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638B1 -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638B1
KR101552638B1 KR1020140046232A KR20140046232A KR101552638B1 KR 101552638 B1 KR101552638 B1 KR 101552638B1 KR 1020140046232 A KR1020140046232 A KR 1020140046232A KR 20140046232 A KR20140046232 A KR 20140046232A KR 101552638 B1 KR101552638 B1 KR 101552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time
converter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일
신정우
Original Assignee
현대아이에이치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아이에이치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아이에이치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6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6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2 LED, 제1 dc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부, 상기 제1 dc 전원을 제2 dc 전원으로 전원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 상기 제2 dc 전원을 시간지연시키며, 제1 high 신호를 출력하는 시간지연부, 상기 제1 high 신호 입력시 상기 제1 LED로 상기 제2 dc 전원이 공급되게 제1 전류패스를 형성하고, 제2 high 신호를 출력하는 제1 LED 구동부 및 상기 제2 high 신호 입력시 상기 제2 LED로 상기 제2 dc 전원이 공급되게 제2 전류패스를 형성하는 제2 LED 구동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Lamp driving apparatus of the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 내외부에 설치된 복수의 LED 각각을 개별 발광시키기 용이한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등화 장치로써, 헤드 램프와 후미등, 차폭등, 안개등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등화 장치에는 대상물을 보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조명기능과,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자동차의 주행상태를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지시, 신호, 경고, 장식 기능 등으로 사용된다.
특히, 헤드 램프는 자동차의 배터리에 접속된 배선을 통해 전원을 인가받아 야간 주행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전방 부위에 차폭을 따라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통상, 헤드램프는 광원으로서, 벌브(BULB)를 사용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사용 수명이 길고, 내충격성이 뛰어난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추세이다.
최근들어, 자동차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 복수의 LED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 내, 외부에 설치된 복수의 LED 각각을 개별 발광시키기 용이한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는, 복수의 LED, 제1 dc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부, 상기 제1 dc 전원을 제2 dc 전원으로 전원베렐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 상기 제2 dc 전원을 시간지연시키며, 제1 high 신호를 출력하는 시간지연부, 상기 제1 high 신호 입력시 상기 복수의 LED 중 제1 LED로 상기 제2 dc 전원이 공급되게 제1 전류패스를 형성하고, 제2 high 신호를 출력하는 제1 LED 구동부 및 상기 제2 high 신호 입력시 상기 복수의 LED 중 제2 LED로 상기 제2 dc 전원이 공급되게 제2 전류패스를 형성하는 제2 LED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2 LED는, 서로 병렬 연결된다.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1 dc 전원을 출력하는 배터리 전원일 수 있다.
상기 dc-dc 컨버터는, 벅(buck) 컨버터이며, 상기 전원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dc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스위치소자, 상기 스위치소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제1 dc 전원을 상기 제2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터버부 및 상기 스위치소자를 스위칭 온 또는 오프 동작되게 제어하는 스위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소자는, N채널 또는 P채널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일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소자는, 상기 전원부와 연결된 제1 단자, 상기 컨버터부와 연결된 제2 단자 및 상기 스위치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2 단자가 연결되게 스위칭 온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제1, 2 단자가 차단되게 스위칭 오프동작하는 제3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버터는, 상기 제1 dc 전원 입력시 상기 제2 dc 전원으로 전원레벨을 변환하는 인덕터, 커패시터 및 저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컨트롤러는, 상기 컨버터부로부터 피드백되는 패드백전원을 기반으로 상기 스위치소자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시간지연부는, 상기 제2 dc 전원을 충전하는 시간 동안 시간지연하여, 상기 제1 high 신호를 출력하는 RC 회로일 수 있다.
