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549A - 선박 드라이 도킹을 위한 이동형 잠수식 플랫폼을 구비한 반-잠수식 플랫폼 - Google Patents

선박 드라이 도킹을 위한 이동형 잠수식 플랫폼을 구비한 반-잠수식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549A
KR20140133549A KR20147024816A KR20147024816A KR20140133549A KR 20140133549 A KR20140133549 A KR 20140133549A KR 20147024816 A KR20147024816 A KR 20147024816A KR 20147024816 A KR20147024816 A KR 20147024816A KR 20140133549 A KR20140133549 A KR 20140133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semi
submersible
vessel
subme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4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지즈 아미랄리 멀챈트
아니스 알타프 후사인
수리야나라야나 멀시 파수마르시
Original Assignee
케펠 오프쇼어 앤드 마린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펠 오프쇼어 앤드 마린 엘티디 filed Critical 케펠 오프쇼어 앤드 마린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40133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5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 B63C1/04Floating docks self d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arth Drill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원에 개시된 본 발명은 랜딩 베이를 구비한 반-잠수식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랜딩 베이는 도킹된 선박을 수면에서 승/하강시킬 수 있는 이동형 플랫폼을 갖는다. 또한, 랜딩 베이는 상기 플랫폼이 움직일 때 도킹된 선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스테빌라이징 메커니즘을 갖는다.

Description

선박 드라이 도킹을 위한 이동형 잠수식 플랫폼을 구비한 반-잠수식 플랫폼{A SEMI-SUBMERSIBLE PLATFORM WITH A MOVABLE SUBMERGIBLE PLATFORM FOR DRY DOCKING A VESSEL}
본 발명은 랜딩 베이(landing bay)를 가진 반-잠수식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킹된 항해 선박 아래에 정합(fitting)하도록 크기가 형성된 이동형 플랫폼을 구비한 랜딩 베이를 가지는 반-잠수식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이동형 플랫폼은 도킹된 선박과 함께 물에 잠긴 위치(submerged position)와 물에서 노출된 위치(exposed position) 사이에서 이동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랜딩 베이를 가지는 반-잠수식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랜딩 베이는 상기 플랫폼과 선박이 리프팅 메커니즘(lifting mechanism)을 사용하여 물에 잠긴 위치와 물에서 노출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에, 안정적으로 도킹된 선박을 유지하는 스테빌라이징 메커니즘(stabilizing mechanism)을 구비한다.
해상 굴착(offshore well drilling) 플랫폼들은 지난 몇십 년 동안 석유-굴착 회사에 의해 널리 사용되었다. 이들 중에서, 이동형 반-잠수식 굴착 플랫폼들은 안정한 기초(foundation)를 위해 대양저의 표면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형 반-잠수식 굴착 플랫폼들이 고정형 플랫폼들보다 더 선호된다. 반-잠수식의 다른 이점은 이러한 이동형 플랫폼들이 하나의 굴착 현장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쉽게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이다.
수년 동안, 굴착 현장은 대륙에서 매우 멀리 이동해 있기 때문에, 각종 수송 문제(logistical problem)들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석유-굴착 회사들은 굴착 현장을 오가는 직원들을 수송시킴에 있어서의 수송 문제들에 직면하게 된다. 통상적으로는, 헬리콥터들이 직원들을 수송하는데 사용된다. 굴착 현장이 약 150 km 연안에 위치할 때에는 헬리콥터들이 배치될 수 있지만, 굴착 현장이 약 300 km 연안에 위치할 때, 대규모 운송의 일반적인 수단으로서 헬리콥터들을 사용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게 된다. 이 수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숙박시설 플랫폼들을 해안과 굴착 현장 사이의 중간에 건설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헬리콥터들이, 해안에서 숙박시설 플랫폼들로 사람들을 수송하고, 그 후에 필요에 따라 굴착 현장으로 사람들을 수송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헬리콥터들은 여전히 숙박시설 플랫폼들로부터 굴착 현장으로 직원들을 수송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러한 솔루션은 여전히 비용이 많이 들고 비효율적이다. 또한, 숙박시설 플랫폼들은 헬리콥터들을 위한 급유 시설을 제공해야 할 것이며, 헬리콥터들은 계속해서 매일 상당한 거리를 이동하게 되므로, 피로가 생길 수 있고, 이로 인해 사고율이 증가하게 될 수도 있다.
이동형 숙박시설 허브들로서 항공 모함들(aircraft carriers)의 사용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다수의 항공기들을 활용하는 것에 의해, 많은 수의 직원들이 수송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 항공기들은 많은 수의 사람들을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동형 숙박시설 허브로서 항공 모함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단점은 안정성이 아닌 속도용으로 설계된 박형 선체들(thin hull)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항공 모함들이 움직이지 않는 경우, 그들은 헬리콥터들이 착륙하는 것을 거의 불가능하게 만드는 파도의 움직임에 따라 흔들리는 경향이 있다. 또한, 고정식 항공 모함의 안정성 결여로 인해, 항공기로부터 굴착 플랫폼으로 직원들을 승선/하선시키는 것은 위험한 매뉴버(manoeuvre)가 될 것이다.
또한, 굴착 현장으로 직원들을 수송하는 고속 선박들의 사용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굴착 플랫폼들이 운영되는 거친 바다 조건들로 인해, 선박으로부터 승객들을 승선 및 하선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고 위험하게 된다. 거친 바다 조건들에서, 선박이 승객들의 승/하선 또는 물건의 적재/하역을 위해 정박/도킹하기에 충분히 장시간 안정적 상태가 되도록 보장하는 것은 도전 과제이다.
해안, 또는 해안 근처에서, 정상적인 기상 조건들 하에서, 고속 선박들은 항만들 또는 항구들에서 도킹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승객들이 쉽게 승/하선할 수 있게 된다. 대부분의 항만들은 선박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형성된 인클로저(enclosure)를 갖고 있다. 이 인클로저는 외해(open ocean)로부터 선박을 격리함으로써, 바람, 파도들 및 항만과 선박 사이에서 현재 유발되고 있는 상대적 움직임을 완화시킨다. 또한, 항만의 혼잡(congestion)을 줄이기 위해, 선박 리프팅 디바이스들(watercraft lifting device)을 활용하여 물 밖으로 선박들을 들어올리고, 이에 따라 들어오는 선박들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다. 활용될 수 있는 선박 리프팅 디바이스들은 드라이 도크 리프트 장치(dry dock lift apparatus)들, 부분 침수식 드라이 도크(partially submerged dry dock)들 및/또는 부유식 드라이 도크(floating dry dock)들이 있다.
