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663B1 - 곡립 건조 설비 - Google Patents

곡립 건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663B1
KR101925663B1 KR1020147012985A KR20147012985A KR101925663B1 KR 101925663 B1 KR101925663 B1 KR 101925663B1 KR 1020147012985 A KR1020147012985 A KR 1020147012985A KR 20147012985 A KR20147012985 A KR 20147012985A KR 101925663 B1 KR101925663 B1 KR 101925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t air
hot
warming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2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1873A (ko
Inventor
히로타 후지토모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Publication of KR20140081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 F26B23/002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recovered from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solely by gravity, i.e. the material moving through a substantially vertical drying enclosure, e.g. shaft
    • F26B17/1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solely by gravity, i.e. the material moving through a substantially vertical drying enclosure, e.g. shaft the materials moving through a counter-current of gas
    • F26B17/14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solely by gravity, i.e. the material moving through a substantially vertical drying enclosure, e.g. shaft the materials moving through a counter-current of gas the gas being supplied and optionally extracted through ducts extending into the moving stack of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6Grains, e.g. cereals, wheat, rice, co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바이오매스 연소로에서 생성한 바이오매스 연소 열풍의 열에너지를 유효 활용할 수 있는 곡립 건조 설비를 제공한다.
바이오매스 연료의 연소열과 외부로부터 유입한 외기를 기초로 하여 열풍을 생성하는 열교환기 (24) 를 구비한 바이오매스 연소로 (3) 와, 그 바이오매스 연소로 (3) 에서 생성한 열풍이 열풍 공급 배관 (15) 을 통해 공급되는 곡립 건조부 (7) 를 구비한 순환식 곡립 건조기 (2) 를 갖는 곡립 건조 설비 (1) 에 있어서, 상기 순환식 곡립 건조기 (2) 는, 상기 곡립 건조부 (7) 에 복수의 가온관 (6a) 을 구비하고, 가온관 (6a) 에 상기 바이오매스 연소로 (3) 로부터의 배풍 열풍이 배풍 열풍 공급 배관 (11) 을 통해 공급된다.

Description

곡립 건조 설비{GRAIN-DRYING FACILITY}
본 발명은, 왕겨 (벼) 등의 바이오매스 연료를 연소로에서 연소하고, 이것에 의해 생성된 열풍 및 배풍을 사용하여 곡립을 건조시키는 곡립 건조 설비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곡립 건조 설비로서, 연소로에서 바이오매스 연료의 하나인 왕겨를 연소시키고, 발생된 열풍을 열교환기에 공급하고, 그 열교환기에서, 유입한 외기를 가온하여 열풍을 생성하고, 나아가 이 열풍에 등유 버너로 생성한 보조 열풍을 가하여 곡립 건조기에 공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열풍은, 외기를 혼합함으로써 온도 조정되고, 건조풍으로서 곡립 건조기에 공급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190380호
그러나, 상기 곡립 건조 설비에 있어서는, 바이오매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로 (이하, 바이오매스 연소로) 에서 생성시킨 열풍 (바이오매스 연소 열풍) 은 그 열량의 일부가 열교환기에서 소비되지만, 열에너지를 남겨둔 상태로 배풍되어 버리므로, 배풍에 남은 열에너지를 유효 활용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바이오매스 연소로에서 생성한 바이오매스 연소 열풍의 열에너지를 유효 활용할 수 있는 곡립 건조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는 것이다.
이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이 해결되었다.
본 발명의 곡립 건조 설비는, 청구항 1 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바이오매스 연료의 연소열과 외부로부터 유입한 외기를 기초로 하여 열풍을 생성하는 열교환기 (24) 를 구비한 바이오매스 연소로 (3) 와,
그 바이오매스 연소로 (3) 에서 생성한 열풍이 열풍 공급 배관 (15) 을 통해 공급되는 곡립 건조부 (7) 를 구비한 순환식 곡립 건조기 (2) 를 갖는 곡립 건조 설비 (1) 에 있어서,
상기 순환식 곡립 건조기 (2) 는, 상기 곡립 건조부 (7) 에 표면으로부터 열을 방사하는 복수의 가온관 (6a) 을 갖는다. 각 가온관 (6a) 은 일단의 공급측 개구부 (6b) 를 상기 바이오매스 연소로 (3) 로부터의 배풍 열풍 공급 배관 (11) 에 연통시키고, 타단의 배풍측 개구부 (6c) 를 배풍팬 (14) 에 의한 흡인부에 연통시킨다는 기술적 수단을 사용하였다.
또, 청구항 2 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곡립 순환 탱크 (5) 내에 곡립 건조부 (7) 와는 별개로 곡립을 가온하는 가온부 (6) 를 형성하고 이 부분에 복수의 가온관 (6g) 을 배치한다는 기술적 수단을 사용하였다.
순환식 곡립 건조기 (2) 내의 곡립은 곡립 건조부 (7) 에 도달하기 전에 가온부 (6) 의 가온관 (6g) 이 방사하는 열에 의해 예열되므로, 곡립 건조 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청구항 3 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가온부 (6) 의 가온관 (6g) 내부를 흐르는 배풍 열풍의 온도와 곡립 건조부 (7) 의 가온관 (6a) 내부를 흐르는 배풍 열풍의 온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기술적 수단을 사용하였다. 가온부 (6) 에서의 가온관 (6g) 을 통한 배풍 열풍에 의한 곡립 가온 작용과 곡립 건조부 (7) 에 있어서의 열풍동 (熱風胴) 내에 있어서의 가온관 (6a) 을 통한 가온 작용은 상이하므로, 각각에 그 차이에 따른 합리적인 온도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 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곡립 건조부 (7) 와 호퍼부 (8b) 에 각각 복수의 가온관 (6a, 6h) 을 배치 형성한다는 기술적 수단을 사용하였다.
곡립 건조부 (7) 로부터 배출되어 순환 과정으로 이동 도중의 곡립이 호퍼부 (8b) 의 지점에서 냉각되는 것을 예방하고, 또 배풍팬 (14) 에 의해 호퍼부 (8b) 로부터 흡인되는 공기류에 의해 곡립 건조부 (7) 하부의 통풍 열풍 (통풍동 (通風胴) (7a) 과 배풍동 (排風胴) (7b) 사이를 통과하는 열풍) 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 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가온부 (6) 와 곡립 건조부 (7) 와 호퍼부 (8b) 에 각각 복수의 가온관 (6g, 6h) 을 배치 형성한다는 기술적 수단을 사용하였다. 가온부 (6) 에서 예열된 곡립을 곡립 건조부 (7) 에서 고능률로 건조시키고, 또 곡립 순환시의 호퍼부 (8b) 에 있어서 곡립이 호퍼부 (8b) 에 노출되거나 혹은 배풍팬 (18) 에 의한 곡립 건조부 (7) 바닥부로부터의 공기 흡인이 있어도 이것에 의해 곡립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 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열풍 공급 배관 (15) 및 배풍 열풍 공급 배관 (11) 에는, 공급 풍량을 조절하는 풍량 조절부 (11a, 15a) 를 구비한다는 기술적 수단을 사용하였다.
