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873B1 - 스위치 구동 장치, 발광 장치, 차량 - Google Patents

스위치 구동 장치, 발광 장치,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873B1
KR101932873B1 KR1020177026076A KR20177026076A KR101932873B1 KR 101932873 B1 KR101932873 B1 KR 101932873B1 KR 1020177026076 A KR1020177026076 A KR 1020177026076A KR 20177026076 A KR20177026076 A KR 20177026076A KR 101932873 B1 KR101932873 B1 KR 101932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witch
terminal
switch driving
clo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8807A (ko
Inventor
신스께 다까기모또
야스노리 무라마쯔
Original Assignee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8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using immovably-mounted light sources, e.g. fixed flashing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05B45/46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having LEDs disposed in parallel l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following a pre-assigned programmed sequence; Logic control [L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20Electroluminescent [EL] light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4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by time modulation of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스위치 구동 장치(10)는, 차량 탑재용 발광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발광 소자에 대하여 각각 병렬 접속되는 복수 채널의 스위치 소자 SW1 내지 SW8과, 장치로의 전원 투입을 받아 소정의 패턴으로 각 스위치 소자 SW1 내지 SW8의 온/오프 상태를 순차 전환해 가도록 일련의 스위치 구동 시퀀스를 자동으로 개시하는 로직부(120)를 갖는다.

Description

스위치 구동 장치, 발광 장치, 차량
본 발명은, 스위치 구동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발광 장치 및 차량에 관한 것이다.
도 18은, 차량의 제1 종래예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도이다. 제1 종래예의 차량(A100)은, 배터리(A110)와, 전원 스위치(A120)와, 컨트롤러(A130)와, 발광 장치(A140)(턴 램프 등)를 갖는다. 컨트롤러(A130)는, 전원 스위치(A120)를 온/오프하여 배터리(A110)로부터 발광 장치(A140)로의 급전 경로를 도통/차단함으로써, 발광 장치(A140)의 단순 점소등 제어를 행한다.
한편, 최근에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임의의 타이밍에 점소등시킴으로써, 점등 영역의 면적을 증감시키거나, 점등 영역을 흐르도록 이동시키는 순차 점등 기능(소위, 시퀀셜 턴 기능, 내지는 다이내믹 인디케이터 기능)을 구비한 차량 탑재용 발광 장치가 실용화되고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각각, 차량의 제2 종래예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도다. 도 19a의 차량(A200)은, 배터리(A210)와, 전원 스위치(A220)와, 컨트롤러(A230)와, 발광 장치(A240)를 갖는다. 발광 장치(A240)는, 전술한 순차 점등 기능을 구비한 것으로, 발광 소자 구동 장치(A241) (1) 내지 (m)과, 발광 소자(A242) (1) 내지 (m)과, 발광 소자 구동 장치(A241) (1) 내지 (m)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A243)와, 발광 소자 구동 장치(A241) (1) 내지 (m)에 전력 공급을 행하는 드라이버용 전원(A244)과, 마이크로컨트롤러(A243)에 전력 공급을 행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용 전원(A245)을 포함한다.
한편, 도 19b의 차량(A200)은, 앞의 마이크로컨트롤러(A243), 드라이버용 전원(A244), 및 마이크로컨트롤러용 전원(A245)을 발광 장치(A240)로부터 삭제함과 함께, 이들을 대신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A250), 드라이버용 전원(A260), 및 마이크로컨트롤러용 전원(A270)을 발광 장치(A240)의 외부에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0a 및 도 20b는, 각각, 차량의 제3 종래예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도이다. 도 20a의 차량(A300)은, 배터리(A310)와, 전원 스위치(A320)와, 컨트롤러(A330)와, 발광 장치(A340)를 갖는다. 발광 장치(A340)는, 전술한 순차 점등 기능을 구비한 것이며, 발광 소자 구동 장치(A341)와, m 직렬의 발광 소자(A342) (1) 내지 (m)과, 발광 소자(A342) (1) 내지 (m)의 단락/비단락을 각각 전환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A343)와, 스위치 구동 장치(A343)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A344)와, 마이크로컨트롤러(A344)나 스위치 구동 장치(A343)에 전력 공급을 행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용 전원(A345)을 포함한다.
한편, 도 20b의 차량(A300)은, 전술의 마이크로컨트롤러(A344) 및 마이크로컨트롤러용 전원(A345)을 발광 장치(A340)로부터 삭제함과 함께, 이들을 대신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A350), 및 마이크로컨트롤러용 전원(A360)을 발광 장치(A340)의 외부에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 관련된 종래 기술의 일례로서는, 특허문헌 1을 들 수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8-091311호 공보
확실히, 순차 점등 방식의 발광 장치(제2 종래예나 제3 종래예)이면, 단순 점등 방식의 발광 장치(제1 종래예)에 비해, 차량의 의장성이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턴 램프를 차량의 도는 방향에 맞춰서 순차 점등시킴으로써, 보행자나 타차(他車)가 자차(自車)의 진행 방향을 직감적으로 인식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제2 종래예의 발광 장치(A240)에서는, m개의 발광 소자(A242) (1) 내지 (m)마다 m개의 발광 소자 구동 장치(A241) (1) 내지 (m)이 일대일로 설치되어 있었다. 그로 인해, 부품 개수의 증대, 기판 면적의 확대, 소비 전력 효율의 악화가 초래되었다.
또한, 제2 종래예의 발광 장치(A240)에서는, m개의 발광 소자 구동 장치(A241) (1) 내지 (m)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컨트롤러(A243)(내지는 A250)가 필요하였다. 그로 인해, 드라이버용 전원(A244)(내지는 A260)뿐만 아니라, 마이크로컨트롤러용 전원(A245)(내지는 A270)이 필요해지는 데다, 소프트웨어 설계 등도 행해야만 했다.
또한, 제2 종래예의 발광 장치(A240)에서는, 마이크로컨트롤러(A243)(내지는 A250)로부터 발광 소자 구동 장치(A241) (1) 내지 (m)으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최소한 m개의 제어선이 필요하였다. 그로 인해, 특히 마이크로컨트롤러(A250)를 발광 장치(A240)의 외부에 설치한 경우에는, 하니스 개수가 증대됨과 함께, 이에 수반되는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시험 대책이나 이상 모드 검증 등의 작업량 증대가 초래되었다.
또한, 제3 종래예의 발광 장치(A340)이면, 단일의 발광 소자 구동 장치(A341)로부터 m 직렬의 발광 소자(A342) (1) 내지 (m)으로 구동 전류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제2 종래예와 비교하여, 부품 개수의 삭감이나 기판 면적의 축소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제3 종래예의 발광 장치(A340)에서도, 스위치 구동 장치(A343)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컨트롤러(A344)(내지는 A350)가 필요함에 변화는 없으며, 제2 종래예와 마찬가지의 과제가 남아 있었다.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어 있는 발명은, 본원의 발명자들에 의해 알아낸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마이크로컨트롤러 제어를 요하지 않고 발광 소자의 순차 점등 제어를 실현할 수 있는 스위치 구동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발광 장치 및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어 있는 스위치 구동 장치는, 차량 탑재용 발광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발광 소자에 대하여 각각 병렬 접속되는 복수 채널의 스위치 소자와, 장치로의 전원 투입을 받아 소정의 패턴으로 각 스위치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순차 전환해 가도록 일련의 스위치 구동 시퀀스를 자동으로 개시하는 로직부를 갖는 구성(제1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성을 포함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는, 외장형 소자를 사용하여 상기 스위치 구동 시퀀스의 개시 지연 시간을 임의로 설정하는 기동 지연부를 더 갖는 구성(제2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구성을 포함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직부는, 각 스위치 소자의 동작 부정 기간 경과 후, 상기 스위치 구동 시퀀스의 개시 전에, 장치 외부의 발광 소자 구동 장치에 대하여, 각 발광 소자로의 전류 공급 개시 트리거를 출력하는 구성(제3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중 어느 한쪽의 구성을 포함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는, 외장형 소자를 사용하여 상기 스위치 구동 시퀀스의 동작 주파수를 임의로 설정하는 주파수 설정부를 더 갖는 구성(제4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한쪽의 구성을 포함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직부는, 상기 스위치 구동 시퀀스의 완료 후, 다른 스위치 구동 장치에 대하여 대기 해제 트리거를 출력하는 구성(제5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5 중 어느 한쪽의 구성을 포함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직부는 외부 단자 전압에 따라서 발광 소자 점등 수를 판별하는 구성(제6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6 중 어느 한쪽의 구성을 포함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직부는, 상기 스위치 구동 시퀀스에 따라서 각 스위치 소자를 순차 구동하는 순차 점등 모드 외에, 모든 스위치 소자를 일제히 오프시키는 전체 점등 모드를 실장하는 구성(제7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제7 구성을 포함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직부는, 상기 순차 점등 모드에서는 제1 클럭 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스위치 구동 시퀀스를 실시하는 한편, 상기 전체 점등 모드에서는 상기 제1 클럭 신호보다도 고주파수의 제2 클럭 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스위치 구동 시퀀스를 실시하는 구성(제8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제8 구성을 포함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는, 상기 복수의 스위치 소자를 각각 구동하는 드라이버부와, 상기 드라이버부에 승압 전압을 공급하는 차지 펌프부와, 상기 차지 펌프부의 동작에 필요한 내부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오실레이터부를 더 갖고, 상기 내부 클럭 신호가 상기 제2 클럭 신호로서 유용되는 구성(제9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제7 내지 제9 중 어느 한쪽의 구성을 포함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직부는, 장치 외부로부터 해저드 신호가 입력되고 있을 때, 내지는 상기 스위치 구동 시퀀스의 이상이 검출되고 있을 때, 상기 전체 점등 모드에서 모든 스위치 소자를 일제히 오프시키는 구성(제10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10 중 어느 한쪽의 구성을 포함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는, 상기 스위치 구동 시퀀스의 개시 지연 시간 내지 동작 주파수의 이상을 감시하는 워치독 타이머를 더 갖는 구성(제11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어 있는 발광 장치는, 복수의 발광 소자와, 각 발광 소자의 구동 전류를 생성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와, 상기 제1 내지 제11 중 어느 한쪽의 구성을 포함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를 갖는 구성(제12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2 구성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는, 각각 발광 다이오드, 또는 유기 EL 소자인 구성(제13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제12 또는 제13 구성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는, 헤드램프 모듈, 턴 램프 모듈, 또는 리어램프 모듈로서, 차량에 장착되는 구성(제14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어 있는 차량은, 상기 제12 내지 제14 중 어느 한쪽의 구성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를 갖는 구성(제15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5 구성을 포함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는, 헤드램프, 주야 주행 램프, 테일 램프, 스톱 램프, 및 턴 램프 중 적어도 하나로서 사용되는 구성(제16 구성)으로 하면 된다.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어 있는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컨트롤러 제어를 요하지 않고 발광 소자의 순차 점등 제어를 실현할 수 있는 스위치 구동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발광 장치 및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발광 장치를 탑재한 차량의 전체 구성예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도
도 2는 스위치 구동 장치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스위치 구동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4는 기동 지연부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5는 기동 지연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6a는 주파수 설정부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6b는 주파수 설정부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6c는 주파수 설정부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7은 스위치 구동 장치의 다단 접속예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도
도 8은 다단 제휴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9a는 스위치 구동 장치의 다단 접속 시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차량 배면, 트렁크 폐쇄)
도 9b는 스위치 구동 장치의 다단 접속 시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차량 배면, 트렁크 개방)
도 9c는 스위치 구동 장치의 다단 접속 시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회로 블록)
도 10은 기동 지연차의 일 이용예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11은 SEL 단자 전압과 발광 소자 점등 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
도 12a는 SEL 단자를 사용한 점등 수 설정의 일례(8점등)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도
도 12b는 SEL 단자를 사용한 점등 수 설정의 일례(4점등)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도
도 13a는 전체 점등 모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순차 점등)
도 13b는 전체 점등 모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동시 점등)
도 13c는 전체 점등 모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확대)
도 14a는 HAZ 단자의 접속 베리에이션(제1 예)을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도
도 14b는 HAZ 단자의 접속 베리에이션(제2 예)을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도
도 14c는 HAZ 단자의 접속 베리에이션(제3 예)을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도
도 15a는 제1 워치독 타이머부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15b는 제2 워치독 타이머부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16a는 발광 장치가 탑재되는 차량의 외관도(정면)
도 16b는 발광 장치가 탑재되는 차량의 외관도(배면)
도 17a는 차량 탑재 램프 모듈(헤드램프 모듈)의 외관도
도 17b는 차량 탑재 램프 모듈(턴 램프 모듈)의 외관도
도 17c는 차량 탑재 램프 모듈(리어램프 모듈)의 외관도
도 18은 차량의 제1 종래예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도
도 19a는 차량의 제2 종래예(마이크로컨트롤러 내장)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도
도 19b는 차량의 제2 종래예(마이크로컨트롤러 외장형)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도
도 20a는 차량의 제3 종래예(마이크로컨트롤러 내장)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도
도 20b는 차량의 제3 종래예(마이크로컨트롤러 외장형)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도
<전체 구성>
도 1은, 발광 장치(1)를 탑재한 차량 X의 전체 구성예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도이다. 본 구성예의 차량 X는, 발광 장치(1)와, 배터리(2)와, 전원 스위치(3 및 4)와, 컨트롤러(5)를 갖는다.
