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451B1 -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및 이를 이용한 금속관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및 이를 이용한 금속관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451B1
KR101924451B1 KR1020170162818A KR20170162818A KR101924451B1 KR 101924451 B1 KR101924451 B1 KR 101924451B1 KR 1020170162818 A KR1020170162818 A KR 1020170162818A KR 20170162818 A KR20170162818 A KR 20170162818A KR 101924451 B1 KR101924451 B1 KR 101924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metal pipe
metal
r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162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451B1/ko
Priority to CN201811451884.7A priority patent/CN10985482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4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 B21D39/046Connecting tubes to tube-like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2Enlarging
    • B21D41/026Enlarging by means of mandr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은, 제 1 금속관과 제 2 금속관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 1 금속관에 상기 제 2 금속관이 삽입되는 소켓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금속관의 일단이 확관되어 형성되는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의 외면에 밀착 고정되되, 상기 금속관을 수직으로 세웠을 때 자중에 의해서는 제 1 금속관에 밀착된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걸림부를 형성하는 소켓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관 연결 작업의 편의성이 형상되고, 관 연결 후에는 안정된 연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내구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관 연결 구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및 이를 이용한 금속관 연결 구조 {METAL PIPE WITH SOCKET AND METAL PIPE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강관과 같은 금속관을 서로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소켓과, 이를 이용한 금속관 연결 구조 및 금속관 소켓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 하수, 가스, 원유 등 유체의 수송을 목적으로 하는 관이나 전선, 통신선 등 케이블의 수용을 목적으로 하는 관으로는 강도가 우수하고 경량인 강관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강관을 기계식으로 연결할 때는 통상 서로 연결할 두 강관 중 어느 한쪽 강관에 형성되는 소켓에 다른 쪽 강관을 끼우는 식으로 상호 연결하여 배관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강관 연결 구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0411호 등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를 비롯한 종래 기술은 한쪽 강관에 소켓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강관을 확장한 상태에서 소켓링을 끼우고, 다른 강관을 삽입한 다음 체결 장치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소켓링이 강관에 일체로 고정되지 못하여 관 연결 작업이 복잡해지고, 관 연결 후에도 소켓링의 움직임 등에 의해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는 등 결과적으로 관 연결 구조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소켓링이 한쪽 강관에 장착된 상태에서 배관 연결을 위한 결합 부재가 걸리는 걸림턱 기능만 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인 배관 연결 구조를 확보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의 소켓링은 한쪽 강관에 연결되는 다른 쪽 강관을 함께 지지하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배관 연결 부분에 흔들림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관 연결 부분의 내구성 및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041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414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켓링을 한쪽 금속관에 고정된 상태에서 다른 쪽 금속관을 지지함과 아울러 실링 부재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배관 연결 부분의 내구성, 안정성,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이 금속관에 사용되는 소켓링, 이를 이용한 금속관 연결 구조 및 금속관의 소켓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고정 수단 없이도 소켓링이 금속관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관 연결 작업의 편의성이 형상되고, 관 이음 후에는 안정된 연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내구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관 연결 구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이 금속관에 사용되는 소켓링, 이를 이용한 금속관 연결 구조 및 금속관의 소켓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 연결용 소켓링은, 제 1 금속관의 둘레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링 구조로 형성되며; 내주면 일측에 상기 제 1 금속관 외주면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와, 내주면 타측에 제 2 금속관과 상기 제 1 금속관이 배관 연결될 때, 제 2 금속관이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제 2 금속관과 접하는 상기 삽입부의 내면 일측, 또는 상기 제 2 금속관과 접하는 상기 삽입부의 측면 일측에 실링 부재가 위치되도록 하는 실링 개재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의 일측에 상기 제 1 금속관과 상기 제 2 금속관을 연결하는 결합 부재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링은 상기 고정부의 내경이 상기 삽입부의 내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켓링의 실링 개재부는 상기 삽입부의 측면에 확장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 2 금속관이 삽입되는 입구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 2 금속관과의 사이에 실링 부재가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켓링의 실링 개재부는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에 실링 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 구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은, 제 1 금속관과 제 2 금속관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 1 금속관에 상기 제 2 금속관이 삽입되는 소켓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금속관의 일단이 확관되어 형성되는 소켓부와; 상기 소켓부에 고정된 것으로 상기에 기재된 소켓링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링의 고정부는 상기 소켓부의 확관에 의해서 상기 금속관의 외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켓부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관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링은 그 내주면에 상기 관턱부가 걸리는 내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켓부와 소켓링 사이에는 누수 방지를 위해 실링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링 수단은 접착제, 코팅제, 고무 또는 금속 소재의 실링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소켓링의 내주면에는 상기 실링 수단을 집중 압착하도록 돌출되는 압박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켓부와 소켓링은 적어도 일부분 이상이 상호 용접될 수 있다.
