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796B1 - 인압하중에 강한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 - Google Patents

인압하중에 강한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796B1
KR101931796B1 KR1020150089258A KR20150089258A KR101931796B1 KR 101931796 B1 KR101931796 B1 KR 101931796B1 KR 1020150089258 A KR1020150089258 A KR 1020150089258A KR 20150089258 A KR20150089258 A KR 20150089258A KR 101931796 B1 KR101931796 B1 KR 101931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eaf
screen
axis direction
door
reinforc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250A (ko
Inventor
김현
신판주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교통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89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796B1/ko
Priority to EP16814679.3A priority patent/EP3315376A1/en
Priority to PCT/KR2016/006626 priority patent/WO2016208966A1/ko
Priority to JP2017567141A priority patent/JP2018518419A/ja
Publication of KR20170000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y축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을 따라 수직 이동하도록 설치된 상측도어리프 및 하측도어리프를 포함하는 스크린도어장치로서, 상기 상측도어리프는, x-y 평면에 배치된 상측스크린부; 및 상기 상측스크린부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상측보강부를 포함하는 스크린도어장치를 공개한다.

Description

인압하중에 강한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Screen Door supportive for crowd pressure}
본 발명은 인압하중에 강한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에 관한 기술이다.
기존에 공개되어 있는 로프타입의 플랫폼 스크린 도어(RPSD)의 경우 스크린도어의 도어 리프가 와이어로프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와이어로프는 와이어로프의 사이로 승객의 손이나 우산 등이 침범할 수 있어 위험요소가 잔존하고 있어서 선로와 승강장을 완벽하게 차단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강화 플라스틱 또는 강화 유리와 같은 판형의 소재를 사용하는 기존의 PSD와 같은 하드부재를 적용하여 선로와 승강장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하드부재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개인 또는 군중에 의해 스크린도어의 도어리프에 가해지는 수평방향의 힘인 인압 하중에 대한 인압하중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그러나 인압하중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하드부재의 수평방향 폭을 넓혀야 하고 그 결과 무게가 무거워지게 되며, 만일 인압하중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하드부재가 휘어지거나 휘청거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벼우면서도 인압하중에 강한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스크린도어장치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을 따라 수직 이동하도록 설치된 상측도어리프 및 하측도어리프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도어리프는, x-y 평면에 배치된 상측스크린부; 및 상기 상측스크린부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상측보강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측도어리프는, x-y 평면에 배치된 하측스크린부; 및 상기 하측스크린부로부터 상기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하측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장치가 닫혔을 때에는 상기 하측도어리프가 상기 상측도어리프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린도어장치가 열렸을 때에는 상기 하측도어리프가 상기 상측도어리프에 겹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장치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상측도어리프에 대하여 상기 z축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힘이 상기 하측보강부를 통해 분산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측도어리프는, 상기 상측스크린부에 대하여 고정배치되어 있으며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측도어리프는, 상기 레일에 결합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레일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측보강부는 상기 상측스크린부의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하측보강부는 상기 하측스크린부의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도어리프는, 상기 상측스크린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2상측보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측도어리프는, 상기 하측스크린부의 하부로부터 상기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2하측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장치가 닫혔을 때에, 상기 하측보강부는 상기 제2상측보강부에 겹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도어리프에 z축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힘이 상기 제2상측보강부를 통해 상기 하측보강부로 분산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도어장치가 닫혔을 때에, 상기 상측도어리프에 z축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경우, 상기 힘이 상기 하측도어리프에 분산될 수 있도록, 상기 상측도어리프의 하단부가 상기 하측도어리프의 상단부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압에 의한 도어리프의 휘어짐이나 휘청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가벼운 스크린도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의 외관 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의 구체적인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에서, 상측도어리프와 하측도어리프 간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a 내지 도 3b에 나타낸 상단-장착부 및 하단-장착부가 결합되는 구조 및 상측도어리프와 하측도어리프의 운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의 외관 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상측도어리프 및 하측도어리프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상측도어리프 및 하측도어리프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도어리프의 구조를 변형한 변형예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100)의 외관 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는 상측도어리프(1) 및 하측도어리프(2)가 닫혀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1b는 상측도어리프(1) 및 하측도어리프(2)가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100)는 상하로 개폐되는 상측도어리프(1) 및 하측도어리프(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측도어리프(1) 및 하측도어리프(2)는 플레이트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도어(10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지면상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좌측수직프레임(501)과 우측수직프레임(502), 및 좌측수직프레임(501)의 상단과 우측수직프레임(502)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5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측도어리프(1)와 