또한, 청구항 7 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열풍 공급 배관 (15) 및 배풍 열풍 공급 배관 (11) 에는,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 유입부 (12, 16) 를 구비함과 함께, 그 외기 유입부 (12, 16) 에는 외기 유입량 조절부 (12a, 16a) 를 구비한다는 기술적 수단을 사용하였다.
또한, 청구항 8 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곡립 건조부 (7) 에는, 공급된 열풍의 온도를 측정하는 건조부 온도 센서 (7h) 를 구비하는 한편, 그 건조부 온도 센서 (7h) 로 측정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풍량 조절부 (15a) 및 외기 유입량 조절 부재 (16a) 를 구동하여 상기 열풍의 공급 풍량 및 외기 유입량을 조절하는 제어부 (4) 를 구비한다는 기술적 수단을 사용하였다.
또한, 청구항 9 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배풍 열풍 공급 배관 (11) 의 배풍 열풍 도입구 (6e) 부근에는, 공급된 배풍 열풍의 온도를 측정하는 배풍 열풍 온도 센서 (6f) 를 구비하는 한편, 그 배풍 열풍 온도 센서 (6f) 로 측정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풍량 조절부 (11a) 및 외기 유입부 (12a) 를 구동하여 배풍 열풍의 공급 풍량과 외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제어부 (4) 를 구비한다는 기술적 수단을 사용하였다.
또한, 청구항 10 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일단이 배풍 열풍 공급 배관 (11) 에 연통되는 가온관 (6a, 6g, 6h) 의 타단측에 배풍팬을 배치한다는 기술적 수단을 사용하였다.
이것에 의해, 가온관 (6a, 6g, 6h) 에 있어서의 배풍 열풍의 유통을 촉진하고, 가온관 (6a, 6g, 6h) 으로부터의 열방사량을 조정 가능하게 한다.
또, 청구항 11 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배풍 열풍 공급 배관 (11) 에는, 상기 배풍 열풍을 가온관 (6a, 6g, 6h) 에 공급하지 않고, 유로 전환 밸브 (11c) 를 개재하여 상기 배풍팬 (14) 에 공급하는 바이패스 관로 (11b) 를 배치 형성한다는 기술적 수단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곡립 건조 설비는, 바이오매스 연소로에서 생성시킨 바이오매스 연소열 (바이오매스 연소 열풍) 을 사용하여 열교환기에서 열풍을 생성하고, 그 열풍을, 순환식 곡립 건조기에 있어서의 곡립 건조용 열풍으로서 공급함과 함께, 상기 열교환기에서 사용한 후의 열에너지를 남긴 바이오매스 연소 열풍 (배풍) 에 대해서도, 복수의 가온관 (6a, 6g, 6h) 을 사용하여 그 열에너지를 표면으로부터 방사시켜 이용하고, 곡립 건조부 (7) 의 열풍 온도를 간접적으로 조정하거나, 혹은 곡립 건조부 (7) 와는 별개로 형성하는 가온부 (6) 에 배치한 복수의 가온관 (6g) 으로부터 방사시키는 열에 의해, 곡립을 직접적으로 가온하거나 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바이오매스 연소열의 열에너지를 허비하지 않고 곡립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유효 활용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순환식 곡립 건조기는 곡립 건조부 (7) 의 열풍동 (7a) 에 배치한 가온관 (6a) 의 방사열에 의한 가온을 베이스로 하여 열풍 온도를 템퍼링 곡립 건조에 적합한 온도로 조정하기 쉬워, 템퍼링 건조를 순조롭게 실시할 수 있다. 또, 곡립 건조부 (7) 와는 별개로, 곡립 순환 탱크 (5) 의 내부에 곡립 가온부 (6) 를 구비하고, 가온관 (6g) 의 방사열에 의한 가온 작용에 의해 곡립 내부의 수분을 미리 곡립의 표면측으로 이동시키므로, 곡립 건조부 (7) 에서 통풍 건조시킬 때의 건조 효율이 좋고, 건조 시간도 단축화할 수 있다. 또한, 하부의 호퍼부 (8b) 에 가온관 (6h) 이 배치 형성되는 구조에서는, 호퍼부 (8b) 의 내부가 가온되므로, 순환식 곡립 건조기 (1) 를 순환하는 곡립의 온도나 곡립 건조부 (7) 에 있어서의 통풍 열풍의 온도가 호퍼부 (8b) 로부터 흡인되는 기류에 의해 저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건조용 열풍을 생성하기 위하여 등유 버너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적은 에너지에 의한 곡립 건조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곡립 건조 설비 (실시예 1) 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곡립 건조 설비 (실시예 1) 에 있어서의 순환식 곡립 건조기의 A-A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곡립 건조 설비 (실시예 2) 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곡립 건조 설비 (실시예 2) 에 있어서의 순환식 곡립 건조기의 A-A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곡립 건조 설비 (실시예 3) 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곡립 건조 설비 (실시예 3) 에 있어서의 순환식 곡립 건조기의 A-A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곡립 건조 설비 (실시예 4) 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곡립 건조 설비 (실시예 4) 에 있어서의 순환식 곡립 건조기의 A-A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곡립 건조 설비에 있어서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과 도 2 는, 실시예 1 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곡립 건조 설비 (1) 이며, 순환식 곡립 건조기 (2), 바이오매스 연소로 (3) 및 제어부 (4) (도 7) 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순환식 곡립 건조기 (2) :
상기 순환식 곡립 건조기 (2) 는, 곡립 저류 순환 탱크 (5), 곡립 건조부 (7) (도 2) 및 곡립 취출부 (8) 를 순차적으로 겹쳐서 형성한 본체부 (9) 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곡립 취출부 (8) 로부터 배출한 곡립을 곡립 저류 순환 탱크 (5) 에 환류하는 승강기 (10) 를 구비한다. 부호 6a 는 가온관이며, 이 실시예 1 에 있어서는, 곡립 건조부 (7) 의 열풍동 (7a) 을 관통하여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온관 (6a) 은, 그 배치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곡립 저류 순환 탱크 (5) 의 상부에는 곡립 공급 비산 장치 (10b) 를 형성하고, 또 상기 승강기 (10) 의 배출측 (10a) 은, 배출된 곡립이 환류하도록, 관로 (10c) 를 통해 상기 곡립 공급 비산 장치 (10b) 와 연통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승강기 (10) 의 공급측 (10d) (도 2) 은, 상기 곡립 취출부 (8) 의 배출측 (8a) 과 연통되어 있다.
