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8182A - 관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관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8182A
KR20100048182A KR1020080107219A KR20080107219A KR20100048182A KR 20100048182 A KR20100048182 A KR 20100048182A KR 1020080107219 A KR1020080107219 A KR 1020080107219A KR 20080107219 A KR20080107219 A KR 20080107219A KR 20100048182 A KR20100048182 A KR 20100048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ring
pipe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stepp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0733B1 (ko
Inventor
이상경
Original Assignee
이상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경 filed Critical 이상경
Priority to KR1020080107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733B1/ko
Priority to PCT/KR2009/006314 priority patent/WO2010050763A2/ko
Publication of KR20100048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를 이송하기 위해서 지하에 매설되는 일정길이를 갖는 관 상호간을 매우 간편하게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관의 신수축 작용에 대처할 수 있는 관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체를 이송하기 위해서 지하에 매설되는 일정길이를 갖는 관을 연결하는 관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관은 그 일단부에, 연결하는 관의 타단부를 삽입시켜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단부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연결단부의 내주면은, 관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제1 단턱면이 안쪽에 위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단턱면의 바깥쪽에는 상기 제1 단턱면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2 단턱면이 형성되며, 연결하는 관의 타단부 외주면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연결하는 관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단턱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결합됨으로써, 수밀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2 단턱면의 안쪽에 위치하게 되는 제1 고무링 및 상기 제2 단턱면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는 제2 고무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무링은 원형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2 고무링은 상기 제1 고무링과 마주하는 쪽의 측면이 상기 제1 고무링에 접면되면서 결합되도록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80107219
관, 결합구조, 연결, 신수축, 하수관.

Description

관 결합구조{Combine structure for pipe}
본 발명은 유체를 이송하기 위해서 지하에 매설되는 일정길이를 갖는 관 상호간을 매우 간편하게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관의 신수축 작용에 대처할 수 있는 관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액체나 기체 등의 유체를 장거리로 이송하기 위해서 지하에 매설되는 관은 일반적으로 별도의 여러 구성을 하고 있는 관 연결구를 이용하거나 관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플랜지 상호간을 볼트 결합하여 관과 관을 연결한 관 결합구조를 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 관 결합구조는 관의 단부 구조가 복잡하고, 관 연결구는 그 구성이 많아 관을 결합하는 작업이 까다로워 관을 연결하는 설치작업이 불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유 체를 이송하기 위해서 지하에 매설되는 일정길이를 갖는 관 상호간을 매우 간편하게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관의 신수축 작용에 대처할 수 있는 관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체를 이송하기 위해서 지하에 매설되는 일정길이를 갖는 관을 연결하는 관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관은 그 일단부에, 연결하는 관의 타단부를 삽입시켜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단부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연결단부의 내주면은, 관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제1 단턱면이 안쪽에 위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단턱면의 바깥쪽에는 상기 제1 단턱면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2 단턱면이 형성되며, 연결하는 관의 타단부 외주면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연결하는 관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단턱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결합됨으로써, 수밀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2 단턱면의 안쪽에 위치하게 되는 제1 고무링 및 상기 제2 단턱면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는 제2 고무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무링은 원형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2 고무링은 상기 제1 고무링과 마주하는 쪽의 측면이 상기 제1 고무링에 접면되면서 결합되도록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2 고무링를 그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제3 고무링으로 대체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3 고무링은 상기 제1 고무링과 마주하는 쪽 측면에 경사면을 가지고 있고, 내주면의 경사면에서 이어지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관의 외주면에 밀착 되며, 외주면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제2 단턱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3 고무링에 맞게 관의 제2 단턱면에는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고무링, 제2 고무링과 함께 제4 고무링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4 고무링은 제1 고무링의 앞쪽에 위치시켜 결합되며, 제4 고무링의 외주면은 제1 고무링과 마주하는 방향에 경사면을 가지고, 내주면은 평면으로 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체를 이송하기 위해서 지하에 매설되는 일정길이를 갖는 관 상호간을 매우 간편하게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결합상태도 견실함에 따라 관의 신수축 작용에 대처할 수 있으며, 확실하게 수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관의 연결단부 구조가 간단하여 관 제조단가가 저렴하고, 고무링만에 의한 관 결합구조를 하고 있어, 그 구성도 적어 관을 연결하는 작업능률도 증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관의 이음부 사이가 벌어지려는 힘이 발생되는 경우, 결합된 고무링 의 작용에 의해서 신수축 작용에 저항력을 발휘하여 관 이음부에서의 수밀상태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확실한 결합 구조를 가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체를 이송하기 위해서 지하에 매설되는 일정길이를 갖는 관(10a)(10b)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그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여러 실시예들의 기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구성되는 관(10a)(10b)은 그 일단부에, 연결하는 관(10b)의 타단부를 삽입시켜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단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단부(11)의 내주면은, 관(10b)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제1 단턱면(12)이 안쪽에 위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단턱면(12)의 바깥쪽에는 상기 제1 단턱면(12)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2 단턱면(13)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연결단부(11)의 내주면은, 안쪽에 있는 제1 단턱면(12)과, 관(10a)의 선단부 쪽에 있는 제2 단턱면(13)으로 2단차를 가지고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제1 단턱면(12)의 내경은, 관(10b)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단턱면(12)이 가지는 단차(높이)는 관(10b)의 두께와 동일하여 관(10b)을 제1 단턱면(12)에 삽입하여 연결하였을 때, 이음부의 내주면은 일치된다.
