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091B1 - 배수 트렌치 - Google Patents

배수 트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091B1
KR101934091B1 KR1020170003491A KR20170003491A KR101934091B1 KR 101934091 B1 KR101934091 B1 KR 101934091B1 KR 1020170003491 A KR1020170003491 A KR 1020170003491A KR 20170003491 A KR20170003491 A KR 20170003491A KR 101934091 B1 KR101934091 B1 KR 101934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foreign matter
frame
coupled
tr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2157A (ko
Inventor
강승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우전
Priority to KR1020170003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091B1/ko
Publication of KR20180082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로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일시적으로 지연시키고, 배수로의 외관을 정리하기 위한 배수 트렌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수로의 상부에 커버되어 이물질이나 오수가 배수로로 유입되도록 위치되는 바디; 및 바디 양측단의 대향되는 위치에 결합되어 바디가 배수로의 양측벽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걸림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 걸림구;를 포함하고, 바디는, 걸림구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 프레임과 제1 프레임의 양측을 연결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의 내부에 이물질이나 오수가 배수로로 유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유입부를 포함하고, 관통공은,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배수 트렌치{Drainage trench}
본 발명은 배수 트렌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주방, 주차장 바닥 등에 구축되어 배수로를 형성하는 배수 트렌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 트렌치는 실내 주차장 바닥과 같이 오수를 처리할 필요가 있는 바닥에는 오수를 집수하여 하수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트렌치가 구축되고, 이물질이나 오수가 흐르는 하수로에 발이나 바퀴 등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수 트렌치는 다양한 형상과 기능이 더 부가되어 이미 많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20042호는, 보강 와이어를 투입한 방수처리 콘크리트로 일체로 성형되고, 내부에 일정 폭과 높이 및 길이의 배수로를 형성하도록 바닥부 및 그 양측의 측면부를 구비하되 각 측면부의 외측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각 측면부의 상면은 바깥쪽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경사져 있다.
하지만, 배수로에 퇴적된 오염물이 노출되어 외관을 해치고, 퇴적된 오염물의 청소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2004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배수로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일시적으로 지연시키고, 배수로의 외관을 정리하기 위한 배수 트렌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 트렌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로 청소가 용이하여 배수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 트렌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수 트렌치는, 배수로의 상부에 커버되어 이물질이나 오수가 배수로로 유입되도록 위치되는 바디; 및 바디 양측단의 대향되는 위치에 결합되어 바디가 배수로의 양측벽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걸림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 걸림구;를 포함하고, 바디는, 걸림구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 프레임과 제1 프레임의 양측을 연결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의 내부에 이물질이나 오수가 배수로로 유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유입부를 포함하고, 관통공은,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입부는, 제1 프레임에 연결되는 다수개로 형성된 제1 가이드부재와, 제1 가이드부재에 횡단되어 제2 프레임에 대향되는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 가이드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걸림구에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바디 및 걸림구의 손상을 방지하는 완충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어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구비되는 거름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거름구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이물질 수용부와, 이물질 수용부에 결합되어 이물질이 수용되는 양에 따라 개방되는 개방부 및 이물질 수용부에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방부에서 토출되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개방부는, 자력을 갖는 마그네틱(Magnetic)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트렌치에 의하면, 배수로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일시적으로 지연시키고, 배수로의 외관을 정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로 청소가 용이하여 배수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 트렌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배수 트렌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배수 트렌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배수 트렌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배수 트렌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따른 배수 트렌치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배수 