상기 가온관 (6a) 은, 복수 개 (실시예 1 에 있어서 8 개, 도 2) 로서, 각각이 열풍동 (7a) 을, 본체부 (9) 의 곡립 건조부 (7) 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해 수평 상태로, 또한 상하로 나란히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 가온관 (6a) 에 있어서의 공급측 개구부 (6b) 와 배출측 개구부 (6c) 는, 모두 본체부 (9) 의 외측으로 개방시켜 구성한다 (도 1). 상기 본체부 (9) 에는, 상기 공급측 개구부 (6b) 전부를 둘러싸도록 배풍 열풍 공급 커버 부재 (6d)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풍 열풍 공급 커버 부재 (6d) 에는 배풍 열풍 도입구 (6e) 를 형성하고, 그 배풍 열풍 도입구 (6e) 에는, 후술하는 바이오매스 연소로 (3) 로부터 배풍된 배풍 열풍을 공급하는 관로 (11) (배풍 열풍 공급 배관) 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배풍 열풍 공급 커버 부재 (6d) 의 내부로서, 배풍 열풍 공급 배관 (11) 의 배풍 열풍 도입구 (6e) 부근에는, 공급된 배풍 열풍의 온도를 측정하는 배풍 열풍 온도 센서 (6f) (도 1)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그 배풍 열풍 온도 센서 (6f) 는, 후술하는 제어부 (4) 에 그 온도 측정값이 송신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관로 (11) 의 내부에는, 상기 배풍 열풍의 풍량을 조절하는 풍량 조절 댐퍼 (11a) (풍량 조절부)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관로 (11) 는, 상기 풍량 조절 댐퍼 (11a) 를 형성한 위치와 배풍 열풍 도입구 (6e) 사이의 위치에는 외기 도입관 (12) (외기 유입부) 을 접속하는 한편, 상기 외기 도입관 (12) 의 내부에, 유로를 개폐 조절하는 외기 유입 댐퍼 (12a) (외기 유입량 조절부)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풍량 조절 댐퍼 (11a) 및 외기 유입 댐퍼 (12a) 는, 후술하는 제어부 (4) 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자동적으로 개폐 조정되어 풍량 조절할 수 있는 자동 유로 개폐 댐퍼 등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각 가온관 (6a) 의 모든 배출측 개구부 (6c) 는, 상기 본체부 (9) 에 배치 형성한 배풍 커버 (13) 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되어 있다. 또, 그 배풍 커버 (13) 에는 배풍팬 (14) 을 형성한다.
상기 관로 (11) 에는 바이패스 관로 (11b)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바이패스 관로 (11b) 는, 상기 관로 (11) 에 있어서의 임의 위치와 상기 배풍 커버 (13) 를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이 바이패스 관로 (11b) 는, 바이오매스 연소로 (3) 에 있어서 연소 개시 초기의 배풍 열풍이 상기 가온관 (6a) 에 통풍되지 않도록, 가온관 (6a) 의 지점을 바이패스시켜 통풍시키기 위한 것이다. 바이패스 관로 (11b) 를 통과한 연소 초기의 배풍 열풍은, 배풍 커버 (13) 내로부터 배풍팬 (14) 에 의해 외부에 배기된다. 상기 관로 (11) 의 내부에 있어서, 바이패스 관로 (11b) 를 접속한 위치의 하류측 위치에는 유로 전환 댐퍼 (유로 전환 밸브) (11c) 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 전환 댐퍼 (11c) 는, 후술하는 제어부 (4) 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자동적으로 유로를 전환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곡립 건조부 (7) 는, 열풍동 (7a), 배풍동 (7b) 및 곡립류 하층 (7c) 을 각각 복수 구비한다. 상기 열풍동 (7a) 은, 구멍이 있는 철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1 쌍의 통풍판을 소정 간격을 두고 직립상으로 대향 형성하여 공동상 (空洞狀) 으로 구성하고, 또 배풍동 (7b) 에 대해서도, 구멍이 있는 철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1 쌍의 통풍판을 소정 간격을 두고 직립상으로 대향 형성하여 공동상으로 구성한다. 상기 열풍동 (7a) 과 배풍동 (7b) 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배치 형성하고, 상기 열풍동 (7a) 과 배풍동 (7b) 사이에 곡립류 하층 (7c) 을 구성한다. 그 각 곡립류 하층 (7c) 의 하단부에는, 곡립의 조출 밸브 (7d) 를 형성한다.
또, 상기 열풍동 (7a) 은, 일방측의 공급측 개구부 (7e) (도 1) 를 모두, 본체부 (9) 의 외측으로 개방시켜 구성한다. 상기 각 공급측 개구부 (7e) 는, 그 각 공급측 개구부 (7e) 전부를 둘러싸도록 열풍 공급 커버 부재 (7f) (도 1) 가 상기 본체부 (9) 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그 열풍 공급 커버 부재 (7f) 는 열풍 도입구 (7g) 를 갖고, 이것에 후술하는 바이오매스 연소로 (3) 에서 생성한 열풍을 공급하는 관로 (15) (열풍 공급 배관) 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열풍 공급 커버 부재 (7f) 의 내부로서 열풍 도입구 (7g) 부근에는, 공급된 열풍의 온도를 측정하는 건조부 온도 센서 (7h)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그 온도 센서 (7h) 는, 후술하는 제어부 (4) 에 온도 측정값이 송신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관로 (15) 의 내부에는, 상기 열풍의 풍량을 조절하는 풍량 조절 댐퍼 (15a) (풍량 조절부)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관로 (15) 에는, 상기 풍량 조절 댐퍼 (15a) 를 형성한 위치와 열풍 도입구 (7g) 사이의 위치에 외기 도입관 (16) (외기 유입부) 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기 도입관 (16) 의 내부에는, 유로를 개폐 조절하는 외기 유입 댐퍼 (16a) (외기 유입량 조절부)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풍량 조절 댐퍼 (15a) 및 외기 유입 댐퍼 (16a) 는, 후술하는 제어부 (4) 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자동적으로 풍량 조절할 수 있는 자동 유로 개폐 댐퍼 등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각 배풍동 (7b) (도 2) 의 배풍측 (도 1 에 있어서의 좌측) 이 되는 배출측 개구부 (도시 생략) 는, 본체부 (9) 의 외측으로 개방시켜 구성한다. 또, 상기 배출측 개구부는, 그 배출측 개구부 전부를 둘러싸도록 배풍 커버 (17) 가 상기 본체부 (9) 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그 배풍 커버 (17) 에 의한 내부 공간과 연통시켜 배풍팬 (18) 이 배치되어 있다.