드라이 도크 리프트 장치는 Luis Perez-Rodenas Espada의 이름으로 2009년 3월 12일에 공개된 미국 특허공개번호 2009/0067961 A1에 기술되어 있다. 이 공개 문서는 병렬 크로스 멤버들에 지원되는 일련의 상하 이동형 플랫폼들을 가지는 승강식 마리나 정박(raised marina berth)을 개시한다. 플랫폼들은 선박들의 정박 및 진수를 위한 것이다. 낮은 플랫폼에 정박된 도킹 선박은 케이블(cable)들 또는 슬링(sling)들의 시스템 사용을 통해 수직으로 승강하게 된다. 안정성을 위해 또한 부하 분산을 위해, 이 케이블들 또는 슬링들은 낮은 이동형 플랫폼 및 병렬 크로스 멤버들에 고정된다. 최종적으로, 이 크로스 멤버들은, 견고한 지반에 단단히 플랜팅되어 있는 4개의 크래들(cradle)에 의해 지지된다. 이 4개의 크래들은 해양 바닥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드라이 도크 리프트 장치를 위한 견고한 기반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개의 크래들은 각 크로스 멤버를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크래들은 결국 안정적으로 해양 바닥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부하 분산을 더욱 보장한다.
다른 유형의 드라이 도크 리프트 장치가 Craig Allen Tafoya의 이름으로 2008년 9월 2일에 공개된 미국 특허 제7,419,329 B1에 기술되어 있다. 이 공개 문헌은 해양 선박들의 리프팅 및 오프 로딩을 위한 휴대용 해양 리프트를 개시한다. 개시된 설계는 레일(rail)들 및/또는 크래들 시스템들과 같은 각종 선박 지원 장치에 적응될 수 있다. 이 설계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형 플랫폼 및 플랫폼에 부착되는 복수의 리프트 포드(lift pod)들을 갖는다. 리프트 포드의 피트(feet)는 이동형 플랫폼에 대한 안정적인 기반을 제공하는 해저에 단단히 고정된다. 플랫폼에 정박된 선박은 각각의 리프트 포드에 위치된 종래의 재킹(jacking) 유닛들의 사용을 통해 수직으로 상/하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균등하게 이동형 플랫폼 주위에 분산된 리프트 포드들은, 선박의 무게가 이 리프트 포드들의 고정된 피트를 통해 해저에도 분산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컨버터블 레벨링 시스템(convertible levelling system)을 구비한 부력 선박 리프트 시스템이 Kenneth E. Hey and Bryce M. Kolster의 이름으로 2008년 1월 10일에 공개된 미국 특허공개번호 2008/0008528 A1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개 문헌은 물에서 선박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부유식 선박 리프트를 개시한다. 이 개시된 설계에서, 선박 리프트는 가압 공기를 수용 및 방출하는 내부 챔버로 각각 구성된 복수의 공기 탱크들을 갖는다. 각 공기 탱크는 스윙 아암(swing arm)에 연결되어 있다. 공기 탱크가 충분한 가압 공기를 수용하는 경우, 공기 탱크는 도킹된 선박을 물 밖으로 리프팅하기에 충분한 부력을 갖게 된다. 공기 탱크가 가압 공기를 방출하는 경우, 이것은 스윙 아암들이 승강 상태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야기하며, 이에 따라 도킹된 선박의 선체를 물안으로 침수시킨다. 이 설계는 잔잔한 물 조건들에서 선박이 리프팅되는 상황들, 및 선박이 육지 근처에 위치해 있는 도킹 상황들에서만 적용될 수 있다. 이 공개 문헌에 개시된 설계는 거친 바다 조건들 하에서 운용되기 위해 요구되는 안정성의 수준을 달성할 수 없으므로, 거친 바다 조건들에서는, 이 설계가 안정적 "드라이 도킹" 장치를 야기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이 설계는 거친 바다 조건들 하에서 도킹 영역으로 선박을 안전하게 안내하고, 선박이 승강될 때 선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가이딩 메커니즘 또는 스테빌라이징 메커니즘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석유 굴착 작업들을 위한 이동형 숙박시설 플랫폼의 목적을 위해, 당업자들은 예측불가능한 바다 조건 및/또는 거친 바다 조건하에서도 선박이 안전하게 도킹할 수 있게 하는 정박 수단을 이동형 숙박시설 플랫폼에 제공하는 방식을 계속 찾고 있다.