다음,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 연결 구조는, 상기한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과; 상기 제 2 금속관 둘레에 장착되는 압륜과; 상기 압륜과 상기 소켓링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와; 상기 소켓링의 실링 개재부와 제 2 금속관 사이에 설치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실링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이 금속관에 사용되는 소켓링, 이를 이용한 금속관 연결 구조 및 금속관의 소켓 형성 방법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소켓링이 제 1 금속관에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 배관 연결을 위해 삽입된 제 2 금속관도 함께 지지하면서 안쪽 또는 측면에 실링 부재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배관 연결 구조를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관 연결 부분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켓링을 장착하기 전인 직관 형태 일 때, 금속관 외면에 부식 방지 등의 기능을 갖는 코팅을 실시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코팅 작업이 용이하고, 코팅 효과도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 주철 구조의 소켓부는 복잡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코팅 작업이 불편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코팅이 용이한 직관 형태의 금속관을 먼저 코팅한 후에 소켓링을 장착하게 되면, 코팅 작업이 용이해지고, 코팅 효과도 높아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켓링을 끼운 상태에서 관을 확관하여 소켓링을 일체화시켜 소켓을 구성할 경우에, 소켓링이 금속관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배관 연결 작업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배관 연결 작업이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배관 연결 후에 소켓링이 유동하거나 움직이는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관의 연결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배관 연결 부분의 내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켓링이 소켓부와 일체가 되어 소켓부의 외면을 감싸며 고정되고, 또 소켓링에 삽입되는 다른 금속관의 외면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소켓부의 끝단부와 배관 연결 부분이 외부의 충격이나 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막아주게 되어 배관 연결 부분의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배관 연결의 편의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소켓링 및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을 이용한 금속관 연결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이 도시된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확장 금형을 이용한 금속관 확관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의 소켓 형성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의 소켓 형성 과정이 도시된 주요부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관의 소켓 형성 과정에서 소성 변형 상태가 도시된 참고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서 소켓링의 탄성 제공 구조가 도시된 여러 실시예의 정면도들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에 따른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의 실링 구조가 도시된 여러 실시예의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소켓링 및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을 이용한 금속관 연결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소켓링 및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을 이용한 금속관 연결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이 이형관 형태의 관류에 적용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에서 금속관은 강관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알루미늄, 아연, 철 등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관을 비롯하여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관을 포함한다.
또한, 금속관은 그 형태가 직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곡관, T형 관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이형관 및 이외의 모든 연결 관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금속관에 소켓링을 일체로 구성하고, 이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을 이용하여 배관을 연결하는 금속관 연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소켓링, 이를 이용한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및 금속관 연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소켓링, 이를 이용한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및 금속관 연결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관 연결 구조는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이하 '소켓관'이라고도 함)(10)에 다른 금속관(이하 '삽입관'이라고도 함)(30)이 삽입된 상태에서, 소켓관(10)과 삽입관(30)에 각각 장착된 소켓링(20)과 압륜(40)을 후크 볼트(43) 등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켜 금속 배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소켓관(10)은 확관된 소켓부(15)에 소켓링(20)이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일체화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켓링(20)이 금속관 둘레에 끼워져 장착되는 다른 여러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압륜(40)은 삽입관(30)의 둘레에 장착된 상태에서 소켓관(10)에 고정된 소켓링(20)의 걸림턱(26)에 결합 부재인 후크 볼트(43) 및 체결 너트(45)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후크 볼트(43)의 헤드부(44)는 소켓링(20)의 걸림턱(26)에 결합된다. 또한 압륜(40)은 반경 방향으로 스파이크 볼트(47)가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삽입관(30)에 고정될 수 있다.
소켓링(20)과 삽입관(30) 사이에는 누수 방지를 위해 실링 부재(50)가 설치되고, 이 실링 부재(50)는 압륜(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연결되는 금속관 연결 구조는 소켓링(20)이 소켓부(15) 둘레에 고정되어 일체화된 상태에서 압륜(40) 쪽과 조립될 경우에, 배관 연결 작업이 보다 용이해지고, 배관 연결 후에는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배관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금속관 연결 구조에 이용되는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10)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은, 관(11)의 끝단부에 배관 연결을 위해 확관되어 형성되는 소켓부(15)와, 이 소켓부(15) 둘레에 장착되는 소켓링(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소켓링(20)은 관(11)에서 소켓부(15)를 확장시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소켓부(15) 둘레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켓부(15)는 삽입관(30; 도 1 참조)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게 확장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소켓부(15)는 관의 끝단부에서 삽입관(30)이 삽입될 정도의 내경을 갖도록 확장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소켓부(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확관 금형(100)을 이용하여 금속관의 끝단부를 소성 변형시켜 형성하게 된다. 이때, 관을 소성 변형시켜 확관하는 과정에서 소켓부(15) 둘레에 소켓링(20)을 함께 고정하게 된다.
