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3934A -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 - Google Patents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3934A
KR20170043934A KR1020150143627A KR20150143627A KR20170043934A KR 20170043934 A KR20170043934 A KR 20170043934A KR 1020150143627 A KR1020150143627 A KR 1020150143627A KR 20150143627 A KR20150143627 A KR 20150143627A KR 20170043934 A KR20170043934 A KR 20170043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hull
mooring
pair lead
fair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0054B1 (ko
Inventor
전대흥
오경봉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3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054B1/ko
Publication of KR20170043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10Fairl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형 계류장치는, 무어링 라인(MOORING LINE), 선체 측부(HULL SIDE)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무어링 라인의 방향을 선체 상부로 전환하는 가동 페어리드(MOVABLE FAIRLEAD) 및 선체 측부(HULL SIDE)에 설치되며 가동 페어리드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SPREAD MOORING SYSTEM OF FLOATING PRODUCTION STORGE OFFLOADING CONSTRUCTURE AND FPSO CONSTRUCTURE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어링 설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천연가스나 원유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하여 운반되거나 액화된 천연가스 내지는 원유 상태로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천연가스나 원유의 시추가 해상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일시적으로 저장을 하거나 그 처리를 위한 해양 부유 구조물로서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가 사용되고 있다.
FPSO는 시추선에서 포집된 가스나 원유를 받아서 운송선이나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운송하기 전에 처리하고, 저장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한편, 가스나 원유의 처리는 하지 않고 일시적으로 저장만 하는 경우에는 FSU(Floating Storage Unit)라고 부른다.
FPSO의 디자인 형태는 그 설치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데, 잔잔한 해역에서는 'Converted oil tanker'라 불리우는 비교적 간단한 형태의 모양이 제작될 수 있고, 파랑이 심한 해역에서는 'Purposedbuilt'라 불리우는 비교적 복잡한 형태의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다.
FPSO와 같은 해양 부유식 구조물은 다양한 계류 방법을 통해 해양의 목적하는 위치에 계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외부 터릿 시스템(internal/external turret system),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spread mooring system) 등을 통해 원하는 해양 위치에 계류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계류 방법 중에서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는 부유식 구조물로부터 방사상으로 계류선을 연장하여 해저에 앵커(anchor)로 고정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는 얕은 깊이의 해저 환경에서 주로 사용된다.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는 크게, 무어링 라인(chain 등)을 선체 측으로 안내하는 페어리드(fairlead) 및 체인 스토퍼(chain stopper), 체인 잭(chain jack), 체인 핸들링 시스템(pull-in winch, turn-down sheav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중 페어리드는 선체 측부(hull side)에 설치되어 무어링 라인(mooring line)의 방향을 선체 쪽으로 바꾸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페어리드의 위치에 따라 선체 및 무어링 라인에 작용하는 하중이 달라지게 되므로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에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종래의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에서는 일반적으로, 페어리드를 수선 하부에 고정식(fixed type)으로 설치하여 소형 선박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며 무어링 라인을 통해 선체에 전달되는 하중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수선 하부에 고정형으로 페어리드가 설치될 경우, 페어리드 유지보수를 위한 접근성이 떨어지고 시스템 운용 시 시야 확보에 어려움이 있으며, 무어링 라인의 장력 조절(Pre-tentioning/Re-tentioning) 조절 작업 시 여러 가지 제약 조건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20357호(공개일 2012. 03. 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체 측부에 페어리드(FAIRLEAD)를 승강 가능하게 배치하여 수선 하부는 물론 수선 위 원하는 높이에 페어리드를 위치시킬 수 있는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무어링 라인(MOORING LINE);
선체 측부(HULL SIDE)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무어링 라인의 방향을 선체 상부로 전환하는 가동 페어리드(MOVABLE FAIRLEAD); 및
