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510B1 - 큰 압착력을 인가할 수 있는 관 연결 부속, 이를 이용한 관 연결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압착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큰 압착력을 인가할 수 있는 관 연결 부속, 이를 이용한 관 연결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압착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510B1
KR102532510B1 KR1020220106513A KR20220106513A KR102532510B1 KR 102532510 B1 KR102532510 B1 KR 102532510B1 KR 1020220106513 A KR1020220106513 A KR 1020220106513A KR 20220106513 A KR20220106513 A KR 20220106513A KR 102532510 B1 KR102532510 B1 KR 102532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joint
pipe
compress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만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강에스티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강에스티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강에스티피
Priority to KR1020220106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25Rolling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tensioning members, e.g. specially adapted bolts or C-clamp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 부속은 직경이 작은 관 뿐만 아니라 직경이 큰 관, 예를 들어 직경이 큰 복합관이나 강관을 연결하기에 적합하고 큰 압착력을 인가하여 수밀성과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러한 관 연결 부속을 이용한 관 연결 방법과, 이에 이용되는 압착 지지장치도 제공한다.

Description

큰 압착력을 인가할 수 있는 관 연결 부속, 이를 이용한 관 연결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압착 지지장치 {pipe connection parts capable of applying a large compression force for connection thereof, pipe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supporting apparatus against the compression force used therefor}
본 발명은 관 연결 부속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직경이 작은 관 뿐만 아니라 직경이 큰 관, 예를 들어 직경이 큰 복합관이나 강관을 연결하기에 적합하고 큰 압착력을 인가하여 수밀성과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관 연결 부속에 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러한 관 연결 부속을 이용한 관 연결 방법과, 이에 이용되는 압착 지지장치에 대한 것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스틸관과 같은 고내식성 금속관은 많은 장점을 갖고 있지만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고가(高價)의 소재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높아지고 벤딩 등의 성형에 한계가 있어서 시공상의 어려움이 많고 직관으로만 제조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직관으로 제조된 금속관은 운반 등을 위해 소정 길이로 절단되는데, 현장 시공시 금속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작업에 많은 부품과 노동력 및 작업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속관은 지반에 매설된 경우에 토양에 의한 부식, 전기적 부식 등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수지관은 내식성이 우수하고 가볍고 시공성이 좋으며 가격이 저렴하지만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에 의해서 연결부위가 분리되어 누수가 발생되기도 한다.
본 발명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금속수지 복합관을 개발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66886호, 제1870573호, 제2148114호, 제2169618호, 제2225756호, 제2264916호 등으로 등록받은 바 있다.
복합관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6400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 등에 개시된 구성은 충분한 수밀력과 결합력을 제공하기에 부족하고, 시공 후 시간이 경과하면 누수가 발생될 가능성이 크며, 연결해야 할 관의 직경이 크면 공사 현장에서 적용하기가 부적절하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직경이 작은 관 뿐만 아니라 직경이 큰 관, 예를 들어 직경이 큰 복합관이나 강관을 연결하기에 적합하고 큰 압착력을 인가하여 수밀성과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관 연결 부속과 관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압착 작업(관과 조인트 및 슬리브의 압착 작업)을 공장에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 현장에서도 할 수 있는 관 연결 부속과 관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관 연결 방법에 이용되는 압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부속(100)은, 관 형상을 갖고 한쪽 단부에는 확관부(111)가 형성되며 다른쪽 단부에는 제1 압착부재(150)가 설치된 제1 조인트(110); 제1 조인트(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관 형상을 갖는 제1 슬리브(130); 관 형상을 갖고, 한쪽 단부가 확관부(111)에 삽입되며, 다른쪽 단부에는 제2 압착부재(160)가 설치된 제2 조인트(120); 제2 조인트(120)의 내부에 설치되고, 관 형상을 갖는 제2 슬리브(140); 및, 제1,2 조인트(110)(120)를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리브(130)의 후단(131)은 제1 조인트(110)의 내측면에 수밀되도록 결합되며, 제2 슬리브(140)의 후단(141)은 제2 조인트(120)의 내측면에 수밀되도록 결합된다.
제2 조인트(120)의 한쪽 단부가 확관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는 제1,2 조인트(110)(120)를 결합시키며, 연결하고자 하는 한쪽 관(1)이 제1 슬리브(130)와 제1 조인트(110)의 사이에 삽입된 후 제1 압착부재(150)가 압착되어 관(1)과 제1 슬리브(130) 및 제1 조인트(110)가 수밀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쪽 관(2)이 제2 슬리브(140)와 제2 조인트(120) 사이에 삽입된 후 제2 압착부재(160)가 압착되어 관(2)과 제2 슬리브(140) 및 제2 조인트(120)가 수밀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2 조인트(110)(120)와 제1,2 슬리브(130)(140)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 압착부재(150)(160)는 각각 금속링(151)과 수밀링(152)을 구비하며, 금속링(151)은 상기 압착에 의해 관(1)(2)을 압착 변형시키고 수밀링(152)은 상기 압착에 의해 관(1)(2)에 수밀되도록 밀착될 수 있다.