소켓링(20)은 소켓부(15) 둘레에 위치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링형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소켓링(20)은 소켓관(10)의 소켓부(15) 끝단보다 삽입관(30) 방향으로 길게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그 내부에 삽입관(30)이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관의 외면에 접하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소켓링(20)은 내주면 일측에 금속관의 소켓부(15)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고정부(21)와, 내주면 타측에 삽입관(30)이 안쪽으로 삽입되어 삽입관(30) 둘레에 접하면서 삽입관을 지지하는 삽입부(23)가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21)와 삽입부(23)는 소켓링(20)의 내주면의 일측과 타측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부(23)의 측면에는 삽입부(23)로부터 확장 경사지게 형성되어 삽입관(30)이 삽입되는 입구를 형성하면서 그 안쪽에 삽입관(30)과의 사이에 실링 부재(50)가 위치될 수 있는 실링 개재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소켓링(20)은 실링 개재부(24) 쪽의 끝단부가 실링 부재(50)의 상면을 덮도록 관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25)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켓링(20)은 소켓부(15)가 밀착되는 부분인 고정부(21)의 내경이 삽입관(30)의 둘레에 위치되는 삽입부(23)의 내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켓링(20)의 고정부(21)와 삽입부(23)는 단턱 구조로 나누어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소켓부(15)의 내경과 소켓링(20)의 삽입부(23) 내경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하여, 배관 연결시에 삽입관(30)이 삽입될 때, 삽입관(30)이 동일한 내경을 가진 소켓링(20)의 삽입부(23)와 소켓부(15) 내측으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소켓링(20)의 삽입부(23)가 삽입관(30) 둘레에 접하면서 거의 밀착된 상태로 지지하게 되므로 배관 연결 부분의 흔들림 등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안정된 배관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소켓링(20)의 외주면에는 결합 부재인 후크 볼트(43)가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턱(26)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켓링(20) 구조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관 연결 구조 또는 압륜(40) 및 후크 볼트(43)와의 결합 구조 등 실시 조건에 따라 그 형상 및 구조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소켓부(15) 둘레에 소켓링(20)을 고정하는 구조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확장 금형을 이용한 금속관 확관 상태의 도면이고, 도 4는 금속관의 소켓 형성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5는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의 소켓 형성 과정도이고, 도 6은 소성 변형 상태의 참고 그래프이다.
소켓관(10)의 소켓 형성 방법은, 관(11)에서 소켓부(15)를 형성할 부분(이하'확관부'라 함)의 둘레에 소켓링(20)을 위치시키고, 확관 금형(100)을 이용하여 소켓부(15)를 형성하면서 소켓링(20)을 고정한다.
이러한 소켓 형성 방법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직관(11)의 확관부 둘레에 소켓링(20)을 끼워서 위치시킨다(S1). 이때 소켓링(20)의 내경은 확관부의 외경보다 크므로 고정되지 않고 직관(11)의 둘레에서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다음, 직관(11)의 확관부의 내측에 확관 금형(100)을 삽입하여 확관부를 확관시킨다(S2). 즉,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관 금형(100)을 삽입하여 관을 반경 방향으로 확장시키게 되면, 직관(11)과 함께 그 둘레에 위치된 소켓링(20)도 일정 정도 함께 확장된다.
여기서, 도 3은 직관(11)을 확관하여 소켓부(15)를 형성할 수 있는 확관 금형(100) 및 이를 이용한 확관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확관 금형(100)은 소켓부(15)의 내경에 해당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직관(11)의 내부로 들어갈 때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확관 금형(100)의 맨 앞부분(130)의 외경은 확관하고자 하는 직관(11)의 내경보다 작으며, 소켓부(15)를 형성하는 부분까지 부드러운 곡선 형태로 확대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관 금형(100)은 관을 확관시키는 확관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공지의 확관 장치를 이용하여 금속관을 확관시킬 수 있다.
다음, 직관(11)에서 확관 금형(100)을 최초 삽입방향에서 반대 방향으로 빼게 되면, 직관(11)의 확관부에 소성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소켓링(20)이 확관된 소켓부(15) 둘레에 밀착되어 일체로 고정된다(S3)(S4).
