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8509B1 - 응답결과 기반의 피아 식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응답결과 기반의 피아 식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8509B1
KR101928509B1 KR1020180089541A KR20180089541A KR101928509B1 KR 101928509 B1 KR101928509 B1 KR 101928509B1 KR 1020180089541 A KR1020180089541 A KR 1020180089541A KR 20180089541 A KR20180089541 A KR 20180089541A KR 101928509 B1 KR101928509 B1 KR 101928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gnal
ssr
plot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수곤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7Combinations of radar systems, e.g. primary radar and secondary radar
    • G01S13/872Combinations of primary radar and secondary rad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아 식별 장치는 피아 식별의 대상이 되는 대상 물체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대상 물체로부터 상기 호출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응답 신호로부터 상기 대상 물체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 피아 식별부; 및 상기 피아 식별부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데이터의 실행 길이(runlength) 및 상기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상기 응답 신호의 개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대상 물체의 실제 항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응답결과 기반의 피아 식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METHOD FOR IDENTIFYING FRIEND OR FOE BASED ON RESPONSE RESULT AND APPARATUS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획득된 데이터가 실제 표적의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피아 식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아 식별 장치(IFF)는 군용으로 사용되는 장비로, 대상 물체의 피아를 식별 특히, 아군을 식별하기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대상 물체가 감시 영역으로 접근을 하고 있다고 하자. 이 경우, 상기 대상 물체가 아군인지 아닌지 피아 식별이 우선되어야만 그에 따른 다음 단계의 대응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피아 식별 장치(IFF)는 접근하고 있는 표적 즉, 대상 물체에 피아 식별을 위한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대상 물체는 상기 피아 식별 장치의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응답 신호를 리턴(return)한다. 피아 식별 장치(IFF)는, 대상 물체로부터 리턴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대상 물체에 대한 피아를 식별할 수 있다.
다만, 피아 식별 장치에 의해 획득되는 데이터 중에는 대상 물체와 관련이 없는 데이터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식별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78887호 (2013.07.26.)
근거리에서 탐지된 SSR 항적은 기상현상 및 Multipath 등으로 인해 허위 항적이 수신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허위 항적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허위 항적은 실제 항적보다 SRL(SSR plot run length)이 짧다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허위 항적은 실제 항적보다 SSR 플롯과 관련된 수신 응답의 개수(SRR: number of received replies for (M)SSR)가 적다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허위 항적을 제거함으로써 대상 물체의 항적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피아 식별의 대상이 되는 대상 물체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대상 물체로부터 상기 호출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응답 신호로부터 상기 대상 물체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 피아 식별부; 및 상기 피아 식별부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데이터의 실행 길이(runlength) 및 상기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상기 응답 신호의 개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대상 물체의 실제 항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피아 식별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데이터는, SSR(secondary surveillance radar) 시스템에 의해 획득된 SSR 플롯(plot)일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호출 신호의 모드 정보, 상기 대상 물체와의 거리, 상기 대상 물체의 방위, 상기 대상 물체의 고도, 상기 응답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실행 길이(runlength)와 상기 응답 신호의 개수를 곱한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대상 물체의 실제 항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모드 정보와 관련된 코드 내 상기 응답 신호의 정확성을 나타내는 필드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대상 물체의 실제 항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물체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호출 신호가 상기 대상 물체에 의해 반사된 반사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반사 신호를 통해 상기 대상 물체의 운행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가 융합된 형태의 제3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3 데이터가 상기 대상 물체의 실제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데이터는, PSR(primary surveillance radar) 시스템에 의해 획득된 PSR 플롯일 수 있다.
