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863B1 - 돼지감자를 이용한 장아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돼지감자를 이용한 장아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863B1
KR101930863B1 KR1020170051697A KR20170051697A KR101930863B1 KR 101930863 B1 KR101930863 B1 KR 101930863B1 KR 1020170051697 A KR1020170051697 A KR 1020170051697A KR 20170051697 A KR20170051697 A KR 20170051697A KR 101930863 B1 KR101930863 B1 KR 101930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tatoes
potato
pick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8410A (ko
Inventor
김연희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51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863B1/ko
Publication of KR20180118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A23L11/2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23L19/12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of potato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돼지감자를 이용한 장아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돼지감자를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한 다음 돼지감자와 설탕을 혼합하여 절이는 단계; 상기 절이는 단계 후 나온 절인 돼지감자와 돼지감자 엑기스를 따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절인 돼지감자에 고추장과 물, 소금 및 조청을 혼합한 후 6개월간 숙성하는 단계; 마늘, 대파, 양파, 생강을 각각 분쇄하여 즙으로 준비하는 단계; 고추장에 조청과 참기름, 깨, 꽃소금, 소주, 돼지감자 엑기스, 마늘즙, 양파즙, 대파즙 및 생강즙을 혼합하여 제조한 고추장소스를 숙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숙성된 돼지감자에 숙성된 고추장소스를 버무려 장아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감자를 이용한 장아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돼지감자를 이용한 장아찌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cessing pickle using helianthus tuberosus}
본 발명은 돼지감자를 이용한 장아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돼지감자를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한 다음 돼지감자와 설탕을 혼합하여 절이는 단계; 상기 절이는 단계 후 나온 절인 돼지감자와 돼지감자 엑기스를 따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절인 돼지감자에 고추장과 물, 소금 및 조청을 혼합한 후 6개월간 숙성하는 단계; 마늘, 대파, 양파, 생강을 각각 분쇄하여 즙으로 준비하는 단계; 고추장에 조청과 참기름, 깨, 꽃소금, 소주, 돼지감자 엑기스, 마늘즙, 양파즙, 대파즙 및 생강즙을 혼합하여 제조한 고추장소스를 숙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숙성된 돼지감자에 숙성된 고추장소스를 버무려 장아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감자를 이용한 장아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아찌는 제철에 흔하게 나는 채소를 간장, 고추장, 된장, 소금, 식초, 술지게미, 젓갈 등에 장기간 저장하여 두고 그 재료가 귀한 철에 먹는 절임류의 일종이다. 한자로는 장과 또는 장저라고도 하며 계절마다 담그는 장아찌의 종류가 다르다. 오랫동안 저장한 장아찌는 먹기 직전에 꺼내어 물에 한 번 정도 헹구어 짠맛을 제거한 후에 갖은 양념으로 무쳐먹거나, 조미하지 않고 그대로 썰어 밥 반찬으로 사시사철 먹을 수 있다.
장아찌는 신체활동에 필요한 열량이나 단백질을 공급해 줄 수는 없지만 그 특유의 향미, 색 또는 식염의 짠맛 등에 의하여 미각을 자극해서 식욕을 증진시킨다. 또한, 인체에 필요한 Ca, Fe, K 등의 무기염류를 공급하며 이는 염기성으로 체내에서 생기는 산을 중화하여 체액의 산성화를 방지한다. 장아찌는 채소나 과일을 원료로 하므로 섬유질의 중요한 공급원이며, 발효과정 중에 생기는 각종 효소는 소화를 도우며, 젖산균 등의 세균은 정장작용을 가지고 있어 침채류의 영양적 가치가 크다.