한쪽 관(10a)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단턱면(12)에, 다른 관(10b)의 타단부를 연결한 상태에서는, 연결된 관(10b)의 외주면과 제2 단턱면(13) 사이에 공간(14)을 가지게 되는데, 이 공간(14)은 관(10a)(10b)의 이음부에서 수밀 상태가 되도록 하는 고무링이 긴밀하게 결합되는 간격을 가진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는 상기한 구성을 기본으로 하여, 각각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무링의 구성에 일부 차이가 있는데, 상기 고무링의 구성, 관을 결합하는 방법 및 관의 결합된 상태에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는 해당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도면으로, 도 1은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관을 연결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관의 결합구조를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수밀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1 고무링(21)과 제2 고무링(22)이 포함된다.
상기 제1 고무링(21)은 그 절단면이 원형 단면을 가지는 것이고, 상기 제2 고무링(22)은 상기 제1 고무링(21)과 마주하는 쪽의 측면이 상기 제1 고무링(21)에 접면되도록 경사면(22a)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2 고무링(22)은 일측면이 경사면(22a)이면서 외주면은 평면(22b)으로 형성되어,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절단면 형상을 보면 삼각형 단면(22c)을 갖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고무링(21)과 제2 고무링(22)은 그 내경이 관(10a)(10b)의 외경에 비해 조금 작게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연결하려는 관(10b)의 외 주면으로 끼워둘 때, 관(10b)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압력을 가질 수 있게 되며, 제1 고무링(21)과 제2 고무링(22)의 외경은 제2 단턱면(13)의 내경에 비해서는 다소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이용하여 관(10a)(10b)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연결하는 관(10b)의 타단부 외주면으로 제2 고무링(22), 제1 고무링(21)을 차례로 끼워두는데, 이때 제2 고무링(22) 및 제1 고무링(21)이 관(10b)의 외주면에 끼워놓는 위치는 관(10b)의 타단부에서 끝부위(선단)에 있도록 함이 좋다.
이렇게 제1 및 제2 고무링(21)(22)이 결합된 관(10b)을 연결하기 위한 관(10a)의 일단부에 형성된 연결단부(11)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단턱면(12)에 밀어넣는다. 그러면, 연결하는 관(10b)의 타단부에서 끝부위에 있던 제1 고무링(21)과 제2 고무링(22)은 제1 단턱면(12) 및 제2 단턱면(13)의 단차진 부위에 의해 관(10b)의 외주면에서 밀려나면서 결국에서 제2 단턱면(13)에 의해 생긴 공간(14)까지 밀려나서 결합된다.
