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117374A1 -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 - Google Patents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117374A1
WO2024117374A1 PCT/KR2022/021593 KR2022021593W WO2024117374A1 WO 2024117374 A1 WO2024117374 A1 WO 2024117374A1 KR 2022021593 W KR2022021593 W KR 2022021593W WO 2024117374 A1 WO2024117374 A1 WO 202411737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hain wheel
chain
mooring
pulley
fair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2159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강수
성홍근
박병재
김장진
김현국
서창환
이경석
박윤용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주식회사 콤스
주식회사 디에이취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주식회사 콤스, 주식회사 디에이취엠씨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GBGB2400283.4A priority Critical patent/GB202400283D0/en
Publication of WO202411737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117374A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의 앵커로부터 이어지는 무어링 체인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해양구조물로부터 이어지는 페어리드 체인의 양방향 유동 단속이 이루어짐으로써 평소 해양구조물 계류 장력 조절이 원활할 수 있으면서 긴급 상황에서 페어리드 체인의 연결 해제가 원활할 수 있도록 하고, 페어리드 체인과 접촉하는 체인 휠의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체인 휠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면서 하나의 체인 휠이 복수 개의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됨에 따라 해양구조물 계류시스템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
본 발명은 해양구조물 계류시스템에 적용되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중의 앵커로부터 이어지는 무어링 체인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해양구조물로부터 이어지는 페어리드 체인의 양방향 유동 단속이 이루어짐으로써 평소 해양구조물 계류 장력 조절이 원활할 수 있으면서 긴급 상황에서 페어리드 체인의 연결 해제가 원활할 수 있도록 하고, 페어리드 체인과 접촉하는 체인 휠의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체인 휠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면서 하나의 체인 휠이 복수 개의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됨에 따라 해양구조물 계류시스템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에 관한 것이다.
해양구조물, 예컨대 해상 풍력기 등의 경우 해상에 위치함에 따라 파도 및 조류 등의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파도 및 조류 등의 영향에 의해 해양구조물의 유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자칫 유동이 과도하거나 할 경우 해양구조물의 유실로 이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쓰러짐 등에 의한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6022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각종의 '계류장치' 또는 '계류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양구조물을 해상의 일 지점에 고정하고 있다.
이때, 수상의 해양구조물로부터 수중으로 이어지는 체인, 더욱 구체적으로 페어리드 체인은 '체인 스토퍼' 또는 '스토퍼가 마련된 풀리'에 연결되는바, 연결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당겨져 유동함에 따라 팽팽해질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해양구조물의 계류 장력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어 해양구조물의 계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 해양구조물 계류시스템에 적용되는 체인 스토퍼 또는 스토퍼가 마련된 풀리는 페어리드 체인의 유동을 일 방향으로만 단속, 예컨대 수중으로부터 수상으로 페어리드 체인의 당김만 가능하였으므로 해양구조물 계류 장력 조절에 번거로움이 따랐을 뿐만 아니라 특히 태풍 발생 등의 긴급 상황으로 인하여 해양구조물의 대피가 요구되거나 할 때 대형 선단의 지원 없이는 페어리드 체인의 연결 해제가 쉽지 않아 신속한 대응이 관란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해양구조물 계류시스템에 적용되는 체인 스토퍼 또는 스토퍼가 마련된 풀리는 체인 휠이 몸체에 고정되는바, 체인 휠 고정부를 해체하지 않고서는 체인 휠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없었으므로 체인 휠 유지보수가 곤란하였을 뿐만 아니라 특히 각각의 체인 스토퍼 또는 스토퍼가 마련된 풀리에 체인 휠이 마련될 수밖에 없어 해양구조물 계류시스템 운용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 분야에서는 해양구조물 계류 장력 조절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고, 긴급 상황에서 페어리드 체인의 연결 해제가 원활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체인 휠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해양구조물 계류시스템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해양구조물 계류시스템용 체인 스토퍼 또는 스토퍼가 마련된 풀리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602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중의 앵커로부터 이어지는 무어링 체인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해양구조물로부터 수중으로 이어지는 페어리드 체인의 양방향 유동 단속이 이루어짐으로써 평소 해양구조물 계류 장력 조절이 원활할 수 있으면서 긴급 상황에서 페어리드 체인의 연결 해제가 원활할 수 있도록 