발광 장치(1)는, 차량 X의 우좌회전 시나 차선 변경 시 또는 해저드 시에 점멸되는 턴 램프 내지는 해저드 램프이다.
배터리(2)는, 차량 X의 전원이며, 납 축전지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전원 스위치(3 및 4)는, 각각, 발광 장치(1)와 배터리(2)의 사이에 병렬 접속되어 있으며, 컨트롤러(5)로부터의 제어를 받아 온/오프된다.
컨트롤러(5)는, 턴 레버의 조작에 따라서 전원 스위치(3)의 온/오프 제어를 행함과 함께, 해저드 버튼의 누름에 따라 전원 스위치(4)의 온/오프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발광 장치(1)가 우회전용 턴 램프인 경우, 컨트롤러(5)는, 턴 레버가 우회전 방향으로 넘어가 있는 동안, 전원 스위치(3)를 주기적으로 온/오프시켜 발광 장치(1)로의 단속적인 전력 공급을 행한다. 한편, 발광 장치(1)가 좌회전용 턴 램프인 경우, 컨트롤러(5)는, 턴 레버가 좌회전 방향으로 넘어가 있는 동안, 전원 스위치(3)를 주기적으로 온/오프시켜 발광 장치(1)로의 단속적인 전력 공급을 행한다. 또한, 해저드 버튼이 눌려 있는 경우, 컨트롤러(5)는, 발광 장치(1)가 우회전용 턴 램프여도 좌회전용 턴 램프여도, 전원 스위치(4)를 주기적으로 온/오프시켜 발광 장치(1)로의 단속적인 전력 공급을 행한다. 또한, 컨트롤러(5)는, 발광 장치(1)의 이상 플래그(스위치 구동 장치(10)의 FAIL 단자 전압)를 감시하여 운전자에 대한 이상 경보를 행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발광 장치>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서, 발광 장치(1)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발광 장치(1)는, 스위치 구동 장치(10)와, 발광 소자 구동 장치(20)와, 발광 소자군(30)과, 다양한 디스크리트 부품(저항 R1 내지 R3, 캐패시터 C1 내지 C5, 다이오드 D1 내지 D3)을 포함한다.
스위치 구동 장치(10)는, 배터리(2)로부터 입력 전압 Vin의 공급을 받아 동작하고, 발광 소자군(30)을 형성하는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의 단락/비단락을 각각 전환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소위 매트릭스 스위치 드라이버 IC)이다. 스위치 구동 장치(10)는, 장치 외부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복수의 외부 단자(VIN 단자, CNT 단자, HAZ 단자, VREG 단자, SETDLY 단자, SETCLK 단자, SET 단자, SEL1 단자 내지 SEL3 단자, FAIL 단자, CMPLT 단자, SG 단자, VCP 단자, CH0 단자 내지 CH8 단자, GND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발광 소자 구동 장치(20)는, 배터리(2)로부터 입력 전압 Vin의 공급을 받아 동작하고, 발광 소자군(30)(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의 구동 전류 Id를 생성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소위 LED[light emitting diode] 드라이버 IC)이다. 또한, 발광 소자 구동 장치(20)는, 스위치 구동 장치(10)의 SG 단자 전압(전류 공급 개시 트리거 상당)을 감시하고, 스위치 구동 장치(10)의 동작 부정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구동 전류 Id의 공급 개시를 대기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발광 소자군(30)은, 발광 소자 구동 장치(20)와 접지단의 사이에 직렬 접속된 복수의 발광 소자(본 도면에서는, 최대 8개의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를 포함하는 직렬 발광체(소위 LED 스트링)이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을 개별적으로 본 경우, 각각을 단일의 발광 다이오드 소자로서 이해할 수도 있거나, 혹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직렬 내지는 병렬로 조합한 발광 소자 집합체로서 이해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다양한 디스크리트 부품이나 스위치 구동 장치(10)의 외부 단자에 대하여, 각각의 접속 상태를 설명한다. 다이오드 D1의 애노드는, 전원 스위치(3)의 제1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 D2 및 D3의 각 애노드는, 전원 스위치(4)의 제1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 스위치(3 및 4)의 각 제2 단부는, 배터리(2)의 정극단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 D1 및 D2의 각 캐소드는, 스위치 구동 장치(10)의 VIN 단자에 접속됨과 함께, 발광 소자 구동 장치(20)의 전원단에도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 D3의 캐소드는, HAZ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캐패시터 C1은, VIN 단자와 접지단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캐패시터 C2는, VREG 단자와 접지단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캐패시터 C3은, SETDLY 단자와 접지단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캐패시터 C4는, SETCLK 단자와 접지단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캐패시터 C5는, VCP 단자와 CH8 단자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 R1은, SET 단자와 접지단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 R2는, VIN 단자와 FAIL 단자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 R3은, VREG 단자와 SG 단자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구동 장치(10)의 CH0 단자와 GND 단자는, 모두 발광 다이오드 LED1의 캐소드(접지단)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구동 장치(10)의 CH(k) 단자(단, k=1, 2, …, 7)는, 발광 다이오드 LED(k)의 애노드와 발광 다이오드 LED(k+1)의 캐소드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구동 장치(10)의 CH8 단자는, 발광 다이오드 LED8의 애노드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구동 장치(10)의 CNT 단자는, VIN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SEL1 단자 내지 SEL3 단자는, 모두 접지단에 접속되어 있다. CMPLT 단자는, 오픈 상태로 되어 있다. 이들 접속 상태의 의의에 대해서는, 이후의 설명 중에서 밝혀진다.
그런데, 스위치 구동 장치(10)는,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의 순차 점등 제어를 실시할 때, 마이크로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다(상세는 후술함). 따라서, 종래 구성(도 19a 및 도 19b나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과 달리, 마이크로컨트롤러나 마이크로컨트롤러용 전원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발광 장치(1)의 부품 개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발광 장치(1)에 접속되는 하니스의 개수도 대폭 삭감할 수 있으므로, 세트 설계가 용이하게 됨과 함께, EMC 시험 대책이나 이상 모드 검증 등의 작업량을 경감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제어를 요하지 않고 종래와 마찬가지의 순차 점등 제어를 실시할 수 있는 스위치 구동 장치(10)의 내부 구성이나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스위치 구동 장치>
도 2는, 스위치 구동 장치(10)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구성예의 스위치 구동 장치(10)는, 스위치부(100)와, 드라이버부(110)와, 로직부(120)와, 내부 레귤레이터부(130)와, UVLO[under voltage lock out]부(140)와, 전류 설정부(150)와, 오실레이터부(160)와, 주파수 설정부(170)와, 기동 지연부(180)와, 제1 워치독 타이머부(190)와, 제2 워치독 타이머부(200)와, 셀렉터부(210)와, 차지 펌프부(220)와, 오픈/쇼트 검출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도시의 편의상, 도 1과 도 2에서는, 외부 단자의 배열이 일부에서 상이하지만, 동일 명칭의 외부 단자는 서로 대응 관계에 있다.
스위치부(100)는, 복수 채널(본 도면에서는 8채널)의 스위치 소자 SW1 내지 SW8을 포함한다. 스위치 소자 SWx(단 x=1, 2, …, 8)는, 각각, CH(x-1) 단자와 CH(x) 단자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그로 인해, CH(x-1) 단자와 CH(x) 단자의 사이에 발광 다이오드 LEDx가 외장된 경우에는, 스위치 소자 SWx가 발광 다이오드 LEDx에 대하여 병렬 접속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스위치 소자 SWx의 온 기간 중에는, 발광 다이오드 LEDx의 양단 간이 단락되므로, 발광 다이오드 LEDx가 점등 불능 상태로 된다. 한편, 스위치 소자 SWx의 오프 기간 중에는, 발광 다이오드 LEDx의 양단 간이 비단락으로 되므로, 발광 다이오드 LEDx가 점등 가능 상태로 된다.
드라이버부(110)는, 로직부(120)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스위치 소자 SW1 내지 SW8을 각각 구동하는 드라이버 DRV1 내지 DRV8을 포함한다. 또한, 드라이버 DRV1 내지 DRV8은, 차지 펌프부(220)로부터 승압 전압 Vcp의 공급을 받아 동작한다.
로직부(120)는, 그 주된 기능으로서, 스위치 구동 장치(10)로의 전원 투입(보다 정확하게는 UVLO 신호 Suvlo가 감전(減電) 해제 시의 논리 레벨로 된 것)을 받아, 소정의 패턴으로 각 스위치 소자 SW1 내지 SW8의 온/오프 상태를 순차 전환해 가도록, 일련의 스위치 구동 시퀀스를 자동으로 개시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로직부(120)는, 상기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만,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내부 레귤레이터부(130)는, VIN 단자에 인가되는 입력 전압 Vin을 강압하여 원하는 정전압 Vreg(예를 들어 5V)를 생성하고, 이것을 VREG 단자로 출력한다. 또한, 내부 레귤레이터부(130)로서는, LDO[low drop out] 레귤레이터나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UVLO부(140)는, 입력 전압 Vin과 정전압 Vreg의 양쪽(혹은 어느 한쪽)을 감시하여 UVLO 신호 Suvlo를 생성하고, 이것을 로직부(140)로 출력한다. UVLO 신호 Suvlo는, 입력 전압 Vin과 정전압 Vreg가 각각의 감전 해제 전압보다도 높아졌을 때 감전 해제 시의 논리 레벨(예를 들어 하이 레벨)로 되고, 입력 전압 Vin과 정전압 Vreg가 각각의 감전 검출 전압(<감전 해제 전압)보다도 낮아졌을 때 감전 검출 시의 논리 레벨(예를 들어 로우 레벨)로 된다.
전류 설정부(150)는, 소정의 기준 전류 Iset를 생성하고, 이것을 주파수 설정부(170)나 기동 지연부(180)로 출력한다. 또한, 기준 전류 Iset의 전류값은, SET 단자(150)에 외장되는 저항 R1(도 1을 참조)의 저항값에 대응하여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오실레이터부(160)는, 차지 펌프부(220)의 동작에 필요한 내부 클럭 신호 INTCLK(예를 들어 2㎒)를 생성한다. 또한, 내부 클럭 신호 INTCLK는, 차지 펌프부(220)뿐만 아니라 셀렉터부(210)로도 출력되어 있다.
