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754B1 - 가축사료 첨가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축사료 첨가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754B1
KR100351754B1 KR1020000005637A KR20000005637A KR100351754B1 KR 100351754 B1 KR100351754 B1 KR 100351754B1 KR 1020000005637 A KR1020000005637 A KR 1020000005637A KR 20000005637 A KR20000005637 A KR 20000005637A KR 100351754 B1 KR100351754 B1 KR 100351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hitosan
feed
crude
chit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7679A (ko
Inventor
지원철
문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바이오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바이오 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바이오 시스템
Priority to KR1020000005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1754B1/ko
Publication of KR20010077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7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7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glass elements, i.e. wherein an outer layer is not of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젖산생성 박테리아(Lactic acid bacteria),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및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p.) 균주가 같은 비율로 첨가된 혼합균주 4×109~4×1011CFU/kg을 곡물 및 유장 배지에 발효 보조제와 함께 배양시켜 제조되어 그 구성성분으로 조단백질(crude protein) 15 중량%, 조지방(crude fat) 5 중량%, 조섬유(crude fiber) 7 중량%, 조회분(crude ash) 17 중량%, 수분(moisture) 9.9 중량%, 칼슘(calcium) 3 중량%, 인(phosphorus) 2 중량%, 만난(mannan) 2 중량%, 글루칸(glucan) 2 중량%, 아밀라아제(amylase) 30,000 unit/kg, 카로테노이드계 항산화제 0.0001 중량%, 키틴 및 키토산 20 중량%, 키토산 올리고당 17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첨가제로서, 항균작용 및 면역증강 작용이 있어 가축의 성장을 촉진하고 비육을 증진시키며 콜레스테롤의 양을 저하시키며, 장내 유익균을 대량 증식시키는 뛰어난 효과가 있고 산란계에 있어서는 난각질과 난황색을 개선하고 비유우의 경우는 품질이 우수한 우유의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생물 발효에 의해 제조된 발효물로 키틴, 키토산 및 키토산 올리고당을 함유하는 가축사료 첨가제{Animal feed additive comprising chitin, chitosan, chito-oligosaccharide and et al., products of microorganism fermentation}
본 발명은 가축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미생물 발효에 의하여 생산된 키틴, 키토산과 키토산 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키틴질이 처음 발견된 것은 1811년 프랑스의 역사학자 프라코노가 버섯에 포함되어 있는 미지의 면역성분을 발견하여 이를 '파진'이라고 한데서 유래되었다. 그후 1823년 역시 프랑스의 오질이라는 과학자가 이것을, 버섯의 외피를 이루고 있는 물질이라는 뜻에서 그리스어의 봉투라는 의미인 '키틴(Chitin)'이라고 명명을 하였다. 1859년 르게라는 과학자에 의해 키틴의 가수분해된 형태인'키토산(Chitosan)'이 발견되었으며, 1982년 일본에서는 암,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등의 성인병으로 인한 사망율이 높아지자 일본 농림수산성이 10개년 계획으로 추진한 '생체물질 연구', 즉 미이용 생물자원 개발 (Bio-Mass)'의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인체에 세균, 바이러스, 암세포 등의 증식을 막아주고 면역세포를 강화해 주는 키틴 및 키토산을 실용화하기에 이르렀다. 국내에서는 1990년대 건강식품 및 농업용, 공업용으로 사용이 시작되었으며, 1996년 축산업계에서 처음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키틴(Chitin)은 하등생물의 껍데기를 구성하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천연 동물성 섬유질로서 년간 1000억톤 이상이 생산되고 있으며,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 Glucosamine) 이라는 당이 β1-4 형태로 결합한 분자량 100만 이상의 고분자 물질이다. 한편 키토산(Chitosan)은 탈아세틸화 반응을 거쳐 키틴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머로서, 키틴의 거대분자가 저분자화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키토산은 물, 알코올 용매에는 녹지 않으며 약산에 녹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무공해·무독성의 생분해성 물질이다. 한편 분자량이 10만∼20만인 키틴을 다시한번 저분자화하여 글루코사민(Glucosamine) 2∼10개까지 분해한 것을 키토산 올리고당(Chito-oligosaccharide) 이라고 하는데, 이는 키틴 및 키토산과 비교할 때 체내 흡수력이 가장 우수한 형태이다. 키틴과 키토산의 구조식은 하기 일반식(I)에 표시된 바와 같으며 키틴, 키토산 및 키토산 올리고당의 특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주요 키틴 유도체의 특성
특성 키틴 키토산 키토산 올리고당
용해성 난용해성 산용해성 수용성
생체소화 난소화성 부분분해 소화 전체 소화
기호성 - 떫은 맛 감미성
기능성 - 다기능성 다기능성
키틴·키토산 및 키토산 올리고당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염산 및 가성소다를 이용한 화학적 가수분해법, 키틴-키티나아제(chitin-chitosanase) 효소를 이용한 효소분해법 및 미생물 및 발효배지를 이용한 미생물 발효법 3가지로 제조되는데, 미생물 발효법의 경우 작업진행이 어렵고 많은 노-하우(know-how)가 필요하지만 가장 안정하고 기능성이 높은 제조법이다.
