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488B1 - 최소 시간 자원으로 재밍 탐지하고 통계처리 기반한 최소 간섭 주파수 선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최소 시간 자원으로 재밍 탐지하고 통계처리 기반한 최소 간섭 주파수 선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488B1
KR101925488B1 KR1020180088718A KR20180088718A KR101925488B1 KR 101925488 B1 KR101925488 B1 KR 101925488B1 KR 1020180088718 A KR1020180088718 A KR 1020180088718A KR 20180088718 A KR20180088718 A KR 20180088718A KR 101925488 B1 KR101925488 B1 KR 101925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noise
frequency
power informat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세웅
권양원
김한생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7Combinations of radar systems, e.g. primary radar and secondary radar
    • G01S13/872Combinations of primary radar and secondary rad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주파수 도약 기능을 가진 레이더에서 주변 환경을 감시하고 섹터 단위로 잡음 맵을 갱신하여 재밍을 회피하기 위한 최적의 주파수를 통계적으로 선택하고 운용하는 주파수 선택 장치 및 장거리 레이더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최소 시간 자원으로 재밍 탐지하고 통계처리 기반한 최소 간섭 주파수 선택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MINIMUM INTERFERENCE FREQUENCY BASED ON JAMMING DETECTION WITH MINIMUM TIME RESOURCE AND STATISTICAL PROCESSING}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는 레이더에서 최소 간섭 주파수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레이더는 전자기파를 방사하고 표적으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이용하여 표적을 탐지하는 장치이다. 레이더는 주기적으로 회전하면서 대상체를 탐지하며, 장거리를 탐지하는 레이더는 높은 출력과 수신 감도로 동작한다.
레이더가 동일 공간에서 운용되는 경우 주파수 간에 간섭이 발생한다. 주파수 간섭이 발생하면 잡음이 증가하여 항적 탐지 기능에 영향을 준다.
재밍 주파수를 회피하기 위하여 특허문헌1은 빔에 재밍탐지기능을 부여하여 매 빔마다 재머맵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재머의 위치를 검출하면서 재밍 주파수를 회피한다. 기존 방식은 시간 자원을 빔마다 할당해야 하고, 빔 운용시 잡음 탐지를 수행하기 때문에 재밍으로 인해 운용하지 않는 주파수는 모니터링이 어려워 주파수가 회수되면 다시 운용되어 재밍을 당하는 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86636호 (2014.04.1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파수 도약 기능을 가진 레이더에서 주변 환경을 감시하고 섹터 단위로 잡음 맵을 갱신하여 재밍을 회피하기 위한 최적의 주파수를 통계적으로 선택하고 운용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레이더 운용 시간 중에 할당된 재밍 탐지 구간에서 수신한 레이더 신호를 이용하여 방위 정보, 주파수 정보 및 전력 정보를 갖는 제1 잡음 정보를 추출하는 주파수 간섭 탐지기, 및 상기 방위 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된 섹터마다 상기 주파수 정보 및 상기 전력 정보를 갖는 제2 잡음 정보를 잡음 맵에 기록하고, 상기 제2 잡음 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섹터마다 운용 주파수를 선택하는 주파수 관리기를 포함하는 주파수 선택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주파수 선택 장치의 의한 주파수 선택 방법에 있어서, 레이더 운용 시간 중에 할당된 재밍 탐지 구간에서 수신한 레이더 신호를 이용하여 방위 정보, 주파수 정보 및 전력 정보를 갖는 제1 잡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방위 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된 섹터마다 상기 주파수 정보 및 상기 전력 정보를 갖는 제2 잡음 정보를 잡음 맵에 기록하고, 상기 제2 잡음 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섹터마다 운용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파수 선택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연결되며, 레이더 운용 시간 중에 할당된 재밍 탐지 구간에서 수신한 레이더 신호를 이용하여 방위 정보, 주파수 정보 및 전력 정보를 갖는 제1 잡음 정보를 추출하는 주파수 간섭 탐지기, 및 상기 방위 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된 섹터마다 상기 주파수 정보 및 상기 전력 정보를 갖는 제2 잡음 정보를 잡음 맵에 기록하고, 상기 제2 