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4546A -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관 연결부품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관 연결부품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4546A
KR20210074546A KR1020190165331A KR20190165331A KR20210074546A KR 20210074546 A KR20210074546 A KR 20210074546A KR 1020190165331 A KR1020190165331 A KR 1020190165331A KR 20190165331 A KR20190165331 A KR 20190165331A KR 20210074546 A KR20210074546 A KR 20210074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joint
tube
rear end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2761B1 (ko
Inventor
방만혁
Original Assignee
방만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만혁 filed Critical 방만혁
Priority to KR1020190165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761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2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used with 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or with reduction 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2Bends; Siphons adapted to make use of special secu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부품은 단순한 구조를 가지지만 다양한 용도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 관 연결부품의 선단이 관의 단부와 수밀되도록 압착 결합되고 관 연결부품의 후단이 연결하고자 하는 관의 단부에 수밀되도록 용접 결합되어 두 관을 연결하고, (ii) 두 개의 관 연결부품의 후단이 수밀되도록 결합되고 각각의 관 연결부품의 선단이 관의 단부와 수밀되도록 압착 결합되어 두 관을 연결하며, (iii) 관 연결부품의 후단이 엘보관, 티관 등의 단부에 수밀되도록 용접 결합되고 관 연결부품의 선단이 관의 단부와 수밀되도록 압착 결합되어 관과 엘보관을 연결하거나 관과 티관을 연결한다.

Description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관 연결부품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방법{Pipe connection part used for various purposes, and pipe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관 연결부품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i) 관 연결부품의 선단이 관의 단부와 수밀되도록 압착 결합되고 관 연결부품의 후단이 연결하고자 하는 관의 단부에 수밀되도록 용접 결합되어 두 관을 연결하고, (ii) 두 개의 관 연결부품의 후단이 수밀되도록 결합되고 각각의 관 연결부품의 선단이 관의 단부와 수밀되도록 압착 결합되어 두 관을 연결하며, (iii) 관 연결부품의 후단이 엘보관, 티관 등의 단부에 수밀되도록 용접 결합되고 관 연결부품의 선단이 관의 단부와 수밀되도록 압착 결합되어 관과 엘보관을 연결하거나 관과 티관을 연결하는 관 연결부품에 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러한 관 연결부품을 이용한 관 연결방법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스틸관과 같은 고내식성 금속관은 많은 장점을 갖고 있지만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고가(高價)의 소재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높아지고 벤딩 등의 성형에 한계가 있어서 시공상의 어려움이 많고 직관으로만 제조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직관으로 제조된 금속관은 운반 등을 위해 소정 길이로 절단되는데, 현장 시공시 금속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작업에 많은 부품과 노동력 및 작업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속관은 지반에 매설된 경우에 토양에 의한 부식, 전기적 부식 등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수지관은 내식성이 우수하고 가볍고 시공성이 좋으며 가격이 저렴하지만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에 의해서 연결부위가 분리되어 누수가 발생되기도 하고 압력에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금속수지 복합관을 개발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1166886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도 1a ~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수지 복합관(1)은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관(2)의 외부면에 접착층(4)과 수지층(3)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관이다.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관(2)은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내식성이 우수하다. 수지층(3)은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관(2)의 두께 보다 훨씬 두꺼운 두께로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관(2)을 감싸는데, 내식성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한 수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복합관(1)은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에 대한 내부식성이 우수하고 토양에 대한 내부식성도 우수하며 가격도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복합관(1)은 직관으로 제조된 후 환형으로 권취될 수 있고, 환형으로 권취된 복합관(1)은 직관으로 환원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단면 손상이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공장에서 긴 길이로 제조한 후 환형으로 귄취하여 공사 현장까지 운반하고, 환형 권취된 복합관(1)을 공사 현장에서 직관으로 환원하여 시공한다. 이와 같이, 복합관(1)은 기존의 다른 관들과 비교하여 많은 장점을 갖는다.