[표 2]키틴·키토산 및 키토산 올리고당의 제조
제조방법 화학적 가수분해 효소분해 미생물 발효
분해처리 염산 및 가성소다 키틴-키토사나아제 미생물 및 발효배지
제조비용 낮음 높음 낮음
작업진행 용이함 어려움 어려움
안전성 염산등 화학물질 잔류 높음 높음
기능성 낮음 높음 매우 높음
오염물질 배출 높음 중간 없음
기호성 떨어짐 중간정도 좋음
키틴·키토산 및 키토산 올리고당은 이들 물질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으로 인해 매우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며 실제로 많은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키틴은 상처치유, 인조피부(봉합사), 섬유, 비료, 산업용 스피커막에 응용되고 키토산은 발효촉진제, 세포활성제, 콜레스테롤 강하제, 흡습제, 면역증강제, 두발용품, 화장품 및 폐수처리 응집제에 주로 응용되며 키토산 올리고당은 세포활성화제, 면역활성제 및 천연활성제로 응용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미생물 발효에 의하여 키틴·키토산 및 키토산 올리고당과 조단백질(crude protein), 조지방(crude fat), 조섬유(crude fiber), 조회분(crude ash), 수분(moisture), 칼슘(calcium), 인(phosphorus), 만난(mannan), 글루칸(glucan), 아밀라아제(amylase), 카로테노이드(carotenoid)계 항산화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첨가제가 이유자돈, 자돈, 산란계, 비유우, 비육돈과 같은 사축사료 첨가제로 사료 효율을 높이고, 장내 유용 미생물을 대량 증식시키며 티푸스 폐사율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생물 발효에 의하여 키틴·키토산 및 키토산 올리고당을 함유하는 가축사료 첨가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미생물 발효에 의하여 키틴·키토산 및 키토산 올리고당, 조단백질(crude protein), 조지방(crude fat), 조섬유(crude fiber), 조회분(crude ash), 수분(moisture), 칼슘(calcium), 인(phosphorus), 만난, 글루칸, 아밀라아제 및 카로테노이드(carotenoid)계 항산화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첨가제를 제조하고 이를 이유자돈 사료, 자돈 사료 또는 산란계 사료 등에 첨가하여 가축에 급여하고 사료효율, 항생효과, 장내 유익균 증식효과, 티푸스 폐사율 감소효과,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등을 조사하므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를 산란계에 급여하고 티푸스에 의한 폐사율의 감소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의 항균효과를 나타낸 사진도이다.
