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369B1 -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369B1
KR101926369B1 KR1020160049562A KR20160049562A KR101926369B1 KR 101926369 B1 KR101926369 B1 KR 101926369B1 KR 1020160049562 A KR1020160049562 A KR 1020160049562A KR 20160049562 A KR20160049562 A KR 20160049562A KR 101926369 B1 KR101926369 B1 KR 101926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ress
cavity
molding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7661A (ko
Inventor
박형원
윤치원
고성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ublication of KR20160127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7Mould cavity walls, i.e. the inner surface forming the mould cavity, e.g. linings
    • B29C45/372Mould cavity walls, i.e. the inner surface forming the mould cavity, e.g. linings provided with means for marking or patterning, e.g. number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0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combined with 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78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2045/1785Movement of a part, e.g. opening or closing movement of the mould, generating fluid pressure in a built-in fluid pressure gen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78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2045/1791Means for spacing or distancing mould supporting plates, e.g. for mould ex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내장재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윗면에 내장재 성형을 위한 고정측 성형부가 형성된 고정금형과, 고정금형의 위족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고정측 성형부와 함께 내장재를 성형하는 가동측 성형부가 밑면에 형성되는 가동금형과, 가동금형에 구비되되, 표피재 원단이 가동측 성형부를 덮을 수 있도록 표피재 원단을 펼펴진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원단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가동금형의 밑면에 표피재 원단을 펼쳐진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원단고정유닛이 구비됨으로써, 가동금형의 작동에도 표피재 원단이 말려들어가서 찢기는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Car Interior Material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부재에 제2부재를 사출하여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내장재는 차량의 내부 인테리어에 사용되는 부품으로서, 원단 등의 제1 부재에 수지 등의 제2 부재가 압착되어 일체로 형성된 뒤 차량에 장착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종래의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는, 제1 부재(M1)가 안착되는 캐비티(Cavity)부(C)를 갖는 제1 금형(10) 및 상기 캐비티부(C)에 안착된 상기 제1 부재(M1) 측으로 제2 부재(M2)를 사출하는 사출구(H)를 갖는 제2 금형(2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금형(10)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 금형(20)은 상기 제2 부재(M2)를 사출한 뒤 상기 제2 부재(M2)를 상기 제1 부재(M1)에 압착하도록 상기 제1 금형(10)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차량용 내장재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를 이용하고, 성형준비단계, 사출단계, 압착단계, 냉각단계 및 제품취출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다.
즉, 상기 성형준비단계에서는, 상기 제1 금형(10)과 상기 제2 금형(20)이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부재(M1)가 상기 캐비티부(C)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상기 사출단계에서는, 상기 제2 부재(M2)가 상기 사출구(H)를 통해 상기 제1 부재(M1) 측으로 사출된다.
상기 압착단계에서는, 상기 제2 금형(20)이 상기 제1 금형(10)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부재(M2)를 상기 제1 부재(M1)에 압착시킨다.
상기 냉각단계에서는, 액체나 겔과 같은 상태로 상기 제1 부재(M1)에 압착된 상기 제2 부재(M2)가 냉각되어 상기 제1 부재(M1)에 압착된 상태로 굳어진다. 즉, 상기 제1 부재(M1)와 상기 제2 부재(M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품취출단계에서는, 상기 제1 금형(10)과 상기 제2 금형(20)이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부재(M1)와 상기 제2 부재(M2)가 일체로 형성된 제품이 취출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2 부재(M2)를 상기 제1 부재(M1) 측으로 사출할 때 사출압력에 의해 상기 제1 부재(M1)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부재에 제2 부재를 사출하여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일체로 형성할 때 사출압력에 의해 제1 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 부재가 안착되는 캐비티(Cavity)부를 갖는 제1 금형과, 상기 캐비티부에 안착된 상기 제1 부재 측으로 제2 부재를 사출하는 사출구를 갖는 제2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2 금형은, 상기 제2 부재가 사출될 때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2 금형 사이 거리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금형은, 고정 설치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에 대향되고, 상기 캐비티부를 갖는 제1 성형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성형부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제1 성형부를 기준으로 상기 캐비티부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금형은, 고정 