.90 4.09 4.03 3.98 4.07
2. 발아발효사료를 5kg/두 대체 급여시
산유량과 비유기가 비슷한 홀스타인 젖소 50두를 선발하여 10두씩 무첨가구, 실시예 1의 사료첨가구, 실시예 2의 사료첨가구, 실시예 3의 사료첨가구 및 실시예 4의 사료첨가구로 나누고, 상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가지는 TMR사료, 배합사료 및 본 발명 발아발효사료를 하기 표 4와 같은 사료 배합비율로 각각 혼합하여 각 실험구에 2005년 5월 1일부터 2005년 6월 30일까지 2개월 동안 급여한 후 총섭취량, 유량 및 유지율을 측정하였다. 이 때 배합사료는 시중에서 선진(주)의 젖소용 배합사료를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발아발효사료 섭취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급여개시 후 5일간 1kg/일 증량 급여하였다. 또한 정확한 유량 체크를 위하여 무첨가구와 첨가구들을 번갈아가며 착유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았다.
발아발효사료를 5kg/두 대체 급여시 사료 배합비율
구분 무첨가구 실시예 1의 사료첨가구 실시예 2의 사료첨가구 실시예 3의 사료첨가구 실시예 4의 사료첨가구
사료종류 및 섭취량 (kg/일) 배합사료 10 7 7 7 7
TMR사료 23 21 21 21 21
발아발효사료 - 5 5 5 5
발아발효사료를 5kg/두 대체 급여시 총섭취량, 유량 및 유지율 변화
구분 무첨가구 실시예 1의 사료첨가구 실시예 2의 사료첨가구 실시예 3의 사료첨가구 실시예 4의 사료첨가구
총섭취량(kg/일) 33 33 33 33 33
유량(kg) 27.7 29.6 29.5 29.4 29.5
유지율(%) 3.75 3.94 3.91 3.89 3.93
상기 실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발아발효사료를 배합사료 및 TMR사료와 더불어 추가 급여한 경우 사료의 총섭취량이 무첨가구에 비해 첨가구들에서 더 높아지긴 했으나 유량 및 유지율의 증가폭이 현저히 나타났으며, 발아발효사료를 배합사료 및 TMR사료와 더불어 대체 급여한 경우에는 사료의 총섭취량이 무첨가구와 첨가구들에서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무첨가구에 비해 첨가구들에서 유량 및 유지율이 월등히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본 발명 발아발효사료가 젖소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상,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발아곡류를 이용한 가축용 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은 곡류를 2~3일 동안 충분히 발아시킨 후 미생물 복합균, 당밀, 소금 및 유기태 미네랄 등을 믹서기로 혼합하여 적절한 온도에서 2~10일간 발효시킴으로써 젖소의 담근먹이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젖소 및 한우 등의 가축의 각종 질병과 면역력 부족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를 현저히 방지할 수 있고 특별히 젖소의 유량 및 유지율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가축용 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축산업 및 가축사료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발아곡류 85~97중량%, 당밀 1~8중량%, 물 1~8중량%,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2.0×107cfu/g~4.0×107cfu/g,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tobacillus acidophilus) 2.0×107cfu/g~3.0×107cfu/g,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에(Saccharomyces cerevisiae) 2.0×107cfu/g~4.0×107cfu/g,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1.0×107cfu/g~3.0×107cfu/g 및 셀룰로모나스 에스피.(Cellulomonas sp .) 1.0×107cfu/g~1.5×107cfu/g로 구성된 미생물 복합균 0.2~0.4중량%, 락토바실러스 에스피.(Lactobacillus sp .) 2.0×107cfu/g~3.0×107cfu/g로 구성된 김치유산균 0.2~0.4중량%, 소금 0.1~0.2중량%, 유기태 미네랄 0.05~0.1중량%를 혼합한 후 10~30℃에서 2~10일간 숙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곡류를 이용한 가축사료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류는 옥수수, 수수, 귀리 및 호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곡류를 이용한 가축사료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 기재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KR1020050069147A 2005-07-28 2005-07-28 발아곡류를 이용한 가축용 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643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147A KR100643375B1 (ko) 2005-07-28 2005-07-28 발아곡류를 이용한 가축용 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147A KR100643375B1 (ko) 2005-07-28 2005-07-28 발아곡류를 이용한 가축용 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3375B1 true KR100643375B1 (ko) 2006-11-10

Family

ID=37653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147A KR100643375B1 (ko) 2005-07-28 2005-07-28 발아곡류를 이용한 가축용 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3375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368B1 (ko) 2007-05-04 2008-11-25 김포축산업협동조합 축산 사료용 곡물 발아 방법
WO2011149205A2 (ko) * 2010-05-26 2011-12-01 Jung Dong Sul 젖떼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CN102793056A (zh) * 2011-05-26 2012-11-28 新疆艾热克国际贸易有限公司 高比例纤维强效饲料及其生产方法
