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659B1 -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659B1
KR101925659B1 KR1020137034577A KR20137034577A KR101925659B1 KR 101925659 B1 KR101925659 B1 KR 101925659B1 KR 1020137034577 A KR1020137034577 A KR 1020137034577A KR 20137034577 A KR20137034577 A KR 20137034577A KR 101925659 B1 KR101925659 B1 KR 101925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ooling air
disposed
control unit
main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4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3917A (ko
Inventor
마누엘 테세이라 핀토 디어스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053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6Details of door jam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1Arrangement of controller, e.g. lo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딩의 층(9)으로부터 빌딩의 엘리베이터 통로(11)를 분리하는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1)의 도어 프레임(14)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18, 28, 38, 48)는 도어 프레임(14)의 챔버(16) 내에 배치되되,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18, 28. 38, 48)는 엘리베이터 모터를 작동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20) 및 적어도 하나의 전력전자 유닛(21)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LIFT-SHAFT TERMINATION WITH A LIFT-MONITORING ARRANGEMEN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의 도어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가 도어 프레임의 챔버에 배치된다.
EP 1518815 A1에는 빌딩 내에 설치된 도어 프레임을 구비하고 이동가능한 도어들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이 개시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은 빌딩의 승강장으로부터 빌딩의 엘리베이터 통로를 분리하며,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는 도어 프레임의 챔버에 배치된다. 도어 프레임 내에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의 배치가 가능하며, 그 중에서도, 요즘에는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가 더 작게 제작될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가능하며, 그리고 전력 소비 및 생성되는 폐열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도 가능해왔으며, 그 결과로, 예를 들면, 공간을 차지하는 어떠한 통풍 시스템도 필요하지 않다.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는, EP 15118815 A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설치를 위한 그리고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을 보호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 및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는 몇 가지 작업으로 하나의 전체 구성요소로서 엘리베이터 설비에 설치될 수 있고, 제거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은 본질적으로 엘리베이터 설비의 개루프 및/또는 폐루프 제어에 필수적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또한, 그러한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은 엘리베이터 설비, 진단 및 전압 공급용 전원을 제공하는데 필수적인 인터페이스 및 입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설비의 도어 프레임 요소들은 치수 때문에 튀어 나오면 안되므로 매우 작은 단면들을 구비한다. 현존하는 엘리베이터 설비들에서는 단면의 치수들은 0.1m x 0.15m 를 거의 넘지 않는다.
엘리베이터 모터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통로에 배치되는 전력전자 또한 요구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통로에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모터는 전력전자를 통하여 전원 시스템에 연결되고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의 제어 신호들에 의해 활성화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지하고 감시하기 간편하며 설치 및 자재에 적은 비용이 요구되는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를 구비한 도어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독립 청구항 1의 특징을 구비하는 도어 프레임에 의해, 각각 청구항 15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의 특징들에 의해, 그리고 청구항 16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설비의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가 배치되는 도어 프레임의 바람직한 개발예들은 각각의 종속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다.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의 도어 프레임은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가 배치되는 챔버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은 빌딩의 승강장으로부터 빌딩의 엘리베이터 통로를 분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는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 및 엘리베이터 모터에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전자를 포함한다.
챔버의 또는 챔버의 매우 제한된 용적의 구현예는 도어 프레임 요소들이 갖는 프로파일 단면들의 선택에 달려있다. 만약에 도어 프레임이 관형 프로파일로 형성된다면, 챔버는 도어 프레임 프로파일의 내부에 배치된다. 만약에 도어 프레임이 각진 프로파일 및/또는 U자 프로파일로 형성된다면, 챔버의 측벽도 또한 빌딩의 석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유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수직 도어 프레임 요소 또는 도어 기둥에 설치된다.
엘리베이터 설비들에서 구동기는 종종 엘리베이터 통로 자체에 배치된다. 그러한 엘리베이터 설비들에서는,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는 대부분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의 영역에 위치되는 반면, 통상적으로 주파수 변환기의 부품인 전력전자 유닛은 엘리베이터 통로에 있는 구동기의 근처에 배치된다. 이것은 전력전자 유닛들이 상당한 폐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전기장 및/또는 자기장 또는 전기파 및/또는 자기파가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을 상당히 방해할 수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통로 내에 전력전자 유닛의 배치의 결과로서, 그 유지가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의 유지에 비해 상당히 더 어렵게 된다. 또한, 이런 배치의 결과로서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이 전용 전원이 요구되기 때문에 재료에 대한 상당한 비용이 발생한다.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 전력전자 및 엘리베이터 모터 사이에 상당히 더 많은 케이블들이 놓여져야 하기 때문에 이런 배치의 결과로 설치 비용 또한 상당하다.
바람직하게 엘리베이터 모터를 작동하기 위한 전력전자 유닛은 전자 주파수 변환기의 부품이다. 원칙적으로 전자(정) 주파수 변환기는 직류 전류 중간 회로 또는 직류 전압 중간 회로에 송전하는 정류기 및 이 중간 회로로부터 송전 받고 추가적인, 예를 들면 인버터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지는 인버터로 이루어진다. 중간 회로는 직류를 평평하게 하기 위한 축전기(커패시터) 및 간섭 억제을 위한 유도기(인덕터)로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해서, 비제어 및 제어 브리지들이 모두 정류기로서 사용된다. 제어 브리지가 사용될 때 중간 회로는 또한 유효 역률 보상(Power Factor Correction, PFC)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인버터는 배타적으로 전력전자 스위치들(제어 브리지들)과 함께 작동된다. 이것들은, 그 중에서도,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들(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s, MOSFETs), 고전력 스위치용 반도체들(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s, IGBTs), 또는 스위칭 사이리스터들(switching thyristors, 통합 게이트 정류 사이리스터들(Integrated Gate Commutated Thyristors, IGCTs))과 같은 트랜지스터들일 수 있다. 결과적인 출력 전압의 수준 및 주파수는 넓은 한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제동할 수 있기 위해서, 간단한 주파수 변환기들은 중간 회로로부터 과도한 에너지를 제동 저항기(resistor)으로 안내하고 거기서 열로 변환하는 브레이크 초퍼라고 지칭되는 것을 구비한다. 그렇지 않으면, 중간 회로 전압이 증가되어 축전기들을 파괴할 것이다. 그러나, 또한 피드백을 할 수 있고 흡수된 발전기 제동력을 다시 전원 시스템으로 공급할 수 있는 더 복잡한 주파수 변환기들이 있다. 또한, 각각의 전원 시스템 위상이 반도체 스위치들을 통해 부하의 각각의 위상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직접 변환기들(매트릭스 변환기라고 지칭되는)이 있다. 그러므로 등가 변수를 가진 중간 회로는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사이리스터들을 구비한 직접 변환기는 오직 입력 주파수보다 낮은 출력 주파수들만 생성할 수 있다. 반면, IGBT를 구비한 중간 회로 변환기들 및 직접 변환기들은 입력 주파수보다 높은 출력 주파수들도 생성할 수 있다. 직접 변환기들은 피드백을 할 수도 있다. 주파수 변환기들은 모터 공급선에 강력한 전기 간섭 신호들을 생성하는데, 그 신호들은 모터에서 소모재들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절연재의 증가된 부하에 이르게 할 수 있다. 모터 공급선은 종종 간섭 방사를 회피하기 위하여 차단되어야 한다. 변환기와 모터 사이에 사인파 필터로 지칭되는 것 또한 이를 개선할 수 있다. 그러한 사인파 필터들은 매우 낮은 차단 주파수 및 더 높은 내하력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전원 시스템 필터와 다르다.
