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914B1 - 관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관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914B1
KR102264914B1 KR1020190067007A KR20190067007A KR102264914B1 KR 102264914 B1 KR102264914 B1 KR 102264914B1 KR 1020190067007 A KR1020190067007 A KR 1020190067007A KR 20190067007 A KR20190067007 A KR 20190067007A KR 102264914 B1 KR102264914 B1 KR 102264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joint
ring
pipe
circumferent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0144A (ko
Inventor
방만혁
Original Assignee
방만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만혁 filed Critical 방만혁
Priority to KR1020190067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914B1/ko
Publication of KR20200140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17Joints with sleeve or socke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방법은 간단한 구성으로 효과적인 수밀 연결이 가능하고 관 연결 부분의 유로 단면적 감소가 없으며, 특히 복합관의 연결에 적합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관 연결 방법{Methods for coupling pipes}
본 발명은 관 연결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간단한 구성으로 효과적인 수밀 연결이 가능하고 관 연결 부분의 유로 단면적 감소가 없으며, 특히 복합관의 연결에 적합한 관 연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스틸관과 같은 고내식성 금속관은 많은 장점을 갖고 있지만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고가(高價)의 소재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높아지고 벤딩 등의 성형에 한계가 있어서 시공상의 어려움이 많고 직관으로만 제조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직관으로 제조된 금속관은 운반 등을 위해 소정 길이로 절단되는데, 현장 시공시 금속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작업에 많은 부품과 노동력 및 작업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속관은 지반에 매설된 경우에 토양에 의한 부식, 전기적 부식 등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수지관은 내식성이 우수하고 가볍고 시공성이 좋으며 가격이 저렴하지만 온도 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에 의해서 연결부위가 분리되어 누수가 발생되기도 하고 압력에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금속수지 복합관을 개발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1166886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도 1a ~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수지 복합관(1)은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관(2)의 외부면에 접착층(4)과 수지층(3)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관이다.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관(2)은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내식성이 우수하다. 수지층(3)은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관(2)의 두께 보다 훨씬 두꺼운 두께로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관(2)을 감싸는데, 내식성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한 수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복합관(1)은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에 대한 내부식성이 우수하고 토양에 대한 내부식성도 우수하며 가격도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복합관(1)은 직관으로 제조된 후 환형으로 권취될 수 있고, 환형으로 권취된 복합관(1)은 직관으로 환원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단면 손상이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공장에서 긴 길이로 제조한 후 환형으로 귄취하여 공사 현장까지 운반하고, 환형 권취된 복합관(1)을 공사 현장에서 직관으로 환원하여 시공한다. 이와 같이, 복합관(1)은 기존의 다른 관들과 비교하여 많은 장점을 갖는다.
한편, 기존의 다른 복합관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59414호, 제16400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된 연결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내구성이 떨어지며, 관 연결 부분에서 유로 단면적이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효과적인 수밀 연결이 가능하고 관 연결 부분의 유로 단면적 감소가 없으며, 복합관의 연결에 특히 적합한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방법은, (a) 양쪽 관의 단부를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에 각각 삽입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 이후에, 조인트(130)를 압착하여 관의 단부와 조인트(130) 및 슬리브(110)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인트(130)의 끝단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오링(132)과 금속링(131)이 설치되고, 상기 (b) 단계의 압착에 의해서 오링(132)과 금속링(131)이 관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상기 (a) 단계 이전에, 양쪽 관의 단부를 각각 확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확관된 관의 단부를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에 각각 삽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인트(130)는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 각각 설치되되, 조인트(130)의 선단에는 상기 오링(132)과 금속링(131)이 설치되고, 조인트(130)의 후단은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조인트(130)의 후단이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a) 단계에서 관의 삽입 길이가 제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조인트(130)가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슬리브(110)가 조인트(130)의 내부에 삽입되고 조인트(130)의 중앙 부분에는 요홈(137)이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요홈(137)은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요홈(137)이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a) 단계에서 관의 삽입 길이가 제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조인트(130)가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슬리브(110)가 조인트(130)의 내부에 삽입되고 슬리브(110)의 중앙 부분에 돌출부(117)가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17)는 조인트(130)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돌출부(117)가 조인트(13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a) 단계에서 관의 삽입 길이가 제한된다.
금속링(131)의 내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치부(齒部, 131a)가 형성되고, 치부(131a)는 관의 외주면 예를 들어, 수지층(3)에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조인트(130)의 선단은 제1 안착부(133)와 제2 안착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착부(133)는 금속링(131)이 안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제2 안착부(134)는 오링(132)이 안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되 제1 안착부(133)와 인접하게 형성된다. 상기 압착에 의해 제1,2 안착부(133)(134)가 슬리브(110)쪽으로 이동하여 금속링(131)이 관 외주면에 압입될 수 있다.
