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357B1 - 배수로 덮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배수로 덮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357B1
KR102097357B1 KR1020190102268A KR20190102268A KR102097357B1 KR 102097357 B1 KR102097357 B1 KR 102097357B1 KR 1020190102268 A KR1020190102268 A KR 1020190102268A KR 20190102268 A KR20190102268 A KR 20190102268A KR 102097357 B1 KR102097357 B1 KR 102097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ng
cover
drainag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덕환
한현규
Original Assignee
서일공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일공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일공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2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원이나 이면 도로 등에 시설되는 개방형 배수로에 덮개로 사용되기 위해 조립식으로 형성되어 배수가 우수하고, 자연친화적인 배수로용 덮개 고정부재 및 마감부재, 이를 포함하는 덮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조 잔디가 포함되어 있어 우천 시에 보행자가 미끄러지거나, 카트나 유모차 등과 같은 이동수단의 바퀴가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배수로 덮개 및 이의 제조방법{DRAINAGE CO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원이나 이면 도로 등에 시설되는 개방형 배수로에 덮개로 사용되기 위해 조립식으로 형성되어 배수가 우수하고, 자연친화적인 배수로용 덮개 고정부재 및 마감부재, 이를 포함하는 덮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나 주택가 등의 가장자리 부위에 빗물 등이 배수되기 위해 배수로가 설치된다.
또한, 배수로에는 우천 시에 빗물이 원활하게 배수됨과 동시에 보행자가 통행 시에 발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수로 덮개가 시공된다.
일반적으로 배수로 덮개는 그레이팅(grating)이라고도 불리고, 격자 모양의 철물로 형성되어 카트나 유모차 등과 같은 이동수단의 바퀴가 빠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수로 덮개는 철물로 제조되어 빗물이나 눈에 의해 수막현상 또는 결빙현상으로 인해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가 있다.
다음은 배수로 덮개에 관한 배경기술 문헌들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36163호(이하, 문헌 1)는 ‘배수로 복개를 위한 덮개’로, 장방형의 판재로 재단된 상면에서 운두를 가지고, 인조잔디가 삽입방식으로 적층되게 구비되는 수용부와 저면에는 전, 후 양측으로 암 형의 결합요소가 구비되어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단위 베어링플레이트 및 연속된 띠 형으로 이루어 단위 베어링플레이트의 양단 암 형의 결합요소와 수형의 결합요소를 이용하여 암수 형상 결합되어 병렬 배치되는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이다.
문헌 1의 배수로 덮개는 도 1에서와 같이, 베어링플레이트 양단에 수형의 결합요소가 구비된 프레임 한 쌍이 암, 수 형상 결합되고 있으나, 경질의 고무재로 제조되어 빗물과 햇빛에 교대로 오랫동안 노출됨에 따라 고무가 삭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문헌 1의 배수로 덮개는 베어링플레이트 양단에 수형의 결합요소에 의해 프레임 한 쌍이 삽입되어 결합될 뿐, 외부에서 발생되는 힘에 의해 쉽게 분리되는 또 다른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3971호(이하, 문헌 2)는 ‘탈착식 배수로 덮개’로, 다수 천공된 형태의 상판부재와, 상판부재의 하측 면 양측 단변부 위치에 부분 돌출 상태로 연장 결합되어지는 복수개의 가로부재, 상판부재의 장변부 내측의 위치에서 가로부재들을 연결하는 형태로 상판부재에 연장 결합되는 복수개의 세로부재, 상판부재와 세로부재들과 연장 결합되는 복수개의 브래킷 부재와 일괄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이다.
문헌 2의 배수로 덮개는 도 2에서와 같이, 상판부재의 상판부재 상측 면에 세로부재가 형성되어 홈을 형성하고 있어 앵글부재의 돌출부가 결합되어도 분리되지 않기 위해서 볼트부재로 고정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문헌 2의 배수로 덮개는 상판부재의 상측 면에 세로부재가 홈으로 형성됨에 따라 빗물과 함께 여러 가지의 협잡물이 고이게 되어 미관에 좋지 않은 또 다른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2425호(이하, 문헌 3)는 ‘배수로 덮개’로 세로와 가로 판자로 조립된 격자로 형성된 배수로 덮개의 상측에 판재가 산형 모양으로 절곡 형성되되, 구멍이 형성된 오목부에 인공잔디가 포함되는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이다.