주파수 설정부(170)는, 외장형 소자를 사용하여 스위치 구동 시퀀스의 동작 주파수를 임의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파수 설정부(170)는, SETCLK 단자에 외장되는 캐패시터 C4(도 1을 참조)의 용량값과 기준 전류 Iset의 전류값(나아가서는 SET 단자에 외장되는 저항 R1의 저항값)에 대응하여 주파수가 변화하는 가변 클럭 신호 CLK(예를 들어 500㎐ 내지 50㎑)를 생성하고, 이것을 셀렉터부(210)로 출력한다.
기동 지연부(180)는, 외장형 소자를 사용하여 스위치 구동 시퀀스의 개시 지연 시간 tDLY를 임의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동 지연부(180)는, SETDLY 단자에 외장되는 캐패시터 C3(도 1을 참조)과 기준 전류 Iset의 전류값(나아가서는 SET 단자에 외장되는 저항 R1의 저항값)에 대응하여 논리 변천 타이밍이 변화하는 기동 지연 신호 Sdly를 생성하고, 이것을 로직부(120)로 출력한다.
제1 워치독 타이머부(190)는, 스위치 구동 시퀀스의 동작 주파수의 이상을 감시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워치독 타이머부(190)는, 가변 클럭 신호 CLK를 감시하여 제1 이상 검출 신호 Swdt1을 생성하고, 이것을 로직부(120)와 셀렉터부(210)로 각각 출력한다. 제1 이상 검출 신호 Swdt1은, 예를 들어 이상 미검출 시에 하이 레벨로 되고, 이상 검출 시에 로우 레벨로 된다.
제2 워치독 타이머부(200)는, 스위치 구동 시퀀스의 개시 지연 시간 tDLY의 이상을 감시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워치독 타이머부(200)는, 기동 지연 신호 Sdly를 감시하여 제2 이상 검출 신호 Swdt2를 생성하고, 이것을 로직부(120)와 셀렉터부(210)로 각각 출력한다. 제2 이상 검출 신호 Swdt2는, 예를 들어 이상 미검출 시에 하이 레벨로 되고, 이상 검출 시에 로우 레벨로 된다.
셀렉터부(210)는, 내부 클럭 신호 INTCLK와 가변 클럭 신호 CLK 중 어느 한쪽을 로직부(120)로 선택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셀렉터부(210)는, HAZ 단자 전압이 로우 레벨(=해저드 램프 비점등 시의 논리 레벨)이며, 또한 제1 이상 검출 신호 Swdt1과 제2 이상 검출 신호 Swdt2가 모두 하이 레벨(=이상 미검출 시의 논리 레벨)일 때, 가변 클럭 신호 CLK를 로직부(120)로 선택 출력한다. 한편, 셀렉터부(210)는, HAZ 단자 전압이 하이 레벨(=해저드 램프 점등 시의 논리 레벨)일 때, 혹은 제1 이상 검출 신호 Swdt1과 제2 이상 검출 신호 Swdt2 중 적어도 한쪽이 로우 레벨(=이상 검출 시의 논리 레벨)일 때, 내부 클럭 신호 INTCLK를 로직부(120)로 선택 출력한다.
차지 펌프부(220)는, VCP 단자에 외장되어 있는 캐패시터 C5(도 1을 참조)를 사용하여 승압 전압 Vcp를 생성하고, 이것을 드라이버부(110)에 공급한다.
오픈/쇼트 검출부(230)는, CH0 단자 내지 CH8 단자에 각각 나타나는 노드 전압을 감시하여 오픈/쇼트 검출 신호 Sdet를 생성하고, 이것을 로직부(120)로 출력한다. 또한, 오픈/쇼트 검출 신호 Sdet는,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1 내지 8 중 어느 쪽에도 이상이 발생하지 않고 있을 때 이상 미검출 시의 논리 레벨(예를 들어 하이 레벨)로 되고,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 중 적어도 하나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을 때 이상 검출 시의 논리 레벨(예를 들어 로우 레벨)로 된다.
<스위치 구동 시퀀스>
도 3은, 스위치 구동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며,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입력 전압 Vin, 정전압 Vreg, UVLO 신호 Suvlo, 내부 클럭 신호 INTCLK, 승압 전압 Vcp, SETCLK 단자 전압, 가변 클럭 신호 CLK, SETDLY 단자 전압, 기동 지연 신호 Sdly, SG 단자 전압, CMPLT 단자 전압, 및 LED*(단*=8, 7, …, 1)의 점소등 상태(H: 점등, L: 소등) 및 스위치 소자 SW*의 온/오프 상태가 묘사되어 있다.
또한, 도시의 편의상, 내부 클럭 신호 INTCLK나 가변 클럭 신호 CLK의 펄스는 실제보다도 크게 묘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도면 중에서의 기동 지연 시간 tDLY, 전류 공급 대기 시간 tdSG, 및 점등 천이 시간 tPS의 시간 폭과, 펄스 카운트 수는, 반드시 정합되어 있지는 않다.
스위치 구동 장치(10)에 대한 전원 투입 후, 시각 t1에 있어서, UVLO 신호 Suvlo가 하이 레벨(=감전 해제 시의 논리 레벨)로 상승하면, 내부 클럭 신호 INTCLK나 가변 클럭 신호 CLK의 생성 동작이 개시되고, 스위치 구동 장치(10)의 각 부가 동작 가능 상태로 된다.
이때, 로직부(120)는, 스위치 소자 SW1 내지 SW8을 그때까지의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초기화하도록 드라이버부(110)를 제어한다. 단, 시각 t1의 시점에서는, 차지 펌프부(220)의 승압 동작이 개시되었을 뿐이며, 드라이버부(110)의 출력 동작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스위치 소자 SW1 내지 SW8의 동작 부정 기간(X로 표시한 해칭 영역을 참조)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 동작 부정 기간 이전에 발광 소자 구동 장치(20)로부터 구동 전류 Id가 출력되면,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이 의도치 않게 순간 점등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로직부(120)는, 스위치 소자 SW1 내지 SW8의 동작 부정 기간 경과 후, 스위치 구동 시퀀스의 개시 전에, 장치 외부의 발광 소자 구동 장치(20)에 대하여,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로의 전류 공급 개시 트리거를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로직부(120)는, 스위치 소자 SW1 내지 SW8의 동작 부정 기간에 걸쳐서 SG 단자 전압을 로우 레벨(=전류 공급 대기시의 논리 레벨)로 하고, 시각 t1로부터 전류 공급 대기 시간 tdSG가 경과한 시각 t2의 시점에서, SG 단자 전압을 로우 레벨로부터 하이 레벨(=전류 공급 대기 해제 시의 논리 레벨)로 상승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스위치 소자 SW1 내지 SW8의 동작 부정 기간 중에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20)로부터 구동 전류 Id가 출력되지 않게 되므로,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의 순간 점등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전류 공급 개시 트리거의 출력 타이밍에 대해서는, 상기와 같이 시각 t1로부터 전류 공급 대기 시간 tdSG가 경과한 시점으로 해도 되거나, 혹은 드라이버 DRV1 내지 DRV8의 출력 레벨이 소정의 임계값을 상회한 시점으로 해도 된다.
그 후, 시각 t1로부터 소정의 기동 지연 시간 tDLY가 경과하여 기동 지연 신호 Sdly가 하이 레벨로 상승하면, 로직부(120)는, 시각 t3 이후, 가변 클럭 신호 CLK에 따른 점등 천이 시간 tPS마다, 스위치 소자 SW1 내지 SW8을 순차 누적적으로 오프시켜 간다. 예를 들어, 점등 천이 시간 tPS는, 가변 클럭 신호 CLK의 256 카운트분으로 설정해 두면 된다. 그 경우, 가변 클럭 신호 CLK의 발진 주파수가 5.12㎑이면, 점등 천이 시간 tPS가 50㎳로 된다.
상기와 같이 스위치 소자 SW1 내지 SW8을 순차 누적적으로 오프시켜 감으로써,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의 점등 수가 서서히 증가해가므로, 점등 영역의 면적이 시간의 경과와 함께 확대되어 간다. 즉, 일련의 스위치 구동 시퀀스가 완료되면, 스위치 소자 SW1 내지 SW8은 모두 오프 상태로 되고,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이 전체 점등된 상태로 된다. 또한, 점등 영역을 흐르도록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스위치 소자 SW1 내지 SW8을 순차 배타적으로 오프시켜 가면 된다.
시각 t5에 있어서, 모든 스위치 소자 SW1 내지 SW8을 오프시킨 후, 로직부(120)는, 점등 천이 시간 tPS가 더 경과한 시각 t6에 있어서, CMPLT 단자 전압을 하이 레벨로 상승시킨다. 또한, CMPLT 단자는, 복수의 스위치 구동 장치(10)를 시리얼 접속할 때 이용되는 외부 단자이며, 그 기능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그 후, 스위치 구동 장치(10)로의 전원 차단에 수반하여, 시각 t7에 있어서, UVLO 신호 Suvlo가 로우 레벨(=감전 검출 시의 논리 레벨)로 하강하면, 내부 클럭 신호 INTCLK나 가변 클럭 신호 CLK의 생성 동작이 정지되어, 스위치 구동 장치(10)의 각부가 동작 불능 상태로 된다. 이때, 스위치 소자 SW1 내지 SW8은, 이미 오프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전원 투입 시와 같은 순간 점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일련의 스위치 구동 시퀀스는, 전원 스위치(3) 내지는 전원 스위치(4)가 주기적으로 온/오프되어 스위치 구동 장치(10)로의 전원 공급과 전원 차단이 반복될 때마다 실행된다.
<기동 지연부>
도 4는, 기동 지연부(180)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기동 지연부(180)는, 전류원(181)과, 스위치(182)와, N채널형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83)와, 비교기(184)와, D 플립플롭(185)과, 필터(186)를 포함한다.
전류원(181)은, 기준 전류 Iset에 따른 정전류 I181을 생성한다. 또한, 전류원(181)의 제1 단부는, 전원단(예를 들어 정전압 Vreg의 인가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류원(181)의 제2 단부는, 스위치(182)를 통해 SETDLY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182)는, UVLO 신호 Suvlo에 따라서 전류원(181)의 제2 단부와 SETDLY 단자 사이를 도통/차단한다. 스위치(182)는, UVLO 신호 Suvlo가 감전 해제 시의 논리 레벨(예를 들어 하이 레벨)일 때 온하고, UVLO 신호 Suvlo가 감전 검출 시의 논리 레벨(예를 들어 로우 레벨)일 때 오프한다.
트랜지스터(183)는, SETDLY 단자에 외장되는 캐패시터 C3의 방전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트랜지스터(183)의 드레인은, SETDLY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83)의 소스와 백 게이트는, 모두 접지단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83)의 게이트는, D 플립플롭(185)의 출력단(Q)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83)는, 래치 신호 S2(D 플립플롭(185)의 출력 신호)가 하이 레벨일 때 온하고, 래치 신호 S2가 로우 레벨일 때 오프한다.