하고, 페어리드 체인과 접촉하는 체인 휠의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체인 휠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면서 하나의 체인 휠이 복수 개의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됨에 따라 해양구조물 계류시스템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중에 배치되되, 일 단부의 양쪽 측판 사이에 길이 방향 일 면과 다른 일 면이 경사를 이루는 지지블럭이 마련된 몸체; 및 상기 몸체 일단과 타단 사이 양쪽 측판을 관통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정역 회전하되, 수상의 해양구조물로부터 이어지는 페어리드 체인 일부를 지지하는 체인 휠;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양쪽 측판 각각에 형성되는 슬롯 홀; 상기 슬롯 홀 각각의 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슬롯 홀의 입구를 개폐하는 작동편; 및 상기 작동편 일단을 밀거나 당겨 상기 작동편을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체인 휠은, 상기 회전축 일단 및 다른 일단이 상기 슬롯 홀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에 삽입되되, 상기 작동편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슬롯 홀의 상기 입구가 폐쇄됨에 따라 상기 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작동편 다른 방향 회전에 의해 개방되는 상기 슬롯 홀의 상기 입구를 통해 인출됨에 따라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는, 몸체의 양쪽 측판 각각에 형성되는 슬롯 홀의 입구가 구동수단 구동에 의한 작동편 회전 방향에 따라 개폐되고, 체인 휠의 회전축 일단 및 다른 일단이 슬롯 홀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에 삽입되는바, 구동수단 구동에 의한 작동편 일 방향 회전에 의해 슬롯 홀의 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체인 휠의 회전축 일단 및 다른 일단이 슬롯 홀로부터 인출될 수 있어 몸체에서 체인 휠이 분리될 수 있으므로 체인 휠의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하나의 체인 휠이 복수 개의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체인 휠 마련에 따르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어 해양구조물 계류시스템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는, 몸체 길이 방향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전후로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되, 실린더의 로드 출입에 의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정역 회전함에 따라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 중의 하나가 지지블럭의 경사 부위 어느 하나에 접촉하여 페어리드 체인의 전후 방향 유동을 단속하는 한 쌍의 가동부재; 및 몸체 어느 일 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원격 신호에 따라 가동부재 작동을 제어하는 무선제어기;를 더 포함하는바, 무선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이루어지는 가동부재의 작동에 의해 페어리드 체인의 양방향, 더욱 구체적으로 전후 방향 유동 단속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평소 해양구조물 계류 장력 조절이 용이하여 해양구조물의 계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긴급 상황에서 페어리드 체인의 연결 해제가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어 해양구조물의 대피 등이 원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는 가동부재 각각에 연결되는 당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는바, 당김부재 당김에 의해서도 가동부재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무선제어기 이상 상황에도 페어리드 체인의 양방향 유동 단속이 원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의 몸체는 결속부재를 포함하는바, 결속부재를 통해 수중의 앵커로부터 이어지는 무어링 체인을 결속함으로써 무어링 체인과의 연결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무어링 체인 연결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가 페어리드 체인 및 무어링 체인과 연결된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에서 몸체와 체인 휠 결합 부위의 일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에서 몸체에 체인 휠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에서 몸체로부터 체인 휠 분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에서 페어리드 체인의 일 방향 유동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에서 페어리드 체인의 다른 방향 유동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에서 결속부재에 의한 무어링 체인의 결속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에서 고리부재에 의한 로프의 결속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가 적용된 해양구조물 계류시스템을 통한 해양구조물 계류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에서 몸체의 다른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A)는, 몸체(10); 및 체인 휠(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몸체(10)는, 수중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일 단부의 양쪽 측판 사이에 길이 방향 일 면과 다른 일 면이 경사를 이루는 지지블럭(11)이 마련됨으로써 아래에서 설명하는 가동부재(30) 어느 하나가 지지블럭(11)의 경사 부위 어느 하나에 접촉함에 따라 페어리드 체인(110)의 유동 단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지지블럭(11)은 개구부(도면부호 미표시)를 포함함으로써 개구부 내측으로 페어리드 체인(110)의 삽입이 이루어짐에 따라 몸체(10) 일단으로부터 다른 일단으로 페어리드 체인(110)이 이어질 수 있다.