즉,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확관부 둘레에 소켓링(20)이 끼워진 상태에서 확관 금형(100)을 이용하여 하중을 가하여 확관하게 되면, 금속관의 확관부는 외경이 A 상태에서 Z(B) 상태까지 확장되면서 변형되고, 이후 확관 금형을 제거하면 탄성 변형량만큼 복원되면서 최종적으로 C 상태로의 소성 변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소켓링(20)은 내경이 M 상태에서 Z(N) 상태까지 확장되면서 변형되나, 이 변형량은 소켓링의 탄성변형 구역에 있으므로, 이후 확관 금형을 제거하면 소켓링(20)의 변형이 다시 복원되면서 최종적으로 M 상태로 다시 돌아오게 된다. 결과적으로 확관 금형을 이용한 확관 공정이 완료되면, 확관부의 외경 C 가 소켓링의 내경 M 보다 크거나 같아져서 확관부의 외면에 소켓링(20)이 완전히 밀착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확관 공정에서는 소켓부(15)의 소성 변형된 외경이 소켓링(20)의 소성 변형된 내경과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소켓링(20)이 소켓부(15) 둘레에 완전히 밀착되면서 고정된다. 또한, 소켓링(20)이 소켓부(15) 외면을 압착하게 되면서, 소켓관(20)을 수직으로 세웠을 때 별도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자중에 의해서는 소켓링(20)이 소켓부(15)에서 빠지지 않도록 밀착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확관 공정에서 금속관의 소켓부(15) 외경은 소성 변형되어서 소켓링(2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소켓링(20)의 내경 보다 더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켓링(20)의 내경은 소성 변형이 없거나 작아서 확관된 소켓부(15)의 외경보다 작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금속관(11)은 가소성 소재로서 탄성 영역이 작고, 탄성 계수(modulus of elasticity)도 적은 것이 유리하고, 소켓링(20)은 탄성 영역이 커서 확관 공정에서 상당히 확관된 후에도 다시 원형으로 복원되거나, 원형에 가깝게 돌아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관(11)은 강관으로 구성되고, 소켓링(20)은 주철 소재로 제작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서 소켓링의 탄성 제공 구조가 도시된 여러 실시예의 정면도들이다.
동일한 소재도 형태에 따라서 탄성 계수와 탄성 변화량이 모두 변화할 수 있다. 소켓링(20)은 걸림턱(26)을 형성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두께가 필요하며, 이로 인해 소켓링의 탄성 계수가 지나치게 커질 수 있다. 이 때, 소켓링(20)의 형태를 변화시킴으로써 탄성 계수를 낮출 수 있으며, 탄성 변형량도 확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켓링(20)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홈 구조 또는 돌기 구조의 탄성 제공부를 형성하여 탄성 계수도 낮추고, 탄성 변형량도 크게 만들 수 있다.
도 7에서는 소켓링(20A)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홈 구조로 탄성 제공부(27a)(27b)가 형성된 구조를 보여준다.
도 8에서는 소켓링(20B)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홈 및 돌출 구조로 탄성 제공부(28a)(28b)가 형성된 구조를 보여준다.
이러한 탄성 제공부들은 소켓링(20A)(20B)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균일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주면 외주면에서 서로 엇갈린 대칭 구조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서는 소켓링(20A)(20B)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탄성 제공부가 모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주면 또는 외주면 어느 한쪽에만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소켓링(20)은 관(11)이 확관되는 것에 의해 밀착 고정되나, 보다 견고한 고정 구조를 갖기 위해 용접을 추가하는 방법으로 소켓부(15) 둘레에 소켓링(20)을 고정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소켓링(20)이 확관된 소켓부(15) 둘레에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 소켓부(15)의 외면과 소켓링(20)의 한쪽 끝단 사이를 용접(W1)하거나, 소켓부(15)의 끝단과 소켓링(20)의 내주면 사이를 용접(W2)하여, 소켓부(11)와 소켓링(20)을 상호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용접 부분은 관의 둘레 방향으로 2개소 이상 복수 부분을 용접하거나, 관 둘레 전체를 용접할 수 있다. 용접부분이 복수 부분일 경우에는 균일 간격으로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한 바와 같은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10)의 실링 구조에 대하여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3은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의 실링 구조가 도시된 여러 실시예의 도면들이다.