상기 제1 LED 구동부는, 상기 제2 dc 전원을 소정 레벨의 신호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생성부, 상기 제1 high 신호 입력시, 상기 제1 LED로 상기 제2 dc 전원이 공급되게 스위칭 온되어 상기 제1 전류패스를 형성하는 제1 패스스위치 및 상기 제1 패스스위치의 스위칭 온동작시, 스위칭 온되어 상기 신호전원을 시간지연한 상기 제2 high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생성부는, 상기 신호전원을 시간지연하는 RC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LED 구동부는, 상기 제2 high 신호 입력시, 상기 제2 LED로 상기 제2 dc 전원이 공급되게 스위칭 온되어 상기 제2 전류패스를 형성하는 제2 패스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LED 구동부는, 상기 제1 전류패스를 제1 시간동안 유지하고, 상기 제2 LED 구동부는, 상기 제2 전류패스를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제2 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는, 차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된 복수의 LED를 설정된 순서에 따라 개별 발광되도록 조절되게 제어할 수 있음으로써, 차량 외부에 위치한 사람들에 대한 시각적으로 부각시킬 수 있으며, 복수의 LED 각각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에 대한 제어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에 인가된 신호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발광소자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에 대한 제어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는 전원부(110), dc-dc 컨버터(120), 시간지연부(130), 제1, 제2 LED(led1, led2) 및 제1, 2 LED 구동부(140, 15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2개의 제1, 2 LED(led1, led2)로 나타내고 설명하지만, 제1, 2 LED(led1, led2)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LED 개수에 대하여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전원부(110)는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일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전원에 충전된 제1 dc 전원(vdc1)을 출력(방전)할 수 있다.
dc-dc 컨버터(120)는 스위치소자(122), 스위치컨트롤러(124) 및 컨버터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소자(122)는 전원부(110)와 컨버터부(126) 사이에 연결되며, 스위치컨트롤러(124)로부터 입력되는 스위치신호(sw)에 따라 스위치 온 또는 오프되어, 전원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제1 dc 전원(vdc1)을 컨버터부(126)로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소자(122)는 N채널 또는 P채널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일 수 있으며, 스위칭 동작하는 다른 소자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스위치컨트롤러(124)는 스위치소자(122)가 스위치 온 또는 오프로 동작되게 스위치신호(sw)을 스위치소자(122)로 공급하며, 컨버터부(126)로부터 피드백된 피드백전원(bs)으로 동작한다.
여기서, 컨버터부(126)는 스위치소자(122)가 스위치 온 동작 시, 제1 dc 전원(vdc1)을 입력받아 제1 내지 제3 LED(131 ~ 133)가 발광되게 제2 dc 전원(vdc2)으로 전원레벨을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컨버터부(126)는 제2 dc 전원(vdc2)을 LED 구동부(140) 또는 제1 내지 제3 LED(131 ~ 133)로 공급함과 동시에 피드백전원(bs)을 스위치컨트롤러(124)로 공급한다.
실시 예에서, dc-dc 컨버터(120)는 벅(buck) 컨버터일 수 있으며, 벅 컨버터 외에 다른 컨버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시간지연부(130)는 dc-dc 컨버터(120)에 포함된 컨버터부(126)와 연결되며, 컨버터부(126)에서 출력된 제2 dc 전원(vdc2)을 입력받아 설정된 시간동안 시간지연시킬 수 있다.
이때, 시간지연부(130)는 제2 dc 전원(vdc2)을 충전하는 시간 동안 시간지연하여, 제1 high 신호(high1)를 출력하는 RC 회로일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LED 구동부(140)는 시간지연부(130)으로부터 출력된 제1 high 신호(high1)가 입력되면, 컨버터부(126)에서 출력된 제2 dc 전원(vdc2)이 제1 LED(led1)로 공급되게 제1 전류패스를 형성하며, 제2 LED 구동부(150)가 동작되게 제2 high 신호(high2)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LED 구동부(150)는 제1 LED 구동부(140)로부터 출력된 제2 high 신호(high2)가 입력되면, 컨버터부(126)에서 출력된 제2 dc 전원(vdc2)이 제2 lED(led2)로 공급되게 제2 전류패스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2 LED 구동부(140, 150)는 서로 동일한 칩(chip)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제1, 2 LED 구동부(140, 150)는 서로 직렬 연결되며, 제1, 2 LED(led1, led2)는 서로 병렬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실시 예에서,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는 제1, 2 LED(led1, led2) 각각이 하나의 램프로 형성되거나, 제1, 2 LED(led1, led2)가 하나의 램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를 나타낸 회로도 및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에 인가된 신호 타이밍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는 전원부(110), dc-dc 컨버터(120), 시간지연부(130), 제1, 2 LED(led1, led2) 및 제1, 2 LED 구동부(140, 15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2 LED(led1, led2) 사이에 소정 개수의 LED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1, 2 LED 구동부(140, 150) 중 제1 LED 구동부(140)와 동일한 구동부가 소정 개수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제1 LED(led1)는 첫번째 위치한 LED 이며, 제2 LED(led2)는 마지막번째 위치한 LED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여기서, 전원부(110)는 자동차에 설치된 배터리전원일 수 있으며, 직류 전원에 대응하는 제1 dc 전원(vdc1)을 출력하는 다른 전원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배터리전원은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dc 전원(vdc1)을 공급할 수 있으며,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2 LED(led1, led2)에 인가되는 총전류(I_total)를 나타낸다.
