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780B1 -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1780B1
KR101571780B1 KR1020140054586A KR20140054586A KR101571780B1 KR 101571780 B1 KR101571780 B1 KR 101571780B1 KR 1020140054586 A KR1020140054586 A KR 1020140054586A KR 20140054586 A KR20140054586 A KR 20140054586A KR 101571780 B1 KR101571780 B1 KR 101571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heat
air
exhaust pipe
outsid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9106A (ko
Inventor
김훈
김동철
김의웅
이세은
김상숙
이남혁
한재웅
이효재
서보성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54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1780B1/ko
Publication of KR20150129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solely by gravity, i.e. the material moving through a substantially vertical drying enclosure, e.g. shaft
    • F26B17/1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solely by gravity, i.e. the material moving through a substantially vertical drying enclosure, e.g. shaft the materials moving through a counter-current of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는 연소로 주위로 형성된 가이드를 통하여 상기 연소로의 방산열을 일부 흡수한 외기공기를 공급하는 제1 외기공기 공급부; 상기 연소로에서 곡물을 연소하여 발생한 연소공기의 열을 상기 공급된 외기공기로 전달하기 위하여 복수의 배플을 포함하고, 상기 연소 공기를 공급 받고 배기관으로 배출하는 적어도 2단의 셀로 구성되는 열교환부; 상기 배기관 주위로 형성된 가이드를 통하여 상기 배기관의 방산열을 일부 흡수하는 외기공기를 공급하는 제2 외기공기 공급부 ; 및 상기 열교환부에서 열을 전달 받은 제1 외기공기와 상기 배기관에서 열을 전달 받은 제2 외기공기의 온도에 따라 송풍량을 제어하는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왕겨를 이용한 연소장치에서 연소로에서 발생되는 열을 재이용하여 열효율을 높이고,열교환기 셀로 공급되는 외기공기의 열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와 왕겨 연소공기 배기관에서 발생되는 배열을 회수하여 건조공기를 가온 사용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Grain dryer using a biomass of combustion}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왕겨의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의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곡물의 건조는 안전저장을 위하여 품질 손상없이 함수율을 줄이는 과정으로 곡물과 같은 생물재료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고 있다. 곡물의 건조공정은 주로 화석연료의 열원을 이용하여 곡물건조기 등에서 건조를 하는 기계건조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곡물 생산에 투입되는 총 에너지 중에서 건조에 소요되는 에너지는 콩은 24%, 벼는 50% 빛 옥수수는 60% 이상이 소요된다. 즉, 곡물 건조는 에너지 집약적인 공정으로서, 곡물 생산에 소요되는 총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건조과정에서의 에너지지 절감 없이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왕겨를 이용한 연소장치에서 연소로 또는 열교환기 등에서 발생되는 열을 재이용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는 연소로 주위로 형성된 가이드를 통하여 상기 연소로의 방산열을 일부 흡수한 외기공기를 공급하는 제1 외기공기 공급부; 상기 연소로에서 바이오매스를 연소하여 발생한 연소공기의 열을 상기 공급된 외기공기로 전달하기 위하여 복수의 배플을 포함하고, 상기 연소 공기를 공급 받고 배기관으로 배출하는 적어도 2단의 셀로 구성되는 열교환부; 상기 배기관 주위로 형성된 가이드를 통하여 상기 배기관의 방산열을 일부 흡수하는 외기공기를 공급하는 제2 외기공기 공급부 ; 및 상기 열교환부에서 열을 전달 받은 제1 외기공기와 상기 배기관에서 열을 전달 받은 제2 외기공기의 온도에 따라 송풍량을 제어하는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소로는 상기 바이오매스의 연소를 위한 연소공기를 투입하는 높이가 다른 복수의 연소공기 투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공기 투입구의 직경은 높이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소로는 상기 연소공기 투입구 보다 높이 형성되어 바이오매스를 투입하는 바이오매스 투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오매스 투입구 및 상기 연소공기 투입구는 상기 연소로의 원주 방향의 접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소로는 바이오매스재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의 단면은 윗변의 길이가 아랫변의 길이보다 짧은 사다리꼴 형태로 복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교환부는 열교환후 배출되는 상기 연소공기를 집진하는 집진장치; 및
하부에 상기 연소공기에 포함된 부산물을 수집하는 수집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량을 제어하여 미리 결정된 온도 또는 습도에 따라 상기 제1 외기 공기와 제2 외기 공기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소장치에서 연소로에서 발생되는 열을 재이용하여 열효율을 높이고,열교환기 셀로 공급되는 외기공기의 열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와 연소공기 배기관에서 발생되는 배열을 회수하여 건조공기를 가온 사용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를 이용한 건조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왕겨재 배출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연소에 이용되는 곡물로서 왕겨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왕겨는 벼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서 연간 117만톤(벼 총생산량 650만톤의 18%)이 생산되는 중요한 바이오매스 자원이며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0 인 청청에너지 자원이다. 왕겨의 발열량은 약 3.000 kcal로서 원유로 환산할 경우 약 250만 배렬(1년 기준)의 에너지 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하나 현재는 축사의 바닥재나 퇴비화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왕겨는 입자의 형태나 화학조성이 거의 균일하여 일정한 발열량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연소과정에서 산소와의 결합이 비교적 용이하여 효율적인 연소가 가능하다. 또한, 여러 가지 바이오매스 자원 중에서도 왕겨는 벼의 산지처리시설인 RPC(Rice Processing Complex) 등에서 연중 대량 수집이 가능하여 안정적인 수급이 가능한 바이오매스 자원이다.