바이오매스 연소로 (3) :
상기 바이오매스 연소로 (3) 는, 왕겨 등의 바이오매스 연료를 연소하는 연소로 (19) 를 구비한다. 그 연소로 (19) 의 상부에는 원료 공급 탱크부 (20) 를 구비하고, 원료 공급 탱크부 (20) 의 배출측은 원료 공급 로터리 밸브 (21)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료 공급 로터리 밸브 (21) 의 배출측은, 그 원료 공급 로터리 밸브 (21) 로부터 조출된 바이오매스 연료를 연소로 (19) 내의 바닥부에 반송하는 반송관 (22) 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연소로 (19) 의 하부에는, 연소로 (19) 내의 바닥부에 공급된 바이오매스 (왕겨, 톱밥, 발효박, 건조분 등) 에 착화하기 위한 착화 버너 (23) 를 형성한다. 또, 상기 연소로 (19) 의 상부에는, 열풍을 생성하는 열교환기 (24) 를 형성한다. 상기 열교환기 (24) 는, 연소로 (19) 의 상부에 있어서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을 향해 관통하고, 또한 서로 나란히 형성된 복수의 열교환 파이프 (24a) 로 구성한다. 그 각 열교환 파이프 (24a) 는, 일방측을 외기 흡인구 (24b) 로 하고 타방측을 열풍 배출구 (24c) 로 한다. 그 열풍 배출구 (24c) 는, 그 각 열풍 배출구 (24c) 전부를 둘러싸도록, 열풍 배출 커버 부재 (24d) 가 상기 연소로 (19) 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열풍 배출 커버 부재 (24d) 는 상기 관로 (15) 와 연통된다.
상기 연소로 (19) 의 상부에는, 바이오매스 연료를 연소하여 이루어지는 바이오매스 연소 열풍 중, 열교환기 (24) 에서 사용한 후의 배풍 열풍 (바이오매스 연소 열풍) 을 배출하는 배기관 (25) 을 형성하고, 또 그 배기관 (25) 에는 상기 관로 (11) 를 연통한다.
또한, 상기 바이오매스 연소로 (3) 의 구성은 일례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 (4) :
상기 제어부 (4) 는, 상기 배풍 열풍 온도 센서 (6f), 건조부 온도 센서 (7h), 풍로 조절 댐퍼 (11a, 15a), 외기 유입 댐퍼 (12a, 16a), 원료 공급 로터리 밸브 (21) 및 착화 버너 (23) 와 각각 접속되어 있고, 상기 가온부 온도 센서 (6f), 건조부 온도 센서 (7h) 로부터의 측정 온도에 기초하여 풍로 조절 댐퍼 (11a, 15a), 외기 유입 댐퍼 (12a, 16a) 및 원료 공급 로터리 밸브 (21) 의 제어가 실시된다.
작용:
상기 곡립 건조 설비 (1) 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바이오매스 연소로 (3) 의 연소가 개시된다. 상기 바이오매스 연소로 (3) 의 연소 개시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부 (4) 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원료 공급 로터리 밸브 (21) 의 구동을 개시하고, 상기 원료 공급 탱크부 (20) 로부터 바이오매스 연료 (왕겨 등) 를 연소로 (19) 내에 공급하는 한편, 상기 착화 버너 (23) 를 구동하여 상기 바이오매스 연료에 착화하여 연소를 개시하고, 이것에 의해, 바이오매스 연소 열풍이 생성된다. 또한, 상기 착화 버너 (23) 는 착화 후에 정지된다.
한편, 상기 순환식 곡립 건조기 (2) 에 대해서도, 상기 제어부 (4) 로부터의 구동 개시 신호에 의해, 구동을 개시한다 (또한, 여기서는, 곡립을 곡립 저류 순환 탱크 (5) 내에 투입하여 건조를 실시할 수 있는 상태로 하는 밑작업은 이미 완료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순환식 곡립 건조기 (2) 는, 상기 배풍팬 (14, 18), 승강기 (10), 조출 밸브 (7d), 곡립 공급 비산 장치 (10b) 및 곡립 취출부 (8) 가 각각 구동 개시된다.
상기 바이오매스 연소로 (3) 에 있어서, 바이오매스 연료가 왕겨인 경우에는 연소 개시 초기에 상기 배기관 (25) 으로부터 배출되는 배풍 열풍 (바이오매스 연소 열풍) 에 타르 등의 유분이 많이 함유되므로, 이것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유로 전환 댐퍼 (11c) 에 의해 소정 시간만큼 유로를 전환하고, 당해 배풍 열풍을 바이패스 관로 (11b) 를 통해 배풍팬 (14) 에 의해 외부로 배풍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 초기의 배풍 열풍을 상기 곡립 가온부 (6) 에 공급함으로써, 만에 하나라도 곡립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안전면에 있어서 배려하고 있다.
상기 열교환기 (24) 는, 상기 배풍팬 (18) 의 흡인 작용에 의해, 열교환 파이프 (24a) 내에 외기를 빨아들임과 함께, 왕겨에 의한 바이오매스 연소 열풍의 연소열을 받아 열풍이 생성된다. 상기 열교환기 (24) 에서 생성된 당해 열풍은, 열풍 배출 커버 (24d), 관로 (15), 열풍 공급 커버 부재 (7f) 를 개재하여, 곡립 건조부 (7) 에 공급된다. 그 곡립 건조부 (7) 에 공급된 열풍은, 상기 각 열풍동 (7b) (도 2) 에 들어간 후, 곡립류 하층 (7c) 의 곡립 사이를 통풍하여 배풍동 (7b) 에 들어가고, 이후 상기 배풍 커버 (17) 의 내부를 통과하여 배풍팬 (18) 으로부터 배기된다. 상기 곡립 저류 순환 탱크 (5) 내의 곡립은, 상기 조출 밸브 (7d) 의 구동에 의해, 순차적으로 곡립류 하층 (7c) 을 유하할 때에 열풍 통풍 작용을 받은 후, 승강기 (10) 등을 개재하여 환류된다.
한편, 상기 바이오매스 연소로 (3) 에 있어서, 연소 개시 후, 소정 시간 (예를 들어 30 분) 이 경과하면, 상기 배풍 열풍을 바이패스 관로 (11b) 를 통해 기계 밖으로 배풍하는 것을 중지하고 상기 곡립 가온부 (6) 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유로 전환 댐퍼 (11c) 를 구동시켜 유로를 전환한다. 그러면, 상기 배풍 열풍은, 상기 관로 (11) 및 배풍 열풍 공급 커버 부재 (6d) 를 개재하여 각 가온관 (6a) 내를 통풍하여 각 가온관 (6a) 을 가온한 후, 배풍 커버 (13) 의 내부를 통과하여 배풍팬 (14) 으로부터 배풍된다.