dc-dc 컨버터(120)는 스위치소자(122), 스위치컨트롤러(124) 및 컨버터부(126)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소자(122)는 제1 dc 전원(vdc)가 입력되는 제1 단자, 상기 제1 단자로 입력된 제1 dc 전원(vdc)을 컨버터부(126)으로 출력하는 제2 단자 및 스위치컨트롤러(124)로부터 입력된 스위치신호(sw)에 의해 상기 제1, 2 단자가 서로 연결되게 하거나, 상기 제1, 2 단자가 서로 차단되게 하는 제3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소자(122)는 스위치신호(sw)에 따라 스위치 온 또는 오프로 동작하여, 컨버터부(126)로 제1 dc 전원(vdc1)을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스위치소자(122)는 N채널 또는 P채널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일 수 있으며, 이 외에 전자식 릴레이, 트랜지스터 및 op-amp 등과 같은 다른 스위치소자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스위치컨트롤러(124)는 컨버터부(126)에서 피드백된 피드백전원(bs)에 의해 동작하며, 스위치소자(122)의 상기 제3 단자로 스위치신호(sw)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컨트롤러(124)는 직류 형태의 제1 dc 전원(vdc1)을 high 구간 및 low 구간을 갖는 펄스 형태의 제1 dc 전원(vdc1)으로 변환되어 컨버터부(126)에 공급되게 스위치소자(122)의 스위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스위치신호(sw)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치컨트롤러(124)는 자동차의 다른 전자장치를 제어하는 전자제어모듈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컨버터부(126)은 스위치소자(122)의 상기 제3 단자에 연결된 인덕터(코일, L), 인덕터(L)에 연결된 커패시터(C), 커패시터(C)와 병렬연결되며 스위치컨트롤러(124)로 피드백전원(bs) 및 제1, 2 LED(led1, led2)로 제2 dc 전원(vdc2)을 공급하는 제1, 2 저항(R1, R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덕터(L), 커패시터(C) 및 제1, 2 저항(R1, R2)는 발진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인덕터(L)는 스위치소자(122)로부터 출력된 high 구간의 제1 dc 전원(vdc1) 입력시 전류를 저장하며, 커패시터(C)는 제1 dc 전원(vdc1) 입력시 전압을 충전하며, 제1, 2 저항(R1, R2)는 제1 dc 전원(vdc1)의 전원레벨이 변환된 제2 dc 전원(vdc2)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2 저항(R1, R2)는 전압분배 방식에 따라 분배된 피드백전원(bs)을 스위치컨트롤러(124)로 공급할 수 있다.