또한 수분 24%의 벼 1톤을 16%로 건조할 경우 136,516kcal(1,434kcal/kg-water x 95.2kg-water) 의 에너지가 요구되는데, 왕겨의 발열량을 고려할 경우 약 45kg의 왕겨가 소요되어, 경제적으로도 활용성이 매우 높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는 제1 외기공기 공급부(100), 열교환부(200), 제2 외기공기 공급부(300)와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외기공기 공급부(100)는 연소로(50) 주위로 형성된 가이드를 통하여 연소로(50)의 방산열을 일부 흡수한 외기공기를 공급한다.
열교환부(200)는 연소로(50)에서 바이오매스를 연소하여 발생한 연소공기의 열을 공급된 외기공기로 전달하기 위하여 복수의 배플(205)을 포함하고, 연소 공기를 공급 받고 배기관(70)으로 배출하는 적어도 2단의 셀(210, 220)로 구성된다.
제2 외기공기 공급부(300)는 배기관(70) 주위로 형성된 가이드를 통하여 배기관(70)의 방산열을 일부 흡수하는 외기공기를 공급한다.
제어부(400)는 열교환부(200)에서 열을 전달 받은 제1 외기공기와 배기관(70)에서 열을 전달 받은 제2 외기공기의 온도에 따라 송풍량을 제어하는 제어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를 이용한 건조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 시스템은 연소로(50), 제1 외기공기 공급부(100), 열교환부(200), 제2 외기공기 공급부(300), 배기관(70), 제어부(400), 집진장치(60) 및 건조장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소로(50)는 왕겨의 완전연소가 가능하도록 내화단열되어 있으며, 연소로(50) 내로 연소에 필요한 연소공기 및 왕겨의 투입장치(10, 20), 발생되는 왕겨 연소공기 배기관(70) 및 압력자동밸브(40)를 포함한다.
나아가, 연소로(50)내에서 왕겨 완전연소 후 발생되는 왕겨재의 배출 및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와, 왕겨 초기점화 및 승온을 위한 전기히터 및 외기공기 투입장치로 구성되는 왕겨 초기점화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소로(50)는 1600도까지 연소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연소로(50)는 곡물의 연소를 위한 연소공기를 투입하는 높이가 다른 복수의 연소공기 투입구(10)를 포함하고, 연소공기 투입구(10)의 직경은 높이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연소공기 투입구(10)는 왕겨투입구 하단에 3 개 왕겨재가 퇴적되는 하단에 1 개로 총 4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4 개의 투입구는 각기 다른 직경으로서 공기량을 조절한다. 연소공기량은 상단에 있는 연소공기 투입구(10) 2개에서 70~80%, 그 아래에 있는 외기공기 투입구에서 10-20%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왕겨재가 퇴적되는 하단에 설치되는 투입구에서 나머지 10% 의 공기량을 투입하며, 초기 왕겨 점화시 필요한 공기량을 투입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연소로(50)는 연소공기 투입구(10) 보다 높이 형성되어 왕겨를 투입하는 왕겨투입구(20)를 더 포함하고, 왕겨투입구(20) 및 연소공기 투입구(10)는 연소로(50)의 원주 방향의 접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왕겨가 투입되면서 공기와 접촉하여 연소로(50) 내부를 회전하면서 완전연소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왕겨투입구 및 연소공기 투입구(10)를 연소로(50) 원주방향의 접선으로 설치하여 왕겨와 외기공기가 쉽게 혼합되도록 한다.
