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424U - 선박용 승하선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승하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424U
KR20180002424U KR2020170000570U KR20170000570U KR20180002424U KR 20180002424 U KR20180002424 U KR 20180002424U KR 2020170000570 U KR2020170000570 U KR 2020170000570U KR 20170000570 U KR20170000570 U KR 20170000570U KR 20180002424 U KR20180002424 U KR 201800024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outer shell
ship
hul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5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05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424U/ko
Publication of KR201800024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42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B63B27/146Pilot ladders or similar outboard ladders, e.g. bathing ladders; Pilot li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B63B27/146Pilot ladders or similar outboard ladders, e.g. bathing ladders; Pilot lifts
    • B63B2027/148Pilot li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6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ies, ribbon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용 승하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의 파일럿 도어(Pilot door) 상부로부터 인출되는 줄 사다리; 상기 줄 사다리의 일 영역을 향하여 갑판으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되는 승하선 사다리; 및 상기 줄 사다리 및 상기 승하선 사다리를 각각 별도의 고정로프를 이용하여 선체 외판(Side shell)에 고정하도록 상기 선체 외판의 개구된 영역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줄 사다리의 인출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라운드 바를 구비하여, 상기 줄 사다리의 좌우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승하선 장치{Apparatus for embarkation and disembarkation of ship}
본 고안은 선박용 승하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선사(Pilot)는 외항에 정박된 선박을 항구 내로 정박시키기 위하여 외항까지 파일럿 보트(Pilot boat)를 타고 가서, 갑판으로부터 내려온 파일럿 사다리(Pilot ladder)를 이용하여 승선한 뒤, 선박을 안전하게 항구 내로 진입시키게 된다.
이때, 파일럿 사다리는 로프에 일정한 간격으로 여러 개의 목재로 된 발판을 고정한 것으로, 도선사가 파일럿 사다리를 이용하여 선박에 승선하는 기준은 수면으로부터 갑판까지의 높이가 9m 이내로 규정되어 있다.
하지만, 최근 대형 선박의 개발로 인하여 선박의 만재흘수선(Design water line)에서 갑판까지의 높이가 9m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파일럿 사다리만으로는 도선사가 승선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의해 대형 선박의 만재흘수선에서 1.5m 상부에 파일럿 룸(Pilot room)으로 연결되는 파일럿 도어(Pilot door)를 설치하고, 파일럿 도어 상부에 설치된 줄 사다리(Rope ladder)를 이용하여 승선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파일럿 룸 역시 경하흘수선(Light ballast water line)으로부터 9m보다 높기 때문에 도선사가 정상적으로 승선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대형 선박의 경우 파일럿 사다리 또는 줄 사다리만을 이용하여 도선사가 승선하기에는 매우 높아서 오르기가 매우 힘들 뿐만 아니라 아래로 떨어지는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될 위험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형 선박이 안벽에 접안 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안벽과 선박 사이에 펜더(Fender)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펜더의 설치로 인하여 안벽과 선박 사이에는 일정 거리가 이격되므로, 승하선 사다리(Accommodation ladder)를 내린 상태에서 그대로 이용하지 못하며, 항구 방향으로 방향을 변경하여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건현(Free board)이 높은 대형 선박에 도선사가 승선하는 경우 줄 사다리와 승하선 사다리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선박용 승하선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썬큰 아이(Sunken eye)와 같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줄 사다리 및 승하선 사다리를 각각 선체 외판에 고정시킴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용 승하선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안벽 사다리(Wharf ladder)에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연결부재를 승하선 사다리의 하부 플랫폼의 측면에 연결시킴에 의해 승하선 사다리의 방향을 전환하지 않아도 되는 선박용 승하선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승하선 장치는, 선박의 파일럿 도어(Pilot door) 상부로부터 인출되는 줄 사다리; 상기 줄 사다리의 일 영역을 향하여 갑판으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되는 승하선 사다리; 및 상기 줄 사다리 및 상기 승하선 사다리를 각각 별도의 고정로프를 이용하여 선체 외판(Side shell)에 고정하도록 상기 선체 외판의 개구된 영역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줄 사다리의 인출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라운드 바를 구비하여, 상기 줄 사다리의 좌우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재는, 상하 관통된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선체 외판의 개구된 영역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선체 외판에 고정되는 측면 플레이트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타단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양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선체 