제2 조인트(120)에는 홈(121)이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확관부(111)와 제2 조인트(120) 사이에 삽입된 수밀링(173); 제2 조인트(120)의 바깥쪽 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홈(121)에 삽입되는 돌기부(171a)를 갖는 그립링(171); 확관부(111)의 바깥쪽 면에 설치되는 제1 플랜지(175); 그립링(171)의 바깥쪽 면에 설치되는 제2 플랜지(176); 및 제1,2 플랜지(175)(176)를 체결하는 볼트(176a)와 너트(175a);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171a)가 홈(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2 플랜지(175)(176)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서 제1,2 조인트(110)(120)가 체결될 수 있고, 볼트(176a)와 너트(175a)의 체결력에 의해 수밀링(173)이 확관부(111)와 제2 조인트(120)에 수밀되도록 밀착될 수 있다.
그립링(171)과 수밀링(173) 사이에는 백업링(172)이 설치될 수 있다. 백업링(172)의 일측면은 그립링(171)의 선단 측면과 밀착되며 백업링(172)의 타측면은 수밀링(173)의 후단 측면과 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수밀링(173)의 후단 측면에는 V 단면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백업링(172)의 타측면은 상기 V 단면 형상의 홈(173a)에 삽입되도록 Λ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Λ 단면 부분(172a)이 홈(173a)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홈(173a)이 양측으로 벌어져서 확관부(111)와 제2 조인트(120)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립링(171)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적어도 두 개의 원호부(181)(182)(18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기부(171a)가 홈(121)에 삽입되도록 그립링(171)이 설치된 후, 그립링(171)의 한쪽 끝단에 형성된 체결 돌기(181a)가 그립링(171)의 다른쪽 끝단에 형성된 체결홈(183a)에 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다.
연결하고자 하는 관(1)이 제1 슬리브(130)와 제1 조인트(110) 사이에 삽입된 후 제1 압착부재(150)가 압착되면 압착된 관(1)의 부분이 관(1)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변형되고 이 돌출과 대응되는 제1 슬리브(130)의 부분도 제1 슬리브(13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변형되는 것에 의해 관(1)과 수밀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하고자 하는 관(2)이 제2 슬리브(140)와 제2 조인트(160) 사이에 삽입된 후 제2 압착부재(160)가 압착되면 압착된 관(2)의 부분이 관(2)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변형되고 이 돌출과 대응되는 제2 슬리브(140)의 부분도 제2 슬리브(14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변형되는 것에 의해 관(2)과 수밀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인 관 연결 방법은, (a) 연결하고자 하는 관(1)의 단부를 제1 슬리브(130)와 제1 조인트(110)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b) 제1 슬리브(130)의 내부에 압착 지지장치(200)를 삽입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 이후에, 압착 지지장치(200)가 제1 슬리브(130)의 내부에서 관(1)의 반경 방향으로 확장하여 제1 슬리브(130)를 확관하는 단계; 및, (d) 압착 지지장치(200)를 제1 슬리브(130)에서 제거한 후, 제1 압착부재(150)를 제1 조인트(110)의 외부에서 압착하여 제1 슬리브(130)와 제1 조인트(110) 및 관(1)을 수밀되도록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c1) 압착 지지장치(200)의 실린더를 신장시켜 가압봉(220)을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c2) 상기 (c1) 단계의 가압봉(220)의 이동에 의해서 조(jaw, 230)가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제1 슬리브(130)의 내부면을 가압하여 확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 단계는, (c2) 단계 이후에, 압착기(300)가 제1 압착부재(150)를 압착하여 제1 슬리브(130)와 제1 조인트(120) 및 관(1)이 수밀되도록 변형되어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조(230)의 외부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홈(231)은 제1 압착부재(150)와 대응되는 곳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2) 단계의 확관시에 홈(231)과 대응되는 제1 슬리브(130)의 부분은 제1 슬리브(130)의 다른 부분 보다 작게 확관되거나 확관되지 않으며, 이것은 (d) 단계의 압착에 의해 상기 부분이 제1 슬리브(13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변형되는 것을 돕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인 압착 지지장치(200)는, 관 연결을 위한 압착 지지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관이나 슬리브(130)(140)를 확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200)는, 관 또는 슬리브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진되고, 그 선단부의 외주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가압봉(220); 가압봉(220)의 선단부의 외주면을 소정 각도 간격으로 감싸도록 설치되고, 가압봉(220)의 전진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슬라이딩하여 관의 내부면 또는 슬리브의 내부면을 가압하는, 다수 개의 조(jaw, 230); 및. 조(230)의 반경방향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고 전후진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조(230)의 외부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관시, 홈(231)과 대응되는 관 또는 슬리브의 부분은 관 또는 슬리브의 다른 부분 보다 작게 확관되거나 확관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직경이 작은 관 뿐만 아니라 직경이 큰 관, 예를 들어 직경이 큰 복합관이나 강관을 연결하기에 적합하고 큰 압착력을 인가하여 수밀성과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둘째, 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압착 작업(관과 조인트 및 슬리브의 압착 작업)을 공장에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사 현장에서도 할 수 있다.
셋째, 이 관 연결 방법에 이용되는 압착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부속을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
도 2는 제1,2 압착부재를 압착한 후의 관 연결부속을 보여주는 일부 절개 결합 사시도.
도 3은 압착 지지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a)는 압착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b)는 압착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a는 압착 지지장치가 제2 슬리브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압착 지지장치에 의한 확관이 이루어지기 전을 보여주는 도면.