한편, 장아찌와 비슷한 서양의 음식으로 피클(pickles)이 있으며, 이는 오이 또는 양배추와 같은 야채와 과일을 소금에 절인 후 식초, 설탕 및 향신료를 섞은 액에 담가 절여 장기간 보관하고 먹을 수 있는 음식으로 우리나라 고유의 장아찌와 비교할 때 간장이나 된장, 고추장 등을 사용하지 않아 짜거나 맵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207554호(다종의 야채와 과일을 포함하는 퓨전 장아찌 제조 방법)는 다종의 야채와 과일을 일정한 크기로 마련하여 간장·물·식초·설탕을 대략 2:1:1:0.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만든 소스로 양념한 후 저온 숙성시켜 여러 영양소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제조한 퓨전 장아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나, 숙성기간이 짧아 깊은 향미와 맛을 느낄 수 없어 소비자의 선호도가 저하된다는 아쉬움이 있다.
또한,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292246호(저염 단감 장아찌 및 그 제조방법)는 염수에 침지한 후 건조시킨 단감과 매실 엑기스를 함유하는 고추장소스를 혼합하여 숙성시킨 장아찌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으며, 특허등록 제10-0989832호는 야콘을 주재료로 하는 등 여러 재료를 이용한 장아찌가 개발되었다.
돼지감자(Helianthus tuberosus L.)는 북미원산의 국화과 식물로서 우리나라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돼지감자는 1년생 식물로서, 8~9월에 해바라기 모양의 꽃이 피고 10월 말경 즉 외부 온도가 17℃ 이하가 되면 꽃이 지며 땅속에 감자모양의 뿌리열매가 생기는데 이 뿌리를 주로 돼지감자라고 한다. 이러한 돼지감자는 사람이 재배를 하지 않아도 야생에서 저절로 자라기도 하며 번식력 또한 강한 식물이다.
돼지감자의 주성분은 이눌린(inulin)과 그 유사물질인데, 전체의 약 15%를 구성하고 있어 지구상에서 가장 이눌린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식물이 돼지감자이다. 이눌린은 혈당강하, 변비개선, 장질환 예방, 혈청 콜레스테롤 감소, 혈중 지질 저하, 다이어트 효과 등 우수한 기능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이눌린은 혈당 저하 작용이 강하여 천연의 인슐린이라 불리기 때문에 당뇨가 있는 사람에게 더욱 좋다고 한다.
이러한 돼지감자는 최근 그 추출물에 다량의 페놀성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규명된 바 있다. 또한, 돼지감자는 독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혈당을 안정화시키는 항당뇨 활성을 갖고 있어 현대인들의 성인병 질환인 당뇨병 예방과 치료에 매우 좋은 기능성 건강식품으로 이용가치가 높다.
한편, 천년초와 복숭아 및 단감 등과 같이 여러 가지 야채와 과일을 이용한 장아찌의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식이섬유가 풍부해 변비 및 비만에 좋은 것은 물론 이눌린 성분이 뼈 건강을 돕고 혈당 수치 조절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식품 소재인 돼지감자를 이용하여 다양한 맛과 효능을 지닌 장아찌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95162호(살구 장아찌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살구 장아찌) 등록특허공보 제10-1557323호(천년초 장아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천년초 장아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칼로리가 적고 식이섬유가 높으며 이눌린과 같은 건강 기능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영양학적으로도 매우 우수한 돼지감자를 이용하여 장아찌를 제조함으로써 기호를 높인 식품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섭취를 가능하게 하고, 돼지감자를 절이고 숙성함으로써 장기간 보존을 가능하도록 하며, 돼지감자 엑기스를 통해 돼지감자에 포함된 유용성분의 흡수를 도우며, 돼지감자 고유의 맛을 유지하면서도 고추장소스와 조화롭게 어우러질 수 있도록 하여 장아찌의 풍미가 높고 식감이 좋은 돼지감자 장아찌와 돼지감자를 이용한 장아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돼지감자를 이용한 장아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돼지감자를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한 다음 돼지감자와 설탕을 중량비로 1:1로 혼합하여 절이는 단계; 상기 절이는 단계 후 나온 절인 돼지감자와 돼지감자 엑기스를 따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절인 돼지감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고추장 65~75중량부, 물 10~20중량부, 소금 0.5~1.5중량부 및 조청 85~95중량부를 혼합한 후 6개월간 숙성하는 단계; 마늘, 대파, 양파, 생강을 각각 분쇄하여 즙으로 준비하는 단계; 고추장 100중량부에 대하여, 조청 60~65중량부, 참기름 3~7중량부, 깨 1~5중량부, 꽃소금 0.1~0.5중량부, 소주 5~10중량부, 돼지감자 엑기스 5~10중량부, 마늘즙 5~10중량부, 양파즙 1~5중량부, 대파즙 0.5~1.5중량부 및 생강즙 0.5~1.