상기 제3 데이터는,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 사이의 기 설정된 경계 범위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집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피아 식별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피아 식별의 대상이 되는 대상 물체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대상 물체로부터 상기 호출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 신호로부터 상기 대상 물체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의 실행 길이(runlength) 및 상기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상기 응답 신호의 개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대상 물체의 실제 항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아 식별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데이터는, SSR(secondary surveillance radar) 시스템에 의해 획득된 SSR 플롯(plot)일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호출 신호의 모드 정보, 상기 대상 물체와의 거리, 상기 대상 물체의 방위, 상기 대상 물체의 고도, 상기 응답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제 항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실행 길이(runlength)와 상기 응답 신호의 개수를 곱한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대상 물체의 실제 항적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피아 식별의 대상이 되는 대상 물체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대상 물체로부터 상기 호출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 신호로부터 상기 대상 물체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의 실행 길이(runlength) 및 상기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상기 응답 신호의 개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대상 물체의 실제 항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SRL이 임계값보다 짧거나 SRR의 개수가 적은 응답 신호에 대응되는 SSR 플롯을 제거함으로써, 대상 물체의 항적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아 식별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신호의 모드와 관련된 코드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아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아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아 식별 장치(100: identification friend or foe (IFF))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아 식별 장치(100)는, 신호 처리부(102), 피아 식별부(104) 및 데이터 처리부(106)를 포함한다.
피아 식별 장치(100)는, 군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주로 항공기, 선박 등과 같은 관심 표적(target), 즉 대상 물체에 대한 피아 식별을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대상 물체는 항공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상기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분야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피아 식별 장치(100)는 감시 영역으로 접근하는 대상 물체와의 교신을 통해 해당 대상 물체에 대한 피아를 식별한다. 피아 식별 장치(100)는 대상 물체와 교신하기 위한 교신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교신 시스템은 PSR(primary surveillance radar) 시스템과 SSR(secondary surveillance radar) 시스템으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PSR 시스템은 신호의 반사 유무에 따라 신호를 분석해 항공기의 방위, 고도, 거리를 판단하는 시스템이다. 한편, SSR 시스템은 호출기(interrogator)가 호출 신호를 발사하면 항공기 등의 응답기(transponder)가 호출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지상설비로 반송하는 시스템이다.
신호 처리부(102)는 PSR(primary surveillance radar) 플롯을 생성할 수 있다. PSR 플롯은 PSR 시스템에 의해 수집된 항공기 등의 항적에 관한 데이터이다. 본 설명에서 PSR 플롯은 제2 데이터라고 불릴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피아식별의 대상이 되는 항공기, 선박 등을 대상 물체라고 부르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신호처리부는 주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주안테나는 대상 물체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된 신호는 대상 물체에서 반사되어 다시 주안테나로 수신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02)는 항공기에서 반사되어 수신된 반사 신호에 대하여 펄스 압축, 클러터 필터링, CFAR 탐지를 수행하여 대상 물체와의 거리, 대상 물체의 방위, 고각 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다. 대상 물체와의 거리, 대상 물체의 방위, 고각 정보 등을 HIT라 부를 수 있다. 신호 처리부(102)는 HIT를 HIT 간 거리, 방위, 고도 경계선에 따라 클러스터링함으로써 PSR 플롯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PSR 플롯은 거리, 방위, 고도, 수신 신호, 빔 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피아 식별부(104)는 SSR(secondary surveillance radar) 플롯을 생성할 수 있다. SSR 플롯은 SSR 시스템에 의해 수집된 대상 물체의 항적에 관한 데이터이다. 본 설명에서, SSR 플롯은 제1 데이터로서, 대상 물체의 운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아 식별부(104)는 부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으며, 부안테나는 항공기 측으로 호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부안테나는 상술한 SSR의 호출기에 구비된 안테나를 가리킬 수 있다. 