하측도어리프(2)의 좌측과 우측은 각각 좌측수직프레임(501)과 우측수직프레임(50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측도어리프(1)와 하측도어리프(2)가 모두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도어리프(2)가 상측도어리프(1)보다 하위에 위치하여, 상측도어리프(1)와 하측도어리프(2)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측도어리프(1)와 하측도어리프(2)가 모두 열린 상태에서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도어리프(1)와 하측도어리프(2)가 서로 겹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도 2a 내지 도 3b를 함께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100)를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100)의 구체적인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상측도어리프(1) 및 하측도어리프(2)가 닫혀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2b는 상측도어리프(1) 및 하측도어리프(2)가 열려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100)에서, 상측도어리프(1)와 하측도어리프(2)의 상호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측도어리프(1)는 x-y 평면에 배치된 상측스크린부(13), 및 상측스크린부(13)의 좌우 양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상단-장착부(101, 10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도어리프(2)는 x-y 평면에 배치된 하측스크린부(23), 및 하측스크린부(23)의 좌우 양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하단-장착부(201, 202)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수직프레임(501, 502)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각 수직프레임(501, 50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크류(311, 312)가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좌측수직프레임(501) 및 우측수직프레임(502)의 제2부분(예컨대 하단부)에는 각각 스크류(311, 312)를 회전시키도록 스크류(311, 312)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모터(301, 302)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좌측수직프레임(501)과 우측수직프레임(502)의 제1부분(예컨대 상단부)에는 각각 스크류(311, 312)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스크류결합부(321, 322)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스크류결합부(321, 322)에는 베어링과 같은 부품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좌측수직프레임(501)의 상단부에는 좌측스크류(311)를 지지하기 위한 좌측스크류결합부(321)가 설치되어 있고, 좌측수직프레임(501)의 하단부에는 좌측회전모터(301)가 설치되어 있으며, 좌측스크류(311)는 좌측회전모터(301)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좌측회전모터(301)의 일 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우측수직프레임(502)의 상단부에는 우측스크류(312)를 지지하기 위한 우측스크류결합부(322)가 설치되어 있고, 우측수직프레임(502)의 하단부에는 우측회전모터(302)가 설치되어 있으며, 우측스크류(312)는 우측회전모터(302)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우측회전모터(302)의 일 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회전모터(301, 302)가 회전하면, 스크류(311, 312)는 수직프레임(501, 502)에 대하여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면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스크류(311, 312)의 일 부분에는 수직가동부(41, 42)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수직가동부(41, 42)는 스크류(311, 312)가 회전함에 따라 스크류(311, 312)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수직가동부(41, 42)에는 스크류(311, 312)의 나사산에 결합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단레일(121, 122)과 하단레일(221, 222)이 좌측수직프레임(501) 및 우측수직프레임(502)에 고정되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하단레일(221, 222)은 상단레일(121, 122)보다 수직방향으로 더 길 수 있다.
각 상단레일(121, 122)에는 상단이동부(111, 112)가 상하로 안내되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단이동부(111, 112)는 상단레일(121, 122)에 대하여 미끄러짐 운동을 하도록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상단이동부(111, 112)는 베어링에 의해 상단레일(121, 122)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각 하단레일(221, 222)에는 하단이동부(211, 212)가 상하로 안내되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단이동부(211, 212)는 하단레일(221, 222)에 대하여 미끄러짐 운동을 하도록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하단이동부(211, 212)는 베어링에 의해 하단레일(221, 222)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단이동부(111, 112)에는 상측도어리프(1)의 좌우 양단에 위치한 상단-장착부(101, 102)가 각각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도어리프(1)는 상단레일(121, 1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하단이동부(211, 212)에는 하측도어리프(2)의 좌우 양단에 위치한 하단-장착부(201, 202)가 각각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측도어리프(2)는 하단레일(221, 2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수직가동부(41, 42)에는 하단이동부(211, 212)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수직가동부(41, 42)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하단이동부(211, 212)도 수직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회전모터(301, 302)가 회전하면 스크류(311, 312)가 회전하게 되고, 스크류(311, 312)가 회전하면 수직가동부(41, 42)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수직가동부(41, 42)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 여기에 연결된 하단이동부(211, 212) 및 하측도어리프(2)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4를 통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측도어리프(2)는 상측도어리프(1)에 소정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도어리프(2)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측도어리프(1)는 하측도어리프(2)에 비해 작은 속도로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도 2a 내지 도 3b에 나타낸 상단-장착부(101, 102) 및 하단-장착부(201, 202)가 서로 결합되는 구조 및 상측도어리프(1)가 하측도어리프(2)에 의해 힘을 받아 이동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장착부(101, 102)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활차(131, 132)를 위한 활차축(141, 142)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활차(131, 132)는 한 쌍의 활차축(141, 14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활차(131, 132)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벨트(140)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하단-장착부(201, 202)의 일 지점에는 제1결합부(5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결합부(51)는 벨트(140)의 일 부분(제2결합부)(52)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상단-장착부(101, 102)와 하단-장착부(201, 202)의 운동 원리를 설명한다.