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고추장소스를 제조한 후 숙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숙성된 돼지감자에 상기 숙성된 고추장소스를 버무려 장아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절이는 단계는 돼지감자와 설탕을 중량비 1:1로 혼합하여 24시간마다 한번 씩 저어주며 설탕이 완전히 녹을 때까지 48시간 동안 절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건강에 좋은 유용한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당분과 혈당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고 섬유질이 풍부하며, 장의 활동을 활발하게 하여 장에서 신체를 이롭게 하는 박테리아의 수를 늘리고 따라서 신체의 면역 기능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돼지감자를 이용한 장아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돼지감자와 설탕을 중량비 1:1의 비율로 설탕에 절인 후 장아찌를 제조함으로써 단맛이 더해져 고추장을 이용한 장아찌로 제조했을 때 너무 맵거나 짠맛이 강하지 않아 기호도가 증진되는 효과가 있어 남녀노소 섭취가 가능하고, 48시간 동안 절여주는 처리 조건에 따라서 장아찌로 제조되었을 때 너무 무르지 않기 때문에 독특한 식감이 있어 더욱 좋으며, 돼지감자와 설탕 이외에 다른 첨가물을 추가하지 않아 돼지감자 고유의 효능이 포함된 성분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이는 단계를 통해 돼지감자의 유용성분이 빠져나온 돼지감자 엑기스는 고추장소스에 혼합하여 장아찌 제조시 첨가함으로써 건강 기능성을 더욱 높여주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돼지감자 엑기스는 당분을 가미하고 돼지감자의 유용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역할로 반찬을 비롯한 각종 요리에 첨가하여 소스 등으로 응용하여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추장소스를 0~3℃의 저온에서 6개월간 숙성함으로써 깊은맛을 더하고 전체적인 장아찌의 감칠맛을 향상시키며 풍미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추장소스와 절인 돼지감자는 매콤하고 달콤한 맛이 어우러져 입맛을 돋우어주고, 특히 돼지감자는 칼로리가 낮아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고추장소스는 장아찌로써 짠맛이 강하지 않아 건강식으로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돼지감자를 이용한 장아찌의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공정도.
도 2는 돼지감자의 외관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탕에 절인 돼지감자의 외관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숙성 전 고추장소스의 외관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숙성된 고추장소스의 외관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돼지감자 장아찌의 외관 사진.
본 발명은 돼지감자를 이용한 장아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돼지감자와 설탕을 혼합하여 절이는 단계와, 절인 돼지감자와 돼지감자 엑기스를 분리하는 단계와, 절인 돼지감자에 고추장과 물, 소금 및 조청을 혼합한 후 숙성하는 단계와, 마늘과 대파, 양파 및 생강을 분쇄하여 즙을 준비하는 단계와, 고추장소스를 숙성하는 단계 및 장아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돼지감자를 이용한 장아찌의 제조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실시예 등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돼지감자와 설탕을 혼합하여 절이는 단계
돼지감자를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한 다음 돼지감자와 설탕을 혼합하여 절이는 단계이다.
먼저, 겉면이 울퉁불퉁하지 않고 모양이 밋밋하면서 단단하고 껍질 색상이 옅은 황색인 돼지감자를 선별한 후, 표면에 있는 이물질과 흙 및 먼지 등이 제거될 수 있도록 깨끗한 물로 세척한다. 세척된 상기 돼지감자를 채반에 건져내어 물기가 빠질 수 있도록 한다.