항공기의 응답기에서 상기 호출 신호를 수신하면, 항공기는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부안테나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응답 신호는 복수 개로서, 각각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잇고, 적어도 일부가 중복될 수도 있다. 피아 식별부(104)는 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부안테나에서 수신된 응답 신호를 이용하여 SSR 플롯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SR 플롯은 상기 항공기의 식별 정보, 호출 신호의 모드에 관한 정보, 거리, 방위, 고도, 수신 신호, SSR, SR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호출 신호의 모드는, 모드 1, 모드 2, 모드 3/A, 모드 C, 모드 S, 모드 4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드 3/A은 군, 민항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대상 물체의 식별 코드를 얻기 위한 코드일 수 있고, 모드 C는 민항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항공기의 고도 정보를 얻기 위한 신호를 가리킬 수 있다. 또한, 모드 S는 호출 신호를 수신한 복수의 대상 물체로부터 각각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응답 신호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신호이다. 한편, SSR 플롯은 ASTERIX 포맷(예를 들어, ASTERIX CATEGORY 48 포맷)으로 저장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 처리부(106)는 대상 물체의 항적이 실제 항적인지 또는 허위 항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처리부(106)는 피아 식별부(104)로부터 SSR 플롯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06)는 신호 처리부(102)로부터 PSR 플롯을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06)는 PSR 플롯과 SSR 플롯이 모두 수신되는 경우, 상기 PSR 플롯과 SSR 플롯 사이의 유클리디안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융합 플롯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설명에서, 융합 플롯은 제3 데이터라고 불릴 수 있다. 융합 플롯은 설정된 PSR 플롯과 SSR 플롯 사이의 경계 범위 내에서 PSR 플롯과 SSR 플롯이 합쳐진 플롯일 수 있다. 즉 융합 플롯은 SSR 플롯과 PSR 플롯 사이의 기 설정된 경계 범위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집합일 수 있다. 여기서, 경계 범위, 즉 경계선의 크기는 PSR 플롯과 SSR 플롯의 민감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06)는 PSR 플롯이 수신되는 경우, 융합 플롯을 상기 대상 물체의 실제 항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융합 플롯은 SSR 플롯 및 PSR 플롯이 모두 반영된 데이터이기 때문에 실제 항적과 일치할 가능성이 높다. 데이터 처리부(106)는 융합 플롯을 실제 대상 물체의 실제 항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처리부(106)에서 SSR 플롯만이 수신된 경우, 즉 PSR 플롯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데이터 처리부(106)는 SSR 플롯이 대상 물체의 실제 항적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SSR 플롯의 실행 길이(이하, SRL: SSR plot runlength) 및 SSR 플롯과 관련된 응답 신호의 개수(이하, SRR: number of received replies for (M)SSR)를 계산할 수 있다. SRL은 SSR 플롯의 실행 길이, 즉 항적을 생성하는 응답 신호들의 총 방위 각도를 가리킨다. SSR 플롯은 복수의 응답 신호들을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허위 항적의 경우 SSR 플롯의 실행 길이가 실제 항적보다 짧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SRR은 하나의 SSR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응답 신호들의 개수를 가리킨다. 허위 항적의 경우, SSR 플롯의 SRR이 실제 항적보다 SRR 개수가 작다는 특징이 있다. 데이터 처리부(106)는 ASTERIX CATEGORY 48 포맷으로 수신된 SSR 플롯으로부터 SRL 및 SRR을 획득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06)는 획득한 SRL과 SRR을 곱한 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SRL은 실수, SRR은 정수일 수 있고, SRL과 SRR을 곱한 값은 실수 값이 될 수 있다. 허위 항적에 해당하는 SSR 플롯의 SRL과 SRR을 곱한 값은 실제 항적에 해당하는 SSR 플롯의 SRL과 SRR을 곱한 값보다 훨씬 작은 값을 가진다. 또한, 임계값은 실험, 누적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최적화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06)는 SSR 플롯에 포함되어 있는 호출 신호의 모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처리부(106)는 SSR 플롯에 대응되는 호출 신호의 모드가 모드 1인 경우, 해당 모드 정보의 인식 불가(invalid) 필드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피아 식별부(104)에서 SSR을 생성하는 과정 중에, 응답 신호에 포함된 정보가 정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대응되는 모드의 인식 불가 필드에 'code not validated(1)'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응답 신호에 포함된 정보가 정확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대응되는 모드의 인식 불가 필드에 'code validated(0)'이 기록될 수 있다. 