주파수 변환기가 에너지를 중간 회로로부터 모터로 회전의 양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고 또한 제동 중에는 다시 중간 회로로 전달 수 있다면, 4상한 동작 모드가 종종 사용된다. 중간 회로가 설계 때문에 간섭 없이 특정양의 에너지를 단지 저장만 할 수 있으므로, 저장된 에너지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치들이 취해져야 한다. 비용-효과적인 주파수 변환기들에서 대부분 적용되는 변형(variant)은 제동 초퍼로 지칭되는 것인, 전자 스위치로 활성화되는 제동 저항기(resistor)로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다량의 에너지가 있는 경우 이 방법은 생태학적 및 경제적인 이유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응용예에 대해서는 피드백이 가능한 변환기들이 있다. 그것들은 중간 회로로부터의 에너지를 다시 전원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피드백이 가능한 주파수 변환기들을 구비한 모든 종류의 모터들은 또한 회전 속도가 변동하는 경우에 발전기로서 작동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특히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및 자동 보도(moving walkway)의 구동기와 관련 있다.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 내의 전력전자 유닛의 창의적인 통합은 전력전자 유닛에 의한 열 발생 및 상기 유닛에 의한 간섭 영향의 발산이 너무 커서 엘리베이터 감시 유닛과 함께 도어 프레임의 챔버 내의 매우 제한된 공간에 배치되지 못한다는 편견을 극복한다. 폐열이 엘리베이터 통로로 안내되어 나가고 유닛들이 주변 구성요소들을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 내에서 서로에 대해 기술적으로 배치되므로, 통합이 가능하다.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 내에서 전력전자 유닛을 통합하는 것은 다양한 장점들을 갖는다. 첫째로, 단지 케이블로 모터를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에 연결하고,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를 전기 전원 시스템에 연결하는 것만이 필요하므로 비용이 상당히 감소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의 전원 유닛이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 및 전력전자 유닛에 공급하므로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 및 전원 시스템 사이에 분리된 전원선이 필요하지 않다. 두번째로,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 및 전력전자 유닛은 이미 서로 부합되어 작업시에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의 어셈블리의 단부에 맞춰질 수 있다. 또한, 전체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는 제조 작업시에 확인될 수 있다. 이것은 엘리베이터 설비의 설치, 수리 또는 유지 동안 비용이 드는 조정 작업들이 필요 없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 및 전력전자 제어 유닛은 몇가지 작업으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는 엘리베이터 통로로부터 접근가능하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도어 프레임은 챔버의 영역에서 엘리베이터 통로 방향으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는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 및 전력전자 유닛이 배치되는 주 캐리어를 구비한다. 설치된 상태에서는, 개구는 주 캐리어에 의해 차단된다. 개구는 연소 가스가 관통할 수 없고 화재시에 불꽃이 도어 프레임 내의 엘리베이터 통로 및 개구를 통해 승강장으로 퍼질 수 없도록 차단되어야 한다.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가 도어 프레임의 이 공간적으로 제한된 챔버 내에서과열되지 않아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의 고장, 조기 노화 또는 전자 구성요소들의 파괴에까지 이르지 않도록, 적어도 전력전자 유닛의 폐열은 챔버로부터 배출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과열될 것이기 때문에 이것은 도어 프레임 자체로는 이뤄질 수 없다. 폐열에 엘리베이터 통로로 배출되기 때문에, 도어 프레임은 대략 방 온도이고 사용자는 가열된 도어 프레임에 의해 놀라지 않는다. 물론,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의 폐열도 엘리베이터 통로로 배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챔버는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 및 전력전자 유닛의 전기장 및/또는 자기장 그리고 전기파 및/또는 자기파를 상호 차단하는 부분인 전기적 전도성 챔버 벽들을 구비한다. 이것은 도어 프레임이 전기적 전도성 관형 프로파일로부터 가공된다면 이미 제공된 것이다. 적절한 경우에, 챔버의 일측이 빌딩의 석조에 의해 경계 지어진다면 차단 패널들은 챔버 내에 배치되어야 한다.
전력전자 유닛의 폐열이 엘리베이터 통로로 배출되게 하기 위하여, 주 캐리어는 벽들에 의해 형성되는 냉각 공기 통로를 구비하며, 냉각 공기 통로는 주 캐리어에 형성된 흡입구를 주 캐리어에 형성된 배출구에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된 상태에서 주 캐리어의 흡기구 및 배출구는 엘리베이터 통로 방향을 향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 및 전력전자 유닛은 냉각 공기 통로의 벽들에 배치된다. 냉각 공기 통로의 적어도 하나의 벽은 전기적 전도성 방식으로 구현되며, 그 결과로 작동 시에 이러한 유닛들에 의해, 특히 전력전자 유닛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장 및/또는 자기장 그리고 전기파 및/또는 자기파로부터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 및 전력전자 유닛을 상호 차단하는 부분이 된다. 차단을 위해 제공되는 부품들은 대부분 전기적 전도성 방식으로 지면에 연결되고, 그 결과로 전하들 또한 배출될 수 있다.