저장용기를 준비하여 물기가 제거된 상기 돼지감자를 넣고 설탕을 혼합한 후 절이는데 이때, 돼지감자와 설탕은 중량비 1:1로 혼합한 다음 24시간마다 한 번씩 저장용기 내부를 고루 저어주고 돼지감자를 잘 섞어주며 설탕이 완전히 녹을 때까지 48시간 동안 절인다.
여기에서, 돼지감자와 설탕을 중량비 1:1의 비율로 설탕에 절인 후 장아찌를 제조함으로써 단맛이 더해져 너무 맵거나 짜지 않아 남녀노소 누구나 섭취 가능해 기호도가 증진되는 효과가 있고, 돼지감자와 설탕 이외에 다른 첨가물을 추가하지 않아 돼지감자 고유의 효능이 포함된 성분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돼지감자와 설탕의 비율은 설탕이 너무 적게 되면 발효 효율성이 낮아지는 것은 물론 단맛이 적은 단점이 있으며 설탕이 너무 많게 되면 단맛이 강하여 장아찌의 맛을 해치게 되므로 준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돼지감자를 절이는 시간과 설탕과의 비율은 상기 48시간 동안 절이는 과정을 통해 돼지감자가 무르는 것을 최소화하고, 장아찌로 제조되었을 때 돼지감자의 식감이 우수하도록 설정한 시간과 처리 조건이므로 준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돼지감자는 노란색의 꽃을 피우는 국화과 식물로 높이 1.5~3m로 자라며, 땅속줄기의 끝이 굵어져 덩이줄기가 발달하며 잎과 더불어 털이 있다. 잎은 밑에서는 마주나고 위에서는 어긋나며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꽃은 황색으로 9~10월에 피는데 지름 8cm 정도의 노란 두상화이며 가장자리에는 10개 이상의 설상화가 달리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황무지에서도 잘 번식하는 식물로 재배가 용이하여 덩이줄기를 식용으로 재배하기도 하였으나, 대부분 야생으로 인가 근처에 서식하며 가축 사료용으로 일부 심기도 한다.
돼지감자는 모양이 돼지의 발과 비슷하다고 하여 '돼지감자' 또는 '뚱딴지 감자'라고 불리며, 다년생식물이어서 구근으로 종자 번식을 할 수도 있고, 구황 식물로써 이용 되기도 하였다.
표 1은 돼지감자 100g당 성분표.
성분 함량 성분 함량
칼로리 73Kcal 칼륨 429mg
수분 78.01g 나트륨 4mg
단백질 2g 아연 0.12g
탄수화물 17.44g 구리 0.14mg
당분 9.6g 망간 0.06mg
식이성 섬유질 1.6g 셀레늄 0.7mcg
지방 0.01g 비타민C 4mg
칼슘 14mg 베타카로틴 12mcg
철분 3.4mg 비타민A 20IU
마그네슘 17mg 비타민E
(알파토코페롤)
0.19mg
78mg 비타민K 0.1mcg
특히, 돼지감자는 전분질을 함유하지 않고, 당분으로서 과당의 중합물인 이눌린을 14% 정도 다량 함유하는 식물이기 때문에 당뇨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눌린은 글루카곤이 당 분해하는 것을 억제하여 혈당을 안정화시키며, 또 다른 중요한 기능은 당뇨 합병증의 원인인 당화 혈색소(HbA1c)의 수치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이눌린은 저칼로리의 다당체로서 사람의 소화효소로는 분해되기 어렵고, 또 흡수된다고 해도 글루코올리고당이므로 혈당의 상승은 일어나지 않는다.
글루코올리고당은 장에서 유익균의 대표인 비피더스균의 먹이로 이용되며, 비피더스균은 증식해서 티아민, 리포플라민, 비타민 B6, 비타민 K 등 건강에 유용한 물질을 장내에서 활발히 만들어 줄 뿐만 아니라, 장내 pH를 낮추어 유해균의 성장을 억제하고 활동을 제한한다.
즉, 이눌린은 전분과 달리 사람의 소화효소로는 분해할 수 없고, 또한 효소 등의 작용에 의해 이눌린이 분해된 과당은 소화가 잘 안되기 때문에 당뇨병인 사람에게도 안심하고 제공할 수 있는 감미료가 된다.