왕겨는 완전 연소후 재가 발생되는데 이론적으로 약 10%(규소 등의 성분)가 생성된다. 연소과정에서 연소로(50) 하부에 축적되는 왕겨재는 연소로(50)내의 연소조건, 연소온도 등을 고려하여 배출하여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왕겨재 배출장치(30)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로서, 왕겨재의 배출을 위해 저탄소강 재질의 두께 20mm의 배출장치를 구성하며, 배출장치는 왕겨재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사다리꼴 형태의 다수의 왕겨재 배출구(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32) 상부에는 왕겨의 균일한 배출을 위해 속도조절이 가능한 배출오거(34)를 구성할 수 있다. 배출오거(34)는 사각형태이며 윗변의 길이는 아랫변 길이의 1/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장치를 통해 배출된 왕겨는 이송기기를 통하여 왕겨재 탱크로 수집된다. 왕겨의 초기점화는 왕겨를 약 30cm 퇴적한 후 전기히터를 가동하고, 하단에 있는 연소공기 투입구(10)를 통해 연소공기를 공급한다. 이후 30cm 정도 퇴적한 왕겨가 완전 발화되면 왕겨와 왕겨투입구 하부에 있는 투입구로 연소공기를 투입하여 연소를 진행한다.
왕겨는 연소과정에서 1,000 도 이상의 고온이 발생하여 연소로(50)내에는 압력이 이 상승되므로 일정 압력이상에 도달할 경우 상부에 있는 압력자동밸브(40)를 통해 적정 압력이 유지되도록 구성한다.
다음 본 실시예에서 제1 외기공기 공급부(100)는 연소로(50) 주위로 형성된 가이드를 통하여 연소로(50)의 방산열을 일부 흡수한 외기공기를 공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연소로(50)의 상단에서 주입된 외기공기는 연소로(50) 주위를 가이드를 따라 돌아 내려오게 되고 하단에 위치한 제1 외기공기 공급부(100)를 통해 열교환부(200)로 공급된다.
다음 열교환부(200)는 연소 공기를 공급 받고 배기관(70)으로 배출하는 적어도 2단의 셀(210, 220)로 구성되고, 연소로(50)에서 곡물을 연소하여 발생한 연소공기의 열을 공급된 외기공기로 전달하기 위하여 복수의 배플(205)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공급된 제1 외기공기는 연소공기에 의해 온도가 올라간 열교환부(200)의 복수의 튜브사이를 통과하여 흐르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열을 전달받게 된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열교환부(200)는 좌측의 연소공기가 공급되어 튜브사이로 내려오는 셀(210)과 우측의 배기관(70)으로 배출되기 위해 튜브를 통해 올라가는 셀(220)로 구분될 수 있다. 셀(220)을 통과한 연소공기는 배기관(70)을 통해 집진장치(60)로 이송된다.
나아가, 열교환부(200)는 셀을 통과하는 왕겨 연소공기에 포함된 비산먼지나 미세한 재 등의 부산물을 수집하기 위한 수집장치(미도시) 및 튜브의 열전달 효과의 최대화를 위한 청소구(미도시)를 튜브상에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외기공기 공급부(100)를 통해 공급된 제1 외기공기는 설치된 배플(205)을 통해 튜브사이를 지나며 올라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튜브의 열전달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튜브의 청소를 위한 청소구를 더욱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배기관(70) 주위로 형성된 가이드를 통하여 배기관(70)의 방산열을 일부 흡수하는 외기공기를 공급하는 제2 외기공기 공급부(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외기공기 공급부(300)는 열교환부(200)와 왕겨 연소공기 배기관(70)에서 발생되는 배열을 회수하여 건조공기를 가온 사용하여 열효율을 높이기 위한 장치이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배기관(70) 바깥에는 제2 외기공기가 주입되어 흐를 수 있는 관이 더욱 형성되어 있으며, 관에 형성된 가이드를 통해 주입된 제2 외기공기는 배기관(70) 주위를 흐르면서 배열을 회수하게 된다.
다음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400)는 열교환부(200)에서 열을 전달 받은 제1 외기공기와 배기관(70)에서 열을 전달 받은 제2 외기공기의 온도에 따라 송풍량을 제어한다.
즉, 열교환부(200)에서 열교환후 가온된 외기공기와 배기관(70)에서 발생되는 배열을 회수한 외기공기를 적정한 건조공기로 혼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열량과 건조온도를 제어하고, 제1 외기공기와 제2 외기공기 각각의 온도나 습도를 이용하여 송풍량을 제어하여 미리 결정된 건조공기로 혼합하고, 건조기(500)로 공급한다.
