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699B1 - 인쇄도공장치 - Google Patents

인쇄도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699B1
KR101925699B1 KR1020167030761A KR20167030761A KR101925699B1 KR 101925699 B1 KR101925699 B1 KR 101925699B1 KR 1020167030761 A KR1020167030761 A KR 1020167030761A KR 20167030761 A KR20167030761 A KR 20167030761A KR 101925699 B1 KR101925699 B1 KR 101925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gravure roll
longitudinal direction
roller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0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0921A (ko
Inventor
료 모리가와
토루 이소자키
요시아키 야스다
세이이치로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후지 기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기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기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0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02Ducts, containers, supply or metering devices
    • B41F31/06Troughs or like reservoirs with immersed or partly immersed, rollers o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9/00Rotary intaglio printing presses
    • B41F9/06Details
    • B41F9/061Inking devices
    • B41F9/063Using ink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9/00Rotary intaglio printing presses
    • B41F9/06Details
    • B41F9/08Wiping mechanisms
    • B41F9/10Doctors, scrapers, or lik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Abstract

웨브(W)에 도공액(L)이나 잉크 등 전사액을 전사하는 시에 웨브에 전사액을 균일하게 부착시킬 수 있고, 게다가, 챔버(4) 주위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인쇄도공장치(1)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그라비아롤(3)의 일부가 챔버(4)의 액저류부(4a)에 저류되는 도공액(L)에 잠긴다. 챔버(4)의 길이방향 양단부(兩端部)는, 한 쌍의 지지기구(5)로 지지되며, 또한, 챔버(4)의 길이방향 중도부(中途部)에는, 챔버(4)의 그라비아롤(3) 반대측으로의 휨을 억제하는 누름수단(12)이 구비된다.

Description

인쇄도공장치{PRINT CO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연속 반송되는 웨브(web)에 도공액이나 잉크 등 전사액을 전사하는 인쇄도공(塗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도공장치는, 그라비아롤(gravure roll)과, 이 그라비아롤의 일부를 수용하는 액저류부를 갖는 챔버(chamber)를 구비하고,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와 실링 플레이트(sealing plate)를 상기 그라비아롤의 상하로 대향시켜 상기 그라비아롤에 압접(壓接)시킴과 동시에, 한 쌍의 사이드 실링(side sealing)을 그라비아롤의 축심방향 양측(兩側)의 외주면(外周面)에 압접시켜 액저류부가 밀폐된다. 그리고, 상기 도공장치는, 그라비아롤의 회전동작에 의해, 반송되는 웨브에 대해 상기 닥터 블레이드로 여분의 도공액을 긁어 내어 계량된 도공액을 도공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도공장치에서는, 그라비아롤에 대한 닥터 블레이드의 압접 상태가 롤 축심방향으로 균일하게 되도록 조정하는 작업이 필요하여, 이 닥터 블레이드의 조정작업을 위해 챔버 하방(下方)에 넓은 공간을 형성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챔버는, 그 길이방향 양단부(兩端部)가 한 쌍의 지지기구로 지지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02-177836호 공보
그러나, 일반적으로, 챔버는 수평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그 길이방향 양단부를 한 쌍의 지지기구로 지지하면, 길이방향 중도부(中途部)가 휘기 쉬워진다. 특히, 최근, 폭이 넓은 웨브(1500㎜를 초과하는 것)에 도공액을 도공하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어, 이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챔버의 길이방향의 치수가 길어지고 있으며, 챔버의 길이방향 중도부가 더욱 휘기 쉬워진다. 그러면, 양 사이드 실링에 의한 그라비아롤 외주면으로의 압접이나 액저류부에 저류되는 도공액의 액압의 영향, 또한, 온도 변화에 의한 휨이나 도공 후의 잔류변형에 의한 변형 등으로 인해 챔버가 평면에서 보아 활 모양으로 휘어 버려, 그라비아롤 외주면에 대한 닥터 블레이드의 접촉 상태가 챔버의 길이방향에서 불균일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그라비아롤 외주면에 대한 도공액의 부착량이 롤 회전축심방향으로 불균일하게 되어버려, 더 나아가, 웨브에 대해 도공액을 균일하게 부착시킬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또, 인쇄장치에 있어서도, 챔버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한 쌍의 지지기구로 지지하면, 마찬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웨브에 도공액이나 잉크 등 전사액을 전사하는 시에 웨브에 전사액을 균일하게 부착시킬 수 있고, 게다가, 챔버 주위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인쇄도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챔버의 길이방향 중도부에서 당해 챔버가 휘지 않게 되는 개량을 거듭하거나, 또는, 챔버의 휨을 교정하는 개량을 거듭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챔버의 액저류부에 저류되는 전사액에 일부가 잠긴 그라비아롤의 롤 지름방향 양측으로부터 닥터 블레이드와 실링 플레이트를 대향시켜 상기 그라비아롤에 압접시킴과 동시에, 한 쌍의 사이드 실링을 상기 그라비아롤의 축심방향 양측에 압접시켜 상기 액저류부가 밀폐된 인쇄도공장치를 대상으로 하며, 다음과 같은 해결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제 1 발명에서는, 상기 챔버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한 쌍의 지지수단으로 지지되며, 또한, 상기 챔버의 길이방향 중도부에는, 당해 챔버의 그라비아롤 반대측으로의 휨을 억제하는 휨 억제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휨 억제수단이란, 챔버의 길이방향 중도부가 휘기 어려워지는 구조나, 챔버의 길이방향 중도부가 휜 시에 그 휨을 교정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다.