설치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에 대향되고, 상기 사출구를 갖는 제2 성형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성형부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제2 성형부를 기준으로 상기 사출구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부는, 탄성체 또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출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금형 사이에서 압축되어 상기 제1 부재에 압착되고, 상기 제2 금형에는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1 부재에 압착될 때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금형이 이루는 압축공간의 외부로 상기 제2 부재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출방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비티부는, 상기 제1 금형의 일면에 음각지게 형성되어, 저면 및 그 저면과 상기 제1 금형의 일면을 잇는 내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금형에는 상기 캐비티부에 삽입가능한 프레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스부는 상기 캐비티부의 저면에 대향되는 프레스면 및 그 프레스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캐비티부의 내주면에 대향 가능한 외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누출방지수단은, 상기 프레스부의 외주면이 상기 캐비티부의 내주면 또는 상기 캐비티부의 내주면에 대향되는 상기 제1 부재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비티부는, 상기 제1 금형의 일면에 음각지게 형성되어 저면 및 그 저면과 상기 제1 금형의 일면을 잇는 내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금형에는 상기 캐비티부에 삽입 가능한 프레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스부는 상기 캐비티부의 저면에 대향되는 프레스면 및 그 프레스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캐비티부의 내주면에 대향 가능한 외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누출방지수단은, 상기 프레스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프레스부의 외주면과 접촉되며 상기 제1 금형의 일면 또는 상기 제1 부재의 외주부에 접촉되는 코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부재는, 원단, 종이, 인조가죽 및 필름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금형의 캐비티부에는 상기 제1 부재에 무늬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요철부가 구비되되, 상기 성형 요철부는,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될 무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부재가 안착되는 제1 금형과 제1 부재 측으로 제2 부재를 사출하는 사출구를 갖는 제2 금형을 포함하고, 제2 부재가 사출될 때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2 금형 사이 거리가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제1 부재에 제2 부재를 사출하여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일체로 형성할 때 사출압력에 의해 제1 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을 보인 단면도,
도 3 내지 도 7은 도 2의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에서 누출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는, 제1 부재(M1)가 안착되는 캐비티(Cavity)부(C)를 갖는 제1 금형(100) 및 상기 캐비티부(C)에 안착된 상기 제1 부재(M1) 측으로 제2 부재(M2)를 사출하는 사출구(H)를 갖는 제2 금형(20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부재(M1)는 원단, 종이, 인조가죽 및 필름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재(M2)는 가열될 경우 예를 들어 겔(Gel)이나 액체 상태와 같이 유동 가능한 상태가 되고 냉각될 경우 고체로 굳어지는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금형(100)은 고정 설치되는 제1 지지부(110), 상기 제1 지지부(110)에 대향되는 제1 성형부(120) 및 상기 제1 성형부(120)가 상기 제1 지지부(110) 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성형부(120)를 지지하는 완충부(13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110)는 예를 들어 지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성형부(120)는 상기 제1 지지부(110)에 대향되는 제1 벽부(120A)와 상기 제1 벽부(120A)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제1 지지부(110)의 반대측으로 돌출된 제2 벽부(120B)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벽부(120A)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벽부(120B)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성형부(120)는 상기 제1 지지부(110)에 대향되고 상기 제1 벽부(120A)의 저면을 이루는 제1 면(121), 상기 제1 면(121)으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제2 벽부(120B)의 외주면을 이루는 제2 면(122), 상기 제2 면(122)으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제2 벽부(120B)의 상면을 이루는 제3 면(123), 상기 제3 면(123)으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제2 벽부(120B)의 내주면을 이루는 제4 면(124) 및 상기 제4 면(124)으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제1 벽부(120A)의 상면을 이루는 제5 면(12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면(124)과 상기 제5 면(125)은 상기 제3 면(123)으로부터 음각진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음각진 공간이 상기 캐비티부(C)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5 면(125)이 상기 캐비티부(C)의 저면을 이루고, 상기 제4 면(124)이 상기 캐비티부(C)의 내주면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제1 부재(M1)는 차량의 실내 측에 구성하는 내장재로서, 그 실내측을 향하는 표면에 다양한 형상의 무늬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재(M1)가 안착되는 성형하기 위한 제1 금형(100)의 캐비티부(C)에서 제1 성형부(120)의 제5 면(125)에는 제1 부재(M1)의 실내측을 향하는 면에 형성되는 무늬를 성형하기 위한 무늬 성형 요철부가 구비된다.