본 기술분야에서의 상기 및 다른 문제점들은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되며 본 기술 분야에서의 개선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랜딩 베이를 구비한 반-잠수식 플랫폼의 제 1 이점은, 이 반-잠수식 플랫폼이 연안 굴착 현장에서의 선박들의 정박을 위한 랜딩 베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스피커 시스템의 제 2 이점은, 랜딩 베이 내에 정박된 선박을 승하강시키는데 사용되는 이동형 잠수식 플랫폼을 랜딩 베이가 갖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스피커 시스템의 제 3 이점은 선박이 랜딩 베이에 접근하고 있는 경우 및 선박이 승하강될 경우에 선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스테빌라이징 메커니즘을 반-잠수식 플랫폼의 랜딩 베이가 갖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스피커 시스템이 반-잠수식 구조를 포함한다. 반-잠수식 구조는 내부에 위치되는 랜딩 베이를 갖는다. 랜딩 베이는 도킹 선박들이 통과하는 개구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랜딩 베이는 도킹 선박의 아래에서 정합하도록 크기가 형성된 플랫폼, 상기 도킹된 선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스테빌라이징 메커니즘, 및 물에 잠긴 위치와 상승된 위치 사이에서 플랫폼을 이동시키는 리프팅 메커니즘을 더 포함한다. 물에 잠긴 위치에서, 플랫폼은 수면 아래에 있는 깊이와 도킹 선박의 선체 아래에 있는 깊이를 갖는다. 상기 상승된 위치에서, 상기 도킹된 선박과 함께 플랫폼은 미리 결정된 높이까지 물 밖으로 승강된다. 상기 선박이 승강되는 동안, 상기 스테빌라이징 메커니즘은 도킹된 선박 레벨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선박이 기울어지거나 상기 랜딩 베이의 측면들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잠수식 구조는 제 1 및 제 2 반-잠수식 폰툰을 포함한다. 상기 폰툰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위치되며, 그들 사이의 개방된 영역을 규정하도록 서로 이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잠수식 구조는 상기 제 1 반-잠수식 폰툰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제 1 복수의 지지 칼럼들로서,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는, 상기 제 1 복수의 지지 칼럼들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 복수의 지지 칼럼은 또한 상기 제 2 반-잠수식 폰툰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또한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프팅 메커니즘은 제 1 및 제 2 반-잠수식 폰툰들의 일 부분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랜딩 베이는 제 1 및 제 2 반-잠수식 폰툰들의 제 1 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랫폼은 제 1 및 제 2 반-잠수식 폰툰들의 제 2 단부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복수의 지지 칼럼들의 일 부분을 스패닝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테빌라이징 메커니즘은 상기 반-잠수식 구조에 장착되는 제 1 단부 및 상기 도킹 선박들의 측면들에 부착되는 제 2 단부를 갖는 복수의 흡착 무어링(suction mooring)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프팅 메커니즘은 복수의 유압 리프트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잠수식 구조는 상기 랜딩 베이의 개구를 통과하는 상기 도킹 선박을 안내하는 가이딩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딩 메커니즘은 도킹 카 셋업(docking car setup)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잠수식 구조는 승선 및 하선 메커니즘들을 더 포함한다. 이들 디바이스들의 제 1 단부들은 상기 반-잠수식 구조에 인접해 있으며, 제 2 단부들은 상기 도킹된 선박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승선 및 하선 메커니즘들은 텔레스코픽 퍼스넬 액세스 시스템(telescopic personnel access system)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메커니즘(securing mechanism)은 상기 플랫폼의 일 측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에어 백들을 더 포함한다. 이들 에어 백들은 상기 도킹 선박의 선체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잠수식 플랫폼은 승무원 숙소(crew quarters), 헬리콥터 패드(helicopter pads) 및 구명 보트(lifeboats)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의 전술한 이점들 및 특징들이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되며 또한 다음의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잠수식 플랫폼을 구비한 반-잠수식 숙박시설 허브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잠수식 플랫폼을 구비한 반-잠수식 숙박시설 허브의 중간-선박 뷰를 도시한다.
도 3은 도킹 메커니즘의 일 실시 예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킹 메커니즘의 일 실시 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복수의 에어 백들을 구비한 이동형 잠수식 플랫폼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잠수식 숙박시설 허브의 폰툰(pontoon) 바닥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잠수식 숙박시설 허브의 폰툰 갑판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잠수식 숙소시설 허브의 화물 갑판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잠수식 숙박시설 허브의 주 갑판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잠수식 숙박시설 허브의 탑 뷰(top view)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잠수식 숙소시설 허브의 아웃보드(outboard)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랜딩 베이(landing bay)를 가진 반-잠수식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킹된 항해 선박 아래에 정합하도록 크기가 형성된 이동형 플랫폼을 구비한 랜딩 베이를 가지며, 이동형 플랫폼이 도킹된 선박과 함께 물에 잠긴 위치와 물에서 노출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반-잠수식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랜딩 베이를 가지는 반-잠수식 플랫폼으로서, 여기서 랜딩 베이는 플랫폼 및 선박이 리프팅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수중 위치와 노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에, 안정적으로 도킹된 선박을 유지하는 스테빌라이징 메커니즘(stabilizing mechanism)을 구비하는, 반-잠수식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반-잠수식 플랫폼(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딩 베이를 갖는 반-잠수식 플랫폼이다. 반-잠수식 플랫폼(100)은 폰툰(pontoon)들(120 및 125)을 포함한다. 폰툰들(120 및 125)의 제 1 단부들 사이에는, 개구(opening)가 존재한다. 이 개구는 선박들이 반-잠수식 플랫폼(100) 내에 위치된 랜딩 베이(105)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반-잠수식 플랫폼(100) 내에 위치된 랜딩 베이(105)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선박(110)은 랜딩 베이(105) 내에 정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있다. 플랫폼(115)은 랜딩 베이 내에 위치된 이동형 플랫폼이며, 플랫폼(115)은 폰툰들(120 및 125) 사이에 위치된다. 플랫폼(115)은 선박(110)이 랜딩 베이(105) 내에 정박될 때 플랫폼(115)이 선박(110) 아래에 정합하도록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플랫폼(115)은 평면 트러스(truss)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플랫폼(115)이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유형의 평면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작동 시에, 반-잠수식 플랫폼(100)의 일부는 수면(130) 아래에 잠기게 될 것이다. 선박(110)은 폰툰들(120 및 125) 사이에 위치된 개구를 통해 랜딩 베이(105)에 진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박(110)이 랜딩 베이(105) 내에 정박될 때, 선박(110)은 잠겨있는 플랫폼(115) 위에 위치하게 된다. 선박(110)이 랜딩 베이(105) 내에 위치될 때, 랜딩 베이(105)의 구조는 외부 요소들로부터 선박(110)을 보호함으로써, 선박(110)이 안전하게 도킹할 수 있게 한다. 선박(110)이 랜딩 베이(105) 내에 안전하게 정박되면, 플랫폼(115)은 물에 잠겨있는 상태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플랫폼(115)은 선박(110)의 선체와 접촉하게 된다. 플랫폼(115)이 물 밖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플랫폼(115)은 또한 선박(110)을 물 밖으로 승강시킨다. 정박된 선박(110)이 물 밖으로 승강되고 나면, 이제 선박(110)이 매우 안정적인 위치에 있게 되므로, 승선/하선 및/또는 적재/하역 절차들이 안전하게 행해질 수 있다. 선박(110)이 이러한 위치에 있을 때, 반-잠수식 플랫폼(100)의 구조가 선박(110)에 대한 장벽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행하게 되므로, 선박(110)은 강한 바람 및 일반적으로 거친 연안 상태들과 관련된 임의의 다른 외부적 요소들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선박(110)이 물 밖으로 승강되고 나면, 선박(110)이 더 이상 바다와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선박(110)은 거친 바다 상태들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선박이 잔잔한 바다 상태들 하에서만 물 밖으로 승강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반-잠수식 플랫폼(100)은 거친 바다 상태들 하에서 물 밖으로 선박(110)을 승강시킬 수 있다.
