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423Y1 - 비금속관용 압착링식 관연결구 - Google Patents

비금속관용 압착링식 관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423Y1
KR200182423Y1 KR2019970030174U KR19970030174U KR200182423Y1 KR 200182423 Y1 KR200182423 Y1 KR 200182423Y1 KR 2019970030174 U KR2019970030174 U KR 2019970030174U KR 19970030174 U KR19970030174 U KR 19970030174U KR 200182423 Y1 KR200182423 Y1 KR 2001824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ing
pipe
brass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0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4007U (ko
Inventor
박신배
Original Assignee
박신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신배 filed Critical 박신배
Priority to KR2019970030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423Y1/ko
Publication of KR9800040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40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4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4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스 또는 배관용 PE관 등의 비금속관을 연결하는 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외주에 복수의 링형돌기가 형성되는 연결부를 몸체의 양쪽에 일자형으로 형성하여 연결관을 일직선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관열결구에 있어서, 상기 관연결구의 각 연결부 외주면에 형성된 링형돌기의 외경과 같거나 조금 큰 내경을 가지는 PE 연결관을 상기한 각 연결구 외주에 끝까지 끼워주고 이어서 상기 PE 연결관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을 가지는 황동 압착링을 각 연결구 외주에 형성된 복수의 링형돌기는 완전히 감싸는 상태로서 3개의 홈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상기 황동 압착링 외주면을 공지의 체결공구로 압착하여 상기 PE 연결관의 내주면이 3개의 홈에 밀착됨과 동시 복수의 링형돌기들이 PE 연결관의 내주면에 박히도록 하는 구조로 상기 황동 압착링이 PE 연결관 외주를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색인어]
관연결구

Description

비금속관용 압착링식 관연결구
본 고안은 호스 또는 배관용 PE관(Polyethylene pipe) 등의 비금속관을 연결하는 관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용으로 사용되는 관연결구는 그 본체의 일방향이나 양방향 또는 삼방향 등 사방에 형성된 연결나사관에 연결관을 수밀하고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수밀작용을 하는 오링(패킹)과 연결관을 압착하는 압착링 그리고 상기 연결나사관에 나사조립되는 조임너트 등의 배관부재를 반드시 필요로 하고 있다.
상기한 배관부재를 사용하는 종래 기술의 관연결구는 연결나사관에 오링이 설치된 상태에서 연결관을 삽입한 다음 상기 연결관 외곽에 미리 끼워주었던 압착 링과 조임너트를 연결나사관쪽으로 이동시킨 다음 조임너트를 연결나사관에 나사조임하는 수단으로 연결관을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관연결구는 연결나사관에 연결관을 삽입시킬 때 연결관이 오링과 접촉하면서 삽입되기 때문에 오링이 손상되거나 오링홈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나타나 수밀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연결나사관에 조임너트를 나사체결함에 있어 작업자에 따라 강하게 또는 약하게 나사체결하는 경향이 있어 이로 인하여 조임너트의 체결상태가 일정하지 않아 수압이 누설되거나 또는 연결관이 이완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배관부재 중 오링과 압착링은 부파가 매우 작아 취급도중 분실되는 사례가 많이 발생되어 배관작업이 지장이 초래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고안으로서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2173호에 공고번호 제95-7039호로 공고된 관 이음구는 오링이나 압착링 및 조임너트 등의 배관부재를 사용하지 않도록 고안된 