제 2 발명에서는,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휨 억제수단은, 상기 챔버의 길이방향 중도부를 상기 그라비아롤측으로 누름 가능한 누름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에서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누름수단은, 챔버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동시에 그 양 연장 돌출단측이 상기 챔버 본체의 그라비아롤 반대측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챔버의 길이방향 중도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결합공(孔)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나사결합공에 나사결합되어, 나사전진시킴으로써 그 선단(先端)으로 상기 챔버를 누르는 나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에서는,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휨 억제수단은, 상기 챔버의 길이방향 중도부에서 당해 챔버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단면(斷面)의 단면계수가 상기 챔버의 길이방향에 걸친 전(全)영역 중에서 최대로 되는 단면형상의 구조(X)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발명에서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가늘고 긴 블록 형상의 챔버 본체와, 이 챔버 본체의 길이방향 중도부의 그라비아롤 반대측에 장착된 보강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구조(X)는, 상기 챔버에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가 장착된 부분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발명에서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적어도 길이방향 중도부의 그라비아롤 반대측에는, 상기 챔버의 길이방향이나, 또는, 상기 챔버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rib)부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구조(X)는, 상기 챔버에서 상기 돌조부를 포함하는 부분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발명에서는, 제 1에서 제 6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회전축심이 상기 챔버의 길이방향을 향하는 회전롤러가 회전 자유롭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수단에는, 상기 회전롤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챔버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수평방향으로 안내함으로써 상기 그라비아롤에 대해 상기 챔버를 접근·이격시키는 롤러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 발명에서는, 제 7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에는, 상기 그라비아롤에 대해 상기 챔버를 접근시키며, 또한, 상기 액저류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롤러를 상기 롤러 가이드부에 고정 가능한 롤러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 발명에서는, 제 7 또는 제 8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롤러 가이드부의 그라비아롤 반대측의 단부(端部)에는, 상기 그라비아롤에 대해 상기 챔버를 이격시킨 시, 상기 챔버의 액저류부측이 위를 향하도록 상기 챔버의 자세를 변경시키는 자세변경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 발명에서는, 제 1에서 제 9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복수의 분할체와, 이 각 분할체가 조합된 상태에서 분할부분을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에서는, 챔버 하방의 양 지지수단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당해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휨 억제수단에 의해 챔버의 휨을 억제함으로써 그라비아롤 외주면에 대한 전사액의 부착량이 롤 회전축심방향으로 불균일하게 되기 어려워지므로, 그라비아롤로 웨브에 전사액을 전사하는 시에 전사액을 롤 회전축심방향으로 균일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제 2 발명에서는, 누름수단에 의해 챔버의 길이방향 중도부를 그라비아롤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가령 챔버가 평면에서 보아 활 모양으로 휘었다 하더라도, 챔버의 휨을 교정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서는, 나사부재의 나사전진후퇴 동작에 의해, 챔버의 길이방향 중도부의 누름량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챔버의 길이방향 중도부가 그라비아롤로 향하는 이동량을 미세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제 4 발명에서는, 챔버의 길이방향 중도부가 그 구조상 구부러지기 어려워지므로, 챔버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한 쌍의 지지수단으로 지지한 상태여도 챔버가 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5 발명에서는, 간단한 장착 가공으로 챔버의 길이방향 중도부의 단면계수가 커지므로, 장치의 가공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제 6 발명에서는, 제 3 발명보다 부품 수가 적고 심플한 구조로 챔버의 길이방향 중도부의 단면계수를 크게 할 수 있다.
제 7 발명에서는, 작업자는, 챔버의 유지관리를 하는 시, 회전롤러에 의해 챔버를 그라비아롤로부터 간단하게 이격시킬 수 있는 한편, 유지관리가 종료되어 인쇄 또는 도공을 행하는 시, 회전롤러에 의해 챔버를 그라비아롤에 대해 간단하게 접근시킬 수 있으므로, 챔버 조작에 대한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게다가, 유지관리 시에 챔버가 그라비아롤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작업자는 안전하게 유지관리를 행할 수 있다.