도 3에 나타나 있듯이, 제1 고무링(21)은 제2 단턱면(13)의 안쪽에 있게 되고, 제2 고무링(22)은 제2 단턱면(13)의 바깥쪽에 있게 되는데, 이들 고무링은 관(10b)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제1 고무링(21)이 제2 고무링(22)의 마주하고 있는 경사면(22a)에 접면됨에 따라, 제2 고무링(22)은 제2 단턱면(13)을 향하는 압력이 발생되어 그 외주면 평면(22b)가 제2 단턱면(13)에 밀착되고, 제1 고무 링(21)도 제2 고무링(22)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려고 하는 상대적인 작용힘에 의해 상호간은 그러한 접면 상태를 유지하여 제2 단턱면(13)과 관(10b)의 외주면 쪽을 향하는 힘을 작용하고 있게 되므로, 관(10a)(10b) 이음부에서의 수밀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적용하여 관(10a)(10b)의 연결 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고, 이렇게 관(10a)(10b)을 연속적으로 지하에 매설한 상태에서, 지중의 온도 변화 또는 토압 등으로 인하여 관(10a)(10b) 이음부에서 신수축 작용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는, 제1 고무링(21)이 제2 고무링(22)의 경사면(22a)에 접면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 단턱면(13)과 관(10b)의 외주면을 쪽을 향하는 힘을 작용하고 있게 되므로, 관(10a)(10b)의 이음부 사이가 벌어지려는 힘에 의해 제1 고무링(21)과 제2 고무링(22)의 접면 상태가 더욱 견실하게 되면서 신수축 작용에 저항력을 발휘하여 관(10a)(10b) 이음부에서의 수밀상태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도면으로, 도 4는 관을 연결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관의 결합구조를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구성에서 제2 고무링(22)를 그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제3 고무링(23)으로 대체한 것이고, 상기 제3 고무링(23)에 맞게 관(10a)의 제2 단턱면(13)에 요홈(15)이 형성된 것에 일부 차이가 있다.
도 4에 나타나 있듯이, 제2 실시예에 구성되는 제3 고무링(23)은 제2 실시예 에 구성된 제2 고무링(22)과 마찬가지로 내주면 한쪽 방향(제1 고무링(21)과 마주하는 방향)에 경사면(23a)을 가지고 있고, 외주면은 평면(23b)으로 된 것에 있어서는 동일한데, 다만 제3 고무링(23)은 내주면의 경사면(23a)에서 이어지는 평면(23c)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평면(23c) 부위는 관(10b)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된다.
또한, 제3 고무링(23)의 외주면은 제2 고무링(22)의 외주면에 비해 넓으며, 제3 고무링(23)의 외주면에는 돌기(23d)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23d) 부위가 끼워지도록 관(10a)의 제2 단턱면(13)에 요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23d) 및 요홈(15)은 대응되게 각각 4개 정도 형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의 결합구조는 제3 고무링(23)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23d)가 관(10a)의 제2 단턱면(13)에 형성된 요홈(15)에 끼워진 상태로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관(10a)(10b)의 이음부 사이가 벌어지려는 힘이 발생되는 경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고무링(21)과 제3 고무링(23)의 접면 상태가 더욱 견실하게 되면서 신수축 작용에 저항력을 발휘하여 관(10a)(10b) 이음부에서의 수밀상태에 영향을 끼치지 않게 되고, 제3 고무링(23)의 돌기(23d)가 관(10a)의 제2 단턱면(13)에 형성된 요홈(15)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 단턱면(13)에서 제3 고무링(23)이 빠지게 될 소지가 없어서 보다 확실한 결합 구조를 가지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한 도면으로, 도 6은 관을 연결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관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구성된 제1 고무링(21)과 제2 고무링(22)과 함께 제4 고무링(24)를 더 포함한 것이다.
도 6에 나타나 있듯이, 제3 실시예에 구성되는 제4 고무링(24)은 제1 고무링(21)의 앞쪽에 위치시켜 결합하게 되는데, 제4 고무링(24)의 외주면은 제1 고무링(21)과 마주하는 방향에 경사면(24a)을 가지고 있고, 내주면은 평면(24b)으로 관(10b)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관의 결합구조는 관(10b)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제1 고무링(21)이 제4 고무링(24)의 마주하고 있는 경사면(24a)에 접면됨과 아울러, 제2 고무링(22)의 경사면(22a)은 제1 고무링(24)에 접면됨에 따라, 제2 고무링(22)은 제2 단턱면(13)을 향하는 압력이 발생되어 그 외주면 평면(22b)가 제2 단턱면(13)에 밀착되고, 제1 고무링(21)도 제2 고무링(22)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려고 하는 상대적인 작용힘에 의해 상호간은 그러한 접면 상태를 유지하여 제2 단턱면(13)과 관(10b)의 외주면을 쪽을 향하는 힘을 작용하게 되며, 제4 고무링(24)은 관(10b)의 외주면을 향하는 압력이 발생되어 그 내주면을 이루는 평면(24b)은 관(10b)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관(10a)(10b) 이음부에서의 수밀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다.
