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650Y1 - 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650Y1
KR200169650Y1 KR2019960022344U KR19960022344U KR200169650Y1 KR 200169650 Y1 KR200169650 Y1 KR 200169650Y1 KR 2019960022344 U KR2019960022344 U KR 2019960022344U KR 19960022344 U KR19960022344 U KR 19960022344U KR 200169650 Y1 KR200169650 Y1 KR 2001696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portion
pipe
support
stop ring
pip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2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810U (ko
Inventor
이기석
Original Assignee
이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석 filed Critical 이기석
Priority to KR2019960022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650Y1/ko
Publication of KR9800088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8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6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6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the wedging action being effected by means of a 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지지체(15)의 수나사부(16)가 연결지지체(1)예 나사결합되면서 삽입되면 스톱링(11)에 의해 파이프(13)가 상기 고정지지체(15)의 내주면을 따라 전진되고, 상기 파이프(13)에 의해 패킹(10)의 외측면이 각각 상기 연결지지체(1)의 걸림턱(4)과 소경부(1-1), 경사턱(5), 중경부(1-2)에 밀착되는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체(1)의 중경부(1-2) 후방측에 대경부(1-3)가 연이어 형성되면서 상기 중경부(1-2)와 대경부(1-3) 사이에 상기 스톱링(11)의 전진을 제한하는 단턱(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구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결지지체의 내주면에 단턱이 형성되면서 다양한 치수의 파이프가 결합될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톱링(11)이 패킹(10)의 우측 외주면에 끼워지면서 연결지지체(1)의 나사부(3)에 나합되는 고정지지체(15)에 의해 좌측으로 밀리게 된다.
이때, 탄성체인 스톱링(11)은 연결지지체(1)의 나사부(3)에 고정지지체(15)의 나사부(16)가 완전히 내장 나합될 때까지 패킹(10)의 후단측을 밀게되고, 걸림환편(11-1)에 파이프(13)가 전방측으로 삽입된다.
그러나, 연결지지체(1)의 확관부(7)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중경부(1-2)에 패킹(10)과 스톱링(11)이 나란히 결합되는데, 이때 고정지지체(15)에 의해 스톱링이 전방측으로 과도하게 밀리는 경우 스톱링(11)이 패킹(10)의 후단면에 밀착되면서 패킹에 손상을 주게된다.
본 고안은 고정지지체에 의해 전진되는 스톱링이 확관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턱에 걸리면서 더 이상의 전진이 제한되고, 이로써 스톱링에 의한 패킹의 후단면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에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결지지체 1-1 : 소경부
1-2 : 중경부 1-3 : 대경부
2 : 관이음부 3 : 암나사부
4 : 걸림턱 5 : 경사턱
6 : 단턱 7 : 확관부
8 : 연결부 10 : 패킹
10-1 : 기밀판 10-2 : 경사면
11 : 스톱링 11-1 : 걸림환편
11-2 : 링환편 13 : 파이프
15 : 고정지지체 16 : 수나사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정지지체(15)의 수나사부(16)가 연결지지체(1)에 나사결합되면서 삽입되면 스톱링(11)에 의해 파이프(13)가 상기 고정지지체(15)의 내주면을 따라 전진되고, 상기 파이프(13)에 의해 패킹(10)의 외측면이 각각 상기 연결지지체(1)의 걸림턱(4)과 소경부(1-1), 경사턱(5), 중경부(1-2)에 밀착되는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체의 중경부 후방측에 대경부가 연이어 형성되면서 상기 중경부와 대경부 사이에 상기 스톱링의 전진을 제한하는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내는 요부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연결지지체(1)는 확관부(7)와 연결부(8), 관이음부로 구성되는데, 먼저 확관부는 외주면이 육각너트 형상으로 형셩되어 있고 내주면에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소경부(1-1), 중경부(1-2), 대경부(1-3)가 연이어 확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전방측단에 연결부(8)가 연이어 형성되는 확관부(7)의 내주면은 후방측의 대경부(1-3)에 암나사부(3)가 형성되어 있고, 대경부에서 중경부(1-2)로 이어지면시 직경이 감소되는 경계지점에 단턱(6)이 직각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중경부에서 소경부로 이어지면서 직경이 감소되는 경계지점에 경사턱(5)이 비스듬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확관부(7)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소경부(1-1)에서 확관부의 전방측에 연결되는 연결부(8)의 내주면으로 이어지면서 직경이 감소되는 경계지점에 걸림턱(4)이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연결지지체(1)의 확관부(7)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패킹(10)은 기밀판(10-1)이 파이프(13)의 전방측단면에 의해 걸림턱(4)에 밀착되면서 파이프(13) 내에 이동되는 유체의 누출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고, 그 중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경사면(10-2)이 경사턱(5)에 접촉되면서 후방측단면이 단턱(6)을 지나 후방측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나사부(3)와 단턱(6) 사이의 대경부(1-3)에 탄성에 의해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삽입되는 스톱링(11)은 링환편(11-2)이 패킹(10)의 후방측 외주면과 대경부 사이의 틈에 삽입되면서 단턱(6)에 걸리어 더 이상 전방측으로 진행되지 않게 되고, 걸림환편(11-1)에 파이프(13)가 내장 결합된다.
한편, 연결지지체(1)의 관이음부(2)는 파이프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종래보다 특히 길게 가공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연결지지체(1)의 확관부(7) 내주면에 패킹(10)을 삽입시키고, 패킹의 후방측단에 스톱링(11)의 링환편(11-2)이 외장되도록 삽입시킨 후, 나사부(3)에 고졍지지체(15)의 나사부(15)를 내장 나합시킨다.
그리고, 고정지지체(15)를 통해 삽입시킨 파이프(13)는 스톱링(11)의 걸림환편(11-1)에 의해 전방측으로만 이동 가능하고, 고정지지체를 조이면서 전방측으로 전진시키면 파이프의 전방측단이 패킹(10)의 기밀판(10-1)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기밀판의 외측면을 걸림턱(4)에 밀착시킨다.
이때, 고정지지체(15)가 연결지지제(1)에 완전히 나합되면 스톱링(11)의 링환편(7)은 전방측단이 단턱(6)에 걸리면서 더 이상 전방측으로 전진되지 않게 되고, 스톱링의 걸림환편(11-1)의 탄성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파이프(13)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고정지지체에 의해 전진되는 스톱링이 확관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단턱에 걸리면서 더 이상의 전진이 제한되고, 이로써 스톱링에 의한 패킹의 후단면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