제 8 발명에서는, 도공 또는 인쇄 시에, 그라비아롤에 대한 챔버의 위치가 정확하게 정해지므로, 챔버의 유지관리 후에도 웨브에 대해 전사액을 롤 회전축심방향으로 균일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제 9 발명에서는, 닥터 블레이드와 실링 플레이트가 위를 향하는 자세가 되므로, 작업자가 챔버에 장착된 닥터 블레이드와 실링 플레이트의 유지관리를 행하는 시, 유지관리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자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제 10 발명에서는, 분할부분에 실링부재가 개재하는 복수의 분할체로 이루어진 챔버는, 한번 휘면 실링부재의 점성 등에 의해 원래 상태(형상)로 돌아가기 어려우나, 이와 같은 챔버여도 휨 억제수단에 의해 챔버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도공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방향에서 본 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C-C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D-D선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챔버를 그라비아롤로부터 이격시키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3에 상당하는 도이다.
도 7은, 도 6 상태 후, 챔버를 그라비아롤로부터 이격시킨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a)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도공장치의 챔버를 배면측에서 본 도이며, 도 8(b)은, 도 8(a)의 E 방향에서 본 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도공장치의 챔버를 배면측에서 본 도이며, 도 9(b)는, 도 9(a)의 F-F선의 단면도이다.
도 10(a)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도공장치의 챔버를 배면측에서 본 도이며, 도 10(b)은, 도 10(a)의 G-G선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도공장치(1)를 나타낸다. 이 도공장치(1)는, 복수의 가이드롤(11)에 감아 걸려 상(上)방향으로 연속 반송되는 웨브(W)의 도공면에 대해 도공을 행하는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이격하여 구비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과, 이 사이드 프레임(2) 사이에 회전축심이 수평방향을 향하는 자세로 구비되며, 당해 양 사이드 프레임(2)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그라비아롤(3)을 구비하고, 이 그라비아롤(3)의 외주면에는, 도시하지 않는 다수의 셀이 오목형성된다.
상기 그라비아롤(3)의 롤 지름방향의 일방측(一方側)에는, 당해 그라비아롤(3)의 회전축심방향으로 연장되는 챔버(4)가 나열 구비되고, 이 챔버(4)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한 쌍의 지지기구(5)(지지수단)로 지지된다.
상기 챔버(4)는, 가늘고 긴 블록 형상이며, 또한, 상기 그라비아롤(3)측으로 개구하는 단면 거의 "U"자 형상의 챔버 본체(40)를 구비하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버 본체(40)의 내방(內方)은, 도공액(L)을 저류시키는 액저류부(4a)로 구성된다.
상기 챔버 본체(40)는, 상기 챔버(4)의 그라비아롤(3) 반대측을 구성하는 제 1 분할체(40a)와, 이 제 1 분할체(40a) 상부(上部)의 그라비아롤(3)측에 위치하는 제 2 분할체(40b)와, 상기 제 1 분할체(40a) 하부(下部)의 그라비아롤(3)측에 위치하는 제 3 분할체(40c)로 분할된다.
상기 제 1 분할체(40a) 상부의 상기 제 2 분할체(40b)와의 분할부분에는, 제 1 실링부재(9a)가 구비되어, 이 제 1 실링부재(9a)는, 상기 제 1 분할체(40a)와 제 2 분할체(40b)를 조합시킨 상태에서 그 사이를 실링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분할체(40a) 하부의 상기 제 3 분할체(40c)와의 분할부분에는, 제 2 실링부재(9b)가 구비되어, 이 제 2 실링부재(9b)는, 상기 제 1 분할체(40a)와 제 3 분할체(40c)를 조합시킨 상태에서 그 사이를 실링하게 된다. 여기서, 도 4의 제 1 및 제 2 실링부재(9a, 9b)는, 편의상, 과장하여 기재한다.
상기 제 2 분할체(40b)의 제 1 분할체(40a) 반대측에는, 판 형상을 이루는 수지제 닥터 블레이드(41)가 고정블록(40d)에 의해 하방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고정된다.
상기 닥터 블레이드(41)의 하단(下端)은, 상기 그라비아롤(3)의 외주면에 압접하여 상기 액저류부(4a)의 롤 회전방향 하류측을 실링함과 동시에, 상기 외주면에 부착되는 여분의 도공액(L)을 상기 그라비아롤(3)의 회전동작에 의해 긁어 내어 계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3 분할체(40c)의 제 1 분할체(40a) 반대측에는, 판 형상을 이루는 수지제 실링 플레이트(42)가 고정블록(40e)에 의해 상방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고정된다.
상기 실링 플레이트(42)는, 상기 닥터 블레이드(41)에 대향함과 동시에 상단이 상기 그라비아롤(3)의 외주면에 압접하여, 상기 액저류부(4a)의 롤 회전방향 상류측을 실링한다.