한편, 관(10a)(10b) 이음부에서 신수축 작용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는, 제4 고무링(24), 제1 고무링(21) 및 제2 고무링(22) 상호간이 접면 상태를 유지하면서 각각 제2 단턱면(13)과 관(10b)의 외주면 쪽을 향하는 힘을 작용하고 있게 되므로, 관(10a)(10b)의 이음부 사이가 벌어지려는 힘에 의해 제4, 제1 및 제2 고무링(24)(21)(22)들의 접면 상태가 더욱 견실하게 되면서 신수축 작용에 저항력을 발휘하여 관(10a)(10b) 이음부에서의 수밀상태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에 구성할 수 있는 고무링의 절단면 형태를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의 (가)도면은 제5 고무링(25), (나)도면은 제6 고무링(26), (다)도면은 제7 고무링(27), (라)도면은 제8 고무링(28)을 보여주고 있다.
도 8의 (가)도면에 나타낸 제5 고무링(25)은 관(10a)(10b) 결합 시, 그것 하나만을 결합함으로써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작용을 발휘하는 것으로, 연결하는 관(10b)을 결합하는 방향을 향하는 내주면 한쪽은 관(10b)의 외주면에 밀착되어지고, 내주면의 다른 쪽에 해당하는 부위에서의 외주면이 제2 단턱면(13)에 밀착되어지게 형성된 것이다. 즉, 제5 고무링(25)의 절단면 형상은 사선방향으로 타원형이 되는 형태이다.
도 8의 (나)도면에 나타낸 제6 고무링(26)은 상기 제5 고무링(25)와 유사하다 할 수 있는데, 이것도 관(10a)(10b) 결합 시, 그것 하나만을 결합함으로써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작용을 발휘하는 것으로, 연결하는 관(10b)을 결합하는 방향을 향하는 한쪽은 관(10b)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큰 원형단면이면서, 이것과 일체적으로 다른 쪽에 해당하는 부위에는 작은 원형단면으로 형성되어 그 외주면이 제2 단턱면(13)에 밀착되어지게 형성된 것이다. 즉, 제6 고무링(26)의 절단면 형상은 사선방향으로 오뚜기 형태이다.
도 8의 (다)도면에 나타낸 제7 고무링(27)은 위에서 설명한 상기 제2 고무링(22)과 함께 사용하는데, 그 절단면 형상은 연결하는 관(10b)을 결합하는 방향을 향하는 'ㄱ'자 형태로 된 것이다.
상기 제7 고무링(27)의 외주면은 제2 단턱면(13)에 밀착되어지며, 내주면은 관(10b)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이 부위는 제2 고무링(22)의 경사면(22a)에 접면된다.
도 8의 (라)도면에 나타낸 제8 고무링(28)은 그 양편에 제1 고무링(21)을 포함하여 결합하게 된다.
상기 제8 고무링(28)은 관(10b) 결합 시, 제2 단턱면(13)의 안쪽에 위치하게 되는 제1 고무링(21)과 마주하는 측면에는 안쪽의 제1 고무링(21)에 접면되도록 경사면(28a)이 형성되어 있고, 제2 단턱면(13)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는 제1 고무링(21)과 마주하는 반대편 측면에도 바깥쪽의 제1 고무링(21)에 접면되도록 경사면(28b)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8 고무링(28)은 절단면 형상이 평행사변형 단면을 갖는 것이다.