“벽에 배치되는” 특징은 유닛이 벽의 직접적인 부근에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전력전자 유닛 및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은 반드시 벽면에 있을 필요는 없다. 그것들은 스페이서 요소들에 의하거나 또는 예를 들면, 주 캐리에 부착된 설치 브라켓에 의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벽에 평행하게 유지되는 벽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개발예에서, 폐열을 발생시키는 다음 유닛의 적어도 하나는 냉각 공기 통로의 벽들에 배치될 수 있다.
- 엘리베이터 감시 유닛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유닛(정류기를 구비한 변압기),
- 배터리들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및
-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모터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를 다시 전원 시스템에 공급하기 위한 추가적인 전력전자 유닛
물론, 제2 전력전자 유닛은 제1 전력전자 유닛이 피드백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회복된 전기 에너지가 배터리들을 충전하는데 사용될 경우에만 필요하다. 그러므로 엘리베이터 모터의 제동 에너지는 열 저항기들에 의해 열로 변환될 뿐만 아니라 대신 사용된다. 위에 특정된 모든 유닛들은 똑같이 제한된 챔버 내에서 상당한 폐열을 생성하므로 거기의 폐열들 또한 냉각 공기 통로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통로로 배출되어야만 한다. 또한, 냉각 공기 통로의 적어도 하나의 벽은 전기적 전도성 방식으로 구현되며 서로 다른 엘리베이터 유닛 및 폐열을 생성하는 유닛들로부터 상호 차단하는 부품이다. 상호 차단하는 부품은 냉각 공기 통로의 전도성 벽이 각각의 다른 유닛들의 전자기적 간섭 영향들을 차단하는데 기여하는 것이지 반드시 완벽하게 달성한다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이다. 그러나, 벽들에 엘리베이터 유닛 및 전력전자 유닛을 기술적으로 배치함에 의해, 냉각 공기 덕트의 벽들에 의해 완벽한 차단을 달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유닛”은 반드시 물리적 유닛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전력전자 유닛은 전원 유닛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 또한 연결선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전자 구성요소들을 구비한 복수의 인쇄 회로 기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유닛”이라는 용어는 구성요소 또는 구성요소들의 그룹의 기능에 관계된다.
차단을 위해 효과적으로 냉각 공기 통로의 벽들을 사용하는 한가지 가능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계단이 냉각 공기 통로의 적어도 하나의 벽에 형성되는 것이다. 각각의 경우에 오직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 또는 오직 전력전자 유닛만이 하나의 계단에 배치된다. 유닛들 간의 통풍 덕트의 영역들은 벽 또는 벽들의 계단들에 의해 돌출되며 그 결과로 차단의 일부품을 구성한다. 추가적인 차단막들, 차단 패널들 및 차단 후드들의 숫자는 결과적으로 최소화될 수 있으며, 차단 용량을 감소시키는 차단물의 가능한 간극들 및 홀들도 똑같다.
전력전자 유닛 및/또는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의 폐열을 효과적으로 냉각 공기 통로로 투입하고 거기서 관통 냉각 공기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벽들에 관통구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전력전자 유닛 및/또는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의 구성요소들의 히트싱크들은 이러한 관통구들을 통해 냉각 공기 통로 안으로 연장된다. 연소가스들이 여기를 통과하기 더욱 어렵게 하기 위해서는, 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관통구들은 전력전자 유닛 및/또는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의 회로 기판들에 의해 기밀 방식으로 차단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냉각 공기 통로를 통해 폐열의 배출을 활용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력전자 유닛이 냉각 공기 통로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은 냉각 공기 통로로부터 떨어져 마주보는 벽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되, 전기적 전도성 방식으로 구현되는 그 벽은 적어도 하나의 전력전자 유닛 및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 사이에 배치된다. 그 결과로, 냉각 공기 통로는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을 전력전자 유닛의 간섭 영향으로부터 완벽하게 차단한다.
물론, 전력전자 유닛 및/또는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은 전기적 전도성 차단막, 차단 후드 또는 복수의 차단 패널들에 의해 덮일 수 있고, 그 결과로 전기적 전도성 부품들로 완전히 둘러 싸여진다. 냉각 공기 덕트로 돌출되어 열의 최적 배출을 위해 냉각 공기 유동과 접촉해야만 하는 히트싱크들은 예외가 될 수 있다. 물론, 전기적 전도성 벽들은 고투자율을 갖는 강판, 알루미늄 또는 연자성 니켈-철 합금으로부터 가공될 수 있거나, 이러한 물질들로 코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벽들은 고 열전도성을 갖는다. 그러면, 전력전자 유닛 및/또는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의 열-생성 전자 구성요소들에 연결된다면 히드싱크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적절할 경우에는, 이것을 위해 필요한 추가적인 히드싱크들 및 벽들의 개구들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냉각 공기 통로의 벽들이 가열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냉각핀들이 공기 유동이 있는 냉각 공기 통로의 내부에 배치된다.
만약 냉각 공기 통로가 수직 방향이면, 전력전자 유닛에 의한 열 유입 때문에 굴뚝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데, 그 효과로 인해 다른 수단 없이 그 자체로 냉각 공기가 통해서 흐른다. 그러나, 배출구 및 흡입구를 지나서 움직이는 엘리베이터 카는 이 자동 냉각 공기 유동을 손상시킬 수 있고 어떤 상황 하에서는 방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바람직하게는 지속적으로 냉각을 보장하기 위해서 블로워가 냉각 공기 통로에 배치된다.