회전모터(301, 302)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311, 312)가 회전하면, 스크류(311, 31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수직가동부(41, 4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수직가동부(41, 42)에는 하단이동부(211, 212)가 각각 고정결합되어 있고, 하단이동부(211, 212)에는 하단-장착부(201, 202)가 각각 고정결합되어 있고, 하단-장착부(201, 202)의 제1결합부(51)에는 벨트(52)의 일부분(52)이 고정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활차(131, 132)를 통해 벨트(52)와 결합되어 있는 상단-장착부(101, 102)도 하단-장착부(201, 202)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하측도어리프(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측도어리프(1)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기존의 RPSD의 경우 스크린도어의 도어리프가 와이어로프로 구성되어 있다. 와이어로프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와이어로프의 사이로 승객의 손이나 우산 등이 침범할 수 있어 위험요소가 잔존하고 있기 때문에 선로와 승강장을 완벽하게 차단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기존의 PSD와 같은 하드부재를 스크린도어에 적용하여 선로와 승강장을 완벽하게 차단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져 왔다. 그러나 하드부재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RPSD 구조해석조건인 인압 하중, 예컨대 100kgf 조건을 만족해야 하지만, 경량의 무게를 유지하면서 이를 만족시키기 어렵다. 그 결과 승강장 플랫폼이나 지하철 안에 많은 사람들이 분포해 있는 경우, 사람들이 스크린도어의 도어리프에 압력을 가하는 행위 등에 의해 도어리프가 휘어지거나 휘청거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압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스크린도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200)의 외관 구조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상측도어리프(3) 및 하측도어리프(4)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상측도어리프(3) 및 하측도어리프(4)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도어(200)는 상하로 개폐되는 상측도어리프(3) 및 하측도어리프(4), 좌측수직프레임(501), 우측수직프레임(502), 및 수평프레임(50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좌측수직프레임(501), 우측수직프레임(502), 및 수평프레임(503)의 구체적인 구성요소, 구조, 및 구동방법은, 도 1 내지 도 4b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측도어리프(3)는 x-y 평면에 배치된 상측스크린부(13), 상측스크린부(13)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z 방향으로 돌출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상측보강부(11), 상측스크린부(13)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z 방향으로 돌출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상측보강부(12), 및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레일(1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레일(15)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측스크린부(13)에 대하여 제1상측보강부(11)와 제2상측보강부(12) 상에 고정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레일(15)은 제1상측보강부(11)와 제2상측보강부(12)가 아닌 상측스크린부(13)의 다른 지점에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레일(15)은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레일(15)은 한 개만 제공될 수도 있다.
하측도어리프(4)는 x-y 평면에 배치된 하측스크린부(23), 하측스크린부(23)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z 방향으로 돌출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하측보강부(21), 하측스크린부(23)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z 방향으로 돌출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하측보강부(22), 및 제1하측보강부(21)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 개의 레일결합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레일결합부(25)는 상측도어리프(3)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15)을 따라 안내되도록 레일(15)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측스크린부(13) 및 하측스크린부(23)는 플레이트형 부재와 같은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형 부재는 강화유리, 강화 합성수지, 또는 천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상측스크린부(13) 및/또는 하측스크린부(23)는, 보강부(11, 12, 21, 22)가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프레임 및 프레임에 설치된 로프형 부재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모터(301, 302)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311, 312)가 회전하면, 스크류(311, 31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수직가동부(41, 4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하측도어리프(4)는 상측도어리프(3)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15)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측도어리프(3) 및 하측도어리프(4)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 상측도어리프(3)에 대하여 상기 +z축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힘은 제1상측보강부(11) 및 제2상측보강부(12)를 통해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제2상측보강부(12)는 제1하측보강부(21)에 레일결합부(25)를 통해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힘이 제1하측보강부(21)를 통해 분산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도어리프의 구조를 변형한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9에서 참조번호 603, 604, 611, 612, 613 621, 622, 623으로 지시된 구성요소는 각각, 도 6 및 7에서 참조번호 3, 4, 11, 12, 13, 21, 22, 23으로 지시된 구성요소에 대응한다.