또한, 상기 챔버(4)의 회전축심방향 양단부에는, 수지제 사이드 실링(43)이 그라비아롤(3)에 대해 접근·이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양 사이드 실링(43)을 상기 그라비아롤(3)에 접근시켜 그 외주면에 압접시킴으로써, 상기 닥터 블레이드(41)와 상기 실링 플레이트(42)로 상기 액저류부(4a)를 밀폐함과 동시에, 액저류부(4a)에 저류되는 도공액(L)에 그라비아롤(3)의 일부가 잠기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공장치(1)는, 도시하지 않는 도공액 순환장치로 상기 액저류부(4a)에 저류되는 도공액(L)을 순환시키면서 상기 그라비아롤(3)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웨브(W)에 도공액(L)을 부착시키게 된다.
상기 챔버 본체(40)의 길이방향 중도부의 그라비아롤(3) 반대측에는, 상기 챔버 본체(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단면 거의 "T"자 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44)가 구비된다.
이 베이스 플레이트(44)는, 상기 챔버 본체(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또한, 일방(一方)의 면이 상기 챔버 본체(40)의 배면에 밀착하는 띠 형상의 제 1 판부(44a)와, 이 제 1 판부(44a)의 타방(他方)의 면의 상하방향 중도부로부터 챔버 본체(40) 반대측에 돌출되는 띠 형상의 제 2 판부(44b)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판부(44a)의 연장 돌출방향 양단측이 상기 챔버 본체(40)의 그라비아롤(3) 반대측의 중앙부분을 경계로 서로 이격한 위치에 각각 복수의 고정볼트(B1)에 의해 고정된다.
또, 상기 제 1 판부(44a)의 연장 돌출방향 양단부분에는, 작업자가 파지(把持) 가능한 손잡이부(44e)가 챔버 본체(40) 반대측에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판부(44a)의 상기 챔버(4)의 길이방향 중도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챔버(4)의 길이방향으로 이격하는 한 쌍의 제 1 나사결합공(44c)이 상기 제 1 판부(44a)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제 1 나사결합공(44c)에는, 나사부재(44d)가 나사전진·나사후퇴 가능하게 나사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4)와 상기 나사부재(44d)로 본 발명의 누름수단(12)(휨 억제수단)을 구성하며, 상기 나사부재(44d)를 나사전진시킴으로써 그 선단으로 상기 챔버 본체(40)의 연장 돌출방향 중도부를 그라비아롤(3)측으로 누르게 된다.
그리고, 챔버(4)의 길이방향 중도부의 그라비아롤(3) 반대측에는, 액저류부(4a)에 도공액(L)을 유출입시키는 유출입관(도시않음)이 접속되어, 상기 각 나사부재(44d)는, 당해 각 나사부재(44d) 및 이들을 조작하는 공구가 상기 유출입관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챔버(4)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그라비아롤(3) 반대측에는, L자 프레임(45)이 평면에서 보아 대칭이 되도록 한 쌍 구비된다.
이 L자 프레임(45)은, 상기 챔버(4)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단부로부터 튀어나오도록 연장되는 판 형상의 제 1 프레임(45a)과, 이 제 1 프레임(45a)과 교차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당해 제 1 프레임(45a)의 연장 돌출단에 연결된 판 형상의 제 2 프레임(45b)을 구비하고, 이 제 2 프레임(45b)의 외측면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심이 상기 챔버(4)의 길이방향을 향하는 회전 자유로운 회전롤러(46)가 상기 그라비아롤(3)의 회전축심방향과 교차하는 수평방향에 한 쌍 나열 구비된다.
또, 상기 제 1 프레임(45a)의 사이드 실링(4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한 쌍의 제 2 나사결합공(45c)이 상하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이 각 제 2 나사결합공(45c)에는, 조정볼트(B2)가 나사전진·나사후퇴 가능하게 나사결합하며, 이 조정볼트(B2)를 나사전진시켜 그 선단으로 사이드 실링(43)을 누름으로써, 그라비아롤(3) 외주면에 대한 사이드 실링(43)의 압접 상태를 조정 가능하게 된다.
상기 지지기구(5)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2)의 상부 내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그라비아롤(3)과 교차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레일(51)과, 외측면에 상기 슬라이드 레일(5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외측으로부터 감합(嵌合)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52a)를 갖는 슬라이드 플레이트(52)를 구비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2) 내측의 상기 슬라이드 레일(51) 하방에는, 피스톤 로드(53a)가 그라비아롤(3)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신축되는 유체압 실린더(53)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로드(53a)의 선단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52)의 외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53a)가 신축되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52)가 상기 사이드 프레임(2)에 대해 슬라이드하게 된다.
또, 상기 슬라이드 레일(51)의 그라비아롤(3)측의 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52)가 상기 그라비아롤(3)측으로 슬라이드한 시, 그 단부가 접촉하여 그 이상의 슬라이드를 저지하는 스토퍼(51a)가 장착된다.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52)의 내측면에는, 접속 플레이트(54)를 개재하여 롤러 지지유닛(6)이 구비된다.