배출되는 전력전자 유닛의 폐열은 엘리베이터 모터의 전력 드레인 또는 전력 배출구에 의존하기 때문에, 또한 바람직하게는 냉각 공기 통로 및 블로워에 의해 제공되어야 하는 냉각 성능도 변한다. 그러므로, 소음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냉각 공기 통로 내에 두 개의 블로워를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하나의 블로워 또는 두 개의 블로워는 배출되어야 하는 열에 의존하여 가동적이다. 또한, 냉각 공기 통로 또한, 예를 들면, 두 개의 덕트로 분리될 수 있고, 그러므로 제1 블로워는 냉각 공기를 제1 덕트를 통하도록 강제하고 제2 블로워는 제2 덕트를 통하도록 강제한다. 그러한 분리는, 예를 들면 두 개의 전력전자 유닛이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 내에 통합되는 경우에 적절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가 전력전자 유닛 내에 및/또는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 내에 배치될 수 있으되, 온도 센서의 신호들은 블로워의 또는 블로워들의 개루프 및 폐루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통과해서 움직이는 엘리베이터 카가 냉각 공기 통로 내의 냉각 공기의 유동을 상당히 손상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 블로워가 있다고 하더라도 손상시킬 수 있다. 냉각 공기의 축적들을 회피하기 위하여, 흡입구 및 배출구는 냉각 공기 통로 내에서 냉각 공기 유동을 보조할 목적으로 엘리베이터 통로 내에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방향으로 지향된 유동 안내 차폐판(배플)을 구비할 수 있다. 유동 안내 차폐판의 방향으로 인해, 공기를 지나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가 항상 엘리베이터 통로 밖으로 강제되어 흡입구로 가거나 또는 배출구 밖으로 빨려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빌딩의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빌딩 내에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을 구비하며,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가 통합된 주파수 변환기와 함께 배치되는 챔버를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또한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의 일부인 이동가능한 도어들은 도어 프레임 위에서 안내된다. 빌딩의 엘리베이터 설비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을 구비한다.
독창적인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 및 독창적인 도어 프레임은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의해 그리고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더욱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도어 프레임의 챔버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프레임 및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을 3 차원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도어 프레임의 도어 기둥 부품들을 3차원 분해도로 도시하되, 도어 기둥 부품들은 챔버 및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를 형성한다.
도 3은 도어 프레임을 엘리베이터 통로로부터 승강장을 보는 ?향으로 3차원으로 도시하되, 도어 기둥은 도 2에 도시된 도어 기둥 부품들 및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를 포함한다.
도 4는 블로워를 구비하지 않은 제1 구현예에서 도어 프레임의 챔버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의 단면 절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블로워의 폐루프 제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블로워 및 온도 센서들을 구비한 제2 구현예에서 도어 프레임의 챔버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의 단면 절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엘리베이터 통로 내의 유동 안내 차폐판을 구비한 제3 구현예에서 도어 프레임의 챔버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의 단면 절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두 개의 블로워 및 두 개의 덕트로 분리된 냉각 공기 통로를 구비한 제4 구현예에서 도어 프레임의 챔버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의 단면 절개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승강장(9)의 엘리베이터 설비의 사용자에 의해 지각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엘리베이터 설비의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1)을 도시한다. 엘리베이터 설비가 위치된 빌딩(더 이상은 도시하지 않음)은 파선에 의해 표시되는, 엘리베이터 통로(11)를 경계 짓는 빌딩 벽(10)을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통로(11)는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1)에 의해 승강장(9)으로부터 분리된다.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은 필수적으로 두 개의 날개(12.1, 12.2) 및 도어 프레임(14)으로 이루어진 통로 도어를 구비한다. 도어 날개(12.1, 12.2)는 수평하게, 구체적으로는 도 1에서 도시된, Y축 및 Z축을 더 구비한, 공간 직각 좌표계의 X축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도어 프레임(14)은, 구체적으로 도어 기둥을 형성하며 Z축에 똑바로 평행한 두 개의 측면 수직 도어 프레임 요소들(14.1, 14.2), 및 X축에 똑바로 평행한 상면 수평 도어 프레임 요소(14.3)에 의한 세 개의 도어 프레임 요소들을 구비한다.
챔버(16)는 거기의 내부에 수직 도어 프레임 요소(14.1)에 의해 형성된다. 수직 도어 프레임 요소(14.1)는 복수의 기둥 벽들, 특히 외부 정면 기둥 벽(16.1) 및 외부 측면 벽(16.3)을 구비한다. 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는, 외부 정면 기둥 벽(16.1)은 X 및 Z축들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평행하게 위치하며 외부 측면 기둥 벽(16.3)은 Y 및 Z축들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평행하게 위치한다. 외부 정면 기둥 벽(16.1), 및 외부 측면 기둥 벽(16.3)은 승강장(9)을 향한다. 외부 기둥 벽들(16.1, 16.3) 외에도 또한 도 2 및 3과 연결되어 더욱 자세히 설명되는 내부 기둥 벽들이 있을 수 있다.
외부 측면 기둥 벽(16.3)은 챔버(16)에 접근할 수 있는 외부 개구를 구비한다. 이 외부 개구는 어떤 바람직한 적당한 크기일 수 있고, 특히 도 1에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측면 기둥 벽(16.3)의 가장 큰 부분 위로 연장될 수 있다. 물론, 외부 개구는 또한 외부 정면 기둥 벽(16.1)에 형성될 수 있다.
외부 개구는 덮개(17)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설비가 작동 준비 또는 작동 중이면, 덮개(17)는 외부 개구를 차단하는 작동 위치에 고정된다. 엘리베이터 설비가 운행 중이면, 덮개(17)는 완전치 제거될 수 있는, 즉, 도어 프레임 요소(14.1)와 접촉 없는 운행 위치에 있다. 대안적으로, 덮개(17)는 또한 힌지에 의해 도어 프레임 요소(14.1)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덮개(17)는 덮개의 외부면과 함께 외부 개구에 평평한 방식으로 들어오도록 하며, 그 결과로 거의 파괴 방지(반달 프루프) 방식으로 부착되어 심미적으로 상쾌한 외면을 갖는다.