이후, 인덕터(L)는 스위치소자(122)가 오프 동작하여 출력된 low 구간의 제1 dc 전원(vdc1) 입력시 저장된 전류를 출력하고, 커패시터(C)는 충전된 전압을 방전하며, 제1, 2 저항(R1, R2)는 커패시터(C)에서 충전된 전압으로 제2 dc 전원(vdc2)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컨버터부(126)는 low 구간의 제1 dc 전원(vdc1) 입력시, 인덕터(L), 커패시터(C) 및 제1, 2 저항(R1, R2) 사이에 전류패스를 형성하기 위하여, 스위치소자(122)의 제3 단자와 그라운드(접지) 사이에 역방향으로 연결된 다이오드(D)를 포함할 수 있다.
dc-dc 컨버터(120)는 직류형태의 제1 dc 전원(vdc1)을 펄스 형태의 제1 dc 전원(vdc1)으로 변환하고, 펄스 형태의 제1 dc 전원(vdc1)의 전원레벨이 변환된 직류 형태의 제2 dc 전원(vdc2)를 출력할 수 있다.
시간지연부(130)는 컨버터부(126)에서 출력된 제2 dc 전원(vdc2)을 입력받아 소정시간 시간지연하여 제1 high 신호(high1)를 출력한다.
이때, 제1 high 신호(hish1)는 제1 LED 구동부(140)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시간지연부(130)는 저항(Rt)과 커패시터(Ct)로 이루어진 RC 회로이며, 커패시터(Ct)의 충전시간동안 시간지연이 발생된다.
즉, 도 3(c)에 나타낸 바와같이, 커패시터(Ct)에 소정 레벨의 전원이 충전되면, 도 3(d)와 같이 커패시터(Ct)에 충전된 전원을 기반으로 제1 high 신호(hish1)를 출력할 수 있으며, 도 3(e)와 같이 제1 LED(led1)에 전류(Led1_i)가 흐른다.
제1 LED 구동부(140)는 전원생성부(142), 제1 패스스위치(Q1) 및 신호생성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생성부(142)는 컨버터부(126)에서 출력된 제2 dc 전원(vdc2)으로 구동되며, 제2 dc 전원(vdc2)을 소정 레벨의 신호전원(ss)으로 변환하여 생성할 수 있다.
제1 패스스위치(Q1)는 제1 high 신호(high1) 입력시, 스위칭 온 동작하여 제1 LED(led1)으로 제2 dc 전원(vdc2)가 공급되게 제1 전류패스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패스스위치(Q1)는 상술한 바와 같이 N채널 또는 P채널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신호생성부(144)는 제1 패스위치(Q1)가 스위칭 온 동작하는 경우, 스위칭 온되어 전원생성부(142)에서 생성된 신호전원(ss)을 패스하는 제2 패스스위치(Q2), 제2 패스스위치(Q2)을 통하여 패스된 신호전원(ss)을 시간지연하여 제2 high 신호(high2)를 출력하는 저항(Rs) 및 커패시터(Cs)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항(Rs) 및 커패시터(Cs)는 상술한 시간지연부(130)와 동일한 회로 구성을 이룰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즉, 도 3(f)에 나타낸 바와같이, 커패시터(Cs)에 소정 레벨의 전원이 충전되면, 도 3(g)와 같이 커패시터(Cs)에 충전된 전원을 기반으로 제2 high 신호(hish2)를 출력할 수 있으며, 도 3(h)와 같이 제2 LED(led2)에 전류(Led2_i)가 흐른다.
