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978B1 -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 - Google Patents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978B1
KR100973978B1 KR1020070100736A KR20070100736A KR100973978B1 KR 100973978 B1 KR100973978 B1 KR 100973978B1 KR 1020070100736 A KR1020070100736 A KR 1020070100736A KR 20070100736 A KR20070100736 A KR 20070100736A KR 100973978 B1 KR100973978 B1 KR 100973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vertical frame
fixed
fitted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5782A (ko
Inventor
김병문
오완호
Original Assignee
대덕피에스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덕피에스텍 (주) filed Critical 대덕피에스텍 (주)
Priority to KR1020070100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978B1/ko
Publication of KR20090035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wing doors or windows, i.e. opening inwards and out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차 등의 플랫폼 끝단에 조립식으로 설치되어 승객들이 철로로 떨어지지 않게 안전을 확보하면서 비상시 수동식으로 회전개폐되는 비상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조인트부와 수직프레임과 회전받침조립체가 상하로 조립체결된 상태로 플랫폼 끝단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회전수직프레임부와, 고정조인트부와 고정수직프레임과 고정받침판이 상하로 조립체결된 상태로 상기 각 회전수직프레임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플랫폼 끝단을 따라 나란히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수직프레임부와, 상기 회전조인트부와 고정조인트부 사이마다 각각 수평방향으로 끼움결합되어 상기 각 회전수직프레임부와 고정수직프레임부의 상부를 수평 연결지지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각 회전수직프레임부의 회전조인트부와 회전받침조립체에 일측끝단 상하부가 조립체결되어 상기 회전수직프레임부를 축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타측끝단은 상기 고정수직프레임부에 걸림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비상문으로 구성되어 있어 전동차용 플랫폼 끝단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스크린도어와 함께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비상시 상기 비상문이 수동식으로 회전개폐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상문장치, 회전수직프레임부, 고정수직프레임부, 수평프레임, 회전조인트부, 고정조인트부, 비상문

Description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A prefabricated emergency door device for platform screen door}
본 발명은 전동차 등의 플랫폼 끝단에 조립식으로 설치되어 승객들이 철로로 떨어지지 않게 안전을 확보하면서 비상시 수동식으로 회전개폐되는 비상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조인트부와 수직프레임과 회전받침조립체가 상하로 조립체결된 상태로 플랫폼 끝단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회전수직프레임부와, 고정조인트부와 고정수직프레임과 고정받침판이 상하로 조립체결된 상태로 상기 각 회전수직프레임부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플랫폼 끝단을 따라 나란히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수직프레임부와, 상기 회전조인트부와 고정조인트부 사이마다 각각 수평방향으로 끼움결합되어 상기 각 회전수직프레임부와 고정수직프레임부의 상부를 수평 연결지지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각 회전수직프레임부의 회전조인트부와 회전받침조립체에 일측끝단 상하부가 조립체결되어 상기 회전수직프레임부를 축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타측끝단은 상기 고정수직프레임부에 걸림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비상문으로 구성되어 있어 전동차용 플랫폼 끝단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스크린도어와 함께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비상시 상기 비상문이 수동식으로 회전개폐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랫폼 스크린도어(platfom screen door) 장치는 지하철이나 경전철 플랫폼 위에 선로와 격리되는 차단벽과 가동문(스크린도어)을 설치해 전동차의 출입문과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하는 플랫폼 안전 지원장치로서, 전동차가 플랫폼에 완전히 멈추어 서면 전동차 출입문과 함께 스크린도어가 열려 승객의 안전 확보와 함께 전동차로 인한 소음, 먼지, 강풍 등을 줄이고 승객이 고의나 실수로 선로에 빠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선로부와 플랫폼을 차단벽과 스크린도어로 완전히 격리하는 완전밀폐형, 차단벽 및 스크린도어 위쪽에 개구부(開口部)를 배치하는 반밀폐형, 차량의 출입문 위치에 맞추어 스크린도어만을 설치하는 난간형 등의 3종류로 나뉘며, 이와 같은 플랫폼 스크린도어 장치의 장점은 승객의 추락 및 전동차 접촉 방지, 역무원 인력의 절감, 열차의 무인 운전 가능, 승객 유동성 향상 및 고속통과 운전 가능, 차량 강풍 방지와 방음, 방진(防塵) 효과를 통한 플랫폼의 쾌적성 유지, 열차 화재시 방연(防煙) 효과, 역 환기탑 및 기계실의 축소 가능 등이며, 단점으로는 초기 설치비가 많이 들고 열차가 정위치를 초과해 정차하는 경우 승하차 속도가 지연될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플랫폼 스크린도어 장치는 전동차 등의 플랫폼 끝단을 따라 일 정간격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도어와 함께 비상문장치가 연속설치되어 있어 스크린도어의 고장으로 스크린도어의 개폐작동이 정지되었을 경우 또는 화재 등의 비상시 상기 비상문장치가 수동식으로 개폐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되어 있는데, 종래의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비상문장치(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의 끝단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수직골조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수직프레임(17')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직프레임(17')의 상부쪽에는 수평방향으로 가로질러 수평골조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수평프레임(46')이 연결설치되어 있어 상기 수직프레임(17')과 수평프레임(46')을 따라 그 내측에 형성되는 빈 공간부에 일정간격으로 통상의 스크린도어(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의 수직프레임(17')과 수평프레임(46')의 내측 빈 공간부에는 각각 비상문(48')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비상문(48')을 지지하도록 수직프레임(17')과 수평프레임(46')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의 