잡음 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섹터마다 운용 주파수를 선택하는 주파수 관리기를 포함하는 장거리 레이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주파수 도약 기능을 가진 레이더에서 재밍 탐지 구간에서 수신된 재밍 신호를 모아 빔 형성기를 거쳐 여러 방향에서 재밍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시간 자원 할당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주변 환경을 감시하고 섹터 단위로 잡음 맵을 통계적으로 관리하고 갱신함으로써, 재밍을 회피하기 위한 최적의 주파수를 선택하고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거리 레이더 시스템이 레이더 빔을 방사하는 동작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거리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회전시 주파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 장치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 장치의 잡음 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 장치의 주파수 간섭 탐지기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 장치의 주파수 관리기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 장치의 잡음 맵 관리기의 동작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 장치의 통계 처리기의 동작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선택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장거리 레이더 시스템(10)은 주기적으로 회전하면서 거리 300 km 이상 및 360도 전방위를 탐지하며, 전자기파를 방사하고 반사된 전자기파를 수신하여 표적을 분석하고 탐지하는 장치이다.
장거리 레이더 시스템(10)은 주안테나, 부안테나, 부엽차단안테나, 송수신제어부, 안테나 받침대, 및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장거리 레이더 시스템(10)은 안테나 결합기, 정비용 리프트, 안테나 접이용 힌지, 모터A, 모터B,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주안테나는 1차 레이더의 빔을 방사하고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빔을 방사하는 면의 가로 및 세로는 구현되는 설계에 따라 적합한 수치의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주안테나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안테나 소자에 회전결합기를 적용한 접이식 구조를 갖는다. 전자빔조향 및 디지털빔형성을 위해 주안테나의 각 행에는 고출력증폭기와 디지털송수신기가 장착된다.
부안테나는 2차 레이더의 빔을 방사하고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빔을 방사하는 면의 가로 및 세로는 구현되는 설계에 따라 적합한 수치의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장거리 레이더 시스템은 피아 식별구성(IFF, Identification Friend or Foe)을 포함하고, 피아 식별을 위한 보조 레이더를 포함하여 적군과 아군을 식별하여 표적을 탐지할 수 있다.
부엽차단안테나는 주안테나에 장착되고, 저잡음증폭기를 내장하여 수신잡음을 최소화한다.
수신제어부은 안테나장치(예컨대, 주안테나 및 부안테나)를 제어하고 안테나장치의 상태를 취합하며, 점검보정 기능을 수행한다. 빔송신시는 송신위상보정값과 빔조향값에 따라 각 송신기로 제어명령을 송신하여 위상을 조정한다. 디지털수신기로 수신된 디지털데이터를 취합하여 데이터 형태로 신호처리장치로 송신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안테나받침대는 안테나장치를 지탱하면서 회전시 회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안테나 받침대와 주안테나는 힌지로 연결되어 안테나를 눕힐 수 있도록 한다.
구동장치는 회전시 고정부에 장착되어 안테나장치를 일정한 주기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구동장치에는 모터가 이중화되어 장착되어 모터 고장시 즉시 대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안테나 회전각을 감지하는 센서를 장착하여 안테나 회전각을 인식할 수 있다.
정비용 리프트는 정비자가 안테나 상단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주파수 도약 기능을 가진 레이더에서 주파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주파수 선택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장거리 레이더 시스템의 안테나 회전시 주파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장거리 레이더 시스템(10) 또는 주파수 선택 장치(100)는 간섭이나 재밍 회피를 위한 항재밍 기능 중 하나인 변동 주파수 운용시 최소 간접 주파수를 추출한다. 주파수 선택 장치는 통계적으로 가장 간섭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주파수를 회피한다. 안테나가 회전하는 전방위에서 방위각을 기준으로 빔 폭의 K 배의 크기를 갖는 섹터로 나눠서 잡음 맵을 관리한다. K는 2 내지 8로 설정될 수 있다.