이 롤러 지지유닛(6)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라비아롤(3)과 교차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꺼운 거의 판 형상의 지지 플레이트(61)를 구비하고, 이 지지 플레이트(61)의 상단에는, 하방으로 패임과 동시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61)를 따라 연장되는 롤러 가이드부(61a)가 형성된다.
이 롤러 가이드부(61a) 상면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롤러 가이드부(61a)를 따라 연장되는 오목홈(61b)이 오목형성된다.
이 오목홈(61b)은,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46)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챔버(4)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수평방향으로 안내함으로써, 상기 그라비아롤(3)에 대해 상기 챔버(4)를 접근·이격시키게 된다.
상기 롤러 가이드부(61a)의 그라비아롤(3) 반대측의 단부에는, 상기 롤러 가이드부(61a)보다 더욱 깊게 패이는 세로로 긴 오목부(61c)(자세변경부)가 형성되어, 상기 그라비아롤(3)에 대해 상기 챔버(4)를 이격시킴과 동시에, 상기 각 회전롤러(46)를 상기 세로로 긴 오목부(61c)에 차례로 끼워 넣어 상하로 나열하도록 하면, 상기 액저류부(4a)가 위를 향하도록 상기 챔버(4)의 자세가 변경되게 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61)의 상방에는, 상기 챔버(4)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롤러 고정부재(62)가 구비되며, 이 롤러 고정부재(62)의 그라비아롤(3)측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61) 상면의 그라비아롤(3)측으로 상방 돌출형성된 돌출 플레이트(61d)에 챔버(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축(支軸)(63)에 의해 회동(pivot)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상기 롤러 고정부재(62)의 중도부 및 그라비아롤(3) 반대측에는, 각각 제 1 돌출부(62a) 및 제 2 돌출부(62b)가 하방을 향해 돌출형성된다.
또, 상기 롤러 고정부재(62)의 상기 제 1 돌출부(62a)가 형성되는 부분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장착공(62c)이 관통형성되고, 이 장착공(62c)에는 고정용 핀(P1)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감합삽입된다.
또한, 상기 롤러 가이드부(61a)의 중도부에는, 상기 고정용 핀(P1)의 선단측이 감합 가능한 감합오목부(61e)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 고정부재(62)를 그라비아롤(3)측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그라비아롤(3)에 대해 상기 챔버(4)를 접근시킴과 동시에 상기 액저류부(4a)를 밀폐시키며, 또한, 상기 롤러 고정부재(62)를 그라비아롤(3) 반대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62a, 62b)의 돌출단이 상기 롤러 가이드부(61a)에 접촉함과 동시에, 당해 롤러 가이드부(61a)의 그라비아롤(3)측의 단부와 상기 제 1 돌출부(62a)와의 사이, 및,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62a, 62b)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1, S2)에 한 쌍의 회전롤러(46)가 각각 감합되게 된다. 그리고, 고정용 핀(P1)을 하방으로 슬라이드시켜 그 선단을 상기 감합오목부(61e)에 감합시킴으로써, 상기 각 회전롤러(46)가 상기 롤러 고정부재(62)에 의해 상기 롤러 가이드부(61a)에 고정되게 된다.
또, 유체압 실린더(53)의 피스톤 로드(53a)를 수축시키면, 챔버(4)를 지지하는 지지기구(5)가 슬라이드 플레이트(52)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그라비아롤(3) 반대측으로 이동하므로, 그라비아롤(3)과 챔버(4)와의 사이에 큰 공간이 형성되어 그라비아롤(3)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도공장치(1)의 챔버(4)의 유지관리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가동 중의 도공장치(1)를 정지시키고, 그 후, 도 3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고정용 핀(P1)을 상방으로 슬라이드시켜 그 선단을 감합오목부(61e)로부터 뺀다.
이어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 고정부재(62)를 그라비아롤(3) 반대측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각 회전롤러(46)의 롤러 가이드부(61a)로의 고정이 해제된다.
그 후, 작업자는, 손잡이부(44e)를 쥐어 챔버(4)를 그라비아롤(3) 반대측으로 잡아 당긴다. 그러면, 각 회전롤러(46)가 각 롤러 가이드부(61a)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챔버(4)가 상기 그라비아롤(3)로부터 이격한다.
또한, 작업자는, 챔버(4)를 롤러 가이드부(61a)의 그라비아롤(3) 반대측의 단부까지 이동시킨 후, 상기 각 회전롤러(46)를 상기 세로로 긴 오목부(61c)에 차례로 끼워 넣는다. 그러면, 상기 액저류부(4a)가 위를 향하도록 상기 챔버(4)의 자세가 변경된다. 이와 같이, 닥터 블레이드(41)와 실링 플레이트(42)가 위를 향하는 자세가 되므로, 작업자가 챔버(4)에 장착된 닥터 블레이드(41)와 실링 플레이트(42)의 유지관리를 행하는 시, 유지관리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자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작업자는, 챔버(4)의 유지관리가 끝나면, 손잡이부(44e)를 쥐어 챔버(4)를 상방으로 잡아 올리며, 또한, 액저류부(4a)측이 그라비아롤(3)측을 향하도록 챔버(4)의 자세를 변경시켜, 롤러 가이드부(61a)에 각 회전롤러(46)를 올린다.