외부 정면 기둥 벽(16.1)은 승강장 표시 패널(31)이 장착되는 관통구를 포함하되,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승강장 표시 패널(31)은 엘리베이터 설비의 모든 승강장에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승강장 표시 패널(31)은 또한 덮개(17) 내로 들어갈 수 있다. 승강장 표시 패널(31)은 간단한 상/하 선택 키, 인터컴 제어기, 사용자 식별 판독 장치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3차원 분해도로 도 1의 도어 프레임(14)의 도어 기둥 부품들을 도시한다. 도 1에서 이미 기술된 특징들은 동일한 참조 기호를 갖는다. 도 2에서, 투시 방향은 승강장(9)으로부터가 아니고 엘리베이터 통로(11)로부터 도어 기둥으로 향한다. 그러므로, 외부 정면 기둥 벽(16.1)은 후면으로부터 보여질 수 있다. 승강장 표시 패널(31)은 똑같이 후면으로부터 구별 가능하다. 외부 측면 기둥 벽(16.3)은 외부 정면 기둥 벽(16.1)에 연결되며 상기 외부 측면 기둥 벽(16.3)의 외부 개구(15)는 덮개(17)로 차단된다. 내부 측면 기둥 벽(16.4)는 플랜징에 의해 외부 정면 기둥 벽(16.1)으로 통합되어 형성된다. 도어 프레임(14)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빌딩 벽(10)의 벽 개구로 들어간다면, 이 내부 측면 기중 벽(16.4)은 빌딩 벽(10)의 석조를 향한다. 이런 구조 때문에, 그 결과로 도어 프레임(14)은 도어 기둥의 영역에서 U자형의 단면을 구비하며, 챔버(16)는 엘리베이터 통로(11)를 향하는 개구를 포함한다. 이 개구, 또는 도어 기둥 부품들(16.1, 16.3 및 16.4)에 의해 형성되는 챔버(16)는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18)의 주 캐리어(16.2)에 의해 차단된다.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18)의 모든 다른 부품들은 설치된 상태에서 그것들이 챔버(16)에 위치하도록 주 캐리어(16.2) 위에 배치된다. 만약에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18)가 교환되어야 한다면, 주 캐리어(16.2)를 기둥 벽들(16.1, 16.3, 및 16.4)로부터 해제함으로써 엘리베이터 통로(11) 측면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엘리베이터 카(미도시)는 두 개의 승강장(9) 사이의 적당한 높이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엘리베이터 카의 지붕에 또는 엘리베이터 카의 작업 면에 서있거나 웅크리고 있는 작업자가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다.
감시 장치(18)는 아래의 어셈블리들을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 주 캐리어(16.2),
- 주 캐리어(16.2)에 부착된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20),
주 캐리어(16.2)에 부착되고 엘리베이터 모터를 작동시키는(전력을 공급하고, 적절한 경우에, 전력을 피드백하는) 목적을 갖는 전력 전자 유닛(21),
- 엘리베이터 모터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를 피드백하기 위한 선택적인 제2 전력전자 유닛,
-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20) 및/또는 배터리(18.8)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유닛(18.4),
- 폐열을 발생시키는 유닛들(20, 21)을 냉각시키는 수단, 거기서 폐열은 엘리베이터 통로(11)로 배출된다.
-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스위칭 요소들(18.3), 예를 들면 접촉기,
- 챔버(16) 내에 주 캐리어(16.2)를 설치하기 위한 부착 수단,
- 전력 공급을 위한 및 승강장 표시 패널들에 대한 연결을 생성하기 위한 및 엘리베이터 모터에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들,
- 덮개(17)에 대한 선택적인 전기적 또는 전자기적 감시 수단,
- 챔버(16)에 대한 선택적인 조명 시스템,
- 차단막들, 차단 패널들 또는 차단 후드들과 같은 차단 수단 및
- 비상 대피에 사용되는 장치들, 예를 들면, 배터리들(18.8).
일 유용한 구현예에서,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20)은 아래의 요소들을 포함한다.
- 엘리베이터 제어를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논리 요소들 및 인터페이스들을 구비한 주 컴퓨터)
- 원거리 비상경보 시스템 및/또는 인터콤(예를 들면 서비스 통화 또는 비상 통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이 폐열을 엘리베이터 통로(11)로 안내하여 내보내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유닛들(20, 21)의 기술적인 선택 및 배치를 통해, 폐열을 주 캐리어(16.2)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어서 주 캐리어는 폐열을 엘리베이터 통로(11)의 공기로 배출한다. 주 캐리어(16.2)의 냉각 능력이 충분하지 않다면, 도 2에 도시된 주 캐리어는 흡입구(16.5) 및 배출구(16.6)를 구비한다. 이것들은 냉각 공기 통로(19)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냉각 공기 통로(19)는 도 2에서 거의 보이지 않는데, 폐열을 발생시키는 유닛들,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20), 전력전자 유닛(21) 및 스위칭 요소(18.3)가 거기의 벽들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3은 도어 프레임(14)을 엘리베이터 통로(11)로부터 승강장(9)을 보는 방향으로 3차원으로 도시한다. 도어 프레임(14)의 도어 기둥은 도 2에 도시된 도어 기둥 부분들(16.1, 16.3, 16.4), 덮개(17) 및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18)를 포함한다. 계속해서 개략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의 영역에서 표시된 카가 없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통로(11)로부터 승강장(9)을 분리하는 도어 날개들은 도면에 포함되지 않았다. 도 3에서 주 캐리어(16.2)에서 서로의 위에 있는 흡입구(16.5)의 및 배출구(16.6)의 배치를 명백하게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배치의 결과로, 굴뚝 효과에 의해 야기되는 공기 유동은, 볼 수 없지만, 냉각 공기 통로에서 발생할 수 있다.
도 4에서, 단면 절개도로, 도어 프레임(14)의 챔버(16)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18)의 제1 구현예를 도시한다. 유입구(16.5) 및 배출구(16.6)는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18)의 주 캐리어(16.2) 위에 형성된다. 흡입구(16.5)를 배출구(16.6)로 연결하는 냉각 공기 통로(19)는 벽들(19.1, 19.2, 19.3)에 의해 챔버(16)를 향하는 주 캐리어(16.2)의 측면에 형성된다. 주 캐리어(16.2)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벽(19.2)은 계단 형식으로 형성되되,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20)은 제1 계단(19.4) 위에 배치되고, 전력전자 유닛(21)은 제2 계단(19.5) 위에 배치된다. 또한, 전원 유닛(18.4)은 냉각 공기 통로(19) 내에 배치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20) 및 전력전자 유닛(21)은 인쇄 회로 기판들(20.2, 21.2)를 구비하며, 기판 위에는 개별적인 전자 구성요소들이 배치된다. 이러한 전자 구성요소들의 일부는 제1 벽(19.2)에서 관통구들(19.7, 19.8)을 통해 냉각 공기 통로(19)로 연장되는 히트싱크들(20.1, 21.1)을 구비한다. 인쇄 회로 기판들(20.2, 21.2)은 관통구(19.7, 19.8)를 완전히 덮는데, 그 결과로 냉각 공기 통로(19)는 기밀 방식으로 챔버(16)로부터 분리된다.