한편, 기존의 다른 복합관을 연결하기 위한 부품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59414호, 제16400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된 연결부품은 많은 세부 구성이 필요하고 구조가 복잡하며, 직관을 서로 연결하는 데에만 사용할 수 있고 다른 용도, 예를 들어 엘보관을 직관과 연결하거나 티관을 직관과 연결하는 데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관 연결 특히 복합관의 연결에 적합한 관 연결부품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며, 직관과 직관의 연결, 직관과 엘보관의 연결 및, 직관과 티관의 연결 등 다양한 관 및/또는 연결부속품을 연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관 연결부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관 연결부품을 이용한 관 연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부품(100)은, 관 형상을 갖는 슬리브(50); 슬리브(50)의 외측에 설치되며, 관 형상을 갖는 조인트(10); 및, 조인트(10) 선단의 내부면에 원주 방향으로 설치된 압착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50)는 조인트(10)의 내부에 삽입되되 슬리브(50)의 후단부(52)가 조인트(10) 후단부의 내부면에 수밀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관(1)이 조인트(10)와 슬리브(50) 사이로 삽입된 후 압착 부재(30)가 관(1)을 압착하여 관(1)이 고정되고 수밀이 이루어진다. 조인트(10)의 후단(12)에는 관 연결부품의 후단(12) 또는 연결 부속품(7)(8) 또는 관(1)이 수밀되도록 용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부품(200)은, 관 형상을 갖는 조인트(10); 및, 조인트(10) 선단의 내부면에 원주 방향으로 설치된 압착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10)의 후단부와 중앙 부분 사이에는 제1 경사면(13)이 형성되며, 제1 경사면(13)은 관(1)이 삽입될 때 스토퍼 역할을 하고 상기 중앙 부분과 후단부 사이의 유로 단면적 차이를 줄여준다. 관(1)이 조인트(10)의 내부로 삽입된 후 압착 부재(30)가 관(1)을 압착하여 관(1)이 고정되고 수밀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인트(10)의 후단(12)에는 관 연결부품의 후단(12) 또는 연결 부속품 또는 관(1)이 수밀되도록 용접될 수 있다.
상기 압착 부재(30)는 금속링(31)과 고무링(36)을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10)에서 압착 부재(30)가 설치된 부분은 바깥쪽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되며, 상기 압착은 상기 돌출된 부분을 가압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착시 금속링(31)이 관(1)을 가압 및 압착하고 고무링(36)이 관(1)의 외부면에 밀착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조인트(10) 선단에서 금속링(31)과 대응되는 부분과 고무링(36)과 대응되는 부분 사이에는 턱(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착으로 인해 턱(17)이 평평하게 변형되면서 금속링(31)이 관(1)의 외부면을 가압 및 압착할 수 있다.
조인트(10)의 중앙 부분이 조인트(10)의 후단부 보다 내경이 크도록 조인트(10)의 중앙 부분과 후단부 사이에는 제1 경사면(13)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리브(50)의 후단부(52)가 슬리브(50)의 중앙부분 보다 내경이 커지도록 슬리브(50)의 중앙 부분과 슬리브(50)의 후단부(52) 사이에는 제2 경사면(53)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2 경사면(13)(53)은 실질적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인 관 연결방법은, (a) 두 개의 관 연결부품의 후단(12)을 수밀되도록 용접하는 단계; (b) 관 연결부품의 선단에 관(1)을 각각 삽입하는 단계; 및, (c) 관 연결부품의 선단의 내부면에 구비된 압착부재(30)를 관(1)에 대해 압착하여 수밀 및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관 연결부품은 동일한 규격을 가질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관(1)이 조인트(10)와 슬리브(50) 사이로 삽입된 후 상기 (c) 단계에서 압착 부재(30)가 관(1)을 압착하여 관(1)이 고정되고 수밀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관 연결방법은, (가) 관 연결부품의 후단(12)에 관(1) 또는 연결 부속품의 단부를 수밀되도록 용접하여 결합하는 단계; 및,
(나) 관 연결부품의 선단에 관(1)의 단부를 수밀되도록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관 연결, 특히 복합관의 연결에 적합한 관 연결부품을 제공한다.
둘째, 구조가 단순하며, 직관과 직관의 연결, 직관과 엘보관의 연결 및, 직관과 티관의 연결 등 다양한 관 및/또는 연결부속품을 연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관 연결부품을 제공한다.
셋째, 이러한 관 연결부품을 이용한 관 연결방법을 제공한다.
도 1a는 본 출원인이 개발한 복합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복합관 단면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부품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관 연결부품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2의 관 연결부품의 후단에 관이 연결된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두 개의 관 연결부품의 후단이 결합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두 개의 관 연결부품의 후단이 결합되고, 각각의 관 연결부품의 선단에 관이 연결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엘보관의 양쪽 단부에 관 연결부품의 후단이 결합된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티관의 세 단부에 관 연결부품의 후단이 결합된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부품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관 연결부품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B-B' 단면도.