만약 인식 불가 필드에 '1'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 SSR 플롯은 허위 항적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인식 불가 필드에 '0'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 SSR 플롯은 실제 항적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06)는 호출 신호의 모드 정보와 관련된 코드 내 상기 응답 신호의 정확성을 나타내는 필드 값을 기반으로 해당 SSR 플롯이 대상 물체의 실제 항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처리부(106)는 SSR 플롯에 대응되는 호출 신호의 모드가 모드 2인 경우, 해당 모드 정보의 인식 불가 필드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SSR 플롯이 정확한 응답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06)는 SSR 플롯에 대응되는 호출 신호의 모드가 모드 3/A인 경우, 해당 모드 정보의 인식 불가 필드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SSR 플롯이 정확한 응답 신호를 기반으로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신호의 모드와 관련된 코드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호출 신호의 모드가 모드 1인 경우 관련 코드의 인식 불가 필드(사각형으로 표시)를 나타낸다. 도 2(b)는 호출 신호의 모드가 모드 2인 경우 관련 코드의 인식 불가 필드를 나타낸다. 또한, 도 2(c)는 호출 신호의 모드가 모드 3/A인 경우 관련 코드의 인식 불가 필드를 나타낸다. 각 코드의 인식 불가 필드는 최상위 비트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부(106)는 SSR 플롯의 SRL과 SRR을 곱한 값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제1 조건), 모드 1과 관련된 코드의 인식 불가 필드가 1을 나타내는 경우(제2 조건), 모드 2와 관련된 코드의 인식 불가 필드가 1을 나타내는 경우(제3 조건) 및 모드 3/A와 관련된 코드의 인식 불가 필드가 1을 나타내는 경우(제4 조건), 해당 SSR 플롯은 대상 물체의 허위 항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06)는 상술한 제1 조건. 제2 조건, 제3 조건 및 제4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SSR 플롯이 대상 물체의 실제 항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아 식별 방법(300)을 설명하기 위한 흐릅도이다. 도 3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피아 식별 방법(300)은 상술한 데이터 처리부(10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302에서, 데이터 처리부(106)는 플롯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처리부(106)는 SSR 플롯 및 PSR 플롯이 모두 수신되는 경우, 융합 플롯을 생성할 수 있다. 만약, PSR 플롯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106)는 본 단계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S304에서, 데이터 처리부(106)는 SSR 플롯을 저장하고 있는지 또는 융합 플롯을 저장하고 있는지에 따라 해당 항적 데이터의 실제 항적 여부를 다르게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06에서, 융합 플롯을 저장하고 있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106)는 해당 융합 플롯이 대상 물체의 실제 항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08에서, SSR 플롯만을 저장하고 있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106)는 저장되어 있는 상기 SSR 플롯의 SRR 및 SRL의 값을 각각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처리부(106)는 SRR과 SRL을 곱한 값을 계산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 데이터 처리부(106)는 SRR과 SRL을 곱한 값을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06)는 호출 신호의 모드와 관련된 코드 내 상기 응답 신호의 정확성을 나타내는 필드 값이 인식 불가(invalid)를 가리키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부(106)는 모드 1과 관련된 코드의 인식 불가 필드가 1을 나타내는지, 모드 2와 관련된 코드의 인식 불가 필드가 1을 나타내는지 및 모드 3/A와 관련된 코드의 인식 불가 필드가 1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312에서, 데이터 처리부(106)는 SSR 플롯의 SRL과 SRR을 곱한 값이 임계값보다 작고, 모드 1과 관련된 코드의 인식 불가 필드가 1을 나타내며, 모드 2와 관련된 코드의 인식 불가 필드가 1을 나타내고, 그리고 모드 3/A와 관련된 코드의 인식 불가 필드가 1을 나타내는 경우, 해당 SSR 플롯은 대상 물체의 허위 항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14에서, 데이터 처리부(106)는 SSR 플롯의 SRL과 SRR을 곱한 값이 임계값보다 크거나, 모드 1과 관련된 코드의 인식 불가 필드가 0을 나타내거나, 모드 2와 관련된 코드의 인식 불가 필드가 0을 나타내거나, 그리고 모드 3/A와 관련된 코드의 인식 불가 필드가 0을 나타내는 경우, 해당 SSR 플롯은 대상 물체의 실제 항적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아 식별 방법(400)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402에서, 피아 식별 장치(100)는 피아 식별의 대상이 되는 대상 물체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대상 물체로부터 상기 호출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04에서, 피아 식별 장치(100)는 상기 응답 신호로부터 상기 대상 물체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는 SSR(secondary surveillance radar) 시스템에 의해 획득된 SSR 플롯(plot)일 수 있다. 또한, 제1 데이터는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호출 신호의 모드 정보, 상기 대상 물체와의 거리, 상기 대상 물체의 방위, 상기 대상 물체의 고도, 상기 응답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06에서, 피아 식별 장치(100)는 상기 피아 식별부(104)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데이터의 실행 길이(runlength) 및 상기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상기 응답 신호의 개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대상 물체의 실제 항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피아 식별 장치(100)의 상기 데이터 처리부(106)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실행 길이(runlength)와 상기 응답 신호의 개수를 곱한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대상 물체의 실제 항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106)는, 상기 모드 정보와 관련된 코드 내 상기 응답 신호의 정확성을 나타내는 필드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대상 물체의 실제 항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피아 식별 장치(100)는 상기 대상 물체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호출 신호가 상기 대상 물체에 의해 반사된 반사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반사 신호를 통해 상기 대상 물체의 운행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06)는, 상기 신호 처리부(102)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가 융합된 형태의 제3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3 데이터가 상기 대상 물체의 실제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데이터는, PSR(primary surveillance radar) 시스템에 의해 획득된 PSR 플롯일 수 있다. 