주파수 선택 장치(100)는 재밍이나 간섭을 탐지하여 최소 간섭 주파수를 선택하기 때문에 레이더 상호 간 주파수 간섭이 감소하고, 재밍 구간 감소로 레이더의 시간 자원 최적화가 가능하다.
도 3은 주파수 선택 장치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주파수 선택 장치(100)는 주파수 간섭 탐지기(110), 주파수 관리기(120), 및 잡음 맵(130)을 포함한다.
장거리 레이더 시스템(10)은 안테나 운용 시간에 따른 수신 신호에 대하여 재밍 탐지 구간와 빔 구간으로 구분하고, 빔 구간에서 탐색 및 추적을 위한 빔을 할당한다.
주파수 간섭 탐지기(110)는 재밍 탐지 구간에 수신된 재밍 신호를 모아 빔 형성기를 거쳐 여러 방향에서 재밍 신호를 수신한다. 재밍 탐지 구간의 시간 자원 할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디지털 빔 형성 기술 등을 이용하여 동시에 여러 방향의 재밍 신호를 탐지한다.
주파수 간섭 탐지기(110)는 레이더 운용 시간 중에 할당된 재밍 탐지 구간에서 수신한 레이더 신호를 이용하여 방위 정보, 주파수 정보 및 전력 정보를 갖는 제1 잡음 정보를 추출한다.
주파수 관리기(120)는 수신된 재밍 정보(방향, 주파수, 신호 크기)를 입력받아 잡음 맵으로 관리하고, 재밍이 발생한 주파수는 크기를 기록하고 운용 주파수 목록에서 삭제하고, 주기적으로 삭제된 주파수에 대하여 회수 여부를 판단한다. 재밍 주파수 판단 및 주파수 회수 여부 판단시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주파수 관리기(120)는 방위 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된 섹터마다 주파수 정보 및 전력 정보를 갖는 제2 잡음 정보를 잡음 맵에 기록하고, 제2 잡음 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섹터마다 운용 주파수를 선택한다.
잡음 맵(130)은 제2 잡음 정보를 기록한다. 도 4에서는 잡음 맵을 예시하고 있다. 잡음 맵(130)에서 섹터는 안테나가 회전하는 전방위에서 방위각을 기준으로 빔 폭의 K 배의 크기로 나눈 값이다. K는 2 내지 8로 설정될 수 있다. 섹터마다 복수의 주파수가 할당되고, 각각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잡음 전력을 기록한다. 잡음 전력의 단위는 dBm, mW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5는 주파수 간섭 탐지기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주파수 간섭탐지기(110)는 수신기에서 수신된 재밍 탐지 구간의 신호를 빔 조향기(110)를 통과시켜 여러 방향에서 수신된 신호의 특성을 갖도록 한다. 동일 신호 구간의 신호를 이용하여 여러 방향에서 온 잡음을 모니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 자원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빔 조향기는 아날로그 빔 조향기 또는 디지털 빔 형성 기법을 이용한 조향기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빔 조향기는 빔 형성 신호가 입력되면 설정된 조향각에 따라 빔을 형성한다.
주파수 간섭탐지기(110)는 수신한 레이더 신호를 복수의 빔 조향기를 통과시켜 빔 조향된 신호를 생성하고, 빔 조향된 신호를 분석하여 방위 정보를 갖는 제1 잡음 정보를 추출한다.
빔 조향된 신호는 간섭 탐지기(112)를 통과하여 잡음 정보(주파수, 방향, 잡음전력)를 추출한다. 간섭 탐지기(112)는 빔 조향된 신호를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식으로 신호를 가공, 분석, 처리하여 신호 성분을 추출한다.
도 6은 주파수 관리기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주파수 관리기(120)는 잡음 맵 관리기(121), 통계 처리기(122), 및 운용 주파수 목록 생성기(123)를 포함한다.