즉, 제1 부재(M1)가 안착되는 제1 성형부(120)의 제5 면(125)에는 제1 부재(M1)에 형성되는 무늬를 성형하기 위하여 돌기나 홈으로 된 성형용 요철부가 구비된다.
상기 완충부(130)는 예를 들어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나 유압 댐퍼와 같은 액츄에이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110)과 상기 제1 성형부(1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즉, 상기 완충부(130)는 상기 제1 성형부(120)의 제1 면(121)을 기준으로 상기 캐비티부(C)의 반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성형부(120)의 상기 제1 면(121)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130)는 상기 제1 성형부(120)가 상기 제1 지지부(110) 측으로 사전에 결정된 값만큼 이동된 후에는 상기 제1 성형부(120)가 더 이상 상기 제1 지지부(110) 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상기 제1 성형부(120)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지지부(110)에는 상기 완충부(130)의 일단부가 삽입 지지되는 제1 삽입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성형부(120)에는 상기 완충부(130)의 타단부가 삽입 지지되는 제2 삽입홈(126)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130)는 상기 제1 성형부(120)가 상기 제1 지지부(110) 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1 삽입홈(112)과 상기 제2 삽입홈(126) 사이에서 압축되어 상기 제1 성형부(120)가 상기 제1 지지부(110)에 접촉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완충부(130)의 탄성 계수를 조절(증가)하여 상기 제1 성형부(120)가 상기 제1 지지부(110)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더 이상 상기 제1 지지부(110) 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130)는 상기 제1 성형부(120)가 이동될 때 경사져 이동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완충부(130)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축이 상기 제1 성형부(120)의 이동방향과 평행하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축 중심이 상기 제1 성형부(120)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완충부(130)는 3개 이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 성형부(120)의 원주방향(상기 제1 성형부(120)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성형부(120)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2 금형(200)은 고정 설치되는 제2 지지부(210), 상기 제2 지지부(210) 및 상기 제1 성형부(120)에 대향되는 제2 성형부(220) 및 상기 제2 성형부(220)를 상기 제2 지지부(210)로부터 사전에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게 지지하는 스페이스부(23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210)는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제2 금형(200)이 상기 제1 금형(100)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부재(M2)를 상기 제1 부재(M1)에 압착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상기 제1 금형(100) 측으로 이동 가능한 기구(미도시)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성형부(220)는 상기 제2 지지부(210)에 대향되는 제3 벽부(220A)와 상기 제3 벽부(220A)의 중심측으로부터 상기 제2 지지부(210)의 반대측으로 돌출된 제4 벽부(220B)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벽부(220A)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 벽부(220B)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성형부(220)는 상기 제2 지지부(210)에 대향되고 상기 제3 벽부(220A)의 저면을 이루는 제6 면(221), 상기 제6 면(221)으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제3 벽부(220A)의 외주면을 이루는 제7 면(222), 상기 제7 면(222)으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제3 벽부(220A)의 상면을 이루는 제8 면(223), 상기 제8 면(223)으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제4 벽부(220B)의 외주면을 이루는 제9 면(224) 및 상기 제9 면(224)으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제4 벽부(220B)의 상면을 이루는 제10 면(22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9 면(224)과 상기 제10 면(225)은 상기 캐비티부(C)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금형(200)은 사출된 상기 제2 부재(M2)를 상기 제4 벽부(220B)로 상기 제1 부재(M1)에 압착시키도록 상기 제4 벽부(220B)가 상기 캐비티부(C)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벽부(220B)를 프레스부라고 할 수 있고, 상기 제9 면(224)을 