비교기(184)는, 비반전 입력단(+)에 입력되는 SETDLY 단자 전압(캐패시터 C3의 충전 전압)과, 반전 입력단(-)에 입력되는 임계값 전압 Vth를 비교해서 비교 신호 S1을 생성한다. 비교 신호 S1은, SETDLY 단자 전압이 임계값 전압 Vth보다도 높을 때 하이 레벨로 되고, SETDLY 단자 전압이 임계값 전압 Vth보다도 낮을 때 로우 레벨로 된다. 또한, 비교기(184)에는, 노이즈 내성을 높이기 위해 히스테리시스를 갖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D 플립플롭(185)은, 클럭단에 입력되는 비교 신호 S1의 상승 에지를 트리거로 하여, 데이터단(D)에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하이 레벨 고정)를 페치(fetch)하고, 이것을 래치 신호 S2로서 출력단(Q)으로부터 출력한다. 한편, D 플립플롭(185)은, 리셋단에 입력되는 UVLO 신호 Suvlo가 로우 레벨일 때, 래치 신호 S2를 로우 레벨로 리셋한다.
필터(186)는, 래치 신호 S2에 중첩하는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기동 지연 신호 Sdly를 생성한다.
도 5는, 기동 지연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도 1에 있어서의 시각 t1 내지 t3의 확대도에 상당)이며,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UVLO 신호 Suvlo, SETDLY 단자 전압, 비교 신호 S1, 래치 신호 S2, 및 기동 지연 신호 Sdly가 묘사되어 있다.
시각 t11에 있어서, UVLO 신호 Suvlo가 하이 레벨로 상승하면, 스위치(182)가 온한다. 이때, 래치 신호 S2는 로우 레벨이며, 트랜지스터(183)는 오프하고 있다. 따라서, 캐패시터 C3이 정전류 I181에 의해 충전되므로, SETDLY 단자 전압이 상승을 개시한다.
시각 t12에 있어서, SETDLY 단자 전압이 임계값 전압 Vth보다도 높아지면, 비교 신호 S1이 하이 레벨로 상승하고, 래치 신호 S2가 하이 레벨로 래치된다. 이때, 트랜지스터(183)가 온하여 캐패시터 C3이 방전되므로, SETDLY 단자 전압이 저하로 돌아선다.
그 후, 시각 t13에 있어서, 필터링 처리를 거친 기동 지연 신호 Sdly가 하이 레벨로 상승하면, 로직부(120)에 의한 일련의 스위치 구동 시퀀스가 개시된다(전술의 도 3을 참조). UVLO 신호 Suvlo가 하이 레벨로 상승하고 나서, 기동 지연 신호 Sdly가 하이 레벨로 상승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이 기동 지연 시간 tDLY에 상당한다.
또한, 기동 지연 시간 tDLY는, 정전류 I181의 전류값(나아가서는, 저항 R1의 저항값)이나 캐패시터 C3의 용량값에 따라서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구성예의 기동 지연부(180)에 의하면, 외장형 소자(저항 R1과 캐패시터 C3)를 사용하여, 스위치 구동 시퀀스의 개시 타이밍을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전원 투입부터 기동 완료까지 장시간을 요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20)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기동 지연 시간 tDLY를 그에 맞춰 약간 길게 설정하면 된다. 이러한 설정을 행함으로써, 발광 소자 구동 장치(20)로부터 발광 소자군(30)에 충분한 구동 전류 Id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플라잉 기색으로 스위치 구동 시퀀스를 개시해버린다는 문제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당연하지만, 기동 지연 시간 tDLY는, 전류 공급 대기 시간 tdSG보다도 좀 길게 설정해 둘 필요가 있다. 또는, 본 도면의 「UVLO 신호 Suvlo」를 「SG 단자 전압」으로 바꿔 읽고, 전류 공급 대기 시간 tdSG의 경과(=SG 단자 전압의 상승)를 트리거로 하여, 기동 지연 시간 tDLY의 계시(=SETDLY 단자 전압의 충전)를 개시하는 사양으로 해도 된다.
<주파수 설정부>
도 6a는, 주파수 설정부(170)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도면의 주파수 설정부(170)는, 전류원(171)과, 스위치(172)와, N채널형 MOS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173)와, 비교기(174)를 포함한다.
전류원(171)은, 기준 전류 Iset에 따른 정전류 I171을 생성한다. 또한, 전류원(171)의 제1 단부는, 전원단(예를 들어 정전압 Vreg의 인가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류원(171)의 제2 단부는, 스위치(172)를 통해 SETCLK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172)는, UVLO 신호 Suvlo에 따라서 전류원(171)의 제2 단부와 SETCLK 단자의 사이를 도통/차단한다. 스위치(172)는, UVLO 신호 Suvlo가 감전 해제 시의 논리 레벨(예를 들어 하이 레벨)일 때 온하고, UVLO 신호 Suvlo가 감전 검출 시의 논리 레벨(예를 들어 로우 레벨)일 때 오프한다.
트랜지스터(173)는, SETCLK 단자에 외장되는 캐패시터 C4의 방전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트랜지스터(173)의 드레인은, SETCLK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73)의 소스와 백 게이트는, 모두 접지단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73)의 게이트는, 비교기(174)의 출력단(=가변 클럭 신호 CLK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173)는, 가변 클럭 신호 CLK(비교기(174)의 출력 신호)가 하이 레벨일 때 온하고, 가변 클럭 신호 CLK가 로우 레벨일 때 오프한다.
비교기(174)는, 비반전 입력단(+)에 입력되는 SETCLK 단자 전압(캐패시터 C4의 충전 전압)과, 반전 입력단(-)에 입력되는 임계값 전압 V1/V2(단 V1>V2, 전술의 도 3을 참조)를 비교하여 가변 클럭 신호 CLK를 생성한다. 가변 클럭 신호 CLK는, SETCLK 단자 전압이 임계값 전압 V1보다도 높아졌을 때 하이 레벨로 되고, SETDLY 단자 전압이 임계값 전압 V2보다도 낮아졌을 때 로우 레벨로 된다. 이와 같이, 비교기(174)에는, 히스테리시스를 갖게 하고 있다.
전술의 도 3을 참조하면서, 가변 클럭 신호 CLK의 생성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각 t1에 있어서, UVLO 신호 Suvlo가 하이 레벨로 상승하면, 스위치(172)가 온한다. 이때, 가변 클럭 신호 CLK는 로우 레벨이며, 트랜지스터(173)는 오프하고 있다. 따라서, 캐패시터 C4가 정전류 I171에 의해 충전되므로, SETCLK 단자 전압이 상승을 개시한다.
SETCLK 단자 전압이 임계값 전압 V1보다도 높아지면, 가변 클럭 신호 CLK가 하이 레벨로 상승한다. 이때, 트랜지스터(173)가 온하여 캐패시터 C4가 방전되므로, SETCLK 단자 전압이 저하로 돌아선다.
그 후, SETCLK 단자 전압이 임계값 전압 V2보다도 낮아지면, 가변 클럭 신호 CLK가 로우 레벨로 하강한다. 이때, 트랜지스터(173)가 오프하여 캐패시터 C4의 방전이 정지되므로, SETCLK 단자 전압이 다시 상승으로 돌아선다.
이후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캐패시터 C4의 충방전 동작이 반복됨으로써, SETCLK 단자 전압이 임계값 전압 V1과 임계값 전압 V2의 사이에서 오르내리고, 가변 클럭 신호 CLK에 주기적인 펄스가 생성된다.
또한, 가변 클럭 신호 CLK의 발진 주파수는, 정전류 I171의 전류값(나아가서는 저항 R1의 저항값)이나 캐패시터 C4의 용량값에 따라서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로직부(120)에서는, 가변 클럭 신호 CLK에 동기하여 전술한 스위치 구동 시퀀스가 실행된다. 따라서, 본 구성예의 주파수 설정부(170)에 의하면, 외장형 소자(저항 R1과 캐패시터 C4)를 사용하여, 스위치 구동 시퀀스의 동작 주파수를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가변 클럭 신호 CLK의 발진 주파수가 높을수록 점등 천이 시간 tPS가 짧아지게 되어, 가변 클럭 신호 CLK의 발진 주파수가 낮을수록 점등 천이 시간 tPS가 길어진다. 즉, 본 구성예의 주파수 설정부(170)에 의하면,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의 순차 점등 제어를 임의의 속도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유저 요구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외장형 소자에 대해서는, 도 6a의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도 6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장형의 캐패시터만을 사용하여 가변 클럭 신호 CLK의 발진 주파수를 가변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거나, 혹은 도 6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외장형의 저항만을 사용하여 가변 클럭 신호 CLK의 발진 주파수를 가변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스위치 구동 장치의 다단 접속>
도 7은, 스위치 구동 장치(10a 및 10b)의 다단 접속예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도이다. 본 도면의 발광 장치(1)는, 스위치 구동 장치(10a 및 10b)(각각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의 스위치 구동 장치(10)(도 2)와 마찬가지)와, 발광 소자 구동 장치(20)와, 발광 소자군(30a 및 30b)과, 다양한 디스크리트 부품(저항 R1 내지 R5, 캐패시터 C1 내지 C9, 다이오드 D1 내지 D3)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앞에 설명한 도 1과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을 행한다.
발광 소자군(30a 및 30b)은, 발광 소자 구동 장치(20)와 접지단의 사이에 직렬 접속되어 있다. 발광 소자군(30a)은, 6점등의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6을 포함한다. 한편, 발광 소자군(30b)은, 6점등의 발광 다이오드 LED7 내지 LED12를 포함한다. 스위치 구동 장치(10a)는, CH0 단자 내지 CH6 단자의 각 상호 간에 외장된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6의 단락/비단락을 각각 전환한다. 한편, 스위치 구동 장치(10b)는, CH0 단자 내지 CH6 단자의 각 상호 간에 외장된 발광 다이오드 LED7 내지 LED12의 단락/비단락을 각각 전환한다. 스위치 구동 장치(10a 및 10b)의 양쪽에 있어서, 불사용으로 되는 채널 단자 간(CH6 단자와 CH7 단자의 사이, 및 CH7 단자와 CH8 단자의 사이)은, 각각 단락되어 있다.
이와 같이, 12점등의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12는, 그 발열을 균등하게 분산시키기 위해서, 스위치 구동 장치(10a 및 10b)에 대하여, 6점등씩 균등하게 분배 접속되어 있다. 단,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12의 분배 비율에 대해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스위치 구동 장치(10a 및 10b)에 대하여, 불균등 (예를 들어 8점등:4점등)하게 분배 접속해도 된다.
또한, 스위치 구동 장치(10a 및 10b)에 대하여, 각각 발광 다이오드를 6점등씩 접속하는 경우에는, SEL1 단자와 SEL3 단자를 GND 단자에 접속하고, SEL2 단자를 VREG 단자에 접속하면 된다. 이들 접속 상태의 의의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스위치 구동 장치(10a 및 10b)의 외부 접속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스위치 구동 장치(10a)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도 1의 스위치 구동 장치(10)로서 이해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도면에서 새롭게 추가된 스위치 구동 장치(10b)의 외부 접속 관계를 중심으로 상세한 설명을 행한다.