본 발명은 미생물 발효에 의하여 생산된 키틴·키토산 및 키토산 올리고당, 조단백질(crude protein), 조지방(crude fat), 조섬유(crude fiber), 조회분(crude ash), 수분(moisture), 칼슘(calcium), 인(phosphorus), 만난, 글루칸, 아밀라아제 및 카로테노이드(carotenoid)계 항산화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료 첨가제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한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를 함유하는 이유사료를 이유자돈에 급여한 후 항생물질을 함유하는 이유사료를 급여한 대조구과 증체량을 비교하여 이유자돈 사료 첨가제로서의 효율성과 항생물질 대체여부를 조사하는 단계;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를 함유하는 사료를 자돈에 급여하고 항생물질을 함유하는 사료를 급여한 대조구과 증체량을 비교하여 자돈 사료 첨가제로서의 효율성과 항생물질 대체여부를 조사하는 단계;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를 함유하는 사료를 산란계에 급여하기 전 및 급여한 후 난생산율, 난각질, 왕특란생산율, 난중, 난각정도를 각각 조사하여 비교하므로써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가 산란계 사료 첨가제로서의 효율성을 조사하는 단계;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를 함유하는 사료를 비유우에 급여하고, 항생물질을 함유하는 사료를 급여한 대조구과 유생산량, 유지방 함량과 체세포수를 각각 조사하고 또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를 함유하는 사료를 비유우에 급여하기 전 및 급여 후 체세포수를 조사하여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가 비유우 사료 첨가제로서의 효율성을 조사하는 단계;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를 함유하는 사료를 비육돈에 급여하고 항생물질을 함유하는 사료를 급여하거나 기본식이를 급여한 대조구과 도체율과 등지방두께를 조사하여 비교하므로써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의 비육돈 사료첨가제로서의 효율성을 조사하는 단계; 생쥐에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를 함유하는 사료를 급여하고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phillus)를 계수하여 장내 유익균의 증식에 미치는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의 영향을 조사하는 단계;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를 함유하는 사료를 산란계에 급여하기 전과 급여한 후 티푸스에 의한 산란계 폐사율을 각각 조사하여 비교하므로써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가 티푸스에 의한 폐사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단계;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를 함유하는 사료와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을 함유하지 않는 사료를 각각 젖소에 급여하고 혈액내 HDL-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의 함량을 각각 측정하여 비교하므로써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가 가축 혈액내 콜레스테를 저하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는 단계 및; 페이퍼 디스크 방법으로 이.콜라이 0157(E.coli0157), 살모넬라 타이피무리움 (Salmonella typimurium)에 대한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의 항균성을 조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는 키틴·키토산, 키토산 올리고당, 만난 및 글루칸 등의 올리고당이 지닌 양이온성 아민기가 미생물 세포벽의 음이온성 카르복실기와 반응함으로써 병원성 미생물의 활동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이러한 항균력은 고분자의 키토산에 비해 저분자의 키토산 일수록 높아지며, 키토산 올리고당의 경우 6량체 이상에서 높은 항균 작용을 한다. 특히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용 조성물은 살모넬라균에 대한 강력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어 살모넬라균의 감염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고 있다.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는 면역체계에 있는 T-세포(T-cell), 대식세포(Macrophage) 및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 등을 활성화 시킴으로써 체내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에 카로테노이드계 항산화제는 β-카로틴(β-carotene) 또는 아스타크산틴(Astaxanthin)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SOD 및 α-토코페롤(비타민 E)과 함께 생체방어 역할을 하며, 자유-라디칼(Free-radical) 연쇄반응을 일으키는 지질 페록사이드생성을 강하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천연착색효과를 통해 계란 노른자 색깔(egg yolk color)을 개선시킬 뿐만 아니라, 난각질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에 천연 아스타크산틴(Astaxanthin)을 함유시킬 경우 기존의 합성 아스타크산틴(Astaxanthin)에 비해 10배 이상의 항산화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에 함유되어있는 키토산 올리고당, 만난 및 글루칸 등의 올리고당은 다양한 면역증강 효과와 더불어 장내 유용미생물의 증식을 촉진하는 작용을 하는데, 일반적으로 올리고당을 비피더스 인자(factor)라고 부르는 이유는, 유익균들만이 이용가능한 당류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발효대사산물 및 유용 미생물은 대장균 및 살모넬라 등의 병원성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함과 동시에 유용미생물의 증식을 증진시킴으로써 장내 안정화 효과가 있고, 이와 더불어 사료효율 및 기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가축의 일당증체량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젖산생성 박테리아, 효모,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및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spp.) 등 각종 유용 미생물이 kg당 각각 40억개∼4,000억개까지 함유되어 있어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용 조성물은 이들이 지니는 다양한 기능을 통해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효과가 있다.
