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290U -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 - Google Patents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290U
KR20160000290U KR2020140005324U KR20140005324U KR20160000290U KR 20160000290 U KR20160000290 U KR 20160000290U KR 2020140005324 U KR2020140005324 U KR 2020140005324U KR 20140005324 U KR20140005324 U KR 20140005324U KR 20160000290 U KR20160000290 U KR 201600002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hull
side passage
pass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3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5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290U/ko
Publication of KR201600002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29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는, 선체의 횡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선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및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사이드 통로와, 상기 사이드 통로에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어, 계류 작업시 상기 사이트 통로의 내부에 상기 선체의 외부를 수평하게 연통시키는 개방홀 및, 상기 개방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사이드 통로들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방홀을 통해 선체의 계류 작업을 수행하는 계류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MOORING APPARATUS ARRANGEMENT STRUCTURE OF VESSEL}
본 고안은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체의 좌우 방향에 형성시킨 사이드 통로 내에 계류장비를 배치시켜, 계류 작업시 사이드 통로의 개방홀을 통해 계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메인 데크의 상부로 계류장비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극한의 해상 환경에서 장비를 보호할 수 있는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FLNG(FLNG(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LNG FPSO, LNG FSRU 등)선, LNGC(Liquefied Natural Gas Carrier))선, 컨테이너선, 벌크선 등과 같은 선박들은, 대부분 선체 내에 액체화물 등을 저장하기 위한 카고 탱크(Cargo Tank)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선박들에는 부두 및 인접 선박에 계류시키기 위한 각종 계류 장비가 선체의 메인 데크 상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계류 장비는, 대부분 계류용 로프 등을 통과시키는 클로우즈 쵸크(closed chock)와, 계류용 로프 등을 걸어주기 위한 후크부(QRH: quick release hook)와, 계류용 로프 등을 끌어당기기 위한 캡스턴(capstan) 등의 장비가 구성된다.
그런데, FLNG(LNG FPSO, LNG FSRU 등)선과 LNGC선 등의 특수선들은 대부분 갑판을 이루는 메인 데크 상에 계류 장비가 배치되므로, 계류 장비가 해수나, 해풍 등에 그대로 노출되고, 이로 인해 장비의 수명이 단축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메인 데크 상에서 선원들이 작업을 할 때 계류 장비들에 의한 간섭에 의해 추락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었다.
또한, 계류 장비들이 선체의 상층에 위치하므로 인접 선박과 수평하게 높이를 맞춰주기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이는 선체의 평형 안전성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86600호(2010년 08월 02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선박 계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선체의 좌우 방향에 형성시킨 사이드 통로 내에 계류장비를 배치시켜, 계류 작업시 사이드 통로의 개방홀을 통해 계류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메인 데크의 상부로 계류장비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극한의 해상 환경에서 장비를 보호할 수 있고, 메인 데크의 상부에서 활동하는 선원들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는, 선체의 횡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선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및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사이드 통로와, 상기 사이드 통로에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어, 계류 작업시 상기 사이트 통로의 내부에 상기 선체의 외부를 수평하게 연통시키는 개방홀 및, 상기 개방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사이드 통로들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방홀을 통해 선체의 계류 작업을 수행하는 계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 통로 내에는 격판에 의해 상부로 분할 위치되어 상면에 상기 계류유닛 설치공간을 형성하며, 측면에 상기 개방홀이 위치되는 상부 통로 및, 상기 격판에 의해 하부로 분할 위치되어,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통로는 상기 선체의 상부 갑판을 형성하는 메인 테크의 양측 하방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데크의 중심측 하방에는 상기 사이드 통로와 연결 계단에 의해 연결되며, 하방에 카고 탱크가 위치되는 트렁크 스페이스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류유닛이 설치된 상기 메인 데크의 일측 상단에는 인접 