소켓관(10)을 구성하는 소켓부(15)와 소켓링(20) 사이에는 누수 방지를 위해 실링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실링 수단은 액상 접착제(17A), 분말 접착제, 실링 밴드(17B)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액상 접착제(17A)를 이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관(11)을 확관하기 전에 관의 둘레에 액상 접착제를 도포하고, 관(11)을 확관하게 되면, 확관된 소켓부(15)와 소켓링(20) 사이에 액상 접착제(17A)가 밀착되면서 퍼지게 된다. 이후 액상 접착제를 경화시키게 되면, 경화된 접착제가 소켓부(15)와 소켓링(20)을 추가로 고정하면서 동시에 누수 방지를 위한 실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액상 접착제(17A)를 경화시킬 때 접착제의 종류, 경화 시간 등을 고려하여 소켓부(15)와 소켓링(20) 사이의 접착 부분을 가열하여 경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액상 접착제(17A)를 이용하는 대신에 분말 접착제를 이용하여 방법도 가능하다. 액상 접착제와 비슷한 방법으로 분말 접착제도 관(11)의 둘레에 도포하고, 확관하여 소켓링(20)을 밀착 고정한 후에, 가열 등의 방법으로 분말 접착제를 녹여서 소켓부(15)와 소켓링(20) 사이에 퍼지게 한 다음,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분말 접착제는 관(11)의 둘레에 도포될 수 있도록 분말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액상 물질 또는 접착용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은 확관 전에 액상 접착제(17A) 또는 분말 접착제를 관(11)에 도포하여 실링 수단을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와는 달리, 관(11)을 확관하여 소켓링(20)이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 소켓부(15)와 소켓링(20) 사이의 틈으로 접착제를 투입하여 실링 수단을 구성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별도의 접착제 등을 이용하지 않고, 관을 확관하여 소켓링(20)을 밀착 고정시킨 다음, 관과 소켓링(20)의 외면을 코팅하면서 코팅제가 틈사이로 유입되어 실링 수단을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관의 내면 코팅 과정에서도 소켓부(15)과 소켓링(20) 사이에 코팅제가 유입되도록 하여 실링 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관을 확관하기 전에 관 둘레에 고무재,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 실링 밴드(17B)를 장착하고, 관을 확관할 때 실링 밴드(17B)가 소켓링(20)과 소켓부(15) 사이에 압착되면서 실링 수단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실링 밴드(17B)의 압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해 편의상 소켓링(20)이 휘어진 것처럼 과도하게 표현하였다.
도 11에서는 관(11)을 확관하기 전에 관 둘레에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금속 실링재(17D)를 배치하고, 관(11)을 확관할 때 금속 실링재(17D)가 소켓링(20)과 소켓부(15) 사이에 압착되면서 어느 정도 퍼지도록 하여 실링 수단을 구성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금속 실링재(17D)에 사용되는 소재는 연성 재질인 Cu, Al 등 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금속 실링재(17D)의 형상은 관 모양으로 형성되어 관(11)의 둘레에 끼워진 형태로 배치되거나, 판재 형으로 이루어져 관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 금속 실링재(17D)의 폭은 소켓링(20)과 소켓부(15)의 밀착면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는 확관에 의해 소켓부(15)와 소켓링(20)이 밀착될 때 밀착면 바깥쪽에 위치(A 또는 B 부분)되는 금속 실링재(17D)는 압축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팽창된 상태로 소켓링(20)의 끝단부 또는 소켓부(15)의 끝단을 덮으며 밀착되므로 결과적으로 누수 시작 부분에서부터 실링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2에서는 앞서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실링 밴드(17B) 또는 금속 실링재(17D)를 이용하여 실링 수단을 구성할 경우에 실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소켓링(20) 내주면에 실링 밴드(17B) 또는 금속 실링재(17D)를 집중 압착시킬 수 있는 압박돌부(21B)가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이때 압박돌부(21B)는 소켓링의 내주면을 따라 링형 구조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돌출 단면의 형상은 삼각 모양, 사각 모양, 반원 모양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하나의 압박돌부(21B)만 구성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의 압박돌부를 어느 정도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압박돌부(21B)의 구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도하게 표현하였다.
도 13에서는 소켓링(20)의 내주면의 고정부(21)에 실링 부재(17C)가 개재되는 실링홈(21A)을 별도로 형성하여, 실링홈(21A) 내부에 실링 부재(17C)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관을 확관시켜 실링 부재(17C)가 관(11)과 소켓링(20) 사이에서 압착되게 하는 방법으로 실링 수단을 구성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실링 부재(17C)는 통상의 기밀 누설에 사용되는 링 형상의 패킹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강관과 같은 금속관은 부식 방지 등을 목적으로 외면에 코팅재를 이용하여 피복관을 구성하는 바, 상기한 바와 같은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도 다양한 방법으로 코팅하여 피복관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의 코팅 방법으로는 다음 세가지를 예시할 수 있다.
제 1 방법은 관(11)의 외면과 소켓링(20)의 외면에 모두 코팅한 후에 관(11)을 확관시켜 소켓을 구성한다.
제 2 방법은 먼저 관(11)을 확관하여 소켓링(20)을 고정한 후에 관과 소켓링(20)의 외면에 코팅을 실시할 수 있다.