KR101274018B1 (ko) * 2011-05-12 2013-06-1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품질 돈육 생산을 위한 발아 및 발효콩을 이용한 기능성 양돈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3445020A (zh) * 2013-08-23 2013-12-18 福建大用生态农业综合发展有限公司 一种养猪用发酵饲料
KR101470919B1 (ko) * 2012-10-29 2014-12-10 (주)진바이오텍 바이오 리액션을 이용한 귀리를 원료로 하는 사료곡물의 가공방법
KR101532471B1 (ko) * 2012-10-29 2015-07-01 (주)진바이오텍 바이오 리액션을 이용한 옥수수를 원료로 하는 사료곡물의 가공방법
KR101824133B1 (ko) 2017-08-21 2018-02-01 (주)이푸른 저장성 및 기호도가 증진된 비코팅 전지면실의 제조방법
WO2019013382A1 (ko) * 2017-07-12 2019-01-17 씨제이제일제당(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상기 사료첨가제의 제조 방법
WO2019027073A1 (ko) * 2017-08-04 2019-02-07 씨제이제일제당(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상기 사료첨가제의 제조 방법
KR20210056771A (ko) * 2019-11-11 2021-05-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새싹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368B1 (ko) 2007-05-04 2008-11-25 김포축산업협동조합 축산 사료용 곡물 발아 방법
WO2011149205A2 (ko) * 2010-05-26 2011-12-01 Jung Dong Sul 젖떼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WO2011149205A3 (ko) * 2010-05-26 2012-04-19 Jung Dong Sul 젖떼기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KR101274018B1 (ko) * 2011-05-12 2013-06-1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품질 돈육 생산을 위한 발아 및 발효콩을 이용한 기능성 양돈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2793056A (zh) * 2011-05-26 2012-11-28 新疆艾热克国际贸易有限公司 高比例纤维强效饲料及其生产方法
KR101470919B1 (ko) * 2012-10-29 2014-12-10 (주)진바이오텍 바이오 리액션을 이용한 귀리를 원료로 하는 사료곡물의 가공방법
KR101532471B1 (ko) * 2012-10-29 2015-07-01 (주)진바이오텍 바이오 리액션을 이용한 옥수수를 원료로 하는 사료곡물의 가공방법
CN103445020A (zh) * 2013-08-23 2013-12-18 福建大用生态农业综合发展有限公司 一种养猪用发酵饲料
WO2019013382A1 (ko) * 2017-07-12 2019-01-17 씨제이제일제당(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상기 사료첨가제의 제조 방법
US11638432B2 (en) 2017-07-12 2023-05-02 Cj Cheiljedang Corporation Feed additive comprising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licheniformis, a feed composition comprising the feed additiv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feed additive
WO2019027073A1 (ko) * 2017-08-04 2019-02-07 씨제이제일제당(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상기 사료첨가제의 제조 방법
CN109618552A (zh) * 2017-08-04 2019-04-12 Cj第制糖株式会社 包含枯草芽孢杆菌及地衣芽孢杆菌的饲料添加剂、包含所述饲料添加剂的饲料组合物及生产所述饲料添加剂的方法
KR101824133B1 (ko) 2017-08-21 2018-02-01 (주)이푸른 저장성 및 기호도가 증진된 비코팅 전지면실의 제조방법
KR20210056771A (ko) * 2019-11-11 2021-05-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새싹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KR102315959B1 (ko) 2019-11-11 2021-10-21 대한민국 새싹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375B1 (ko) 발아곡류를 이용한 가축용 발효사료 및 그 제조방법
CN101449744B (zh) 多功能生物活性水产饲料添加剂
KR101078750B1 (ko) 함초 함유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3168921A (zh) 一种秸秆饲料的生产方法
CN109287865A (zh) 一种复合发酵蛋白饲料及其制备方法
CN106260762A (zh) 一种提高生长性能酶解海带生产谷物发酵型罗非鱼饲料
CN104489272A (zh) 一种畜禽用保健饲料添加剂
CN102511652A (zh) 微生物平衡蛋白饲料的生产方法
CN1706270A (zh) 秸秆真菌发酵剂及秸秆生物发酵饲料的制作技术
CN108835444A (zh) 种鹅饲料、其制备方法、应用以及禽用食品
CN111903835A (zh) 一种发酵蛋白饲料的制备方法和发酵蛋白饲料
CN110663814A (zh) 一种兽用混合型中药发酵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12890031A (zh) 一种养牛用农作物秸秆生物饲料及其制备方法
CN106260761A (zh) 一种提高出肉率酶解海带生产谷物发酵型草鱼饲料
CN102669408A (zh) 复合糟生物改性生产饲料的方法
Rajarathnam et al. Nutrition of the mushroom Pleurotus flabellatus during its growth on paddy straw substrate
CN113508872B (zh) 一种棕榈粕原料生物预处理方法
CN104472881A (zh) 一种液体饲料添加剂
CN113768042A (zh) 一种中药药渣发酵复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80075986A (ko) 미생물 성장 촉진용 당 영양소 첨가 복합 미생물 혼합 배양액을 포함하는 복합 기능 곡물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06234851A (zh) 一种提高脂肪代谢酶解海带生产谷物发酵型罗非鱼饲料
CN102018134A (zh) 一种青鱼饲料及其制备方法
CN105231021A (zh) 一种应用于杂交构树枝叶粉末饲料的消化助剂
CN1500400A (zh) 富酶利生素及制作方法
KR101139487B1 (ko) 버섯폐배지 추출물을 이용한 사료용 첨가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