주파수 관리기(200)는 섹터별로 잡음 정보를 관리하고 주기적으로 갱신하여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운용 주파수를 관리한다.
잡음 맵 관리기(121)는 간섭 탐지기(112)에서 탐지된 정보를 수신하여 잡음 맵(120)을 관리한다. 잡음 맵 관리기(121)는 제1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와 잡음 맵에 기록된 제2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를 비교하여 제2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를 갱신한다.
통계 처리기(122)는 관리된 간섭맵에 대하여 섹터 별로 통계 계산을 수행하고 계산된 정보와 잡음 맵(130)을 운용주파수 목록 생성기(230)로 전송한다. 통계 처리기(122)는 잡음 맵(130)에 기록된 제2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기준 전력 정보를 설정한다.
운용 주파수 목록 생성기(123)는 통계값으로부터 간섭이 심한 주파수와 아닌 주파수를 분리하고 간섭이 적은 주파수를 목록으로 만들어 레이더 통제기로 전송한다. 운용 주파수 목록 생성기(123)는 잡음 맵(130)에서 기준 전력 정보보다 작은 전력 정보를 갖는 주파수 정보를 기반으로 운용 주파수를 선택하여 운용 주파수 목록을 생성한다. 레이더 통제기는 운용 주파수 목록을 기반으로 주파수를 운용한다.
도 7은 잡음 맵 관리기의 동작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단계 S710에서, 잡음 맵 관리기(121)는 제1 잡음 정보의 방위 정보와 주파수 정보를 기준으로 잡음 맵에서 대응하는 제2 잡음 정보를 선택한다. 수신된 잡음 정보의 주파수, 방향 정보를 사용하여 섹터를 찾는다.
단계 S720에서, 잡음 맵 관리기(121)는 제1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가 대응하는 제2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보다 크거나 동일한지 비교한다.
단계 S730에서, 잡음 맵 관리기(121)는 제1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가 대응하는 제2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제1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를 상기 대응하는 제2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로 갱신한다. 저장된 잡음맵 정보와 비교하여 잡음맵 정보보다 크다면 큰 값으로 갱신한다.
단계 S740에서, 잡음 맵 관리기(121)는 제1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가 대응하는 제2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보다 작으면, 대응하는 제2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에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상수를 곱한다. 작다면 기존 정보에 상수를 곱하여 갱신한다. 이러한 비교 갱신 과정을 통하여 새로운 간섭 정보를 갱신하고 만약 간섭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기존 정보를 유지 관리하여 새로운 정보가 지속적으로 갱신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통계 처리기의 동작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통계 처리기(122)는 잡음 맵에 저장된 잡음 정보를 섹터 별로 표준 편차를 산출한다. 표준 편차를 N회 반복하여 간섭이 심한 경우 주파수를 단계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단계 S810에서, 통계 처리기(122)는 갱신된 제2 잡음 정보에 해당하는 섹터를 선택한다.
단계 S820에서, 통계 처리기(122)는 선택된 섹터에 해당하는 주파수 정보의 전력 정보를 대상으로 제1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제1 표준편차를 기준 전력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830에서, 통계 처리기(122)는 제1 표준편차보다 작은 전력 정보를 갖는 주파수 정보의 전력 정보를 대상으로 제2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제2 표준편차를 기준 전력 정보로 설정하여, 기준 전력 정보를 단계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단계 S840에서, 통계 처리기(122)는 제1 표준편차보다 작은 전력 정보를 갖는 주파수 정보의 전력 정보를 대상으로 제2 표준편차를 산출한 후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과정을 N-1번 반복하여, N-1번째 표준편차보다 작은 전력 정보를 갖는 주파수 정보의 전력 정보를 대상으로 N번째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N번째 표준편차를 기준 전력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N은 표준 편차의 신뢰도를 판단하여 설정될 수 있다.