선박이나 부두와의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상기 펜더유닛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류유닛은 상기 개방홀의 관통 방향과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통로의 측면에는 상기 개방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상기 계류유닛의 노출 상태를 선택적으로 가변하는 개폐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류유닛은 상기 사이드 통로 내에 설치되어, 인접 선박이나 부두에 연결된 계류용 로프를 통과시키는 클로우즈 쵸크와, 상기 사이드 통로 내에 설치되어, 인접 구조물과 연결된 로프를 걸어주는 후크부와, 상기 사이드 통로 내에 설치되어, 상기 로프를 구동력에 의해 끌어당기는 캡스턴 및, 상기 사이드 통로 내에 설치되어, 상기 선체를 계류용 로프에 매어 두기 위한 볼라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는,선체의 횡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선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및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사이드 통로 내에 계류유닛을 설치한 후, 상기 사이드 통로의 측부에 개방홀을 형성시켜 상기 계류유닛이 상기 개방홀을 통해 상기 선체의 측방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선체의 좌우 방향에 형성된 사이드 통로 내에 계류장비를 배치시켜, 메인 데크의 상부로 계류장비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계류장비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극심한 해상 환경에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메인 데크의 상부에서 활동하는 선원들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계류장비의 높이를 인접 선박 및 부두 등과 대응되는 높이로 맞춰줌으로써, 선박의 계류 작업시의 작업 안정성과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에 개폐유닛을 더 적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요부 확대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는 사이드 통로(passage way, 100)와, 개방홀(200) 및, 계류유닛(mooring unit, 3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사이드 통로(100)는 선체(10)의 측면에 탈출로는 형성하는 것으로, 선체(10)의 횡 방향 양측 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 통로(100)의 내부에는 후술 될 계류유닛(300)의 각 장비들이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 통로(100) 내에는 각종 의장품, 케이블, 파이프 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통로(100)는 선체(10)의 상부 갑판을 형성하는 메인 테크(20)의 양측 하방에 각각 형성되는데, 선체(10)의 좌우 방향측 최상단 부위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사이드 통로(100)는, 상부에 위치된 상부 통로(110) 및, 하부에 위치된 하부 통로(120)로 상하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통로(110)는, 수평하게 설치된 격판(130)을 기준으로 사이드 통로(110)의 상부에 설치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통로(110)의 상부에 형성된 설치공간 내에는 후술 될 계류유닛(300)의 각 장비들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통로(110)는 계류유닛(300)의 각 장비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 통로(110)의 측면에는 후술 될 개방홀(200)이 수평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체(10)에 설치된 로딩 암(미도시)을 이용해 사이드 오프로딩(side offloading) 작업시, 상기 개방홀(200)을 통해 계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하부 통로(120)는, 격판(130)에 의해 하부로 분할 위치되어, 선원이나 장비 등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공간을 형성한다.
물론, 상기 하부 통로(120)에 개방홀(200)을 형성시킨 후, 상기 하부 통로(120)의 내부에 계류유닛(300)의 각 장비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하부 통로(120)와 상부 통로(110)는, 선체(10)의 종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통로(120)와 상부 통로(110) 내에는 각종 의장품, 케이블, 파이프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통로(120)와 상부 통로(110)의 종 방향에는 선원이 출입할 수 있는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이드 통로(100)는, 사이드 통로(100)의 내부에 계류유닛(300)의 각 장비들을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계류유닛(300)의 각 장비가 해수나 해충 등에 노출되지 않으며, 이를 통해 고가인 장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통로(100)는 메인 데크(20)의 하방에 위치하므로, 선박과 인접 선박(LNGC VS FLNG) 간의 높이를 수평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계류유닛(300)들이 메인 데크(20)의 하방에 위치하므로, 선체(10)의 무게 중심을 낮춰줄 수도 있다.
전술한 개방홀(200)은, 사이드 통로(100)에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개방홀(200)은 선박의 계류 작업시 사이트 통로(100)의 측방과 외부를 연통시킨다.
한편, 메인 데크(20)의 중심측 하방에는 카고 탱크(40)가 위치되는 트렁크 스페이스(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렁크 스페이스(30)는 도 1에서처럼 사이드 통로(100)와 연결 계단(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선원 등은 연결계단(50)을 통해 트렁크 스페이스(30)와 사이드 통로(100)로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하며, 계류 작업시 계류유닛(300)의 각 장비들을 원활히 조종할 수 있다.
