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701Y1 - 싱크대용 배수구조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배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701Y1
KR200292701Y1 KR2020020021438U KR20020021438U KR200292701Y1 KR 200292701 Y1 KR200292701 Y1 KR 200292701Y1 KR 2020020021438 U KR2020020021438 U KR 2020020021438U KR 20020021438 U KR20020021438 U KR 20020021438U KR 200292701 Y1 KR200292701 Y1 KR 2002927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vertical member
odor
drainage structur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4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군선
Original Assignee
홍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군선 filed Critical 홍군선
Priority to KR20200200214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7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7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701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용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개수대와 수직부재로 이루어져 오수를 하수관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20)의 상부 내주연에 상부가 안착되어 이물질이 걸려지게 되는 이물질 걸름부재(40); 및 상기 수직부재(20)의 연결관(23) 상부에 안착되는 보강리브(52)가 일체로 형성되는 차단홈(53)이 형성된 하부체(54)와, 상기 하부체(54)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무게중심추가(56)가 내설된 상부체(58)로 이루어진 악취방지부재(5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이물질을 걸려주는 걸름망 기능을 하는 이물질 걸름망과 하수관의 악취를 차단하는 기능하게 되는 악취방지부재를 각각 구비하여 싱크대 배수구조에 적용하게 됨으로써 하나의 걸름망으로써 걸름망 기능과 악취차단 기능을 하게 되는 종래에 비하여 호환성이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싱크대용 배수구조{A SINGK FOR DRAINING STRUCTURE}
본 고안은 싱크대용 배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물질을 걸려주는 걸름망 기능을 하는 이물질 걸름망과 하수관의 악취를 차단하는 기능하게 되는 악취방지부재를 각각 구비하여 싱크대 배수구조에 적용하게 됨으로써 호환성이 우수한 싱크대용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에는 설거지시 발생되는 찌거기를 걸러주고, 오수를 하수구로 배출시키며, 하수구에서 역류되는 냄새를 차단하기 위한 배수구조가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 싱크대용 배수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싱크대용 배수구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싱크대 배수구조는 개수대(100), 수직부재(200), 걸름망(4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수대(100)는 수도물이 저장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서, 이의 중앙 영역에는 관통공(110)이 형성되고, 일측 외벽에는 끼움공(120)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부재(200)는 개수대(100)의 관통공(110)에 상부가 노출되게 삽입되고, 외주연에는 연결부(210)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물통로(221)가 형성된 원통형의 연결관(220)이 내외부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연결관(220)의 상부와 수직부재(200)의 하부 사이에는 일정량의 물이 담겨지는 저수조(300)가 형성되고, 이 저수조(300)에는 후술되는 걸림망(400)의 하부가 위치되어 되어 하수구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게된다.
상기 걸름망(400)은 수직부재(200)의 상부 내주연에 밀착되는 밀착부(410)가 상부 외주연에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등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며, 이물질이 걸리게 되고 물이 통과하는 수직걸림공(42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저수조(300)와 공간이 형성되도록 차단홈(4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관(200)의 하부에는 조임너트(500)와 끼움구(510)로써 주름관(600)의 일단이 연결되고, 주름관(600)의 타단은 하수관(미도시)에 연결된 배수관(700)에 냄새가 새지 않토록 연결된다.