외판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는 라운드 바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라운드 바는, 중간 지점이 상기 선체 외판과 동일한 높이로 구비되고, 상기 양단부는 상기 선체 외판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선체 외판과 상기 양단부 사이에 공간부가 구비되며, 상기 중간 지점에 상기 고정로프가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승하선 사다리의 마지막 플랫폼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된 상기 줄 사다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승하선 사다리의 상기 마지막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선체 외판에 접하도록 구비된 측면 가이드부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하선 사다리는, 상기 마지막 플랫폼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일정 간격 이격된 판 형상의 적어도 한 쌍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며, 상기 돌출부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봉 형상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돌출부 사이에 위치된 지지부에 연결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가 구비된 안벽 사다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고리 형상의 메인 몸체부와, 상기 메인 몸체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메인 몸체부를 개폐하는 고리 형상의 서브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몸체부는, 타측에 상기 서브 몸체부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승하선 장치는, 대형 선박에 도선사가 승선 시, 줄 사다리와 승하선 사다리를 함께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도선사가 줄 사다리만을 이용하여 승선하는 경우보다 쉽게 승선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승하선 장치는,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줄 사다리 및 승하선 사다리를 각각 선체 외판에 고정시킴에 의해 흔들리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도선사가 안전하게 승선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승하선 장치는, 연결부재가 구비된 안벽 사다리를 승하선 사다리의 하부 플랫폼의 측면에 연결시킴에 의해 승하선 사다리의 방향을 전환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안벽 사다리를 연결하기 위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승하선 장치의 줄 사다리 및 승하선 사다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a는 도 2의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줄 사다리가 고정부재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c는 도 2의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승하선 장치의 승하선 사다리 및 안벽 사다리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선박은, 화물을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수송하는 상선 외에도 해상의 일정 지점에 부유하여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는 해양구조물을 포괄하는 개념임을 알려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승하선 장치의 줄 사다리 및 승하선 사다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승하선 장치는, 선박(100)의 파일럿 도어(40) 상부로부터 인출되는 줄 사다리(30)와, 승하선 사다리(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줄 사다리(30)는 대형 선박(100)을 내항으로 안전하게 정박시키기 위하여 외항에 정박 중인 도선사가 승선하기 위한 것으로, 평상 시에는 권취 장치(31)에 감아서 보관하다가 파일럿 보트가 선박(100)의 측면에 접근하면 줄 사다리(30)를 풀어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줄 사다리(30)는 다수 개의 발판(33, 도 3b 참조)들이 로프(32, 도 3b 참조)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대형 선박(100)의 경우, 건현이 매우 높기 때문에 도선사가 줄 사다리(30)만을 이용하여 승선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선박(100)이 15도 기울어진 조건에서도 도선사가 승선해야 하지만, 줄 사다리(30)의 사용만으로는 관련 규정에 만족할 수 없다.
이에 의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줄 사다리(30)의 일 영역에 갑판(10)으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된 승하선 사다리(50)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승하선 사다리(50)는 항구에 접안 시 작업자나 선원 등의 승하선자가 선박(100)에 승하선하기 위한 것으로, 선박(100)의 측면에 설치되며, 선박(100)의 운항 중에는 선체 외판(20)의 내측에 보관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승하선 사다리(50)가 줄 사다리(30)의 일 영역에 인접하게 설치되므로, 도선사는 줄 사다리(30)를 이용하여 올라가다가 승하선 사다리(50)로 이동하여 걸어서 승선할 수 있다. 즉, 대형 선박(100)에서 도선사가 승선하기 위하여 줄 사다리(30) 및 승하선 사다리(50)를 겸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줄 사다리(30) 및 승하선 사다리(50)는 선박(100)이 파도 등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상태가 되거나, 바람 등에 의한 외력이 발생한 경우 쉽게 흔들림에 의해 승선 시 위험이 따르므로, 고정부재(60)를 이용하여 선체 외판(20)에 줄 사다리(30) 및 승하선 사다리(50)를 각각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재(60)는 별도의 고정로프(80, 도 3b 참조)를 이용하여 줄 사다리(30) 및 승하선 사다리(50)를 각각 선체 외판(20)에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재(60)는 3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2개는 줄 사다리(30)를 고정할 수 있고, 1개는 승하선 사다리(50)를 고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고정부재(60)는 일정 높이에 위치된 줄 사다리(30)의 양측을 고정하도록 2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승하선 사다리(50)의 마지막 플랫폼(51)으로부터 선체 외판(20)에 접하도록 구비된 측면 