캐패시터 C6은, 스위치 구동 장치(10b)의 VIN 단자와 접지단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구동 장치(10b)의 VIN 단자는, 다이오드 D1 및 D2의 캐소드(= 입력 전압 Vin의 인가단)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구동 장치(10b)의 HAZ 단자는, 다이오드 D3의 캐소드(=해저드 신호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캐패시터 C7은, 스위치 구동 장치(10b)의 VREG 단자와 접지단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구동 장치(10b)의 SETDLY 단자는, 전단의 스위치 구동 장치(10a)와 달리, 오픈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은, 후단의 스위치 구동 장치(10b)에 있어서, 기동 지연 시간 tDLY를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캐패시터 C8은, 스위치 구동 장치(10b)의 SETCLK 단자와 접지단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캐패시터 C9는, 스위치 구동 장치(10b)의 VCP 단자와 CH8 단자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 R4는, 스위치 구동 장치(10b)의 SET 단자와 접지단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 R5는, 스위치 구동 장치(10b)의 CNT 단자와 전원단(예를 들어 VREG 단자)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구동 장치(10b)의 CNT 단자는, 스위치 구동 장치(10a)의 CMPLT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치 구동 장치(10a 및 10b)는, 1개의 시리얼 신호선을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당해 시리얼 신호선을 사용하여 양쪽의 다단 제휴 동작(=스위치 구동 장치(10a)에 의한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6의 순차 점등 제어가 완료된 후, 스위치 구동 장치(10b)에 의한 발광 다이오드 LED7 내지 LED12의 순차 점등 제어로의 이어받기를 행하는 동작)이 실현된다. 한편, 스위치 구동 장치(10b)의 CMPLT 단자는, 오픈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구동 장치(10a 및 10b)의 각 SETCLK 단자에 각각 캐패시터 C4 및 C8이 외장되어 있음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위치 구동 장치(10a 및 10b)에서는, 각각의 가변 클럭 신호 CLK가 서로 비동기로 생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스위치 구동 장치(10a)로부터 스위치 구동 장치(10b)에 가변 클럭 신호 CLK를 전달할 필요가 없으므로, 양자 간의 신호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된다. 또한, 스위치 구동 장치(10a 및 10b) 각각의 가변 클럭 신호 CLK가 비동기여도, 상기 시리얼 신호선을 통해 양쪽의 다단 제휴 동작이 실시되고 있는 이상, 인간에게 시인될 만큼의 점등 타이밍 어긋남이 발생할 우려는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발광 소자 구동 장치(20)는,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치 구동 장치(10a)의 SG 단자 전압을 감시하여 구동 전류 Id의 공급 개시를 대기한다.
스위치 구동 장치(10b)의 FAIL 단자는, 스위치 구동 장치(10a)의 FAIL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구동 장치(10b)의 GND 단자는, 접지단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치 구동 장치(10a 및 10b)를 시리얼 접속하여 양쪽의 다단 제휴 동작(상세는 후술)을 실시함으로써, 스위치 구동 장치(10a 및 10b)의 채널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9점등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를 순차 점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유저 요구(발광 장치(1)에 필요한 발광 소자의 점등 수)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은, 스위치 구동 장치(10a 및 10b)에 의한 다단 제휴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며,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입력 전압 Vin, 스위치 구동 장치(10a)의 거동(CNT 단자 전압, 기동 지연 신호 Sdly, CMPLT 단자 전압 및 발광 다이오드 LEDi(단 i=6, …, 2, 1)의 점소등 상태(H: 점등, L: 소등)), 및 스위치 구동 장치(10b)의 거동(CNT 단자 전압, 기동 지연 신호 Sdly, CMPLT 단자 전압 및 발광 다이오드 LEDj(단 j=12, …, 8, 7)의 점소등 상태(H: 점등, L: 소등))가 묘사되어 있다.
시각 t21에 있어서, 발광 장치(1)에의 전원 투입(도 1의 전원 스위치(3) 또는 4의 온 전환)이 행해지면, 입력 전압 Vin이 상승하기 시작한다. 스위치 구동 장치(10a)에서는, CNT 단자가 VIN 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시각 t21 이후, 입력 전압 Vin의 상승과 함께, CNT 단자 전압도 상승해 간다. 한편, 스위치 구동 장치(10b)에서는, 그 CNT 단자가 스위치 구동 장치(10a)의 CMPLT 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시각 t21 이후에도, CNT 단자 전압이 로우 레벨로 유지된 상태로 된다.
시각 t22에 있어서, 입력 전압 Vin이 감전 해제 전압 VTH1보다도 높아지면, 스위치 구동 장치(10a 및 10b)가 동작 가능 상태로 된다. 이 시점에서, 스위치 구동 장치(10a)의 CNT 단자 전압은, 하이 레벨(=대기 해제 전압 VTH2보다도 높은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스위치 구동 장치(10b)의 CNT 단자 전압은, 시각 t22에 있어서도, 로우 레벨로 유지되고 있다.
스위치 구동 장치(10a 및 10b)에 각각 설치되는 로직부(120)는, 각각 감시하는 CNT 단자 전압이 하이 레벨로 상승할 때까지, 스위치 구동 시퀀스의 개시를 대기한다. 따라서, 스위치 구동 장치(10a)는, 감전 상태가 해제된 시각 t22 이후, 스위치 구동 시퀀스를 언제나 개시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한편, 스위치 구동 장치(10b)는, 시각 t22 이후에도, 스위치 구동 시퀀스의 개시를 대기한 상태로 된다.
그 후, 스위치 구동 장치(10a)에서는, 시각 t22로부터 기동 지연 시간 tDLY가 경과한 시각 t23에 있어서, 기동 지연 신호 Sdly가 하이 레벨로 상승되어, 일련의 스위치 구동 시퀀스가 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위치 구동 장치(10a)에서는, 시각 t23 이후, 소정의 점등 천이 시간 tPS마다,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6이 순차 점등되어 간다.
한편, 스위치 구동 장치(10b)에서는, 그 SETDLY 단자가 오픈 상태(도 7을 참조)로 되어 있으므로, 시각 t22에 있어서의 감전 해제를 받아, 기동 지연 신호 Sdly가 지체 없이 하이 레벨로 상승된다. 단,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 구동 장치(10b)의 CNT 단자 전압은, 시각 t22 이후에도 로우 레벨로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기동 지연 신호 Sdly가 하이 레벨로 상승되어 있어도, 스위치 구동 장치(10b)에 의한 스위치 구동 시퀀스가 개시되는 일은 없다.
그 후, 스위치 구동 장치(10a)의 로직부(120)는, 시각 t25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6을 전체 점등시킨 후, 또한 점등 천이 시간 tPS가 경과한 시각 t26에 있어서, CMPLT 단자 전압을 하이 레벨로 상승시킨다. 즉, 스위치 구동 장치(10a)의 로직부(120)는, 일련의 스위치 구동 시퀀스가 완료된 후, 스위치 구동 장치(10b)에 대하여 대기 해제 트리거를 출력한다.
시각 t26에 있어서, 스위치 구동 장치(10a)의 CMPLT 단자 전압이 하이 레벨로 상승하면, 스위치 구동 장치(10b)의 CNT 단자 전압이 하이 레벨로 상승하므로, 스위치 구동 장치(10b)에 의한 일련의 스위치 구동 시퀀스가 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위치 구동 장치(10b)에서는, 시각 t26 이후, 소정의 점등 천이 시간 tPS마다, 발광 다이오드 LED7 내지 LED12가 순차 점등되어 간다.
또한, 스위치 구동 장치(10b)의 로직부(120)는, 시각 t28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 LED7 내지 LED12를 전체 점등시킨 후, 또한 점등 천이 시간 tPS가 경과한 시각 t29에 있어서, CMPLT 단자 전압을 하이 레벨로 상승시킨다. 단, 스위치 구동 장치(10b)의 후단에 다른 스위치 구동 장치가 접속되지 않으므로, 이 이상, 발광 다이오드의 순차 점등 제어가 계속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본 구성예의 발광 장치(1)에서는, 스위치 구동 장치(10a)에 의한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6의 순차 점등 제어가 행해진 후, 그때까지와 마찬가지의 점등 천이 시간 tPS가 경과한 시점에서, 스위치 구동 장치(10b)에 의한 발광 다이오드 LED7 내지 LED12의 순차 점등 제어가 계속된다. 따라서, 발광 장치(1) 전체로 보면, 단일의 스위치 구동 장치를 사용하여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12의 단락/비단락을 전환하고 있는 것처럼, 자연스러운 순차 점등 제어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구성예에서는, CMPLT 단자 전압을 다음 단의 대기 해제 트리거로서 이용하는 구성을 예로 들었지만, CMPLT 단자 전압에는 「정상적으로 LED 점등이 완료되었다」라는 의미가 있으므로, 이것을 외부의 컨트롤러(5)로 감시함으로써, LED 점등의 정상/이상을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a 내지 도 9c는, 각각, 스위치 구동 장치(10a 및 10b)의 다단 접속 시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의 발광 장치(1a 및 1b)는, 리어용 턴 램프 모듈로서 차량 X에 실장되어 있다. 발광 장치(1a)는 트렁크에 설치되어 있으며, 발광 장치(1b)는 바디에 설치되어 있다. 도 9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 장치(1a)는, 스위치 구동 장치(10a)와 발광 소자군(30a)을 갖는다. 한편, 발광 장치(1b)는, 스위치 구동 장치(10b)와, 발광 소자 구동 장치(20)와, 발광 소자군(30b)을 갖는다. 발광 소자군(30a 및 30b)은, 발광 소자 구동 장치(20)와 접지단의 사이에 직렬 접속되어 있다.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렁크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는, 발광 장치(1a)와 발광 장치(1b)에 의해 단일의 턴 램프가 형성된다. 단, 도 9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렁크는, 당연하겠지만 개폐 가능한 상태에서 바디에 부착된다. 따라서, 스위치 구동 장치(10a)의 CMPLT 단자와 스위치 구동 장치(10b)의 CNT 단자를 시리얼 접속하기 위해서는, 스위치 구동 장치(10a)로부터 일단 바디를 통해 스위치 구동 장치(10b)까지 하니스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한 발광 장치(1a 및 1b)의 사용 형태에 있어서, 스위치 구동 장치(10a 및 10b)를 서로 시리얼 접속하는 것이 아니고, 앞에서 설명한 기동 지연부(180)를 활용함으로써, 발광 소자군(30a 및 30b)이 마치 일체인 것처럼, 각각의 순차 점등 제어를 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기동 지연차의 일 이용예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며,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입력 전압 Vin, 스위치 구동 장치(10a)의 거동(CNT 단자 전압, 기동 지연 신호 Sdly 및 발광 다이오드 LEDi(단 i=6, …, 2, 1)의 점소등 상태(H: 점등, L: 소등)), 및 스위치 구동 장치(10b)의 거동(CNT 단자 전압, 기동 지연 신호 Sdly 및 발광 다이오드 LEDj(단 j=12, …, 8, 7)의 점소등 상태(H: 점등, L: 소등))가 묘사되어 있다.
또한, 설명의 전제 조건으로서, 스위치 구동 장치(10b)의 CNT 단자는, 스위치 구동 장치(10a)의 CMPLT 단자가 아니라, 스위치 구동 장치(10b)의 VIN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스위치 구동 장치(10a 및 10b)는, 앞에서 설명한 다단 제휴 동작을 행하지 않고, 어디까지나 개별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시각 t31에 있어서, 발광 장치(1a 및 1b)로의 전원 투입(도 1의 전원 스위치(3) 또는 4의 온 전환)이 행해지면, 입력 전압 Vin이 상승하기 시작한다.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치 구동 장치(10a 및 10b)에서는, CNT 단자가 VIN 단자에 각각 접속되어 있으므로, 시각 t31 이후, 입력 전압 Vin의 상승과 함께, CNT 단자 전압도 상승해 간다.
시각 t32에 있어서, 입력 전압 Vin이 감전 해제 전압 VTH1보다도 높아지면, 스위치 구동 장치(10a 및 10b)가 동작 가능 상태로 된다. 이 시점에서, 스위치 구동 장치(10a 및 10b)의 CNT 단자 전압은, 하이 레벨(=대기 해제 전압 VTH2보다도 높은 상태)로 되어 있다.
스위치 구동 장치(10a 및 10b)에 각각 설치되는 로직부(120)는, 각각 감시하는 CNT 단자 전압이 하이 레벨로 상승될 때까지, 스위치 구동 시퀀스의 개시를 대기한다. 따라서, 스위치 구동 장치(10a 및 10b)는, 모두 감전 상태가 해제된 시각 t32 이후, 스위치 구동 시퀀스를 언제나 개시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그 후, 스위치 구동 장치(10a)에서는, 시각 t32로부터 제1 기동 지연 시간 tDLYa가 경과한 시각 t33에 있어서, 기동 지연 신호 Sdly가 하이 레벨로 상승되어, 일련의 스위치 구동 시퀀스가 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위치 구동 장치(10a)에서는, 시각 t33 이후, 소정의 점등 천이 시간 tPS마다,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6이 순차 점등되어 간다.