도 5b는 압착 지지장치가 제2 슬리브의 내부에 삽입된 후 조(jaw)가 확장되어 제2 슬리브가 확관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c는 압착 지지장치가 제2 슬리브에서 제거된 후 제2 압착부재가 압착되는 것에 의해 제2 조인트와 제2 슬리브 및 관이 압착 변형 결합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관 연결부속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로서, 돌기부(171a)가 없는 그립링(즉, 수밀링 또는 고무링)을 갖는 관 연결부속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관 연결부속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로서, 육각형 볼트 머리를 갖는 볼트를 대신하여 타원형 머리를 갖는 볼트가 이용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8a는 그립링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그립링의 양쪽 끝단의 결합이 풀린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관 연결 부속'은 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부품들 또는 그 부품들의 조합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66886호, 제1870573호, 제2148114호, 제2169618호, 제2225756호, 제2264916호 등의 복합관을 연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지만, 다른 관 예를 들어 강관 등과 같은 금속관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아래의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관(1)'과 '관(2)'은 복합관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관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복합관에만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다만,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합관에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할 것이다.
아울러, '관(1)'은 연결하고자 하는 한쪽 관을 나타내고 '관(2)'은 연결하고자 하는 반대쪽 관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등록특허의 등록공보에 기재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관 연결 부속]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부속을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제1,2 압착부재를 압착한 후의 관 연결 부속을 보여주는 일부 절개 결합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 연결 부속(100)은 제1 조인트(110)와, 제1 조인트(110)의 내부에 설치된 제1 슬리브(130)와, 제1 조인트(110)의 다른쪽 단부에 설치된 제1 압착부재(150)와, 제1 조인트(110)와 수밀되도록 체결되는 제2 조인트(120)와, 제2 조인트(120)의 내부에 설치된 제2 슬리브(140)와, 제2 조인트(120)의 다른쪽 단부에 설치된 제2 압착부재(160) 및, 제1,2 조인트(110)(120)를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인트(110)는 금속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관일 수 있다. 제1 조인트(110)의 한쪽 단부에는 확관부(111)가 형성되고 제1 조인트(110)의 다른쪽 단부에는 제1 압착부재(150)가 설치될 수 있다.
확관부(111)는 제1 조인트(110)의 한쪽 단부가 확관되어 이루어진 부분으로서 제1 조인트(110)의 다른 부분 보다 내경이 크다. 바람직하게, 확관부(111)는 경사부(111a)와 수평부(111b)를 가질 수 있다. 경사부(111a)는 바깥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부분이고, 수평부(111b)는 경사부(111a)의 끝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제1 압착부재(150)는 제1 조인트(110)의 다른쪽 끝단의 내부면에 원주 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제1 압착부재(150)는 외부 힘이 관(1)의 중심을 향해 인가되면 관(1)을 압착하여 수밀되도록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제1 조인트(110)에서 제1 압착부재(150)가 설치된 부분은 원주 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부분의 내부 즉, 홈(113)에 링 형상의 제1 압착부재(150)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압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1 압착부재(150)는 원형의 고무링(152)과 원형의 금속링(15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금속링(151)이 제1 조인트(110)의 가장 끝단에 설치되고 고무링(152)이 금속링(151)의 후면(後面) 및 홈(113)과 접하도록 설치되며, 금속링(151)의 전면(前面)을 감싸도록 제1 조인트(110)의 가장 앞부분(114)이 벤딩되지만 금속링(151)이 상기 가장 앞부분(114) 보다 관(1)의 내측으로 더 연장되는데 이 구조는 금속링(151)이 관(1)을 압착 및 고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아울러, 제1 조인트(110)의 선단에서 금속링(151)과 대응되는 부분과 고무링(152)과 대응되는 부분 사이에는 턱(113a)이 형성된다. 턱(113a)은 압착시 금속링(151)의 압착 및 수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착시, 외부 힘이 인가되면 턱(113a)이 평평하게 변형되면서 금속링(151)이 관(1)을 가압 및 압착한다.
고무링(152)은 상기 압착시 수밀이 이루어지도록 관(1)에 밀착 변형된다. 본 명세서에서, 고무링(152)은 고무로 만들어진 것 뿐만 아니라, 수밀이 가능한 다른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것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제1 슬리브(130)는 관 형상을 갖는데, 연결하고자 하는 관(1)의 내경 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제1 조인트(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슬리브(130)의 후단부(131)는 제1 조인트(110)의 내부면에 수밀되도록 결합(용접)된다. 그리고, 제1 슬리브(130)는 제1 압착부재(150)의 압착으로 인해 관(1)이 변형될 때 함께 변형되어 관(1)에 밀착 및 고정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슬리브(130)는 금속,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슬리브(130)는 제1 압착부재(150)의 압착시, 제1 슬리브(130)와 제1 압착부재(150) 및 관(1)의 견고한 수밀 결합을 위해서 변형될 수 있다.
제1 슬리브(130)의 선단은 제1 조인트(110)의 선단보다 바깥쪽으로 약간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제1 압착부재(150)의 압착시 압착 하중을 지지하는 데에 유리하고 압착시 관(1)에 수밀되도록 밀착하기 위함이다.
제1 슬리브(130)의 후단부(131)와 제1 슬리브(130)의 중앙부분 사이에는 경사면(132)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제1 슬리브(130)의 후단부(131)가 중앙부분 보다 내경이 크다. 그리고, 경사면(112)(132)은 실질적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사면(112)(132)은 서로 협력하여 관 연결 부속(100)의 내부 유로 단면적이 비교적 균일하도록 하고 관(1)의 삽입 설치시 관(1)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제2 조인트(120)는 금속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관일 수 있다. 제2 조인트(120)의 한쪽 단부와 중앙 사이에는 홈(121)이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제2 조인트(120)의 다른쪽 단부에는 제2 압착부재(160)가 설치될 수 있다.