주 캐리어(16.2) 및 냉각 공기 통로(19)의 벽들(19.1, 19.2, 19.3)은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20) 및 전력전자 유닛(21)을 차단하기 위하여 금속으로 가공되기 때문에, 어떤 상황 하에서 거기의 인쇄 회로 기판들(20.2, 20.3)은 주 캐리어(16.2) 및 벽들(19.1, 19.2, 19.3)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야 한다. 기밀은 밀폐 스트립, 밀폐 끈, 경화성 밀폐 질량들 및 평평한 씰과 같은 밀폐 요소들(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기밀은 또한 추가적인 차단 수단들, 예를 들면, 스팬(V자형 밧줄)들, 예를 들면, 도 4의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20)과 같은 차단 후드(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단을 위해 제공되는 모든 수단들은 전기적 전도성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이것들은 지면에 연결된다.
폐열은 열 대류에 의해 히트싱크들(20.1, 21.1)로부터 냉각 공기 통로(19)의 공기로 전달된다. 가열된 공기는 냉각 공기 통로(19)에서 배출구(16.6)를 향하여 뜨며, 그 결과로 흡입구(16.5)를 통하여 냉각 공기 통로(19) 내로 냉각 공기를 빨아들인다. 가장 강력하게 가능한 공기 유동이 냉각 공기 통로에서 발생되므로, 열이 최대로 발생하는 유닛들, 예를 들면 전력전자 유닛(21)이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16.5)의 근처에 배치된다.
도 5는 제2 구현예에서, 도어 프레임(14)의 챔버(16)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28)를 단면 절개도로 도시한다. 이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28)의 주 캐리어(16.2)는 설계상 거의 도 4의 주 캐리어(16.2)에 해당하는데, 그러한 이유로 동일한 참조 기호들이 후자를 위해 그리고 챔버(16) 및 냉각 공기 통로(19)를 위해 사용된다. 이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제1 벽(19.1)은 또한 계단 형식으로 구현되되, 전력전자 유닛(21)은 제1 계단(19.4) 위에 배치되고,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20)은 제2 계단(19.5) 위에 배치된다. 또한, 블로워(25)는 냉각 공기 통로(19)에 배치된다. 블로워 모터가 냉각 공기 통로(19) 내에 배치되거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6) 내에 배치되는지 여부는 블로워 모터가 냉각되어야 하고 모터 설치 위치에서 최소한의 소음이 발생하는지 여부에 달려있다.
블로워(25)의 사용은 우선적으로 냉각되어야 하는 유닛들(20, 21)의 순서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본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이것은 더욱 온도 민감형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20)이다. 온도 센서(20.8, 21.8)는 이러한 유닛(20, 21)의 작동 온도를 감시하기 위하여 각각 전력전자 유닛(21)의 영역에 그리고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20)의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온도 센서들(20.8, 21.8)의 신호들은 블로워 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26)로 전송된다.
도어 프레임(14), 주 캐리어(16.2) 및 냉각 공기 통로(19)의 벽들(19.1, 19.2, 19.3)은 금속으로 가공되기 때문에, 단지 하나의 차단 패널(24)만이 차단을 위하여 전력전자 유닛(21) 및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20) 사이에 가능한 간극이 없게 배치되어야 한다. 간섭 민감형 전자 요소들을 갖는 인쇄 회로 기판들은 냉각 공기 통로(19)에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유닛들(20, 21)을 연결하는 연결선들(27)은 냉각 공기 통로(19)를 통해 안내될 수 있고, 그 결과로 그것들은 벽들(19.1, 19.2, 19.3)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4)의 챔버(16) 내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38)의 제3 구현예가 도 6에서 단면 절개도로 도시된다. 상기 제3 구현예는 또한 실질적으로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20), 제1 전력전자 유닛(21) 및 전원 유닛(18.4)을 구비하는 위에서 설명된 두 개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상응한다. 이러한 이유로, 세부사항들은 단지 아래에서 차이점에 대해서만 제공된다. 제1 차이점은 챔버(16)에서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38)의 설치 개념으로 이루어진다.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38)는 승강장 측면에서 설치되거나 제거될 수 있는 슬라이드-인 유닛으로서 설계된다. 이러한 이유로, 승강장 표시 패널(31)은 또한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38) 내로 통합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력전자 유닛(33)은 냉각 공기 통로(19)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냉각 공기가 제2 전력전자 유닛(33)의 양쪽 평면 주위로 흐른다. 물론, 항상 냉각 공기의 관통 유동이 보장된다고 간주하면, 제2 전력전자 유닛(33)은 또한 냉각 공기 통로(19) 내에 어떠한 바람직한 위치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변화로 제2 전력전자 유닛(33)의 회로 기판이 스크류(39.7)에 의해 단측에서 냉각 공기 통로(19)의 제4 벽(19.6)에 고정되기 때문에 제2 전력전자 유닛(33)은 냉각 공기 통로(19)의 벽에 배치되는 것 또한 사실이다.
제3 차이점은 엘리베이터 통로(11)에서 유동 안내 차폐판(34, 35)의 배치와 관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6.6) 및 유입구(16.5) 모두 이것들을 구비할 수 있다. 물론 또한, 두 개의 개구(16.5, 16.6) 중 단지 하나만 유동 안내 차폐판(34, 35)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엘리베이터 카(19)가 후자를 통과해 움직일 경우에 이것들은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개구들(16.5, 16.6)의 부근에서 유동 조건에 따라 방향이 정해진다. 유동 안내 차폐판(34, 35)의 방향은 냉각 공기 통로(19)에서 화살표들에 의해 표시된 공기 유동이 항상 동일한 유동 방향을 갖는 것을 보장하도록 정해진다. 유입구(16.9)의 유동 안내 차폐판(34)은 배출구(16.6)의 유동 안내 차폐판(35)과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적절한 경우에, 배출구(16.6) 및/또는 유입구(16.5)는 또한 유동 안내 차폐판(34, 35)에 의해 간단하게 차단될 수 있다.