관(10b)을 결합한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제8 고무링(28)의 외주면(평면부위)은 제2 단턱면(13)에 밀착되어지며, 제8 고무링(28)의 안쪽 경사면(28a)은 안쪽의 제1 고무링(21)에 접면되고, 제8 고무링(28)의 바깥쪽 경사면(28b)에는 바깥쪽 제1 고무링(21)이 접면되며, 제8 고무링(28)의 내주면(평면부위)은 관(10b)의 외주 면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제8 고무링(28)은 관(10b)의 외주면 및 제2 단턱면(13)을 향하는 압력이 발생되어 밀착되고, 양편의 제1 고무링(21)도 제8 고무링(28)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려고 하는 상대적인 작용힘에 의해 상호간은 그러한 접면 상태를 유지하여 제2 단턱면(13)과 관(10b)의 외주면을 쪽을 향하는 힘을 작용하고 있게 되므로, 관(10a)(10b)의 이음부 사이가 벌어지려는 힘이 발생되는 경우, 제1, 제8 및 제1 고무링(21)(28)(21)들의 접면 상태가 더욱 견실하게 되면서 신수축 작용에 저항력을 발휘하여 관(10a)(10b) 이음부에서의 수밀상태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관 결합구조는 하수관, 우수관, 오수관, 폐수관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관의 재질에 상관없이 적용이 가능한데, 몇가지만 예를 들면 PVC관, PE관, 스테인레스관, 주철관 등이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관(10a)의 연결단부(11)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고, 관(10b)의 외경에 맞는 관통공을 가지면서 연결단부(11)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너트는 관(10a)(10b)의 신수축 작용 시, 제2 단턱면(13)에 결합되는 고무링이 제2 단턱면(13)에 이탈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 결합구조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도면으로, 도 1은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관을 연결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관의 결합구조를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도면으로, 도 4는 관을 연결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관의 결합구조를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한 도면으로, 도 6은 관을 연결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관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구성할 수 있는 고무링의 절단면 형태를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10b : 관 11 : 연결단부
12 : 제1 단턱면 13 : 제2 단턱면
14 : 공간 21 : 제1 고무링
21a : 원형 단면 22 : 제2 고무링
22a : 경사면 22b : 평면
23 : 제3 고무링 24 : 제4 고무링
25 : 제5 고무링 26 : 제6 고무링
27 : 제7 고무링 28 : 제8 고무링

Claims (8)

  1. 관을 연결하는 관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한쪽 관(10a)의 일단부에 연결하는 관(10b)의 타단부를 삽입시켜 결합하도록 상기 한쪽 관(10a)의 일단부에 연결단부(11)가 형성되되,
    상기 연결단부(11)의 내주면에 상기 연결하는 관(10b)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제1 단턱면(12)이 안쪽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단턱면(12)의 바깥쪽에는 상기 제1 단턱면(12)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2 단턱면(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하는 관(10b)의 타단부 외주면의 선단에 하나 이상의 고무링이 결합되어 있되,
    상기 연결하는 관(10b)의 타단부를 상기 한쪽 관(10a)의 연결단부(11)의 제1 단턱면(12)에 밀어 넣으면, 상기 하나 이상의 고무링은 상기 연결하는 관(10b)의 외주면 위에서 밀려나면서 변형되어 상기 연결하는 관(10b)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단턱면(13) 사이에 형성된 공간(14)에 위치하여 상기 제2 단턱면(13) 및 상기 연결하는 관(10b)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압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고무링은, 상기 제2 단턱면(13)의 안쪽에 위치하는 제1 고무링(21) 및 상기 제2 단턱면(13)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는 제2 고무링(22)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고무링(21)은 원형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2 고무링(22)은 상기 제1 고무링(21)과 마주하는 쪽의 측면이 상기 제1 고무링(21)에 접면되도록 경사면(22a)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결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고무링은, 상기 제2 단턱면(13)의 안쪽에 위치하는 제1 고무링(21) 및 상기 제2 단턱면(13)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3 고무링(23)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고무링(21)은 원형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3 고무링(23)은 상기 제1 고무링(21)과 마주하는 쪽 측면이 상기 제1 고무링(21)에 접면되도록 경사면(23a)을 가지며, 내주면은 상기 경사면(23a)에서 이어지는 평면(23c)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하는 관(10b)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외주면은 평면(23b)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단턱면(13)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결합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고무링(23)의 외주면에는 돌기(23d)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23d)가 끼워지도록 상기 제2 단턱면(13)에 요홈(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결합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무링(21)의 앞쪽에 제4 고무링(24)이 위치하되,
    상기 제4 고무링(24)의 외주면은 상기 제1 고무링(21)과 마주하는 방향에 경사면(24a)을 가지고, 내주면은 평면(24b)으로 상기 연결하는 관(10b)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결합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고무링은 절단면의 형상이 사선방향으로 타원형을 가지는 제5 고무링(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결합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고무링(25)은 상기 연결하는 관(10b)의 결합하는 방향을 향하는 내주면 한쪽은 상기 연결하는 관(10b)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상기 내주면의 다른 쪽에 해당하는 부위에서의 외주면은 상기 제2 단턱면(13)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하는 관 결합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고무링은, 상기 연결하는 관(10b)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고무링의 단면은 돌출된 단면이 일체로 형성된 원형 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6 고무링(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조.
