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796B1 - 배수관 커버 - Google Patents

배수관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796B1
KR102107796B1 KR1020180128452A KR20180128452A KR102107796B1 KR 102107796 B1 KR102107796 B1 KR 102107796B1 KR 1020180128452 A KR1020180128452 A KR 1020180128452A KR 20180128452 A KR20180128452 A KR 20180128452A KR 102107796 B1 KR102107796 B1 KR 102107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tube
upper flange
trap portion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철
Original Assignee
신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철 filed Critical 신상철
Priority to KR1020180128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7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Odour seals having housing containing dividing wall, e.g. tub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60Reducing noise in plumb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관 커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수관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외측 트랩부, 상기 외측 트랩부에 삽입되고, 상측으로부터 투입되는 물을 일차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중판을 포함하는 내측 트랩부, 및 상기 내측 트랩부에 삽입되고,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투입되는 물을 상기 중판을 향해 안내하는 도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트랩부는, 상기 내측 트랩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이차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형성되고, 중앙에 물이 배출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하판; 및 상기 하판의 중앙에 형성된 홀의 둘레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측 관을 포함하는 배수관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수관 커버{DRAIN COVER}
본 발명은 배수관 커버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다세대 주택, 아파트 등 공동주택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 발생되는 하수처리를 위한 배수 구조는 각 가정 등에서 배출되는 각종 하수를 집수 처리할 수 있도록 집수조를 설치하고, 각 가정의 욕실 또는 베란다 등과 집수조를 파이프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배수관은 우리 생활 주변의 화장실, 욕조 등과 같이 많은 양의 물과 오물을 함께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각종 오물의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수관의 도입부에 배수트랩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수트랩은 건축물의 욕실이나 씽크대 등 내부는 물론 빗물 배수관 등 건축물의 외부에도 설치될 수 있는데, 그 형태는 오물 등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판 형상의 배수커버와, 배수커버에 통과된 물을 배수관으로 배출시키는 연결관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배수관 커버에 따르면, 단일의 배수트랩을 거쳐서 물이 낙하하여 배수관을 따라 배출되는 과정에서 배수관과의 충돌되거나, 한꺼번에 많은 물이 배출되면서 배수트랩으로부터 과도하게 물이 쏟아져 내리는 등의 이유로 인해 소음이 과도하게 발생됨에 따라 많은 불편함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물이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모든 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배수관 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수관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배수관의 상부를 커버하는 배수관 커버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외측 트랩부; 상기 외측 트랩부에 삽입되고, 상측으로부터 투입되는 물을 일차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중판을 포함하는 내측 트랩부; 및 상기 내측 트랩부에 삽입되고,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투입되는 물을 상기 중판을 향해 안내하는 도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트랩부는, 상기 내측 트랩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이차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형성되고, 중앙에 물이 배출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하판; 및 상기 하판의 중앙에 형성된 홀의 둘레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측 관을 포함하는, 배수관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트랩부는, 상기 외측 트랩부의 상부에 스텝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 상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트랩부는, 상기 내측 트랩부의 상부에 스탭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간측 상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측 상부 플랜지가 상기 외측 상부 플랜지 상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내측 트랩부가 상기 외측 트랩부에 의해 지지되는, 배수관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입부는, 상기 도입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내측 상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상부 플랜지가 상기 중간측 상부 플랜지 상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도입부가 상기 내측 트랩부에 의해 지지되는, 배수관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트랩부는, 상기 외측 트랩부의 상부에 스텝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 상부 플랜지; 및 상기 외측 상부 플랜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둘레면을 형성하는 외측 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 트랩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상기 외측 관, 상기 하판 및 상기 내측 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수용되는, 배수관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트랩부는, 상기 내측 트랩부의 상부에 스탭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간측 상부 플랜지; 상기 중간측 상부 플랜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둘레면을 형성하는 중간측 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측 관의 하단이 상기 내측 관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배수관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관과 상기 중간측 관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중간측 관과 상기 내측 