가이드부(52)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줄 사다리(3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60)는, 승하선 사다리(50)의 마지막 플랫폼(51)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된 줄 사다리(3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줄 사다리(3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60)는 승하선 사다리(50)의 마지막 플랫폼(51)으로부터 약 1.3~1.5m의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줄 사다리(30)의 양측을 고정하는 고정부재(60) 간의 거리는 425±50mm 정도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선사가 승하선 사다리(50)의 마지막 플랫폼(51)에 도달하기까지 줄 사다리(30)의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승하선 사다리(50)는 수면과 이루는 각(θ)은 약 30°~45°일 수 있으며, 이는 승하선 사다리(50)의 길이에 따라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고정부재(60)의 위치 및 개수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줄 사다리(30) 및 승하선 사다리(5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고정부재(60)는 줄 사다리(30)의 인출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라운드 바(63, 도 3a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라운드 바(63)에 별도의 고정로프(80)를 이용하여 줄 사다리(30) 및 승하선 사다리(50)를 고정하므로, 각각의 좌우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라운드 바(63)는 줄 사다리(50)의 인출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60)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하여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줄 사다리가 고정부재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c는 도 2의 고정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줄 사다리(30) 및 승하선 사다리(50)를 선체 외판(2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60)는 하부 플레이트(61)와, 측면 플레이트(62) 및 라운드 바(63, round bar)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플레이트(62)는 상하 관통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단이 선체 외판(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선체 외판(20)은 고정부재(60)가 위치되는 영역에 일정 깊이의 개구가 마련될 수 있으며, 측면 플레이트(62)의 일단은 선체 외판(20)에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측면 플레이트(62)의 타단은 선체 외판(20)의 개구된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플레이트(61)는 측면 플레이트(62)의 타단에 고정될 수 있으며, 원형의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측면 플레이트(62)의 타단이 선체 외판(20)의 개구된 내측에 위치되므로, 하부 플레이트(61) 역시 선체 외판(20)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깊이 들어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플레이트(61)는 측면 플레이트(62)의 타단에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측면 플레이트(62)의 외측 둘레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라운드 바(63)는 측면 플레이트(62)의 내측면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될 수 있으며, 곡면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라운드 바(63)는 선체 외판(20)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라운드 바(63)의 양단부는 측면 플레이트(62)의 내측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61), 측면 플레이트(62) 및 라운드 바(63)를 포함하는 고정부재(60)는, 선체 외판(20)에 대하여 측면 플레이트(62)가 내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라운드 바(63)는 측면 플레이트(62)의 내측면에서 선체 외판(20)에 인접한 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라운드 바(63)의 중간 지점은 선체 외판(20)과 동일한 높이로 볼록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라운드 바(63)가 선체 외판(20)을 향하여 볼록하게 마련되므로, 라운드 바(63)의 양단부는 선체 외판(20)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즉, 라운드 바(63)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양단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선체 외판(20)으로부터의 이격 거리가 늘어날 수 있다. 이에 의해 선체 외판(20)과 라운드 바(63)의 양단부 측에는 각각 공간부(6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60)는 승하선 사다리(50)의 마지막 플랫폼(51)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된 줄 사다리(3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줄 사다리(30)를 선체 외판(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60)는 승하선 사다리(50)의 마지막 플랫폼(51)으로부터 선체 외판(20)에 접하는 측면 가이드부(52)의 일 영역에 배치되어, 승하선 사다리(50)를 선체 외판(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60)의 라운드 바(63)는 줄 사다리(30)의 인출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줄 사다리(30) 및 승하선 사다리(50)를 각각 선체 외판(20)에 별도의 고정로프(80)를 이용하여 고정하는데, 라운드 바(63)가 줄 사다리(30)의 인출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줄 사다리(30) 및 승하선 사다리(50)의 좌우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줄 사다리(30)의 발판(33) 간을 연결하는 로프(32)를 고정부재(60)의 라운드 바(63) 상에 위치시킨 후, 측면 플레이트(62)와 하부 플레이트(61)에 의해 이루어진 공간을 향하여 라운드 바(63)의 일측으로 고정로프(80)의 일단을 삽입시킬 수 있다. 