곡립의 건조는 곡립 건조부 (7) 에 있어서 상기의 열풍동 (7a) 과 배풍동 (7b) 사이를 열풍이 통과함으로써 실시된다. 요컨대, 곡립은, 상기 곡립 건조부 (7) 에 있어서의 곡립류 하층 (7c) 을 유하할 때에, 열풍 통풍을 받아 수분이 제거된다.
열풍동 (7a) 을 통과하는 열풍의 온도는, 열풍동 내부를 관통한 가온관 (6a) 으로부터의 방사열에 의한 가온을 베이스로 열풍 그 자체의 온도를 조절하여 조정된다. 즉, 가온관 (6a) 내를 흐르는 배풍 열풍의 온도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여 열풍동 내 온도에 관해서 간접적으로 작용시키는 한편, 열풍동 내 온도에 관해서 열풍을 직접적으로 작용시켜 열풍동 내 온도를 조절한다. 열풍동 (7a) 과 배풍동 (7b) 사이를 통과하여 곡립을 건조시키는 열풍은, 이 조절된 온도로 되어 있다.
또, 가온관 (6a) 으로부터의 열방사는, 곡립류 하층 (7c) 을 유하하는 곡립을 가온하는 효과도 있다.
상기 제어부 (4) 는, 상기 가온관 (6a) 에 공급되는 배풍 열풍의 온도 및, 곡립 건조부 (7) 에 공급되는 열풍의 온도에 대해서, 온도 조절 관리를 실시한다. 가온관 (6a) 에 공급되는 배풍 열풍 온도의 조절 관리는, 상기 배풍 열풍 온도 센서 (6f) 의 검출 온도에 기초하여, 그 검출 온도가 미리 정한 소정 온도 범위 (예를 들어 60 ℃ ∼ 80 ℃) 가 되도록 상기 제어부 (4) 로부터 풍로 조절 댐퍼 (11a) 와 외기 유입 댐퍼 (12a) 에 구동 신호를 보내 개폐량을 변경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 곡립 건조부 (7) 에 공급되는 열풍 온도의 조절 관리도, 상기와 동일하게, 상기 건조부 온도 센서 (7h) 의 검출 온도에 기초하여, 그 검출 온도가 미리 정한 소정 온도 범위 (예를 들어 43 ℃ ∼ 50 ℃) 가 되도록 상기 제어부 (4) 로부터 풍로 조절 댐퍼 (15a) 와 외기 유입 댐퍼 (16a) 에 구동 신호를 보내 개폐량을 변경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건조부 (7) 의 열풍동 (7a) 내의 온도는 43 ℃ ∼ 50 ℃ 의 범위 내가 되도록 제어된다. 열풍동 (7a) 내의 온도는 직접적으로는 열풍의 온도이지만, 열풍은 유통 과정에서 온도 강하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그 강하를 억제하여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가온관 (6a) 의 배풍 열풍에 의한 가온을 이용한다. 가온관 (6a) 을 흐르는 배풍 열풍의 온도는 60 ℃ ∼ 80 ℃ 의 범위로 조정되고, 간접적으로 건조부 (7) 의 열풍동 (7a) 에 있어서의 온도를 상기 범위 내 (43 ℃ ∼ 50 ℃) 로 유지한다.
또한, 열풍의 온도 조절만으로는 충분히 제어를 완전히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가온관 (6a) 내를 흐르는 배풍 열풍의 온도를 조절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여, 풍로 조절 댐퍼 (11a, 15a) 와 외기 유입 댐퍼 (12a, 16a) 의 개폐량을 변경해도, 상기 배풍 열풍 온도 및 열풍 온도가 상기 소정 온도 범위가 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어부 (4) 는, 상기 바이오매스 연소로 (3) 의 원료 공급 로터리 밸브 (21) 의 구동을 정지하거나 또는 회전수를 변경하거나 하여 왕겨의 연소량 자체를 변경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곡립 건조 설비 (1) 는, 왕겨 등의 바이오매스 연료의 연소열을 활용하여, 열교환기 (24) 에 의해 생성한 열풍을 사용함과 함께, 상기 열교환기 (24) 에서 활용한 후의 열에너지를 배풍 열풍으로서 상기 순환식 곡립 건조기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열에너지의 유효 활용을 할 수 있고, 나아가 곡립의 건조 효율도 좋다. 또, 건조용 열풍을 생성하기 위한 등유 버너 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적은 에너지에 의한 곡립 건조를 실시할 수 있다.
도 3, 4 는 실시예 2 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곡립 건조부 (7) 에 있어서의 가온관 (6a) 은, 그 배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 1 과 상이한 점은, 곡립 저류 순환 탱크 (5) 의 내부에 (실시예 2 에서는 곡립 건조부 (7) 에 가까운 하부에) 가온부 (6) 를 형성하고 있는 점이다. 실시예 1 과 동일한 구조, 작동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가온부 (6) 에는, 복수의 가온관 (6g) (도 4) 이 본체부 (9) 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을 향해 수평 상태로, 또한 상하로 지그재그 모양 (위의 열의 가온관 (6g) 과 아래의 열의 가온관 (6g) 의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겹치지 않는 상태) 으로 나란히 형성하여 구성된다. 가온관 (6g) 의 종단면의 형상은, 곡립의 유하 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부의 좌우면이 하방 경사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각 가온관 (6g) 에 있어서의 공급측 개구부 (6b) 와 배출측 개구부 (6c) 는, 모두 본체부 (9) 의 외측으로 개방시켜 구성한다 (도 3). 상기 본체부 (9) 에는, 상기 공급측 개구부 (6b) 전부를 둘러싸도록 배풍 열풍 공급 커버 부재 (6d)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풍 열풍 공급 커버 부재 (6d) 에는 배풍 열풍 도입구 (6e) 를 형성하고, 그 배풍 열풍 도입구 (6e) 에는, 후술하는 바이오매스 연소로 (3) 로부터 배풍된 배풍 열풍을 공급하는 관로 (11) (배풍 열풍 공급 배관) 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배풍 열풍 공급 커버 부재 (6d) 의 내부에는, 공급된 배풍 열풍의 온도를 측정하는 배풍 열풍 온도 센서 (6f) (도 1)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그 가온부 온도 센서 (6f) 는, 상기 동일한 제어부 (4) (도 7) 에 그 온도 측정값이 송신되도록 되어 있다.