내측면에는 상하좌우로 각각 수직틀(52')과 수평틀(53')이 고정부착되어 사각틀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사각틀의 내측에 복수개의 경첩(54') 등으로 힌지연결된 비상문(48')이 설치되어 수직틀(52')과 수평틀(53')에 의해 지지되면서 수동식으로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비상문장치(1')에서 전체적인 골조를 형성하는 수직프레임(17')과 수평프레임(46')은 모두 하나의 무겁고 긴 "H"형 빔이나 "I"형 빔 등으로 되어 있어 상기 수직프레임의 경우에는 승강장의 높이에 맞게 긴 "H"형 빔이나 "I"형 빔을 일정길이로 절단가공한 다음 지면에 세운 상태에 서 용접 및 앵커 등으로 고정설치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수평프레임(46')의 경우에도 수직프레임(17') 사이의 폭에 맞게 절단하여 상기 수직프레임(17') 사이에 용접부착하도록 되어 있어 긴 "H"형 빔이나 "I"형 빔의 절단가공과 용접부착 및 전체적인 연결시공이 매우 어려울 뿐 아니라 시공기간이 장기간 소요되며,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17')과 수평프레임(46')의 내측에 부수적으로 설치되는 수직틀(52')과 수평틀(53')의 경우에도 상기 비상문(48')의 크기에 맞게 그 높낮이를 맞추어 절단가공한 다음 용접부착하도록 되어 있어 시공이 더욱 어렵고 제작비용 및 제작기간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상문이 설치되도록 전체적인 골조를 형성하는 회전수직프레임부의 회전받침조립체와 수직프레임과 회전조인트부 및 고정수직프레임부의 고정받침판과 고정수직프레임과 고정조인트부 및 수평프레임이 모두 조립식으로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프레임을 별도로 절단 및 용접작업할 필요없고, 상기 수직프레임과 고정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이 모두 원형의 파이프형상으로 되어 있어 상기 회전조인트부 및 고정형조인트부에 간단하게 단순 끼움체결하는 방식으로 시공되고 단시간내에 설치가 가능하며, 또한 각각의 비상문도 상기 회전받침조립체와 회전조인트부에 간단하게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어 전체적인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시공비용 및 시공기간이 감소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동차용 플랫폼 끝단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스크린도어와 함께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비상시 수동식으로 회전개폐되도록 되어 있는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비상문장치에 있어서, 회전조인트부와 수직프레임과 회전받침조립체가 상하로 조립체결된 상태로 플랫폼 끝단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회전수직프레임부와, 고정조인트부와 고정수직프레임과 고정받침판이 상하로 조립체결된 상태로 상기 각 회전수직프레임부와 일 정간격 이격되어 플랫폼 끝단을 따라 나란히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수직프레임부와, 상기 회전조인트부와 고정조인트부 사이마다 각각 수평방향으로 끼움결합되어 상기 각 회전수직프레임부와 고정수직프레임부의 상부를 수평 연결지지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각 회전수직프레임부의 회전조인트부와 회전받침조립체에 일측끝단 상하부가 조립체결되어 상기 회전수직프레임부를 축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타측끝단은 상기 고정수직프레임부에 걸림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비상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비상문이 설치되도록 전체적인 골조를 형성하는 회전수직프레임부의 회전받침조립체와 수직프레임과 회전조인트부 및 고정수직프레임부의 고정받침판과 고정수직프레임과 고정조인트부 및 수평프레임이 모두 조립식으로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프레임을 별도로 절단 및 용접작업할 필요없고, 상기 수직프레임과 고정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이 모두 원형의 파이프형상으로 되어 있어 상기 회전조인트부 및 고정형조인트부에 간단하게 끼움 체결하는 방식으로 시공되고 단시간내에 설치가 가능하며, 또한 각각의 비상문도 상기 회전받침조립체와 회전조인트부에 간단하게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어 전체적인 시공이 매우 간편하여 시공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시공비용 및 시공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1)는 도 1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차 등이 정차하는 플랫폼의 끝단에 스크린도어(51)와 함께 조립식으로 설치되어 승객들이 철로로 떨어지지 않게 안전을 확보하면서 화재 등의 비상시 수동조작에 의해 회전식으로 개폐되는 비상문으로서, 회전조인트부(18)와 수직프레임(17)과 회전받침조립체(3)가 상하로 조립체결된 상태로 플랫폼 끝단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회전수직프레임부(2)와, 고정조인트부(44)와 고정수직프레임(39)과 고정받침판(37)이 상하로 조립체결된 상태로 상기 각 회전수직프레임부(2)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플랫폼 끝단을 따라 나란히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수직프레임부(36)와, 상기 회전조인트부(18)와 고정조인트부(44) 사이마다 각각 수평방향으로 끼움결합되어 상기 각 회전수직프레임부(2)와 고정수직프레임부(36)의 상부를 수평 연결지지하는 수평프레임(46)과, 상기 각 회전수직프레임부(2)의 회전조인트부(18)와 회전받침조립체(3)에 일측끝단 상하부가 조립체결되어 상기 회전수직프레임부(2)를 축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타측끝단은 상기 고정수직프레임부(36)에 걸림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비상문(48)으로 구성되어 있어 전동차용 플랫폼 끝단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스크린도어(51)와 함께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비상시 상기 비상문(48)이 수동식으로 회전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수직프레임부(2)는 도 1 내지 5, 9,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의 끝단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가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조립설치되어 수직 골조를 이루면서 비상문(48)이 회전 지지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플랫폼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받침조립체(3)와, 상기 회전받침조립체(3)의 상부에 끼움조립되는 긴 파이프 형상의 수직프레임(17)과, 상기 수직프레임(17)의 상부에 끼움조립되는 회전조인트부(1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회전받침조립체(3)는 도 2,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수직프레임부(2)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되어 하부를 안정적으로 받침 지지하면서 비상문(48)의 일측면 하부가 조립체결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플랫폼 끝단의 바닥면 내측에 매설된 상태에서 통상의 앵커볼트 등으로 고정체결되는 원판형의 받침판몸체(4a)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판몸체(4a)의 상면부 가운데부분에는 짧은 원통형의 제 1돌출봉(5a)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돌출봉(5a)의 