한편, 스위치 구동 장치(10b)에서는, 시각 t32로부터 제2 기동 지연 시간 tDLYb가 경과하는 시각 t36까지, 기동 지연 신호 Sdly가 로우 레벨로 유지된다. 또한, 제2 기동 지연 시간 tDLYb는, 제1 기동 지연 시간 tDLYa에 6점등분의 점등 천이 시간 tPS를 더한 길이(=tDLYa+6×tPS)로 미리 설정해 두면 된다. 이러한 설정을 행함으로써, 스위치 구동 장치(10a)에 의한 일련의 스위치 구동 시퀀스에 이어, 스위치 구동 장치(10b)에 의한 일련의 스위치 구동 시퀀스가 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6이 전체 점등된 후, 또한 점등 천이 시간 tPS가 경과한 시각 t36 이후, 스위치 구동 장치(10b)에서는, 소정의 점등 천이 시간 tPS마다, 발광 다이오드 LED7 내지 LED12가 순차 점등되어 간다.
이와 같이, 기동 지연 시간 tDLYa 및 tDLYb를 적절하게 설정하고, 스위치 구동 장치(10a)의 스위치 구동 시퀀스가 종료하는 타이밍에, 스위치 구동 장치(10b)의 스위치 구동 시퀀스를 개시시키는 구성이면, 스위치 구동 장치(10a 및 10b)를 다단 접속하지 않고, 발광 소자군(30a 및 30b)의 순차 점등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9a 내지 도 9c의 사용 형태에 있어서도, 스위치 구동 장치(10a)와 스위치 구동 장치(10b)의 사이에서 하니스를 배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SEL 단자>
도 11은, SEL 단자 전압과 발광 소자 점등 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로직부(120)는, 복수의 SEL 단자 전압(여기서는, SEL1 단자 전압, SEL2 단자 전압, SEL3 단자 전압)의 조합에 따라서, CH0 단자 내지 CH8 단자에 외장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 수를 판별한다.
SEL1=SEL2=SEL3=GND의 경우, 로직부(120)는, CH0 단자 내지 CH8 단자의 각 상호 간에 8점등의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이 외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인식한다.
SEL1=VREG, SEL2=SEL3=GND의 경우, 로직부(120)는, CH0 단자 내지 CH7 단자의 각 상호 간에 7점등의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7이 외장되어 있으며, 또한 불사용으로 되는 채널 단자 간(CH7 단자와 CH8 단자의 사이)이 단락되어 있는 것으로서 인식한다.
SEL2=VREG, SEL1=SEL3=GND의 경우, 로직부(120)는, CH0 단자 내지 CH6 단자의 각 상호 간에 6점등의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6이 외장되어 있으며, 또한, 불사용으로 되는 채널 단자 간(CH6 단자 내지 CH8 단자의 각 상호 간)이 각각 단락되어 있는 것으로서 인식한다.
SEL1=SEL2=VREG, SEL3=GND의 경우, 로직부(120)는, CH0 단자 내지 CH5 단자의 각 상호 간에 5점등의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5가 외장되어 있으며, 또한, 불사용으로 되는 채널 단자 간(CH5 단자 내지 CH8 단자의 각 상호 간)이 각각 단락되어 있는 것으로서 인식한다.
SEL3=VREG, SEL1=SEL2=GND의 경우, 로직부(120)는, CH0 단자 내지 CH4 단자의 각 상호 간에 4점등의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4가 외장되어 있으며, 또한, 불사용으로 되는 채널 단자 간(CH4 단자 내지 CH8 단자의 각 상호 간)이 각각 단락되어 있는 것으로서 인식한다.
SEL1=SEL3=VREG, SEL2=GND의 경우, 로직부(120)는, CH0 단자 내지 CH3 단자의 각 상호 간에 3점등의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3이 외장되어 있으며, 또한, 불사용으로 되는 채널 단자 간(CH3 단자 내지 CH8 단자의 각 상호 간)이 각각 단락되어 있는 것으로서 인식한다.
SEL2=SEL3=VREG, SEL1=GND의 경우, 로직부(120)는, CH0 단자 내지 CH2 단자의 각 상호 간에 2점등의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2가 외장되어 있으며, 또한, 불사용이 되는 채널 단자 간(CH2 단자 내지 CH8 단자의 각 상호 간)이 각각 단락되어 있는 것으로서 인식한다.
SEL1=SEL2=SEL3=VREG의 경우, 로직부(120)는, CH0 단자와 CH1 단자의 사이에 1점등의 발광 다이오드 LED1이 외장되어 있으며, 또한, 불사용이 되는 채널 단자 간(CH1 단자 내지 CH8 단자의 각 상호 간)이 각각 단락되어 있는 것으로서 인식한다.
이와 같이, 3계통의 SEL1 단자 내지 SEL3 단자를 사용하면,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 수를 합계 8대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유저 요구(발광 장치(1)에 필요한 발광 소자의 점등 수)에도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도면에서는, 접지단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사용 채널을 선택해가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을 행하였지만, 이와는 반대로, 발광 소자 구동 장치(20)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사용 채널을 선택해가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12a 및 도 12b는, 복수의 SEL 단자(SEL1 단자 내지 SEL3 단자)를 사용한 점등 수 설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도이다.
도 12a에서는, CH0 단자 내지 CH8 단자의 각 상호 간에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이 접속되어 있다. 그래서, 발광 소자 점등 수가 「8」인 것을 로직부(120)에 인식시키기 위해, SEL1 단자 내지 SEL3 단자는, 모두 접지단에 접속되어 있다(도 11의 1행째를 참조). 이 경우, 로직부(120)는,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을 모두 점등시킨 후에 CMPLT 단자 전압을 하이 레벨로 상승시킨다. 또한, 로직부(120)는, 오픈/쇼트 검출부(230)에 대하여 CH0 단자 내지 CH8 단자의 각 상호 간을 모두 감시 대상으로 하도록 지시를 보낸다.
도 12b에서는, CH0 단자 내지 CH4 단자의 각 상호 간에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4가 접속되어 있으며, 불사용으로 되는 채널 단자 간(CH4 단자 내지 CH8 단자의 각 상호 간)이 각각 단락되어 있다. 그래서, 발광 소자 점등 수가 「4」인 것을 로직부(120)에 인식시키기 위해, SEL1 단자와 SEL2 단자가 접지단에 접속되어 있으며, SEL3 단자가 VREG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도 11의 5행째를 참조). 이 경우, 로직부(120)는,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4를 점등시킨 후에 CMPLT 단자 전압을 하이 레벨로 상승시킨다. 또한, 로직부(120)는, 오픈/쇼트 검출부(230)에 대하여, CH0 단자 내지 CH4 단자의 각 상호 간을 모두 감시 대상으로 하는 한편, CH4 단자 내지 CH8 단자의 각 상호 간을 감시 대상으로부터 제외하도록 지시를 보낸다.
이와 같이, 로직부(120)는, 복수의 SEL 단자(SEL1 단자 내지 SEL3 단자)를 사용한 점등 수 설정에 기초하여, 스위치 구동 시퀀스의 완료 판정 시에 무시해야 할 채널을 전환하거나, 오픈/쇼트 검출 기능의 마스크 필요 여부를 채널마다 전환할 수 있다.
<전체 점등 모드(해저드 모드)>
도 13a 내지 도 13c는,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의 전체 점등 모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이며, 각 도면에 있어서, 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CMPLT 단자 전압 및 발광 다이오드 LED*(단*=8, 7, …, 2, 1)의 점소등 상태(H: 점등, L: 소등))가 묘사되어 있다.
도 13a에서는, 전술한 스위치 구동 시퀀스에 따라서 스위치 소자 SW1 내지 SW8을 순차 구동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을 소정의 점등 천이 시간 tPS마다 순차 점등해가는 순차 점등 모드(노멀 모드)의 거동이 도시되어 있다. 순차 점등 모드에는, 예를 들어 차량 X의 도는 방향에 맞춰서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을 순차 점등시킴으로써, 보행자나 타차가 자차의 진행 방향을 직감적으로 인식하기 쉬워진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감안하면, 순차 점등 모드는, 차량 X의 우좌회전 시나 차선 변경 시(턴 레버의 조작에 따른 전원 스위치(3)의 온 시)에 있어서의 동작 모드로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도 13b에서는, 모든 스위치 소자 SW1 내지 SW8을 일제히 오프시킴으로써,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을 일제 점등하는 전체 점등 모드(해저드 모드)의 거동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차량 X의 긴급 정지 시나 긴급 감속 시(해저드 버튼의 누름에 의해 전원 스위치(4)가 온되었을 때)에는, 타차에 긴급성이 높은 것을 통지하기 위해,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을 즉시 전체 점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단, 스위치 소자 SW1 내지 SW8을 완전히 동시 오프시켜,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을 완전히 동시 점등시키면, 차지 펌프부(220)나 발광 소자 구동 장치(20)에 있어서의 부하 변동이 급준하게 되어, 그 동작 안정성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그래서, 로직부(120)는, 도 13c(=도 13b의 파선 영역을 확대해서 표시한 타이밍 차트)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을 완전히 동시 점등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을 소정의 고속 점등 천이 시간 tPSH(<<tPS)마다 순차 점등한다. 즉, 순점등 모드와 전체 점등 모드의 어떤 경우든, 각각의 스위치 구동 시퀀스 자체는 완전히 동일하며, 각각의 동작 주파수만이 다르게 된다. 또한, 상기 고속 점등 천이 시간 tPSH는, 수백 ㎲로 설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인간의 눈으로는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고속으로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의 순차 점등 제어를 행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을 외관상은 일제 점등시키면서, 급준한 부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부하 변동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경우(예를 들어, 차지 펌프부(220)나 발광 소자 구동 장치(20)에 충분한 출력 능력이 구비되고 있는 경우)에는, 전체 점등 모드의 선택 시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을 완전히 동시 점등시켜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순차 점등 모드와 전체 점등 모드는, 셀렉터부(210)를 사용하여 전환된다.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셀렉터부(210)는, HAZ 단자 전압이 로우 레벨이며, 또한, 제1 이상 검출 신호 Swdt1과 제2 이상 검출 신호 Swdt2가 모두 이상 미검출 시의 논리 레벨(예를 들어 하이 레벨)일 때, 가변 클럭 신호 CLK를 로직부(120)로 선택 출력한다. 이 출력 상태는, 순차 점등 모드를 선택한 상태에 상당한다. 이때, 로직부(120)는, 가변 클럭 신호 CLK에 동기하여 스위치 구동 시퀀스를 실시한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은, 가변 클럭 신호 CLK에 따른 점등 천이 시간 tPS(예를 들어 50㎳)마다 순차 점등된다.
한편, 셀렉터부(210)는, HAZ 단자 전압이 하이 레벨일 때, 혹은 제1 이상 검출 신호 Swdt1과 제2 이상 검출 신호 Swdt2 중 적어도 한쪽이 이상 검출 시의 논리 레벨(예를 들어 로우 레벨)일 때, 내부 클럭 신호 INTCLK를 로직부(120)로 선택 출력한다. 이 출력 상태는, 전체 점등 모드를 선택한 상태에 상당한다. 이때, 로직부(120)는, 가변 클럭 신호 CLK보다도 고주파수의 내부 클럭 신호 INTCLK에 동기하여 스위치 구동 시퀀스를 실시한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은, 내부 클럭 신호 INTCLK에 따른 고속 점등 천이 시간 tPSH(수백 ㎲)마다 순차 점등된다. 즉, 로직부(120)는, 장치 외부로부터 해저드 신호가 입력되고 있을 때, 내지는, 스위치 구동 시퀀스의 이상이 검출되어 있을 때, 전술한 전체 점등 모드에서 모든 스위치 소자 SW1 내지 SW8을 일제히 오프시켜,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을 일제 점등시킨다.