또한, 이눌린은 혈당치를 낮추는 작용이 있어, 췌장의 부담을 완화 시켜 췌장의 기능을 부활시키는 효과, 다이어트 효과, 더 나아가서는 신장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효과 등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특히, 돼지감자는 칼로리가 매우 적어 다이어트식으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식이섬유 함유율은 매우 높은 편으로 장내의 유산균을 증식시키는 역할을 하고, 대사를 촉진 시키며, 장운동을 좋게 하기 때문에 변비에 특효이다.
또한, 돼지감자에 들어 있는 비타민C가 항산화 작용을 해서, 세포가 활성산소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막아주고, 노화로 인한 몸의 다양한 기능 저하를 막아주기 때문에 노화 방지 효과가 있으며, 돼지감자에 있는 비타민B는 우리 몸의 피부 건강을 지켜주고, 눈 건강을 지켜주며,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당뇨와도 연관이 있는 기관인 췌장은 인슐린을 분비하는 작용을 하는데, 돼지감자의 경우 이러한 췌장의 기능을 정상화시켜주는 기능에 효과가 있으며, 이눌린 성분은 체지방을 분해하는 효과가 있어 체내의 중성지방의 농도를 줄여주는데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2) 절인 돼지감자와 돼지감자 엑기스를 분리하는 단계
장아찌의 주원료로 사용할 절인 돼지감자와 고추장소스로 사용할 돼지감자 엑기스를 각각 따로 분리하여 준비하는 단계이다.
좀 더 자세하게 상기 48시간 절이는 단계 후 나온 절인 돼지감자는 뜰채로 건져내고, 액상의 돼지감자 엑기스를 용기에 따로 분리한다. 돼지감자를 설탕과 함께 넣고 저장해 절여놓으면 삼투압 현상에 의해 과즙과 수액이 고스란히 빠져나오게 되므로 돼지감자의 유용성분을 쉽게 얻을 수 있게 된다. 삼투압이란 농도가 다른 두 액체를 반투막으로 막아 놓았을 때 용질의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농도가 높은 쪽으로 용매가 옮겨가는 현상에 의해 나타나는 압력을 말한다.
상기 절인 돼지감자는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삼투압으로 인해 표면이 쭈글쭈글하게 변하게 되어 장아찌로 제조할 시, 독특하고 좋은 식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돼지감자 엑기스는 본 발명의 고추장소스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투입함으로써, 돼지감자로부터 나온 과즙이 함유하고 있는 고유의 약성 성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돼지감자 엑기스는 본 발명의 고추장소스에 활용될 뿐만 아니라, 음식 조리시 물과 혼합하고 적절히 희석하여 당분을 가미하고 돼지감자의 유용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역할로 각종 요리에 첨가하여 소스 등으로 응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3) 절인 돼지감자에 고추장과 물, 소금 및 조청을 혼합한 후 숙성하는 단계
상기 절인 돼지감자에 고추장과 물, 소금 및 조청을 혼합한 후 저장용기의 뚜껑을 밀봉하여 저온창고에서 6개월간 숙성하는 단계이다.
좀 더 자세하게는 상기 절인 돼지감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고추장 65~75중량부와 물 10~20중량부, 소금 0.5~1.5중량부 및 조청 85~95중량부를 혼합한 후 밀봉하여 먼지를 차단하고 외부의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고, 햇빛이나 이물질 등의 유입이 차단된 저온창고에서 0~3℃로 6개월간 저장하여 숙성하도록 한다.