제 3 방법은 관(11)을 확관하기 전에 소켓링(20)이 장착될 부분만 코팅한 다음, 관(11)을 확관하여 소켓링(20)을 고정하고, 이후 관(11)과 소켓링(20)의 외면에 코팅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코팅 방법 외에도 실시 조건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을 코팅하여 피복 소켓관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금속관(11)을 확관하는 것에 의해 소켓링(20)이 고정되는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소켓링(20)을 금속관(11) 둘레에 앞서 설명한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거나, 다른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금속관 둘레에 장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과 이를 이용한 금속관 연결 구조와 다른 구조를 갖는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소켓링 및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을 이용한 금속관 연결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10)은 소켓부(15)와 소켓링(20)이 걸림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관(11)의 확관된 소켓부(15) 끝단에 반경 방향으로 더 확관된 관턱부(16)가 형성되고, 소켓링(20)은 그 내주면에 관턱부(16)가 걸리는 홈 구조의 내홈부(21b)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확관된 소켓부(15)의 관턱부(16)와 소켓링(20)의 내홈부(21b)의 걸림 구조는 관의 길이 방향으로 걸림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확관에 의해 소켓부(15) 둘레에 밀착 고정된 소켓링(20)의 고정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관턱부(16)가 경사지게 확관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확장시켜 소켓링(20)의 내홈부(21b)에 걸리도록 하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금속관의 확관 및 소켓링(20) 고정 방법은, 먼저 관(11)에서 관턱부(16)를 먼저 확관하고, 이후 관(11) 둘레에 소켓링(2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앞서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던 방법으로 확관하여 소켓부(15)에 소켓링(20)을 밀착 고정시킨다. 이때 소켓부(15)의 끝단에 형성된 관턱부(16)가 소켓링(20)의 내홈부(21b)에 삽입되면서 걸림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금속관의 끝단을 확관하여 관턱부(16)를 형성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확관하지 않고 관의 둘레에 돌출된 링 등을 용접하는 방법으로 고정하여 소켓링(20)의 내홈부(21b)에 걸리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4에서는 삽입관(30)이 소켓부(15)를 구성하는 관 내부에 삽입되지 않고, 소켓부(15)와 맞댄 상태에서 소켓링(20), 압륜(40), 후크 볼트(43), 체결 너트(45) 등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보여준다.
이와는 달리, 소켓관(10)을 구성하는 소켓부(15)를 확관하지 않고, 소켓부(15) 둘레에 소켓링(30)을 접착제 등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소켓부(15)를 구성하는 관(11)과 삽입관(30)을 삽입하지 않고 서로 맞댄 상태에서 배관을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도 1에서와 같이 소켓부(15)에 삽입관(30)의 끝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의 구성 부분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하였던, 소켓관(10)의 확관 방법 및 확관에 의해 밀착 고정되는 소켓링(20), 그리고 소켓관(10)과 소켓링(20) 사이의 실링 수단의 구성 등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소켓링 및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을 이용한 금속관 연결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은 소켓링(200)의 내주면에 실링 부재(500)가 삽입되는 홈 구조의 실링 개재부(240)가 형성된다.
즉, 소켓링(200)은, 내주면이 일측으로부터 소켓관(10)의 소켓부(15)가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210)와, 이 고정부(210)의 다음에 삽입관(30)이 삽입되어 삽입관의 둘레에 위치되어 삽입관을 지지하는 삽입부(230)로 이루어지고, 특히 삽입부(230)의 내주면에는 실링 부재(500)가 삽입되는 실링 개재부(240)가 형성된다. 따라서, 실링 개재부(240)에 삽입되는 실링 부재(500)가 삽입관(30)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누수 방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실링 개재부(240)의 형상 및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다만, 실링 부재(500)의 한쪽이 실링 개재부(240) 내에 고정된 상태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관 연결을 위해 삽입관(30)을 삽입할 때 실링 부재(500)가 삽입관에 밀려서 실링 개재부(240)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안정된 장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소켓링(200)의 외주면에는 배관 연결시에 체결되는 후크 볼트(43)가 걸리는 걸림턱(260)이 형성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을 확관시켜 소켓링(20)을 소켓부(15) 둘레에 밀착시켜 고정함과 아울러 소켓링(20)과 소켓부(15)를 추가로 용접(W)하여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면 번호 60은 삽입관(30) 둘레에서 소켓링(200)과 압륜(40)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링으로, 소켓링(200)과 압륜(40)이 후크 볼트(43) 및 체결 너트(45)로 체결될 때 삽입관(30) 둘레에 밀착되어 보다 견고한 배관 연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보강링(60)은 일측이 개방된 C 자형 구조로 이루어져 소켓링(200)과 압륜(40) 사이에 압착될 때 수축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압륜(40)과 접촉되는 면은 경사면 구조로 형성되어, 삽입관(30)에 밀착되는 방향과 소켓링(200) 방향으로 결속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외의 구성 부분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하였던, 소켓관(10)의 확관 방법 및 확관에 의해 밀착 고정되는 소켓링(200), 그리고 소켓관(10)과 소켓링(200) 사이의 실링 수단의 구성 등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구조가 이형관에 적용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들이다.