제3 데이터는,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 사이의 기 설정된 경계 범위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집합일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데이터 처리부(106)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0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피아 식별 장치
102: 신호 처리부
104: 피아 식별부
106: 데이터 처리부

Claims (13)

  1. 피아 식별의 대상이 되는 대상 물체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대상 물체로부터 상기 호출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응답 신호로부터 상기 대상 물체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 피아 식별부; 및
    상기 피아 식별부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데이터의 실행 길이(runlength) 및 상기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상기 응답 신호의 개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대상 물체의 실제 항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피아 식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SSR(secondary surveillance radar) 시스템에 의해 획득된 SSR 플롯(plo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 식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호출 신호의 모드 정보, 상기 대상 물체와의 거리, 상기 대상 물체의 방위, 상기 대상 물체의 고도, 상기 응답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아 식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실행 길이(runlength)와 상기 응답 신호의 개수를 곱한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대상 물체의 실제 항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 식별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모드 정보와 관련된 코드 내 상기 응답 신호의 정확성을 나타내는 필드 값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대상 물체의 실제 항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 식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물체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호출 신호가 상기 대상 물체에 의해 반사된 반사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반사 신호를 통해 상기 대상 물체의 운행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상기 제2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가 융합된 형태의 제3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3 데이터가 상기 대상 물체의 실제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 식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는, PSR(primary surveillance radar) 시스템에 의해 획득된 PSR 플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 식별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데이터는,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 사이의 기 설정된 경계 범위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 식별 장치.
  9.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피아 식별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피아 식별의 대상이 되는 대상 물체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대상 물체로부터 상기 호출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 신호로부터 상기 대상 물체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의 실행 길이(runlength) 및 상기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상기 응답 신호의 개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대상 물체의 실제 항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아 식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SSR(secondary surveillance radar) 시스템에 의해 획득된 SSR 플롯(plo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아 식별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호출 신호의 모드 정보, 상기 대상 물체와의 거리, 상기 대상 물체의 방위, 상기 대상 물체의 고도, 상기 응답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아 식별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항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데이터의 실행 길이(runlength)와 상기 응답 신호의 개수를 곱한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대상 물체의 실제 항적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아 식별 방법.