계류유닛(300)은, 개방홀(20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사이드 통로(100) 내에 설치되며, 상기 개방홀(200)을 통해 선체(10)의 계류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상기 계류유닛(300)은 도 2에서처럼 클로우즈 쵸크(closed chock)와, 후크부(QRH: quick release hook)와, 캡스턴(capstan) 및, 볼라드(bollard)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로우즈 쵸크(closed chock)는, 사이드 통로(100) 내에 설치되어, 인접 선박(60)이나 부두에 연결된 계류용 로프(L) 및 체인 등을 통과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클로우즈 쵸크(closed chock)에는 로프(L)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클로우즈 쵸크(closed chock)는 개방홀(200)에 인접하는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후크부(QRH: quick release hook)는, 사이드 통로(100) 내에 설치되어, 인접 구조물과 연결된 로프(L)를 걸어주는 역할을 한다.
캡스턴(capstan)은, 사이드 통로(100) 내에 설치되어, 상기 로프(L)를 구동력에 의해 끌어당기는 기능을 한다.
볼라드(bollard)는, 사이드 통로 내에 설치되어, 상기 선체를 계류용 로프(L)에 매어 두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볼라드(bollard)는 선박을 계선안에 매어 두기 위해 계선안 위에 설치한 기둥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볼라드는 직주(直柱)와 머리가 굽은 곡주(曲柱) 등이 있으며, 대형인 것은 대개 주강 등으로 제작한다.
그리고, 계류유닛(300)은 계류 위치(Mooring winch)와, 페어리드(Fairlead)와, 가이드 롤러(Guide roller)와, 비트(Bitt) 등의 장비가 구비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계류 장비들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계류유닛(300)이 설치된 메인 데크(20)의 일측 상단에는 인접 선박(60)이나 부두(미도시)와의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펜더유닛(fender unit, 50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펜더유닛(500)은, 메인 데크(20)의 상부에 설치되는 리프팅용 크레인과, 상기 리프팅용 크레인에 의해 선체(10)의 외부로 이동되는 완충부재(510)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510)는, 선박(10)을 부두에 묶어둘 때 또는 다른 배의 옆에 댈 경우에, 접촉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켜 서로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계류유닛(300)은 외부로브터 로프(L)가 연결될 수 있도록 개방홀(200)의 관통 방향과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처럼 사이드 통로(100)의 측면에는 개방홀(200)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계류유닛(300)의 노출 상태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키기 위한 개폐유닛(3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유닛(300)은, 상기 사이드 통로(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상기 개방홀(200)을 개폐시키는 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방홀(200)을 개폐시킬 수 있고, 상기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 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선체(10)의 좌우 방향에 형성된 사이드 통로 내에 계류장비들을 배치시켜, 메인 데크(20)의 상부로 계류유닛(300)의 각 장비가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계류유닛(300)의 각 장비가 해상에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극심한 해상 환경에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메인 데크(20)의 상부에서 활동하는 선원들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계류유닛(300)의 높이를 인접 선박 및 부두 등과 대응되는 높이로 맞춰줌으로써, 계류 작업시의 안정성과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선체(10)의 안전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신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선체 20: 메인 데크
30: 트렁크 스페이스 40: 카고 탱크
50: 연결 계단 60: 인접 선박
100: 사이드 통로 110: 상부 통로
120: 하부 통로 130: 격판
200: 개방홀 300: 계류유닛
310: 클로우즈 쵸크 320: 후크부
330: 캡스턴 400: 개폐유닛
410: 도어 500: 펜더유닛
510: 완충부재 L: 로프

Claims (9)

  1. 선체의 횡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선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및 설치 공간을 형성하는 사이드 통로;
    상기 사이드 통로에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어, 계류 작업시 상기 사이트 통로의 내부에 상기 선체의 외부를 수평하게 연통시키는 개방홀; 및
    상기 개방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사이드 통로들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방홀을 통해 선체의 계류 작업을 수행하는 계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통로 내에는,
    격판에 의해 상부로 분할 위치되어 상면에 상기 계류유닛 설치공간을 형성하며, 측면에 상기 개방홀이 위치되는 상부 통로 및,
    상기 격판에 의해 하부로 분할 위치되어,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통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통로는,
    상기 선체의 상부 갑판을 형성하는 메인 테크의 양측 하방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 데크의 중심측 하방에는,