상기 프레스부의 외주면이라 할 수 있고, 상기 제10 면(225)을 상기 프레스부의 프레스면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4 벽부(220B)가 상기 캐비티부(C)에 삽입되어 상기 제2 부재(M2)를 상기 제1 부재(M1)에 압착하기 위해, 상기 제9 면(224)과 상기 제10 면(225)은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9 면(224)은 그 제9 면(224)의 외경(L1)이 상기 제4 면(124)의 내경(L2)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는,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부재(M1)는 상기 제5 면(125)에 대향되는 제1 부위(M11), 상기 제1 부위(M11)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4 면(124)에 대향되는 제2 부위(M12) 및 상기 제2 부위(M12)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3 면(123)에 대향되는 제3 부위(M13)를 구비하여 구성되므로, 상기 제2 금형(200)은 상기 제4 벽부(220B)가 상기 제1 부재(M1)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9 면(224)의 외경(L1)이 상기 제2 부위(M12) 및 제3 부위(M13)의 내경(L4, L3)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0 면(225)은 상기 제2 부재(M2)가 상기 제1 부재(M1)에 압착될 때 상기 제2 부재(M2)의 두께(t)가 사전에 결정된 값보다 작아지지 않도록 그 제10 면(225)이 상기 제5 면(125)과 사전에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8 면(223)은 상기 제2 부재(M2)가 상기 제1 부재(M1)에 압착될 때 상기 제3 벽부(220A)가 상기 제1 부재(M1)의 제3 부위(M13)를 가압하지 않도록 그 제8 면(223)이 상기 제3 면(123)과 사전에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9 면(224)에는 사출된 상기 제2 부재(M2)의 외주부 형상이 사전에 결정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단차면(22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0 면(225)에는 그 제10 면(225)의 일측에 상기 사출구(H)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출구(H)는 사출되는 상기 제2 부재(M2)가 상기 캐비티부(C)에 안착되는 상기 제1 부재(M1)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도포되도록 상기 제10 면(225)의 중심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출구(H)는 상기 제2 지지부(210), 상기 스페이스부(230) 및 상기 제2 성형부(220)를 관통하는 사출유로(240)에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출구(H)에는 상기 제2 부재(M2)가 사출된 후 상기 제1 부재(M1)에 압착될 때 사출된 상기 제2 부재(M2)가 상기 사출구(H) 및 상기 사출유로(240)를 통해 역류되지 않도록 사출구 개폐기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즉, 차량용 내장재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를 이용하고, 성형준비단계, 사출단계, 압착단계, 냉각단계 및 제품취출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성형준비단계에서는, 상기 제1 부재(M1)가 상기 캐비티부(C)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금형(100)(더욱 정확히는, 상기 제1 성형부(120))과 상기 제2 금형(200)(더욱 정확히는, 상기 제2 성형부(220))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스부(제4 벽부(220B))가 상기 캐비티부(C)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10 면(225)이 상기 제3 면(123)보다 상기 제2 지지부(210) 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부재(M1)가 상기 캐비티부(C)에 삽입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부재(M2)는 가열되어 액체나 겔과 같이 유동 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사출유로(240)에 충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출구 개폐기구(미도시)는 상기 사출구(H)를 폐쇄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사출단계에서는, 상기 제2 부재(M2)가 상기 사출구(H)를 통해 상기 제1 부재(M1)와 상기 프레스부(제4 벽부(220B)) 사이 공간으로 사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성형부(120)는 사출압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부(110)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부재(M1)가 인가받는 사출압을 완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부(130)는 상기 제1 지지부(110)와 상기 제1 성형부(120) 사이에서 압축됨으로써 상기 제1 성형부(120)가 상기 제1 지지부(11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130)는, 사출압이 사전에 예상했던 압력보다 더 높을 경우를 대비하여(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출에 의해 압축될 때 상기 제1 지지부(110)와 상기 제1 성형부(120)가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압축될 수 있다.