관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짧은, 배수관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트랩부는, 둘레면을 형성하는 중간측 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판에 의해 상기 중간측 관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이 구획되고, 상기 도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물이 상기 중간측 관 및 상기 중판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수용되는, 배수관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트랩부는, 상기 중판의 상측에 제공되고, 상기 중간측 관에 하나 이상의 갭을 형성시키는 배수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판 상의 공간에 수용된 물이 넘쳐서 상기 배수 리브에 의해 형성된 갭을 통해 배출되는, 배수관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입부의 하단이 상기 배수 리브의 하단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배수관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입부는, 상기 도입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내측 상부 플랜지; 상기 내측 상부 플랜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둘레면을 형성하는 가이드 관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상부 플랜지를 통해 상기 도입부의 내부로 투입되는 물이 상기 가이드 관을 따라 낙하하는, 배수관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입부는, 상기 도입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내측 상부 플랜지; 상기 내측 상부 플랜지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결 관; 및 상기 연결 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관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상부 플랜지를 통해 상기 도입부의 내부로 투입되는 물이 상기 연결 관 및 상기 가이드 관을 따라 낙하하는, 배수관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입부는, 상기 도입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내측 상부 플랜지; 상기 내측 상부 플랜지로부터 굴곡진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 관; 및 상기 연결 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관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상부 플랜지를 통해 상기 도입부의 내부로 투입되는 물이 상기 연결 관 및 상기 가이드 관을 따라 낙하하는, 배수관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트랩부는, 상기 외측 트랩부의 상부에 스텝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 상부 플랜지; 상기 외측 상부 플랜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둘레면을 형성하는 외측 관; 및 상기 하판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 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 트랩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상기 외측 관, 상기 하판 및 상기 내측 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고정 관이 상기 배수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외측 트랩부가 상기 배수관에 고정되는, 배수관 커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물이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모든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수관 커버의 조립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도입부의 하단에 제공되는 메쉬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커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배수관 커버(10)는 건축물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되어 빗물, 하수 등을 배출시키는 배수관(1)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배수관(1)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배수관 커버(10)는 배수관(1)을 커버하면서 배수관(1)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임시로 다단으로 담수한 후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배수관(1)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과 악취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수관 커버(10)는 외측 트랩부(100), 내측 트랩부(200) 및 도입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배수관(1) 및 배수관 커버(10)가 전체적으로 원형이 단면을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배수관(1) 및 배수관 커버(10)는 사각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덕트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커버(10)는 배수관(1)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배수관 커버(10)는 시멘트 등으로 형성된 바닥면에 뚫린 구멍에 삽입되어 배수 기능을 수행하도록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외측 트랩부(100)는 배수관(1)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배수관 커버(10)의 최외측 둘레면을 구성한다. 이러한 외측 트랩부(100)는 외측 상부 플랜지(110), 외측 관(120), 하판(130) 및 내측 관(140)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상부 플랜지(110)는 외측 트랩부(100)의 상부에 형성되고, 스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텝 형상의 상측에 내측 트랩부(200)의 후술하는 중간측 상부 플랜지(210)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외측 관(120)은 외측 상부 플랜지(1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외측 트랩부(100)의 둘레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외측 관(120)은 파이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외측 상부 플랜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판(130)은 내측 트랩부(2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임시로 수용하기 위해 외측 관(120)의 하단에 형성되며, 외측 트랩부(100)의 저면을 구성한다. 또한, 하판(130)의 중앙에는 물이 배출되기 위한 홀이 형성된다.
내측 관(140)은 하판(130)의 중앙에 형성된 홀의 둘레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관(140)의 내부로 물이 배출됨으로써 배수관 커버(10)로부터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내측 트랩부(2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외측 관(120), 하판(130) 및 내측 관(14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 트랩부(2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외측 관(120), 하판(130) 및 내측 관(14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채워지고, 하판(130) 상에 쌓이는 물의 높이가 내측 관(140)보다 높아지면서 내측 관(140)으로부터 넘쳐서 배수관 커버(10)의 하측으로 배출된다.