문헌 3의 배수로 덮개는 도 3에서와 같이, 구멍이 형성된 오목부 일 측면에 인공잔디가 결합되어 있어 빗물이 유입되었을 때, 여러 가지의 협잡물이 오목부에 형성된 구멍으로 배수되지 못하거나, 인공잔디에 협잡물이 걸려 미관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그로 인해, 상기 문제로 인해 배수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수로 덮개를 주기적으로 세척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09984호(이하, 문헌 4)는 ‘안전 배수로 덮개’로 단턱이 구비된 몸체 프레임과 단턱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몸체 프레임과 결합되는 쿠션부재가 포함되어 쿠션부재에 의해 보행자가 미끄러지지 않는 배수로 덮개에 관한 것이다.
문헌 4의 배수로 덮개는 도 4에서와 같이, 몸체 프레임에 탄성 작용을 하는 소재인 고무, 합성고무, 재생용 탄성자재로 제조된 쿠션부재가 밀착 결합됨에 따라 빗물이 배수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만일, 상기 배수로 덮개의 몸체 프레임과 쿠션부재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여러 가지의 협잡물에 의해 틈이 막히게 되는 또 다른 문제가 있다.
<배경기술 문헌>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36163호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3971호
(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2425호
(문헌 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09984호
본 발명은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고정부재에 마감부재가 결합된 마감부가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대량생산에 따른 제조의 간편화 및 조립과 생산성이 향상되는 배수로용 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재의 상부에 평면부 및 단턱부를 형성하여, 인조 잔디 또는 미끄럼방지 부재가 결합되어 우천 시에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카트나 유모차 등과 같은 이동수단의 바퀴가 빠지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배수로용 덮개가 등간격으로 결합됨에 따라 배수구가 형성되어 우천 시 빗물이 용이하게 배수됨과 동시에,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여러 가지의 협잡물에 의해 배수구가 막히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빗물과 햇빛에 교대로 오랫동안 노출되어도 삭거나, 녹이 발생되지 않는 배수로용 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배수로용 덮개 고정부재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윗면에 평면부(120)와 단턱부(130)가 포함되는 제1프레임(110); 제1프레임(110) 내부에 형성되며, 제1결합공(141) 및 내부배수공(142)이 포함되되, 제1프레임(110)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결합프레임(140); 제1프레임(110) 내부로 빗물 유입 시에 배출되기 위한 공간(S) 및 제1프레임(110) 내부에 형성되되, 제1고정부(151)가 포함되는 고정프레임(15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면부(120) 일 측에 인조 잔디 또는 미끄럼방지 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수로용 덮개 마감부재는 연속되는 띠 형으로 형성되는 제2프레임(210); 제1날개부(220), 제2날개부(230) 및 제2고정부(240)가 제2프레임(210) 일 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제1날개부(220)와 제2날개부(230)의 일단에 경사 또는 톱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날개부(220)와 제2날개부(230)의 일 측면에 이탈방지부(2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수로용 덮개는 윗면에 평면부(120)와 단턱부(130)가 형성되는 제1프레임(110)과, 제1프레임(110) 내부에 격벽이 형성되어 다수의 공간(S)이 형성되는 고정부재(100); 연속되는 띠 형으로 형성되는 제2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10) 일 측면에 다수의 제1날개부(220), 제2날개부(230) 및 제2고정부(240)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마감부재(200) 및 연속되는 띠 형으로 형성되며, 마감부재(200)와 결합되기 위해 걸림부(310)가 형성되는 마감부(300)가 포함되며, 고정부재(100) 양측으로 마감부재(200)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로용 덮개는 다수 개의 고정부재(100)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이들 사이로 배수구(1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수로용 덮개 마감부재의 제조방법은 띠 형의 제2프레임(210)으로 절단되는 제1단계(S210); 제2프레임(210) 일 측면에 제1날개부(220), 제2날개부(230) 및 제2고정부(240)의 형상으로 절단되는 제2단계(S220); 및 절단된 제1날개부(220) 및 제2날개부(230)가 절곡되는 제3단계(S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수로용 덮개의 