운용 주파수 목록 생성기(123)는 통계 처리기(122)에서 생성한 기준 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N번째 표준 편차보다 작은 전력을 갖는 주파수를 목록으로 생성한다.
주파수 선택 장치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이 도 3, 도 5, 및 도 6에서는 분리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복수의 구성요소들은 상호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구성요소들은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주파수 선택 조절 장치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로직회로 내에서 구현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정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장치는 고정배선형(Hardwired) 기기, 필드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컨트롤러를 포함한 시스템온칩(System on Chip, SoC)으로 구현될 수 있다.
주파수 선택 장치는 하드웨어적 요소가 마련된 컴퓨팅 디바이스에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하는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각종 기기 또는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장치,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명령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한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9는 주파수 선택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주파수 선택 장치에 의한 주파수 선택 방법은 레이더 운용 시간 중에 할당된 재밍 탐지 구간에서 수신한 레이더 신호를 이용하여 방위 정보, 주파수 정보 및 전력 정보를 갖는 제1 잡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910), 및 방위 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된 섹터마다 주파수 정보 및 전력 정보를 갖는 제2 잡음 정보를 잡음 맵에 기록하고, 제2 잡음 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섹터마다 운용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S920)를 포함한다.
주파수 선택 방법은 주파수 선택 장치 또는 장거리 레이더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주파수 선택 장치 또는 장거리 레이더 시스템가 수행하는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 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7 내지 도 9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거나 다른 과정을 추가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실행을 위해 프로세서에 명령어를 제공하는 데 참여한 임의의 매체를 나타낸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기 매체, 광기록 매체, 메모리 등이 있을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장거리 레이더 시스템 100: 주파수 선택 장치
110: 주파수 간섭 탐지기 111: 빔 조향기
112: 간섭 탐지기 120: 주파수 관리기
121: 잡음 맵 관리기 122: 통계 처리기
123: 운용 주파수 목록 생성기 130: 잡음 맵

Claims (14)

  1. 레이더 운용 시간 중에 할당된 재밍 탐지 구간에서 수신한 레이더 신호를 이용하여 방위 정보, 주파수 정보 및 전력 정보를 갖는 제1 잡음 정보를 추출하는 주파수 간섭 탐지기; 및
    상기 방위 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된 섹터마다 상기 주파수 정보 및 상기 전력 정보를 갖는 제2 잡음 정보를 잡음 맵에 기록하고, 상기 제2 잡음 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섹터마다 운용 주파수를 선택하는 주파수 관리기
    를 포함하는 주파수 선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간섭 탐지기는,
    상기 수신한 레이더 신호를 복수의 빔 조향기를 통과시켜 빔 조향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빔 조향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방위 정보를 갖는 상기 제1 잡음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선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관리기는
    상기 제1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와 상기 잡음 맵에 기록된 상기 제2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를 갱신하는 잡음 맵 관리기;
    상기 잡음 맵에 기록된 상기 제2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기준 전력 정보를 설정하는 통계 처리기; 및
    상기 잡음 맵에서 상기 기준 전력 정보보다 작은 전력 정보를 갖는 주파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운용 주파수를 선택하여 운용 주파수 목록을 생성하는 운용 주파수 목록 생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선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맵 관리기는,
    상기 제1 잡음 정보의 방위 정보와 주파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잡음 맵에서 대응하는 제2 잡음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제1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가 상기 대응하는 제2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상기 제1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를 상기 대응하는 제2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선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맵 관리기는,
    상기 제1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가 상기 대응하는 제2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보다 작으면, 상기 대응하는 제2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에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상수를 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선택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처리기는,
    상기 갱신된 제2 잡음 정보에 해당하는 섹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섹터에 해당하는 주파수 정보의 전력 정보를 대상으로 제1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제1 표준편차를 상기 기준 전력 정보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선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처리기는,
    상기 제1 표준편차보다 작은 전력 정보를 갖는 주파수 정보의 전력 정보를 대상으로 제2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제2 표준편차를 상기 기준 전력 정보로 설정하여, 상기 기준 전력 정보를 단계적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선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처리기는,
    상기 제1 표준편차보다 작은 전력 정보를 갖는 주파수 정보의 전력 정보를 대상으로 상기 제2 표준편차를 산출한 후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과정을 N-1번 반복하여, N-1번째 표준편차보다 작은 전력 정보를 갖는 주파수 정보의 전력 정보를 대상으로 N번째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N번째 표준편차를 상기 기준 전력 정보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선택 장치.