상기 고추장소스를 0~3℃의 저온에서 6개월간 숙성함으로써 절인 돼지감자에 고추장과 물, 소금 및 조청의 흡수가 온전히 잘 이루어지도록 돕고 6개월간 발효와 숙성을 통해 돼지감자의 깊은맛을 더하고 전체적인 장아찌의 감칠맛을 향상시키며 풍미를 높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숙성기간은 6개월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6개월 미만으로 숙성하게 되는 경우에는 충분히 숙성기간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발효가 원활히 진행되지 못해 절인 돼지감자 고유의 감칠맛이 저하될 수 있으며 또한, 고추장소스와의 조화가 잘 어우러지지 않아 풍미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온도가 너무 높게 되면 변질 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준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돼지감자는 절이는 공정과 숙성하는 공정을 거쳐 신선한 돼지감자와 비교하였을 때, 더 오래 장기간 보관이 가능해지고 그에 따라 돼지감자의 섭취가 더욱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4) 마늘, 대파, 양파, 생강을 분쇄하여 즙을 준비하는 단계
마늘, 대파, 양파, 생강을 준비하여 세척한 다음 각각 분쇄하여 즙으로 준비하는 단계이다.
껍질과 뿌리 부분을 제거한 마늘과 대파, 양파 및 생강을 깨끗한 물로 세척한 다음 분쇄기를 이용하여 각각 곱게 갈아 분쇄함으로써 마늘즙과 대파즙, 양파즙 및 생강즙으로 준비한다.
상기 마늘은 혈관질환을 개선하고 전염병을 예방하는 효능이 있으며, 항암 효과와 항산화효과, 관절건강개선 및 피로회복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대파는 알리신을 비롯한 퀘르세틴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며, 스테미너 증진에 탁월하고 비타민 A, C, 무기질, 칼슘 등을 포함하고 있어 피로 해소 및 감기 예방에 효과적이다.
상기 양파는 감기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양파에 풍부하게 들어있는 비타민B1은 에너지대사를 돕고, 소화액의 분비를 돕고 신진대사를 원활히 하여 소화작용 촉진에 효과적이며, 열량이 적고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 시켜주기 때문에 다이어트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생강의 효능은 류마티스병을 제거하고 구토를 멈추고 담을 제거하고 위의 기를 열어 소화흡수를 왕성하게 하며, 또한 생강은 감기에 의한 오한과 발열, 복통과 설사, 식욕부진 및 식중독 등에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즙은 원재료보다 영양성분이 농축되어 많은 양을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원재료를 그냥 섭취하는 것보다 영양 흡수율이 더 좋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상기 마늘즙과 대파즙, 양파즙 및 생강즙은 본 발명의 고추장소스에 투입하여 제조될 돼지감자 장아찌의 잡냄새를 없애주는 것은 물론 향미를 높여줌과 동시에 텁텁한 맛을 제거하고 맛과 풍미를 높여주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5) 고추장소스를 숙성하는 단계
고추장에 조청과 참기름, 깨, 꽃소금, 소주, 돼지감자 엑기스, 마늘즙, 양파즙, 대파즙 및 생강즙을 혼합하여 고추장소스를 제조한 다음 상기 고추장소스를 숙성하는 단계이다.
더욱 자세하게 고추장소스는 고추장 100중량부를 준비한 후 조청 60~65중량부를 넣고 잘 저어주면서 혼합한 다음 고추장에 찰기와 점성이 생겨나게 되면 참기름 3~7중량부, 깨 1~5중량부, 꽃소금 0.1~0.5중량부, 소주 5~10중량부, 돼지감자 엑기스 5~10중량부, 마늘즙 5~10중량부, 양파즙 1~5중량부, 대파즙 0.5~1.5중량부 및 생강즙 0.5~1.5중량부를 넣고 혼합하여 섞어주면서 고추장소스를 제조한다.
상기 고추장소스는 저온창고에서 0~3℃로 48시간 숙성시킨 후, 0~3℃로 냉장 보관한다.