제조방법은 마감부재(200)에 등간격으로 고정부재(100)가 위치되어 배수구(10)가 형성되는 단계(S410); 고정부재(100) 양 측면에 제1날개부(220)와 제2날개부(230)가 제1프레임(110)에 인입되는 단계(S420); 제1날개부(220)와 제2날개부(230)가 제1프레임(110)에 강제로 끼움 결합되는 단계(S430); 및 띠 형의 마감부재(200)가 걸림부(310)에 슬라이딩되어 마감부(300)와 결합되는 단계(S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배수로용 덮개의 제조방법은 제1프레임(110) 윗면에 형성된 평면부(120)에 인조 잔디 또는 미끄럼방지 부재가 결합되는 단계(S4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로용 덮개는 고정부재에 마감부재가 포함된 마감부가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대량생산에 따른 제조 및 조립과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생산이 가능하여 필요로 하는 배수로용 덮개의 크기에 맞게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조 잔디 또는 미끄럼방지 부재가 결합되어 우천 시,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카트나 유모차 등과 같은 이동수단의 바퀴가 배수로로 빠지지 않아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배수로용 덮개가 등간격으로 결합됨에 따라 배수구가 형성되어 우천 시 빗물이 용이하게 배수됨과 동시에,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여러 가지의 협잡물에 의해 배수구가 막히지 않고, 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빗물과 햇빛에 번갈아가며 오랫동안 노출되어도 삭거나, 녹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배경기술이 되는 문헌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결합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고정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마감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여러 형태의 마감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마감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 마감부재 및 마감부의 결합구조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로용 덮개 분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로용 덮개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로용 덮개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로용 덮개를 배수로에 설치한 단면 상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배수로용 덮개;
10: 배수구;
100: 고정부재; 110: 제1프레임; 120: 평면부; 130: 단턱부; 140: 제1결합프레임; 141: 제1결합공; 142: 내부배수공; 150: 고정프레임; 151: 제1고정부; 160: 제2결합프레임; 161: 제2결합공;
200: 마감부재; 210: 제2프레임; 220: 제1날개부; 230: 제2날개부; 240: 제2고정부; 250: 이탈방지부;
300: 마감부; 310: 걸림부;
G: 인조 잔디; S1: 제1공간; S2: 제2공간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하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고정부재(100)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00)는 틀에 의해 압출성형 공정으로 제조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00)는 수지계열 또는 비철금속계열의 소재로 제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지계열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수지계열은 폴리염화비닐(PVC), 비가소화 폴리염화비닐(U-PV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PA)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염화비닐은 산, 알칼리, 오일, 지방, 휘발유에 강하고, 내후성이 우수하여 잘 연화되지 않으며, 가공성이 우수하여 사출 성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비가소화 폴리염화비닐은 산성이나 알칼리성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고, 녹이 발생되지 않으며, 수질 보호 및 오염 방지에 장점이 있다.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는 가공이 쉬우며, 내충격성이 크고 내열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폴리아미드는 강도, 내약품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고정부재(100)는 도 5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대략 사각형의 판재 형상의 제1프레임(110)이 형성된다.
상기 제1프레임(110) 윗면에는 평면부(120)와 단턱부(13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턱부(130)는 제1프레임(110) 양 끝 모서리가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단턱을 형성할 수 있다.