금속 이형관은 주로 관 이음매에 사용되는 관으로서 형태에 따라 T관, 十자관, Y자관, 곡관 등이 있다.
이러한 금속 이형관에도 관 연결에 필요한 부분에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구조 및 방법으로, 관의 일단을 확관 등의 방법으로 소켓부(15)를 형성하면서 이 소켓부(15) 외면에 소켓링(20)을 고정하는 구조 및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6의 (a)는 T관에 적용한 것을 보여주고, 도 16의 (b)에서는 곡관에 적용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이형관의 관 연결 부분에 도 1 등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구조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금속 이형관에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의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구조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6에서 앞서 설명한 구성 부분과 동일 유사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소켓관 15 : 소켓부
16 : 관턱부 17A : 액상 접착제
17B : 실링 밴드 17C : 실링 부재
17D : 금속 실링재 20, 20A, 20B : 소켓링
21 : 고정부 21A : 실링홈
21B : 압박돌부 21b : 내홈부
23 : 삽입부 24 : 실링 개재부
26 : 걸림턱 27a, 27b, 28a, 28b : 탄성 제공부
30 : 삽입관 40 : 압륜
43 : 후크 볼트 45 : 체결 너트
47 : 스파이크 볼트 50 : 실링 부재
100 : 확관 금형 200 : 소켓링
210 : 고정부 230 : 삽입부
240 : 실링 개재부 260 : 걸림턱
500 : 실링 부재

Claims (13)

  1.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제 1 금속관과 제 2 금속관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 1 금속관에 상기 제 2 금속관이 삽입되는 소켓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금속관의 일단 부분을 확관가공으로 확장시켜 형성한 소켓부와;
    링 구조를 가지며, 내주면 일측에 상기 소켓부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상기 소켓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형성하고, 내주면 타측에 상기 제 2 금속관의 일단 부분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하며, 외주면에 상기 제 1 금속관과 상기 제 2 금속관의 연결 시 상기 결합 부재가 걸리는 걸림턱을 형성한 소켓링을 포함하되,
    상기 확관가공은, 상기 제 1 금속관에서 상기 소켓부를 형성할 일단 부분(이하, 확관부라 한다.)의 외주에 상기 소켓링의 고정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소켓부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확관 금형을 상기 확관부 내로 삽입하여 상기 확관부를 확장시킨 후, 상기 확관 금형을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빼냄으로써, 외주면이 상기 고정부와 밀착되어 상기 소켓링을 고정시키는 상기 소켓부를 형성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켓링은 상기 제 2 금속관과 접하는 상기 삽입부의 내면 일측 또는 측면 일측에 실링 부재가 위치되는 실링 개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켓링의 실링 개재부는 상기 삽입부의 측면에 확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2 금속관이 삽입되는 입구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 2 금속관과의 사이에 상기 실링 부재가 위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켓링의 실링 개재부는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에 상기 실링 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5.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제 1 금속관과 제 2 금속관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 1 금속관에 상기 제 2 금속관이 삽입되는 소켓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금속관의 일단 부분을 확관가공으로 확장시켜 형성한 소켓부와;
    링 구조를 가지며, 내주면 일측에 상기 소켓부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상기 소켓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형성하고, 내주면 타측에 상기 제 2 금속관의 일단 부분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하며, 외주면에 상기 제 1 금속관과 상기 제 2 금속관의 연결 시 상기 결합 부재가 걸리는 걸림턱을 형성한 소켓링과;
    상기 소켓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구비된 금속의 실링재를 포함하되,
    상기 확관가공은, 상기 제 1 금속관에서 상기 소켓부를 형성할 일단 부분(이하, 확관부라 한다.)의 외주에 상기 금속의 실링재와 상기 소켓링의 고정부가 차례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소켓부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확관 금형을 상기 확관부 내로 삽입하여 상기 확관부를 확장시킨 후, 상기 확관 금형을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빼냄으로써, 외주면이 상기 금속의 실링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부와 밀착되어 상기 소켓링을 고정시키는 상기 소켓부를 형성하도록 수행되며,
    상기 금속의 실링재는 상기 확관가공의 수행 시에 폭방향 양쪽 단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확관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 밖에 위치되어 상기 소켓부를 형성하면 팽창되면서 상기 소켓부의 끝단 또는 상기 고정부의 끝단에 덮인 상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소켓링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는 상기 소켓링의 탄성계수를 낮추는 홈 구조의 탄성 제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관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링은 내주면에 상기 관턱부가 걸리는 내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와 상기 소켓링 사이에는 누수 방지를 위해 실링 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실링 수단은 접착제, 코팅제, 고무 또는 금속 소재의 실링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소켓링의 내주면에는 상기 실링 수단을 집중 압착하도록 돌출되는 압박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와 상기 소켓링은 적어도 일부분 이상이 상호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소켓이 구비된 제 1 금속관과;