또한, 수직부재(200) 상부에는 마개(800)가 안착되어 개수대(100) 내부에 물을 저장할 때 사용하거나, 잔류된 냄새를 완전히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수직부재(200)의 연결부(210)와 개수대(100)의 끼움공(120) 사이에는 오버플로어(900)가 구비되어 개수대(100) 내부의 물이 우회하여 배수관(700)으로 배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싱크대의 개수대(100)에 설거지시나 그 밖의 물 사용시, 개수대(100) 중앙 영역의 관통공(110)에 상부가 노출되게 삽입된 수직부재(200)의 내경과 수직부재(200) 상부 내주연에 상부 외주연의 밀착부(410)로써 밀착되는 걸름망(400) 외주연의 수직걸림공(420)을 통하여 물이 수직부재(200) 하부와 연결관(220) 사이의 저수조(300)에 저장된 물을 넘어 연결관(220)의 물통로(221)를 통하고, 연결관(220) 하부에 조임너트(500)로써 체결된 끼움구(510)과 주름관(600) 내경을 통하여 배수관(700)으로 유입되어 하수관(미도시)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물사용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걸림망(400)의 수직걸름망(420)에 걸리게 되고, 오수만 통과하여 배수관(700)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직부재(200) 상부에는 마개(800)가 안착되어 개수대(100) 내부에 물을 저장할 때 사용하거나, 잔류된 냄새를 완전히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수직부재(200)의 연결부(210)와 개수대(100)의 끼움공(120) 사이에는 오버플로어(900)가 구비되어 개수대(100) 내부의 물이 우회하여 배수관(700)으로 배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결관(220)의 상부와 수직부재(200)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어 일정량의 물이 담겨지는 저수조(300)와 이 저수조(300)에 위치되는 걸름망(400) 하부의 차단홈(430)에 의하여 하수관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싱크대용 배수구조에 있어, 하수관의 냄새의 역류를 방지하고, 이물질의 걸러주는 기능을 갖는 걸름망이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그 구조가 제조하는 업체 별로 규격이 다르게 제작됨으로써 파손시 자사 제품 끼리만 교환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소비자가 불편을 겯게 되었으며, 자사제품을 찾지 못할 경우에는 배수구 세트 전체를 교환하게 되는 경제적인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이물질을 걸려주는 걸름망 기능과 하수관의 악취를 차단하는 기능을 각각분리게 됨으로써 호환성이 우수한 싱크대용 배수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싱크대용 배수구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용 악취방지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개수대 20 : 수직부재
23 : 연결관 24 : 걸림턱
40 : 이물질 걸름부재 50 : 악취방지부재
52 : 보강리브 53 : 차단홈
54 : 하부체 56 : 무게중심추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개수대와 수직부재로 이루어져 오수를 하수관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 내주연에 상부가 안착되어 이물질이 걸려지게 되는 이물질 걸름부재; 및 상기 수직부재의 연결관 상부에 안착되는 보강리브가 일체로 형성되는 차단홈이 형성된 하부체와, 상기 하부체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상부체로 이루어진 악취방지부재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체는 무게중심추가 내설되어 악취방지부재가 뜨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구조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용 악취방지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배수구조는 개수대(10), 수직부재(20), 이물질 걸름부재(40) 및 악취방지부재(5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수대(10)는 수도물이 저장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서, 이의 중앙 영역에는 관통공(11)이 형성되고, 일측 외벽에는 끼움공(12)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부재(20)는 개수대(10)의 관통공(11)에 상부가 노출되게 삽입되고,외주연에는 연결부(21)가 일체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물통로(22)가 형성된 원통형의 연결관(23)이 내외부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연결관(23)의 상부와 수직부재(20)의 하부 사이에는 일정량의 물이 담겨지는 저수조(30)가 형성되고, 이 저수조(30)에는 후술되는 악취방지부재(50)의 하부가 위치되어 되어 하수구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이물질 걸름부재(40)는 상부에 형성된 안착부(42)로써 수직부재(20)의 상부 내주연에 안착되어 오수는 통과되고 이물질(지꺼기)은 걸려지게 된다.
상기 악취방지부재(50)는 수직부재(20)의 연결관(23) 상부에 안착되는 다수의 보강리브(52)가 일체로 형성되는 차단홈(53)이 형성된 하부체(54)와, 하부체(54)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무게중심추(56)가 내설된 상부체(58)로 이루어진다.
이때, 무게중심추(56)는 물배출시 악취방지부재(50)가 물에 의해 뜨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무게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금속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관(23)의 하부에는 조임너트(60)와 끼움구(61)로써 주름관(70)의 일단이 연결되고, 주름관(70)의 타단은 하수관(미도시)에 연결된 배수관(80)에 냄새가 새지 않토록 연결된다.