것으로, 상기 선출원 고안의 관 이음구는 연결하고자 하는 연결관체의 연결단 외주에 요입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조임구를 끼워준 다음 상기 조임구가 끼워진 연결관체의 연결단을 관끼움부의 선단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조임구의 요입부와 몸체에 형성된 한쌍의 걸림링 사이의 요입부 각각에 집게처럼 생긴 공구의 양단을 끼워넣고 상기 공구의 양단이 조여들도록 공구를 압착하는 수단으로 몸체의 관끼움부는 연결관체의 연결단 내부로 강제 삽입되게 하는 한편 상기 연결관체의 연결단은 관끼움부 외주를 감싸면서 압입되는 작용이 동시에 일어나도록 하는 방식으로 연결관체의 연결단 내부로 삽입되는 관끼움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턱이 연결관체의 내주면에 박히도록 하고 또한 연결관체의 선단에 형성되는 절곡부가 관끼움부 외주로 강제 압입되는 과정에서 조임구의 선단과 일측 걸림링과의 사이에 끼인 상태가 되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출원 고안과 같이 집게처럼 생긴 공구를 이용하여 연결관체를 관이음구 몸체의 관끼움부 외주로 강제 압입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관체의 내주면이 관끼움부 외주로 강제 압입될 때 관끼움부의 외주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턱에 접촉하게 되어 연결관체의 내주면이 손상되는 현상이 반드시 발생되며, 이렇게 연결관체의 내주면이 걸림턱을 인하여 손상될 경우에는 그 손상된 부위를 통해 수압이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며, 또는 연결관체 내주면의 손상을 방지하고자 관끼움부에 형성된 걸림턱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연결관체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연결관체의 선단부에 조임구가 끼워져 있다 하더라도 연결관체 자체가 몸체의 관끼움부에 헐겁게 끼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선출원 고안은 집게처럼 생긴 공구를 이용하여 연결관체를 연결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기 때문에 상기한 공구의 일단을 끼워넣을 수 있는 구조 즉, 관 이음구 몸체의 중앙에는 반드시 요입부(공구의 일단을 끼울 수 있는 링홈)를 형성시키기 위한 한쌍의 걸림링으로 구성되어야 하므로 관 이음구 자체가 일자형으로 된 것에 한정될 수 밖에 없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의 선출원 고안은 관 이음구의 관끼움부가 “L”자형이나 “T”자형 및 “+”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에는 적용될 수 없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합성수지 재질로 된 PE 연결관을 관연결구의 몸체에 형성된 연결부에 끼워넣을 때 PE 연결관의 내주면이 손상되지 않고 관연결구의 연결부에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PE 연결관이 연결부에 완전히 끼워진 상태에서 PE 연결관 외주를 황동 압착링이 압착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상기 PE 연결관의 내주면이 연결부의 외주에 수밀하게 압착됨과 동시 상기 연결부 외주에 형성된 복수의 링형돌기가 PE 연결관의 내주면에 박히도록 하므로서 PE 연결관이 견고하게 연결되게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PE 연결관을 일직선상으로 연결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L”자형이나 “T”자형 또는 “+”자형 등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관연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외주에 복수의 링형돌기가 형성되는 연결부를 몸체의 양쪽에 일자형으로 형성하여 연결관을 일직선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관연결구의 각 연결부 외주면에 형성된 링형돌기의 외경과 같거나 조금 큰 내경을 가지는 PE 연결관을 상기한 각 연결구 외주에 끝까지 끼워주고 이어서 상기 PE 연결관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을 가지는 황동 압착링을 각 연결구 외주에 형성된 복수의 링형돌기은 완전히 감싸는 상태로서 3개의 홈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상기 황동 압착링 외주면을 공지의 체결공구로 압착하여 상기 PE 연결관의 내주면이 3개의 홈에 밀착됨과 동시 복수의 링형돌기들이 PE 연결관의 내주면에 박히도록 하는 구조로 상기 황동 압착링이 PE 연결관 외주를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비금속관 조립상태 단면도.