    상기 소켓의 소켓링의 삽입부에 삽입된 제 2 금속관과;
    상기 제 2 금속관의 둘레에 장착된 압륜과;
    상기 압륜과 상기 소켓링을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관 연결 구조.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내경은 상기 삽입부의 내경보다 커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삽입부 사이에는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KR1020170162818A 2017-11-30 2017-11-30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및 이를 이용한 금속관 연결 구조 KR101924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818A KR101924451B1 (ko) 2017-11-30 2017-11-30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및 이를 이용한 금속관 연결 구조
CN201811451884.7A CN109854829B (zh) 2017-11-30 2018-11-30 插口管、具有插口管的管及利用插口管的管连接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818A KR101924451B1 (ko) 2017-11-30 2017-11-30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및 이를 이용한 금속관 연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451B1 true KR101924451B1 (ko) 2018-12-03

Family

ID=6474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818A KR101924451B1 (ko) 2017-11-30 2017-11-30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및 이를 이용한 금속관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4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574A (ko) * 2019-11-28 2021-06-07 황광성 무용접 이음 배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276622B1 (ko) 2020-12-17 2021-07-14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너트형 이탈방지압륜을 이용한 관의 결합 구조
KR102532510B1 (ko) * 2022-08-24 2023-05-16 주식회사 금강에스티피 큰 압착력을 인가할 수 있는 관 연결 부속, 이를 이용한 관 연결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압착 지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3545A (ja) * 2011-05-07 2012-11-29 Corona Corp 配管用継手
KR101346722B1 (ko) * 2012-10-22 2014-01-10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소방용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779515B1 (ko) * 2017-05-12 2017-09-18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3545A (ja) * 2011-05-07 2012-11-29 Corona Corp 配管用継手
KR101346722B1 (ko) * 2012-10-22 2014-01-10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소방용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779515B1 (ko) * 2017-05-12 2017-09-18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574A (ko) * 2019-11-28 2021-06-07 황광성 무용접 이음 배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321441B1 (ko) 2019-11-28 2021-11-02 황광성 무용접 이음 배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276622B1 (ko) 2020-12-17 2021-07-14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너트형 이탈방지압륜을 이용한 관의 결합 구조
KR102532510B1 (ko) * 2022-08-24 2023-05-16 주식회사 금강에스티피 큰 압착력을 인가할 수 있는 관 연결 부속, 이를 이용한 관 연결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압착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451B1 (ko)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및 이를 이용한 금속관 연결 구조
KR101924450B1 (ko)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이를 이용한 금속관 연결장치 및 금속관의 소켓 형성 방법
RU112736U1 (ru) Муфта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US20120200082A1 (en) Soft pipe connecting device
KR101828783B1 (ko) 탈부착형 플랜지를 이용한 무용접식 파이프 이음매 구조
TW201730470A (zh) 轉接頭之連接器
US20140217728A1 (en) Profile clamp with pre-positioner
FI78633B (fi) Anordning att anvaendas vid hopsvetsning av roer.
CN103133794A (zh) 用于连接两个管端部的连接器
US20120038149A1 (en) Releasable nut-free c-clip secured pipe fitting
GB2349677A (en) Earthquake resistant pipe coupling
JP2008501894A (ja) 接続装置
KR20050013496A (ko) 플랜지를 이용한 관 이음장치
KR20140137153A (ko) 개스킷
KR101805790B1 (ko) 패킹이 구비된 파이프 이음장치
CN210318909U (zh) 一种发动机连接管
CN210770836U (zh) 一种复合管材铆固连接装置
KR200481695Y1 (ko) 진공배관 연결구조
KR20180110568A (ko) 플렉시블 조인트
KR20120111363A (ko) 합성수지관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20010000770A (ko) 플랜지관용 가스켓
KR101406131B1 (ko) 힌지형 배관 이음장치
CN110392803B (zh) 连接装置
JPH08338575A (ja) 管継手
JP6163099B2 (ja) 調整バンド及び筒形金具の装着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