제1프레임(110) 내부에는 격벽을 형성하여 고정부재(100)의 전체적인 강도를 보강하면서도 중량과 재료의 절감을 위해, 제1프레임(110) 내부 중심에 고정프레임(15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150)을 중심으로 제1프레임(110) 내부 양쪽에 제1결합프레임(1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프레임(140)은 제1결합공(141) 및 내부배수공(14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공(141)은 후단에 설명할 마감부재(200)의 날개부가 강제 끼움 결합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배수공(142)은 우천 시에 고정부재(100)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이 배출되기 위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50)은 후단에 설명할 마감부재(200)와 결합한 마감부(300)가 별도의 나사로 조립되기 위한 제1고정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고정부재(100)는 제1결합프레임(140)이 제1프레임(110) 내부에 격벽으로 형성될 경우, 제1공간(S1)이 형성되고, 제1결합프레임(140)과 고정프레임(150)에 의해 격벽이 형성될 경우 제2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2공간(S1, S2)은 우천 시에 고정부재(100) 내부로 빗물이 유입될 경우 이를 배출함과 동시에, 격벽이 형성됨에 따라 고정부재(100)의 전체적인 강도가 보강되는 장점이 있다.
고정부재(100)는 도 6과 같은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평면부(120)에는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 형태가 반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보행자의 미끄럼 방지 및 카트나 유모차 등과 같은 이동수단의 바퀴가 정상적으로 구동되기 위해 평면부(120) 일 측에 인조 잔디(G) 또는 미끄럼방지 부재(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인조 잔디(G)가 평면부(120) 일 측에 포함되기 위해서는, 평면부(120) 일 측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인조 잔디(G)의 부착력이 향상됨과 동시에 외관이 미려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조 잔디(G)는 빗물과 햇빛에 번갈아가며 오랫동안 노출되어도 삭거나, 녹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 부재는 고무판으로 미끄럼 방지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보행자에게 노출되는 면에 요철 또는 일정한 높이만큼 돌출과 내부로 엠보싱 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7에서와 같이, 또 다른 형태의 고정부재(1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00)는 도 7에서와 같이, 제1프레임(110), 평면부(120), 단턱부(130), 고정프레임(150), 제2결합프레임(160), 제1공간(S1) 및 제2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110), 평면부(120), 단턱부(130) 및 고정프레임(150)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프레임(160)은 도 7에서와 같이, 고정프레임(150)을 중심으로 제1프레임(110) 내부 양쪽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프레임(160)은 후단에 설명할 마감부재(200)의 날개부가 강제 끼움 결합되기 위한 구멍으로 제2결합공(16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의 제1결합프레임(140)과 달리, 제2결합프레임(160)에는 내부배수공이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내부배수공에 의해 빗물이 제1프레임(110) 내부에 고이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고정부재(100)는 제2결합프레임(160)이 제1프레임(110) 내부에 격벽으로 형성될 경우, 제1공간(S1)이 형성되고, 제2결합프레임(160)과 고정프레임(150)에 의해 격벽이 형성될 경우 제2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2공간(S1, S2)은 우천 시에 고정부재(100) 내부로 빗물이 유입될 경우 이를 배출함과 동시에, 격벽이 형성됨에 따라 보행자의 하중이 고정부재(100)에 가해져도 고정부재(100)의 전체적인 강도가 보강되어 이를 버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고정부재(100)는 도 7과 같은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은 단면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100)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평면부(120)에는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 형태가 반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행자의 미끄럼 방지 및 카트나 유모차 등과 같은 이동수단의 바퀴가 정상적으로 구동되기 위해 평면부(120) 일 측에 인조 잔디(G) 또는 미끄럼방지 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평면부(120)에 요철 형태가 반복 형성됨에 따라 인조 잔디(G) 또는 미끄럼방지 부재와 결합 시 접착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3>
도 8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마감부재(200)가 형성될 수 있다.
마감부재(200)는 연속되는 띠 형으로 형성되되,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마감부재(200)는 금속계열 또는 수지계열의 소재로 제조될 수 있고, 마감부재(200)에 가해지는 하중을 버티기 위해서 금속계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계열은 철, 강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또는 스틸-알루미늄 복합 소재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철은 비교적 저렴하고,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이 쉬운 장점이 있다.