반-잠수식 플랫폼(100)이 설계될 때에는, 반-잠수식 플랫폼(100)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파라미터들을 고려하게 된다. 반-잠수식 플랫폼(100)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 설계 특징들은 폰툰들(120, 125)의 형상 및 크기이다. 구체적으로, 폰툰들(120 및 125)은 반-잠수식 플랫폼(100)의 움직임들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폰툰(120 및 125)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구조적 칼럼(colum)들의 형상 및 크기는(도 4 참조), 반-잠수식 플랫폼(100)의 움직임들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었다. 반 잠수식 플랫폼(100)의 메타센터 높이(metacentric height)는 반-잠수식 플랫폼(100)의 움직임 감소를 야기하도록 가능한 크게 설계된다. 또한, 반-잠수식 플랫폼(100)의 수선면 영역(waterplane area)을 최소화함으로써, 파도들의 움직임과 반-잠수식 플랫폼(100)의 고유 주파수 간의 공진을 감소시킨다.
또한, 반-잠수식 플랫폼(100)의 히브(heave) 움직임을 감소시키기 위해, 폰툰들(120 및 125)은 수면(130) 아래에 잠기게 된다. 이러한 특징들은, 반-잠수식 플랫폼(100)이 해양 굴착 조건들 하에서 작동할 때에 파도 활동들에 의해 유발되는 환경 부하들에 견디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강도 및 공기 갭을 반-잠수식 플랫폼(100)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반-잠수식 플랫폼(100)은 18초(0.35 라디안/초)와 22초(0.28 라디안/초) 사이의 범위에서 고유의 히브 기간(heave period)을 갖는다. 해양 굴착 현장에서, 파도 여기 기간(wave excitation period)들은 통상적으로 8초(0.79 라디안/초)와 15 초(0.42 라디안/초) 사이이다. 플랫폼(100)의 고유 주파수가 파도들의 여기 주파수와 공진하지 않기 때문에, 반-잠수식 플랫폼(100)의 히브 움직임이 감소된다. 반-잠수식 플랫폼(100)의 고유 주파수와 파도들의 여기 간의 불일치는 매우 낮은 히브 움직임들을 가지면서 전반에 걸쳐 안정적 상태로 유지되는 반-잠수식 플랫폼을 야기한다.
일 실시예에서, 반-잠수식 플랫폼(100)은 연안 숙소시설 허브로서 사용된다. 숙박시설 허브로부터 앞으로 및 뒤로의 직원들의 수송은 랜딩 베이(105)의 사용에 의해 가능하기 때문에, 반-잠수식 플랫폼(100)은 이동형 숙소시설 허브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랜딩 베이(105)는 직원들을 수송하는 선박들이 반-잠수식 플랫폼(100) 내에서 안전하게 도킹할 수 있게 한다. 접근 선박들은 폰툰들(120 및 125) 사이에 위치된 개구를 통해 랜딩 베이(105)에 진입하게 된다. 랜딩 베이(105) 내에 안전하게 정박되고 나면, 랜딩 베이(105)의 바닥에서 물에 잠겨 있는 플랫폼(115)은 그때 물 밖으로 승강된다. 이 동작은 결국 정박되어 있는 선박을 소정의 높이까지의 물 밖으로 승강시키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선박은 소정의 하선/승선 높이까지 승강된다. 그리고, 숙박시설 허브의 어느 한쪽에 위치된 텔레스코픽 퍼스넬 액세스 시스템(telescopic personnel access system)(미도시)이 도킹된 선박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그 후에, 직원들은 도킹된 선박으로부터 용이하게 승선하거나 하선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퍼스넬 액세스 시스템은 도킹된 선박으로부터 앞으로 및 뒤로 직원들을 수송하는 것이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행해지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모든 선박 움직임들을 능동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자기 안정화 개폐식 갱웨이(self stabilizing retractable gangway)들을 포함할 수 있다. 텔레스코픽 퍼스넬 액세스 시스템의 정확한 세부사항은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간략화를 위해 생략되었다. 반-잠수식 플랫폼(100)이 해양 숙소시설 허브로 사용될 때, 반-잠수식 플랫폼(100)에는 또한, 승무원 숙소 및 승무원 편의시설이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다수의 직원들이 연장된 기간 동안 반-잠수식 플랫폼(100)에 남아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랜딩 베이(105)에 대한 개구의 폭은 선박(110)의 폭보다 약간 더 넓다. 따라서, 선박(110)이 랜딩 베이(105)에 접근할 경우에 선박(110)이 반-잠수식 플랫폼(100)에 부딪히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고정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선박(110)이 랜딩 베이(105)에 접근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선박(110)을 유지한다. 이러한 고정 메커니즘은 도 2에 예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랜딩 베이(105) 내에 위치되는 정박 시스템들(205 및 210)이 고정 메커니즘으로서 사용된다. 정박 시스템들(205 및 210)은 흡착 컵(suction cup) 및 선박에 대해 흡착 컵들을 고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관련 흡착 제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해, 정박 시스템(205)의 동작만이 개시된다. 당업자는, 정박 시스템(210)의 동작이 정박 시스템(210)과 유사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작동에 있어서, 선박(110)이 랜딩 베이(105)에 접근함에 따라, 정박 시스템(205)의 흡착 패드(미도시)는 랜딩 베이(105)로부터 분리된다. 흡착 패드는 케이블 또는 체인(미도시)을 통해 정박 시스템(205)에 연결될 것이다. 이 흡착 패드는 접근 선박(110)의 측면에 고정되어지게 된다. 유사하게, 정박 시스템(210)의 흡착 패드는 접근 선박(110)의 반대편 측면에 고정되어지게 된다. 선박(110)이 랜딩 베이(105)에 접근함에 따라, 정박 시스템들(205 및 210)은 흡착 패드들에 부착된 케이블들의 장력 및/또는 길이를 자동으로 조정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정박 시스템들(205 및 210)의 도움으로, 선박(110)은 랜딩 베이(105) 내로 개구를 통해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거친 바다 상태들 하에서, 선박(110)이 도킹을 위해 랜딩 베이(105)에 접근하는 경우, 선박(110)은 랜딩 베이(105) 내로 스스로 안전하게 움직이는 것이 어려워지게 된다. 