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8146B1 - 선박 승하선용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승하선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8146B1
KR101928146B1 KR1020160134122A KR20160134122A KR101928146B1 KR 101928146 B1 KR101928146 B1 KR 101928146B1 KR 1020160134122 A KR1020160134122 A KR 1020160134122A KR 20160134122 A KR20160134122 A KR 20160134122A KR 101928146 B1 KR101928146 B1 KR 101928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ship
lifting
connection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1860A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4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1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41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3/00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선박 승하선용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선박 승하선용 장치는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이 구비되는 본체부와, 본체부 내에서 지지프레임을 따라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와, 본체부에 설치되고, 승강부에 동력을 전달하여 승강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승강구동부와, 승강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박 상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연결통로부 및 본체부 및 연결통로부와 결합되고, 연결통로부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 승하선용 장치{BOARDING APPARATUS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 승하선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에 승하선 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선박 승하선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해상에서의 운송수단으로 육상의 차량과는 달리 항만시설과 승선 또는 하선과 하역을 위한 시설이 마련되어 있으며, 특히 조수간만의 차가 심한 선착장에서는 해수면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승하선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01307호(2008.11.21 공개, 발명의 명칭: 선박의 승하선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절부가 형성되어 선박의 접안 시 높이에 따라 연결통로부의 각도가 조절되어 선박에 승하선 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선박 승하선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승하선용 장치는: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이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을 따라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승강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박 상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연결통로부; 및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연결통로부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통로부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에 공급되는 유압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통로부가 상기 선박에 안착되면 유압이 제거되도록 상기 조절밸브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본체부 내에서 상기 승강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승강이동하고, 복수 개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승강본체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출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연결통로부 측을 향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복수 개의 상기 출입구를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출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통로부는, 상기 선박에 안착되는 바닥부; 및 이동물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바닥부에 결합되는 난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부두에 설치되는 레일부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롤러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승하선용 장치는 승강구동부가 승강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접안되는 선박의 높이에 따라 작업자 등이 선박에 승하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절부가 연결통로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선박의 높이가 유동적으로 변화하여도 그에 따라 연결통로부가 안전하게 선박 상에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조절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연결통로부가 선박에 안착되는 각도에 따라 조절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어부가 조절밸브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고 연결통로부가 선박 상에 안착되면 유압을 제거하도록 하여 접안되는 선박의 높이가 변동되어도 연결통로부가 선박에 그대로 안착되며, 선박과 연결통로부가 이격되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승하선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승하선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승하선용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승하선용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실린더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승하선용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승하선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승하선용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승하선용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승하선용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실린더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승하선용 장치(1)는 본체부(100), 승강부(200), 승강구동부(300), 연결통로부(400), 롤러부(500), 롤러구동부(510), 계단부(6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110)이 구비되는 것으로, 지지프레임(110), 상부플레이트(120), 하부플레이트(130), 돌출부(230)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110)이 승강부(20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승강부(200)의 승강이동 경로를 가이드한다.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110)은 승강부(20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부플레이트(120)는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110)의 상측(도 2 기준)에 결합되고, 승강구동부(300)가 설치된다. 하부플레이트(130)는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110)의 하측(도 2 기준)에 결합되고, 롤러부(500), 롤러구동부(510), 계단부(600)가 설치된다.
돌출부(230)는 승강본체부(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승강본체부(210)의 하측(도 2 기준)으로 돌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승강본체부(210)의 양 측면(도 2 기준)으로 돌출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돌출부(230)에는 외측으로 제2걸이부(도면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제2걸이부는 제1안착홈부에 안착되어 승강본체부(210)가 승강이동함에 따라 돌출부(230)가 함께 승강이동되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제2걸이부가 제1안착홈부에 안착되어 돌출부(230)에 연결되는 조절부(250)가 연결통로부(400)의 각도를 조절할 때 연결통로부(4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승강부(200)는 본체부(100) 내에서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승강본체부(210), 조절부(250), 제1출입부(270), 제2출입부(290)를 포함한다.