도 8 및 도 9에서는 도 6 및 7에 도시된 레일(15) 및 레일결합부(25)의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의 예에서는 상측도어리프(603) 및 하측도어리프(604)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 제1하측보강부(621)이 제2상측보강부(612)와 서로 겹치게 된다. 이때, 제1하측보강부(621)의 -z 쪽 단부와 제2상측보강부(612)의 +z 쪽 단부는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할 수도 있다.
위의 구성에 따르면 상측도어리프(603)에 +z 쪽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에, 이 힘은 제2상측보강부(612)를 통해 제1하측보강부(621)에 전달되어 분산될 수 있다. 그 결과 상측도어리프(603)의 +z 쪽 방향의 휨 현상이 완화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의 구성에 있어서, 하측도어리프(604)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하측스크린부(623)의 -z쪽 방향의 일면이 제2상측보강부(612)에 닿지 않도록, 제1하측보강부(621)는 하측스크린부(623)의 상기 일면에 대하여 -z축 방향으로 더 튀어 나와 있을 수 있다. 즉, 하측스크린부(623)의 -z쪽 방향의 일면은 제1하측보강부(621)의 +z축 방향의 일단부보다 더 +z쪽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9에서 제2상측보강부(612)의 +z쪽 단부와 제1하측보강부(621)의 -z쪽 단부가 서로 이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제2상측보강부(612)와 제1하측보강부(621)를 서로 구분하여 표시하기 위해 편의상 도시한 것이다. 최적의 실시예에서는 스크린도어가 닫힌 상태애서 제2상측보강부(612)의 +z쪽 단부와 제1하측보강부(621)의 -z쪽 단부가 서로 맞닿아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상측보강부(612)의 +z쪽 단부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z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되어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1하측보강부(621)의 -z쪽 단부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z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되어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제1하측보강부(621)에 제2상측보강부(612) 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하측도어리프(603)이 과도하게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상측도어리프(3, 603)에 +z 쪽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에, 상측도어리프(3, 603)의 +z 쪽 방향의 휨 현상이 완화되는 효과는, 상측도어리프(3, 603)의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된 보강부(11, 12, 611, 612)가 z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하측도어리프(4, 604)에 설치된 보강부(21, 22, 621, 622)에 의해 상기 힘이 분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휨 현상은 더 완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스크린도어’는 ‘스크린도어장치’ 또는 ‘플랫폼 스크린도어’로 지칭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100, 200: 스크린도어
1, 3, 603: 상측도어리프 2, 4, 604: 하측도어리프
11, 611: 제1상측보강부 12, 612: 제2상측보강부
13, 613: 상측스크린부 15: 레일
21, 621: 제1하측보강부 22, 622: 제2하측보강부
23, 623: 하측스크린부 25: 레일결합부
41: 좌측수직가동부 42: 우측수직가동부
51: 제1결합부 52: 제2결합부
101: 좌측상단-장착부 102: 우측상단-장착부
111: 좌측상단이동부 112: 우측상단이동부
121: 좌측상단레일 122: 우측상단레일
131: 상측활차 132: 하측활차
140: 벨트 141: 상측회전축
142: 하측회전축
201: 좌측하단-장착부 202: 우측하단-장착부
211: 좌측하단이동부 212: 우측하단이동부
221: 좌측하단레일 222: 우측하단레일
301: 좌측회전모터 302: 우측회전모터
311: 좌측스크류 312: 우측스크류
321: 좌측스크류결합부 322: 우측스크류결합부
501: 좌측수직프레임 502: 우측수직프레임
503: 수평프레임

Claims (8)

  1. y축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을 따라 수직 이동하도록 설치된 상측도어리프 및 하측도어리프를 포함하는 스크린도어장치로서,
    상기 상측도어리프는, x-y 평면에 배치된 상측스크린부(613); 및 상기 상측스크린부(613)의 하단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2상측보강부(612)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도어리프는, x-y 평면에 배치된 하측스크린부(623); 및 상기 하측스크린부(623)의 상단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1하측보강부(621)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도어장치가 닫혔을 때에는 상기 하측도어리프가 상기 상측도어리프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스크린도어장치가 열렸을 때에는 상기 하측도어리프가 상기 상측도어리프에 겹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도어장치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상측도어리프에 대하여 +z축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에 상기 힘이 상기 제2상측보강부(612)를 통해 상기 제1하측보강부(621)로 분산되도록 되도록, 상기 스크린도어장치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하측보강부(621)는 상기 제2상측보강부(612)에 겹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도어리프는, 상기 상측스크린부(613)에 대하여 고정배치되어 있으며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측도어리프는, 상기 레일에 결합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레일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스크린도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도어리프는, 상기 상측스크린부(613)의 상단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1상측보강부(6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상측보강부(611)의 +z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2상측보강부(612)의 +z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며,
    상기 제1상측보강부(611)의 +z축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1하측보강부(621)의 +z축 방향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도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스크린부(623)의 -z쪽 방향의 일면은 상기 제1하측보강부(621)의 +z쪽 방향의 일단부보다 더 +z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상측보강부(612)의 +z쪽 단부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z 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하측보강부(621)의 -z쪽 단부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z 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상을 갖는,
    스크린도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도어리프는, 상기 하측스크린부(623)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제2하측보강부(622)를 더 포함하는,
    스크린도어장치.