이상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왕겨를 이용한 연소장치에서 연소로에서 발생되는 열을 재이용하여 열효율을 높이고,열교환부 셀로 공급되는 외기공기의 열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열교환부와 왕겨 연소공기 배기관에서 발생되는 배열을 회수하여 건조공기를 가온 사용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연소로 주위로 형성된 가이드를 통하여 상기 연소로의 방산열을 일부 흡수한 외기공기를 공급하는 제1 외기공기 공급부;
    상기 연소로에서 바이오매스를 연소하여 발생한 연소공기의 열을 상기 공급된 외기공기로 전달하기 위하여 복수의 배플을 포함하고, 상기 연소 공기를 공급 받고 배기관으로 배출하는 적어도 2단의 셀로 구성되는 열교환부;
    상기 배기관 주위로 형성된 가이드를 통하여 상기 배기관의 방산열을 일부 흡수하는 외기공기를 공급하는 제2 외기공기 공급부 ; 및
    상기 열교환부에서 열을 전달 받은 제1 외기공기와 상기 배기관에서 열을 전달 받은 제2 외기공기의 온도에 따라 송풍량을 제어하는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로는 상기 바이오매스의 연소를 위한 연소공기를 투입하는 높이가 다른 복수의 연소공기 투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공기 투입구의 직경은 높이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로는 상기 연소공기 투입구 보다 높이 형성되어 바이오매스를 투입하는 바이오매스투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오매스투입구 및 상기 연소공기 투입구는 상기 연소로의 원주 방향의 접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로는 바이오매스재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의 단면은 윗변의 길이가 아랫변의 길이보다 짧은 사다리꼴 형태로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열교환후 배출되는 상기 연소공기를 집진하는 집진장치;
    하부에 상기 연소공기에 포함된 부산물을 수집하는 수집장치; 및
    상기 열교환부의 청소를 위한 청소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량을 제어하여 미리 결정된 온도 또는 습도에 따라 상기 제1 외기 공기와 제2 외기 공기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
KR1020140054586A 2014-05-08 2014-05-08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 KR101571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586A KR101571780B1 (ko) 2014-05-08 2014-05-08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586A KR101571780B1 (ko) 2014-05-08 2014-05-08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106A KR20150129106A (ko) 2015-11-19
KR101571780B1 true KR101571780B1 (ko) 2015-11-26

Family

ID=54843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586A KR101571780B1 (ko) 2014-05-08 2014-05-08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17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000A (ko) 2021-05-20 2022-11-29 신흥기업 주식회사 순환식 곡물 건조기용 연소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7838A1 (ja) 2011-10-21 2013-04-25 株式会社サタケ 穀粒乾燥設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7838A1 (ja) 2011-10-21 2013-04-25 株式会社サタケ 穀粒乾燥設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000A (ko) 2021-05-20 2022-11-29 신흥기업 주식회사 순환식 곡물 건조기용 연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106A (ko) 201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744B1 (ko) 왕겨 연소를 통한 열에너지를 이용하는 곡물 건조 장치
CN104930831B (zh) 一种数控节能隔焰烘干机
CN102261822A (zh) 一种微波流化干燥褐煤的装置
CN101755904B (zh) 节能粮食烘干设备
JP2008032357A (ja) 木質燃料燃焼装置
JP5451589B2 (ja) きのこ廃培地の乾燥装置
US201800230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orrefaction of biomass with a cyclonic bed reactor
KR101571780B1 (ko) 바이오매스 연소열을 이용한 곡물 건조 장치
CN207845466U (zh) 一种节能型污泥处理装置
CN201709305U (zh) 节能粮食烘干设备
CN103256791A (zh) 一种活性白土烘干系统
CN102589271A (zh) 颗粒燃料燃烧器
CN104004533B (zh) 一种小颗粒页岩气体热载体干馏工艺
CA2727638A1 (en) Optimization of combustion process
CN203413930U (zh) 一种活性白土烘干系统
KR101014791B1 (ko) 왕겨 탄화장치
CN102273719A (zh) 薄层快速组合加热蔬菜脱水工艺及设备
CN102445064B (zh) 叠片式连续驱溶干燥机
CN205313487U (zh) 一种生物质固化燃料生产线
RU2602107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газификации рисовой лузги
CN201837211U (zh) 蜂窝式连续驱溶干燥机
CN105802645A (zh) 连续制炭装置
CN202166290U (zh) 一种气流式植物干燥机
CN204787657U (zh) 一种数控节能隔焰烘干机
CN216694207U (zh) 利用工业余热的流化床式固体废弃物干燥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