제2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조립순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연결부
3 : PE 연결관 4 : 황동 압착링
5 : 체결공구 23 : 링형돌기
24 : 홈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비금속관 조립상태 단면도이며, 제2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조립순서도이고, 제6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관연결구의 몸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몸체(1)의 일면 내지 사방면 각각에는 사용용도에 따라 연결부(2)가 “L”자형,“T”또는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2) 각각의 선단부에는 몸체(1)쪽을 향해 외경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경사돌기(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2)의 끝단에는 몸체(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링형단턱(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연결부(2)의 선단과 끝단에 형성된 경사돌기(21)와 링형단턱(22) 사이에는 복수의 링형돌기(23)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링형돌기(23)의 외경은 상기한 경사돌기(21)의 가장 큰 외경을 가지는 끝부분의 외경과 및 링형단턱(22)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한 경사돌기(21)와 링형단턱(22) 사이에는 3개의 홈(24)이 형성되는데, 이들 3개의 홈(24)들은 복수의 링형돌기(23)에 의하여 구획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각 연결부(2)에 연결되는 연결관은 합성수지재질로 제조된 PE 연결관(3)으로서, 상기 PE 연결관(3)의 내주면(31)은 상기한 연결부(2)의 외경 즉, 경사돌기(21)의 끝부분과 링형단턱(22) 및 복수의 링형돌기(23)들의 외경과 같거나 조금 큰 지름을 가지고 있다.
다음, 상기 PE 연결관(3)의 외주에 미리 끼워지는 황동 압착링(4)은 PE 연결관(3)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을 가지며, 또한 상기 황동 압착링(4)의 폭은 상기 연결부(2)의 외주에 형성된 복수의 링형돌기(23)의 간격보다는 크고 경사돌기(21)와 링형단턱(22)의 간격보다는 작은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복수의 링형돌기(23)를 완전히 감쌀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황동 압착링(4)은 한쌍의 반원형 압착부(51)(52)가 대칭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구(5)로 압착하였을시 외경이 축소되는 소성변형으로 PE 연결관(3)을 압착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PE 연결관(3)을 각 연결부(2)에 연결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연결과정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PE 연결관(3)의 배관상태에 따라 상기 몸체(1)에서 연결부(2)가 “L”자형, “T”자형 또는 “+”자형 등으로 형성된 것을 선택 사용하여 연결되는데, 먼저 제2도와 같이 PE 연결관(3)의 외주에 미리 황동 압착링(4)을 끼워준 다음 제3도와 같이 PE 연결관(3)의 연결단이 링형단턱(22)을 완전히 감싼 상태가 되도록 각 연결부(2)에 끝부분까지 끼워주는데, 이때 상기 PE 연결관(3)의 내주면(31)은 경사돌기(21)와 복수의 링형돌기(23) 및 링형단턱(22)의 외경과 같거나 조금 큰 내경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PE 연결관(3)을 각 연결부(2)에 끼워줄 때 내주면(31)이 손상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몸체(1)의 각 연결부(2)에 PE 연결관(3)을 삽입한 후에는 상기 PE 연결관 외주에 미리 끼워주었던 황동 압착링(4)을 몸체(1)쪽으로 이동시키는데, 이때의 황동 압착링(4) 이동위치는 제4도와 같이 복수의 링형돌기(23)를 전부 수용하면서 상기한 황동 압착링(4)의 양단이 경사돌기(21) 및 링형단턱(22)에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한 다음 제5도와 같이 반원형 압착부(51)(52)가 대칭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구(5)를 이용하여 황동 압착링(4)의 외주를 압착하게 되면 상기 황동 압착링(4)은 외경은 물론 내경도 축소되면서 PE 연결관(3)을 압착하게 되며, 이에 따라 PE 연결관(3)도 압착되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각 연결부(2)에 형성된 복수의 링형돌기(23)들은 압착되는 PE 연결관(3)의 내주면(31)에 박히게 되는 한편, PE 연결관(3)의 내주면(31)은 3개의 홈(24)에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체결공구(5)에 의해 압착된 황동 압착링(4)은 내·외경이 축소된 상태로 소성변형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게 되므로 상기 황동 압착링(4)에 의해 