내측 트랩부(200)는 외측 트랩부(100)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내측 트랩부(200)는 중간측 상부 플랜지(210), 중간측 관(220), 배수 리브(222) 및 중판(230)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측 상부 플랜지(210)는 내측 트랩부(200)의 상부에 형성되고, 스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텝 형상의 상측에 도입부(300)의 후술하는 내측 상부 플랜지(310)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측 상부 플랜지(210)가 외측 상부 플랜지(110) 상에 안착되어 지지됨으로써 내측 트랩부(200)가 외측 트랩부(100)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중간측 관(220)은 중간측 상부 플랜지(2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내측 트랩부(200)의 둘레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중간측 관(220)은 파이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중간측 상부 플랜지(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간측 관(220)의 하단이 내측 관(140)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외측 관(120)과 중간측 관(220) 사이의 이격 거리(a)는 중간측 관(220)과 내측 관(140) 사이의 이격 거리(b)보다 짧게 형성된다. 또한, 중간측 관(220)의 상부에는 배수 리브(222)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 리브(222)는 중간측 관(220)에 하나 이상의 갭을 형성시키도록 제공되며, 중간측 관(220)에 있어서 배수 리브(222)의 상측에 있는 부분과 하측에 있는 부분을 서로 연결시키듯이 형성된다. 이러한 배수 리브(222)는 복수 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배수 리브(222)가 중간측 관(220)의 원주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배수 리브(222)들 사이사이에 형성된 갭을 통해 내측 트랩부(200)에 수용된 물이 넘쳐서 배출될 수 있다.
중판(230)은 상측으로부터 투입되는 물을 임시로 수용하기 위해 형성되며, 배수 리브(222)는 중판(230)의 상측에 제공된다. 이에 따라, 중판(230) 상의 공간에 수용된 물이 넘쳐서 배수 리브(222)에 의해 형성된 갭을 통해 배출된다. 중판(230)에 의해 중간측 관(22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이 구획되고, 도입부(300)를 통해 투입되는 물이 중간측 관(220) 및 중판(23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배수관 커버(10)로 투입되는 물이 내측 트랩부(200)에 의해 일차적으로 담수되고, 내측 트랩부(200)로부터 넘쳐흐르는 물이 외측 트랩부(100)에 의해 이차적으로 담수되며, 하판(130) 상에 축적되는 물이 외측 트랩부(100)의 내측 관(140)을 넘치게 되면 내측 관(140)을 통과하여 배수관(1)을 따라 배수된다.
도입부(300)는 내측 트랩부(200)에 삽입되고, 배수관(1)으로부터 투입되는 물을 내측 트랩부(200)의 중판(230)을 향해 안내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도입부(300)의 하단이 배수 리브(222)의 하단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도입부(300)는 내측 상부 플랜지(310), 연결 관(320) 및 가이드 관(330)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상부 플랜지(310)는 도입부(300)의 상부에 형성되고, 중간측 상부 플랜지(210) 상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도입부(300)가 내측 트랩부(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연결 관(320)은 내측 상부 플랜지(310)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관(32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하 반전된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관(330)은 연결 관(320)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측 상부 플랜지(310)를 통해 도입부(300)의 내부로 투입되는 물이 연결 관(320) 및 가이드 관(330)을 따라 낙하하게 된다. 이때, 내측 상부 플랜지(310), 연결 관(320) 및 가이드 관(33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 커버(10)에 따르면, 배수관 커버(10)로 투입되는 물이 내측 트랩부(200)에 의해 일차적으로 담수되고, 내측 트랩부(200)로부터 넘쳐흐르는 물이 외측 트랩부(100)에 의해 이차적으로 담수된 후 배수관 커버(10)로부터 배출되어 배수관(1)을 따라 흐르게 되므로, 물이 배수관(1)으로 투입되어 배수관(1)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배수관 커버(10)는 여러 가지 변형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외측 트랩부(100)에 있어서, 내측 관(140)이 하판(130)의 상측으로만 형성되고, 대신 하판(130)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 관(132)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배수관 커버(10)의 전체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배수관(1) 또는 바닥면에 형성된 홀에 고정 관(132)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방식으로 배수관 커버(10)가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입부(300)의 하단부에는 메쉬망(332)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메쉬망(332)은 도입부(300)를 통해 물이 투입되면 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등을 걸러내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1)이 지면에 매립되어 배수관(1)의 상부에 배수관 커버(10)가 끼워져서 설치되는 경우에는 호스를 도입부(300)로 삽입하여 물을 배수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때, 도입부(300)로 삽입된 호스가 중판(230)에까지 닿게 되면 물의 배수가 원활하지 않게 될 것이므로, 메쉬망(332)에 의해 호스가 중판(230)까지 도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변형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입부(300)에 있어서 연결 관(320)이 생략되고, 대신 내측 상부 플랜지(310)의 내측 단부로부터 직하방으로 가이드 관(330)이 연장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관(320)이 내측 상부 플랜지(310)로부터 굴곡진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연결 관(32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면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 양 측의 선이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배수관 10: 배수관 커버
100: 외측 트랩부 110: 외측 상부 플랜지
120: 외측 관 130: 하판
140: 내측 관 200: 내측 트랩부
210: 중간측 상부 플랜지 220: 중간측 관
230: 중판 300: 도입부
310: 내측 상부 플랜지 320: 연결 관
330: 가이드 관

Claims (13)

  1. 배수관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배수관의 상부를 커버하는 배수관 커버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외측 트랩부;