상부에는 제 1돌출봉(5a)보다 작은 직경으로 된 짧은 원통형의 제 2돌출봉(6a)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돌출봉(5a)의 외주면에는 하부와샤(7a)와 하부부싱(8)이 차례로 끼움결합되어 있고 상기 하부부싱(8)의 외주면에는 하부회전링(9)이 끼움결합되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하부회전링(9)은 하단부가 하부와샤(7a)에 의해 받침지지되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부회전링(9)의 외주면 일 측에는 한쌍의 하부체결편(10)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직으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상기 한쌍의 하부체결편(10) 사이에 비상문(48)의 일측면 하부가 고정체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 2돌출봉(6a)의 외주면에는 상부와샤(11a)와 하부마감링(12)이 차례로 끼움결합되어 있되 상기 상부와샤(11a)는 제 1돌출봉(5a)의 상단부에 걸림체결되어 있어 하부에 위치된 하부회전링(9)이 상부에 조립체결되는 수직프레임(17)에 의해 눌림 고정되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마감링(12)의 외주면 가운데부분에는 상기 제 2돌출봉(6a)의 외주면 가운데부분에 천공된 관통공(13a)과 부합되는 위치에 삽입공(14a)이 천공되어 있어 통상의 고정핀(15a)이 상기 삽입공(14a)과 관통공(13a)을 차례로 관통체결되면서 상기 하부마감링(12)이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하부회전링(9)이 상부쪽으로 이탈되지 않게 상부에서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마감링(12)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걸림턱(16a)이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마감링(12)의 외주면에 끼움결합되는 수직프레임(17)의 하단부가 걸림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17)은 긴 원형 파이프로 되어 있고 하부는 상기 회전받침조립체(3)의 하부마감링(12)에 단순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상부는 상기 회전조인트부(18)에 구비되어 있는 하부조인트(20)의 상부마감링(30)에 단순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비상문(48)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조인트부(18)는 도 2,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7)의 상부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비상문(48)의 일측면 상부가 조립체결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상부조인트(19a)와 하부조인트(20a)와 좌측조인트(21a)와 우측조인트(22a)가 "+"자형상으로 크로스결합되면서 일체로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상부조인트(19a)는 상부에 원통형의 상부끼움몸체(23a)가 형성되어 있어 추가적인 다른 수직프레임(17)이 상부쪽으로 끼움결합되어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상부조인트(19a)의 하면부에는 대각선방향으로 위치된 한쌍의 상부체결돌기(24a)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조인트(20a)는 상면부에 상부조인트(19a)의 상부체결돌기(24a)와 반대쪽 대각선방향으로 위치된 한쌍의 하부체결돌기(25a)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직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체결돌기(24a)와 하부체결돌기(25a)가 서로 엊갈리게 상하 결합되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체결돌기(24a)와 하부체결돌기(25a)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관통된 삽입공간부(26a)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공간부(26a)에는 좌우양측으로 각각 좌측조인트(21a)와 우측조인트(22a)의 삽입돌기(32a)(32b)가 삽입되어 "+"자형상으로 크로스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조인트(20a)는 하부에 짧은 원통형의 제 1돌출봉(5b)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돌출봉(5b)의 하부에는 제 1돌출봉(5b)보다 작은 직경으로 된 짧은 원통형의 제 2돌출봉(6b)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돌출봉(5b)의 외주면에는 상부와샤(11b)와 상부부싱(27)이 차례로 끼움결합되어 있고 상기 상부부싱(27)의 외주면에는 상부회전링(28)이 끼움결합되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회전링(28)의 외주면 일측에는 한쌍의 상부체결편(29)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직으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상기 한쌍의 상부체결편(29) 사이에 비상문(48)의 일측면 상부가 고정체결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 2돌출봉(6b)의 외주면에는 하부와샤(7b)와 상부마감링(30)이 차례로 끼움결합되어 있되 상기 하부와샤(7b)는 제 1돌출봉(5b)의 하단부에 걸림체결되어 있어 상부에 위치된 상부회전링(28)이 하부에 조립체결되는 수직프레임(17)에 의해 상부쪽으로 눌림고정되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마감링(30)의 외주면 가운데부분에는 상기 제 2돌출봉(6b)의 외주면 가운데부분에 천공된 관통공(13b)과 부합되는 위치에 삽입공(14b)이 천공되어 있어 통상의 고정핀(15b)이 상기 삽입공(14b)과 관통공(13b)을 차례로 관통체결되면서 상부마감링(30)이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상부회전링(28)을 하부쪽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마감링(30)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걸림턱(16b)이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부마감링(30)의 외주면에 끼움결합되는 수직프레임(17)의 상단부가 걸림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측조인트(21a)는 좌측에 원통형의 좌측끼움몸체(31a)가 형성되어 있어 수평프레임(46)의 일측이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좌측조인트(21a)의 우측에는 삽입돌기(32a)가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삽입돌기(32a)는 좌측조인트(21a)의 우측면 가운데부분을 상하로 가로질러 세워진 상태로 우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공간부(26a)의 좌측에 삽입되면서 좌측에 위치된 상부체결돌기(24a) 및 하부체결돌기(25a) 사이에 상기 삽입돌기(32a)가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 기 우측조인트(22a)는 우측에 원통형의 우측끼움몸체(33a)가 형성되어 있어 수평프레임(46)의 타측이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우측조인트(22a)의 좌측에는 삽입돌기(32b)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삽입돌기(32b)는 우측조인트(22a)의 좌측면 가운데부분을 상하로 가로질러 세워진 상태로 좌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공간부(26a)의 우측에 삽입되면서 우측에 위치된 상부체결돌기(24a) 및 하부체결돌기(25a) 사이에 상기 삽입돌기(32b)가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전조인트부(18)에서 