또한, 본 구성예의 발광 장치(1)에서는, 차지 펌프부(220)를 구동하기 위한 내부 클럭 신호 INTCLK를 유용함으로써, 전체 점등 모드 시의 스위치 구동 시퀀스가 고속화되고 있다. 따라서, 전체 점등 모드 시의 급 부하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서, 전용 오실레이터부를 추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발광 장치(1)의 규모를 불필요하게 증대시키지 않아도 된다.
도 14a 내지 14c는, HAZ 단자의 접속 베리에이션을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도다. 도 14a에는, 앞의 도 1과 동일하게, 발광 장치(1)와 배터리(2)의 사이에 전원 스위치(3 및 4)를 병렬로 접속한 구성이 묘사되어 있다. 해저드 버튼의 누름에 따라서 전원 스위치(4)가 온 되면, HAZ 단자 전압이 하이 레벨로 되고, 전체 점등 모드에서 발광 장치(1)가 점등된다. 본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발광 장치(1)와 배터리(2)의 사이에, 2개의 전력선 L1 및 L2가 필요해진다.
도 14b에는, 전원 스위치(4), 다이오드 D2 및 D3, 및 전력선 L2를 생략하고, 컨트롤러(5)로부터 HAZ 단자에 신호선 L3을 접속한 구성이 묘사되어 있다. 본 구성을 채용한 경우, 컨트롤러(5)는, 턴 레버의 조작 시에도 해저드 버튼의 누름 시에도, 전원 스위치(3)를 온하게 된다. 또한, 컨트롤러(5)는, 해저드 버튼의 누름에 따라서 전원 스위치(3)를 온하고 있는 기간에서 HAZ 단자를 하이 레벨로 하고,그 밖의 기간에는 HAZ 단자를 로우 레벨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도 14a의 구성과 비교하여, 그 구성 요소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술한 전체 점등 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면, 도 14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HAZ 단자를 접지단에 접속해 두면 된다.
<워치독 타이머부>
도 15a 및 도 15b는, 각각, 워치독 타이머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또한, 도 15a는, 제1 워치독 타이머부(190)의 일동작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UVLO 신호 Suvlo, 가변 클럭 신호 CLK 및 제1 이상 검출 신호 Swdt1이 묘사되어 있다. 또한, 도 15b는, 제2 워치독 타이머부(200)의 일 동작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UVLO 신호 Suvlo, 기동 지연 신호 Sdly 및 제2 이상 검출 신호 Swdt2가 묘사되어 있다.
SETCLK 단자에 외부 접속되는 캐패시터 C4의 양단 간이 쇼트하고 있는 경우에는, 감전 상태가 해소되어 UVLO 신호 Suvlo가 하이 레벨로 상승한 후에도, SETCLK 단자 전압은 계속해서 접지 레벨을 유지한다. 그 결과, 가변 클럭 신호 CLK의 펄스가 다시 생성되지 않은 상태로 되므로, 로직부(120)에 의한 스위치 구동 시퀀스를 개시할 수 없게 된다.
또한, SETDLY 단자에 외부 접속되는 캐패시터 C3의 양단 간이 쇼트하고 있는 경우에는, 감전 상태가 해소되어 UVLO 신호 Suvlo가 하이 레벨로 상승한 후에도, SETDLY 단자 전압은 계속해서 접지 레벨을 유지한다. 그 결과, 기동 지연 신호 Sdly가 다시 하이 레벨로 상승하지 않은 상태가 되므로, 로직부(120)에 의한 스위치 구동 시퀀스를 개시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캐패시터 C3 및 C4 중 적어도 한쪽이 쇼트해버리면, 스위치 구동 장치(10)가 동작하지 않게 되므로,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8이 소등한 상태로 되어버린다. 이러한 상태에 빠지면, 운전자가 턴 레버나 해저드 버튼을 조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발광 장치(1)(턴 램프)가 점등되지 않게 되므로, 매우 위험하다.
그래서, 제1 워치독 타이머부(190)는, 가변 클럭 신호 CLK를 감시하여 제1 이상 검출 신호 Swdt1을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워치독 타이머부(190)는, UVLO 신호 Suvlo가 하이 레벨로 상승하고 나서 가변 클럭 신호 CLK의 펄스가 생성되지 않은 채 소정의 이상 검출 기간 T1이 경과한 경우, 또는 가변 클럭 신호 CLK의 펄스 주기 T2가 소정의 정상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에, SETCLK 단자가 이상이라고 판단하여, 제1 이상 검출 신호 Swdt1을 이상 검출 시의 논리 레벨(예를 들어 로우 레벨)로 전환한다.
또한, 제2 워치독 타이머부(200)는, 기동 지연 신호 Sdly를 감시하여 제2 이상 검출 신호 Swdt2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워치독 타이머부(200)는, UVLO 신호 Suvlo가 하이 레벨로 상승하고 나서 기동 지연 신호 Sdly가 로우 레벨로 유지된 채 소정의 이상 검출 기간 T3이 경과한 경우에, SETDLY 단자가 이상이라고 판단하여, 제2 이상 검출 신호 Swdt2를 이상 검출 시의 논리 레벨(예를 들어 로우 레벨)로 전환한다.
셀렉터부(210)는, 제1 이상 검출 신호 Swdt1 및 제 2 이상 검출 신호 Swdt2 중 적어도 한쪽이 이상 검출 시의 논리 레벨로 전환된 것을 받아, 내부 클럭 신호 INTCLK를 로직부(120)로 선택 출력하는 상태로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로직부(120)는, 내부 클럭 신호 INTCLK에 동기하여 전체 점등 모드에서 스위치 구동 시퀀스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로직부(120)는, 제1 이상 검출 신호 Swdt1 및 제 2 이상 검출 신호 Swdt2 중 적어도 한쪽이 이상 검출 시의 논리 레벨로 전환된 것을 받아, FAIL 단자 전압을 이상 검출 시의 논리 레벨(예를 들어 로우 레벨)로 전환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외부의 컨트롤러(5)로 스위치 구동 장치(10)의 이상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에 대한 통지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의 워치독 타이머 기능을 실장하면,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규격 등에 준거한 안전성이 높은 차량 X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도면의 예에서는, 가변 클럭 신호 CLK나 기동 지연 신호 Sdly를 감시 대상으로 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을 행하였지만, 제1 워치독 타이머부(190)나 제2 워치독 타이머부(200)의 감시 대상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SETCLK 단자 전압이나 SETDLY 단자 전압을 감시 대상으로 해도 된다.
<총괄>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치 구동 장치(10)는, 비교적 단순한 순차 점등 기능의 실장 시에, 기본적인 점등 패턴을 고정으로 하고, 유저 조정이 필요한 파라미터만을 수 점의 외장형 소자(저항이나 캐패시터 등)로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마이크로컨트롤러 제어를 요하지 않고, 종래와 거의 마찬가지의 순차 점등을 행할 수 있으므로, 세트 설계의 간이화, 부품 개수의 삭감, 기판 면적의 축소, 비용 절감, 고효율화, 내지는 세트 동작의 안정성 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용도>
발광 장치(1)는, 예를 들어 도 16a 내지 도 16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X10의 헤드램프(하이 빔/로우 빔/스몰 램프/포그 램프 등을 적절히 포함함) X11, 주야 주행(DRL[daytime running lamps]) 램프 X12, 테일 램프(스몰 램프나 백 램프 등을 적절히 포함함) X13, 스톱 램프 X14 및 턴 램프 X15 등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지금까지 설명해 온 바와 같이, 발광 장치(1)는, 시퀀셜형의 턴 램프 X15로서 적합하다.
또한, 전술의 스위치 구동 장치(10)나 발광 소자 구동 장치(20)는, 구동 대상으로 되는 발광 소자군(30)과 함께 차량 탑재 램프 모듈(도 17a의 헤드램프 모듈 Y10, 도 17b의 턴 램프 모듈 Y20 및 도 17c의 리어램프 모듈 Y30 등)로서 제공되는 것이어도 되며, 혹은 발광 소자군(30)과는 독립적으로 IC 단체로서 제공되는 것이어도 된다.
<그 밖의 변형예>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발광 소자로서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을 행하였지만, 본 발명의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발광 소자로서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소자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기술적 특징은, 상기 실시 형태 외에, 그 기술적 창작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의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개시되는 것이며,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어 있는 발명은, 순차 점등 기능을 구비한 차량 탑재용 발광 장치(또는 이것에 사용되는 스위치 구동 장치)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 1a, 1b: 발광 장치(턴 램프 모듈)
2: 배터리
3, 4: 전원 스위치
5: 컨트롤러
10, 10a, 10b: 스위치 구동 장치(매트릭스 스위치 드라이버 IC)
20: 발광 소자 구동 장치(LED 드라이버 IC)
30, 30a, 30b: 발광 소자군(LED 스트링)
100: 스위치부
110: 드라이버부
120: 로직부
130: 내부 레귤레이터부
140: UVLO부
150: 전류 설정부
160: 오실레이터부
170: 주파수 설정부
180: 기동 지연부
171, 181: 전류원
172, 182: 스위치
173, 183: N채널형 MOS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174, 184: 비교기
185: D 플립플롭
186: 필터
190: 제1 워치독 타이머부
200: 제2 워치독 타이머부
210: 셀렉터부
220: 차지 펌프부
230: 오픈/쇼트 검출부
LED1 내지 LED12: 광 소자(발광 다이오드)
R1 내지 R5: 저항
C1 내지 C9: 캐패시터
D1 내지 D3: 다이오드
SW1 내지 SW8: 스위치 소자
DRV1 내지 DRV8: 드라이버
L1, L2: 전력선
L3: 신호선
X, X10: 차량
X11: 헤드램프
X12: 주야 주행(DRL)용 광원
X13: 테일 램프
X14: 스톱 램프
X15: 턴 램프
Y10: 헤드램프 모듈
Y20: 턴 램프 모듈
Y30: 리어램프 모듈

Claims (17)

  1. 차량 탑재용 발광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발광 소자에 대하여 각각 병렬 접속되는 복수 채널의 스위치 소자와,
    장치로의 전원 투입을 받아 소정의 패턴으로 각 스위치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순차 전환해 가도록 일련의 스위치 구동 시퀀스를 자동으로 개시하는 로직부와,
    외장형 소자를 사용하여 상기 스위치 구동 시퀀스의 개시 지연 시간을 임의로 설정하는 기동 지연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부는, 각 스위치 소자의 동작 부정 기간 경과 후, 상기 스위치 구동 시퀀스의 개시 전에, 장치 외부의 발광 소자 구동 장치에 대하여 각 발광 소자로의 전류 공급 개시 트리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장형 소자를 사용하여 상기 스위치 구동 시퀀스의 동작 주파수를 임의로 설정하는 주파수 설정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부는, 상기 스위치 구동 시퀀스의 완료 후, 다른 스위치 구동 장치에 대하여 대기 해제 트리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부는, 외부 단자 전압에 따라서 발광 소자 점등 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부는, 상기 스위치 구동 시퀀스에 따라서 각 스위치 소자를 순차 구동하는 순차 점등 모드 외에, 모든 스위치 소자를 일제히 오프시키는 전체 점등 모드를 실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부는, 상기 순차 점등 모드에서는 제1 클럭 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스위치 구동 시퀀스를 실시하는 한편, 상기 전체 점등 모드에서는 상기 제1 클럭 신호보다도 고주파수의 제2 클럭 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스위치 구동 시퀀스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 소자를 각각 구동하는 드라이버부와,
    상기 드라이버부에 승압 전압을 공급하는 차지 펌프부와,
    상기 차지 펌프부의 동작에 필요한 내부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오실레이터부
    를 더 갖고,
    상기 내부 클럭 신호가 상기 제2 클럭 신호로서 유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부는, 장치 외부로부터 해저드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때, 내지는, 상기 스위치 구동 시퀀스의 이상이 검출되어 있을 때, 상기 전체 점등 모드에서 모든 스위치 소자를 일제히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구동 시퀀스의 개시 지연 시간 내지 동작 주파수의 이상을 감시하는 워치독 타이머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
  11. 복수의 발광 소자와,
    각 발광 소자의 구동 전류를 생성하는 발광 소자 구동 장치와,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스위치 구동 장치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는, 각각, 발광 다이오드, 또는 유기 EL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헤드램프 모듈, 턴 램프 모듈, 또는 리어램프 모듈로서 차량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14. 제11항에 기재된 발광 장치를 갖는, 차량.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는, 헤드램프, 주야 주행 램프, 테일 램프, 스톱 램프, 및 턴 램프 중 적어도 하나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6. 차량 탑재용 발광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발광 소자에 대하여 각각 병렬 접속되는 복수 채널의 스위치 소자와,
    장치로의 전원 투입을 받아 소정의 패턴으로 각 스위치 소자의 온/오프 상태를 순차 전환해 가도록 일련의 스위치 구동 시퀀스를 자동으로 개시하는 로직부
    를 갖고,
    상기 로직부는, 상기 스위치 구동 시퀀스에 따라서 각 스위치 소자를 순차 구동하는 순차 점등 모드 외에, 모든 스위치 소자를 일제히 오프시키는 전체 점등 모드를 실장하고 있고, 상기 순차 점등 모드에서는 제1 클럭 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스위치 구동 시퀀스를 실시하는 한편, 상기 전체 점등 모드에서는 상기 제1 클럭 신호보다도 고주파수의 제2 클럭 신호에 동기하여 상기 스위치 구동 시퀀스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 소자를 각각 구동하는 드라이버부와,
    상기 드라이버부에 승압 전압을 공급하는 차지 펌프부와,
    상기 차지 펌프부의 동작에 필요한 내부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오실레이터부
    를 더 갖고,
    상기 내부 클럭 신호가 상기 제2 클럭 신호로서 유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구동 장치.