이러한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도킹 메커니즘(미도시)이 배치됨으로써 개구를 통해 랜딩 베이(105) 내로 선박(110)을 안전하게 당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킹 메커니즘은 도킹 카 셋업(docking car setup)을 포함할 수 있다. 도킹 카 셋업은 반-잠수식 구조의 각각의 측면에 위치된 2개의 레일로 구성된다. 케이블들 또는 체인들을 구비한 윈치(winch)들이 이들 레일의 각각에 고정된다. 작동 시에, 이러한 케이블들 또는 체인들은 선박(110)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그 후에, 케이블들 또는 체인들이 윈치로 들어올려져서, 랜딩 베이(105)쪽으로 선박(110)을 끌어당기게 된다. 또한, 선박(110)이 랜딩 베이(105)쪽으로 개구를 통과하는 동안, 정박 시스템들(205 및 210)이 사용되어 선박(110)을 안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킹 메커니즘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박을 향해 외측으로 연장되는 아암을 구비한 강성 요크(yoke)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강성 요크 구조(300)는 일반적인 V자형 또는 U자형의 만곡된 아암들(305 및 306)을 갖는다. 회전가능 멤버(307)는 만곡된 아암들(305 및 306)의 합류점(meeting point)에 고정된다. 외측으로 연장된 아암(310)은 회전가능 멤버(307)의 한쪽 단부, 및 회전가능 멤버(320)의 다른쪽 단부에 연결된다. 회전가능 멤버들(307 및 320)은 360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강성 요크 구조가 도킹 선박의 스테빌라이징을 보조할 수 있게 한다. 회전가능 멤버(320)는 클래스프 멤버(clasping member)(315)의 다른쪽 단부에 연결된다. 클래스프 멤버(315)는 선박(110)이 랜딩 베이(105)에 접근함에 따라, 선박(110)을 가두거나 그것에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작동 시에, 만곡된 아암들(305 및 306)은 랜딩 베이(105)의 어느쪽 측면에 위치된 레일들에 고정된다. 선박(110)이 랜딩 베이(105)에 접근하고 있는 경우, 강성 요크 구조(300)는 레일들을 따라 랜딩 베이(105)로부터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도킹 선박(110)과의 충돌시에 강성 요크 구조(30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클래스프 멤버(315)가, 선박(110)에 고정시킨다. 선박(110)은 강성 요크 구조(300) 상의 아암(310)의 위치로 인하여 자동으로 랜딩 베이(105)에 맞춰 정렬된다. 그 후에, 강성 요크 구조(300)는 랜딩 베이(105)쪽으로 선박(110)을 끌어당기게 된다. 강성 요크 구조의 2개의 반대편 단부들은, 강성 요크 구조가 선박(110)의 요(yaw) 및 롤(roll)을 보정할 수 있게 하는 베어링들(미도시)에 부착되어 있음을 유의해야한다. 또한, 선박(110)이 도킹하고 있는 동안, 회전-가능 멤버들(307 및 320)이 선박(110)의 요 및 롤의 보정을 보조한다. 도 4는 강성 요크 구조(300)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당업자는 클래스프 멤버(315)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클래스핑 수단 또는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랜딩 베이(105) 내에서, 정박 시스템들(205 및 210)은 선박(110)의 스테빌라이즈(stabilization)를 보조하여, 선박(110)이 랜딩 베이(105)의 측면들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박(110)이 플랫폼(115)에 의해 승강될 때, 정박 시스템들(205 및 210)은 선박(110)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보조한다. 그러나, 플랫폼(115)이 물에 잠긴 위치로부터 상승된 위치로 이동될 때, 정박 시스템들(205 및 210) 단독으로는 안정적으로 선박(110)을 유지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이 발생할 때, 플랫폼(115)의 상면이 선박(110)의 선체에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 대부분의 선박의 선체들은 평평하고 안정된 표면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선박(110)이 물 밖으로 승강되거나 물 안으로 하강할 때, 선박(110)이 기울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도록 하는 고정 수단들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것은 선박(110)의 선체와 플랫폼(115)의 상면 사이에 에어 백들(225)을 도입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에어 백들(225)은 선박(110)의 선체용 쿠션으로 작용하여, 플랫폼(115)이 승강될 때 선박(110)의 선체를 둘러쌈으로써, 지속적인 선박(110)을 유지한다. 에어 백(225)의 샘플 배열이 도 5에 개시되어 있다. 에어백들(225)은 다양한 구성들로 배열될 수 있으며, 도 5에 나타낸 배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을 당업자는 인지할 것이다. 도 5에서, 에어백들(225)은 도킹된 선박(110)의 중량이 플랫폼(115)의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랜딩 베이(105) 내에 위치된 리프팅 메커니즘들(215 및 220)은 플랫폼(115)을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키는데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리프팅 메커니즘들(215 및 220)은 유압 리프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유압 리프트들은 반-잠수식 구조의 측면들에 고정되는 유압 실린더들에 연결된다. 유압 실린더들은 플랫폼(115), 및 선박의 직원들과 함께 선박(110)의 전체 중량을 취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선박(110), 플랫폼(115) 및 직원들의 전체 하중은 4개의 실린더 사이에 균일하게 분산된다.