  9. 주파수 선택 장치에 의한 주파수 선택 방법에 있어서,
    레이더 운용 시간 중에 할당된 재밍 탐지 구간에서 수신한 레이더 신호를 이용하여 방위 정보, 주파수 정보 및 전력 정보를 갖는 제1 잡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방위 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된 섹터마다 상기 주파수 정보 및 상기 전력 정보를 갖는 제2 잡음 정보를 잡음 맵에 기록하고, 상기 제2 잡음 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섹터마다 운용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파수 선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잡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한 레이더 신호를 복수의 빔 조향기를 통과시켜 빔 조향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빔 조향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방위 정보를 갖는 상기 제1 잡음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선택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운용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와 상기 잡음 맵에 기록된 상기 제2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잡음 맵에 기록된 상기 제2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기준 전력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잡음 맵에서 상기 기준 전력 정보보다 작은 전력 정보를 갖는 주파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운용 주파수를 선택하여 운용 주파수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선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잡음 정보의 방위 정보와 주파수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잡음 맵에서 대응하는 제2 잡음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제1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가 상기 대응하는 제2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상기 제1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를 상기 대응하는 제2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로 갱신하고,
    상기 제1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가 상기 대응하는 제2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보다 작으면, 상기 대응하는 제2 잡음 정보의 전력 정보에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상수를 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선택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력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갱신된 제2 잡음 정보에 해당하는 섹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섹터에 해당하는 주파수 정보의 전력 정보를 대상으로 제1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제1 표준편차보다 작은 전력 정보를 갖는 주파수 정보의 전력 정보를 대상으로 제2 표준편차를 산출한 후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과정을 N-1번 반복하여, N-1번째 표준편차보다 작은 전력 정보를 갖는 주파수 정보의 전력 정보를 대상으로 N번째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N번째 표준편차를 상기 기준 전력 정보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선택 방법.
  14. 전자기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연결되며, 레이더 운용 시간 중에 할당된 재밍 탐지 구간에서 수신한 레이더 신호를 이용하여 방위 정보, 주파수 정보 및 전력 정보를 갖는 제1 잡음 정보를 추출하는 주파수 간섭 탐지기; 및
    상기 방위 정보를 기준으로 설정된 섹터마다 상기 주파수 정보 및 상기 전력 정보를 갖는 제2 잡음 정보를 잡음 맵에 기록하고, 상기 제2 잡음 정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섹터마다 운용 주파수를 선택하는 주파수 관리기
    를 포함하는 장거리 레이더 시스템.