그리고 몸체(10)는, 양쪽 측판(도면부호 미표시) 각각에 형성되는 슬롯 홀(12); 슬롯 홀(12) 각각의 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슬롯 홀(12)의 입구를 개폐하는 작동편(13); 및 작동편(13) 일단을 밀거나 당겨 작동편(13)을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4);을 포함함으로써 일측 슬롯 홀(12)에 체인 휠(20)의 회전축(21) 일단을 끼우고 타측 슬롯 홀(12)에 체인 휠(20)의 회전축(21) 타단을 끼운 이후 구동수단(14)을 통해 작동편(13)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슬롯 홀(12) 입구를 폐쇄함으로써 몸체(10)에 체인 휠(20)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체인 휠(20) 고정 상태에서 구동수단(14)을 통해 작동편(13)을 다른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슬롯 홀(12) 입구를 개방시킨 후 체인 휠(20)을 당김으로써 몸체(10)로부터 체인 휠(20)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슬롯 홀(12) 내면은 인코넬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재질의 특성상 슬롯 홀(12)(13) 내면의 손상, 예컨대 마모 등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슬롯 홀(12)은 내면을 따라 배치되는 인코넬 재질을 보강편(도면부호 미표시)을 포함함으로써 보강편에 의해 슬롯 홀(12) 내면의 손상이 억제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수단(14)은 작동편(13)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며, 그 일례로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로드 출입이 이루어지는 실린더일 수 있다.
그리고 몸체(10)는 어느 일 면에 배치되는 결속부재(15)를 포함함으로써 결속부재(15)를 통해 수중의 앵커(150)로부터 이어지는 무어링 체인(140)을 결속함에 따라 무어링 체인(140)과의 연결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결속부재(15)는 무어링 체인(140)의 결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며, 그 일례로는 개폐 가능한 샤클일 수 있다.
그리고 몸체(10)는 어느 일 면에 배치되는 고리부재(16)를 포함함으로써 고리부재(16)에 외부로부터 이어지는 로프(160)를 결속함에 따라 로프(160)와의 연결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로프(160) 일단에는 부구(161)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상의 선박(200)에 배치되는 윈치(도면부호 미표시)를 이용 로프(160)를 당김에 따라 몸체(10), 다시 말해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A)의 견인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연결되는 무어링 체인(140)의 견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몸체(10)에 연결되는 페어리드 체인(11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구조물 계류시스템(100)의 일부로서 일단이 페어리드 체인 스토퍼(130)를 거쳐 외부로 이어져 와이어 로프(160)에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일단(예컨대 하단)이 몸체(10) 하단을 거쳐 외부로 이어져 와이어 로프(16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수상에 위치하는 선박(200)의 윈치(도면부호 미표시) 등을 이용하여 페어리드 체인(110)의 일단 또는 다른 일단에 연결된 와이어 로프(160)를 당김으로써 해양구조물(S)의 계류 장력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10)는 일단과 타단 사이 중간부가 일정한 각도로 구부러진 'L'형태일 수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과 타단 사이가 곧게 이어지는 '일자'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체인 휠(20)은, 수상의 해양구조물(S)로부터 이어지는 페어리드 체인(110) 일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몸체(10) 일단과 타단 사이 양쪽 측판을 관통하는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정역 회전함으로써 페어리드 체인(110)의 전후 방향(페어리드 체인의 길이 방향) 유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체인 휠(20)은, 중심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부(도면부호 미표시)가 형성된 지지부재(22)를 포함함으로써 지지부재(22)의 적어도 하나 둘출부가 페어리드 체인(110)에 걸림에 따라 몸체(10)에서 페어리드 체인(110)의 미끄러짐 및 꼬임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체인 휠(20)은 회전축(21)에 오일리스 부싱(21a)이 장착됨으로써 오일리스 부싱(21a)에 의해 회전축(21)의 회전이 원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A)는, 가동부재(30); 및 무선제어기(4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동부재(30)는, 몸체(10) 길이 방향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전후로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되, 실린더(31)의 로드(31a) 출입에 의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정역 회전함에 따라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 중의 하나가 지지블럭(11) 어느 하나의 경사 부위에 접촉하여 페어리드 체인(110)의 유동을 단속할 수 있다.