상부체결돌기(24a) 및 하부체결돌기(25a)와 좌우측조인트(21a)(22a)의 삽입돌기(32a)(32b)에는 각각 복수개의 체결공(34a)(34b)(34c)(34d)이 천공되어 있되, 상기 상부조인트(19a)와 하부조인트(20a)와 좌측조인트(21a)와 우측조인트(22a)가 "+"자형상으로 크로스결합된 상태에서 좌측의 상부체결돌기(24a) 및 하부체결돌기(25a)와 좌측조인트(21a)의 삽입돌기(32a)의 체결공(34a)(34b)(34c)은 서로 일직선상에 부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우측의 상부체결돌기(24a) 및 하부체결돌기(25a)와 우측조인트(22a)의 삽입돌기(32b)의 체결공(34a)(34b)(34d)도 서로 일직선상에 부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복수개의 체결공(34a)(34b)(34c)(34d)을 통해 통상의 볼트 및 너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회전조인트부(18)에서 상부조인트(19a)의 상부끼움몸체(23a)에 끼움 체결되는 다른 수직프레임(17)은 그 상부에 상기 고정수직프 레임부(36)의 고정조인트부(44)가 끼움 체결되어 상부쪽으로 연속하여 수직프레임(17)이 조립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가장 상부쪽에 설치된 수직프레임(17)은 그 끝단에 통상의 연결편(35)이 조립체결되어 플랫폼의 천정부분에 통상의 앵커볼트 등으로 고정체결하여 회전수직프레임부(2)의 상부를 안정적으로 고정지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직프레임부(36)는 도 1, 6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회전수직프레임부(2)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플랫폼 끝단을 따라 나란히 수직으로 고정설치되어 수직 골조를 이루면서 비상문(48)의 타측끝단이 걸림체결되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부분으로, 플랫폼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받침판(37)과, 상기 고정받침판(37)의 상부에 끼움조립되는 긴 파이프 형상의 고정수직프레임(39)과, 상기 고정수직프레임(39)의 상부에 끼움조립되는 고정조인트부(4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받침판(37)은 도 6,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직프레임부(36)에서 가장 하부에 위치되어 하부를 안정적으로 받침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부분으로, 플랫폼 끝단의 바닥면 내측에 매설된 상태에서 통상의 앵커볼트 등으로 고정체결되는 원판형의 받침판몸체(4b)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판몸체(4b)의 상면부 가운데부분에는 짧은 원통형의 체결돌기(38)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고정수직프레임(39)의 하단부에 단순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수직프레임(39)은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원형 파이프로 되어 있으며 하부는 상기 고정받침판(37)의 체결돌기(38)에 단순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상부는 상기 고정조인트부(44)에 구비되어 있는 하부조인트(20b)의 하부끼움몸체(45)에 단순 끼움결합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수직프레임(39)의 후면부에는 비상문(48)의 타측끝단이 걸림체결되는 걸림틀(40)이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걸림틀(40)은 가운데부분에 단면이 반원형인 끼움고정구(41)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 고정수직프레임(39)의 후면부에 부합되게 끼움체결된 상태에서 통상의 고정나사(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고정체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고정구(41)의 좌우양측에는 각각 걸림편(42)이 끼움고정구(41)를 따라 상하로 길게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비상문(48)이 닫혔을 경우 비상문(48)의 타측끝단이 걸림지지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걸림편(42)의 외측면 가운데부분에는 비상문(48)에 구비된 잠금수단(49)의 걸림쇠(50)가 삽입체결되는 걸림홈(4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비상문(48)이 닫혀진 상태에서 잠금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정조인트부(44)는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조인트(19b)와 하부조인트(20b)와 좌측조인트(21b)와 우측조인트(22b)가 "+"자형상으로 크로스결합되면서 일체로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상부조인트(19b)는 상부에 원통형의 상부끼움몸체(23b)가 형성되어 있어 추가적인 다른 고정수직프레임(39)이 상부쪽으로 끼움결합되어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상부조인트(19b)의 하면부에는 대각선방향으로 위치된 한쌍의 상부체결돌기(24b)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조인트(20b)는 하부에 원통형의 하부끼움몸체(45)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수직프레임(39)이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상면부에는 상부조인트(19b)의 상부체결돌기(24b)와 반대쪽 대각선방향으로 위치된 한쌍의 하부체결돌기(25b)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직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체결돌기(24b)와 하부체결돌기(25b)가 서로 엊갈리게 상하 결합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체결돌기(24b)와 하부체결돌기(25b)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관통된 삽입공간부(26b)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공간부(26b)에는 좌우양측으로 각각 좌측조인트(21b)와 우측조인트(22b)의 삽입돌기(32c)(32d)가 삽입되어 "+"자형상으로 크로스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측조인트(21b)는 좌측에 원통형의 좌측끼움몸체(31b)가 형성되어 있어 수평프레임(46)의 일측이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좌측조인트(21b)의 우측에는 삽입돌기(32c)가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삽입돌기(32c)는 좌측조인트(21b)의 우측면 가운데부분을 상하로 가로질러 세워진 상태로 우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공간부(26b)의 좌측에 삽입되면서 좌측에 위치된 상부체결돌기(24b) 및 하부체결돌기(25b) 사이에 상기 삽입돌기(32c)가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조인트(22b)는 우측에 원통형의 우측끼움몸체(33b)가 형성되어 있어 수평프레임(46)의 타측이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우측조인트(22b)의 좌측에는 삽입돌기(32d)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삽입돌기(32d)는 우측조인트(22b)의 좌측면 가운 데부분을 상하로 가로질러 세워진 상태로 좌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공간부(26b)의 우측에 삽입되면서 우측에 위치된 상부체결돌기(24b) 및 하부체결돌기(25b) 사이에 상기 삽입돌기(32d)가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조인트부(44)에서 