상기 조청은 단맛이 있어 고추장의 매콤한 맛을 보완하며, 점성을 높여 고추장소스의 적절한 찰기로 인해 장아찌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절인 돼지감자와 더욱 잘 어우러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참기름은 부드러운 맛을 내고, 제조될 고추장소스의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역할을 하며, 상기 깨는 고소한 맛과 식감을 더욱 높이기 위해 투입하며, 상기 꽃소금은 고추장소스의 간을 맞추기 위해 투입하며, 상기 소주는 마늘즙과 양파즙, 대파즙 및 생강즙과 마찬가지로 잡냄새를 제거하는데 도움을 주며, 제조될 고추장소스의 소독작용과 보존에도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고추장소스는 돼지감자와 잘 어울리며 감칠맛을 향상시켜줄 수 있도록 투입되는 재료의 혼합비율을 개발하여 한정한 것으로 특히 돼지감자 엑기스를 첨가하여 고추장소스의 맛은 물론 건강 기능성을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한편, 고추장소스는 제조하여 바로 섭취할 수도 있겠으나, 제조된 고추장소스를 저온창고에 넣고 48시간 동안 숙성이 이루어지게 하면 숙성 이후, 더욱 깊은맛과 감칠맛을 높일 수 있게 되므로 숙성기간을 갖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6) 장아찌를 제조하는 단계
숙성된 돼지감자에 숙성된 고추장소스를 버무려 장아찌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숙성된 돼지감자에 숙성된 고추장소스를 버무려 주면서 장아찌를 제조한다.
이때, 숙성된 돼지감자에 숙성된 고추장소스를 버무리는 양은 한정되어 있지 않고 기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숙성된 돼지감자 120kg에 대하여 숙성된 고추장소스 20kg을 투입하고 골고루 버무려 주면서 돼지감자 장아찌를 제조한 후, 포장할 수 있다.
상기 고추장소스와 절인 돼지감자의 매콤하고 달콤한 맛이 어우러지면서 입맛을 돋우어주고, 특히 돼지감자는 칼로리가 낮고 장아찌로써 고추장소스의 짠맛이 강하지 않아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겉면이 울퉁불퉁하지 않고 모양이 밋밋하면서 단단하고 껍질 색상이 옅은 황색인 돼지감자를 선별하여, 표면에 있는 이물질과 흙 및 먼지 등이 제거될 수 있도록 깨끗한 물로 세척하였다. 세척된 상기 돼지감자를 채반에 건져내어 물기를 제거한 후, 저장용기를 준비하여 물기가 제거된 상기 돼지감자를 넣고 돼지감자와 설탕을 중량비 1:1로 혼합한 다음 24시간마다 한 번씩 저장용기 내부를 고루 저어 돼지감자를 잘 섞어주며 설탕이 완전히 녹을 때까지 48시간 동안 절여주었다.
상기 절인 돼지감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고추장 70중량부와 물 15중량부, 소금 0.5중량부 및 조청 85중량부를 혼합한 후, 밀봉하여 먼지와 외부의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햇빛이 차단된 저온창고에서 2℃로 6개월간 저장하여 숙성하였다.
껍질과 뿌리를 제거한 마늘과 대파, 양파 및 생강을 깨끗한 물로 세척한 다음 분쇄기를 이용하여 각각 곱게 갈아 분쇄함으로써 마늘즙과 대파즙, 양파즙 및 생강즙을 준비하였다.
고추장 100중량부를 준비한 후 조청 60중량부를 넣고 잘 저어주면서 혼합한 다음 고추장에 찰기와 점성이 생기면 참기름 4중량부, 깨 2중량부, 꽃소금 0.3중량부, 소주 5중량부, 돼지감자 엑기스 8중량부, 마늘즙 7중량부, 양파즙 3중량부, 대파즙 0.6중량부 및 생강즙 0.9중량부를 넣고 혼합하여 섞어주면서 고추장소스를 제조하였다. 상기 고추장소스는 저온창고에 넣고 2℃로 48시간 숙성시킨 후, 1℃로 냉장 보관하였다.
상기 숙성된 돼지감자 120kg에 대하여 숙성된 고추장소스 20kg을 넣고 버무려 돼지감자 장아찌를 제조하여 포장함으로써 건강에 좋고 식감과 맛이 좋은 돼지감자를 이용한 장아찌를 제조하였다.