승강본체부(210)는 승강이동하는 것으로 작업자, 화물, 연료(이하 '이동물'이라 한다.)이 탑승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승강본체부(210)는 이동물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부가 폐쇄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본체부(210)를 둘러싸는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110)에 제1안착홈부(도면 미도시)가 형성되고, 승강본체부(210)의 외측에 돌출되는 제1걸이부(도면 미도시)가 제1안착홈부에 안착되어 승강본체부(210)가 균일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조절부(250)는 본체부(100) 및 연결통로부(400)와 결합되고 연결통로부(4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실린더부(251), 조절밸브부(253)를 포함한다. 조절부(250)는 일단부에서 연결통로부(4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서 본체부(1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로 인하여 연결통로부(400)가 선박(S)에 안착될 때 부두(B)에 접안되는 선박(S)의 높이에 따라서 연결통로부(400)의 각도가 달라져도 조절부(250)가 연결통로부(4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연결통로부(4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조절부(250)는 연결통로부(400)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한다. 여기서 선택적이라 함은 연결통로부(400)가 선박(S)에 안착되기까지 유압으로 연결통로부(400)의 각도를 조절하나, 선박(S)에 안착되면 유압을 제거하여 수면에 따라 선박(S)의 높이가 달라져도 연결통로부(400)의 각도가 자유로이 조절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유압은 유체의 압력을 의미하며, 유체에는 기름과 같은 액체 혹은 기체를 포함한다. 실린더부(251)의 길이조절 방식은 유압 혹은 공압식으로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조절부(250)와 연결통로부(400), 조절부(250)와 본체부(100)와의 결합이 핀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실린더부(251)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유압으로 인하여 실린더부(251)의 길이가 신장 또는 축소되며 연결통로부(400)의 각도를 조절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조절밸브부(253)는 실린더부(251)에 공급되는 유압을 조절하는 것으로 조절밸브부(253)가 유압을 가하면 실린더부(251)의 길이가 증가하여 연결통로부(400)를 상방(도 2 기준)으로 밀어 각도를 조절하고, 유압이 제거되도록 하면 실린더부(251)의 길이가 감소하여 연결통로부(400)를 하방(도 2 기준)으로 당겨 각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제어부(255)는 연결통로부(400)가 선박(S)에 안착되면 유압이 제거되도록 조절밸브부(253)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 연결통로부(400)가 일단 선박(S)에 안착이 되면 더 이상 실린더부(251)가 유압으로 연결통로부(400)의 하중을 지지하지 않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수면의 높이가 달라짐에 따라 선박(S)의 높이도 변화하는데 연결통로부(400)가 선박(S)의 높이에 따라 유동적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승강부(200)에는 복수 개의 출입구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출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연결통로부(400) 측을 향해 배치된다.
제1출입부(270)는 연결통로부(400) 측에 배치되는 출입구를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출입부(270)가 양측(도 2 기준)으로 개폐되는 방식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2출입부(290)는 제1출입부(270)가 설치되는 승강부(200)의 일면을 제외한 타면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2출입부(290)가 양측(도 2 기준)으로 개폐되는 방식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이동물이 제2출입부(290)로 승강부(200)로 이동하고, 제1출입부(270)를 통하여 승강부(200)에서 선박(S)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통로부(400)는 승강부(2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박(S) 상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바닥부(410), 난간부(420)를 포함한다.
바닥부(410)는 선박(S)에 안착되는 것으로 바닥부(410)를 통하여 이동물이 승강부(200)에서 선박(S)에 승하선할 수 있도록 한다. 난간부(420)는 바닥부(410)에 결합되고, 이동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바닥부(410)에 양측(도 2 기준)에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수면에 따라 선박(S)의 높이가 달라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유동에도 이동물이 바닥부(410) 외측으로 이탈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롤러부(500)는 본체부(100)와 결합되고 부두(B)에 설치되는 레일부(R)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레일부(R)에 설치되는 롤러안착부(도면부호 미설정) 상에서 이동 가능하다.
롤러부(500)가 롤러안착부 상에서 레일부(R)를 따라 이동함으로 인해 롤러안착부가 경로를 가이드하고 롤러부(500)가 레일부(R)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롤러구동부(510)는 롤러부(500)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롤러부(5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모터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롤러부(500)가 이동을 하다가 승하선 각도에 도달하면 이동물이 선박(S)으로 이동하는 동안은 롤러부(500)가 이동하지 않도록 롤러부(500)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계단부(600)는 본체부(100)에 결합하여 이동물이 승강부(200)에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동물이 계단부(600)를 통해 제2출입부(290)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승하선용 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승하선용 장치(1)는 본체부(100), 승강부(200), 승강구동부(300), 연결통로부(400), 롤러부(500), 롤러구동부(510), 계단부(6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110)이 구비되고,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110)은 상측(도 2 기준)에 상부플레이트(120), 하측(도 2 기준)에 하부플레이트(130)와 결합된다. 이 본체부(100) 내에서 승강부(200)는 승강이동한다.