선체 측부(HULL SIDE)에 설치되며, 상기 가동 페어리드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가이드부는 선체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단면이 원형 또는 각형인 가이드 레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어링 설비는, 선체 상부 모서리에 배치되며, 상기 무어링 라인을 선체 상부 안쪽으로 안내하는 고정 페어리드(FIXED FAIRLEAD); 및 선체 상부 안쪽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 페어리드에 의해 선체 상부 안쪽으로 방향 전환된 무어링 라인을 당기고 풀기 위해 회전 구동되는 풀링 윈치(PULLING WINC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페어리드와 가동 페어리드 사이의 선체 측부에서 상기 무어링 라인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형 체인가이드(CHAIN GUID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고정 페어리드와 가동 페어리드 사이의 무어링 라인을 보호하는 무어링 프로텍터(MOORING PROTEC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 페어리드의 승강 구동을 위한 승강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 구동부는, 유압/공압 발생장치; 및 상기 유압/공압 발생징치가 발생시킨 유압/공압에 의해 상기 가동 페어리드를 따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 실린더;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는 가동 페어리드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로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크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일정 높이마다 대향되어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가이드부에서 먼 쪽에 위치한 단부에 장착구멍이 형성된 로크바(LOCK BAR)와; 상기 가동 페어리드의 시브(SHEAVE)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승강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시브 브라켓(SHEVE BRAKET)에 상기 로크바의 장착구멍에 대응하여 형성된 고정구멍과; 상기 로크바에 대응하는 높이에 시브 브라켓이 위치했을 때 일치된 상기 장착구멍과 고정구멍에 끼워져 시브 브라켓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로크부는, 상기 가동 페어리드의 시브(SHEAVE)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승강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시브 브라켓(SHEVE BRAKET)과 마주하는 상기 가이드부의 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톱니형 돌기와; 상기 시브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톱니형 돌기 중 가동 페어리드에 대응하는 높이의 돌기 사이에 물려 상기 시브 브라켓의 이동을 제한하는 폴(PAWL)과; 상기 시브 브라켓에 대한 폴의 회동 조작을 위한 링크부재;로 이루어진 래칫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부유식 선체; 및
상기 일 측면에 따른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을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에 의하면, 오퍼레이터(Operator)가 원하는 높이에 페어리드(Fairlead)를 위치시킬 수 있어 해당 설비의 유지보수에 있어 작업자 접근이 용이하고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무어링 라인(mooring line)를 설치함에 있어 페어리드(Fairlead)의 승강 조작을 통해 설치가 원활하게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무어링 라인의 설치가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가동 페어리드(Fairlead)의 위치(높이) 조정만으로 무어링 라인(Mooring Line)의 장력(Pre-tention/Re-tention)을 조절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윈치를 구동시켜 무어링 라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종래 방식에 비해 장력 조절에 있어 용이함을 확보할 수 있고 보다 정밀한 장력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가 적용된 해양 부유 구조물의 선체 측부(Hull side)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체 측부(Hull side)의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로크부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로크부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로크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로크부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의 작동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가 적용된 해양 부유 구조물의 선체 측부(Hull side)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체 측부(Hull side)의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20)는 해양 부유 구조물(1)의 부유식 선체(10)로부터 방사상으로 무어링 라인(MOOR LINE, 22)을 연장하여 해저에 앵커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크게, 무어링 라인(22), 무어링 라인(22)을 선체(10) 쪽으로 안내하는 가동 페어리드(24) 및 가동 페어리드(24)의 승강을 위한 가이드부(26)를 포함한다.
부유 구조물(1)은 원유/가스 시추 플랜트, 원유/가스 시추선, 부유식 원유생산저장설비(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FPSO), 액화천연가스 부유식 원유생산저장설비(LNG FPSO) 등일 수 있으며, 부유 구조물(1)의 선체(HULL, 10) 상부에는 원유 또는 천연가스를 채취, 정제, 저장하는 상부 모듈(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
선체(HULL, 10)는 상기 상부 모듈을 지지하며 물에 더 있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사용 목적이나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선체 측부(HULL SIDE, 12)에 선체(10) 계류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20)가 마련된다.
무어링 라인(MOORING LINE, 22)은 상기 선체(10)와 해저에 고정된 앵커(ANCHOR)를 연결하는 로프, 와이어, 체인 등일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선체(10) 전후 길이방향 또는 좌우 폭방향에 걸쳐 다수가 병렬로 배치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다수가 병렬로 마련된 경우 무어링 라인(22) 개수에 맞춰 페어리드(23, 24)와 가이드부(26) 역시 다수로 마련될 수 있다.
가동 페어리드(MOVABLE FAIRLEAD, 24)는 선체 측부(HULL SIDE, 12)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된 무어링 라인(22)의 방향을 선체(10) 상부로 전환하는 역할을 하고, 무어링 라인(22)이 외접하며 회전운동을 하는 시브(SHEAVE, 240)와, 시브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한 쌍의 시브 브라켓(SHEVE BRAKET, 242)으로 된 구성일 수 있다.