[표 3]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에 함유되어 있는 키토산 및 키토산 올리고당은 지방분해 효소의 작용을 방해하고, 담즙산의 배출 촉진 및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저하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혈액 또는 간에 지방 및 콜레스테롤의 침착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즉, 혈액 및 간내의 LDL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고 상대적으로 HDL 콜레스테롤을 상승시킨다. 특히 키토산이 지니는 이온성의 상호작용과 소수결합의 성질로 담즙산, 특히 콜산과 가장 강력한 반응을 나타내는데, 이는 콜산의 발암성을 제거하는 작용을 뜻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가축사료 첨가제는 젖산생성 박테리아(Lactic acid bacteria),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및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p.) 균주가 같은 비율로 첨가된 혼합균주 4×109~4×1011CFU/kg을 곡물 및 유장 배지에 발효 보조제와 함께 배양시켜 제조되어 그 구성성분으로 조단백질(crude protein) 15 중량%, 조지방(crude fat) 5 중량%, 조섬유(crude fiber) 7 중량%, 조회분(crude ash) 17 중량%, 수분(moisture) 9.9 중량%, 칼슘(calcium) 3 중량%, 인(phosphorus) 2 중량%, 만난(mannan) 2 중량%, 글루칸(glucan) 2 중량%, 아밀라아제(amylase) 30,000 unit/kg, 카로테노이드계 항산화제 0.0001 중량%, 키틴 및 키토산 20 중량%, 키토산 올리고당 17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발명을 실시예와 실험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는 키토산 생성균, 키틴 및 키토산 올리고당 생성균, 유산균 등을 곡물 및 유장 배지에 발효 보조제와 함께 배양시켜 만든 천연생리활성 물질로서 조단백질(crude protein) 15 중량%, 조지방(crude fat) 5 중량%, 조섬유(crude fiber) 7 중량%, 조회분(crude ash) 17 중량%, 수분(moisture) 9.9 중량%, 칼슘(calcium) 3 중량%, 인(phosphorus) 2 중량%, 만난(mannan) 2 중량%, 글루칸(glucan) 2 중량%, 아밀라아제(amylase) 30,000 unit/kg, 카로테노이드계 항산화제 0.0001 중량%, 키틴 및 키토산 20 중량%, 키토산 올리고당 17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첨가제이다.
실험예 1: 이유자돈에 대한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의 사료효율증진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를 이유자돈 사료에 0.5%씩 첨가하여 28일령 ~ 56일령된 이유 자돈에 28일간 급여하고 일당증체량을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구는 아빌라마이신(Avilamycin) 20ppm + CTC 110ppm + 설파치아졸(Sulfathiazole) 100ppm을 이유자돈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한 군으로 하고 일당증체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당증체량 및 사료효율 등에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가 기존의 항생제에 대해 충분한 대체효과를 지니고 있음을 나타낸다.
[표 5]
실험예 2: 자돈에 대한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의 사료효율 증진효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가축사료 첨가제를 사료에 0.5% 첨가하여 21일간 자돈에 급여하고 일당증체량과 사료섭취량을 조사하였다. 대조구는 아빌라마이신(Avilamycin) 20ppm + CTC 110ppm + 설파치아졸(Sulfathiazole) 100ppm을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한 군으로 일당증체량과 사료섭취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 등은 오히려 항생제를 첨가힌 대조구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6]
실험예 3: 산란계에 대한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의 사료효율 증진효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가축사료 첨가제를 사료에 0.5% 첨가하여 산란계에 21일간 급여하고 급여전과 난생산율, 난각질, 왕특란생산율, 난중, 난각 강도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를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한 군이 모두 유의적인 향상을 보였다.
[표 7]
실험예 4: 비유우에 대한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의 사료효율 증진효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를 사료에 0.5% 첨가하여 비유우에 28일간 급여하고 유생산량과 유지방 함량을 조사하고 대조구와 비교하였으며, 이때, 대조구는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실험군이다. 또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가축사료 첨가제를 사료에 0.5% 첨가하여 비유우에 급여한 군의 체세포수를 급여하기 전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가 사료에 첨가되어 급여된 군은 유생산량, 유지방 함량이 증가하고 체세포수는 크게 감소하였다. 또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를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한 후에 급여 전과 비교한 결과 표 9에 나타냈으며 급여후 7일째 및 14일째의 체세포수가 각각 29% 및 43.6% 감소하였다.
[표 8]
[표 9]
실험예 5: 비육돈에 대한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의 사료효율 증진효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가축사료 첨가제를 사료에 0.5% 첨가하여 비육돈에 급여하고 도체율과 등지방 두께를 측정하고 도체등급을 결정하였다. 비교을 위한 대조구으로 기본식이에 크로르테트라사이클린(chlortetracycline)을 0.05% 첨가하여 급여한 군과 기본식이만을 급여한 군의 도체율과 등지방 두께를 측정하고 도체등급을 결정한 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항생제 첨가구 및 항생제 무첨가구 사료를 급여한 군과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를 함유한 사료를 급여한 군을 비교할 때, 도체율은 향상된 반면 등지방 두께는 감소되었으며, 도체 등급 또한 우수하게 나타났다.