도 13은 도 10의 관 연결부품의 후단에 관이 연결된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4는 두 개의 관 연결부품의 후단이 결합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5는 두 개의 관 연결부품의 후단이 결합되고, 각각의 관 연결부품의 선단에 관이 연결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은 엘보관의 양쪽 단부에 관 연결부품의 후단이 결합된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7은 티관의 세 단부에 관 연결부품의 후단이 결합된 것을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한민국 특허 제1166886호의 복합관을 연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지만, 다른 관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아래의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관(1)'은 복합관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관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복합관에만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다만,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합관에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할 것이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 제1166886호의 등록공보에 기재된 내용은 본 명세서에 모두 포함된다.
아울러, 아래의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연결 부속품'은 엘보관과 티관 뿐만 아니라 관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부속품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한편, 아래의 여러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부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관 연결부품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 연결부품(100)은 조인트(10)와, 압착 부재(30) 및, 슬리브(50)를 포함한다.
조인트(10)는 슬리브(50)의 외측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조인트(10)는 관 형상의 부재로서, 슬리브(50)가 그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조인트(10)와 슬리브(50) 사이에 관(1)이 삽입된다. 조인트(10)는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진다.
조인트(10) 선단의 내부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압착부재(30)가 설치된다. 조인트(10)의 후단(12)은 연결하고자 하는 관(1), 엘보관, 티관 등의 단부에 수밀되도록 용접될 수 있다. 조인트(10) 후단부의 내부면은 슬리브(50)의 후단부와 수밀되도록 용접(결합)된다.
그리고, 조인트(10)의 중앙 부분과 조인트(10)의 후단부 사이에는 제1 경사면(13)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경사면(13)으로 인해서 조인트(10)의 중앙 부분은 조인트(10)의 후단부 보다 내경이 크게 되는데, 이 구조는 제2 경사면(53)과 함께 관 연결부품(100)의 내부 유로 단면적이 비교적 균일하도록 하고 관(1)의 삽입 설치시 관(1)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압착부재(30)는 조인트(10) 선단의 내부면에 원주 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압착부재(30)는 외부 힘이 인가되면 관(1)을 압착하여 수밀되도록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조인트(10)에서 압착부재(30)가 설치된 부분은 원주 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부분의 내부(즉, 홈)에 링 형상의 압착부재(30)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압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압착부재(30)는 원형의 고무링(36)과 원형의 금속링(3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금속링(31)이 조인트(10)의 가장 선단에 설치되고 고무링(36)이 금속링(31)의 후면(後面)과 접하도록 설치되며, 금속링(31)의 전면(前面)을 감싸도록 조인트(130)의 가장 앞부분(18)이 벤딩된다.
아울러, 조인트(10)의 선단에서 금속링(31)과 대응되는 부분과 고무링(36)과 대응되는 부분 사이에는 턱(17)이 형성된다. 턱(17)은 압착시 금속링(31)의 압착 및 수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착시, 외부 힘이 인가되면 턱(17)이 평평하게 변형되면서 금속링(31)이 관(1)을 가압 및 압착한다.
고무링(36)은 상기 압착시 수밀이 이루어지도록 관(1)에 밀착 변형된다. 본 명세서에서, 고무링(36)은 고무로 만들어진 것 뿐만 아니라, 수밀이 가능한 다른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것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슬리브(50)는 관 형상을 갖는데, 연결하고자 하는 관(1)의 내경 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조인트(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슬리브(50)의 후단부는 조인트(10) 후단부의 내부면에 수밀되도록 결합(용접)된다. 그리고, 슬리브(50)는 압착부재(30)의 압착으로 인해 관(1)과 견고하게 밀착 및 고정되는 정도의 외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리브(50)는 금속,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슬리브(50)는 압착부재(30)의 압착시, 슬리브(50)와 압착부재(30) 및 관(1)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서 변형될 수 있다.