곡립 건조부 (7) 에도 복수의 가온관 (6a) 이 배치된다. 이 실시예 2 에 있어서, 이들 가온관 (6a) 에는, 관로 (11) 로부터 분기된 제 2 관로 (11d) 로부터 배풍 열풍이 공급된다. 제 2 관로 (11d) 와 가온관 (6a) 의 공급측 개구부 (6b) 사이에는, 곡립 건조부 (7) 에 대한 관로 (11) 의 경우와 동일하게, 풍량 조절 댐퍼 (11a) 및 외기 도입관 (12) 과 외기 유입 댐퍼 (12a) 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2 관로 (11d) 에 관한 가온관 (6a) 의 공급측 개구부 (6b) 부근에 상기와 동일한 호퍼부 온도 센서 (8c) 가 배치되고, 제어부 (4) 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온부 (6) 의 가온관 (6g) 내부를 흐르는 배풍 열풍의 온도와 곡립 건조부 (7) 의 가온관 (6a) 내부를 흐르는 배풍 열풍의 온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곡립 건조부 (7) 에 있어서의 가온관 (6a) 의 배출측 개구부 (6c) 는, 가온부 (6) 에 있어서의 배출측 개구부 (6c) 와 공통된 공간 (배풍 커버 (13) 로 둘러싸인 공간) 에 개구되어 있다. 곡립 건조부 (7) 에 대한 가온과 동일하게 가온부 (6) 에 있어서도 온도 제어가 실시된다. 곡립 건조부 (7) 의 가온관 (6a) 에 흘리는 배풍 열풍의 온도는 통상 60 ℃ ∼ 80 ℃ 이고, 가온부 (6) 의 가온관 (6g) 에 흘리는 배풍 열풍의 온도는 통상 80 ℃ ∼ 120 ℃ 로 설정된다.
또한, 이 실시예 2 에 있어서, 가온부 (6) 에 있어서의 가온관 (6g) 의 공급측 개구부 (6b) 는, 배풍 열풍 공급 커버 부재 (6d) 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개구되어 있고, 배출측 개구부 (6c) 는 배풍 커버 (13) 로 둘러싸인 공간에 개구되어 있다.
곡립 건조부 (7) 의 열풍동 (7a) 에 대한 열풍의 공급·배출의 기구나 곡립 건조부 (7) 와 가온부 (6) 의 가온관 (6a, 6g) 에 대한 배풍 열풍의 공급·배출의 기구는, 실시예 1 의 경우와 동일하다.
가온부 (6) 의 가온관 (6g) 과 곡립 건조부 (7) 의 가온관 (6a) 에 대한 배풍 열풍의 공급·배출은, 각각에 공통된 유로에 의하는 경우도 있다.
실시예 2 에서는, 곡립 건조부 (7) 에 더하여 곡립 건조부 (7) 의 상류측에 다수의 가온관 (6g) 을 구비한 가온부 (6) 를 형성하므로, 곡립 건조부 (7) 에 도달하기 전에 곡립이 예열되고, 또 예열의 부여가 확실하고 균등하게 이루어져, 건조 능률이 보다 향상된다.
곡립 건조부 (7) 에 있어서의 열풍동 내의 열풍 온도는, 가온관 (6a) 을 흐르는 배풍 열풍에 의한 가온을 베이스로 한 후에, 열풍에 의해 조정하므로, 열풍동 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쉽다.
도 5, 6 은 실시예 3 을 나타내며, 도 5 에서는, 순환식 곡립 건조기 (2) 의 상부를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또, 가온관 (6a, 6h) 에 대해서는, 그 배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 3 이 실시예 1 과 상이한 점은, 곡립 건조부 (7) 에 더하여 호퍼부 (8b) 에도 가온관 (6h) 을 형성하고 있는 점이다. 가온관 (6h) 은 호퍼부 (8b) 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도 되고, 호퍼부 (8b) 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내부에만 배치해도 된다. 어느 것으로 하더라도, 호퍼부 (8b) 에 있어서의 복수의 가온관 (6h) 의 공급측 개구부 (6b) 는, 배풍 열풍 공급 커버 부재 (6d) 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곡립 건조부 (7) 에 있어서의 가온관 (6a) 과 공통으로 개구되어 있고, 배출측 개구부 (6c) 는 배풍 커버 (13) 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곡립 건조부 (7) 에 있어서의 가온관 (6a) 과 공통으로 개구되어 있다. 실시예 3 에서는, 호퍼부 (8b) 의 가온관 (6h) 과 곡립 건조부 (7) 의 가온관 (6a) 을 공급측, 배출측에서 각각 결합하고, 공급측 개구부 (6b) 와 배출측 개구부 (6c) 를 공통으로 하고 있다.
호퍼부 (8b) 의 가온관 (6h) 과 곡립 건조부 (7) 의 가온관 (6a) 에 대한 배풍 열풍의 공급·배출은, 각각에 별개의 유로에 의해도 된다.
그 밖의 구조 및 배풍 열풍의 공급·배출의 기구는 실시예 1 과 동일하며,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3 에서는, 곡립 건조부 (7) 에 더하여 그 하방의 호퍼부 (8b) 에도 가온관 (6h) 을 배치하였으므로, 호퍼부 (8b) 의 내부가 가온된다. 호퍼부 (8b) 의 가온관 (6h) 에 흐르는 배풍 열풍의 온도는, 통상 60 ℃ ∼ 80 ℃ 로 설정되고, 곡립 건조부 (7) 의 가온관 (6a) 에 흐르는 배풍 열풍의 온도와 동일하다. 호퍼부 (8b) 는, 곡립 저류 순환 탱크 (5) 로부터 곡립 건조부 (7) 등, 거의 밀폐된 환경에 놓여 있었던 곡립이 호퍼부 (8b) 의 내부 공간에 해방되는 지점이며, 곡립 취출부 (8) 로부터 승강기 (10) 로 이동하는 동안에 곡립의 온도가 저하되기 쉬운 지점이지만, 가온관 (6h) 을 배치함으로써 곡립 온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배풍팬 (18) 의 흡인에 의해, 호퍼부 (8b) 로부터 곡립 건조부 (7) 로 조출 밸브 (7d) 를 거쳐 곡립층으로 기류가 발생하여, 곡립층 하부의 통풍 열풍의 온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지만, 호퍼부 (8b) 내부를 가온함으로써, 상기 기류에 의한 통풍 열풍의 온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7, 8 은 실시예 4 를 나타내고 있다. 또, 가온관 (6a, 6g, 6h) 에 대해서는, 그 배치를 나타내기 위하여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 4 는 순환식 곡립 건조기 (2) 에 있어서, 가온부 (6), 곡립 건조부 (7), 호퍼부 (8b) 에 가온관 (6a, 6g, 6h) 을 배치한 것이며, 상기 실시예 3 의 구성에 가온부 (6) 를 더한 구조에 상당한다. 가온관 (6a, 6g, 6h) 의 구조와 기능은, 각각 상기 실시예 1 ∼ 3 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지만, 가온부 (6), 곡립 건조부 (7), 호퍼부 (8b) 에 가온관 (6a, 6g, 6h) 이 배치됨으로써, 순환식 곡립 건조기 (2) 전체로서, 곡립 온도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양호한 템퍼링 작동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 4 개의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이 발명은 실시예의 구체적 구조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각 부에 배치한 가온관 (6a, 6g, 6h) 의 개수나 단면 형상 및 가온관 (6a, 6g, 6h) 에 대한 배풍 열풍의 공급 유로나 배풍 유로의 구조는 여러 가지로 설계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왕겨 등의 바이오매스 연료의 연소열을 유효 활용하면서, 곡립의 건조를 효율적으로 또한 적은 에너지로 실시할 수 있는 곡립 건조 설비로서 유효한 것이다.