KR1020180088718A 2018-06-14 2018-07-30 최소 시간 자원으로 재밍 탐지하고 통계처리 기반한 최소 간섭 주파수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1925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344 2018-06-14
KR20180068344 2018-06-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488B1 true KR101925488B1 (ko) 2018-12-05

Family

ID=6467004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718A KR101925488B1 (ko) 2018-06-14 2018-07-30 최소 시간 자원으로 재밍 탐지하고 통계처리 기반한 최소 간섭 주파수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20180089540A KR101925489B1 (ko) 2018-06-14 2018-07-31 응답전력 기반의 피아 식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20180089541A KR101928509B1 (ko) 2018-06-14 2018-07-31 응답결과 기반의 피아 식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540A KR101925489B1 (ko) 2018-06-14 2018-07-31 응답전력 기반의 피아 식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20180089541A KR101928509B1 (ko) 2018-06-14 2018-07-31 응답결과 기반의 피아 식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9254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20686A (zh) * 2021-10-19 2021-12-21 中安锐达(北京)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航迹生成杂波图处理雷达一次点迹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054B1 (ko) 2006-09-12 2007-12-12 국방과학연구소 레이다 인접 채널의 주파수 간섭 억제 장치 및 방법
JP2010071958A (ja) 2008-09-22 2010-04-02 Denso Corp レーダ装置
KR101426863B1 (ko) 2014-03-19 2014-08-06 국방과학연구소 특징인자를 이용한 레이더 펄스내 변조형태 인식 방법
KR101522207B1 (ko) 2014-01-14 2015-05-21 국방과학연구소 추적레이더의 재밍성능 시험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25784B2 (ja) 2008-06-11 2013-01-23 日本電気株式会社 航空機位置測定システム、信号種類判定方法およびセンタ局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101378887B1 (ko) 2012-05-08 2014-03-28 국방과학연구소 피아 식별 장치 및 시스템
KR101869040B1 (ko) * 2018-04-06 2018-07-19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피아식별기 질문기의 부엽에 의한 응답 억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054B1 (ko) 2006-09-12 2007-12-12 국방과학연구소 레이다 인접 채널의 주파수 간섭 억제 장치 및 방법
JP2010071958A (ja) 2008-09-22 2010-04-02 Denso Corp レーダ装置
KR101522207B1 (ko) 2014-01-14 2015-05-21 국방과학연구소 추적레이더의 재밍성능 시험장치 및 방법
KR101426863B1 (ko) 2014-03-19 2014-08-06 국방과학연구소 특징인자를 이용한 레이더 펄스내 변조형태 인식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20686A (zh) * 2021-10-19 2021-12-21 中安锐达(北京)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航迹生成杂波图处理雷达一次点迹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489B1 (ko) 2018-12-05
KR101928509B1 (ko) 2018-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600B1 (ko) 장거리 레이더를 이용하는 표적 탐지각 산출 장치와 방법 및 이 장치를 구비하는 장거리 레이더 시스템
US10775483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and recognizing signals and method thereof
JP2021535406A (ja) 光検出および測距システムにおいて光学的クロストークを軽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601881B2 (ja) パッシブレーダシステムおよびパッシブレーダ方法
JP2019053030A (ja) レーダー映像処理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JP7292099B2 (ja) 二次レーダーを用いて航空機搭載トランスポンダの特定の特徴をライン動作時に測定する方法
US20190107616A1 (en) Operation mode control method and radar system
US99646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passive radar
KR102264073B1 (ko) 편대 비행체 추적방법 및 장치
JP2005233723A (ja) 分散開口レーダ装置
KR101925488B1 (ko) 최소 시간 자원으로 재밍 탐지하고 통계처리 기반한 최소 간섭 주파수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1868594B1 (ko) 레이더 빔을 이용한 지형 가시선 분석 장치 및 장거리 레이더 시스템
JP3538100B2 (ja) レーダ装置
RU2694366C1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преднамеренных активных сигналоподобных имитационных помех радиоэлектронным средствам
CN112105951A (zh) 雷达系统、可移动平台及雷达系统的控制方法
KR102048530B1 (ko) Psr 플롯 추출 기반의 다중 채널 항적 탐지 장치
US20230110788A1 (en) Learning device, learning method, recording medium, and radar device
KR101601110B1 (ko) 협력통신 기반 레이더 시스템 및 레이더 시스템 간 협력통신을 통한 탐지영역 확장 방법
JP2002156449A (ja) レーダ装置
KR102192761B1 (ko) 타겟 탐지 방법 및 장치
JP2005233763A (ja) 飛行体検出装置
KR102328152B1 (ko) 다중 드론을 이용한 기만 신호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7452617B2 (ja) 学習装置、学習方法、プログラム、及び、レーダ装置
KR102618612B1 (ko) 개선된 근거리 탐지용 신호처리 기능을 포함하는 fmcw레이더 장치
JP7416092B2 (ja) 学習装置、学習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