압착된 PE 연결관(3)은 내주면(31)이 3개의 홈(24)에 밀착되어 수밀작용을 하게 되는 한편, PE 연결관(3)의 내주면(31)에 박혀있는 복수의 링형돌기(23)에 의하여 연결상태가 견고해지고 또한 PE 연결관(3)의 내주면(31)에 박힌 복수의 링형돌기(23)가 수밀력을 높이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PE 연결관(3) 자체는 각 연결부(2)에서 이완되는 현상과 누설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관연결구에 형성되는 각 연결부의 경사돌기와 링형단턱 및 복수의 링형돌기 각각의 외경과 일치하거나 조금 큰 내경을 가지는 PE 연결관을 연결하는데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관연결구의 각 연결부가 “L”자형인 “T”자형 및 “+”자형으로 형성되었을 경우에도 PE 연결관을 삽입시킬 때 별도의 삽입도구 없이도 PE 연결관을 각 연결구에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삽입시 PE 연결관의 내주면이 손상되는 사례를 발생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PE 연결관을 각 연결구에 삽입한 다음에는 PE 연결관 외주에 미리 끼워주었던 황동 압착링을 각 연결부의 경사돌기와 링형단턱 사이에 위치하게 한 상태에서 체결공구로 압착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상기 PE 연결관의 내주면이 각 연결구에 형성된 3개의 홈에 밀착됨과 동시 복수의 링형돌기가 PE 연결관의 내주면에 박히도록 하므로서 이완현상은 배제되고 수밀력은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다주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외주에 복수의 링형돌기가 형성되는 연결부를 몸체의 양쪽에 일자형으로 형성하여 연결관을 일직선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관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관연결구의 각 연결부 외주면에 형성된 링형돌기의 외경과 같거나 조금 큰 내경을 가지는 PE 연결관을 상기한 각 연결구 외주에 끝까지 끼워주고 이어서 상기 PE 연결관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을 가지는 황동 압착링을 각 연결구 외주에 형성된 복수의 링형돌기는 완전히 감싸는 상태로서 3개의 홈 중앙에 위치하도록한 다음 상기 황동 압착링 외주면을 공지의 체결공구로 압착하여 상기 PE 연결관의 내주면이 3개의 홈에 밀착됨고 동시 복수의 링형돌기들이 PE 연결관의 내주면에 박히도록 하는 구조로 상기 황동 압착링이 PE 연결관 외주를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금속관용 압착링식 관연결구.
KR2019970030174U 1997-10-30 1997-10-30 비금속관용 압착링식 관연결구 KR2001824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174U KR200182423Y1 (ko) 1997-10-30 1997-10-30 비금속관용 압착링식 관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174U KR200182423Y1 (ko) 1997-10-30 1997-10-30 비금속관용 압착링식 관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007U KR980004007U (ko) 1998-03-30
KR200182423Y1 true KR200182423Y1 (ko) 2000-06-01

Family

ID=1951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0174U KR200182423Y1 (ko) 1997-10-30 1997-10-30 비금속관용 압착링식 관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42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007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7657A (en) Screw coupling
US2788992A (en) Sealing attachment for electric cables or the like
KR20010033868A (ko) 수지제관 조인트
KR100366129B1 (ko) 관 커플러
US4238132A (en) Connector
KR200182423Y1 (ko) 비금속관용 압착링식 관연결구
KR100308564B1 (ko) 관 연결구
KR200269757Y1 (ko) 원터치식 관 연결장치
KR100337042B1 (ko) 비금속관용 압착식 관연결구
JP5515495B2 (ja) 継手
KR20010054724A (ko) 보일러용 온수 분배기 및 회수기의 관연결구 또는 볼밸브연결구조
KR100324470B1 (ko) 관 연결구
KR101700063B1 (ko) 호스 연결구
KR20160095571A (ko) 파이프 연결구의 구조
KR100313235B1 (ko) 배관용 주름관 연결장치
KR0117149Y1 (ko) 원터치 삽입식 관연결구
KR200187003Y1 (ko) 관(管) 연결장치
KR200387796Y1 (ko) 합성수지관 이음쇠
KR200142598Y1 (ko) 관연결구용 원통형 보조패킹
JP4571257B2 (ja) 鋼製水道用管とメカニカル継手の接続構造
JP2939613B2 (ja) 管継手
KR200165065Y1 (ko) 관연결구
JP2000088158A (ja) 管体接続構造
JP4500423B2 (ja) 継手
KR200179786Y1 (ko) 호스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