그 후, 작업자는, 챔버(4)를 그라비아롤(3)측으로 누른다. 그러면, 각 회전롤러(46)가 각 롤러 가이드부(61a)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챔버(4)가 상기 그라비아롤(3)에 접근함과 동시에, 닥터 블레이드(41), 실링 플레이트(42) 및 각 사이드 실링(43)이 그라비아롤(3) 외주면에 접촉하여 액저류부(4a)가 밀폐된다.
그리고, 롤러 고정부재(62)를 그라비아롤(3)측으로 회동시킴과 동시에 고정용 핀(P1)을 하방으로 슬라이드시켜 그 선단을 감합오목부(61e)에 감합시킨다. 그러면, 공간(S1, S2)에 한 쌍의 회전롤러(46)가 감합되어 챔버(4)가 상기 롤러 가이드부(61a)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공 시에, 그라비아롤(3)에 대한 챔버(4)의 위치가 정확하게 정해지므로, 챔버(4)의 유지관리 후에도 웨브(W)에 대해 도공액을 롤 회전축심방향으로 균일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챔버(4)의 유지관리를 하는 시, 회전롤러(46)에 의해 챔버(4)를 그라비아롤(3)로부터 간단하게 이격시킬 수 있는 한편, 유지관리가 종료되어 도공을 행하는 시, 회전롤러(46)에 의해 챔버(4)를 그라비아롤(3)에 대해 간단하게 접근시킬 수 있으므로, 챔버(4)의 조작에 대한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게다가, 유지관리 시에 챔버(4)가 그라비아롤(3)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작업자는 안전하게 유지관리를 행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챔버(4) 하방의 양 지지기구(5)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당해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누름수단(12)에 의해 챔버(4)의 휨을 억제함으로써 그라비아롤(3) 외주면에 대한 도공액의 부착량이 롤 회전축심방향으로 불균일하게 되기 어려워지므로, 그라비아롤(3)로 웨브(W)에 도공액을 도공하는 시에 도공액을 롤 회전축심방향으로 균일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또, 누름수단(12)에 의해 챔버(4)의 길이방향 중도부를 그라비아롤(3)으로 향해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가령 챔버(4)가 평면에서 보아 활 모양으로 휘었다 하더라도, 챔버(4)의 휨을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나사부재(44d)의 나사전진후퇴 동작에 의해, 챔버(4)의 길이방향 중도부의 누름량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챔버(4)의 길이방향 중도부가 그라비아롤(3)로 향하는 이동량을 미세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분할부분에 실링부재(9a, 9b)가 개재하는 제 1, 제 2 및 제 3 분할체(40a, 40b, 40c)로 이루어진 챔버(4)는, 한번 휘면 실링부재(9a, 9b)의 점성 등에 의해 원래 상태(형상)로 돌아가기 어려우나, 이와 같은 챔버(4)여도 누름수단(12)에 의해 챔버(4)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8(a), (b)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도공장치(1)의 챔버(4)를 나타낸다.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챔버(4)의 구조의 일부가 제 1 실시형태와 다를 뿐이고 그 밖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이하,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의 챔버 본체(40)의 길이방향 중도부의 그라비아롤(3) 반대측에는, 상기 챔버 본체(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강 플레이트(47)가 장착된다.
상기 챔버(4)에 있어서 이 보강 플레이트(47)가 장착된 부분의 구조(X1)(휨 억제수단)는, 상기 챔버(4)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단면의 단면계수가 챔버(4)의 길이방향에 걸친 전(全)영역 중에서 최대로 되는 단면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구조(X1)에 의해 챔버(4)의 길이방향 중도부가 그 구조상 구부러지기 어려워지므로, 챔버(4)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한 쌍의 지지기구(5)로 지지한 상태여도 챔버(4)가 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간단한 장착 가공으로 챔버(4)의 길이방향 중도부의 단면계수가 커지므로, 도공장치(1)의 가공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9(a), (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도공장치(1)의 챔버(4)를 나타낸다. 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보강 플레이트(47)의 구조가 제 2 실시형태와 다를 뿐이고 그 밖에는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이하, 제 2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제 3 실시형태의 보강 플레이트(47)는, 상기 챔버(4)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단면이 거의 "H" 형상을 이루고, 상하의 면에 각각 챔버(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홈(47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의 보강 플레이트(47)는, 제 2 실시형태의 보강 플레이트(47)와는 단면형상이 다르나,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챔버(4)의 길이방향 중도부가 그 구조상 구부러지기 어려워지므로, 챔버(4)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한 쌍의 지지기구(5)로 지지한 상태에서 챔버(4)가 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0(a), (b)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도공장치(1)의 챔버(4)를 나타낸다. 이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챔버(4)의 구조의 일부가 제 1 실시형태와 다를 뿐이고 그 밖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이하,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제 4 실시형태의 제 1 분할체(40a)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분할체(40a)보다 그라비아롤(3) 반대측으로 두께가 증가하고, 그 그라비아롤(3) 반대측의 면에는,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오목홈(47b)이 챔버(4)의 길이방향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4개 형성된다.