[표 10]
실험예 6: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가 장내 유익균에 미치는 영향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를 사료에 0.5% 첨가하여 생쥐 40마리에 급여하고 장내 유용 미생물인 락토바실러스 애시드필러스 (Lactobacillus acidopillus)를 생쥐의 분변으로부터 채취하여 계수하였다. 대조구은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를 사료에 첨가하지 않고 급여한 군으로 하였다. 실험결과,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첨가구의 경우 장내 유익균인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 acidophillus)의 군집이 크게 증가한 반면, 대조구의 경우는 크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가 장내 유용 미생물의 증식을 향상시킴을 나타낸다.
[표 11]
실험예 7: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가 티푸스의 폐사율에 미치는 영향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가축사료 첨가제를 사료에 0.5% 첨가하여 산란계 150,000수에 급여하고 티푸스를 폐사율을 조사하고 급여하기 전의 티푸스 폐사율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여 개시 8일 후 가금 티푸스에 의한 폐사율이 급여전의 40%수준까지 감소하였다.
실험예 8: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의 젖소혈액내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를 사료에 0.5%첨가하여 40두의 젖소에 7일간 급여하고 혈액내 HDL과 LDL의 함량을 측정하고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이때, 대조구는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실험군이다. 실험결과,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액내 HDL-콜레스테롤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LDL-콜레스테롤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표 12]
실험예 9: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의 산란계 근육내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의 사료에 0.5% 첨가하여 브로일러와 산란계 각 100두에 18일간 급여하고 근육내 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하고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이때 대조구는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를 첨가하지 않은 실험군이다. 실험결과,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로일러의 경우 근육내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산란계의 경우 난황내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표 13]
실험예 10: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의 항균효과
항균효과는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filter paper 8mm, Watman)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멸균된 배지를 준비하여 약 35℃로 식힌 후 브로쓰(broth) 상태의 균 1mL씩 첨가하여 거품이 생기지 않도록 고루 혼합한 후 페트리 디쉬(petri dish)에 약 20mL 씩 분주하였다. 배지가 굳으면 멸균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8mm)를 시험액에 일정농도로 적셔 핀셋을 이용하여 올려 놓은 후 37℃ 배양기(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여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 주위의 저해환의 크기로 활성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구(Con)는 pH 5.0의 0.1M 아세테이트 버퍼(Acetate buffer) 를 사용하여 항균효과를 비교하였다. 시료농도설정은 키토산 농도를 조절하여 4가지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즉, C-Ⅰ은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가 포함된 실험군으로 키토산 0.1% 첨가한 실험군, C-Ⅱ는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가 포함된 실험군으로 키토산 0.2% 첨가한 실험군, C-Ⅲ는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가 포함된 실험군으로 키토산 0.3% 첨가한 실험군, C-Ⅳ은 본 발명 가축사료 첨가제가 실험된 실험군으로 키토산 0.4% 첨가한 실험군이다. 시험균은 한국식품개발연구원에서 이.콜라이 0157(E. coli0157), 살모넬라 타이피무리움(Salmonella typimurium),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을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배지는 이.콜라이 0157(E. coliO157)은 영양 브로쓰(Nutrient broth) + Agar 0.7%, 살모넬라 타이피무리움(Salmonella typimurium)은 영양 브로쓰(Nutrient broth) + Agar 0.7%,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게네스(Listeria monocytogenes)는 브레인 헐트 인퓨전(Brain heart infusion) + 한천(Agar) 0.7%를 각각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콜라이 0157(E. coliO157)와 살모넬라 타이피무리움(Salmonella typimurium)에는 저해환이 뚜렷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상기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젖산생성 박테리아(Lactic acid bacteria),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lis) 및 스트렙토 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p.) 