    상기 외측 트랩부에 삽입되고, 중판을 포함하는 내측 트랩부; 및
    상기 내측 트랩부에 삽입되고,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투입되는 물을 상기 중판을 향해 안내하는 도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트랩부는,
    중앙에 물이 배출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는 하판; 및
    상기 하판의 중앙에 형성된 홀의 둘레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내측 관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트랩부는,
    상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둘레면을 형성하는 외측 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 트랩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상기 외측 관, 상기 하판 및 상기 내측 관에 의해 둘러싸인 하측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내측 트랩부는,
    둘레면을 형성하는 중간측 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판에 의해 상기 중간측 관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이 구획되고,
    상기 도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물이 상기 중간측 관 및 상기 중판에 의해 둘러싸인 상측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하측 수용 공간과 상기 상측 수용 공간은 상기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배수관 커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트랩부는,
    상기 외측 트랩부의 상부에 스텝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 상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트랩부는,
    상기 내측 트랩부의 상부에 스탭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간측 상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측 상부 플랜지가 상기 외측 상부 플랜지 상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내측 트랩부가 상기 외측 트랩부에 의해 지지되는,
    배수관 커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부는,
    상기 도입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내측 상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상부 플랜지가 상기 중간측 상부 플랜지 상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도입부가 상기 내측 트랩부에 의해 지지되는,
    배수관 커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트랩부는,
    상기 외측 트랩부의 상부에 스텝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 상부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배수관 커버.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트랩부는,
    상기 내측 트랩부의 상부에 스탭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간측 상부 플랜지;
    상기 중간측 상부 플랜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둘레면을 형성하는 중간측 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측 관은 상기 상측 수용 공간보다 더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중간측 관의 하단이 상기 내측 관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배수관 커버.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관과 상기 중간측 관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중간측 관과 상기 내측 관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짧은,
    배수관 커버.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트랩부는,
    상기 중판의 상측에 제공되고, 상기 중간측 관에 하나 이상의 갭을 형성시키는 배수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판 상의 공간에 수용된 물이 넘쳐서 상기 배수 리브에 의해 형성된 갭을 통해 배출되는,
    배수관 커버.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부의 하단이 상기 배수 리브의 하단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는,
    배수관 커버.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부는,
    상기 도입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내측 상부 플랜지;
    상기 내측 상부 플랜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둘레면을 형성하는 가이드 관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상부 플랜지를 통해 상기 도입부의 내부로 투입되는 물이 상기 가이드 관을 따라 낙하하는,
    배수관 커버.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부는,
    상기 도입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내측 상부 플랜지;
    상기 내측 상부 플랜지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연결 관; 및
    상기 연결 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관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상부 플랜지를 통해 상기 도입부의 내부로 투입되는 물이 상기 연결 관 및 상기 가이드 관을 따라 낙하하는,
    배수관 커버.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부는,
    상기 도입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내측 상부 플랜지;
    상기 내측 상부 플랜지로부터 굴곡진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 관; 및
    상기 연결 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관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상부 플랜지를 통해 상기 도입부의 내부로 투입되는 물이 상기 연결 관 및 상기 가이드 관을 따라 낙하하는,
    배수관 커버.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트랩부는,
    상기 외측 트랩부의 상부에 스텝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 상부 플랜지;
    상기 외측 상부 플랜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둘레면을 형성하는 외측 관; 및
    상기 하판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 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 트랩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상기 외측 관, 상기 하판 및 상기 내측 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고정 관이 상기 배수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외측 트랩부가 상기 배수관에 고정되는,
    배수관 커버.