슬리브(50)의 선단은 조인트(10)의 선단보다 바깥쪽으로 약간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압착부재(30)의 압착시 압착 하중을 지지하는 데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슬리브(50)의 후단부와 슬리브(50)의 중앙부분 사이에는 제2 경사면(53)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슬리브(50)의 후단부가 슬리브(50)의 중앙부분 보다 내경이 크다. 그리고, 제1,2 경사면(13)(53)은 실질적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6~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2 경사면(13)(53)은 서로 협력하여 관 연결부품(100)의 내부 유로 단면적이 비교적 균일하도록 하고 관(1)의 삽입 설치시 관(1)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관 연결부품의 활용 예]
도 5는 관 연결부품(100)의 후단(12)이 관(1)의 단부에 수밀되도록 용접된 것을 보여준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관 연결부품(100)의 선단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관(1)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은 두 개의 관 연결부품(100)의 후단(12)이 수밀되도록 용접 결합된 것을 보여주고, 도 7은 이와 같이 결합된 두 개의 관 연결부품(100)의 선단에 관(1)이 삽입 설치된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한 개의 관 연결부품(100)으로 관(1)을 서로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 개의 관 연결부품(100)으로 관(1)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사 현장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관이 금속관인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관의 선단을 관 연결부품(100)의 후단(12)에 용접하여 연결할 수 있고, 연결하고자 하는 관이 수지관이나 복합관인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관을 관 연결부품(100)의 선단에 각각 삽입하여 연결할 수 있다.
도 8~9는 관 연결부품(100)이 엘보관(7)과 티관(8) 등과 같은 연결 부속품에 결합된 것을 각각 보여준다.
도 8은 엘보관(7)의 양쪽 단부에 관 연결부품(100)이 각각 설치된 것을 보여준다. 두 개의 관 연결부품(100)의 후단(12)이 엘보관(7)의 양쪽 단부에 각각 용접 결합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관 연결부품(100)의 선단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관(1)의 단부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도 9는 티관(8)의 세 단부에 관 연결부품(100)이 각각 설치된 것을 보여준다. 세 개의 관 연결부품(100)의 후단(12)이 티관(8)의 세 단부에 각각 용접 결합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관 연결부품(100)의 선단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관(1)의 단부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부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관 연결부품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B-B' 단면도이다. 도 10~12의 도면 참조부호 중에서 도 1~9의 도면 참조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 연결부품(200)은 조인트(10)와 압착부재(30)를 포함한다. 관 연결부품(200)은, 제1 실시예의 관 연결부품(100)과 비교하여, 슬리브(50)를 갖지 않는다는 점이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관 연결부품(200)은, 관 연결부품(100)과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은 관 연결부품(200)의 후단(12)이 관(1)의 단부에 수밀되도록 용접된 것을 보여준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관 연결부품(200)의 선단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관(1)이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도 14는 두 개의 관 연결부품(200)의 후단(12)이 수밀되도록 용접 결합된 것을 보여주고, 도 15는 이렇게 결합된 두 개의 관 연결부품(200)의 선단에 관(1)이 삽입 설치된 것을 보여준다.
도 16~17은 관 연결부품(200)이 엘보관(7)과 티관(8) 등과 같은 연결 부속품에 결합된 것을 각각 보여준다.
도 16은 엘보관(7)의 양쪽 단부에 관 연결부품(200)이 각각 설치된 것을 보여준다. 두 개의 관 연결부품(200)의 후단(12)이 엘보관(7)의 양쪽 단부에 각각 용접 결합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관 연결부품(200)의 선단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관(1)의 단부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7은 티관(8)의 세 단부에 관 연결부품(200)이 각각 설치된 것을 보여준다. 세 개의 관 연결부품(200)의 후단(12)이 티관(8)의 세 단부에 각각 용접 결합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관 연결부품(200)의 선단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관(1)의 단부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1 : 복합관 또는 관 2 :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관
3 : 수지층 4 : 접착층
7 : 엘보관 8 : 티관
10 : 조인트 12 : 조인트의 후단
13 : 제1 경사면 17 : 턱
18 : 조인트의 가장 앞부분 30 : 압착 부재
31 : 금속링 36 : 고무링
50 : 슬리브 52 : 슬리브의 후단부
53 : 제2 경사면 100, 200 : 관 연결부품

Claims (12)

  1. 관 형상을 갖는 슬리브(50);
    슬리브(50)의 외측에 설치되며, 관 형상을 갖는 조인트(10); 및,
    조인트(10) 선단의 내부면에 원주 방향으로 설치된 압착 부재(30);를 포함하고,
    슬리브(50)는 조인트(10)의 내부에 삽입되되 슬리브(50)의 후단부(52)가 조인트(10) 후단부의 내부면에 수밀되도록 결합되며,
    관(1)이 조인트(10)와 슬리브(50) 사이로 삽입된 후 압착 부재(30)가 관(1)을 압착하여 관(1)이 고정되고 수밀이 이루어지며,
    조인트(10)의 후단(12)에는 관 연결부품의 후단(12) 또는 연결 부속품 또는 관(1)이 수밀되도록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부품.