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디바이스들 또는 장치들이 리프팅 메커니즘들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인식할 것이다. 작동 시에, 반-잠수식 플랫폼(100)은 그것의 오퍼레이팅 흘수(operating draft)로 해안 위치에 정박 된다. 반-잠수식 플랫폼(100)의 오퍼레이팅 흘수는 물에 떠있는 반-잠수식 플랫폼(100)의 바닥과 수위(water level)(130) 간의 수직 거리이다. 플랫폼(115)에 대한 선박(110)의 추가 중량은 오퍼레이팅 흘수의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플랫폼(115)에 대한 선박(110)의 추가 중량은 반-잠수식 플랫폼(100)의 설계에 포함되어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플랫폼(115)에 히브 보상기(heave compensator) 메커니즘이 제공됨으로써, 파도의 물결 운동으로 인한 반-잠수식 플랫폼(100)의 움직임을 감쇠시킬 수 있다. 플랫폼(115)에 통합되는 히브 보상기 메커니즘은 굴착 스트링 보상기 셋업을 포함할 수 있다. 굴착 스트링 보상기 셋업의 한쪽 단부는 플랫폼(115)의 바닥에 연결될 수 있고, 굴착 스트링 보상기 셋업의 다른쪽 단부는 해저에 고정될 수 있다. 플랫폼(115)에 연결된 히브 보상기 메커니즘은 거친 기상 상태들에서의 다운타임(downtime) 발생들을 최소화함으로써 플랫폼(115)의 원활한 작동을 보장한다. 또한, 히브 보상기 메커니즘은 플랫폼(115)이 물에 잠긴 위치로부터 승강된 위치로 올려질 때의, 정확도 레벨을 향상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기술 설계에서, 개시된 드라이 도크들 또는 개시된 선박 리프팅 장치는 잔잔한 바다, 얕은 바다 또는 육지에서의 응용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들은 통상적으로 석유 굴착 현장과 관련있는 깊은 바다 또는 거친 연안 상태들에서 다른 선박을 리프팅하는 리프팅 장치를 선박이 포함할 수 있게 하는 히브 보정 시스템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이러한 제한들은 이전에 개시된 설계들 중에 내재 된다. 본 발명은 반-잠수식 플랫폼(100)의 히브 보정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한다. 다양한 레벨들의 반-잠수식은 아래에 제시되어 있다. 도 6은 반-잠수식의 최저 레벨을 도시하며, 이것은 폰툰 레벨(600)의 것이다. 폰툰들(120 및 125)은 폰툰 레벨(600)에 대한 워터 플레인 영역(water plane area)을 함께 형성한다. 폰툰들(120 및 125)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며, 거더들(girder)들(605)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폰툰들(120 및 125)은 반-잠수식 플랫폼(100)의 부력에 기여하는 수밀 밸러스트(watertight ballast)들을 포함한다. 반-잠수식 플랫폼(100)은 폰툰들(120 및 125)의 밸러스트를 조정함으로써 승강되거나 하강될 수 있다. 작동 시에, 폰툰들(120 및 125)은 수위(130) 아래로 잠기게 되어, 반-잠수식 플랫폼(100)의 흘수를 증가시킨다. 이것은, 플랫폼(115)이 물에 잠긴 위치에서 승강된 위치로 올려질 때의, 플랫폼(115) 및 도킹된 선박(110)의 안전성을 가능하게 한다.
구조적 칼럼들(610, 615, 620, 625, 630 및 635)은 폰툰들(120 및 125)로부터 상향 연장된다. 구조적 칼럼들(610, 615, 620, 625, 630 및 635)은 폰툰들(120 및 125)이 하중을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진 구조적 칼럼들(610, 615, 620, 625, 630 및 635)은 폰툰 레벨(400)로부터 바다의 파도면 위까지 상측으로 연장된다. 구조적 칼럼들(610, 615, 620, 625, 630 및 635)은 반-잠수식 플랫폼(100)의 하중을 지원하는데 사용된다. 반-잠수식 플랫폼(100)이 연안 작업들을 위해 배치되는 경우, 폰툰 레벨(600)은 수면 아래에서 물에 잠기게 된다. 폰툰 레벨(600)은 플랫폼의 파도-유발 반응을 감소시키도록 바다의 파도 레벨 아래에 위치된다.
폰툰 레벨(600) 이상의 레벨은 화물 레벨(700)이다. 도 7은 폰툰 갑판(700)을 도시한다. 또한, 플랫폼(115)을 포함하는 폰툰 갑판(700)은 바다의 파도아래에서 물에 잠겨 있다. 예시의 목적을 위해, 선박(110)은 폰툰 갑판(700)에서의 플랫폼(115)에 대한 선박(110)의 위치를 나타내도록 이 도면에 예시되어 있다. 또한, 도 7은 폰툰들에 걸쳐 안정적이고 심지어 하중 분산도 달성하도록 폰툰들(120 및 125)에 걸쳐 균등하게 이격되어 있는, 구조적 칼럼들(610, 615, 620, 625, 630 및 635)을 도시한다.
도 8은 반-잠수식 플랫폼(100)의 화물 갑판 레벨(800)을 도시한다. 이 도면은 랜딩 베이(105)쪽으로의 개구(화살표들로 표시)를 도시한다. 랜딩 베이(105)에 접근하고 있는 선박들은 각기 폰툰들(120 및 125)에 위치된 구조적 칼럼들(620 및 625) 사이에 위치하는 개구를 통해 진입하게 된다. 폰툰들(120 및 125) 간의 거리는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랜딩 베이(105) 내에 도킹될 선박의 폭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인식할 것이다.
도 9는 반-잠수식 플랫폼(100)의 주 갑판(900)을 도시한다. 구조적 칼럼들(610, 615, 630 및 635)은 갑판(905)의 하중을 지지한다. 갑판(905)은 생산 설비들, 전기 발전기들 및 승무원용 숙소들을 지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이한 모듈들의 장비 및 시설들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반-잠수식 플랫폼(100)의 특정 요구사항들을 수용하도록 서로 교환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인식할 것이다.
도 10은 탑 뷰(top view)를 도시하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아웃보드 뷰(outboard view)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들에 있어서, 승무원 숙소들(1005)은 헬리콥터 랜딩 패드들(10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구명 보트들(1015)은 비상 사태의 경우, 반-잠수식 플랫폼(100)의 승무원들을 위해 전략적으로 반-잠수식 플랫폼(100) 주위에 위치된다. 크레인(1020)은 구조적 칼럼(620) 위에 위치되며, 갑판(905)에서의 화물의 적재/하역에 사용될 수 있다. 갑판(905)은, 모듈들(1005, 1010 및 1015)이 필요한 운영 분야에 따라 숙박시설 허브로에서 가스 제조 유닛으로 반-잠수식 플랫폼(100)의 기능을 변경하도록 용이하게 제거되어 다른 모듈들로 교체될 수 있는 오픈 프레임 방식으로 설계된다.