제2 LED 구동부(150)는 제1 LED 구동부(140)로부터 출력된 제2 high 신호(high2) 입력시 스위칭 온 동작하는 제3 패스스위치(Q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 패스스위치(Q3)는 스위칭 온 동작시 제2 LED(led2)로 제2 dc 전원(vdc2)가 공급되게 제2 전류패스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류패스는 제1 시간동안 유지되고, 상기 제2 전류패스는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제2 시간동안 유지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LED 구동부(150)는 제1 LED 구동부(140)에 포함된 전원생성부(142) 및 신호생성부(14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제1, 2 LED 구동부(140, 150)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하나의 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제1, 2 LED(led1, led2)를 포함하는 복수의 LED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LED는 50ms 내지 150ms 동안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광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4)

  1. 복수의 LED;
    제1 dc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부;
    상기 제1 dc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스위치소자, 상기 스위치소자로부터 공급된 상기 제1 dc 전원을 제2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부 및 상기 컨버터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2 dc 전원에 대응하는 피드백전원을 기반으로 상기 스위치소자가 스위칭 온 또는 오프동작되게 제어하는 스위치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
    상기 컨버터부에서 변환된 상기 제2 dc 전원이 소정시간동안 시간지연되어 상기 복수의 LED 중 제1 LED로 공급되게, 상기 제2 dc 전원을 상기 소정시간동안 충전하여 제1 high 신호를 출력하는 시간지연부;
    상기 제2 dc 전원으로 소정 레벨의 신호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생성부, 상기 제1 high 신호 입력시 상기 제1 LED로 상기 제2 dc 전원이 공급되게 스위칭 온 동작하는 제1 패스 스위치, 상기 제1 패스 스위치의 스위칭 온 동작시, 상기 제2 dc 전원이 소정시간동안 시간지연되어 상기 복수의 LED 중 제2 LED로 공급되게 상기 신호전원을 상기 소정시간동안 충전하여 제2 high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제1 LED 구동부; 및
    상기 제2 high 신호 입력시, 상기 제2 dc 전원이 상기 제2 LED로 공급되게 스위칭 온동작하는 제2 패스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2 LED 구동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LED는,
    서로 병렬 연결된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제1 dc 전원을 출력하는 배터리 전원인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는,
    벅(buck) 컨버터인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소자는,
    N채널 또는 P채널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인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소자는,
    상기 전원부와 연결된 제1 단자;
    상기 컨버터부와 연결된 제2 단자; 및
    상기 스위치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2 단자가 연결되게 스위칭 온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제1, 2 단자가 차단되게 스위칭 오프동작하는 제3 단자;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상기 제1 dc 전원 입력시 상기 제2 dc 전원으로 전원레벨을 변환하는 인덕터, 커패시터 및 저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지연부는,
    상기 제2 dc 전원을 상기 소정시간 충전한 후 상기 제1 high 신호를 출력하는 RC 회로인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생성부는,
    상기 신호전원을 시간지연하는 RC 회로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스 스위치는,
    제1 시간동안 스위칭 온동작하고,
    상기 제2 패스 스위치는,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제2 시간동안 스위칭 온 동작하는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
KR1020140046232A 2014-04-17 2014-04-17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 KR101552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232A KR101552638B1 (ko) 2014-04-17 2014-04-17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232A KR101552638B1 (ko) 2014-04-17 2014-04-17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638B1 true KR101552638B1 (ko) 2015-09-18

Family

ID=54248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232A KR101552638B1 (ko) 2014-04-17 2014-04-17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63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0017B2 (en) Charge pump, switch driver device, lighting device, and vehicle
JP6470083B2 (ja) スイッチ駆動装置、発光装置、車両
US10081301B2 (en) Lighting circuit and vehicular turn signal lamp
CN107211513B (zh) 灯控装置及其控制方法
US9992835B2 (en) Lighting circuit
EP2457768B1 (en) Power converter and vehicle lighting device, vehicle headlight and vehicle using power converter
US20150069906A1 (en) Circuit arrangement, lighting unit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driving semiconductor lighting elements
US10383185B2 (en) Motor vehicle illumination device
US9125263B2 (en) LED lighting device
JP2017154735A (ja) 複数の出力を備える自動車両の照明装置のための電力供給
JP2019511075A (ja) 複数のledストリング調光制御
JP6343865B2 (ja) 発光ダイオード点灯装置及び該発光ダイオード点灯装置を用いた照明装置
JP2013254718A (ja) 点灯装置および前照灯、車両
JP2020098718A (ja) 車両用ライト制御装置
CN113271700B (zh) 灯光系统
KR101552638B1 (ko)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
CN108966408B (zh) 由多个光发射器共用的电流源
KR20150120229A (ko) 자동차의 램프구동장치
JP2008131837A (ja) 電源装置
JP6257485B2 (ja) Led点灯装置
JP2019057420A (ja) 光源の制御回路、車両用灯具
JP5321510B2 (ja) 液晶表示システム
KR101987296B1 (ko) 차량용 엘이디 구동 장치
KR102322277B1 (ko) 전원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JP2019057518A (ja) スイッチ駆動装置、発光装置、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