즉, 상기 4개의 오목홈(47b) 사이에는, 상기 챔버(4)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돌조부(47c)가 형성되고, 상기 챔버(4)에 있어서 3개 중 중앙에 위치하는 돌조부(47c)를 포함하는 부분의 구조(X2)(휨 억제수단)는, 챔버(4)의 길이방향 중도부에 위치하며, 그 상기 챔버(4)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단면의 단면계수가 챔버(4)의 길이방향에 걸친 전영역 중에서 최대로 되는 단면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2, 제 3 실시형태의 발명보다 부품 수가 적고 심플한 구조로 챔버(4)의 길이방향 중도부의 단면계수를 크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서는, 돌조부(47c)가 챔버(4)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나, 챔버(4)의 길이방향 중도부의 단면계수가 챔버(4)의 길이방향에 걸친 전영역 중에서 최대치가 된다면, 돌조부(47c)는 챔버(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제 1∼4 실시형태에서는, 챔버(4)의 길이방향의 각 단부에 각각 2개의 회전롤러(46)가 구비되나, 1개의 회전롤러(46)만 구비하여도 되고, 3개 이상의 회전롤러(46)를 구비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4 실시형태에서는, 챔버(4)가 분할 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일체구조의 챔버(4)여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제 1∼4 실시형태에서 도공장치(1)에 적용한 구조는, 웨브(W)에 잉크로 인쇄를 행하는 인쇄장치에도 유용(流用)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연속 반송되는 웨브에 도공액이나 잉크 등 전사액을 전사하는 인쇄도공장치에 적합하다.
1 : 도공장치 3 : 그라비아롤
4 : 챔버 4a : 액저류부
5 : 지지기구(지지수단) 9a, 9b : 실링부재
12 : 누름수단(휨 억제수단) 40 : 챔버 본체
40a : 제 1 분할체 40b : 제 2 분할체
40c : 제 3 분할체 41 : 닥터 블레이드
42 : 실링 플레이트 43 : 사이드 실링
44 : 베이스 플레이트 44c : 제 1 나사결합공
44d : 나사부재 46 : 회전롤러
47 : 보강 플레이트 47c : 돌조부
61a : 롤러 가이드부 61c : 세로로 긴 오목부(자세변경부)
62 : 롤러 고정부재 L : 도공액(전사액)
X1, X2 : 구조(휨 억제수단)

Claims (10)

  1. 챔버(chamber)의 액저류부에 저류되는 전사액에 일부가 잠긴 그라비아롤(gravure roll)의 롤 지름방향 양측(兩側)으로부터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와 실링 플레이트(sealing plate)를 대향시켜 상기 그라비아롤에 압접(壓接)시킴과 동시에, 한 쌍의 사이드 실링(side sealing)을 상기 그라비아롤의 양단부로 압접시킴으로써 상기 액저류부가 밀폐되어 있는 인쇄도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가늘고 긴 블록 형상의 챔버 본체; 및,
    띠 형상의 판부를 가지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챔버 본체의 길이방향 양단부(兩端部)는, 한 쌍의 지지수단으로 지지되며,
    상기 판부의 양단측이, 상기 챔버 본체의 중앙부분을 경계로 상기 챔버 본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챔버 본체의 길이방향 중도부(中途部)의 그라비아롤 반대측에, 당해 챔버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판부의 길이방향 중도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나사결합공에 나사부재가 나사결합되되, 상기 나사부재의 선단으로 상기 챔버를 누르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도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회전축심이 상기 챔버의 길이방향을 향하는 회전롤러가 회전 자유롭게 구비되어,
    상기 지지수단에는, 상기 회전롤러를 하방(下方)으로부터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챔버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수평방향으로 안내함으로써 상기 그라비아롤에 대해 상기 챔버를 접근·이격시키는 롤러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도공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에는, 상기 그라비아롤에 대해 상기 챔버를 접근시키며, 또한, 상기 액저류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롤러를 상기 롤러 가이드부에 고정 가능한 롤러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도공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롤러 가이드부의 그라비아롤 반대측의 단부(端部)에는, 상기 그라비아롤에 대해 상기 챔버를 이격시킨 때, 상기 챔버의 액저류부측이 위를 향하도록 상기 챔버의 자세를 변경시키는 자세변경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도공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복수의 분할체와, 이 각 분할체가 조합된 상태에서 분할부분을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도공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7030761A 2014-06-10 2015-05-28 인쇄도공장치 KR1019256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19199A JP6366371B2 (ja) 2014-06-10 2014-06-10 印刷塗工装置
JPJP-P-2014-119199 2014-06-10
PCT/JP2015/002706 WO2015190055A1 (ja) 2014-06-10 2015-05-28 印刷塗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921A KR20160140921A (ko) 2016-12-07