상기 압착단계에서는, 상기 제2 금형(200)이 상기 제1 금형(100)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프레스부(제4 벽부(220B))가 상기 제1 부재(M1)와 상기 프레스부(제4 벽부(220B)) 사이에 사출된 상기 제2 부재(M2)를 압축하여 상기 제2 부재(M2)를 상기 제1 부재(M1)에 압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지지부(110) 측으로 더 이동 가능하나 상기 사출단계에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제1 지지부(110)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상기 제1 성형부(120)는 상기 압착단계에서 상기 제1 지지부(110) 측으로 더 이동되어 상기 제1 지지부(110)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금형(200)이 상기 제2 부재(M2)를 압축하는 압축력이 온전히 상기 제2 부재(M2)에 작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착단계에서 상기 사출구 개폐기구(미도시)는 사출된 상기 제2 부재(M2)가 상기 사출구(H) 및 상기 사출유로(240)를 통해 역류되지 않도록 상기 사출구(H)를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부재(M1)와 상기 프레스부(제4 벽부(220B)) 사이에서 상기 제2 부재(M2)와 공존하고 있는 공기 등의 이물질은 상기 제1 부재(M1)와 상기 제2 성형부(220) 사이의 미세한 틈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
상기 냉각단계에서는, 액체나 겔과 같은 상태로 상기 제1 부재(M1)에 압착된 상기 제2 부재(M2)가 냉각되어 상기 제1 부재(M1)에 압착된 상태로 굳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부재(M1)와 상기 제2 부재(M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품취출단계에서는, 상기 제1 금형(100)(더욱 정확히는, 상기 제1 성형부(120))과 상기 제2 금형(200)(더욱 정확히는, 상기 제2 성형부(220))이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부재(M1)와 상기 제2 부재(M2)가 일체로 형성된 제품이 취출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는, 상기 제1 성형부(120)가 상기 완충부(130)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 부재(M2)가 사출될 때 상기 제1 성형부(120)와 상기 제2 성형부(220) 사이 거리가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사출압력에 의해 상기 제1 부재(M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는, 상기 제2 금형(200)에 누출방지수단을 구비하여 사출된 상기 제2 부재(M2)가 상기 캐비티부(C)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부재(M2)가 사출될 때 상기 프레스부(제4 벽부(220B))의 제9 면(224)이 상기 제1 부재(M1)의 제2 부위(M12) 및 제3 부위(M13)의 내주면(M121, M131)과 접촉되어 있지 않으면 그 사이 틈을 통해 사출된 상기 제2 부재(M2)가 누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를 고려하여 상기 제2 성형부(220)의 제9 면(224)이 상기 제1 부재(M1)의 제3 부위(M13)(더욱 정확히는 제3 부위(M13)의 내주면(M131))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9 면(224)의 외경(L1)이 상기 제3 부위(M13) 내경(L3)과 동등 수준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9 면(224)의 외경(L1)이 상기 제3 부위(M13)의 내경(L3)과 동등 수준으로 형성되고, 사출이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제9 면(224)이 상기 제3 부위(M13)와 접촉되어 있더라도, 상기 제2 부재(M2)가 사출될 때 상기 제1 성형부(120)가 상기 제2 성형부(2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9 면(224)이 상기 제3 부위(M13)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를 고려하여 상기 제9 면(224)은 상기 제1 성형부(120)가 최대로 이동(상기 제1 지지부(110)에 접촉)되더라도 상기 제9 면(224)이 상기 제3 부위(M13)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부재(M2)가 사출되는 공간을 밀봉하도록 형성되는 상기 제9 면(224)의 형상이 상기 누출방지수단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누출방지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출방지수단은 상기 제9 면(224)으로 구현되되, 상기 제1 부재(M1)는 상기 제1 부위(M11) 및 상기 제2 부위(M12)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9 면(224)은 사출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2 부위(M12)에 접촉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출방지수단은 상기 제9 면(224)으로 구현되되, 상기 제1 부재(M1)는 상기 제1 부위(M11)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9 면(224)은 사출이 이루어질 때 상기 캐비티부(C)의 내주면(제1 성형부(120)의 제4 면(124))에 접촉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출방지수단은 상기 제2 성형부(22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부재(M2)가 사출되는 공간을 밀봉하는 코어(300)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코어(300)는 상기 프레스부의 외주면(제2 성형부(220)의 제9 면(224))을 둘러싸게 형성되고, 상기 프레스부의 돌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밀봉부(310) 및 예를 들어 탄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밀봉부(310)를 상기 제2 성형부(22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송부(32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300)는 상기 밀봉부(310)가 상기 프레스부의 외주면(제2 성형부(220)의 제9 면(224))에 접촉되고, 상기 밀봉부(31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밀봉부(310)의 선단면(312)이 상기 프레스부의 프레스면(제2 성형부(220)의 제10 면(225))보다 상기 제1 금형(100) 측으로 더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코어(300)는, 상기 제1 부재(M1)가 상기 제1 부위(M11), 상기 제2 부위(M12) 및 상기 제3 