균주가 같은 비율로 첨가된 혼합균주 4×109~1011CFU/kg을 곡물 및 유장 배지에 발효 보호제와 함께 배양시켜 제조되어 그 구성성분으로 조단백질(crude protein) 15 중량%, 조지방(crude fat) 5 중량%, 조섬유(crude fiber) 7 중량%, 조회분(crude ash) 17 중량%, 수분(moisture) 9.9 중량%, 칼슘(calcium) 3 중량%, 인(phosphorus) 2 중량%, 만난(mannan) 2 중량%, 글루칸(glucan) 2 중량%, 아밀라아제(amylase) 30,000 unit/kg, 카로테노이드계 항산화제 0.0001 중량%, 키틴 및 키토산 20 중량%, 키토산 올리고당 17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표첨가제는 항균작용 및 면역증강 작용이 있어 가축의 성장을 촉진하고 비육을 증진시키며 장내 유익균을 대량 증식시키고 콜레스테롤의 양을 저하시키는 뛰어난 효과가 있고 산란계에 있어서는 난각질과 난황색을 개선하고 비유우의 경우는 품질이 우수한 우유의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축산업 및 가축사료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삭제
  2. 젖산생성 박테리아(Lactic acid bacteria),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아에 (Saccharomyces cerevisiae),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lis)및 스트렙토 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p.) 균주가 같은 비율로 첨가된 혼합균주 4×109~1011CFU/kg을 곡물 및 유장 배지에 발효 보호제와 함께 배양시켜 제조되어 그 구성성분으로 조단백질(crude protein) 15 중량%, 조지방(crude fat) 5 중량%, 조섬유(crude fiber) 7 중량%, 조회분(crude ash) 17 중량%, 수분(moisture) 9.9 중량%, 칼슘(calcium) 3 중량%, 인(phosphorus) 2 중량%, 만난(mannan) 2 중량%, 글루칸(glucan) 2 중량%, 아밀라아제(amylase) 30,000 unit/kg, 카로테노이드계 항산화제 0.0001 중량%, 키틴 및 키토산 20 중량%, 키토산 올리고당 17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첨가제.
KR1020000005637A 2000-02-07 2000-02-07 가축사료 첨가제용 조성물 KR100351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637A KR100351754B1 (ko) 2000-02-07 2000-02-07 가축사료 첨가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637A KR100351754B1 (ko) 2000-02-07 2000-02-07 가축사료 첨가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679A KR20010077679A (ko) 2001-08-20
KR100351754B1 true KR100351754B1 (ko) 2002-11-29

Family

ID=19644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637A KR100351754B1 (ko) 2000-02-07 2000-02-07 가축사료 첨가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17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192A (ko) * 2002-03-25 2002-04-16 김영환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0808461B1 (ko) 2006-09-29 2008-03-03 유승은 가축용 사료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이를 급여하여 생산된 계란, 돈육, 우유, 유제품 및 우육
WO2019013382A1 (ko) * 2017-07-12 2019-01-17 씨제이제일제당(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상기 사료첨가제의 제조 방법
WO2019027073A1 (ko) * 2017-08-04 2019-02-07 씨제이제일제당(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상기 사료첨가제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559B1 (ko) * 2001-11-28 2005-06-03 주식회사 자광 면역체 증식 곡물
KR100412253B1 (ko) * 2001-12-01 2003-12-31 이지생명과학(주) 항병성과 생리 활성을 높여주는 동물약품용 키토산 수용액및 그 제조 방법
KR100379075B1 (en) * 2002-03-07 2003-04-08 Jinis Biopharmaceuticals Co Method for producing low cholesterol animal food product and food product therefrom
CN103005223B (zh) * 2013-01-06 2013-10-30 沈阳双胞胎饲料有限公司 一种可促进猪生长及降低猪肉胆固醇的复合饲料添加剂
KR101874871B1 (ko) * 2016-01-08 2018-08-02 주식회사 위즈바이오 농축산물의 생산효율 향상을 위한 생육 보조제 및 기능성 식품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8266A (ja) * 1993-08-04 1995-02-21 Natl Fedelation Of Agricult Coop Assoc 抗病性飼料
JPH07194316A (ja) * 1993-12-29 1995-08-01 Nippon Suisan Kaisha Ltd 水溶性キトサンを含有するカルシウム吸収促進性組成物およびカルシウム吸収促進用添加剤
KR0171246B1 (ko) * 1995-11-30 1999-01-15 박승림 축,수산용의 키틴 및 키토산올리고당 함유 사료 조성물
JPH119166A (ja) * 1997-06-25 1999-01-19 Tamotsu Akasaka 釣仕掛け糸巻