이후, 고정로프(80)의 일단은 라운드 바(63)의 하부를 감싸면서 라운드 바(63)의 타측을 통하여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고정로프(80)의 일단이 라운드 바(63)와 로프(32) 사이를 지나면서 로프(32)를 감쌀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로프(80)의 일단은 라운드 바(63)와 로프(32) 사이에서 교차되며 8자 형태로 라운드 바(63)와 로프(32)를 감싸고, 고정로프(80)의 타단과 연결됨에 의해 고정부재(60)를 이용하여 줄 사다리(30)를 선체 외판(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승하선 사다리(50)의 가이드부(52) 역시, 줄 사다리(30)의 로프(32)와 동일한 방식에 의해 고정부재(60)를 이용하여 선체 외판(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라운드 바(63)가 줄 사다리(30)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고정로프(80)로 묶인 상태에서 줄 사다리(30) 및 승하선 사다리(50)는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없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줄 사다리(30) 및 승하선 사다리(50)가 선체 외판(2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어, 바람 또는 파도에도 쉽게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승하선 장치의 승하선 사다리 및 안벽 사다리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승하선 사다리(50)의 마지막 플랫폼(51)의 외측면에는 안벽 사다리(70)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안벽 사다리(70)가 승하선 사다리(50)의 마지막 플랫폼(51)의 측면에 연결됨으로써, 승하선 사다리(50)의 방향 전환이 불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안벽이나 항구에 승하선하기 위하여 승하선 사다리(50)를 사용하지만, 선박(100)이 안벽에 접안 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안벽과 선박(100) 사이에 방현재(Fender)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방현재의 설치로 인하여 항구에는 안벽과 선박(100) 사이에 1~1.5m의 거리가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하선 사다리(50)를 내린 상태에서 항구 쪽으로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하여, 승하선 사다리(50)의 마지막 플랫폼(51)에 별도의 로프를 묶어서 안벽에서 인력으로 끌어당김에 의해 마지막 플랫폼(51) 및 승하선 사다리(50)가 안벽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안벽 측으로 회전된 마지막 플랫폼(51) 및 승하선 사다리(50)를 이용하여 화물과 여객을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상 화물 및 여객을 처리하기 위하여 승하선 사다리(50)의 방향을 안벽을 향하게 하기 위해서 마지막 플랫폼(51)에 로프를 묶어 여러 명의 인력으로 당김에 의해 안벼에서 승하선이 가능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승하선 사다리(50)가 선체 외벽(20)에 접하는 상태에서, 여러 명의 인력에 의하여 선박이 승하선 사다리(50)를 당기는 것 없이 안벽 사다리(70)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승하선 사다리(50)는 마지막 플랫폼(51)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한 쌍의 돌출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돌출부(53)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돌출부(53)를 하나의 세트로 하며, 2세트의 돌출부(5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53)에는 관통홀(미도시)이 구비되어, 관통홀을 관통하면서 판 형상의 돌출부(53)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봉 형상의 지지부(5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안벽 사다리(70)의 일단에는 한 쌍의 돌출부(53) 사이에 위치된 지지부(54)에 연결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7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71)는 지지부(54)에 걸리면서 연결될 수 있으며, 2세트의 돌출부(53) 사이에 위치되도록 2개의 연결부재(71)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재(71)는 지지부(54)에 걸리면서 연결되는 고리 형상의 메인 몸체부(72)와, 메인 몸체부(7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힌지부(75)에 의해 연결된 서브 몸체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몸체부(73)는 지지부(54)에 메인 몸체부(72)가 걸린 뒤에 메인 몸체부(72)가 감싸지 않은 지지부(54)의 둘레를 개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메인 몸체부(72)의 타측에는 서브 몸체부(73)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걸림부(7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하선 사다리(50)의 마지막 플랫폼(51)의 측면에 구비된 돌출부(53) 및 지지부(54)에 안벽 사다리(70)의 일단에 구비된 연결부재(71)를 연결함으로써, 안벽에 방현재가 설치되더라도 승하선 사다리(50)의 방향을 전환하지 않으면서도 승하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몸체부(72), 서브 몸체부(73), 걸림부(74) 및 힌지부(75)를 포함하는 연결부재(71)는 승하선 사다리(50)의 돌출부(53) 사이에 위치된 지지부(54)에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안벽 사다리(70)의 연결부재(71)가 판 형상의 한 쌍의 돌출부(53) 사이에 위치된 지지부(54)에 걸림으로써,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벽 사다리(70)가 승하선 사다리(50)에 연결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게 되어, 안정적으로 승하선이 가능하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갑판 20 : 선체 외판
30 : 줄 사다리 31 : 권취 장치
32 : 로프 33 : 발판
40 : 파일럿 도어 50 : 승하선 사다리
51 : 마지막 플랫폼 52 : 가이드부
53 : 돌출부 54 : 지지부
60 : 고정부재(썬큰아이)
61 : 상부 고정부 62 : 측면 고정부
63 : 라운드 바 64 : 공간부
70 : 안벽 사다리 71 : 연결부재
72 : 메인 몸체부 73 : 서브 몸체부
74 : 걸림부 75 : 힌지부
80 : 고정로프 100 : 선박

Claims (8)

  1. 선박의 파일럿 도어(Pilot door) 상부로부터 인출되는 줄 사다리;
    상기 줄 사다리의 일 영역을 향하여 갑판으로부터 경사지게 배치되는 승하선 사다리; 및