  1. 고정지지체(15)의 수나사부(16)가 연결지지체(1)에 나사결합되면서 삽입되면 스톱링(11)에 의해 파이프(13)가 상기 고정지지체(15)의 내주면을 따라 전진되고, 상기 파이프(13)에 의해 패킹(10)의 외측면이 각각 상기 연결지지체(1)의 걸림턱(4)과 소경부(1-1), 경사턱(5), 중경부(1-2)에 밀착되는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체(1)의 중경부(1-2) 후방측에 대경부(1-3)가 연이어 형성되면서 상기 중경부(1-2)와 대경부(1-3) 사이에 상기 스톱링(11)의 전진을 제한하는 단턱(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KR2019960022344U 1996-07-26 1996-07-26 파이프 연결구 KR2001696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344U KR200169650Y1 (ko) 1996-07-26 1996-07-26 파이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344U KR200169650Y1 (ko) 1996-07-26 1996-07-26 파이프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810U KR980008810U (ko) 1998-04-30
KR200169650Y1 true KR200169650Y1 (ko) 2000-03-02

Family

ID=19462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2344U KR200169650Y1 (ko) 1996-07-26 1996-07-26 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65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954B1 (ko) * 2004-11-29 2006-03-29 (유)성원프라스틱 합성수지관의 편수관 연결구조
WO2010050763A2 (ko) * 2008-10-30 2010-05-06 Lee Sang-Kyeong 관 결합구조
KR101157190B1 (ko) * 2011-10-10 2012-06-20 이승훈 관 결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403Y1 (ko) * 2009-10-09 2011-07-04 주식회사 코뿔소 파이프용 연결장치의 패킹 설치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954B1 (ko) * 2004-11-29 2006-03-29 (유)성원프라스틱 합성수지관의 편수관 연결구조
WO2010050763A2 (ko) * 2008-10-30 2010-05-06 Lee Sang-Kyeong 관 결합구조
WO2010050763A3 (ko) * 2008-10-30 2010-06-24 Lee Sang-Kyeong 관 결합구조
KR101090733B1 (ko) * 2008-10-30 2011-12-08 이상경 관 결합구조
KR101157190B1 (ko) * 2011-10-10 2012-06-20 이승훈 관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810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7636B1 (ko) 관연결부 및 그 관빠짐 방지기구
KR200169650Y1 (ko) 파이프 연결구
SE8304492L (sv) Kompressionskoppling for ror
US4238132A (en) Connector
JPS5851504Y2 (ja) ホ−ス接続金具
KR100308564B1 (ko) 관 연결구
FR2253182A1 (en) Screwed coupling for flexible pipe - with self tightening ring insert has hexagonal nut screwing onto adaptor
KR100324470B1 (ko) 관 연결구
CS195274B2 (en) Dismountable adapter connection for the pipeline
KR200273246Y1 (ko)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JP2002357295A (ja) 管継手
KR0117149Y1 (ko) 원터치 삽입식 관연결구
KR930004991Y1 (ko) 합성수지관 연결 접속구
JPH0245592Y2 (ko)
KR940003801Y1 (ko) 동파이프 연결장치
KR960000436Y1 (ko) 관 연결구
KR100337042B1 (ko) 비금속관용 압착식 관연결구
KR200151400Y1 (ko) 유체이송용 호스의 플러그 및 소켓
JPH0342303Y2 (ko)
JP2001056076A (ja) コルゲート管の接続構造およびコルゲート管
GB1014979A (en) Terminal connector for plastic pipes
KR950007039Y1 (ko) 관 이음구
JPH0710156Y2 (ja) フレキシブル管の継手装置
KR200182423Y1 (ko) 비금속관용 압착링식 관연결구
JPS62637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