JPH1132695A (ja) * 1997-07-18 1999-02-09 Kyowa Hakko Kogyo Co Ltd 動物用栄養組成物および動物の飼育方法
KR100217559B1 (ko) * 1996-12-18 1999-09-01 오천금 유우의 유방염 치료작용 및 체세포수 감소작용을 갖는 경구투여용 조성물
KR20000024835A (ko) * 1998-10-02 2000-05-06 민경우 키토산 올리고당이 함유된 사료첨가용 영양제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8266A (ja) * 1993-08-04 1995-02-21 Natl Fedelation Of Agricult Coop Assoc 抗病性飼料
JPH07194316A (ja) * 1993-12-29 1995-08-01 Nippon Suisan Kaisha Ltd 水溶性キトサンを含有するカルシウム吸収促進性組成物およびカルシウム吸収促進用添加剤
KR0171246B1 (ko) * 1995-11-30 1999-01-15 박승림 축,수산용의 키틴 및 키토산올리고당 함유 사료 조성물
KR100217559B1 (ko) * 1996-12-18 1999-09-01 오천금 유우의 유방염 치료작용 및 체세포수 감소작용을 갖는 경구투여용 조성물
JPH119166A (ja) * 1997-06-25 1999-01-19 Tamotsu Akasaka 釣仕掛け糸巻
JPH1132695A (ja) * 1997-07-18 1999-02-09 Kyowa Hakko Kogyo Co Ltd 動物用栄養組成物および動物の飼育方法
KR20000024835A (ko) * 1998-10-02 2000-05-06 민경우 키토산 올리고당이 함유된 사료첨가용 영양제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192A (ko) * 2002-03-25 2002-04-16 김영환 폐기물을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0808461B1 (ko) 2006-09-29 2008-03-03 유승은 가축용 사료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이를 급여하여 생산된 계란, 돈육, 우유, 유제품 및 우육
WO2019013382A1 (ko) * 2017-07-12 2019-01-17 씨제이제일제당(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상기 사료첨가제의 제조 방법
US11638432B2 (en) 2017-07-12 2023-05-02 Cj Cheiljedang Corporation Feed additive comprising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licheniformis, a feed composition comprising the feed additiv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feed additive
WO2019027073A1 (ko) * 2017-08-04 2019-02-07 씨제이제일제당(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및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상기 사료첨가제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679A (ko) 200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4788A (en) Pure culture of Bacillus subtilis FERM BP-3418
CN101946850A (zh) 一种罗伊氏乳杆菌发酵液体饲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090053927A (ko) 동물용 사료 첨가제
CN104206789A (zh) 一种用于预防奶牛乳房炎和布鲁氏菌病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101936620B1 (ko) 발효공법을 이용한 아로니아 함유 기능성 복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KR100351754B1 (ko) 가축사료 첨가제용 조성물
CN112136965A (zh) 一种增免促生长型发酵中草药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10959750B (zh) 一种酵母细胞壁在渔用抗菌剂领域中的应用
KR101082838B1 (ko) 제과, 제빵 및 제면부산물을 이용한 효모균 미생물제
RU2711917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продуктивности кроликов
KR20000052237A (ko) 황토와 키토산을 함유하는 가축 및 양식어류용 사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EP0971032A1 (en) Growth promoting material for useful microorganism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0688441B1 (ko) 감귤박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0103114A (ko) 미생물제제 첨가제가 함유된 사료의 제조방법
CN114276946B (zh) 植物乳杆菌、菌剂以及饲料及其应用
JP2002507123A (ja) プロバイオティックの有効性を改良する方法、栄養添加物の調製、およびそれを含む動物飼料
CN112544782A (zh) 一种复合微生态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LU502072B1 (en) Preparation method of clostridium butyricum compound microbial agent
CN112155124A (zh) 一种含混合核苷酸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11821322A (zh) 一种可替代抗生素的禽用微生态口服制剂及其应用
NZ201243A (en) Anti-coccidiosis composition and animal feed composition containing antibiotic 76-11
RU2781420C1 (ru) Кормовая добавка для молодняка крупного рогатого скота и птиц
CN108041299A (zh) 一种无抗仔猪配合饲料
EP0063238B1 (en) An efficiency-improving agent for feed and a preventive and treating agent for coccidiosis
CN112970964A (zh) 一种利用电解水家禽养殖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