KR1020150089258A 2015-06-23 2015-06-23 인압하중에 강한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 KR101931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258A KR101931796B1 (ko) 2015-06-23 2015-06-23 인압하중에 강한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
EP16814679.3A EP3315376A1 (en) 2015-06-23 2016-06-22 Screen door having strong structure against human-pressing load
PCT/KR2016/006626 WO2016208966A1 (ko) 2015-06-23 2016-06-22 인압하중에 강한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
JP2017567141A JP2018518419A (ja) 2015-06-23 2016-06-22 引圧荷重に強い構造を有するスクリーンドア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258A KR101931796B1 (ko) 2015-06-23 2015-06-23 인압하중에 강한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250A KR20170000250A (ko) 2017-01-02
KR101931796B1 true KR101931796B1 (ko) 2018-12-21

Family

ID=57585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258A KR101931796B1 (ko) 2015-06-23 2015-06-23 인압하중에 강한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315376A1 (ko)
JP (1) JP2018518419A (ko)
KR (1) KR101931796B1 (ko)
WO (1) WO20162089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65254A (zh) * 2020-09-12 2020-12-11 安徽和邦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组装纱门
KR20240052249A (ko) * 2022-10-14 2024-04-23 주식회사 에스케이디 하이테크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978B1 (ko) * 2007-10-08 2010-08-05 대덕피에스텍 (주)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
KR100839484B1 (ko) * 2007-12-11 2008-06-19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수직포스트
KR101344995B1 (ko) * 2011-03-01 2013-12-24 한성무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JP5797141B2 (ja) * 2012-03-21 2015-10-21 近畿車輌株式会社 ホームドア装置
KR20140002933A (ko) * 2012-06-28 2014-01-0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미세 방전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518419A (ja) 2018-07-12
EP3315376A1 (en) 2018-05-02
WO2016208966A1 (ko) 2016-12-29
KR20170000250A (ko) 201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796B1 (ko) 인압하중에 강한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
WO2016106741A1 (zh) 管材切割设备及其夹持系统
RU2437823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вери лифта
CN209554325U (zh) 一种槽轮搬运装置
CN207903724U (zh) 乘客输送机
KR101426703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대차
CN210557517U (zh) 一种桁架滑轨结构
KR101776219B1 (ko) 랙-피니언 동력전달구조를 갖는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 장치
CN112188989B (zh) 电梯的轿厢门装置
KR100900383B1 (ko) 도포장치
CN210557782U (zh) 上料移动装置
CN106347398B (zh) 一种铁路敞车用可拆卸式顶棚
DE202016103634U1 (de) Unter einer strukturellen Grundplatte befindliche Aufzugmaschine
CN105386601B (zh) 一种激光整平机上的伸缩臂结构
CN107584265A (zh) 一种零件快速翻转组装装置
CN220434776U (zh) 支撑机构
CN219883112U (zh) 用于发泡模具的换模装置和箱体发泡系统
JP6917699B2 (ja) ゲート装置
CN209649479U (zh) 3d打印机上打印头的升降组件
CN209455529U (zh) 一种组合自立式龙门架
CN214191542U (zh) 一种用于玻璃运输的升降装置
CN211056486U (zh) 一种电梯门的防护缓冲装置
KR101442440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 엘리베이터칸 장치
JP6742117B2 (ja) ホームドア装置
KR101200068B1 (ko) 스크린 도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