본체부(100)는 돌출부(230)를 포함하며, 돌출부(230)는 승강본체부(210)의 외측에 돌출된다.
승강부(200)는 승강구동부(300)에 의하여 이동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승강부(200)와 승강구동부(300)가 와이어(W)로 연결되어 있으며, 승강구동부(300)는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방식으로 설치가 된다.
와이어(W)가 승강구동부(300) 내에서 감기거나 풀리면서 승강부(200)가 상하(도 2 기준)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부두(B)에 접안되는 선박(S)의 높이를 고려하여 이동물이 승하선 할 각도로 승강부(200)가 배치되도록 한다.
승강부(200)는 승강본체부(210), 조절부(250)를 포함하며, 승강본체부(210)는 본체부(100) 내에서 승강이동한다. 조절부(250)는 본체부(100) 및 연결통로부(400)와 결합되고 연결통로부(4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실린더부(251), 조절밸브부(253)를 포함한다.
승하선 위치가 정해지면 높이에 따라 승강구동부(300)가 승강부(200)를 이동시키고, 승강부(200)의 위치가 정해지면 연결통로부(400)가 선박(S)에 안착될 수 있도록 각도가 조절된다.
실린더부(251)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조절밸브부(253)에 의해 실린더부(251)에 유압이 공급되면 길이가 신장되어 연결통로부(400)를 상향(도 3 기준)이동시킨다. 선박(S)에 승하선하지 않는 경우에는 승강부(200) 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각도가 조절되고, 이로 인하여 부두(B)에 접근하는 선박(S)과의 충돌을 방지한다.
조절부(250)는 일단부에서 연결통로부(4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서 본체부(10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로 인하여 연결통로부(400)의 각도가 조절되면서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연결통로부(400)의 각도가 조절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조절부(250)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255)는 연결통로부(400)가 선박(S)에 안착되기까지 유압으로 연결통로부(400)의 각도를 조절하고, 연결통로부(400)가 선박(S)에 안착되면 실린더부(251)에 공급되는 유압이 제거되도록 조절밸브부(253)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실린더부(251)에 유압이 제거되면 실린더부(251)의 길이가 감소하고 연결통로부(400)는 선박(S)에 안착된 상태에서 유압에 의해 각도가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선박(S)의 높이가 변하여도 그에 대응하여 각도가 자연스럽게 조절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유압으로 실린더부(251)의 길이를 고정시켰을 때에 비하여 수면에 따라 선박(S)의 높이가 변하여 연결통로부(400)와 선박(S)이 이격되어 이동물이 연결통로부(400) 외측으로 하선 시 추락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동물은 제2출입부(290)를 통하여 승강본체부(210)로 진입하고, 연결통로부(400)와 연결되는 일면에 설치되는 제1출입부(270)를 통하여 선박(S)으로 이동된다.