KR1020177026076A 2015-03-20 2016-02-04 스위치 구동 장치, 발광 장치, 차량 KR101932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58364A JP6470083B2 (ja) 2015-03-20 2015-03-20 スイッチ駆動装置、発光装置、車両
JPJP-P-2015-058364 2015-03-20
PCT/JP2016/053361 WO2016152272A1 (ja) 2015-03-20 2016-02-04 スイッチ駆動装置、発光装置、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807A KR20170118807A (ko) 2017-10-25
KR101932873B1 true KR101932873B1 (ko) 2018-12-27

Family

ID=56977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076A KR101932873B1 (ko) 2015-03-20 2016-02-04 스위치 구동 장치, 발광 장치,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28980B2 (ko)
EP (1) EP3272585B1 (ko)
JP (1) JP6470083B2 (ko)
KR (1) KR101932873B1 (ko)
CN (1) CN107406033B (ko)
WO (1) WO20161522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7428A (en) 2016-02-16 2017-08-23 Feasa Entpr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optical outputs
KR101822889B1 (ko) * 2016-06-14 2018-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입력 전압 안정화 회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및 차량
CN106879148A (zh) * 2017-03-29 2017-06-20 上海小糸车灯有限公司 一种信号灯的控制系统及方法
WO2018229942A1 (ja) * 2017-06-15 2018-12-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点灯システム
WO2019009232A1 (ja) 2017-07-04 2019-01-10 ローム株式会社 負荷駆動装置
JP7000840B2 (ja) * 2017-12-19 2022-01-1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前方照明装置
CN112004718B (zh) * 2018-04-25 2023-08-11 株式会社小糸制作所 尾转向灯
EP3562273A1 (en) * 2018-04-26 2019-10-30 Valeo Iluminacion Electronic assembly and lighting device
US11581725B2 (en) 2018-07-07 2023-02-14 Intelesol, Llc Solid-state power interrupters
US11671029B2 (en) 2018-07-07 2023-06-06 Intelesol, Llc AC to DC converters
US11056981B2 (en) 2018-07-07 2021-07-06 Intelesol,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extraction with sample and hold and release
CN108944653B (zh) * 2018-09-14 2024-05-14 常州瑞阳电装有限公司 一种全域式闪光器驱动电路
US11334388B2 (en) 2018-09-27 2022-05-17 Amber Solutions, Inc. Infrastructure support to enhance resource-constrained device capabilities
US11205011B2 (en) 2018-09-27 2021-12-21 Amber Solutions, Inc. Privacy and the management of permissions
US11349296B2 (en) 2018-10-01 2022-05-31 Intelesol, Llc Solid-state circuit interrupters
US10985548B2 (en) 2018-10-01 2021-04-20 Intelesol, Llc Circuit interrupter with optical connection
EP3900487A4 (en) 2018-12-17 2022-09-21 Intelesol, LLC ALTERNATELY DRIVEN LIGHT EMITTING DIODE SYSTEMS
US11551899B2 (en) 2019-05-18 2023-01-10 Amber Semiconductor, Inc. Intelligent circuit breakers with solid-state bidirectional switches
WO2020262447A1 (ja) * 2019-06-25 2020-12-3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システムおよび点灯回路
CN110435532B (zh) * 2019-08-21 2020-12-18 宁波吉利汽车研究开发有限公司 一种转向灯的控制方法、系统及车辆
CN112738947B (zh) * 2019-10-15 2023-08-22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照明电路及其同步方法
WO2021106344A1 (ja) * 2019-11-26 2021-06-03 ローム株式会社 発光制御システム、発光システム、発光制御装置及び発光装置
CN110958743B (zh) * 2019-12-02 2021-06-15 成都芯源系统有限公司 一种开路和对地短路保护的电路和方法
WO2021150684A1 (en) 2020-01-21 2021-07-29 Amber Solutions, Inc. Intelligent circuit interruption
KR20210154292A (ko) * 2020-06-11 2021-1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순차점등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EP4197086A1 (en) 2020-08-11 2023-06-21 Amber Semiconductor, Inc. Intelligent energy source monitoring and selection control system
JP7174795B2 (ja) * 2021-03-10 2022-11-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後部灯体制御システム
CN113291231B (zh) * 2021-05-08 2022-05-31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一种流水灯控制系统
WO2024096118A1 (ja) * 2022-11-04 2024-05-1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リアターンラン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1276A (ja) * 2007-03-29 2008-10-16 Stanley Electric Co Ltd 発光ダイオード回路の故障検知装置
JP2014170880A (ja) * 2013-03-05 2014-09-18 Stanley Electric Co Ltd 発光素子の点灯装置、光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8112A (en) * 1979-03-05 1980-09-10 Hitachi Ltd Direct current stabilizing power unit
JP2924495B2 (ja) * 1992-09-29 1999-07-2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シフト位置表示装置
US6870328B2 (en) * 2001-12-19 2005-03-22 Toyoda Gosei Co., Ltd. LED lamp apparatus for vehicles
KR20040067579A (ko) 2003-01-24 2004-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구동 장치
JP4993181B2 (ja) 2006-09-10 2012-08-0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Led駆動装置
JP4452306B2 (ja) * 2007-12-26 2010-04-21 シャープ株式会社 パルス信号遅延回路及びled駆動回路
JP4995777B2 (ja) * 2008-07-01 2012-08-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Led用の点灯装置とledランプ、およびledの点灯方法
CN101990715B (zh) * 2009-06-26 2013-04-0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发光元件驱动装置、面状照明装置以及液晶显示装置
US8081199B2 (en) 2009-06-26 2011-12-20 Panasonic Corporation Light emitting element drive apparatus, planar illumination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WO2011047110A2 (en) * 2009-10-14 2011-04-21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Dimmer decoder with improved efficiency for use with led drivers
CN101777911A (zh) 2010-01-08 2010-07-14 智原科技股份有限公司 时钟数据恢复器
CN103582582B (zh) 2011-03-31 2016-02-10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辆发光控制系统
JP2013200968A (ja) * 2012-03-23 2013-10-03 Mitsubishi Electric Corp 光源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CN203251457U (zh) 2012-07-10 2013-10-23 上海煜芯太阳能科技有限公司 宽电压范围多功能控制器电路
TWI458216B (zh) * 2012-10-04 2014-10-21 安恩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箝位裝置之發光二極體照明系統
JP6011355B2 (ja) 2013-01-22 2016-10-19 ローム株式会社 発振回路
JP5422068B2 (ja) 2013-02-15 2014-02-19 三菱電機株式会社 Led点灯装置および車両用前照灯
EP2779791A1 (en) * 2013-03-12 2014-09-17 Power Research Electronics B.v. LED driver circuit
JP6066829B2 (ja) 2013-05-23 2017-01-25 三菱電機株式会社 Led点灯装置および車載用灯具
US9013120B2 (en) 2013-08-29 2015-04-21 Monolithic Power Systems, Inc. Methods for driving an LED lighting device and circuits thereof
CN203504842U (zh) 2013-10-15 2014-03-26 湖州太源绿能科技有限公司 一种亮度可调的触控led灯具
US9095026B2 (en) * 2014-01-02 2015-07-28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LED controller and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1276A (ja) * 2007-03-29 2008-10-16 Stanley Electric Co Ltd 発光ダイオード回路の故障検知装置
JP2014170880A (ja) * 2013-03-05 2014-09-18 Stanley Electric Co Ltd 発光素子の点灯装置、光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70083B2 (ja) 2019-02-13
US10728980B2 (en) 2020-07-28
EP3272585A4 (en) 2018-10-03
EP3272585B1 (en) 2021-07-28
KR20170118807A (ko) 2017-10-25
US20180054862A1 (en) 2018-02-22
EP3272585A1 (en) 2018-01-24
CN107406033A (zh) 2017-11-28
CN107406033B (zh) 2021-02-23
WO2016152272A1 (ja) 2016-09-29
JP2016175582A (ja)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873B1 (ko) 스위치 구동 장치, 발광 장치, 차량
US10560017B2 (en) Charge pump, switch driver device, lighting device, and vehicle
CN107211513B (zh) 灯控装置及其控制方法
US10051695B2 (en) Lamp control device
US9986616B2 (en) Lamp control device
EP2802192B1 (en) LED light unit and method of operating an LED light unit
EP3244698B1 (en) Light emitting system comprising a supply circuit for an led controller
CN111083836B (zh) 车灯控制设备
US20180029526A1 (en) Lighting circuit and vehicle lamp
JP6871997B2 (ja) スイッチ駆動装置、発光装置、車両
JP2020098718A (ja) 車両用ライト制御装置
JP6622931B2 (ja) スイッチ駆動装置、発光装置、車両
JP7183012B2 (ja) 車両用灯具およびその点灯回路
CN111163546B (zh) 车灯控制设备
JP2021002440A (ja) 点灯制御装置、点灯制御方法、車両用灯具
US11865968B2 (en) Vehicle lamp and lamp control module
CN114704802B (zh) 汽车动态转向灯电路以及汽车动态转向灯系统
KR101552638B1 (ko)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
CN114747297A (zh) 发光控制系统、发光系统、发光控制装置以及发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