상부체결돌기(24b) 및 하부체결돌기(25b)와 좌우측조인트(21b)(22b)의 삽입돌기(32c)(32d)에는 각각 복수개의 체결공(34e)(34f)(34g)(34h)이 천공되어 있되, 상기 상부조인트(19b)와 하부조인트(20b)와 좌측조인트(21b)와 우측조인트(22b)가 "+"자형상으로 크로스결합된 상태에서 좌측의 상부체결돌기(24b) 및 하부체결돌기(25b)와 좌측조인트(21b)의 삽입돌기(32c)의 체결공(34e)(34f)(34g)은 서로 일직선상에 부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우측의 상부체결돌기(24b) 및 하부체결돌기(25b)와 우측조인트(22b)의 삽입돌기(32d)의 체결공(34e)(34f)(34h)도 서로 일직선상에 부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복수개의 체결공(34e)(34f)(34g)(34h)을 통해 통상의 볼트 및 너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46)은 도 1, 5, 8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회전수직프레임부(2)와 고정수직프레임부(36)의 상부쪽 사이마다 각각 수평으로 끼움결합되어 수평 골조를 이루는 부분으로, 내부가 빈 원형 파이프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플랫폼의 끝단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된 각 회전수직프레임부(2)의 회전조인트부(18)와 고정수직프레임부(36)의 고정조인트부(44) 사이마다 각각 수평 방향으로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각 회전수직프레임부(2)와 고정수직프레임부(36)의 상부를 수평방향에서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46)의 상부에는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회전수직프레임부(2)의 상부쪽에 추가적으로 연결 조립된 고정조인트부(44)의 사이마다 수평으로 끼움결합되어 회전수직프레임부(2)의 최상부를 수평방향에서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상부수평프레임(47)이 추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 상기 수평프레임(46) 및 상부수평프레임(47)은 내부가 빈 사각형 또는 팔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된 긴 파이프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비상문(48)은 도 1, 9,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판형상으로 된 문으로서 그 폭은 상기 회전수직프레임부(2)와 고정수직프레임부(36) 사이에 부합되는 길이로 되어 있고 그 상하높이는 플랫폼의 바닥면과 상부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 사이에 부합되는 길이로 되어 있으며, 비상문(48)의 일측끝단 상부는 상기 회전조인트부(18)의 상부회전링(28)에 고정부착된 한쌍의 상부체결편(29) 사이에 끼워져 통상의 볼트 및 너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 체결되도록 되어 있고 일측끝단 하부는 상기 회전받침조립체(3)의 하부회전링(9)에 고정부착된 한쌍의 하부체결편(10) 사이에 끼워져 통상의 볼트 및 너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 체결되도록 되어 있어 일측면 상하부가 회전되는 상부회전링(28) 및 하부회전링(9)에 조립체결되면서 상기 회전수직프레임부(2)를 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비상문(48)의 타측끝단은 고정수직프레임(39)의 걸림틀(40)에 돌출형성된 걸림편(42)에 걸림 체결되도록 되어 있되 비상문(48)의 후면부쪽 타측끝단의 가운데부분에는 통상의 잠금수단(49)이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잠금수단(49)의 걸림쇠(50)가 걸림편(42)의 가운데부분에 형성된 걸림홈(43)에 삽입되면서 잠금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비상문(48)은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세워진 회전수직프레임부(2)의 가운데부분에 고정수직프레임부(36)가 설치된 상태에서 양쪽의 회전수직프레임부(2)에 각각 비상문(48)이 설치되도록 하여 양쪽에서 동시에 비상문(48)이 개폐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비상문(48)이 설치되지 않은 회전수직프레임부(2) 사이에는 도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스크린도어(51)가 설치되어 전동차 등의 운행에 따라 개폐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1)를 플랫폼의 끝단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복수개의 회전수직프레임부(2)를 플랫폼 끝단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고정설치하는데 플랫폼의 끝단 바닥면에 회전받침조립체(3)의 받침판몸체(4a)를 통상의 앵커볼트 등으로 고정설치하고 받침판몸체(4a)의 가운데부분에 돌출형성된 제 1돌출봉(5a)에는 하부와샤(7a)와 하부부싱(8)과 하부회전링(9)을 차례로 끼움 조립하고 상기 제 1돌출봉(5a)의 상부에 돌출형성된 제 2돌출봉(6a)에는 상부와샤(11a)와 하부마감링(12)을 차례로 끼움 조립한 다음 상기 회전 받침조립체(3)의 하부마감링(12)에 수직프레임(17)의 하부를 단순 끼움결합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수직프레임(17)의 상부에는 회전조인트부(18)의 하부조인트(20a)를 조립체결하되, 하부조인트(20a)의 하면부에 돌출형성된 제 1돌출봉(5b)에는 상부와샤(11b)와 상부부싱(27)과 상부회전링(28)을 차례로 끼움 조립하고 상기 제 1돌출봉(5b)의 하부에 돌출형성된 제 2돌출봉(6b)에는 하부와샤(7b)와 상부마감링(30)을 차례로 끼움 조립한 다음 상기 상부마감링(30)에 수직프레임(17)의 상부를 단순 끼움결합하여 조립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하부조인트(20a)의 상면부에 돌출형성된 하부체결돌기(25a)에 상부조인트(19a)의 상부체결돌기(24a)를 상하로 조립하여 가운데 부분에 삽입공간부(26a)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삽입공간부(26a)의 좌우양측에 각각 좌우측조인트(21a)(22a)의 삽입돌기(32a)(32b)를 끼움결합하여 상기 회전조인트부(18)가 "+"자형상으로 크로스결합된 상태에서 각 체결공(34a)(34b)(34c)(34d)을 통해 통상의 볼트 및 너트로 회전조인트부(18)를 고정체결하여 복수개의 회전수직프레임부(2)를 조립설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조인트부(18)에서 상부조인트(19)의 상부끼움몸체(23a)에 다른 수직프레임(17)을 수직으로 끼움결합하고 그 상부에는 상기 고정수직프레임부(36)의 고정조인트부(44)를 끼움 체결하여 상부쪽으로 연속하여 수직프레임(17)이 조립설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가장 상부쪽에 설치된 수직프레임(17)의 상부끝단에는 통상의 연결편(35)을 조립체결하여 플랫폼의 천정부분에 통상의 앵커볼트 등으로 고정체결함으로써 회전수직프레임부(2)의 상부를 안정적으로 고정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각 회전수직프레임부(2)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고정수직프레임부(36)를 설치하는데 플랫폼의 끝단 바닥면에는 고정받침판(37)의 받침판몸체(4b)를 통상의 앵커볼트 등으로 고정설치하고 상기 받침판몸체(4b)의 가운데부분에 돌출형성된 체결돌기(38)에는 고정수직프레임(39)의 하부를 단순 끼움결합하여 수직으로 조립체결하며 상기 고정수직프레임(39)의 후면부에는 비상문(48)의 타측끝단이 걸림체결되는 걸림틀(40)을 조립체결하고 고정수직프레임(39)의 상부에는 고정조인트부(44)의 하부조인트(20b)에 돌출형성된 하부끼움몸체(45)를 단순 끼움결합한 다음 상기 하부조인트(20b)의 상면부에 돌출형성된 하부체결돌기(25b)에 상부조인트(19b)의 상부체결돌기(24b)를 상하로 조립하여 가운데 부분에 삽입공간부(26b)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삽입공간부(26b)의 