또한, 수직부재(20) 상부에는 마개(90)가 안착되어 개수대(10) 내부에 물을 저장할 때 사용하거나, 잔류된 냄새를 완전히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수직부재(20)의 연결부(21)와 개수대(10)의 끼움공(12) 사이에는 오버플로어(96)가 구비되어 개수대(10) 내부의 물이 우회하여 배수관(80)으로 배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싱크대의 개수대(10)에 설거지시나 그 밖의 물 사용시, 개수대(10) 중앙 영역의 관통공(11)에 상부가 노출되게 삽입된 수직부재(20)의 내경과 수직부재(20) 상부 내주연에 상부 외주연이 안착되는 이물질 걸름부재(40)를 통하고, 수직부재(20) 하부와 연결관(23) 사이의 저수조(30)에 저장된 물을 넘어 연결관(23)의 물통로(22)를 통하며, 연결관(23) 하부에 조임너트(60)로써 체결된 끼움구(60)과 주름관(70) 내경을 통하여 배수관(80)으로 유입되어 하수관(미도시)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물사용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이물질 걸름부재(40)에 걸리게 되고, 오수만 통과하여 배수관(80)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직부재(20) 상부에는 마개(90)가 안착되어 개수대(10) 내부에 물을 저장할 때 사용하거나, 잔류된 냄새를 완전히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수직부재(20)의 연결부(21)와 개수대(10)의 끼움공(12) 사이에는 오버플로어(96)가 구비되어 개수대(10) 내부의 물이 우회하여 배수관(80)으로 배수될 수 있게 됨으로써 개수대(1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넘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연결관(23)의 상부와 수직부재(20)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어 일정량의 물이 담겨지는 저수조(30)와 이 저수조(30)에 위치되는 악취방지부재(50)에 의해 하수관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즉, 하부체(54)의 차단홈(53) 내주연에 형성된 보강리브(42)로써 연결관(23)의 상부에 안착된 악취방지부재(50)의 차단홈(53)과 저수조(30)에 담겨진 물에 의해 하수관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무게중심추(58)는 물배출시 악취방지부재(50)가 물에 의해 뜨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싱크대의 물 배출시 이물질을 걸려주는 걸름망 기능을 하는 이물질 걸름망과 하수관에서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악취방지부재를 각각 구비하여 싱크대 배수구조에 적용하게 됨으로써 제작업체에 따라 다른 규격으로 제작되는 제품에 관계없이 교환하여 사용이 가능한 호환성이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2)

  1. 개수대와 수직부재로 이루어져 오수를 하수관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20)의 상부 내주연에 안착되어 이물질이 걸려지게 되는 이물질 걸름부재(40); 및
    상기 수직부재(20)의 연결관(23) 상부에 안착되는 보강리브(52)가 일체로 형성되는 차단홈(53)이 형성된 하부체(54)와, 상기 하부체(54)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상부체(58)로 이루어진 악취방지부재(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배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58)는 무게중심추(56)가 내설되어 악취방지부재(50)가 뜨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싱크대용 배수구조.
KR2020020021438U 2002-07-18 2002-07-18 싱크대용 배수구조 KR2002927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438U KR200292701Y1 (ko) 2002-07-18 2002-07-18 싱크대용 배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438U KR200292701Y1 (ko) 2002-07-18 2002-07-18 싱크대용 배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701Y1 true KR200292701Y1 (ko) 2002-10-25

Family

ID=73126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438U KR200292701Y1 (ko) 2002-07-18 2002-07-18 싱크대용 배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70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226B1 (ko) 2007-03-02 2008-04-30 (주)에이치에이씨씨피건설 개폐 가능한 봉수 장치를 구비하는 하수 장치
KR101006153B1 (ko) * 2008-05-28 2011-01-07 권영현 개수통 일체형 항균 싱크대
KR101815019B1 (ko) 2017-07-13 2018-01-04 주식회사 제이케이글로벌 인더스트리 싱크대용 배수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226B1 (ko) 2007-03-02 2008-04-30 (주)에이치에이씨씨피건설 개폐 가능한 봉수 장치를 구비하는 하수 장치
KR101006153B1 (ko) * 2008-05-28 2011-01-07 권영현 개수통 일체형 항균 싱크대
KR101815019B1 (ko) 2017-07-13 2018-01-04 주식회사 제이케이글로벌 인더스트리 싱크대용 배수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054B1 (ko)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
KR100998167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수트랩
KR200431056Y1 (ko) 오버플로우 배관용 역류방지트랩
KR101699850B1 (ko) 욕조용 배수트랩
KR20080081572A (ko)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
KR200292701Y1 (ko) 싱크대용 배수구조
KR101820281B1 (ko) 악취역류방지 배수트랩
US2745510A (en) Drain traps
KR100562898B1 (ko) 막힘 방지기능을 겸비한 방취 배수트랩
KR200223970Y1 (ko) 세면기의 배수트랩
KR20120095119A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KR100332276B1 (ko)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KR200352206Y1 (ko) 배수트랩
KR200308485Y1 (ko) 배수트랩
KR200265933Y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100952989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200383592Y1 (ko)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KR19990009443U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200230642Y1 (ko) 하수구 덮개
KR200369491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160003178U (ko) 싱크대 배수호스 연결장치
KR200276633Y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200345076Y1 (ko) 역류 방지용 배수트랩
KR20140049329A (ko) 세탁실 설치용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71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0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719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21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