  13.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피아 식별의 대상이 되는 대상 물체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대상 물체로부터 상기 호출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응답 신호로부터 상기 대상 물체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의 실행 길이(runlength) 및 상기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된 상기 응답 신호의 개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데이터가 상기 대상 물체의 실제 항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89541A 2018-06-14 2018-07-31 응답결과 기반의 피아 식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1928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344 2018-06-14
KR20180068344 2018-06-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509B1 true KR101928509B1 (ko) 2018-12-12

Family

ID=6467004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718A KR101925488B1 (ko) 2018-06-14 2018-07-30 최소 시간 자원으로 재밍 탐지하고 통계처리 기반한 최소 간섭 주파수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20180089540A KR101925489B1 (ko) 2018-06-14 2018-07-31 응답전력 기반의 피아 식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20180089541A KR101928509B1 (ko) 2018-06-14 2018-07-31 응답결과 기반의 피아 식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718A KR101925488B1 (ko) 2018-06-14 2018-07-30 최소 시간 자원으로 재밍 탐지하고 통계처리 기반한 최소 간섭 주파수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20180089540A KR101925489B1 (ko) 2018-06-14 2018-07-31 응답전력 기반의 피아 식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9254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20686A (zh) * 2021-10-19 2021-12-21 中安锐达(北京)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航迹生成杂波图处理雷达一次点迹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300146A (ja) 2008-06-11 2009-12-24 Nec Corp 航空機位置測定システム、信号種類判定方法およびセンタ局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101378887B1 (ko) 2012-05-08 2014-03-28 국방과학연구소 피아 식별 장치 및 시스템
KR101869040B1 (ko) 2018-04-06 2018-07-19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피아식별기 질문기의 부엽에 의한 응답 억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054B1 (ko) 2006-09-12 2007-12-12 국방과학연구소 레이다 인접 채널의 주파수 간섭 억제 장치 및 방법
JP5102165B2 (ja) 2008-09-22 2012-12-19 株式会社デンソー レーダ装置
KR101522207B1 (ko) 2014-01-14 2015-05-21 국방과학연구소 추적레이더의 재밍성능 시험장치 및 방법
KR101426863B1 (ko) 2014-03-19 2014-08-06 국방과학연구소 특징인자를 이용한 레이더 펄스내 변조형태 인식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300146A (ja) 2008-06-11 2009-12-24 Nec Corp 航空機位置測定システム、信号種類判定方法およびセンタ局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101378887B1 (ko) 2012-05-08 2014-03-28 국방과학연구소 피아 식별 장치 및 시스템
KR101869040B1 (ko) 2018-04-06 2018-07-19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피아식별기 질문기의 부엽에 의한 응답 억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489B1 (ko) 2018-12-05
KR101925488B1 (ko) 201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60833B1 (en) Method for eliminating false reflected targets and automatic reflector mapping in secondary surveillance radar
US7501977B2 (en) Mode S radar
US53879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decoding transponder reply signals
US5392050A (en) Method of recognizing a radar target object type and apparatus therefor
US7809496B2 (en) Error control in a traffic management system
EP1953565B1 (en) Secondary surveillance radar and method of analyzing replies for secondary surveillance radar
US11635508B2 (en) Method for characterizing the density of mode S interrogations and responses and secondary radar implementing such a method
US5107268A (en) Method of multipath track reduction in an aircraft tracking system
WO2016194036A1 (ja) レーダ信号処理装置
JP4424272B2 (ja) 空港面監視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る航跡統合装置
US5264853A (en) Method of reducing false tracks due to suppression pulse replies in an aircraft tracking system
US20210348943A1 (en) Map information correction apparatus, mobile object, map information correction system, map information correction method, control circuit,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KR102264073B1 (ko) 편대 비행체 추적방법 및 장치
US75481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disabling a TCAS broadcast
KR101928509B1 (ko) 응답결과 기반의 피아 식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JP4125744B2 (ja) 二次監視レーダ及び二次監視レーダ応答信号解析方法
US11307288B2 (en) Object sensing apparatus, object sen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4551827B2 (ja) 二次監視レーダ制御装置及び二次監視レーダ制御方法
US20100253566A1 (en) Secondary surveillance radar and method of analyzing replies for secondary surveillance radar
WO2021161502A1 (ja) 学習装置、学習方法、記録媒体、及び、レーダ装置
JPS6357744B2 (ko)
KR102560439B1 (ko) 이중대역 레이다 시스템에서 표적 탐지/추적 장치 및 그 방법
US10197666B2 (en) Anomalous propagation detection
KR102589098B1 (ko) 항공기 레이다 시스템에서의 추적 파형 prf 선택장치 및 그 방법
KR102567772B1 (ko) Mprf 파형의 탐색 빔을 사용하는 레이더 시스템에서 표적의 모호성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