KR101925699B1 true KR101925699B1 (ko) 2018-12-05

Family

ID=54833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761A KR101925699B1 (ko) 2014-06-10 2015-05-28 인쇄도공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66371B2 (ko)
KR (1) KR101925699B1 (ko)
CN (1) CN106457819B (ko)
WO (1) WO20151900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728B1 (ko) * 2017-03-29 2021-01-0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도공 장치 및 도공막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5984A (ja) * 2003-04-10 2004-11-04 Tdk Corp バー塗布装置
JP2005225064A (ja) * 2004-02-12 2005-08-25 Canon Inc 液体塗布装置、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2767A (ja) * 1997-07-29 1999-02-16 Toppan Printing Co Ltd グラビア印刷機のインキチャンバー
JPH11300934A (ja) * 1998-04-22 1999-11-02 Shinko:Kk インキチャンバー装置
DE19848773C2 (de) * 1998-10-22 2002-11-28 Windmoeller & Hoelscher Vorrichtung zum Anstellen und Entfernen einer Farbkammerrakel an die Rasterwalze einer Druckmaschine
JP2001087697A (ja) * 1999-09-27 2001-04-03 Konica Corp バー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
CN2573224Y (zh) * 2002-09-23 2003-09-17 长声工业股份有限公司 印刷机的刮刀拭墨装置密封垫结构改良
JP4912193B2 (ja) * 2007-03-19 2012-04-11 株式会社トーモク インキ供給装置
CN201143792Y (zh) * 2008-01-16 2008-11-05 佛山市南海东方纸箱机械实业有限公司 纸箱印刷开槽机印刷单元单刮刀装置
JP5735300B2 (ja) * 2011-02-17 2015-06-17 富士機械工業株式会社 グラビア塗工装置
CN202498822U (zh) * 2012-01-12 2012-10-24 上海圣龙包装设备有限公司 用于水性印刷机的恒压翻转式刮刀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5984A (ja) * 2003-04-10 2004-11-04 Tdk Corp バー塗布装置
JP2005225064A (ja) * 2004-02-12 2005-08-25 Canon Inc 液体塗布装置、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57819B (zh) 2019-04-05
JP6366371B2 (ja) 2018-08-01
WO2015190055A1 (ja) 2015-12-17
CN106457819A (zh) 2017-02-22
KR20160140921A (ko) 2016-12-07
JP2015231697A (ja) 2015-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48645A (zh) 印刷机的印刷装置
US7677174B2 (en) Method for cleaning an anilox inking unit
KR101925699B1 (ko) 인쇄도공장치
US20090272284A1 (en) Assemblies in the printing unit of a rotary press
US8001895B2 (en) Inking unit of a rotary press, comprising a film roller
ES2952880T3 (es) Sistema de soporte de cuchilla rascadora
US9669614B2 (en) Printing unit
US8695499B2 (en) Method for setting up an ink fountain of a printing press and printing press having an ink fountain
US20070062387A1 (en) Inking and doctor unit for a rotogravure print and spread assembly
US8007090B2 (en) Ink-supply cartridge for printer roll
CN110709248B (zh) 具有可互换印刷套筒的印刷单元
GB2428022A (en) Moistening device for an offset roller of a printing press
KR20170063546A (ko) 블레이드 장치 및 그 블레이드 장치를 구비한 인쇄기, 코팅 장비
US11806985B2 (en) Device for applying a fluid to a roller
CN101384434A (zh) 具有至少两个配合工作的滚筒及能够进行径向调整的轴承单元的印刷装置
KR101090096B1 (ko) 스트립 실링 게이트
JP2013019441A (ja) 潤滑剤供給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運動案内装置
TWI695908B (zh) 用於在真空中的一可撓性基板之連續處理的設備及其方法
KR20130058503A (ko) 오프셋인쇄장치
EP3789198A1 (en) Printing apparatus
KR20000058115A (ko) 인쇄기용 잉크통 블레이드
US20130047876A1 (en) Doctor blade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ITUA20163914A1 (it) Racla per macchina da stampa e suo montaggio
DE102010043971B4 (de) Verfahren zum Einstellen eines sich längs zwischen einer Walze und einem in seiner Axialrichtung nebeneinander mit mehreren Druckformen belegbaren Formzylinder erstreckenden Abstandes
JP6444790B2 (ja)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に用いられるブラン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