홈(121)에는 그립링(171)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립링(171)은 소정 크기 이상의 강성을 갖는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등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플랜지(175)(176) 또는 관(1)(2)에 하중, 예를 들어 관(1)(2)을 인발하는 방향의 하중이 작용할 때 플랜지(175)(176) 및/또는 관(1)(2)의 이동을 방지하려면 그립링(171)의 변형이 제한적이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그립링(171)이 소정 크기 이상의 강성을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립링(171)은 그 내측부(171a, 돌기부)가 홈(12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내측부(171a, 돌기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홈(121)의 외부로 돌출되고 이 돌출된 부분이 제2 플랜지(176)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그립링(171)의 바깥쪽 면은 제2 플랜지(176)의 내부면과 형합하는 면(또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립링(171)은 홈(121)에 삽입되어야 하므로, 완전한 원형의 링(360°의 링)이 아니라, 그 중심 각도가 270° 이상 360° 미만인 원호 형상의 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를 갖는 그립링(171)은 그 양쪽 끝단을 약간 벌려서 넓힌 후 홈(121)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구조에 대한 대안으로서, 그립링(171)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원호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그립링(171)의 앞쪽에는 백업링(172)이 설치되고, 백업링(172)의 앞쪽에는 수밀링(173)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백업링(172)의 일측면은 그립링(171)의 선단 측면과 밀착되고 백업링(172)의 타측면은 수밀링(173)의 후단 측면과 밀착된다.
백업링(172)은 완전한 원형의 링으로서, 제1,2 플랜지(175)(176)의 체결력에 의해 작용하는 하중 또는 관(1)(2)에 작용하는 인발력에 의해 작용하는 하중을 수밀링(173) 또는 그립링(171)에 전달한다. 백업링(172)은 금속, 고무, 합성수지,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백업링(172)의 타측면은 원주 방향을 따라 Λ 단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Λ 단면으로 돌출된 부분(172a)은 수밀링(173)의 후단 측면의 홈(V 단면 형상, 173a)에 삽입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돌출된 부분(172a)의 Λ 단면의 각도는 홈(173a)의 V 단면의 각도보다 크고 이에 따라 돌출된 부분(172a)이 홈(173a)에 삽입되면서 홈(173a)을 양측으로 밀치면서 수밀링(173)이 제1,2 조인트(110)(120)에 밀착되도록 한다.
수밀링(173)은 완전한 원형의 링으로서, 제2 조인트(120)와 확관부(111) 사이에 설치된다. 수밀링(173)은 제1,2 플랜지(175)(176)의 체결력에 의해 제2 조인트(120)와 확관부(111)에 밀착된다. 바람직하게, 수밀링(173)의 외측면은 경사부(111a) 및 수평부(111b)와 형합하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밀링(173)의 후단 측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V 단면 형상의 홈(173a)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슬리브(140)는 제1 슬리브(130)의 구조, 치수와 동일한 구조, 치수를 가질 수 있고 제1 슬리브(130)의 소재와 동일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2 슬리브(140)는 제2 조인트(120)의 내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슬리브(140)의 후단부(141)는 제2 조인트(120)의 내부면에 수밀되도록 결합(용접)된다. 그리고, 제2 슬리브(140)는 제2 압착부재(160)의 압착으로 인해 관(2)이 변형될 때 함께 변형되어 관(2)에 밀착 및 고정될 수 있다.
제2 압착부재(160)는 제2 조인트(120)의 다른쪽 단부에 설치된다. 제2 압착부재(160)는 제1 압착부재(150)와 동일한 구성(금속링(151)과 고무링(152))을 가질 수 있다.
체결부는 제1,2 조인트(110)(120)를 수밀되도록 결합시킨다. 체결부는 제1,2 플랜지(175)(176), 볼트(176a)와 너트(175a), 수밀링(173), 백업링(172) 및, 그립링(17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랜지(175)는 확관부(111)에 설치된다. 제1 플랜지(175)는 확관부(111)와 형합하는 내부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플랜지(176)는 제2 조인트(12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플랜지(176)는 그립링(171)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176a)와 너트(175a)에 의해서 제1 플랜지(175)와 결합된다. 즉, 제1 플랜지(175)가 확관부(111)에 밀착되고 제2 플랜지(176)가 그립링(171)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176a)가 제1,2 플랜지(175)(176)의 볼트공을 관통한 후 너트(175a)와 체결되는 것에 의해 제1,2 플랜지(175)(176)가 체결되며, 제1,2 플랜지(175)(176)가 이와 같이 체결되면 수밀링(173)은 확관부(111)의 내부면에 수밀되도록 밀착된다.