1 : 곡립 건조 설비
2 : 순환식 곡립 건조기
3 : 바이오매스 연소로
4 : 제어부
5 : 곡립 저류 순환 탱크
6 : 곡립 가온부
6a : 가온관 (곡립 건조부)
6b : 공급측 개구부
6c : 배출측 개구부
6d : 배풍 열풍 공급 커버 부재
6e : 배풍 열풍 도입구
6f : 가온부 온도 센서
6g : 가온관 (가온부)
6h : 가온관 (호퍼부)
7 : 곡립 건조부
7a : 열풍동
7b : 배풍동
7c : 곡립류 하층
7d : 조출 밸브
7e : 공급측 개구부
7f : 열풍 공급 커버 부재
7g : 열풍 도입구
7h : 건조부 온도 센서
8 : 곡립 취출부
8a : 배출측
8b : 호퍼부
8c : 호퍼부 온도 센서
9 : 본체부
10 : 승강기
10a : 배출측
10b : 곡립 공급 비산 장치
10c : 관로
10d : 공급측
11 : 관로 (배풍 열풍 공급 배관)
11a : 풍량 조절 댐퍼 (풍량 조절부)
11b : 바이패스 관로
11c : 유로 전환 댐퍼 (유로 전환 밸브)
11d : 제 2 관로 (배풍 열풍 공급 배관)
12 : 외기 도입관 (외기 유입부)
12a : 외기 유입 댐퍼 (외기 유입량 조절부)
13 : 배풍 커버
14 : 배풍팬
15 : 관로 (열풍 공급 배관)
15a : 풍량 조절 댐퍼 (풍량 조절부)
16 : 외기 도입관 (외기 유입부)
16a : 외기 유입 댐퍼 (외기 유입량 조절부)
17 : 배풍 커버
18 : 배풍팬
19 : 연소로
20 : 원료 공급 탱크부
21 : 원료 공급 로터리 밸브
22 : 반송관
23 : 착화 버너
24 : 열교환기
24a : 열교환 파이프
24b : 외기 흡인구
24c : 열풍 배출구
24d : 열풍 배출 커버 부재
25 : 배기관

Claims (11)

  1. 바이오매스 연소로와 순환식 곡립 건조기를 갖는 곡립 건조 설비로서,
    상기 바이오매스 연소로는, 외부로부터 유입한 외기를 바이오매스 연료의 연소열로 가온하여 열풍을 생성하는 열교환기와 배기관을 구비하고,
    상기 순환식 곡립 건조기는, 본체부와 승강기를 구비하고, 본체부는 곡립 순환 탱크, 구멍이 있는 철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공동상의 복수의 열풍동을 구비한 곡립 건조부 및 곡립 취출부를 갖는 하부 호퍼부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순차적으로 겹쳐서 형성하여 구비하고,
    곡립 건조부는 상기 바이오매스 연소로의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열풍이 열풍 공급 배관을 통해 도입되고, 곡립 사이를 통과하여 외부에 배출되는 부분이고,
    상기 곡립 건조부의 상기 복수의 열풍동의 각각에 가온관이 관통하여 배치 형성되어 있고, 가온관에 상기 바이오매스 연소로의 배기관으로부터 배풍 열풍 공급 배관을 통해 배풍 열풍이 도입되고, 상기 가온관의 배기구는 상기 순환식 곡립 건조기의 외부로 개구되어 있고,
    상기 열풍 공급 배관과 배풍 열풍 공급 배관에는, 각각의 공급 풍량을 조절하는 풍량 조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립 건조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곡립 순환 탱크 내에 가온부가 형성되고, 가온부에도 가온관이 배치 형성되어 있고, 가온관에 상기 바이오매스 연소로의 배기관으로부터 배풍 열풍이 도입되고 그 열로 곡립이 가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립 건조 설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온부의 가온관 내부를 흐르는 배풍 열풍의 온도와 곡립 건조부의 가온관 내부를 흐르는 배풍 열풍의 온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립 건조 설비.
  4.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하부 호퍼부에 가온관이 배치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가온관에 상기 바이오매스 연소로의 배기관으로부터 배풍 열풍이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립 건조 설비.
  5.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곡립 순환 탱크 내에 가온부가 형성되고, 가온부에 가온관이 배치 형성됨과 함께, 하부 호퍼부에도 가온관이 배치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가온관에 상기 바이오매스 연소로의 배기관으로부터 배풍 열풍이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립 건조 설비.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공급 배관 및 배풍 열풍 공급 배관에, 각각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 유입부가 형성되고, 그 외기 유입부에 외기 유입량 조절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립 건조 설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곡립 건조부에, 이 건조부에 공급된 열풍의 온도를 측정하는 건조부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이것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풍량 조절부 및 외기 유입량 조절부를 구동하여 상기 열풍의 공급 풍량 및 외기 유입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립 건조 설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온관의 공급측 개구부 부근에, 공급된 배풍 열풍의 온도를 측정하는 배풍 열풍 온도 센서가 배치되고, 그 배풍 열풍 온도 센서로 측정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풍량 조절부 및 외기 유입량 조절부를 구동하여 배풍 열풍의 공급 풍량과 외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곡립 건조 설비.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온관은 일단측이 상기 바이오매스 연소로의 배기관에 연통되는 한편, 타단이 배풍팬을 배치한 배풍 커버에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립 건조 설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풍 열풍 공급 배관에, 유로 전환 밸브에 의해 상기의 가온관을 우회시켜 배풍 열풍을 가온관에 공급하지 않고, 상기 가온관의 타단이 연통되어 있는 배풍 커버에 도달시키는 바이패스 관로가 배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립 건조 설비.