트렌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100)는, 바디(110) 및 걸림구(120)를 포함하고,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10)는 배수로의 상부에 커버되어 이물질이나 오수가 상기 배수로로 유입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걸림구(120)는 상기 바디(110)의 양측단의 대향되는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110)가 상기 배수로의 양측벽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걸림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디(110)는 상기 걸림구(120)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 프레임(110a-1)과, 상기 제1 프레임(110a-1)의 양측을 연결하는 제2 프레임(110a-2)을 포함하는 프레임부(110a)와, 상기 프레임부(110a)의 내부에 상기 이물질이나 오수가 유입되도록 관통공(S)이 형성된 유입부(110b)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S)은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부(110a)는 상기 바디(110)의 외형을 갖는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후술할 상기 유입부(110b)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110b-1,110b-2)와 비교하여, 비중을 같거나 더 높게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부(110b)는 상기 제1 프레임(110a-1)을 연결하는 다수개로 형성된 상기 제1 가이드부재(110b-1)와, 상기 제1 가이드부재(110b-1)를 횡단하여 상기 제2 프레임(110a-2)과 대향되는 제2 가이드부재(110b-2)를 포함하여 상기 관통공(S)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프레임(110b-1,110b-2) 중 어느 하나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또는 제2 프레임(110b-1,110b-2)는 그릴의 형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기립한 위치에서 상기 바디(110)를 직교된 각도로 보았을 때(L), 상기 배수로가 보이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100)는 상기 제1 또는 제2 프레임(110a-1,110a-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보강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100)의 상기 고방재(130)는 상기 제1 프레임(110a-1)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재(110b-1)의 일부는 상기 보강재(130)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결되어 상기 관통공(S)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걸림구(120)에는 상기 제1 프레임(110a-1)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프레임(110a-1)의 상단에서 외측방향으로 걸림 결합부(121)가 형성되어 상기 바디(110)가 상기 배수로의 상단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배수로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100)는, 상기 배수로에서 올라오는 악취를 일시적으로 지연되고, 상기 배수로의 오염된 형태를 가리기 위해 상기 관통공(S)이 상기 바디(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기울어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S)의 기울어진 형상을 위해 상기 제1 가이드부재(110b-1)는 상기 제1 프레임(110a-1)의 상부에서 하부로 기울어지는 소정각을 갖고, 상기 제1 가이드부재(110b-1)의 기울어지는 소정각을 감안하여, 상기 제1 가이드부재(110b-1)간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기립한 위치에서 상기 바디(110)를 직교된 각도로 보았을 때(L)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가이드부재(110b-1)의 상부와 이격된 다른 상기 제1 가이드부재(110b-1)의 적어도 중간부가 노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가이드부재(110b-1)가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배수로에서 올라오는 악취를 일시적으로 지연되도록 와류가 발생되고 도로나, 주방 및 주차장 바닥에 설치되어 외관을 정돈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배수 트렌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 트렌치(200)는, 바디(210)와, 걸림구(220) 및 보강재(230)를 포함한다.
상기 도 3 및 도 4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배수 트렌치(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100)와 비교하여, 상기 유입부(110b)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S)의 위치 및 상기 보강재(130)의 형상만이 상이하다.
상기 보강재(230)는 상기 걸림구(220)에 대향되는 상기 바디(210)에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S)은 상기 보강재(230) 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도로, 주방 및 주차장 바닥과 같은 장소에서 사용자의 동선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1 또는 제2 실시예의 배수 트렌치(100,200)를 선택하여 설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 3 및 도 4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배수 트렌치(200)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배수 트렌치(100)와 비교하여, 기술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해 이미 전술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배수 트렌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 트렌치(300)는, 바디(310)와, 걸림구(320)와, 보강재(330) 및 완충구(340)를 포함한다.
상기 도 5 및 도 6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배수 트렌치(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100)와 비교하여, 상기 완충구(3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구(340)가 상기 걸림구(320)에 결합되는 형상만이 상이하다.
상기 걸림구(320)는 상기 완충구(340)와의 결합을 위해 외측에서 내측으로 말려들어가는 형상의 걸림 결합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구(340)는, 상기 걸림구(320)의 형상과 동일하게 외측에서 내측으로 말려들어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대칭 결합된다.