상기 강재는 95% 이상의 철분과 함께 탄소, 크롬, 망간, 니켈 등이 함유하고 있는 금속으로, 강도가 높고 불연성이며, 인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특히, 강재는 SS330, SS400, SS490, SS540, SS590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격이 저렴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한 SS400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S400의 강재를 사용할 경우, 부식이 발생할 수 있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분체도장이나 도금, 페인트 도장 등의 후처리 과정이 필수로 수행되어야 한다.
상기 알루미늄은 산화 시에 그 자체로 치밀한 산화알루미늄(Al2O3) 막을 형성하여 부식의 침하를 방지하여, 금속 부식에 대한 내식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은 녹이 슬지 않고 수명이 길며, 마감부재(200)의 날개부(220, 230)가 절곡 시에 발생되는 갈라짐과 깨지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스테인리스는 녹이나 부식이 잘 생기지 않고, 내구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 스틸-알루미늄 복합 소재는 스테인리스 스틸 분말과 알루미늄 분말이 혼합되어 제조되는 복합 소재로, 기계적 강도, 내식성 및 경량성이 동시에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마감부재(200)는 제2프레임(210), 제1날개부(220), 제2날개부(230) 및 제2고정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210)은 연속되는 띠 형으로 형성되되, 일 측면에 등간격으로 제1날개부(220), 제2날개부(230) 및 제2고정부(240)가 등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날개부(220)는 도 10에서와 같이, 제2프레임(210)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날개부(230)는 도 8에서와 같이, 제2프레임(210) 일 측면에 제1날개부(220)와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220, 230)는 도 10에서와 같이, 일단은 좁고 타단은 넓어지는 경사형 또는 톱니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형은 날개부(220, 230)의 일단이 모깎기 되어 둥근 모서리와 경사를 갖는 도 10(A)과 같은 형상과, 날개부(220, 230)의 일단이 반으로 나뉜 장방형을 갖는 도 10(B)과 같은 형상 및 날개부(220, 230)의 일단이 모따기 되어 직선 모서리와 경사를 갖는 도 10(C)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톱니형은 날개부(220, 230)의 일단이 모따기 되어 직선 모서리와 일 측과 타 측에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220, 230)의 형상은 도 10(A)과 같이 형성되는 것이 가장 좋다. 이는 날개부(220, 230)가 고정부재(100)와 결합될 경우 제1결합공(141) 또는 제2결합공(161)에 걸림 없이 부드럽게 인입되어 조립성에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9에서 L1은 제1날개부(220)의 일 측면의 길이를 의미하고, L2는 제1날개부(220)의 타단의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도 9에서 L3은 제2날개부(230)의 일 측면의 길이를 의미하고, L4는 제2날개부(230)의 타단의 길이를 의미한다.
상기 L1과 L3은 제1결합공(141) 또는 제2결합공(161)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L2와 L4는 각각 L1과 L3에 일정 길이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L2와 L4는 제1결합공(141) 또는 제2결합공(161)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후단에 설명할 제1프레임(110)의 제1결합공(141) 또는 제2결합공(161)의 내부로 강제 끼움 결합되어,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240)는 도 8에서와 같이, 제2프레임(210) 일 측면에 제1날개부(220)와 제2날개부(230) 사이에 타공 되어 형성되며, 앞서 설명하였던 고정부재(100)와 결합할 경우 별도의 나사로 조립되어 결속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마감부재(200)의 제조방법은 띠 형의 제2프레임(210)으로 절단되는 제1단계(S210)가 수행된다.
이때, 제2프레임(210)은 고정부재(10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짐과 동시에, 배수로용 덮개(1)의 전체적인 길이에 맞는 긴 밴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제2프레임(210) 일 측면에 제1날개부(220), 제2날개부(230) 및 제2고정부(240)의 형상으로 절단되는 제2단계(S220)가 수행된다.
상기 제1날개부(220)와 제2날개부(230)의 타단을 제외한 부분을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절단되며, 제2고정부(240)는 레이저 등에 의해 타공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절단된 제1날개부(220) 및 제2날개부(230)가 절곡되는 제3단계(S230)가 수행된다.