반-잠수식 플랫폼(100)에게는 각종 바다 상황들 하에서 다른 선박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이동형 잠수식 플랫폼(115)을 구비한 랜딩 베이(105)가 제공되어 있으므로, 반-잠수식 플랫폼(100)은 종래의 드라이 도킹 장치들에 비해 유리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랫폼(115)에 도킹되는 선박(110)은 리프팅 메커니즘들(215 및 220)에 의해 승강되거나 하강될 수 있다. 또한, 승강된 선박(110)의 추가 중량이 반-잠수식 플랫폼(100)의 설계에 의해 포함됨에 따라, 선박(110)의 승강 및 하강은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상, 각종 바다 상황 하에서 선박을 들어올릴 수 있는 이동형 잠수식 플랫폼을 구비한 반-잠수식 플랫폼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의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당업자가 설계할 수 있음이 예견된다.

Claims (19)

  1. 반-잠수식 플랫폼(semi-submersible platform)으로서,
    반-잠수식 구조; 및
    상기 반-잠수식 구조를 관통하는 개구를 통해 선박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상기 반-잠수식 구조 내의 랜딩 베이를 포함하고,
    상기 랜딩 베이는,
    도킹 선박 아래에 정합하도록 크기가 형성된 플랫폼으로서, 상기 선박이 상기 플랫폼 위에 뜰 수 있는 깊이까지 상기 플랫폼이 상기 랜딩 베이에서 수면 아래에 있게 되는 물에 잠긴 위치와, 상기 플랫폼이 상기 도킹 선박을 물 밖에서 유지하는 물에서 노출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상기 플랫폼;
    상기 플랫폼이 상기 물에서 노출된 위치에 있게 되는 것에 반응하여 상기 도킹 선박을 하나의 레벨 위치(level position)에서 유지하는 스테빌라이징 메커니즘(stabilizing mechanism); 및
    상기 물에 잠긴 위치와 상기 물에서 노출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플랫폼을 이동시키는 리프팅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반-잠수식 플랫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잠수식 구조는,
    상기 구조의 제 1 측면 상의 제 1 반-잠수식 폰툰(pontoon); 및
    상기 구조의 제 2 측면 상의 제 2 반-잠수식 폰툰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반-잠수식 폰툰들은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반-잠수식 폰툰들 간의 개방된 영역을 규정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있는, 반-잠수식 플랫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잠수식 구조는,
    상기 제 1 반-잠수식 폰툰의 상단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복수의 지지 칼럼들(support columns)로서,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는, 상기 제 1 복수의 지지 칼럼들; 및
    상기 제 2 반-잠수식 폰툰의 상단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복수의 지지 칼럼들로서,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는, 상기 제 2 복수의 지지 칼럼들을 더 포함하는, 반-잠수식 플랫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메커니즘은 상기 제 1 반-잠수식 폰툰의 일 부분 및 상기 제 2 반-잠수식 폰툰의 일 부분에 장착되는, 반-잠수식 플랫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 베이는 상기 제 1 및 제 2 반-잠수식 폰툰들의 제 1 단부 사이에 존재하는, 반-잠수식 플랫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반-잠수식 폰툰들의 제 2 단부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복수의 지지 칼럼들의 일 부분을 스패닝하는(spanning) 플랫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은 상기 폰툰들 사이의 상기 개방된 영역을 스패닝하는, 반-잠수식 플랫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징 메커니즘은,
    상기 반-잠수식 구조에 장착되는 제 1 단부 및 상기 도킹 선박들의 측면들에 부착되는 제 2 단부를 갖는 복수의 흡착 무어링(suction mooring)들을 포함하는, 반-잠수식 플랫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메커니즘은 복수의 유압 리프트들을 포함하는, 반-잠수식 플랫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잠수식 구조는 상기 반-잠수식 구조를 관통하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도킹 선박을 안내하는 가이딩 메커니즘(guiding mechanism)을 더 포함하는, 반-잠수식 플랫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메커니즘은 도킹 카 셋업(docking car setup)을 포함하는, 반-잠수식 플랫폼.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메커니즘은 강성 요크 구조를 포함하는, 반-잠수식 플랫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잠수식 구조는,
    상기 반-잠수식 구조에 인접해 있는 제 1 단부 및 상기 도킹 선박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2 단부를 가진 하선 메커니즘(disembarking mechanism)을 더 포함하는, 반-잠수식 플랫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선 메커니즘은 텔레스코픽 퍼스넬 액세스 시스템(telescopic personnel access system)을 포함하는, 반-잠수식 플랫폼.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잠수식 구조는,
    상기 반-잠수식 구조에 인접해 있는 제 1 단부 및 상기 도킹 선박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2 단부를 가진 승선 메커니즘(embarking mechanism)을 더 포함하는, 반-잠수식 플랫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승선 메커니즘은 텔레스코픽 퍼스넬 액세스 시스템을 포함하는, 반-잠수식 플랫폼.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상기 도킹 선박을 수용하는 상기 플랫폼의 제 1 측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에어 백들을 더 포함하는, 반-잠수식 플랫폼.
  17. 제 1 항에 있어서,
    승무원 숙소(crew quarters)를 더 포함하는, 반-잠수식 플랫폼.
  18. 제 1 항에 있어서,
    헬리콥터 패드(helicopter pads)를 더 포함하는, 반-잠수식 플랫폼.
  19. 제 1 항에 있어서,
    구명 보트(lifeboats)를 더 포함하는, 반-잠수식 플랫폼.