부위(M13)를 구비하여 구성될 때, 상기 밀봉부(310)의 내경(L5)이 상기 제2 부위(M12) 및 상기 제3 부위(M13)의 내경(L3)과 동등 수준으로 형성되고, 상기 밀봉부(310)의 내주면(314)이 상기 프레스부의 외주면(제9 면(224))에 접촉되게 형성되며, 상기 밀봉부(310)가 상기 제1 금형(100)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밀봉부(310)의 선단면(312)이 상기 제3 부위(M13)에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부재(M2)가 사출되는 공간은 상기 밀봉부(310)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성형부(120)가 사출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부(110) 측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밀봉부(310)가 상기 제1 성형부(120)와 같이 이동되어 상기 제3 부위(M13)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상기 제2 부재(M2)가 사출되는 공간의 밀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프레스부(제4 벽부(220B))가 상기 캐비티부(C)로부터 인출되더라도, 상기 제2 부재(M2)가 사출되는 공간은 상기 밀봉부(310)에 의해 밀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출되는 상기 제2 부재(M2)가 상기 캐비티부(C)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어(300)는 상기 제1 부재(M1)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변형 예가 있을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부재(M1)가 상기 제1 부위(M11) 및 상기 제2 부위(M12)를 구비하여 구성될 때, 상기 코어(300)는, 상기 밀봉부(310)의 내경(L5)이 상기 제2 부위(M12)의 내경(L4)과 동등 수준으로 형성되고, 상기 밀봉부(310)의 내주면(314)이 상기 프레스부의 외주면(제9 면(224))에 접촉되게 형성되며, 상기 밀봉부(310)가 상기 제1 금형(100)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밀봉부(310)의 선단면(312)이 상기 제1 성형부(120)의 제3 면(123)에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부재(M1)가 상기 제1 부위(M11)를 구비하여 구성될 때, 상기 코어(300)는, 상기 밀봉부(310)의 내경(L5)이 상기 캐비티부(C)의 내경(제4 면(124)의 내경(L2))과 동등 수준으로 형성되고, 상기 밀봉부(310)의 내주면(314)이 상기 프레스부의 외주면(제9 면(224))에 접촉되게 형성되며, 상기 밀봉부(310)가 상기 제1 금형(100)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밀봉부(310)의 선단면(312)이 상기 제1 성형부(120)의 제3 면(123)에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성형부(120) 및 상기 제2 성형부(220)는 상기 캐비티부(C) 및 상기 프레스부(제4 벽부(220B)가 원통형이 되도록 형성되나, 상기 캐비티부(C) 및 상기 프레스부(제4 벽부(220B)가 예를 들어 장방형과 같이 비원통형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성형부(120)와 상기 제2 성형부(220)는 제조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완충부(130)는 상기 제1 성형부(120)의 제1 면(121)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나, 상기 제1 성형부(120)의 제2 면(122) 또는 제3 면(123)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지지부(110), 상기 완충부(130) 및 상기 제1 성형부(120)는, 상기 제2 부재(M2)가 사출될 때 상기 제1 지지부(110)와 상기 제1 성형부(120) 사이 간격이 감소되되 상기 제1 지지부(110)와 상기 제1 성형부(120)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2 부재(M2)가 압착될 때 상기 제1 지지부(110)와 상기 제1 성형부(120) 사이 간격이 더욱 감소되어 상기 제1 지지부(110)와 상기 제1 성형부(120)가 서로 접촉되게 구비되나,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부재(M2)가 사출될 때 상기 제1 지지부(110)와 상기 제1 성형부(120) 사이 간격이 감소되어 상기 제1 지지부(110)와 상기 제1 성형부(120)가 서로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부재(M2)가 압착될 때 상기 제2 금형(200)이 전술한 실시예보다 조금만 이동되어도 되기 때문에 제조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완충부(130)가 상기 제1 금형(100)에 구비되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250)가 상기 제2 금형(2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완충부(250)는 상기 제2 성형부(220)와 상기 제2 지지부(210) 사이에서 상기 제2 성형부(220)의 제6 면(221)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금형(100)과 상기 제2 금형(200)에 각각 상기 완충부(130, 2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제1 금형 110: 제1 지지부
120: 제1 성형부 130: 완충부
200: 제2 금형 210: 제2 지지부
220: 제2 성형부 250: 완충부
300: 코어 310: 밀봉부
320: 이송부 M1: 제1 부재
M2: 제2 부재

Claims (11)

  1. 제1 부재가 안착되는 캐비티(Cavity)부를 갖는 제1 금형;
    상기 캐비티부에 안착된 상기 제1 부재 측으로 제2 부재를 사출하는 사출구를 갖는 제2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은,
    고정 설치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 대향되고, 상기 캐비티부를 갖는 제1 성형부;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성형부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2 금형은,
    상기 제2 부재 사출시 발생되는 사출압력에 의해 상기 제1 부재에 인가되는 부하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사출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금형과 상기 제2 금형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제1 성형부를 기준으로 상기 캐비티부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형은,