상기 걸림구(320)와 상기 완충구(340)의 고정 결합을 위해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여 결합되거나, 상기 완충구(340)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걸림구(3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이 외의 다른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걸림구(320) 및 상기 완충구(34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완충구(340)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고무, 합성수지, 그 외의 쿠션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5 및 도 6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배수 트렌치(300)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배수 트렌치(100)와 비교하여, 기술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해 이미 전술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배수 트렌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에 따른 배수 트렌치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 트렌치(400)는, 바디(410)와, 걸림구(420)와, 보강재(430)와, 완충구(440) 및 거름구(450)를 포함한다.
상기 도 7 및 도 8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배수 트렌치(4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300)와 비교하여, 상기 거름구(450)가 상기 바디(410)에 결합되는 형상만이 상이하다.
도 8을 참고하여, 상기 바디(410)의 하측에는 연장부재(411)가 형성되되, 상기 연장부재(411)는 제1 및 제2 프레임(411a-1,411a-2)와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410b-1,410b-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411)의 하부에는 상기 거름구(450)가 결합되고 상기 거름구(450)는 상기 이물질을 수용하는 이물질 수용부(451)와, 상기 이물질 수용부(451)에 결합되어 상기 이물질이 수용되는 양에 따라 개방되는 개방부(452) 및 상기 이물질 수용부(451)에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452)에서 토출되는 상기 이물질이 수용되는 커버부(4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부(452)는 자력을 갖는 마그네틱(Magnetic)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물질 수용부(451)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4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400)는 도로나 주방 및 주차장 바닥에 위치된 상기 이물질이 외력에 의해 상기 배수로로 이동될 경우 상기 배수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거름구(450)가 구비된다.
상기 배수로는 주기적으로 청소되나, 상기 배수로로 이동되는 상기 이물질의 양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배수로가 막히지 않도록 해야한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S)의 하부에 상기 거름망(450)이 배치됨에 따라, 상기 이물질이 상기 이물질 수용부(451)로 이동된다.
상기 이물질 수용부(451)에 상기 이물질이 가득 차거나 더 이상 상기 이물질 수용부(451)의 기능을 하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개방부(452)가 열리게 되고, 상기 개방부(452)를 통해 상기 이물질이 상기 커버부(453)로 토출되어 상기 이물질이 상기 배수로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이물질 수용부(451)와 상기 커버부(453)는 상기 오수가 상기 배수로로 이동되도록 다수개의 홀로 형성된 그물망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453)에 형성된 홀은 상기 이물질 수용부(451)에 형성된 홀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이물질이 상기 배수로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도 7 내지 도 9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배수 트렌치(400)는 도 5 및 도 6에 따른 제3 실시예의 배수 트렌치(300)와 비교하여, 기술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해 이미 전술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상기 제5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500)는, 바디(510)와, 걸림구(520)와, 보강재와, 완충구(540) 및 거름구(550)를 포함한다.
상기 도 10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배수 트렌치(50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상기 제4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400)와 비교하여, 상기 완충구(540)의 형상만이 상이하다.
상기 제5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500)의 상기 완충구(540)는 상기 제4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400)에 비해, 제작이 용이하고, 상기 걸림구(520)의 하부까지 커버하여 상기 배수로 양측벽의 상부와 상기 걸림구(520)간 충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완충구(540)는 상기 걸림구(520)와 결합되기 위해, 상기 걸림구(520)에 밀착되는 위치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배수로 양측벽의 상부에 상기 완충구(540)가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 10에 따른 제5 실시예의 배수 트렌치(500)는 도 7 내지 도 9에 따른 제4 실시예의 배수 트렌치(400)와 비교하여, 기술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해 이미 전술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S:관통공 100,200,300,400,500:배수 트렌치
110,210,310,410,510:바디 110a,210a,310a,410a:프레임부
110a-1,210a-1,310a-1,410a-1:제1 프레임
110a-2,210a-2,310a-2,410a-2:제2 프레임
110b,210b,310b,410b:유입부
110b-1,210b-1,310b-1,410b-1:제1 가이드부재
110b-2,210b-2,310b-2,410b-2:제2 가이드부재
120,220,320,420,520:걸림구 121,221,321,421,521:걸림 결합부
130,230,330,430:보강재 340,440,540:완충구
411,511:연장부재 450,550:거름망
450a:연장부재 걸림부 451,551:이물질 수용부
452,552:개방부 453,553:커버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배수로의 상부에 커버되어 이물질이나 오수가 상기 배수로로 유입되도록 위치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 양측단의 대향되는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가 상기 배수로의 양측벽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걸림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 걸림구; 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걸림구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을 연결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상기 이물질이나 상기 오수가 상기 배수로로 유입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은,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구비되는 거름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거름구는,
    상기 이물질이 수용되는 이물질 수용부; 와,
    상기 이물질 수용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물질이 수용되는 양에 따라 개방되는 개방부; 및
    상기 이물질 수용부에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에서 토출되는 상기 이물질이 수용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렌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자력을 갖는 마그네틱(Magnetic)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렌치.