좌우양측에 각각 좌우측조인트(21b)(22b)의 삽입돌기(32c)(32d)를 끼움결합하여 상기 고정조인트부(44)가 "+"자형상으로 크로스결합된 상태에서 각 체결공(34e)(34f)(34g)(34h)을 통해 통상의 볼트 및 너트로 고정조인트부(44)를 고정체결하여 각각의 고정수직프레임부(36)를 조립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설치된 각 회전수직프레임부(2)의 회전조인트부(18)와 고정수직프레임부(36)의 고정조인트부(44) 사이마다 각각 수평으로 수평프레임(46)을 끼움결합하여 수평 골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체적인 골조가 형성된 상태에서 비상문(48)을 상기 각 회전수 직프레임부(2)에 조립 설치하게 되는데, 비상문(48)의 일측끝단 상부는 상기 회전조인트부(18)의 상부회전링(28)에 고정부착된 한쌍의 상부체결편(29) 사이에 끼워 통상의 볼트 및 너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 체결하고 일측끝단 하부는 상기 회전받침조립체(3)의 하부회전링(9)에 고정부착된 한쌍의 하부체결편(10) 사이에 끼워 통상의 볼트 및 너트(도시하지 않음)로 고정 체결하여 비상문(48)의 일측면 상하부가 회전되는 상부회전링(28) 및 하부회전링(9)에 조립체결되면서 상기 회전수직프레임부(2)를 축으로 회전되도록 하며, 비상문(48)의 타측끝단은 고정수직프레임(39)의 걸림틀(40)에 돌출형성된 걸림편(42)에 걸림체결되도록 하되 비상문(48)의 후면부쪽 타측끝단의 가운데부분에 통상의 잠금수단(49)이 고정부착되어 있어 상기 잠금수단(49)의 걸림쇠(50)가 걸림편(42)의 가운데부분에 형성된 걸림홈(43)에 삽입되면서 잠금체결되도록 하면서 평상시에는 상기 비상문(48)이 잠금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통상의 스크린도어(51)가 고장시 또는 전동차 등의 화재시와 같은 비상시에만 사용자가 수동조작하여 회전식으로 개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비상문(48)이 설치되지 않은 회전수직프레임부(2) 사이에는 통상의 스크린도어(51)나 차단판(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여 상기 스크린도어(51)를 통해 승객들의 통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가 조립설치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에서 회전수직프레임부의 분해 조립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의 회전수직프레임부에서 회전받침조립체의 분해 조립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의 회전수직프레임부에서 회전조인트부의 분해 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의 회전수직프레임부에 수평프레임 및 다른 수직프레임이 연속적으로 조립되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에서 고정수직프레임부의 분해 조립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의 고정수직프레임부에서 고정조인트부의 분해 조립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의 고정수직프레임부에 수평프레임이 조립되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가 플랫폼의 끝단을 따라 전체적으로 조립설치된 상태에서 비상문이 개방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가 플랫폼의 끝단을 따라 전체적으로 조립설치된 상태에서 비상문이 닫혀진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11은 종래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비상문장치의 사시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 비상문장치 2. 회전수직프레임부
3. 회전받침조립체 4a, 4b. 받침판몸체
5a, 5b. 제 1돌출봉 6a, 6b. 제 2돌출봉
7a, 7b. 하부와샤 8. 하부부싱
9. 하부회전링 10. 하부체결편
11a, 11b. 상부와샤 12. 하부마감링
13a, 13b. 관통공 14a, 14b. 삽입공
15a, 15b. 고정핀 16a, 16b. 걸림턱
17, 17'. 수직프레임 18. 회전조인트부
19a, 19b. 상부조인트 20a, 20b. 하부조인트
21a, 21b. 좌측조인트 22a, 22b. 우측조인트
23a, 23b. 상부끼움몸체 24a, 24b. 상부체결돌기
25a, 25b. 하부체결돌기 26a, 26b. 삽입공간부
27. 상부부싱 28. 상부회전링
29. 상부체결편 30. 상부마감링
31a, 31b. 좌측끼움몸체 32a, 32b, 32c, 32d. 삽입돌기
33a, 33b. 우측끼움몸체
34a, 34b, 34c, 34d, 34e, 34f, 34g, 34h. 체결공
35. 연결편 36. 고정수직프레임부
37. 고정받침판 38. 체결돌기
39. 고정수직프레임 40. 걸림틀
41. 끼움고정구 42. 걸림편
43. 걸림홈 44. 고정조인트부
45. 하부끼움몸체 46, 46'. 수평프레임
47. 상부수평프레임 48, 48'. 비상문
49. 잠금수단 50. 걸림쇠
51. 스크린도어 52'. 수직틀
53'. 수평틀 54'. 경첩

Claims (10)

  1. 전동차용 플랫폼 끝단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스크린도어와 함께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비상시 수동식으로 회전개폐되도록 비상문이 구비된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비상문장치에 있어서, 플랫폼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며 비상문(48)의 하부가 체결되는 하부회전링(9)이 구비된 회전받침조립체(3)와 상기 회전받침조립체(3)의 상부에 끼움조립되는 파이프 형상의 수직프레임(17)과 상기 수직프레임(17)의 상부에 끼움조립되며 비상문(48)의 상부가 체결되는 상부회전링(28)이 구비된 회전조인트부(18)가 조립체결된 상태로 플랫폼 끝단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회전수직프레임부(2)와, 플랫폼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고 고정수직프레임(39)의 하단부가 끼움결합되는 고정받침판(37)과 상기 고정받침판(37)의 상부에 끼움조립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걸림틀(40)이 구비된 고정수직프레임(39)과 상기 고정수직프레임(39)의 상부에 끼움조립되고 수평프레임(46)이 끼움결합되는 고정조인트부(44)가 조립체결된 상태로 상기 각 회전수직프레임부(2)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플랫폼 끝단을 따라 나란히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수직프레임부(36)와, 상기 회전조인트부(18)와 고정조인트부(44) 사이마다 각각 수평방향으로 끼움결합되어 상기 각 회전수직프레임부(2)와 고정수직프레임부(36)의 상부를 수평 연결지지하는 수평프레임(46)과, 상기 각 회전수직프레임부(2)의 회전조인트부(18)에 구비된 상부회전링(28)과 회전받침조립체(3)에 구비된 하부회전링(9)에 일측끝단 상하부가 조립체결되어 상기 회전수직프레임부(2)를 축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타측끝단은 상기 고정수직프레임부(36)에 걸림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비상문(48)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받침조립체(3)는 플랫폼 끝단의 바닥면 내측에 매설된 상태로 고정되는 원판형의 받침판몸체(4a)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판몸체(4a)의 상면부 가운데부분에는 짧은 원통형의 제 1돌출봉(5a)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돌출봉(5a)의 상부에는 제 1돌출봉(5a)보다 작은 직경으로 된 짧은 원통형의 제 2돌출봉(6a)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돌출봉(5a)의 외주면에는 하부와샤(7a)와 하부부싱(8)이 차례로 끼움결합되어 있고 상기 하부부싱(8)의 외주면에는 하부회전링(9)이 끼움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하부회전링(9)은 하단부가 