가동 페어리드(24)의 시브 브라켓(242)은 상기 가이드부(26)를 따라 승강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26)는 상기 가동 페어리드(24)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선체 측부(HULL SIDE, 12)를 따라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체(10)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단면이 원형 또는 각형인 가이드 레일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각형 단면 중에서도 단면 모양이 'H'자인 H형 레일(후술하게 될 도 4 참조)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가동 페어리드(24)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는 구성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슬롯이나 랙 등 당업자가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안내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선체(10) 상부 모서리에는 상기 무어링 라인(22)을 선체(10) 상부 안쪽으로 안내하는 고정 페어리드(FIXED FAIRLEAD, 23)가 배치될 수 있으며, 선체(10) 상부 안쪽에는 상기 고정 페어리드(23)에 의해 선체(10) 상부 안쪽으로 방향 전환된 무어링 라인(22)을 당기고 풀기 위해 회전 구동되는 풀링 윈치(PULLING WINCH, 21)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 페어리드(23)는 가동 페어리드(24)와 구성은 동일하나 가동 페어리드(24)와는 다르게, 선체(10) 상면 예컨대, 갑판과 선체 측부(12)가 만나는 선체(10) 모서리에 고정되며, 고정 페어리드(23)와 가동 페어리드(24) 사이의 선체 측부(12)에는 상기 무어링 라인(22)의 원활한 이동을 안내하는 관형 체인가이드(CHAIN GUIDE, 27)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 페어리드(23)와 가동 페어리드(24) 사이의 선체 측부(HULL SIDE, 12)에는 또한, 무어링 프로텍터(MOORING PROTECTOR, 28)가 설치될 수 있다. 무어링 프로텍터(28)는 해양 부유 구조물(1)에 소형 보트(예컨대, 서플라이 보트)와 같은 외부 물체가 접근했을 때 상기 무어링 라인(22)에 충돌하여 무어링 라인이 손상되는 것을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무어링 프로텍터(MOORING PROTECTOR, 28)는 도면(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페어리드(23)와 가동 페어리드(24)에 걸쳐 상기 무어링 라인(22)을 덮어 보호하는 형태로 선체 측부(12)에 구비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도면의 예시와 같이 강재를 가로 세로로 엮어 만든 육면체 구조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부(26)는 앞서도 언급했듯이 상기 가동 페어리드(24)의 승강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구성이면 족하며, 가이드부(26)에 대한 가동 페어리드(24)의 승강 구동을 위한 전용 승강 구동부(29)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승강 구동부(29)는 예컨대, 유압/공압 발생장치(290)와, 유압/공압 발생징치가 발생시킨 유압/공압으로 작동되는 승강 실린더(292)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유압/공압 발생장치(290)와 실린더로 구성된 유압/공압 타입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선체 측부(12)를 따라 상기 가동 페어리드(24)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랙 앤 피니언 또는 볼-스크류를 적용한 전동모터 방식 등 당업자가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승강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가동 페어리드(24)와 가이드부(26)에는 로크부(25)가 구비될 수 있다. 로크부(25, 25')는 상기 승강 구동부(29)를 이용해 상기 가동 페어리드(24)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그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동 페어리드(24)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는 형태(도 3 및 도 4)나 원하는 높이에 고정시키는 형태(도 5 및 도 6)로 제공될 수 있다.
로크부 구성에 대해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실시 예 별로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로크부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로크부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는, 가이드부(26) 높이 방향으로 일정 높이마다 로크 포지션(LOCK POSITION, 250)을 정해놓고, 각각의 로크 포지션(250)에 로크바(251)를 설치하며, 원하는 로크 포지션(250)에 가동 페어리드(24)가 위치했을 때 적절한 수단(본 실시 예에서는 고정핀(256)을 사용하여 가동 페어리드(24)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구성한 실시 예이다.
도 3 내지 도 4의 일 실시 예는 구체적으로, 가이드부(26)에 일정 높이마다 대향되어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장착구멍(252)이 형성된 상기 로크바(LOCK BAR, 251)와, 로크바(251) 사이를 이동하는 가동 페어리드(24)에 형성된 고정구멍(254) 및 상기 장착구멍(252)을 통해 고정구멍(254)에 끼워져 가동 페어리드(24)의 승강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핀(25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장착구멍(252)은 가이드부(26)에서 먼 쪽의 상기 로크바(251) 단부에 원형 또는 각형 단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구멍(254)은 가동 페어리드(24)의 시브(SHEAVE, 240)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부(26)를 따라 승강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상기 시브 브라켓(242)의 중심에 상기 로크바(251)의 장착구멍(252)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일정 높이마다 로크 포지션(250)을 형성한 로크부(25)는, 가동 페어리드(24)의 승강 구간에 전체에 걸쳐 로크바(251)를 형성할 필요가 없이 설계를 통해 도출된 최적의 위치를 몇 군데 선정하고 선정된 위치에만 가동 페어리드(24)가 고정될 수 있도록 로크부(25)를 형성함으로써 원가 절감 차원에서 상당히 유리한 구조이다.