KR1020147012985A 2011-10-21 2011-10-21 곡립 건조 설비 KR101925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74332 WO2013057838A1 (ja) 2011-10-21 2011-10-21 穀粒乾燥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873A KR20140081873A (ko) 2014-07-01
KR101925663B1 true KR101925663B1 (ko) 2018-12-05

Family

ID=4814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985A KR101925663B1 (ko) 2011-10-21 2011-10-21 곡립 건조 설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719722B2 (ko)
JP (1) JP5939258B2 (ko)
KR (1) KR101925663B1 (ko)
CN (1) CN103890516B (ko)
BR (1) BR112014009175A8 (ko)
IN (1) IN2014CN02851A (ko)
RU (1) RU2566615C1 (ko)
TR (1) TR201404530T1 (ko)
TW (1) TWI548847B (ko)
WO (1) WO20130578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6740B2 (ja) * 2010-04-22 2015-05-13 株式会社サタケ 穀物乾燥設備
KR101571780B1 (ko) 2014-05-08 2015-11-26 한국식품연구원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
US9506693B2 (en) * 2014-08-22 2016-11-29 Kelly Brian Pauling Grain dryers with selectable ducts for cooling
CN107490249A (zh) * 2016-06-10 2017-12-19 李秉奇 双箱聚热供给架
JP6798200B2 (ja) * 2016-09-06 2020-12-09 株式会社サタケ 穀物乾燥機及び該穀物乾燥機の使用方法
JP6858683B2 (ja) * 2017-09-27 2021-04-14 株式会社神鋼環境ソリューション 穀物乾燥設備および熱供給装置
CN107883749A (zh) * 2017-12-04 2018-04-06 信宜市正茂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热空气循环加热设备
US11465833B2 (en) 2018-05-14 2022-10-11 Haber Technologies, Inc. Assembly for saturating a medium with a fluid
JP7267529B2 (ja) * 2018-08-17 2023-05-02 株式会社山本製作所 穀物乾燥装置
CN110542297B (zh) * 2019-09-07 2023-12-29 涂佳成 一种带滚筒的茶叶烘干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074541B (zh) * 2021-03-11 2022-12-23 德州宏光绿色食品有限公司 一种粮仓内用的粮食烘干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3593A (en) 1993-01-20 1995-08-22 H.T.M. Sport S.P.A. Swimming flipper
US6318000B1 (en) 1999-08-24 2001-11-20 Satake Corporation Circulating type grain drying machine
US20080271335A1 (en) * 2007-05-03 2008-11-06 Archer-Daniele-Midland Company System for using heat to process an agricultural product, a fluidized bed combustor system, and methods of employ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682461A1 (ru) 1976-06-13 1979-08-30 Предприятие П/Я Х-5332 Головка дл заварки стекл нных корпусов кварцевых резонаторов
SU672461A1 (ru) * 1977-11-24 1979-07-05 Одесски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Пищев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Им. М.В. Ломоносова Шахтна рециркул ционна зерносушилка
JPS5625678A (en) 1979-08-06 1981-03-12 Satake Eng Co Ltd Cereal drying preparing device
JPS5926230Y2 (ja) * 1979-08-10 1984-07-30 山本 惣太 穀粒通風乾燥装置
JPS56149543A (en) 1980-04-23 1981-11-19 Yamamoto Seisakusho:Kk Temperature controller for hot-air generator
SU1052811A1 (ru) * 1982-03-19 1983-11-07 Одесски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пищев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им.М.В.Ломоносова Рециркул ционна сушилка дл сем н подсолнечника
US4499669A (en) * 1982-09-30 1985-02-19 Miller Hofft, Inc. Combination dryer and surge bin
JPS62190380A (ja) 1986-02-13 1987-08-20 株式会社クボタ 穀粒乾燥機
US5443539A (en) * 1994-09-08 1995-08-22 Westelaken; Christianus M. T. Particulate dryer
JP3743547B2 (ja) 1999-01-13 2006-02-08 株式会社サタケ 穀物乾燥装置
JP4187081B2 (ja) 2000-08-25 2008-11-26 金子農機株式会社 籾乾燥調製施設
JP4023582B2 (ja) 2000-08-25 2007-12-19 金子農機株式会社 穀物乾燥装置
JP4189665B2 (ja) 2003-10-07 2008-12-03 株式会社サタケ 循環式穀物乾燥機
RU49200U1 (ru) * 2005-06-14 2005-11-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ВЫМПЕЛ" Зерносушилка
CN201093850Y (zh) 2007-08-09 2008-07-30 赵小光 顺流干燥粮食干燥机
JP5293004B2 (ja) 2008-08-29 2013-09-18 井関農機株式会社 循環式穀粒乾燥機
JP5716740B2 (ja) * 2010-04-22 2015-05-13 株式会社サタケ 穀物乾燥設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3593A (en) 1993-01-20 1995-08-22 H.T.M. Sport S.P.A. Swimming flipper
US6318000B1 (en) 1999-08-24 2001-11-20 Satake Corporation Circulating type grain drying machine
US20080271335A1 (en) * 2007-05-03 2008-11-06 Archer-Daniele-Midland Company System for using heat to process an agricultural product, a fluidized bed combustor system, and methods of employ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50718A1 (en) 2014-09-11
TW201331530A (zh) 2013-08-01
RU2566615C1 (ru) 2015-10-27
IN2014CN02851A (ko) 2015-07-03
TWI548847B (zh) 2016-09-11
WO2013057838A1 (ja) 2013-04-25
JP5939258B2 (ja) 2016-06-22
BR112014009175A8 (pt) 2017-06-20
BR112014009175A2 (pt) 2017-06-13
CN103890516B (zh) 2016-01-13
JPWO2013057838A1 (ja) 2015-04-02
US9719722B2 (en) 2017-08-01
CN103890516A (zh) 2014-06-25
KR20140081873A (ko) 2014-07-01
TR201404530T1 (tr)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663B1 (ko) 곡립 건조 설비
KR101730213B1 (ko) 곡물 건조 설비
KR101408744B1 (ko) 왕겨 연소를 통한 열에너지를 이용하는 곡물 건조 장치
CN104285101B (zh) 蓄热式废气净化装置
WO2015055025A1 (zh) 一种谷物循环干燥机
CN214483207U (zh) 一种具有加热功能滚筒的气流式烘丝机
JP5228844B2 (ja) 穀物乾燥機
JP5211856B2 (ja) 排風循環型穀粒乾燥機
CN201571454U (zh) 多功能粮食烘干机
JP3203437U (ja) 穀粒熱風乾燥装置
CN208704163U (zh) 一种高效热风炉及高效循环热风炉
JP3155768U (ja) 温風暖房装置
CN106048183B (zh) 一种生物质电双能源热处理炉
RU148092U1 (ru) Зерносуш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CN101711534B (zh) 多功能粮食烘干机
ES2620461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el tratamiento térmico de bandas de material continuas
JP2009287830A5 (ko)
JP2009287830A (ja) 穀粒乾燥機
ES2306574B1 (es) Horno para yeso y escayola.
JP2008045865A (ja) 穀粒乾燥装置
CN215028994U (zh) 一种粮食烘干机
JP5348236B2 (ja) 穀粒乾燥機
CN105865167A (zh) 农副产品烘干系统及其应用
CN202576217U (zh) 一种全对流式玻璃加热炉
JP2004020157A (ja) 穀粒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