이때, 가동부재(30)는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32)를 포함함으로써 실린더(31)의 로드(31a) 출입에 의해 어느 하나가 회전함에 따라 다른 하나도 함께 회전하게 되어 어느 하나가 지지블럭(11)과 접촉할 때 다른 하나와 지지블럭(11)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실린더(31)의 로드(31a) 출입 정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함에 따라서는 가동부재(30)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 모두가 지지블럭(11)과 접촉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가동부재(30)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 모두를 지지블럭(11)과 접촉 해제함으로써 몸체(10) 내에서 페어리드 체인(110)이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A)에 페어리드 체인(110)의 최초 연결 작업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가동부재(30)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 모두가 지지블럭(11)과의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A)에 페어리드 체인(110)의 최초 연결 등의 특별한 경우에만 인위적으로 이루어질 뿐 일반적인 상황에서 가동부재(30)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 중의 적어도 하나는 지지블럭(11)에 접촉한다.
본 발명의 무선제어기(40)는 몸체(10) 어느 일 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원격 신호에 따라 가동부재(30) 작동을 제어한다.
이때, 무선제어기(40)는, 가동부재(30) 작동을 제어하되, 원격 신호에 따라 실린더(31)의 로드(31a) 출입을 단속함으로써 실린더(31)의 로드(31a) 출입에 의해 가동부재(30)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 중의 하나가 지지블럭(11)에 접촉함에 따라 페어리드 체인(110)의 전후 방향 유동 단속이 단속될 수 있다.
한편, 무선제어기(40)는 원격지, 예컨대 수상에 위치하는 선박(200)의 통신장치(도면상 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원격 신호에 따라 가동부재(30)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한바, 무선제어기(4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A)는 가동부재(30) 각각에 연결되는 당김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제어기(40) 이상 상황 등에서 당김부재(50) 당김에 의해서도 가동부재(3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가동부재(30)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 중의 하나가 지지블럭(11)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당김부재(50)는 가동부재(30)를 당길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형태 및 종류의 것이어도 무방하며, 일례로는 로프(16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A)는 페어리드 체인(110)의 양방향 유동을 통해 해양구조물(S) 계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몸체(10) 내측으로는 수상의 해양구조물(S)에 결합된 페어리드 체인 스토퍼(130)로부터 이어지는 페어리드 체인(110)이 삽입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몸체(10)에는 수중의 앵커(150)로부터 이어지는 무어링 체인(140) 및 외부로부터 이어지는 로프(160)가 연결된다.
이때, 몸체(10)는, 어느 일 면에 배치되는 결속부재(15); 및 어느 일 면에 배치되는 고리부재(16);를 포함하는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부재(15)를 통해 수중의 앵커(150)로부터 이어지는 무어링 체인(140)을 결속함으로써 무어링 체인(140)과의 연결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부재(16)에 외부로부터 이어지는 로프(160)를 결속함으로써 몸체(10)와 로프(160)의 연결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수상의 선박(200)에 배치되는 윈치(도면부호 미표시)를 이용 로프(160)를 당김에 따라 몸체(10), 즉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A)의 견인 및 이에 연결된 무어링 체인(140)의 견인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몸체(10) 일단과 타단 사이에는 체인 휠(20) 배치되는바, 몸체(10) 내측으로 삽입되는 페어리드 체인(110) 일부가 체인 휠(20)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체인 휠(20)은 몸체(10)의 양쪽 측판을 관통하는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정역 회전하는바, 체인 휠(20)의 회전에 이루어짐에 따라 이에 의해 지지되는 페어리드 체인(110)의 전후 방향(페어리드 체인의 길이 방향) 유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체인 휠(20)의 회전축(2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리스 부싱(21a)이 장착되는바, 오일리스 부싱(21a)에 의해 회전축(21)의 회전이 원활할 수 있다.