상기 제3단계(S230)는 절단된 제1날개부(220)와 제2날개부(230)가 각각 고정부재(100)와 결합되고자 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1에서와 같이, 마감부재(200)에 이탈방지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감부재(200)는 이탈방지부(250)를 제외한 구성이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250)는 제1날개부(220)와 제2날개부(230)의 내측 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11에서와 같이, 이탈방지부(250)는 날개부(220, 230)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형성하여, 날개부(220, 230)가 제1결합공(141) 또는 제2결합공(161)에 인입될 때 걸림 없이 결합될 수 있다.
만일, 제1결합공(141) 또는 제2결합공(161)에 날개부(220, 230)가 밖으로 끌어당기는 힘이 가해질 때, 이탈방지부(250)가 돌출 형성되어, 폭이 넓은 부분이 제1결합공(141) 또는 제2결합공(161) 내부 벽에 밀착 체결되어 고정력 향상과 더불어, 마감부재(200)가 고정부재(100)에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마감부재(200)에 이탈방지부(250)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실시예 3>의 제2단계(S220)에서 이탈방지부(250)가 제1날개부(220)와 제2날개부(230)의 일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과정이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S220)를 제외한 구성은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5>
도 12 내지 도 14에서와 같이, 배수로용 덮개(1)는 다수 개의 고정부재(100)가 등간격으로 연속되게 배치되며, 고정부재들(100)의 양측 끝에 마감부재(200)가 끼움 결합되어 고정부재들(10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되, 마감부재(200)의 외측에 체결되어 강도가 향상됨과 동시에 미려하게 마감되기 위해 마감부(300)가 포함된다.
상기 고정부재(100)는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00)의 평면부(120)에 인조 잔디(G)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감부재(200)는 실시예 3 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감부(300)는 도 12에서와 같이, 마감부재(200)와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가지며, 고정부재들(100)의 양측 끝에 결합된 마감부재(200)에 각각 체결됨에 따라 외관을 좋게 함과 동시에, 고정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감부(300)는 상기 고정부재(100)와 동일한 재질로 압출성형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나아가, 도 12에서와 같이, 마감부(300)의 양 끝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걸림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10)는 도 12에서와 같이, 마감부재(200)의 제2프레임(210)과 슬라이딩 결합되어 마감부재(200)가 마감부(300)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고정부재(100)와 마감부재(200)가 결합되는 구조는 바람직한 구성으로 형성될 경우를 예시로 설명될 수 있다.
도 15에서와 같이, 고정부재(100)가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마감부재(200)가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형성되었을 때의 결합구조는 제1날개부(220)와 제2날개부(230)가 제2결합공(161)에 각각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제1날개부(220)와 제2날개부(230)는 도 10(A)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날개부(220, 230)의 L1과 L3의 길이까지 제2결합공(161)에 쉽게 삽입되어 인입될 수 있다.
이후, 제2결합공(161)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 날개부(220, 230)의 L2와 L4의 길이까지 제2결합공(161)에 날개부(220, 230)가 강제 끼움 결합되어 고정력이 향상된다.
또한, 도 16에서와 같이, 제1날개부(220)와 제2날개부(230)의 내측 면에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부(250)에 의해 제2결합공(161) 내부 벽에 밀착 체결되어 고정력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이고, 배수로용 덮개(1)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진동에 의해 마감부재(200)가 고정부재(100)에서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마감부재(200)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제2고정부(240)를 통해 별도의 나사로 고정부재(100)의 제1고정부(151)에 나사체결함으로써 다수의 고정부재들(100)은 마감부재(200)와 견고한 고정력이 제공되고, 고정부재들(100) 사이에 일정한 폭의 배수구(10)가 형성된다.
즉, 배수로용 덮개(1)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배수구(10)에 의해 우천 시에 빗물이 용이하게 배수됨과 동시에,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여러 가지의 협잡물에 의해 배수구(10)가 막히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수구(10)가 협잡물에 의해 막히지 않음으로써, 배수구(10)를 주기적인 세척할 필요가 없다.