제2 플랜지(176)은 그립링(171)의 후단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직부(176b)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176b)는 그립링(171)의 노출을 차단함으로써 그립링(17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볼트(176a)는 다양한 변형예를 가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압착 지지장치와 압착기]
본 발명은 제1,2 압착부재(150)(160)를 압착하기 위해 압착 지지장치를 이용하여 제1,2 슬리브(130)(140)를 확관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도 3은 상기 압착 지지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a)는 압착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4(b)는 압착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압착 지지장치(200)는 실린더(210)와, 실린더(210)에 의해 전,후진하는 가압봉(220)과, 가압봉(220)의 전,후진에 의해 확장 또는 수축하는 조(jaw, 230)와, 조(jaw, 2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240)와, 가압봉(220)의 슬라이딩을 지지하는 지지부(250)(255)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210)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압 실린더가 사용될 수도 있다. 아울러, 실린더(210)를 대신하여 전기 모터(도면에 미도시)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이 전기 모터는 가압봉(220)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가압봉(220)의 선단에는 경사면(2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면(221)을 둘러싸도록 복수 개의 조(230)가 소정 각도 간격으로 설치된다. 조(230)의 내부면은 경사면(221)과 형합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조(230)의 외부면은 제1,2 슬리브(120)(140)의 내부면과 형합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조(230)의 후단은 가이드 부재(240)에 의해 가이드되고, 복수 개의 조(230)의 선단(또는 선단 및 후단)은 탄성끈(232)에 의해 묶여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가압봉(220)이 전진하면 복수 개의 조(23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조(230)가 반경 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이동하고, 가압봉(220)이 후진하면 탄성끈(2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복수 개의 조(230)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조(230)가 반경 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이동한다(즉, 원상태로 복귀한다).
바람직하게, 조(230)의 외부면에는 홈(231)이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230)의 반경 방향 이동에 의해 제1,2 슬리브(130)(140)가 확관될 때(또는 제1,2 슬리브와 관이 확관될 때) 홈(231)과 대응되는 제1,2 슬리브(130)(140)의 부분(또는 제1,2 슬리브와 관의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확관이 작게 이루어지는데, 이 부분은 추후의 압착 작업시 제1,2 슬리브(130)(140)가 내측으로 돌출 변형되는 것(또는 제1,2 슬리브와 관이 내측으로 돌출 변형되는 것)을 돕는다.
가이드 부재(240)는 링 형상의 부재로서, 여러 조(230)의 후단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가이드 부재(240)는 조(230)의 반경 방향(관의 반경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고 전후진 방향의 이동을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조(230)의 후단에는 홈(235)과 돌출부(234)가 형성되고, 가이드 부재(240)의 내측면에는 돌출부(242)가 형성된다. 돌출부(242)가 홈(235)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후, 조(230)가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면 돌출부(234)와 돌출부(242)가 서로 맞닿은 상태로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을 하고 이에 따라 조(230)의 반경방향 이동이 가이드되고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압착기(300)는 상부 압착기(310)와 하부 압착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부 압착기(310)(320)는 서로에 대해 접근하는 것에 의해 제1,2 압착부재(150)(160)를 압착하고 서로에 대해 멀어지는 것에 의해 상기 압착을 해소한다. 이러한 압착기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a ~ 5c는 압착 지지장치(200)를 이용하여 제2 압착부재(160)를 압착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압착 지지장치(200)가 제2 슬리브(14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b는 조(jaw)가 확장되어 제2 슬리브(140)(또는 제2 슬리브와 관)를 확관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5c는 압착 지지장치(200)를 제2 슬리브(140)로부터 제거한 다음 압착기(300)를 이용하여 제2 압착부재(160)를 압착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a ~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린더(210)의 신장에 의해서 가압봉(220)이 전진하면 복수 개의 조(23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조(230)가 반경 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이동(확장)한다. 조(230)의 이동(확장)에 의해서 조(230)의 외부면이 제2 슬리브(140)의 내부면을 가압하여 확관하거나 제2 슬리브(140)와 관(2)을 확관한다. 이 때, 홈(231)과 대응되는 제2 슬리브(140)의 부분(또는 제2 슬리브와 관의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확관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작게 이루어진다.
이어서, 압착 지지장치(200)를 제2 슬리브(140)로부터 제거한 후, 도 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압착기(300)를 이용하여 제2 압착부재(160)를 압착한다. 압착기(300)가 제2 압착부재(160)를 압착하면 금속링(151)에 의해 관(2)과 제2 슬리브(140) 및 제2 조인트(120)가 수밀되도록 압착 변형되어 서로 결합된다. 이 때 홈(231)과 대응되는 제2 슬리브(140)의 부분(또는 제2 슬리브와 관의 부분)은 이러한 압착 변형을 돕는다.
한편, 위에서는 압착 지지장치(200)와 압착기(300)가 제2 조인트(120)에 대해 작용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작용은 제1 조인트(110)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 연결 부속의 변형예]
도 6은 관 연결 부속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로서, 그립링을 대신하여 수밀링(174, 즉 돌기부(171a)를 갖지 않는 그립링)이 설치된 것을 보여준다.