그리고 체인 휠(20)은 중심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지지부재(22)를 포함하는바, 지지부재(22)의 적어도 하나 둘출부가 페어리드 체인(110)에 걸림에 따라 몸체(10)에서 페어리드 체인(110)의 미끄러짐 및 꼬임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체인 휠(20)에 의해 지지되는 페어리드 체인(110)이 전후 방향, 다시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유동하게 되면 몸체(10)를 벗어날 수 있으므로 의도하지 않은 이탈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몸체(10)에 배치되는 가동부재(30)를 더 포함하는바, 가동부재(30)가 몸체(10)에 마련되는 지지블럭(11)에 접촉하여 지지블럭(11)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폐쇄함에 따라 개구부를 통과하는 페어리드 체인(110)의 유동이 단속될 수 있으므로 페어리드 체인(110)의 의도하지 않은 이탈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가동부재(30)에 의한 페어리드 체인(110)의 유동 단속이 일 방향, 예컨대 수중으로부터 수상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한될 경우 해양구조물(S)의 계류 장력 조절에 번거로움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가동부재(30)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몸체(10)에 전후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바, 가동부재(30) 어느 하나가 지지블럭(11)의 어느 하나 경사 부위에 접촉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어리드 체인(110)의 일 방향, 예컨대 수중으로부터 수상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유동 단속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동부재(30) 다른 하나가 지지블럭(11) 다른 하나에 접촉함으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어리드 체인(110)의 다른 방향, 예컨대 수상으로부터 수중을 향하는 방향으로의 유동 단속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가동부재(30)에 의해 페어리드 체인(110)의 양방향 유동 단속이 이루어질 수 있어 평소 해양구조물(S) 계류 장력 조절이 원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10)로부터 외부로 더 길게 이어지는 측에서 페어리드 체인(110) 일단을 당김에 따라 페어리드 체인(110)이 몸체(10)로부터 신속히 인출, 다시 말해 페어리드 체인(110)의 연결 해제가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어 태풍 발생 등의 긴급 상황에서 해양구조물(S)의 대피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가동부재(30)의 작동 제어에는 번거로움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원격 신호에 따라 가동부재(30) 작동을 제어하는 무선제어기(40)를 더 포함하는바, 무선제어기(40)에 의해 가동부재(30)의 작동 제어가 이루어지므로 가동부재(30) 작동 제어에 따르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그리고 무선제어기(40)는, 가동부재(30) 작동을 제어하되, 원격 신호에 따라 실린더(31)의 로드(31a) 출입을 단속하는바, 실린더(31)의 로드(31a) 출입에 의해 링크(32)로써 연결된 가동부재(30)가 정역 회전하게 되므로 이에 의해 가동부재(30)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 중의 하나가 지지블럭(11)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 중의 하나에 간단히 접촉할 수 있게 되어 가동부재(30) 작동 제어에 따르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여기서, 페어리드 체인(110)의 양방향 유동 단속은 무선제어기(40) 이상 상황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가동부재(30) 각각에 연결되는 당김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바, 무선제어기(40) 이상 상황 등에서 당김부재(50) 당김에 의해서도 링크(32)로써 연결된 가동부재(3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가동부재(30)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 중의 하나가 지지블럭(11)에 접촉할 수 있어 페어리드 체인(110)의 양방향 유동 단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A)는 몸체(10)로부터 체인 휠(20)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몸체(10)는, 양쪽 측판 각각에 형성되는 슬롯 홀(12); 슬롯 홀(12) 각각의 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슬롯 홀(12)의 입구를 개폐하는 작동편(13); 및 작동편(13) 일단을 밀거나 당겨 작동편(13)을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4);을 포함하는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슬롯 홀(12)에 체인 휠(20)의 회전축(21) 일단을 끼우고 타측 슬롯 홀(12)에 체인 휠(20)의 회전축(21) 타단을 끼운 이후 구동수단(14)을 통해 작동편(13)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슬롯 홀(12) 입구를 폐쇄함으로써 몸체(10)에 체인 휠(20)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 휠(20) 고정 상태에서 구동수단(14)을 통해 작동편(13)을 다른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슬롯 홀(12) 입구를 개방시킨 후 체인 휠(20)을 당김으로써 몸체(10)로부터 체인 휠(20)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체인 휠(20)의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하나의 체인 휠(20)이 복수 개의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A)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체인 휠(20) 마련에 따르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어 해양구조물 계류시스템(100)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지지블럭
12 : 슬롯 홀 13 : 작동편
14 : 구동수단 15 : 결속부재
16 : 고리부재 20 : 체인 휠
21 : 회전축 21a : 오일리스 부싱
22 : 지지부재 30 : 가동부재
31 : 실린더 31a : 로드
32 : 링크 40 : 무선제어기
50 : 당김부재 100 : 계류시스템
110 : 페어리드 체인 120 : 와이어 로프
130 : 페어리드 체인 스토퍼 140 : 무어링 체인
150 : 앵커 160 : 로프
161 : 부구 200 : 선박
A :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 S : 해양구조물