도 7은 제4 구현예에서 도어 프레임(14)의 챔버(16)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48)의 단면 절개도를 도시한다. 후자는 중간 벽(19.9)에 의해 제1 덕트(49.1) 및 제2 덕트(49.2)로 분리되는 냉각 공기 통로(49)를 구비한다. 제1 블로워(45)는 제1 덕트(49.1)에 배치되고, 제2 블로워(46)는 제2 덕트(49.2)에 배치된다. 냉각 공기 통로(48)의 이러한 분리는 폐열을 발생시키는 유닛들(20, 21)의 선택적인 냉각을 가능하게 한다. 두 개의 블로워(45, 46)의 회전 속도가 요구에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 또한 이러한 분리에 의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20) 및 전력전자 유닛(21)은 신호들이 상응하는 블로워들(45, 46)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온도 센서(20.8, 21.8)를 구비한다.
비록 본 발명이 구체적 예시적인 구현예들을 제공함으로써 설명되었지만, 더 많은 구현 변형예들이 본 발명의 제공된 지식으로, 예를 들면, 개별적인 예시적인 구현예들의 특징들을 서로 결합하고/결합하거나 예시적인 구현예들의 개별적인 기능적 유닛들을 교체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예를 들면, 모든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유동 안내 차폐판들이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냉각 공기 통로들이 복수의 덕트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모든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블로워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또한 냉각 공기 통로가 도어 프레임에서 공간적 조건들이 허락한다면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또는 직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Claims (18)

  1. 빌딩의 엘리베이터 통로를 빌딩의 승강장으로부터 분리하는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의 도어 프레임으로,
    챔버;
    엘리베이터 통로를 향해 배치되는 개구; 및
    챔버에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는,
    개구를 닫도록 구성되는 주 캐리어;
    주 캐리어에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 및
    엘리베이터 모터와 연결되고, 주 캐리어에 배치되는 전력전자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주 캐리어는 복수의 벽들에 의해 형성된 냉각 공기 통로를 포함하며, 냉각 공기 통로는 주 캐리어에 형성된 유입구를 주 캐리어에 형성된 배출구에 연결하고, 유입구 및 배출구는 엘리베이터 통로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 및 전력전자 유닛은 냉각 공기 통로의 벽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전력전자 유닛은 주파수 변환기의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챔버는,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 및 전력전자 유닛의 전기장 또는 자기장, 그리고 전기파 또는 자기파를 상호 차단하는 전기적 전도성 챔버 벽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주 캐리어는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과 폐열 발생 유닛의 전기장 또는 자기장, 그리고 전기파 또는 자기파를 상호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냉각 공기 통로의 복수의 벽들에 배치되는 폐열 발생 유닛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벽들 중 적어도 하나는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과 폐열 발생 유닛의 전기장 또는 자기장, 그리고 전기파 또는 자기파를 상호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프레임.
  6. 제5항에 있어서,
    폐열 발생 유닛은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프레임.
  7. 제5항에 있어서,
    폐열 발생 유닛은 배터리들을 위한 전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프레임.
  8. 제5항에 있어서,
    폐열 발생 유닛은 추가적인 전력전자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프레임.
  9.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벽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계단을 더 포함하고, 하나의 계단에는 오직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 또는 오직 전력전자 유닛만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프레임.
  10.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벽들 중 적어도 하나는 관통구를 포함하고, 관통구는 전력전자 유닛의 히트 싱크 또는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의 히트 싱크를 냉각 공기 통로 내에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프레임.
  11. 제10항에 있어서,
    관통구는 전력전자 유닛 또는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의 회로 기판에 의해 기밀 형식으로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프레임.
  12. 제4항에 있어서,
    전력전자 유닛은 냉각 공기 통로에 배치되며,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은 냉각 공기 통로로부터 떨어져 마주보는 벽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프레임.
  13. 제4항에 있어서,
    전력 전자 유닛 또는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은 전기적 전도성 차단 덮개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며, 차단 덮개는 전기파 또는 자기파를 상호 차단하는 복수의 벽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 전도성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프레임.
  14.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블로워는 냉각 공기 통로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프레임.
  15. 제14항에 있어서,
    온도 센서가 전력전자 유닛 또는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에 배치되고 블로워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프레임.
  16. 제4항에 있어서,
    유입구 및 배출구는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 방향으로 향하는 유동 안내 차폐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프레임.
  17. 빌딩의 엘리베이터 통로용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으로,
    이동가능한 도어; 및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도어 프레임은,
    챔버;
    엘리베이터 통로를 향해 배치되는 개구; 및
    챔버에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는,
    개구를 닫도록 구성되는 주 캐리어;
    주 캐리어에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 및
    엘리베이터 모터와 연결되고, 주 캐리어에 배치되는 전력전자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주 캐리어는 복수의 벽들에 의해 형성된 냉각 공기 통로를 포함하며, 냉각 공기 통로는 주 캐리어에 형성된 유입구를 주 캐리어에 형성된 배출구에 연결하고, 유입구 및 배출구는 엘리베이터 통로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 및 전력전자 유닛은 냉각 공기 통로의 벽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
  18. 빌딩의 엘리베이터 설비로,
    엘리베이터 통로에 배치된 엘리베이터 카;
    엘리베이터 통로를 빌딩의 승강장으로부터 분리하는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도어 프레임은,
    챔버;
    엘리베이터 통로를 향해 배치되는 개구; 및
    챔버에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는,
    개구를 닫도록 구성되는 주 캐리어;
    주 캐리어에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 및
    엘리베이터 모터와 연결되고, 주 캐리어에 배치되는 전력전자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주 캐리어는 복수의 벽들에 의해 형성된 냉각 공기 통로를 포함하며, 냉각 공기 통로는 주 캐리어에 형성된 유입구를 주 캐리어에 형성된 배출구에 연결하고, 유입구 및 배출구는 엘리베이터 통로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엘리베이터 제어 유닛 및 전력전자 유닛은 냉각 공기 통로의 벽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비.