KR1020180128452A 2018-10-25 2018-10-25 배수관 커버 KR102107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452A KR102107796B1 (ko) 2018-10-25 2018-10-25 배수관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452A KR102107796B1 (ko) 2018-10-25 2018-10-25 배수관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796B1 true KR102107796B1 (ko) 2020-05-07

Family

ID=7073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452A KR102107796B1 (ko) 2018-10-25 2018-10-25 배수관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7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27857A1 (de) 2020-10-22 2022-04-28 KWS Schwimmbadanlagen GmbH Schalldämpfer für Schwimmbecken mit Überlaufrinn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153Y1 (ko) * 2001-07-18 2001-12-24 오상기 트랩부의 분리가 가능토록된 배수트랩
JP2012193531A (ja) * 2011-03-16 2012-10-11 Lixil Corp 排水トラップ及び非水洗式小便器
KR101207399B1 (ko) * 2011-05-19 2012-12-04 박해룡 다중벽이 형성된 배수트랩
JP5191465B2 (ja) * 2009-09-29 2013-05-08 株式会社Lixil 小便器用排水トラッ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153Y1 (ko) * 2001-07-18 2001-12-24 오상기 트랩부의 분리가 가능토록된 배수트랩
JP5191465B2 (ja) * 2009-09-29 2013-05-08 株式会社Lixil 小便器用排水トラップ
JP2012193531A (ja) * 2011-03-16 2012-10-11 Lixil Corp 排水トラップ及び非水洗式小便器
KR101207399B1 (ko) * 2011-05-19 2012-12-04 박해룡 다중벽이 형성된 배수트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27857A1 (de) 2020-10-22 2022-04-28 KWS Schwimmbadanlagen GmbH Schalldämpfer für Schwimmbecken mit Überlaufrinn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102107796B1 (ko) 배수관 커버
JP5245364B2 (ja) 浴室排水装置
KR20140040440A (ko) 배수 안정성 향상과 배수소음 최소화를 갖춘 통합 배수트랩 장치
KR100715444B1 (ko) 통합형 우수 및 오수받이의 취기방지트랩
KR102035964B1 (ko) 통합 오수 수집 장치
KR100698850B1 (ko) 악취차단 기능을 갖는 맨홀
KR20080081572A (ko)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
KR20210131203A (ko) 배수관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관 조립체
KR100715445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통합형 우수 겸용 오수받이
KR200327344Y1 (ko) 착탈식 배수트랩
KR100952989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20120076006A (ko) 통합 이중관 및 그를 적용한 통합 배수관 시공방법
KR200490200Y1 (ko) 거름부재를 갖춘 배수트랩
KR101100907B1 (ko) 바닥체용 배수 장치
KR20200103449A (ko) 막힘 방지 기능이 부여된 배수구용 거름망 구조
JP4429374B2 (ja) 排水管構造
KR100473604B1 (ko) 오수 및 하수용 합성수지맨홀
JP4555122B2 (ja) 排水容器
KR101511683B1 (ko)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KR200249102Y1 (ko) 냄새차단용 오수받이
EP1464768A2 (en) Floor drain
KR200266223Y1 (ko) 싱크 배수구 악취 차단구
KR200446872Y1 (ko) 하수구의 배출구조
JP7107686B2 (ja) 排水ヘッダーおよび配管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