상기 관 연결 부속에서는 제2 조인트(120)에 홈(121)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그립링(171)을 대신하여 수밀링 또는 고무링(174)이 설치된다. 수밀링 또는 고무링(174)은 홈(121)에 고정되지 않는 대신에 그 아랫면에 미끄럼 방지 돌기(174a)를 갖는다. 미끄럼 방지 돌기(174a)는 제2 조인트(120)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수밀링 또는 고무링(174)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한편, 도 7은 육각형 볼트머리를 대신하여 타원형 볼트머리를 갖는 볼트(176a)와 너트(175a)를 이용하여 제1,2 플랜지(175)(176)를 체결한 것을 보여준다. 타원형 볼트머리를 갖는 볼트(176a)는 볼트 머리가 제2 플랜지(176)에 걸리게 되므로 제2 플랜지(176)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8a는 그립링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b는 상기 그립링의 양쪽 끝단의 결합이 풀린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그립링(171)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원호부(181)(182)(183)가 회동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도면에는 3개의 원호부(181)(182)(183)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조를 개시하고 있지만 원호부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각각의 원호부(181)(182)(183)는 그 내측면에 돌기부(171a)를 갖는다. 그리고, 원호부(182)의 한쪽 단부는 회동축에 의해 원호부(181)의 한쪽 단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원호부(182)의 다른쪽 단부는 회동축에 의해 원호부(183)의 한쪽 단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원호부(181)의 다른쪽 단부에는 체결 돌기(181a)가 형성되고 원호부(183)의 다른쪽 단부에는 체결홈(183a)이 형성되며, 체결 돌기(181a)와 체결홈(183a)이 끼워맞춤(snap fit)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돌기부(171a)가 홈(121)에 삽입된 후 체결 돌기(181a)와 체결홈(183a)이 끼워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다.
[관 연결방법]
상기 관 연결방법은, (i) 압착 지지장치(200)를 제1,2 슬리브(130)(140)의 내부에 삽입하여 제1,2 슬리브(또는 제1,2 슬리브와 관)을 확관한다는 점과, (ii) 관(1)(2)과 제1,2 조인트(또는 제1,2 슬리브) 사이의 결합을 위해 압착을 이용하되, 관(1)(2)의 직경 등을 고려하여 압착 작업을 공장에서 하거나 공사 현장(관 매설 공사 현장 등)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예를 들어, 관의 내경이 100m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압착 작업이 공장에서 이루어지고 관의 내경이 100mm 이하인 경우에는 압착 작업이 관 매설 공사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관(1)(2)과 제1,2 조인트(또는 제1,2 슬리브)를 압착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관(1)의 선단을 제1 조인트(110)와 제1 슬리브(130) 사이에 삽입하고, 압착 지지장치(200)를 제1 슬리브(130)의 내부에 삽입한다. 참고로, 압착 지지장치(200)는 관(1)의 반대쪽에서 제1 슬리브(130)의 내부로 삽입한다. 이 때, 홈(231)이 금속링(151)과 대응되도록 압착 지지장치(200)를 위치시킨다.
이어서, 가압봉(220)을 전진시킴으로써 조(230)를 바깥쪽으로 확장하여 조(230)의 외부면이 제1 슬리브(130)의 내부면을 가압하여 제1 슬리브(또는 제1 슬리브와 관)를 확관한다.
확관이 완료된 후에는 압착 지지장치(200)를 제1 슬리브(130)로부터 제거하고, 이어서, 압착기(300)를 작동하여 제1 압착부재(150)를 압착한다. 이 압착에 의해 금속링(151)과 관(1) 및 제1 슬리브(130)가 관(1)의 중심쪽으로 돌출되도록 압착 변형되어 수밀되도록 결합된다. 이 때, 홈(231)과 대응되는 제1 슬리브(130)의 부분(또는 제1 슬리브와 관의 부분)은 확관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작게 이루어진 부분이므로 관(1) 및 제1 슬리브(130)의 상기 압착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고무링(152)은 상기 압착으로 인해 관(1)의 외부면에 더욱 밀착된다.
한편, 반대쪽의 관(2)과 제2 조인트(또는 제2 슬리브)의 결합도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 조인트(110)(120)의 체결은 체결부에 의해 공사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트(176a)가 제1,2 플랜지(175)(176)의 볼트공을 관통하도록 한 후 너트(175a)와 체결한다.
1, 2 : 연결하고자 하는 관 100 : 관 연결 부속
110 : 제1 조인트 111 : 확관부
111a : 확관부의 경사부 111b : 확관부의 수평부
112 : 경사면 113 : 홈
113a : 턱 114 : 앞부분
120 : 제2 조인트 121 : 홈
130 : 제1 슬리브 131 : 제1 슬리브의 후단
132 : 경사면 140 : 제2 슬리브
141 : 제2 슬리브의 후단 150 : 제1 압착부재
151 : 금속링 152 : 고무링
160 : 제2 압착부재
171 : 그립링 171a : 그립링의 내측부(돌기부)
172 : 백업링
172a : 백업링의 타측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Λ 단면으로 돌출된 부분
173 : 수밀링
173a : 수밀링의 후단 측면에 V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홈
174 : 수밀링 또는 고무링
174a : 미끄럼 방지 돌기 175 : 제1 플랜지
175a : 너트 176 : 제2 플랜지
176a : 볼트 176b : 수직부
181, 182, 183 : 원호부
181a : 체결 돌기 183a : 체결홈