본 발명은, 수중의 앵커로부터 이어지는 무어링 체인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해양구조물로부터 이어지는 페어리드 체인의 양방향 유동 단속이 이루어짐으로써 평소 해양구조물 계류 장력 조절이 원활할 수 있으면서 긴급 상황에서 페어리드 체인의 연결 해제가 원활할 수 있도록 하고, 페어리드 체인과 접촉하는 체인 휠의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체인 휠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면서 하나의 체인 휠이 복수 개의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됨에 따라 해양구조물 계류시스템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므로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 생산 관련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11)

  1. 수중에 배치되되, 일 단부의 양쪽 측판 사이에 길이 방향 일 면과 다른 일 면이 경사를 이루는 지지블럭이 마련된 몸체; 및
    상기 몸체 일단과 타단 사이 양쪽 측판을 관통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정역 회전하되, 수상의 해양구조물로부터 이어지는 페어리드 체인 일부를 지지하는 체인 휠;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양쪽 측판 각각에 형성되는 슬롯 홀; 상기 슬롯 홀 각각의 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슬롯 홀의 입구를 개폐하는 작동편; 및 상기 작동편 일단을 밀거나 당겨 상기 작동편을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체인 휠은, 상기 회전축 일단 및 다른 일단이 상기 슬롯 홀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에 삽입되되, 상기 작동편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슬롯 홀의 상기 입구가 폐쇄됨에 따라 상기 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작동편 다른 방향 회전에 의해 개방되는 상기 슬롯 홀의 상기 입구를 통해 인출됨에 따라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기 슬롯 홀 내면은 인코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기 슬롯 홀은 내면을 따라 배치되는 인코넬 재질의 보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기 구동수단은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로드의 출입이 이루어지는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수중의 앵커로부터 이어지는 무어링 체인을 결속하는 결속부재; 및 외부로부터 이어지는 로프의 결속 부위를 제공하는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휠은 중심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휠은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오일리스 부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길이 방향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전후로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되, 실린더의 로드 출입에 의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정역 회전함에 따라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 중의 하나가 상기 지지블럭의 상기 경사 부위 어느 하나에 접촉하여 상기 페어리드 체인의 전후 방향 유동을 단속하는 한 쌍의 가동부재; 및 상기 몸체 어느 일 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원격 신호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 작동을 제어하는 무선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제어기는, 상기 가동부재 작동을 제어하되, 상기 원격 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의 상기 로드 출입을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 각각에 연결되는 당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
PCT/KR2022/021593 2022-12-01 2022-12-29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 WO2024117374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2400283.4A GB202400283D0 (en) 2022-12-01 2024-01-09 Iasr not publish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5727 2022-1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17374A1 true WO2024117374A1 (ko) 2024-06-06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17160A2 (ko) 윈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율이동장치
US20060283368A1 (en) Fairlead with integrated chain stopper
WO2017007158A1 (ko) 결합장치를 구비한 무인선 및 이의 회수 방법
WO2024117374A1 (ko)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
WO2019203477A1 (ko) 연직형 수력발전장치
WO2014027712A1 (ko) 미니크레인
WO2019066247A1 (ko) 선박의 해저케이블 운송장치 및 운송방법
WO2023146068A1 (ko) 벨트로프 내장형 텔레스코픽 마스트
WO2024117370A1 (ko)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페어리드 체인 스토퍼
US8827596B2 (en) Hoisting method and assembly for abandoning and/or recovering an underwater pipeline from a laying vessel, and laying vessel equipped with such a hoisting assembly
EP2074016A1 (en) Traction system for operating lines, in particular mooring and/or production lines, of a floating production unit
WO2023182563A1 (ko) 해양구조물 계류시스템용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
WO2017164482A1 (ko) 1축 동력 변환 장치
WO2023182564A1 (ko) 해양구조물 계류시스템용 페어리드 체인 스토퍼
WO2010002126A2 (ko) 선박 예인장치
WO2023085530A1 (ko) 해양구조물용 탈부착 계류시스템
JP2004023858A (ja) 架線の移線工法及び移線装置
WO2020060270A1 (ko) 엘리베이터용 2:1 로프 체결방식에 적용되는 매달림 시브
WO2018043849A1 (ko) 해난 구조 시스템
CN210655850U (zh) 一种双绳式抓土器
KR20240081946A (ko)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페어리드 체인 스토퍼
KR20240081947A (ko) 분리형 체인 휠을 갖는 서브머서블 무어링 풀리
WO2012157954A9 (ko) 재난용 인명 대피 및 구조장비
US2247498A (en) Method for reeving lines
WO2022211583A1 (ko) 선박청소로봇 무선 자석 결합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