  2. 관 형상을 갖는 조인트(10); 및,
    조인트(10) 선단의 내부면에 원주 방향으로 설치된 압착 부재(30);를 포함하고,
    조인트(10)의 후단부와 중앙 부분 사이에는 제1 경사면(13)이 형성되며, 제1 경사면(13)은 관(1)이 삽입될 때 스토퍼 역할을 하고 상기 중앙 부분과 후단부 사이의 유로 단면적 차이를 줄여주고,
    관(1)이 조인트(10)의 내부로 삽입된 후 압착 부재(30)가 관(1)을 압착하여 관(1)이 고정되고 수밀이 이루어지며,
    조인트(10)의 후단(12)에는 관 연결부품의 후단(12) 또는 연결 부속품 또는 관(1)이 수밀되도록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부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압착 부재(30)는 금속링(31)과 고무링(36)을 포함하고, 조인트(10)에서 압착 부재(30)가 설치된 부분은 바깥쪽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되며, 상기 압착은 상기 돌출된 부분을 가압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압착시 금속링(31)이 관(1)을 가압 및 압착하고 고무링(36)이 관(1)의 외부면에 밀착되도록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부품.
  4. 제3항에 있어서,
    조인트(10) 선단에서 금속링(31)과 대응되는 부분과 고무링(36)과 대응되는 부분 사이에는 턱(17)이 형성되고,
    상기 압착으로 인해 턱(17)이 평평하게 변형되면서 금속링(31)이 관(1)의 외부면을 가압 및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부품.
  5. 제1항에 있어서,
    조인트(10)의 중앙 부분이 조인트(10)의 후단부 보다 내경이 크도록 조인트(10)의 중앙 부분과 후단부 사이에는 제1 경사면(13)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슬리브(50)의 후단부(52)가 슬리브(50)의 중앙부분 보다 내경이 커지도록 슬리브(50)의 중앙 부분과 슬리브(50)의 후단부(52) 사이에는 제2 경사면(53)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2 경사면(13)(53)은 실질적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부품.
  6. (a) 두 개의 관 연결부품의 후단(12)을 수밀되도록 용접하는 단계;
    (b) 관 연결부품의 선단에 관(1)을 각각 삽입하는 단계; 및,
    (c) 관 연결부품의 선단의 내부면에 구비된 압착부재(30)를 관(1)에 대해 압착하여 수밀 및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관 연결부품에서 압착부재(30)가 설치된 부분은 바깥쪽으로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압착은 상기 돌출된 부분을 가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관 연결부품은 동일한 규격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관 연결부품은,
    관 형상을 갖는 조인트(10); 및,
    관 형상을 가지며, 조인트(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슬리브(50);를 포함하고,
    슬리브(50)의 후단부(52)는 조인트(10) 후단부의 내부면에 수밀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b) 단계에서 관(1)이 조인트(10)와 슬리브(50) 사이로 삽입된 후 상기 (c) 단계에서 압착 부재(30)가 관(1)을 압착하여 관(1)이 고정되고 수밀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9. (가) 관 연결부품의 후단(12)에 관(1), 엘보 관(7) 및, 티관(8) 중 어느 하나의 단부를 수밀되도록 용접하여 결합하는 단계; 및,
    (나) 관 연결부품의 선단에 관(1)의 단부를 수밀되도록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관 연결부품은,
    관 형상을 갖는 조인트(10); 및,
    조인트(10) 선단의 내부면에 원주 방향으로 설치된 압착 부재(30);를 포함하고,
    조인트(10)의 후단부와 중앙 부분 사이에는 제1 경사면(13)이 형성되며, 제1 경사면(13)은 관(1)이 삽입될 때 스토퍼 역할을 하고 상기 중앙 부분과 후단부 사이의 유로 단면적 차이를 줄여주고,
    상기 (나) 단계에서, 관(1)이 조인트(10)의 내부로 삽입된 후 압착 부재(30)가 관(1)을 압착하여 관(1)이 고정되고 수밀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관 연결부품은,
    관 형상을 갖는 조인트(10); 및,
    관 형상을 가지며, 조인트(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슬리브(50);를 포함하고,
    슬리브(50)의 후단부는 조인트(10) 후단부의 내부면에 수밀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나) 단계에서, 관(1)이 조인트(10)와 슬리브(50) 사이로 삽입된 후 압착 부재(30)가 관(1)을 압착하여 관(1)이 고정되고 수밀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착 부재(30)는 금속링(31)과 고무링(36)을 포함하고, 조인트(10)에서 압착 부재(30)가 설치된 부분은 원주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상기 압착은 상기 돌출된 부분을 가압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압착시 금속링(31)이 관(1)을 가압 및 압착하고 고무링(36)이 관(1)의 외부면에 밀착되도록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12. 제12항에 있어서,