도 5는 로크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로크부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의 다른 실시 예는, 가이드부(26)의 길이방향으로 가동 페어리드(24)와 마주하는 면에 톱니형상으로 연속되는 돌기(257)를 형성하고, 가동 페어리드(24)에 링크부재(259) 조작에 연동하여 톱니형 돌기(257) 사이에 위치하거나 돌기(257)로부터 이격되는 폴(PAWL, 258)을 구성한 래칫 구조로서, 폴(258)을 이용해 가동 페어리드(24)를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여기서, 톱니형 돌기(257)는 가이드부(26)를 따라 승강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동 페어리드(24)의 시브 브라켓(242)이 접하는 가이드부(26)의 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폴(258)은 시브 브라켓(242) 일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링크부재(259)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링크부재(259)에 의해 돌기(257) 사이에 위치하여 시브 브라켓(242)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래칫 방식의 로크부(25') 구조는, 전술한 일 실시 예의 로크부(25) 구조와는 다르게, 가이드부(26)가 형성하는 가동 페어리드(24)의 승강 범위 내에서 특정 위치에 제한됨이 없이 원하는 높이에 가동 페어리드(24)를 위치시킬 수 있다. 즉 무어링 라인(22)의 장력 조절과 설비 유지보수에 있어 상당히 유리한 구조이다.
도 7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의 작동 상태도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20)에 의하면, 선체 측부(12)에 페어리드(24)가 수선 하부에서 수선 위로 노출되는 구간에 걸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오퍼레이터(Operator)가 원하는 높이에 페어리드(Fairlead, 24)를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비 유지보수에 있어 작업자 접근성 및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무어링 라인(MOORING LINE, 22)를 설치함에 있어 페어리드(Fairlead, 24)의 승강 조작을 통해 설치가 원활하게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이 가능함에 따라, 무어링 라인(22)의 설치가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페어리드(Fairlead, 24)의 위치(높이) 조정만으로 무어링 라인(MOORING LINE, 22)의 장력(Pre-tention/Re-tention)을 조절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윈치를 구동시켜 무어링 라인(22)의 장력을 조절하는 종래 방식에 비해 장력 조절에 있어 용이함을 확보할 수 있고 보다 정밀한 장력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해양 부유 구조물
10 : 선체(HULL)
12 : 선체 측부(HULL SIDE)
20 : 무어링 설비(MOORING SYSYTEM)
21 : 풀링 윈치(PULLING WINCH)
22 : 무어링 라인(MOORING LINE)
23 : 고정 페어리드(FIXED FAIRLEAD)
24 : 가동 페어리드(MOVABLE FAIRLEAD)
25, 25' : 로크부
26 : 가이드부
28 : 무어링 프로텍터(MOORING PROTECTOR)
29 : 승강 구동부

Claims (11)

  1. 무어링 라인(MOORING LINE);
    선체 측부(HULL SIDE)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무어링 라인의 방향을 선체 상부로 전환하는 가동 페어리드(MOVABLE FAIRLEAD); 및
    선체 측부(HULL SIDE)에 설치되며, 상기 가동 페어리드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선체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단면이 원형 또는 각형인 가이드 레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선체 상부 모서리에 배치되며, 상기 무어링 라인을 선체 상부 안쪽으로 안내하는 고정 페어리드(FIXED FAIRLEAD); 및
    선체 상부 안쪽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 페어리드에 의해 선체 상부 안쪽으로 방향 전환된 무어링 라인을 당기고 풀기 위해 회전 구동되는 풀링 윈치(PULLING WINCH);를 더 포함하는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페어리드와 가동 페어리드 사이의 선체 측부에서 상기 무어링 라인의 이동을 안내하는 관형 체인가이드(CHAIN GUIDE);를 더 포함하는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페어리드와 가동 페어리드 사이의 무어링 라인을 보호하는 무어링 프로텍터(MOORING PROTECTOR);를 더 포함하는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페어리드의 승강 구동을 위한 승강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부는,
    유압/공압 발생장치; 및
    상기 유압/공압 발생징치가 발생시킨 유압/공압에 의해 상기 가동 페어리드를 따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 실린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는 가동 페어리드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로크부;를 더 포함하는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일정 높이마다 대향되어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가이드부에서 먼 쪽에 위치한 단부에 장착구멍이 형성된 로크바(LOCK BAR)와;
    상기 가동 페어리드의 시브(SHEAVE)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승강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시브 브라켓(SHEVE BRAKET)에 상기 로크바의 장착구멍에 대응하여 형성된 고정구멍과;
    상기 로크바에 대응하는 높이에 시브 브라켓이 위치했을 때 일치된 상기 장착구멍과 고정구멍에 끼워져 시브 브라켓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는,