KR1020137034577A 2011-05-30 2012-05-25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 KR101925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68023A EP2530044A1 (de) 2011-05-30 2011-05-30 Aufzugschachtabschluss mit einer Aufzugkontrollanordnung
EP11168023.7 2011-05-30
PCT/EP2012/059798 WO2012163813A1 (de) 2011-05-30 2012-05-25 Aufzugschachtabschluss mit einer aufzugkontroll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917A KR20140053917A (ko) 2014-05-08
KR101925659B1 true KR101925659B1 (ko) 2019-02-27

Family

ID=46149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4577A KR101925659B1 (ko) 2011-05-30 2012-05-25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156659B2 (ko)
EP (2) EP2530044A1 (ko)
KR (1) KR101925659B1 (ko)
CN (1) CN103619748B (ko)
BR (1) BR112013030630B1 (ko)
CA (1) CA2837622C (ko)
ES (1) ES2569716T3 (ko)
PL (1) PL2714569T3 (ko)
WO (1) WO20121638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6412B2 (en) * 2008-12-19 2014-06-1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frame with electronics housing
WO2014054134A1 (ja) * 2012-10-03 2014-04-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盤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WO2014067817A1 (de) * 2012-10-31 2014-05-08 Inventio Ag Eingabe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generieren eines steuersignals
US9573791B2 (en) * 2013-02-13 2017-02-21 Kone Corporation Elevators and elevator arrangements with maintenance cabinet in landing wall
FI124167B (fi) * 2013-05-06 2014-04-15 Kone Corp Hissin ohjaustaulu sekä hissi
CN106429670B (zh) 2015-08-07 2021-02-09 奥的斯电梯公司 电梯紧急操作装置
DE102015218401A1 (de) * 2015-09-24 2017-03-30 Thyssenkrupp Ag Flächiges Fahrkorbelement für eine Aufzugsanlage
US10308480B2 (en) 2016-07-08 2019-06-04 Otis Elevator Company Embedded power module
US20220348440A1 (en) * 2019-09-30 2022-11-03 Inventio Ag Door frame for an elevator system
US11267675B2 (en) * 2019-10-04 2022-03-08 Otis Elevator Company Cooling system for elevator with electronic visual displays
US20240101395A1 (en) * 2022-09-23 2024-03-28 Electronic Controls Inc. Bottom doo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of use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3313A1 (en) * 2003-09-29 2005-06-23 Eric Rossignol Door frame of a shaft door with a control arrangement for an elevator shaft and method for access to a control uni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4507B2 (ja) * 1988-11-08 1995-07-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三方枠装置
JPH04365773A (ja) * 1991-06-14 1992-12-17 Mitsubishi Electric Corp 個人住宅用エレベータ
FI95456C (fi) * 1994-05-04 1996-02-12 Kone Oy Järjestely hissikuilun seinän aukossa ja kojetaulu
US6378660B1 (en) * 1997-12-22 2002-04-30 Otis Elevator Company Hydraulic elevator without a machineroom
US6230845B1 (en) * 1998-07-16 2001-05-1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oveable control panel for elevators
JP4130020B2 (ja) * 1998-09-07 2008-08-0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盤開閉装置
JP4115015B2 (ja) * 1998-09-08 2008-07-0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0419974B1 (ko) * 1998-11-05 2004-03-0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JP2000177960A (ja) * 1998-12-14 2000-06-27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乗場三方枠装置
US6488129B2 (en) * 1999-10-27 2002-12-03 Inteventio Ag Cooling device for a drive means of an elevator
WO2004046010A1 (de) * 2002-11-18 2004-06-03 Inventio Ag Aufzugssteuerung eingebaut im türpfosten
JP2004250210A (ja) * 2003-02-21 2004-09-09 Toshiba Elevator Co Ltd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US8746412B2 (en) * 2008-12-19 2014-06-1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frame with electronics housing
EP2530043A1 (de) * 2011-05-30 2012-12-05 Inventio AG Aufzugschachtabschluss mit einer Aufzugkontrollanordnung
US9573791B2 (en) * 2013-02-13 2017-02-21 Kone Corporation Elevators and elevator arrangements with maintenance cabinet in landing wal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3313A1 (en) * 2003-09-29 2005-06-23 Eric Rossignol Door frame of a shaft door with a control arrangement for an elevator shaft and method for access to a control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56659B2 (en) 2015-10-13
CA2837622C (en) 2018-10-23
WO2012163813A1 (de) 2012-12-06
CA2837622A1 (en) 2012-12-06
EP2714569A1 (de) 2014-04-09
BR112013030630A2 (pt) 2016-12-13
PL2714569T3 (pl) 2016-07-29
EP2530044A1 (de) 2012-12-05
CN103619748B (zh) 2016-08-17
CN103619748A (zh) 2014-03-05
US20120304550A1 (en) 2012-12-06
ES2569716T3 (es) 2016-05-12
BR112013030630B1 (pt) 2021-04-20
EP2714569B1 (de) 2016-02-03
KR20140053917A (ko) 201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659B1 (ko)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
KR101907718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어셈블리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통로 마감
EP3402019B1 (en) Arc flash resistant enclosure with segregated cooling
CA2340170C (en) Power conversion device for a rail way vehicle
JP5272639B2 (ja) 電力変換装置盤
JP2010208764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211183778U (zh) 一体化结构紧凑型高压变频器
WO2020090858A1 (ja) エレベータ制御盤
JP2013032192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制御装置
CN211183805U (zh) 一体化结构紧凑型高压变频器
AU2019348253B2 (en) Control system assembly for MRL-elevator
CN206959060U (zh) 一种用于吸油烟机的开关防护结构
CN215011281U (zh) 电控箱及控制器
CN218619709U (zh) 组合装配式电梯控制柜
CN210469968U (zh) 一种电控柜
JP2002128402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220580094U (zh) 电动挖掘机机罩
CN103802839A (zh) 牵引变流器及轻轨车辆
CN219554392U (zh) 一种防尘防潮的消防电气柜
JP5350180B2 (ja) 電気機器用パッケージ
JP2016222352A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
JP2001072348A (ja) リニアモータエレベータ
JP2019094138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EP3145285A1 (en) Dust protected elevator dr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