200 : 압착 지지장치 210 : 실린더
220 : 가압봉 221 : 경사면
230 : 조(jaw) 231 : 홈
232 : 탄성끈 234 : 돌출부
235 : 홈 240 : 가이드 부재
242 : 돌출부 250, 255 : 지지부
300 : 압착기 310 : 상부 압착기
320 : 하부 압착기

Claims (10)

  1. 관 형상을 갖고, 한쪽 단부에는 확관부(111)가 형성되며, 다른쪽 단부에는 제1 압착부재(150)가 설치된 제1 조인트(110);
    제1 조인트(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관 형상을 갖는 제1 슬리브(130);
    관 형상을 갖고, 한쪽 단부가 확관부(111)에 삽입되며, 다른쪽 단부에는 제2 압착부재(160)가 설치된 제2 조인트(120);
    제2 조인트(120)의 내부에 설치되고, 관 형상을 갖는 제2 슬리브(140); 및,
    제1,2 조인트(110)(120)를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제1 슬리브(130)의 후단(131)이 제1 조인트(110)의 내측면에 수밀되도록 결합되며, 제2 슬리브(140)의 후단(141)이 제2 조인트(120)의 내측면에 수밀되도록 결합되고,
    제2 조인트(120)의 한쪽 단부가 확관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는 제1,2 조인트(110)(120)를 결합시키며,
    연결하고자 하는 한쪽 관(1)이 제1 슬리브(130)와 제1 조인트(110)의 사이에 삽입된 후 제1 슬리브(130)가 반경방향으로 확관되거나 제1 슬리브(130)와 관(1)이 반경방향으로 확관된 다음 제1 압착부재(150)가 압착되어 관(1)과 제1 슬리브(130) 및 제1 조인트(110)가 수밀되도록 결합되고,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쪽 관(2)이 제2 슬리브(140)와 제2 조인트(120) 사이에 삽입된 후 제2 슬리브(140)가 반경방향으로 확관되거나 제2 슬리브(140)와 관(2)이 반경방향으로 확관된 다음 제2 압착부재(160)가 압착되어 관(2)과 제2 슬리브(140) 및 제2 조인트(120)가 수밀되도록 결합되고,
    제1,2 슬리브(130)(140)의 상기 확관에 의해 상기 압착에 대한 지지력이 증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 부속을 이용한 관 연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제1,2 조인트(110)(120)와 제1,2 슬리브(130)(14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제1,2 압착부재(150)(160)는 각각 금속링(151)과 수밀링(152)을 구비하며, 금속링(151)은 상기 압착에 의해 관(1)(2)을 압착 변형시키고 수밀링(152)은 상기 압착에 의해 관(1)(2)에 수밀되도록 밀착되며,
    제2 조인트(120)에는 홈(121)이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체결부는,
    확관부(111)와 제2 조인트(120) 사이에 삽입된 수밀링(173);
    제2 조인트(120)의 바깥쪽 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홈(121)에 삽입되는 돌기부(171a)를 갖는 그립링(171);
    확관부(111)의 바깥쪽 면에 설치되는 제1 플랜지(175);
    그립링(171)의 바깥쪽 면에 설치되는 제2 플랜지(176); 및
    제1,2 플랜지(175)(176)를 체결하는 볼트(176a)와 너트(175a);를 포함하고,
    돌기부(171a)가 홈(1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2 플랜지(175)(176)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서 제1,2 조인트(110)(120)가 체결되고, 볼트(176a)와 너트(175a)의 체결력에 의해 수밀링(173)이 확관부(111)와 제2 조인트(120)에 수밀되도록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 부속을 이용한 관 연결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그립링(171)과 수밀링(173) 사이에는 백업링(172)이 설치되고, 백업링(172)의 일측면은 그립링(171)의 선단 측면과 밀착되며 백업링(172)의 타측면은 수밀링(173)의 후단 측면과 밀착되되,
    수밀링(173)의 후단 측면에는 V 단면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백업링(172)의 타측면은 상기 V 단면 형상의 홈에 삽입되도록 Λ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 부속을 이용한 관 연결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그립링(171)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적어도 두 개의 원호부로 이루어지고, 돌기부(171a)가 홈(121)에 삽입되도록 그립링(171)이 설치된 후 그립링(171)의 한쪽 끝단에 형성된 체결 돌기(181a)가 그립링(171)의 다른쪽 끝단에 형성된 체결홈(183a)에 끼워맞춤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 부속을 이용한 관 연결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하고자 하는 관(1)이 제1 슬리브(130)와 제1 조인트(110) 사이에 삽입된 후 제1 압착부재(150)가 압착되면 압착된 관(1)의 부분이 관(1)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변형되고 이 돌출과 대응되는 제1 슬리브(130)의 부분도 제1 슬리브(13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변형되는 것에 의해 관(1)과 수밀되도록 결합되고,
    연결하고자 하는 관(2)이 제2 슬리브(140)와 제2 조인트(160) 사이에 삽입된 후 제2 압착부재(160)가 압착되면 압착된 관(2)의 부분이 관(2)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변형되고 이 돌출과 대응되는 제2 슬리브(140)의 부분도 제2 슬리브(14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변형되는 것에 의해 관(2)과 수밀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 부속을 이용한 관 연결 구조.