나아가, 도 15에서와 같이, 배수로용 덮개(1)는 다수 개의 고정부재들(100)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평면을 유지하게 되어 보행자와 카트나 유모차 등과 같은 이동수단의 바퀴가 빠지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배수로용 덮개(1)에 인조 잔디(G)가 결합됨에 따라, 우천 시에 빗물에 의해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배수로용 덮개(1)의 제조방법은 먼저, 마감부재(200)에 등간격으로 고정부재(100)가 위치되어 배수구(10)가 형성되는 단계(S410)가 수행된다.
그 후, 고정부재(100) 양 측면에 제1날개부(220)와 제2날개부(230)가 제1프레임(110)에 인입되는 단계(S420)가 수행된다.
대칭 형성된 제2결합공(161)으로 제1날개부(220)와 제2날개부(230)가 각각 인입될 수 있다.
그 후, 제1날개부(220)와 제2날개부(230)가 제1프레임(110)에 강제로 끼움 결합되는 단계(S430)가 수행된다.
대칭 형성된 제2결합공(161)으로 제1날개부(220)와 제2날개부(230)가 각각 강제 끼움 결합됨과 동시에, 마감부재(200)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제2고정부(240)를 통해 별도의 나사로 고정부재(100)의 제1고정부(151)에 나사체결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띠 형의 마감부재(200)가 걸림부(310)에 슬라이딩되어 마감부(300)와 결합되는 단계(S440)가 수행된다.
그 후, 제1프레임(110) 윗면에 형성된 평면부(120)에 인조 잔디 또는 미끄럼방지 부재가 결합되는 단계(S45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평면부(120) 일 측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인조 잔디(G) 또는 미끄럼방지 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특히, 평면부(120)에 요철 형태가 반복 형성되어 있어 인조 잔디(G) 또는 미끄럼방지 부재와 결합 시, 접착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배수로용 덮개(1)는 통상의 방법으로 도 16에서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는 배수로에 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면 도로, 공원이나 운동장 등에 시설된 개방형 배수로에 시공할 경우 외관이 미려함은 물론이고, 배수로용 덮개(1)에 포함된 인조 잔디(G)에 의해 배수로로 모래, 낙엽 등의 협잡물의 유입을 방지하여, 배수로를 주기적으로 세척하는 번거로움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수로용 덮개 고정부재 및 마감부재, 이를 포함하는 덮개 및 그 제조방법으로, 배수로용 덮개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자연친화적이면서도 빗물 배수가 우수한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9)

  1. 고정부재(100); 마감부재(200); 및 마감부(300);가 포함되며,
    고정부재(10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사각 중공구조로 윗면에 평면부(120)가 포함되는 제1프레임(110) 및 제1프레임(110) 내부에 형성되며, 슬릿으로 형성된 제2결합공(161)이 포함된 제2결합프레임(160)이 포함되고,
    마감부재(200)는 연속되는 띠 형으로 형성되는 제2프레임(2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가 제2프레임(210) 일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는 일단이 테이퍼 지도록 형성되고,
    마감부(300)는 연속되는 띠 형으로 형성되며, 마감부재(200)와 결합되기 위해 걸림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가 제2결합공(161)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덮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평면부(120) 일 측에 인조 잔디 또는 미끄럼방지 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덮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배수로 덮개는, 다수 개의 고정부재(100)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들 사이로 배수구(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덮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 일 측면에 돌기형상으로 형성된 이탈방지부(250)가 더 포함되어 상기 날개부가 제2결합공(16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덮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의 배수로 덮개의 마감부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띠 형의 제2프레임(210)으로 절단되는 제1단계(S210);
    제2프레임(210) 일 측면에 상기 날개부의 일단이 테이퍼 지도록 절단되고, 상기 날개부의 일 측면에 이탈방지부(250)가 돌기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단계(S220); 및
    절단된 상기 날개부가 절곡되는 제3단계(S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덮개의 마감부재 제조방법.