Claims (5)

  1. 돼지감자를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한 다음 돼지감자와 설탕을 중량비로 1:1로 혼합하여 절이는 단계;
    상기 절이는 단계 후 나온 절인 돼지감자와 돼지감자 엑기스를 따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절인 돼지감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고추장 65~75중량부, 물 10~20중량부, 소금 0.5~1.5중량부 및 조청 85~95중량부를 혼합한 후 6개월간 숙성하는 단계;
    마늘, 대파, 양파, 생강을 각각 분쇄하여 즙으로 준비하는 단계;
    고추장 100중량부에 대하여, 조청 60~65중량부, 참기름 3~7중량부, 깨 1~5중량부, 꽃소금 0.1~0.5중량부, 소주 5~10중량부, 돼지감자 엑기스 5~10중량부, 마늘즙 5~10중량부, 양파즙 1~5중량부, 대파즙 0.5~1.5중량부 및 생강즙 0.5~1.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한 고추장소스를 제조한 후 숙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숙성된 돼지감자에 상기 숙성된 고추장소스를 버무려 장아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감자를 이용한 장아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이는 단계는 돼지감자와 설탕을 중량비로 1:1로 혼합하여 24시간마다 한번 씩 저어주며 설탕이 완전히 녹을 때까지 48시간 동안 절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감자를 이용한 장아찌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돼지감자를 이용한 장아찌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감자를 이용한 장아찌.
KR1020170051697A 2017-04-21 2017-04-21 돼지감자를 이용한 장아찌의 제조방법 KR101930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697A KR101930863B1 (ko) 2017-04-21 2017-04-21 돼지감자를 이용한 장아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697A KR101930863B1 (ko) 2017-04-21 2017-04-21 돼지감자를 이용한 장아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410A KR20180118410A (ko) 2018-10-31
KR101930863B1 true KR101930863B1 (ko) 2018-12-19

Family

ID=64099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697A KR101930863B1 (ko) 2017-04-21 2017-04-21 돼지감자를 이용한 장아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8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398B1 (ko) * 2019-08-20 2021-03-22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염 돼지감자 장아찌의 제조 방법
KR102512013B1 (ko) * 2020-12-31 2023-03-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돼지감자 피클의 제조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제조된 돼지감자 피클
KR102606690B1 (ko) * 2021-04-13 2023-11-24 박길영 뚱딴지를 이용한 장아찌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410A (ko) 201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2990B1 (ko) 메밀싹 육회 비빔국수
CN101411430A (zh) 一种豆类食品的腌制方法
KR101930863B1 (ko) 돼지감자를 이용한 장아찌의 제조방법
KR101121738B1 (ko) 김치의 제조 방법
KR100609450B1 (ko) 발아땅콩을 이용한 김치양념
KR101606113B1 (ko) 육류용 포도 소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67347A (ko) 매운탕용 양념의 제조방법
KR101981564B1 (ko) 고로쇠 과립을 이용한 기능성 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19804B1 (ko) 버섯 젤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버섯 젤리
CN107252070A (zh) 一种锌硒糟辣椒的制作方法
KR101183247B1 (ko) 마늘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913728B1 (ko) 돼지감자 장아찌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돼지감자 장아찌
KR20190097668A (ko) 성인병 예방에 우수한 곰탕 제조방법
Abad Alegria et al. The health and nutritional virtues of artichokes-from folklore to science
KR20190006650A (ko) 양념 게장용 소스의 제조방법
KR101515528B1 (ko) 소 양지 육수를 포함하는 김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606690B1 (ko) 뚱딴지를 이용한 장아찌 및 그 제조방법
KR100618146B1 (ko) 영양강화 된장 및 그 제조방법
KR100875081B1 (ko) 심층수를 이용한 멍게 젓갈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의해 제조된 멍게 젓갈
KR101663459B1 (ko) 어린이용 무우 김치와 그 제조방법
KR101809823B1 (ko) 어린이용 김치의 제조방법
CN107495281A (zh) 一款调味海参蔬菜汁
KR102454489B1 (ko) 우수한 식감을 가지는 소시지 제조방법
KR101486986B1 (ko) 단감처트니용 조성물
KR101569105B1 (ko) 치즈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