    고정 설치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에 대향되고, 상기 사출구를 갖는 제2 성형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성형부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제2 성형부를 기준으로 상기 사출구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탄성체 또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사출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금형 사이에서 압축되어 상기 제1 부재에 압착되고,
    상기 제2 금형에는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제1 부재에 압착될 때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금형이 이루는 압축공간의 외부로 상기 제2 부재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출방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부는,
    상기 제1 금형의 일면에 음각지게 형성되어, 저면 및 그 저면과 상기 제1 금형의 일면을 잇는 내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금형에는 상기 캐비티부에 삽입가능한 프레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스부는 상기 캐비티부의 저면에 대향되는 프레스면 및 그 프레스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캐비티부의 내주면에 대향 가능한 외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누출방지수단은, 상기 프레스부의 외주면이 상기 캐비티부의 내주면 또는 상기 캐비티부의 내주면에 대향되는 상기 제1 부재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부는,
    상기 제1 금형의 일면에 음각지게 형성되어 저면 및 그 저면과 상기 제1 금형의 일면을 잇는 내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금형에는 상기 캐비티부에 삽입 가능한 프레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스부는 상기 캐비티부의 저면에 대향되는 프레스면 및 그 프레스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캐비티부의 내주면에 대향 가능한 외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누출방지수단은, 상기 프레스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프레스부의 외주면과 접촉되며 상기 제1 금형의 일면 또는 상기 제1 부재의 외주부에 접촉되는 코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원단, 종이, 인조가죽 및 필름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가 안착되는 상기 제1 금형의 캐비티부에는 상기 제1 부재에 무늬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요철부가 구비되되,
    상기 성형 요철부는, 상기 제1부재에 형성될 무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KR1020160049562A 2015-04-27 2016-04-22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KR101926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58978 2015-04-27
KR1020150058978 2015-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661A KR20160127661A (ko) 2016-11-04
KR101926369B1 true KR101926369B1 (ko) 2018-12-07

Family

ID=57530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562A KR101926369B1 (ko) 2015-04-27 2016-04-22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3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80046A (ja) * 2021-05-24 2022-12-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射出成形装置
KR102677804B1 (ko) * 2023-10-05 2024-06-24 주식회사 서연이화 경사면을 갖는 수지차단부를 이용한 이종 수지 사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9562A (ko) * 2005-06-07 2006-12-18 주식회사 플러스허브 감압형(減壓型) 인몰드 성형장치
KR100945848B1 (ko) * 2007-07-13 2010-03-05 김길곤 표피재가 인서트 되는 다중 사출성형장치 및 그를 이용한사출성형방법
KR101192521B1 (ko) * 2010-04-30 2012-10-17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661A (ko) 2016-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6311B1 (e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a shaped substrate from a stamping tool
KR101926369B1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WO2005090060A3 (en) Method for producing contact lenses
KR101335530B1 (ko) 언더컷을 갖는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
US20060097425A1 (en) In-mold coat-forming method and in-mold-coated mold product
JP2003205536A (ja) 射出成形品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47635A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WO2005068157A3 (en) Injection compression mould with venting means
JP5143617B2 (ja) 圧縮成形方法
JP6564227B2 (ja) 樹脂成形金型、樹脂成形装置および樹脂成形方法
KR20160033440A (ko) 천 부착 사출물 성형 금형
KR101442419B1 (ko) 반도체 소자 몰딩 장치
JP2000289057A (ja) 射出圧縮成形金型
JPH09234766A (ja) 射出・圧縮成形法およびその金型
JP2011148159A (ja) 樹脂ピストンの成形方法及び樹脂ピストン
JPH10109327A (ja) 表皮を表面の一部に有する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JP3070354B2 (ja) 射出成形方法及び射出成形用金型
JP2001310354A (ja) 射出成形用金型
KR101602534B1 (ko) 웨이퍼 레벨 몰딩 장치
JP2002307459A (ja) 発泡成形型
JPS602909Y2 (ja) 射出成形装置における成形品の押出し装置
JP3208756B2 (ja) 薄肉製品の射出成形方法
JP2004130629A (ja) 発泡成形用の金型及び発泡成形方法
JP3108389U (ja) 未加硫物の加硫装置
JP2003266490A (ja) 射出成形用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