KR1020170003491A 2017-01-10 2017-01-10 배수 트렌치 KR101934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491A KR101934091B1 (ko) 2017-01-10 2017-01-10 배수 트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491A KR101934091B1 (ko) 2017-01-10 2017-01-10 배수 트렌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157A KR20180082157A (ko) 2018-07-18
KR101934091B1 true KR101934091B1 (ko) 2018-12-31

Family

ID=6304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491A KR101934091B1 (ko) 2017-01-10 2017-01-10 배수 트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0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357B1 (ko) * 2019-08-21 2020-04-06 서일공영 주식회사 배수로 덮개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1929A (ja) * 1999-06-30 2001-01-16 Okajima Kogyo Kk グレーチング用敷板
JP2004360220A (ja) 2003-06-02 2004-12-24 Daiko Kensetsu Kk 集水桝用ゴミ収集受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7722A (ko) * 2007-10-12 2009-04-16 주식회사 우전그린 그레이팅
KR20100032075A (ko) * 2008-09-17 2010-03-25 이명숙 오물수거기구가 부착된 지하통로용 커버
KR20110111996A (ko) * 2010-04-06 2011-10-12 김헌규 하수구 및 우수구 악취차단 자동개폐장치
KR101683365B1 (ko) * 2015-03-30 2016-12-08 주식회사 지승개발 여과기능을 첨부한 우수집수정 그레이팅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1929A (ja) * 1999-06-30 2001-01-16 Okajima Kogyo Kk グレーチング用敷板
JP2004360220A (ja) 2003-06-02 2004-12-24 Daiko Kensetsu Kk 集水桝用ゴミ収集受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157A (ko) 201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7709B1 (en) Catch basin erosion containment filter assembly
JP2005537409A (ja) 越流チャンバ
KR101934091B1 (ko) 배수 트렌치
KR200490309Y1 (ko) 2중 배수구가 구비된 배수 조립체
KR100954013B1 (ko) 배수트랩
KR100887004B1 (ko) 배수트랩
JPH08232317A (ja) 浴室用排水トラップ
KR200308485Y1 (ko) 배수트랩
KR100613653B1 (ko) 건축단지용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배수구 뚜껑구조
KR100952989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102107796B1 (ko) 배수관 커버
JP7058829B2 (ja) 排水装置
JP6984810B2 (ja) 排水口メッシュ部材
KR20070008842A (ko) 배수트랩
KR101307611B1 (ko) 음식물 쓰레기봉투 및 음식물 쓰레기통
KR101539980B1 (ko) 맨홀 악취차단장치
JP2003278206A (ja) 排水構造
KR200491172Y1 (ko) 욕실용 배수 조립체
KR200292701Y1 (ko) 싱크대용 배수구조
NL1005806C2 (nl) Afvoerkolk.
KR20200103449A (ko) 막힘 방지 기능이 부여된 배수구용 거름망 구조
JP6303098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
KR100642591B1 (ko) 별도의 분리형 배수트랩을 구비한 싱크대용 배수전
JP3271748B2 (ja) 90°エルボ型トラップます
KR100951028B1 (ko) 배수구용 악취 차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