KR20147024816A 2012-02-07 2013-01-30 선박 드라이 도킹을 위한 이동형 잠수식 플랫폼을 구비한 반-잠수식 플랫폼 KR201401335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2012008793A SG193028A1 (ko) 2012-02-07 2012-02-07
SG201200879-3 2012-02-07
PCT/SG2013/000038 WO2013119180A1 (en) 2012-02-07 2013-01-30 A semi-submersible platform with a movable submergible platform for dry docking a vess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549A true KR20140133549A (ko) 2014-11-19

Family

ID=47747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24816A KR20140133549A (ko) 2012-02-07 2013-01-30 선박 드라이 도킹을 위한 이동형 잠수식 플랫폼을 구비한 반-잠수식 플랫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278741B2 (ko)
EP (1) EP2812239B1 (ko)
KR (1) KR20140133549A (ko)
CN (1) CN104203746B (ko)
BR (1) BR112014019390B1 (ko)
HK (1) HK1200416A1 (ko)
MY (1) MY172249A (ko)
PL (1) PL2812239T3 (ko)
SG (1) SG193028A1 (ko)
WO (1) WO20131191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93028A1 (ko) * 2012-02-07 2013-09-30 Keppel Offshore & Marine Ltd
USD837036S1 (en) * 2015-09-30 2019-01-01 Snap-On Incorporated Truss arm
CN108639256A (zh) 2018-05-30 2018-10-12 西伯瀚(上海)海洋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海洋平台登艇装置及海洋平台
RU2744412C1 (ru) * 2020-05-28 2021-03-0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ый учебно-научный центр Военно-Морского Флота "Военно-морская академия им. Адмирала Флота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Н.Г. Кузнецова" Плавучий док
CN114455033B (zh) * 2020-11-18 2023-04-11 中国海洋石油集团有限公司 一种水下设备浮式试验平台及其使用方法
CN113895570B (zh) * 2021-09-16 2022-10-18 鲁东大学 一种带有气囊的框架式浮岛、半潜船及半潜船控制方法
JP7158691B1 (ja) * 2022-03-30 2022-10-24 一本松物流株式会社 水上遊覧方法、及び水上遊覧組船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70250A (en) 1931-06-04 1932-04-07 Clarence Waldman King Improvements in and connected with floating harbours
NO129209C (no) 1970-06-23 1979-12-19 Hoeyer Ellefsen As Flytende havn.
US3674042A (en) * 1971-04-13 1972-07-04 Newport News S & D Co Method of maritime delivery of crude oil through ice-congested regions
FR2273707A1 (fr) 1974-06-08 1976-01-02 Fowler Alexander Procede et dispositif pour soulever un navire
US3976022A (en) * 1975-02-03 1976-08-24 Lapeyre Pierre A Floating dry dock with buoyancy controlled air injection and venting system
US4282822A (en) * 1978-03-06 1981-08-11 Robert Jackson Boat hull anti-fouling shroud
US4495880A (en) * 1982-05-19 1985-01-29 Maniscalco Philip M Draft assisted delivery system
US4660677A (en) * 1986-07-28 1987-04-28 Conoco Inc. Personnel evacuation apparatus for an offshore platform
US5131342A (en) * 1988-08-08 1992-07-21 Sackett James A Shallowdraft floating boatlift
US5215024A (en) * 1992-04-15 1993-06-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Vessel-capturing berthing facility incorporating relative motion-mitigating apparatus
SE506365C2 (sv) * 1996-04-22 1997-12-08 Jan Groenstrand Anordning för sjösättning och upptagning av båtar
JP3956032B2 (ja) 1997-07-03 2007-08-08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オートテンショナ
DE19943693A1 (de) 1999-09-06 2002-07-04 Wolfgang Treutner Schwerlastenlift
US6805598B2 (en) * 2002-09-06 2004-10-19 Dorob International Ltd. Liquid natural gas transfer station
GB2393169B (en) 2002-09-18 2004-12-22 Bluewater Terminal Systems Nv Mooring apparatus incorporating a partly submerged floating dock
SG134996A1 (en) * 2003-10-08 2007-09-28 Deepwater Technology Group Pte Extended semi-submersible vessel
US7273019B2 (en) * 2005-06-10 2007-09-25 Intellex, Inc. Seasonal, multi-use, multi-level structure transportable both by ground and water for use in a body of water
ES2288090B1 (es) * 2005-09-16 2008-10-16 Luis Perez-Rodenas Espada Marina sobreelevada.
WO2007109808A2 (en) 2006-03-23 2007-09-27 Sunstream Corporation Failsafe watercraft lift with convertible leveling system
US7547159B1 (en) * 2006-03-23 2009-06-16 Helen Doro Warters Cradle boat lift storm protection system
WO2008094171A2 (en) * 2006-06-01 2008-08-07 Munson David Murray Jr Floating dock
US8181586B1 (en) * 2007-02-06 2012-05-22 Charles Roumell Pontoon rest
US8408153B2 (en) * 2007-09-26 2013-04-02 Cavotec Moormaster Limited Automated mooring method and mooring system
WO2009048342A2 (en) * 2007-10-12 2009-04-16 Cavotec Msl Holdings Limited Mooring system and related means
US7419329B1 (en) * 2007-10-26 2008-09-02 Craig Allen Tafoya Semi-submersible dry-docking lift apparatus
CN102328733B (zh) * 2011-07-14 2014-04-02 烟台中集来福士海洋工程有限公司 半潜式起重生活平台
SG193028A1 (ko) * 2012-02-07 2013-09-30 Keppel Offshore & Marine Lt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812239T3 (pl) 2017-01-31
WO2013119180A1 (en) 2013-08-15
BR112014019390A2 (ko) 2017-06-20
MY172249A (en) 2019-11-19
US20140373767A1 (en) 2014-12-25
EP2812239B1 (en) 2016-05-11
HK1200416A1 (en) 2015-08-07
EP2812239A1 (en) 2014-12-17
CN104203746A (zh) 2014-12-10
CN104203746B (zh) 2016-12-14
US9278741B2 (en) 2016-03-08
SG193028A1 (ko) 2013-09-30
BR112014019390B1 (pt) 2022-05-31
BR112014019390A8 (pt)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965B1 (ko) 단일 선체 선박 및 장비를 잠수시키거나 잠수된 장비를 회수하는 방법
EP1766143B1 (en) Ballasting offshore platform with buoy assistance
EP2812239B1 (en) A semi-submersible platform with a movable submergible platform for dry docking a vessel
AU2009310624B2 (en) Ocean going transport vessel with docking arrangements
US6688248B2 (en) Submersible catamaran
KR102365572B1 (ko) 부양식 해양 데포를 사용하는 방법
EP2888160B1 (en) Semi-submersible integrated port
US4294331A (en) Method and system for escaping from an offshore drilling platform
EP3810500B1 (en) Method and vessel for deploying heavy objects
WO19800007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escaping from an offshore drilling platform
US10822060B1 (en) Multi hull vessel with mechanical systems to facilitate safe transfer of cargo by crane to and from vessel in high waves
EP1492699B1 (en) Submersible watercraft
WO2017141177A1 (en) Barge system
RU2561491C1 (ru) Волностойкая морская грузоподъёмная платформа (вмг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