연결통로부(400)는 승강부(2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박(S) 상에 안착되는 것으로 바닥부(410), 난간부(420)를 포함한다. 바닥부(410)는 승강부(200)에서 선박(S)으로 이동하도록 편평한 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난간부(420)는 바닥부(410)에 결합되고 이동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바닥부(410)의 양측(도 2 기준)에 결합되고 이로 인하여 선박(S)으로 이동 시 이동물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롤러부(500)는 본체부(100)와 결합되고 부두(B)에 설치되는 레일부(R) 상에서 이동 가능한 것으로, 레일부(R)에는 롤러안착부가 형성되고 롤러부(500)가 롤러안착부에 안착되어 이동함으로써 롤러부(500)가 레일부(R)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선박 승하선용 장치(1)가 승하선 위치에 따라 이동을 하면서 레일부(R)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롤러구동부(510)는 롤러부(500)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롤러부(5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며 승하선 위치에 선박 승하선용 장치(1)가 도달하면 롤러부(500)가 더 이상 이동을 하지 않도록 회전을 차단하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이동물이 선박(S)에 승하선할 시 선박 승하선용 장치(1)가 고정되도록 하고 안정적으로 이동물이 선박(S)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계단부(600)는 본체부(100)에 결합하여 이동물이 승강부(200)에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로 인하여 이동물이 계단부(600)를 통해 제2출입부(290)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선박 승하선용 장치 B: 부두
R: 레일부 S: 선박
W: 와이어 100: 본체부
110: 지지프레임 120: 상부플레이트
130: 하부플레이트 200: 승강부
210: 승강본체부 230: 돌출부
250: 조절부 251: 실린더부
253: 조절밸브부 255: 제어부
270: 제1출입부 290: 제2출입부
300: 승강구동부 400: 연결통로부
410: 바닥부 420: 난간부
500: 롤러부 510: 롤러구동부
600: 계단부

Claims (7)

  1. 제1안착홈부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이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을 따라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승강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박 상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연결통로부; 및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연결통로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통로부의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본체부 내에서 상기 승강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승강이동하고, 복수 개의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안착홈부에 안착되는 제1걸이부가 형성되는 승강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본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안착홈부에 안착되는 제2걸이부가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승하선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에 공급되는 유압을 조절하는 조절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승하선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로부가 상기 선박에 안착되면 유압이 제거되도록 상기 조절밸브부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승하선용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출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연결통로부 측을 향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승하선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복수 개의 상기 출입구를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출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승하선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로부는,
    상기 선박에 안착되는 바닥부; 및
    이동물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바닥부에 결합되는 난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승하선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부두에 설치되는 레일부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롤러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승하선용 장치.
KR1020160134122A 2016-10-17 2016-10-17 선박 승하선용 장치 KR101928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122A KR101928146B1 (ko) 2016-10-17 2016-10-17 선박 승하선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122A KR101928146B1 (ko) 2016-10-17 2016-10-17 선박 승하선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860A KR20180041860A (ko) 2018-04-25
KR101928146B1 true KR101928146B1 (ko) 2018-12-11

Family

ID=6208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122A KR101928146B1 (ko) 2016-10-17 2016-10-17 선박 승하선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1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2590A (ja) * 2000-05-17 2001-11-20 Mitsubishi Heavy Ind Ltd ランプ装置およびこのランプ装置を備えた船舶
JP2014131884A (ja) * 2013-01-04 2014-07-17 Shimonoseki Ryoju Engineering Kk 乗下船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2590A (ja) * 2000-05-17 2001-11-20 Mitsubishi Heavy Ind Ltd ランプ装置およびこのランプ装置を備えた船舶
JP2014131884A (ja) * 2013-01-04 2014-07-17 Shimonoseki Ryoju Engineering Kk 乗下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860A (ko) 201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15885B1 (en) Movable platform unit for a boat, particularly for hauling and launching tenders and the like
KR960016210B1 (ko) 선박의 중량 화물 반출입 장치
US20130291779A1 (en) Apparatus to launch and recover a boat
US4858775A (en) Personnel trolley and elevator platform for a cargo container handling gantry crane
KR101246055B1 (ko) 해상 탈출 장치
CN104093627A (zh) 用于船舶的操作线的牵引系统
JP6665376B2 (ja) 揚陸用の船舶及び揚陸用の船舶を使用した荷役方法
US4705180A (en) Suspended load positioning stabilizing system
KR102076677B1 (ko)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승하선장치
KR101928146B1 (ko) 선박 승하선용 장치
WO2017179229A1 (ja) 船舶、船舶を使用した搬送方法
WO2012115508A1 (en) Vessel comprising a stabilizing system
US8171871B2 (en) Anchor handling device
KR101599026B1 (ko) 선박 계류 장치
JP2001030979A (ja) ロールオン・オフ船
KR20160000290U (ko)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
KR101305297B1 (ko) 선박 하역 지시를 위한 캐빈 리프트
PL204262B1 (pl) Urządzenie o strukturze rampy do statku do obsługi ładunków i zastosowanie pośredniej rampy urządzenia
KR20180101653A (ko) 차량의 적재공간이 설치된 바지선
KR20080101307A (ko) 선박의 승하선 장치
KR20170034236A (ko) 선박용 반입 리프트
JPH03194013A (ja) ダム等における係船設備及び係船方法
KR20150104734A (ko) 도르래를 이용한 선박 계류장치
JPH0976985A (ja) 積載甲板昇降式バージ船
KR20160146388A (ko) 구명정 진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