    상기 사이드 통로와 연결 계단에 의해 연결되며, 하방에 카고 탱크가 위치되는 트렁크 스페이스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계류유닛이 설치된 상기 메인 데크의 일측 상단에는,
    인접 선박이나 부두와의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상기 펜더유닛(fender)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류유닛은,
    상기 개방홀의 관통 방향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통로의 측면에는,
    상기 개방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상기 계류유닛의 노출 상태를 선택적으로 가변하는 개폐유닛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류유닛은,
    상기 사이드 통로 내에 설치되어, 인접 선박이나 부두에 연결된 계류용 로프를 통과시키는 클로우즈 쵸크(closed chock)와,
    상기 사이드 통로 내에 설치되어, 인접 구조물과 연결된 로프를 걸어주는 후크부(QRH: quick release hook)와,
    상기 사이드 통로 내에 설치되어, 상기 로프를 구동력에 의해 끌어당기는 캡스턴(capstan) 및,
    상기 사이드 통로 내에 설치되어, 상기 선체를 계류용 로프에 매어 두기 위한 볼라드(bollard)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
  9. 선체의 횡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선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및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사이드 통로 내에 계류유닛을 설치한 후, 상기 사이드 통로의 측부에 개방홀을 형성시켜 상기 계류유닛이 상기 개방홀을 통해 상기 선체의 측방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
KR2020140005324U 2014-07-16 2014-07-16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 KR201600002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324U KR20160000290U (ko) 2014-07-16 2014-07-16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324U KR20160000290U (ko) 2014-07-16 2014-07-16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290U true KR20160000290U (ko) 2016-01-26

Family

ID=55310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324U KR20160000290U (ko) 2014-07-16 2014-07-16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29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1088A (zh) * 2021-06-25 2021-10-15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于lng加注船的旁靠系统及旁靠方法
CN114379701A (zh) * 2021-12-06 2022-04-22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lng船倾斜穹顶甲板区域的通道和结构布置方法
CN115071889A (zh) * 2022-06-24 2022-09-20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平板驳船的系泊绞车布置结构及驳船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1088A (zh) * 2021-06-25 2021-10-15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应用于lng加注船的旁靠系统及旁靠方法
CN114379701A (zh) * 2021-12-06 2022-04-22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lng船倾斜穹顶甲板区域的通道和结构布置方法
CN115071889A (zh) * 2022-06-24 2022-09-20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平板驳船的系泊绞车布置结构及驳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9919B2 (en) Deep water installation vessel
EP2477927B1 (en) Hoisting device
US75437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ploying articles in deep waters
KR102050614B1 (ko) 선박의 라인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견인 시스템
US9630814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motion compensation and anti-pendulation
EP0653349A1 (en) Line fisher for use in anchor laying
KR20160000290U (ko)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
US20220227467A1 (en) Deployment of Unmanned Underwater Vehicles
KR102411876B1 (ko) 가압된 페어리드 클럼프 웨이트
KR20170043934A (ko)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
KR101599026B1 (ko) 선박 계류 장치
EP3224131A1 (en) A moon pool control device for a marine vessel
NO20111582A1 (no) Fartoy og fremgangsmate for undervannsslep av tunge laster
NO20150565A1 (en) MOORING ARRANGEMENT
US8544403B2 (en) Floating unit
KR20120058262A (ko) 병렬 계류장치
KR102662433B1 (ko) 웨더베이닝 다점계류 방법
KR20150104734A (ko) 도르래를 이용한 선박 계류장치
KR20180002424U (ko) 선박용 승하선 장치
US11448029B2 (en) Multi vessel method and system for placing an object on a seabed
NL2004529C2 (en) Vessel and method for raising a load under water using the vessel.
KR20160146388A (ko) 구명정 진수 장치
AU2015213388B2 (en) Rectractable chain connector
KR20160007026A (ko) 해상 크레인 및 이를 계류하는 방법
JP2005324686A (ja) 船内移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