KR1020080107219A 2008-10-30 2008-10-30 관 결합구조 KR101090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219A KR101090733B1 (ko) 2008-10-30 2008-10-30 관 결합구조
PCT/KR2009/006314 WO2010050763A2 (ko) 2008-10-30 2009-10-30 관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219A KR101090733B1 (ko) 2008-10-30 2008-10-30 관 결합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104A Division KR101157190B1 (ko) 2011-10-10 2011-10-10 관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182A true KR20100048182A (ko) 2010-05-11
KR101090733B1 KR101090733B1 (ko) 2011-12-08

Family

ID=42129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219A KR101090733B1 (ko) 2008-10-30 2008-10-30 관 결합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90733B1 (ko)
WO (1) WO2010050763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693B1 (ko) * 2011-11-16 2014-02-28 (주)케이엔알시스템 씰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액추에이터
KR20160033466A (ko) * 2014-09-18 2016-03-28 주식회사 파이노 배관의 리듀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124Y1 (ko) * 1993-09-25 1996-06-21 대한주택공사 패스트 조인트 타입(Fast Joint Type) 주철관 접속장치
KR200169650Y1 (ko) * 1996-07-26 2000-03-02 이기석 파이프 연결구
JP4496004B2 (ja) * 2004-04-26 2010-07-07 東亜高級継手バルブ製造株式会社 管継手
KR100696402B1 (ko) * 2005-10-14 2007-03-19 한국주철관공업주식회사 내진형 관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693B1 (ko) * 2011-11-16 2014-02-28 (주)케이엔알시스템 씰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로터리 액추에이터
KR20160033466A (ko) * 2014-09-18 2016-03-28 주식회사 파이노 배관의 리듀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50763A3 (ko) 2010-06-24
KR101090733B1 (ko) 2011-12-08
WO2010050763A2 (ko) 201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2915Y1 (ko) 배관 연결부재
KR102359426B1 (ko) 관 연결 장치
KR101120145B1 (ko) 관 조인트
KR101090733B1 (ko) 관 결합구조
KR101157190B1 (ko) 관 결합구조
KR200438887Y1 (ko) 이중벽관 이음용 패킹
KR20100071161A (ko) 이중벽관용 일체형 소켓
KR200368080Y1 (ko) 이중벽관용 패킹
CN109084105A (zh) 钢筋混凝土推进管环槽型接头连接结构
KR101081549B1 (ko) Frp 파이프 연결관 조립체
KR20040111265A (ko) 관 연결구에 사용되는 고무링과, 어댑터를 구비한 관 및 이들을 구비한 관 연결구
KR100665208B1 (ko) 연결관
KR101047503B1 (ko) 분기관 소켓
KR200395243Y1 (ko) 편수관 및 연결구 조립체
GB2349188A (en) Connection for corrugated or ribbed pipes
KR20090111186A (ko) 확장돌기를 이용한 양방향 관연결구
KR101010656B1 (ko) 관 연결부가 보강된 지중매설 하수관용 관 연결구
KR101035553B1 (ko)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상수도관 이음장치
CN209100845U (zh) 一种钢筋混凝土推进管环槽型接头连接结构
KR200170280Y1 (ko) 관 이음 구조
KR200296562Y1 (ko) 가변 이음관
KR200347851Y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조
KR200375131Y1 (ko) 멀티형 연결소켓
KR200209207Y1 (ko) 파이프 연결관
KR200299140Y1 (ko) 스테인레스 강관용 주름마디 연결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