하부와샤(7a)에 의해 받침지지되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하부회전링(9)의 외주면 일측에는 한쌍의 하부체결편(10)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직으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상기 한쌍의 하부체결편(10) 사이에 비상문(48)의 일측면 하부가 고정체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 2돌출봉(6a)의 외주면에는 상부와샤(11a)와 하부마감링(12)이 차례로 끼움결합되어 있되 상기 하부마감링(12)의 외주면 가운데부분에는 상기 제 2돌출봉(6a)의 외주면 가운데부분에 천공된 관통공(13a)과 부합되는 위치에 삽입공(14a)이 천공되어 있어 고정핀(15a)이 상기 삽입공(14a)과 관통공(13a)에 차례로 관통체결되면서 상기 하부마감링(12)이 고정되어 하부회전링(9)이 상부쪽으로 이탈되지 않게 상부에서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인트부(18)는 상부조인트(19a)와 하부조인트(20a)와 좌측조인트(21a)와 우측조인트(22a)가 "+"자형상으로 크로스결합되면서 일체로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하부조인트(20a)는 하부에 짧은 원통형의 제 1돌출봉(5b)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돌출봉(5b)의 하부에는 제 1돌출봉(5b)보다 작은 직경으로 된 짧은 원통형의 제 2돌출봉(6b)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돌출봉(5b)의 외주면에는 상부와샤(11b)와 상부부싱(27)이 차례로 끼움결합되어 있고 상기 상부부싱(27)의 외주면에는 상부회전링(28)이 끼움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회전링(28)의 외주면 일측에는 한쌍의 상부체결편(29)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직으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상기 한쌍의 상부체결편(29) 사이에 비상문(48)의 일측면 상부가 고정체결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 2돌출봉(6b)의 외주면에는 하부와샤(7b)와 상부마감링(30)이 차례로 끼움결합되어 있되 상기 상부마감링(30)의 외주면 가운데부분에는 제 2돌출봉(6b)의 외주면 가운데부분에 천공된 관통공(13b)과 부합되는 위치에 삽입공(14b)이 천공되어 있어 고정핀(15b)이 상기 삽입공(14b)과 관통공(13b)에 차례로 관통체결되면서 상부마감링(30)이 고정되어 상부회전링(28)을 하부쪽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조인트(19a)는 상부에 원통형의 상부끼움몸체(23a)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조인트(19a)의 하면부에는 대각선방향으로 위치된 한 쌍의 상부체결돌기(24a)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조인트(20a)는 상면부에 상부조인트(19a)의 상부체결돌기(24a)와 반대쪽 대각선방향으로 위치된 한쌍의 하부체결돌기(25a)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직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체결돌기(24a)와 하부체결돌기(25a)가 서로 엊갈리게 상하 결합되면서 상부체결돌기(24a)와 하부체결돌기(25a)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관통된 삽입공간부(26a)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공간부(26a)에는 좌우양측으로 각각 좌측조인트(21a)와 우측조인트(22a)의 삽입돌기(32a)(32b)가 삽입되어 "+"자형상으로 크로스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조인트(21a)는 좌측에 원통형의 좌측끼움몸체(31a)가 형성되어 있어 수평프레임(46)의 일측이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좌측조인트(21a)의 우측에는 삽입돌기(32a)가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삽입돌기(32a)는 좌측조인트(21a)의 우측면 가운데부분을 상하로 가로질러 세워진 상태로 우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부체결돌기(24a)와 하부체결돌기(25a)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삽입공간부(26a)의 좌측에 삽입되면서 좌측에 위치된 상부체결돌기(24a) 및 하부체결돌기(25a) 사이에 상기 삽입돌기(32a)가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조인트(22a)는 우측에 원통형의 우측끼움몸체(33a)가 형성되어 있어 수평프레임(46)의 타측이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우측조인트(22a)의 좌측에는 삽입돌기(32b)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삽입돌기(32b)는 우측조인트(22a)의 좌측면 가운데부분을 상하로 가로질러 세워진 상태로 좌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공간부(26a)의 우측에 삽입되면서 우측에 위치된 상부체결돌기(24a) 및 하부체결돌기(25a) 사이에 상기 삽입돌기(32b)가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직프레임(39)은 긴 원형 파이프로 되어 있으며 하부는 상기 고정받침판(37)의 가운데부분에 돌출형성된 체결돌기(38)에 단순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상부는 상기 고정조인트부(44)에 구비되어 있는 하부조인트(20b)의 하부끼움몸체(45)에 단순 끼움결합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수직프레임(39)의 후면부에는 비상문(48)의 타측끝단이 걸림체결되는 걸림틀(40)이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걸림틀(40)은 가운데부분에 단면이 반원형인 끼움고정구(41)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 고정수직프레임(39)의 후면부에 부합되게 끼움체결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고정구(41)의 좌우양측에는 각각 걸림편(42)이 끼움고정구(41)를 따라 상하로 길게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비상문(48)이 닫혔을 경우 비상문(48)의 타측끝단이 걸림지지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조인트부(44)는 상부조인트(19b)와 하부조인 트(20b)와 좌측조인트(21b)와 우측조인트(22b)가 "+"자형상으로 크로스결합되면서 일체로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상부조인트(19b)는 상부에 원통형의 상부끼움몸체(23b)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조인트(19b)의 하면부에는 대각선방향으로 위치된 한쌍의 상부체결돌기(24b)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직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조인트(20b)는 하부에 원통형의 하부끼움몸체(45)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수직프레임(39)이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상면부에는 상부조인트(19b)의 상부체결돌기(24b)와 반대쪽 대각선방향으로 위치된 한쌍의 하부체결돌기(25b)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수직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체결돌기(24b)와 하부체결돌기(25b)가 서로 엊갈리게 상하 결합되면서 상부체결돌기(24b)와 하부체결돌기(25b)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관통된 삽입공간부(26b)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공간부(26b)에는 