    상기 줄 사다리 및 상기 승하선 사다리를 각각 별도의 고정로프를 이용하여 선체 외판(Side shell)에 고정하도록 상기 선체 외판의 개구된 영역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줄 사다리의 인출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라운드 바를 구비하여, 상기 줄 사다리의 좌우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승하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하 관통된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선체 외판의 개구된 영역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선체 외판에 고정되는 측면 플레이트와,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타단에 고정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양단부가 고정되며, 상기 선체 외판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는 라운드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승하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바는,
    중간 지점이 상기 선체 외판과 동일한 높이로 구비되고, 상기 양단부는 상기 선체 외판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선체 외판과 상기 양단부 사이에 공간부가 구비되며, 상기 중간 지점에 상기 고정로프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승하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승하선 사다리의 마지막 플랫폼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된 상기 줄 사다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승하선 사다리의 상기 마지막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선체 외판에 접하도록 구비된 측면 가이드부의 일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승하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선 사다리는,
    상기 마지막 플랫폼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일정 간격 이격된 판 형상의 적어도 한 쌍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며, 상기 돌출부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봉 형상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승하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출부 사이에 위치된 지지부에 연결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가 구비된 안벽 사다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승하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고리 형상의 메인 몸체부와,
    상기 메인 몸체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메인 몸체부를 개폐하는 고리 형상의 서브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승하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몸체부는,
    타측에 상기 서브 몸체부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승하선 장치.
KR2020170000570U 2017-02-02 2017-02-02 선박용 승하선 장치 KR201800024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570U KR20180002424U (ko) 2017-02-02 2017-02-02 선박용 승하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570U KR20180002424U (ko) 2017-02-02 2017-02-02 선박용 승하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424U true KR20180002424U (ko) 2018-08-10

Family

ID=63207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570U KR20180002424U (ko) 2017-02-02 2017-02-02 선박용 승하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42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677B1 (ko) * 2018-09-21 2020-02-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승하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677B1 (ko) * 2018-09-21 2020-02-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승하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0037B2 (en) Personnel transport and transfer system
US9926048B2 (en) Hoisting system and accompanying connector catch assembly
US6152065A (en) Apparatus for launching and recovery of boats
US8561564B2 (en) Device and method for launching an underwater moving body
WO2010147518A1 (en) Light weight boat lift arrangement
US5160286A (en) Personnel transfer system
US4294331A (en) Method and system for escaping from an offshore drilling platform
KR20140133549A (ko) 선박 드라이 도킹을 위한 이동형 잠수식 플랫폼을 구비한 반-잠수식 플랫폼
KR102076497B1 (ko) 소형 선박 침몰 방지 및 인양용 부유식 도크
KR102076677B1 (ko)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승하선장치
KR20180002424U (ko) 선박용 승하선 장치
KR101497442B1 (ko) 해상구조물의 구명정 진수 장치 및 진수 방법
KR101785080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용 계류장치
US7159527B2 (en) Mooring of a floating unit to a vessel side
KR101732663B1 (ko) 회전 타워형 구명정 진수 장치
EP0020543A4 (en) METHOD AND SYSTEM FOR ESCAPING FROM A DRILLING PLATFORM AT SEA.
KR20130057642A (ko) 갑판 사다리 적재함을 구비한 선박
KR20140002105U (ko) 선박용 구명부표 보관장치
KR20160000290U (ko)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
US20180065714A1 (en) System for transporting objects to ocean structures
KR20160073096A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측방 계류 시스템을 위한 선체구조
US20060236912A1 (en) Device for and a method of transferring personnel between units at sea
KR20150003976U (ko) 헬리데크의 안전장치
US20010018015A1 (en) Personnel transfer capsule
KR20150004591U (ko) 갱웨이 보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