    조인트(10)에서 금속링(31)과 대응되는 부분과 고무링(36)과 대응되는 부분 사이에는 턱(17)이 형성되고,
    상기 압착으로 인해 턱(17)이 평평하게 변형되면서 금속링(31)이 관(1)의 외부면을 가압 및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KR1020190165331A 2019-12-12 2019-12-12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관 연결부품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방법 KR102372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331A KR102372761B1 (ko) 2019-12-12 2019-12-12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관 연결부품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331A KR102372761B1 (ko) 2019-12-12 2019-12-12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관 연결부품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546A true KR20210074546A (ko) 2021-06-22
KR102372761B1 KR102372761B1 (ko) 2022-03-08

Family

ID=76600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331A KR102372761B1 (ko) 2019-12-12 2019-12-12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관 연결부품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7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510B1 (ko) * 2022-08-24 2023-05-16 주식회사 금강에스티피 큰 압착력을 인가할 수 있는 관 연결 부속, 이를 이용한 관 연결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압착 지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107Y1 (ko) * 1985-01-10 1986-08-28 최병우 프레스식(Press式)관이음쇠의 체결부(締結部)구조
KR870000898Y1 (ko) * 1981-07-18 1987-03-14 모리게이 집어등
JPH0257788A (ja) * 1988-08-23 1990-02-27 Benkan Corp 銅管用管継手
JP3004081U (ja) * 1994-02-25 1994-11-08 株式会社ベンカン プレス式銅管継手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4081B2 (ja) 1991-05-22 2000-01-31 旭硝子株式会社 含フッ素化合物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0898Y1 (ko) * 1981-07-18 1987-03-14 모리게이 집어등
KR860002107Y1 (ko) * 1985-01-10 1986-08-28 최병우 프레스식(Press式)관이음쇠의 체결부(締結部)구조
JPH0257788A (ja) * 1988-08-23 1990-02-27 Benkan Corp 銅管用管継手
JP3004081U (ja) * 1994-02-25 1994-11-08 株式会社ベンカン プレス式銅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761B1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9426B1 (ko) 관 연결 장치
JP5427954B2 (ja) らせん状自在管連結具
KR102372761B1 (ko)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관 연결부품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방법
KR102028180B1 (ko) 파이프 구조체
US6676166B1 (en) Plastic pipe coupling system
KR100822219B1 (ko) 관 커플러
US10767795B2 (en) Fit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fitting for attaching flexible tube to rigid tube
EP0444108A4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nection fittings
US109759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rengthening welded-lap joints for steel pipeline
KR102264914B1 (ko) 관 연결 방법
EP1502052B1 (en) Pipe connection for pipe pieces made of plastic
KR100397308B1 (ko)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
CN112984232A (zh) 管道组件和管道装配方法
CN217540038U (zh) 袖管三通
KR200228224Y1 (ko) 경사부와 나사부를 가지는 파이프 피팅
KR20200109630A (ko) 관 연결 장치와 방법
CN112628488B (zh) 一种用于金属管件的抗拉增强连接方法
CN210890548U (zh) 一种承插压合式金属管件
CN213929849U (zh) 管道组件及管道系统
KR200187811Y1 (ko) 관의 이음장치
KR20100048182A (ko) 관 결합구조
JPS6112469Y2 (ko)
WO2004046603A1 (en) Improved pipe connector
AU606540B2 (en) Pipe connectors
KR200206336Y1 (ko) 관체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