좌우양측으로 각각 좌측조인트(21b)와 우측조인트(22b)의 삽입돌기(32c)(32d)가 삽입되어 "+"자형상으로 크로스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조인트(21b)는 좌측에 원통형의 좌측끼움몸체(31b)가 형성되어 있어 수평프레임(46)의 일측이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좌측조인트(21b)의 우측에는 삽입돌기(32c)가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삽입돌기(32c)는 좌측조인트(21b)의 우측면 가운데부분을 상하로 가로질러 세워진 상태로 우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공간부(26b)의 좌측에 삽입되면서 좌측에 위치된 상부체결돌기(24b) 및 하부체결돌기(25b) 사이에 상기 삽입돌기(32c)가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조인트(22b)는 우측에 원통형의 우측끼움몸체(33b)가 형성되어 있어 수평프레임(46)의 타측이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우측조인트(22b)의 좌측에는 삽입돌기(32d) 돌출형성되어 있되 상기 삽입돌기(32d)는 우측조인트(22b)의 좌측면 가운데부분을 상하로 가로질러 세워진 상태로 좌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공간부(26b)의 우측에 삽입되면서 우측에 위치된 상부체결돌기(24b) 및 하부체결돌기(25b) 사이에 상기 삽입돌기(32d)가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문(48)은 직사각 판형상으로 된 문으로서 일측끝단 상부는 상기 회전조인트부(18)의 상부회전링(28)에 고정부착된 한쌍의 상부체결편(29) 사이에 끼워져 고정 체결되도록 되어 있고 일측끝단 하부는 상기 회전받침조립체(3)의 하부회전링(9)에 고정부착된 한쌍의 하부체결편(10) 사이에 끼워져 고정 체결되도록 되어 있어 일측면 상하부가 회전되는 상부회전링(28) 및 하부회전링(9)에 조립체결되면서 상기 회전수직프레임부(2)를 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
  10. 삭제
KR1020070100736A 2007-10-08 2007-10-08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 KR100973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736A KR100973978B1 (ko) 2007-10-08 2007-10-08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736A KR100973978B1 (ko) 2007-10-08 2007-10-08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782A KR20090035782A (ko) 2009-04-13
KR100973978B1 true KR100973978B1 (ko) 2010-08-05

Family

ID=40760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736A KR100973978B1 (ko) 2007-10-08 2007-10-08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9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966A1 (ko) * 2015-06-23 2016-12-29 한국교통연구원 인압하중에 강한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728A (ko) 2015-05-28 2016-12-07 (주)다위월드 이미지 컨텐츠 기반의 외국어 학습 방법 및 이미지 컨텐츠 기반의 외국어 학습 장치
KR102150450B1 (ko) * 2018-05-11 2020-09-01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비상 탈출이 가능한 진공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증착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7Y1 (ko) 2000-04-27 2000-10-16 이준구 유리문용 자물쇠 결합구조
KR20020000327A (ko) * 2000-06-23 2002-01-05 송문섭 트리플 모드형 무선주파수 가변이득증폭 중계장치
KR20040001524A (ko) * 2002-06-28 2004-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확산방지막 형성방법
KR200401524Y1 (ko) 2005-08-31 2005-11-17 (주) 아원기연 승강장 안전장치 조립체
KR20060022624A (ko) * 2004-09-24 2006-03-10 조훈 자가발전장치를 구비한 회전문
KR100627623B1 (ko) 2002-07-30 2006-09-25 가부시키가이샤 유니푸로 피벗 힌지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접이식 회전문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7Y1 (ko) 2000-04-27 2000-10-16 이준구 유리문용 자물쇠 결합구조
KR20020000327A (ko) * 2000-06-23 2002-01-05 송문섭 트리플 모드형 무선주파수 가변이득증폭 중계장치
KR20040001524A (ko) * 2002-06-28 2004-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확산방지막 형성방법
KR100627623B1 (ko) 2002-07-30 2006-09-25 가부시키가이샤 유니푸로 피벗 힌지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접이식 회전문 조립체
KR20060022624A (ko) * 2004-09-24 2006-03-10 조훈 자가발전장치를 구비한 회전문
KR200401524Y1 (ko) 2005-08-31 2005-11-17 (주) 아원기연 승강장 안전장치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966A1 (ko) * 2015-06-23 2016-12-29 한국교통연구원 인압하중에 강한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782A (ko) 2009-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1643B2 (en) Gate support device
KR100973978B1 (ko) 플랫폼 스크린도어용 조립식 비상문장치
JP4533675B2 (ja) プラットホームスクリーンドア装置
US9428908B2 (en) Movable partition systems and methods of aligning a leading end of a movable partition
KR20110067662A (ko) 추락방지 안전창호 구조
US7024820B1 (en) Sliding door security assembly
KR100936288B1 (ko) 조립식 스크린 도어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1257878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구조
CN105692398A (zh) 楼道电梯及其驱动机构
WO2005052298A1 (en) Security entrance with two doors
JP4357376B2 (ja) 防音壁等の開閉扉
CN105731218A (zh) 一种接力式楼道电梯
KR20130093628A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실 및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JP6925597B2 (ja) 建物用シャッター
KR200496217Y1 (ko) 어린이 추락방지용 난간시스템
JP7262649B2 (ja) 建物用シャッターとその組立方法
CN101106924A (zh) 水平开启窗的结构支撑
JP4202147B2 (ja) 防音壁等の開閉扉
KR100716302B1 (ko) 전철 승강장용 자동 발판장치
US20240183206A1 (en) Stabilization roller bracket for long roller stems of a movable barrier
JP7074980B2 (ja) ベランダ用間仕切りの取付方法
JP2006144300A (ja) 防音壁等の開閉扉
JP4437725B2 (ja) エレベーター乗場の仮設障壁体装置
KR200392167Y1 (ko) 록킹장치를 갖춘 엘리베이터 도어 시스템
WO2020118391A1 (pt) Dispositivo de fechamento rápido de vã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