    상기 가동 페어리드의 시브(SHEAVE)의 회전운동을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승강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시브 브라켓(SHEVE BRAKET)과 마주하는 상기 가이드부의 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톱니형 돌기와;
    상기 시브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톱니형 돌기 중 가동 페어리드에 대응하는 높이의 돌기 사이에 물려 상기 시브 브라켓의 이동을 제한하는 폴(PAWL)과;
    상기 시브 브라켓에 대한 폴의 회동 조작을 위한 링크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11. 부유식 선체; 및
    상기 선체 측부(HULL SIDE)에 마련되며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을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
KR1020150143627A 2015-10-14 2015-10-14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 KR102400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627A KR102400054B1 (ko) 2015-10-14 2015-10-14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627A KR102400054B1 (ko) 2015-10-14 2015-10-14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934A true KR20170043934A (ko) 2017-04-24
KR102400054B1 KR102400054B1 (ko) 2022-05-23

Family

ID=58704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627A KR102400054B1 (ko) 2015-10-14 2015-10-14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00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2485A (zh) * 2019-11-29 2020-03-24 天津开发区兴衡石油机械配件有限公司 单轨式海上收浮系统
CN114228908A (zh) * 2021-12-16 2022-03-25 中交烟台环保疏浚有限公司 一种绞吸式挖泥船的定位机构及定位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2684A (en) * 1974-05-21 1976-04-27 Sun Oil Company (Delaware) Adjustable mooring system
US5364075A (en) * 1992-09-03 1994-11-15 Smith Berger Marine, Inc. Retractable mount for a mooring line guide and process for operating the same
KR20120020357A (ko) 2010-08-30 2012-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US20140286711A1 (en) * 2011-10-26 2014-09-25 Nov-Blm Installation for anchoring a floating platform to the groun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2684A (en) * 1974-05-21 1976-04-27 Sun Oil Company (Delaware) Adjustable mooring system
US5364075A (en) * 1992-09-03 1994-11-15 Smith Berger Marine, Inc. Retractable mount for a mooring line guide and process for operating the same
KR20120020357A (ko) 2010-08-30 2012-03-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
US20140286711A1 (en) * 2011-10-26 2014-09-25 Nov-Blm Installation for anchoring a floating platform to the groun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02485A (zh) * 2019-11-29 2020-03-24 天津开发区兴衡石油机械配件有限公司 单轨式海上收浮系统
CN114228908A (zh) * 2021-12-16 2022-03-25 中交烟台环保疏浚有限公司 一种绞吸式挖泥船的定位机构及定位方法
CN114228908B (zh) * 2021-12-16 2023-09-01 中交烟台环保疏浚有限公司 一种绞吸式挖泥船的定位机构及定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0054B1 (ko) 202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7927B1 (en) Hoisting device
EP1984237B1 (en) Deep water installation vessel
KR102050614B1 (ko) 선박의 라인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견인 시스템
CN104136704A (zh) 用于在单个地点处从离岸平台钻取多个海底井的方法及装置
US9718518B2 (en) Methods for connecting to floating structures
AU2007350722A1 (en) Mooring system
RU2672362C2 (ru) Монтаж и демонтаж гибкой линии
KR20170043934A (ko)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
KR20150065442A (ko) 이동식 계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US9840309B2 (en) Mooring arrangement
KR20150021305A (ko) 슬라이딩 타입 부유식 발전 플랜트 계류 장치
KR102260454B1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KR101644344B1 (ko) 해양구조물용 난간
KR101599026B1 (ko) 선박 계류 장치
KR101549151B1 (ko) 계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추선
US9739101B1 (en) Riser deflection mitigation
KR20160000290U (ko) 선박의 계류장비 배치구조
KR101412487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2662433B1 (ko) 웨더베이닝 다점계류 방법
KR101487676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58618B1 (ko) 시추설비 보관용 하부갑판을 갖는 시추선
KR20160023044A (ko) 해양구조물의 시추설비 및 그 시추설비의 드로 워크 설치구조
KR20150104734A (ko) 도르래를 이용한 선박 계류장치
KR101616837B1 (ko) 계류장치
KR101805493B1 (ko) 해양플랜트용 스러스터 리커버리의 상승운전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