  6. (a) 연결하고자 하는 관(1)의 단부를 제1 슬리브(130)와 제1 조인트(110)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b) 제1 슬리브(130)의 내부에 압착 지지장치(200)를 삽입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 이후에, 압착 지지장치(200)가 제1 슬리브(130)의 내부에서 관(1)의 반경 방향으로 확장하여 제1 슬리브(130)를 확관하는 단계; 및,
    (d) 압착 지지장치(200)를 제1 슬리브(130)에서 제거한 후, 제1 압착부재(150)를 제1 조인트(110)의 외부에서 압착하여 제1 슬리브(130)와 제1 조인트(110) 및 관(1)을 수밀되도록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의 확관에 의해서 제1 슬리브(130)는 상기 (d) 단계의 압착에 대한 지지력이 증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압착 지지장치(200)의 실린더를 신장시켜 가압봉(220)을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c2) 상기 (c1) 단계의 가압봉(220)의 이동에 의해서 조(jaw, 230)가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제1 슬리브(130)의 내부면을 가압하여 확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c2) 단계 이후에, 압착기(300)가 제1 압착부재(150)를 압착하여 제1 슬리브(130)와 제1 조인트(120) 및 관(1)이 수밀되도록 변형되어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조(230)의 외부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홈(231)이 형성되고, 홈(231)은 제1 압착부재(150)와 대응되는 곳에 형성되며,
    상기 (c2) 단계의 확관시에 홈(231)과 대응되는 제1 슬리브(130)의 부분은 제1 슬리브(130)의 다른 부분 보다 작게 확관되거나 확관되지 않으며,
    상기 (d) 단계의 압착에 의해 상기 부분이 제1 슬리브(13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 방법.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관 연결 구조에서 제1,2 압착부재(150)(160)에 인가되는 압착에 대한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1,2 슬리브(130)(140)를 확관하기 위한 장치이고,
    상기 장치는,
    제1,2 슬리브(130)(14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진되고, 그 선단부의 외주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가압봉(220);
    가압봉(220)의 선단부의 외주면을 소정 각도 간격으로 감싸도록 설치되고, 가압봉(220)의 전진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슬라이딩하여 제1,2 슬리브(130)(140)의 내부면을 가압하여 확관하는, 다수 개의 조(jaw, 230); 및.
    조(230)의 반경방향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고 전후진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 부재(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 지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조(230)의 외부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홈(231)이 형성되고, 홈(231)과 대응되는 관 또는 제1,2 슬리브(130)(140)의 부분은 관 또는 제1,2 슬리브(130)(140)의 다른 부분 보다 작게 확관되거나 확관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 지지장치.
KR1020220106513A 2022-08-24 2022-08-24 큰 압착력을 인가할 수 있는 관 연결 부속, 이를 이용한 관 연결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압착 지지장치 KR102532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513A KR102532510B1 (ko) 2022-08-24 2022-08-24 큰 압착력을 인가할 수 있는 관 연결 부속, 이를 이용한 관 연결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압착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513A KR102532510B1 (ko) 2022-08-24 2022-08-24 큰 압착력을 인가할 수 있는 관 연결 부속, 이를 이용한 관 연결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압착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510B1 true KR102532510B1 (ko) 2023-05-16

Family

ID=86545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513A KR102532510B1 (ko) 2022-08-24 2022-08-24 큰 압착력을 인가할 수 있는 관 연결 부속, 이를 이용한 관 연결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압착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51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1424A (ko) * 2016-06-15 2017-12-26 케이제이씨 주식회사 파이프 조인트의 고무링구조
KR101924451B1 (ko) * 2017-11-30 2018-12-03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및 이를 이용한 금속관 연결 구조
KR101944866B1 (ko) * 2018-01-18 2019-02-07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분할 스토퍼 링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장치
JP2020024045A (ja) * 2013-12-25 2020-02-13 コスモ工機株式会社 管継手
KR102264918B1 (ko) * 2020-08-12 2021-06-11 방만혁 관 연결 장치, 및 그 구조
KR102372761B1 (ko) * 2019-12-12 2022-03-08 방만혁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관 연결부품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24045A (ja) * 2013-12-25 2020-02-13 コスモ工機株式会社 管継手
KR20170141424A (ko) * 2016-06-15 2017-12-26 케이제이씨 주식회사 파이프 조인트의 고무링구조
KR101924451B1 (ko) * 2017-11-30 2018-12-03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및 이를 이용한 금속관 연결 구조
KR101944866B1 (ko) * 2018-01-18 2019-02-07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분할 스토퍼 링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장치
KR102372761B1 (ko) * 2019-12-12 2022-03-08 방만혁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관 연결부품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방법
KR102264918B1 (ko) * 2020-08-12 2021-06-11 방만혁 관 연결 장치, 및 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7666A (en) Tongue and groove snap-fit pipe coupling
US20040107754A1 (en) Expansion tool for expanding tube ends and pressing device comprising such an expansion tool
CA2475634A1 (en) Sealing tubing
US8869583B2 (en) Multi-sided tube swaging apparatus and method
AU4081299A (en) Internal pipe clamp
US7143626B2 (en) Crimping jaw having energy efficient crimping dies
KR102532510B1 (ko) 큰 압착력을 인가할 수 있는 관 연결 부속, 이를 이용한 관 연결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압착 지지장치
US11185908B2 (en) Tool device for expanding the end of a tube
JPH11311379A (ja) 補強金具
DE19803536A1 (de) Preßwerkzeug
CN213478338U (zh) 一种顶管倒退机构
KR20210074546A (ko)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관 연결부품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방법
JP6329597B2 (ja) 止水板密着装置
KR200440560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
AU2011253651B2 (en) Internal pipe clamp
JP3415093B2 (ja) 樹脂管内装工法及び管閉塞具
JPH1034745A (ja) 拡管装置
JP3153670B2 (ja) 水封保持機構を有する管継ぎ手
JP2000310379A (ja) 継 手
JP3416533B2 (ja) 合成樹脂管と金属管との接続方法
JPS5853507Y2 (ja) 管接手
AU2003271328A1 (en) Internal pipe clamp
GB2240599A (en) Apparatus and fitting for coupling plastics pipes
JP3406075B2 (ja) 推進工法用の中間スリーブ管
JPS611829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