  8. 청구항 1의 배수로 덮개 제조방법에 있어서,
    마감부재(200)에 다수 개의 고정부재(100)가 배치되어 배수구(10)가 형성되는 단계(S410);
    고정부재(100) 양 측면에 상기 날개부가 제1프레임(110)에 인입되는 단계(S420);
    상기 날개부가 제1프레임(110)에 강제로 끼움 결합되는 단계(S430); 및
    띠 형의 마감부재(200)가 걸림부(310)에 슬라이딩되어 마감부(300)와 결합되는 단계(S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덮개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제1프레임(110) 윗면에 형성된 평면부(120)에 인조 잔디 또는 미끄럼방지 부재가 결합되는 단계(S4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덮개 제조방법.
KR1020190102268A 2019-08-21 2019-08-21 배수로 덮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7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268A KR102097357B1 (ko) 2019-08-21 2019-08-21 배수로 덮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268A KR102097357B1 (ko) 2019-08-21 2019-08-21 배수로 덮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357B1 true KR102097357B1 (ko) 2020-04-06

Family

ID=70282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268A KR102097357B1 (ko) 2019-08-21 2019-08-21 배수로 덮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3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703A (ko) * 2020-08-26 2022-03-07 김희환 가로수보호장치의 테두리프레임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772U (ko) * 2010-01-29 2011-08-04 김영건 그레이팅용 미끄럼방지 클립
KR20180082157A (ko) * 2017-01-10 2018-07-18 주식회사 그린우전 배수 트렌치
KR20190036163A (ko) * 2017-09-27 2019-04-04 한덕환 배수로 복개를 위한 덮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772U (ko) * 2010-01-29 2011-08-04 김영건 그레이팅용 미끄럼방지 클립
KR20180082157A (ko) * 2017-01-10 2018-07-18 주식회사 그린우전 배수 트렌치
KR20190036163A (ko) * 2017-09-27 2019-04-04 한덕환 배수로 복개를 위한 덮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6703A (ko) * 2020-08-26 2022-03-07 김희환 가로수보호장치의 테두리프레임 제조방법
KR102470243B1 (ko) * 2020-08-26 2022-11-23 김희환 가로수보호장치의 테두리프레임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357B1 (ko) 배수로 덮개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80018074A1 (en) Two-Piece Vehicle Step Tube
KR101039711B1 (ko) 배수로용 그레이팅
EP1949834B1 (en) Modular mat
US20050232701A1 (en) Drainage grate
KR100987143B1 (ko) 노면 슬립 방지 구조를 갖는 데크 및 그 확장 데크 구조물
CA3061561C (en) Modular floor for providing support to vehicles and crowds on an uneven or soft subsurface, and plank, installation method,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GB2569385A (en) Non-slip surface assembly
KR102353812B1 (ko) 무용접 고강도 트렌치 커버 유닛, 이를 포함하는 트렌치 커버 및 그 제조방법
US5152632A (en) Self-guidance bicycle track
KR102055668B1 (ko) 배수로 복개를 위한 덮개
KR200446077Y1 (ko) 미끄럼방지용 강판 그레이팅
KR20110123069A (ko) 도로 배수구용 그레이팅
KR100830896B1 (ko) 트렌치 커버 조립체
US20060230700A1 (en) Modular decorative plate combination
KR101341349B1 (ko) 스틸 그레이팅
JP3511176B2 (ja) U字溝
JP2814071B2 (ja) 歩車道用ブロック及び中央分離帯用ブロック
KR101134494B1 (ko) 경사면의 계단블럭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의 계단 시공방법
KR200424526Y1 (ko) 조립식 계단
JP4308980B2 (ja) コンクリート製側溝蓋
KR200320452Y1 (ko) 투명방음판의 프레임구조
JP2016044439A (ja) グレーチング
KR100811820B1 (ko) 폐고무를 이용한 트랜치 커버
EP0591481A1 (en) Thermal break frame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