제1,2 안착부(133)(134) 사이에는 턱(135)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제1 안착부(133)가 제2 안착부(134) 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되, 상기 압착에 의해 제1,2 안착부(133)(134)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고 턱(135)이 없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110)의 중앙 부분이 주름관(119)으로 이루어져서 슬리브(110)의 벤딩이 자유롭다. 이 경우, 조인트(130)는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 각각 설치되되, 조인트(130)의 후단이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된 부분은 양쪽 관이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로 삽입될 때 스토퍼 역할을 한다.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는 두 개의 제1 돌기 라인(112)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두 개의 제1 돌기 라인(112)의 사이에는 제1 홈 라인(111)이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제1 홈 라인(111)에는 수밀을 위한 오링(113)이 설치된다.
상기 오링(113)은 금속링(131) 보다 슬리브(110)의 단부쪽에 위치하거나 슬리브(110)의 중앙쪽에 위치하거나 금속링(131)과 대응되는 곳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홈라인(111) 보다 슬리브(110)의 중앙쪽에는 원주 방향으로 제2 홈라인(114)이 형성되고, 제2 홈라인(114)의 양측에는 제2 돌기라인(115)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홈라인(114)에는 오링(116)이 설치될 수 있다. 금속링(131)이 제1,2 홈라인(111)(114) 사이를 압착하도록 조인트(130)와 슬리브(110)의 상대적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상기 관은 복합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관은,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 금속관(2);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 금속관(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접착층(4); 및, 접착층(4)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지층(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및 금속링(131)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방법은 간단한 구성으로 효과적인 수밀 연결이 가능하고 관 연결 부분의 유로 단면적 감소가 없으며, 복합관의 연결에 특히 적합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a는 본 출원인이 개발한 복합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복합관 단면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 및, 단부가 확관된 관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c는 도 2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a는 도 2a의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a는 도 2a의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a는 도 2a의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a는 도 2a의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a는 도 7a의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b는 도 8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a는 도 7a의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b는 도 9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a는 도 7a의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b는 도 10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a는 도 7a의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b는 도 11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b는 도 12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a는 도 12a의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b는 도 13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4a는 도 12a의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4b는 도 14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5a는 도 12a의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5b는 도 15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a는 도 12a의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b는 도 16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7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7b는 도 17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8a는 도 17a의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8b는 도 18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9a는 도 17a의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9b는 도 19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0a는 도 17a의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0b는 도 20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1a는 도 17a의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1b는 도 21a의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2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2b는 도 22a의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3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3b는 도 23a의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4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4b는 도 24a의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5a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5b는 도 25a의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한민국 특허 제1166886호의 복합관을 연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지만, 다른 관에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복합관에만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다만,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합관에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할 것이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 제1166886호의 등록공보에 기재된 내용은 본 명세서에 모두 포함된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합관(1)은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관(2)의 외부면에 접착층(4)과 수지층(3)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관으로서, 확관에 의해서 직경이 늘어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본 출원인은 복합관(1)의 이러한 특성을 발견하고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고안하게 되었다.
한편, 아래의 각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제1 실시예]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 및, 단부가 확관된 관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b는 상기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c는 상기 관 연결 장치가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 연결장치(100)는 슬리브(110)와 조인트(130)를 포함한다.
슬리브(110)는 관 형상을 갖는다.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는 연결하고자 하는 확관된 복합관(1)의 내부에 각각 삽입된다. 슬리브(110)는 확관된 복합관(1)의 내부에 삽입되되, 조인트(130)가 압착되었을 때 복합관(1)과 견고하게 밀착되는 정도의 외경을 갖는다.
슬리브(110)는 금속,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슬리브(110)는 압착시,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및 확관된 복합관(1)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서 변형될 수 있다.
슬리브(110)는 그 중앙 부분이 주름관(119)으로 이루어지므로 벤딩이 자유롭고 이에 따라, 양쪽 복합관(1)이 어긋나도록 위치한 경우 또는 소정 각도를 이루는 경우 등에도 양쪽 복합관(1)을 연결할 수 있다.
조인트(130)는 슬리브(110)의 외측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조인트(130)는 관 형상의 부재로서, 슬리브(110)가 조인트(130)의 내부에 삽입되고 조인트(130)의 후단이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조인트(130)와 슬리브(110) 사이에 확관된 복합관(1)이 삽입된다. 이 때, 조인트(130)의 후단이 슬리브(11)의 외주면에 결합된 구성은 복합관(1)이 조인트(130)와 슬리브(110) 사이로 삽입될 때 복합관(1)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조인트(130)의 후단은 용접 등으로 슬리브(1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조인트(130)는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진다.
조인트(130)의 끝단(선단)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오링(132)과 금속링(131)이 설치된다. 오링(132)은 조인트(130)와 복합관(1) 사이를 수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금속링(131)은 조인트(130)를 복합관(1)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조인트(130)의 선단에는 제1,2 안착부(133)(134)가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1 안착부(133)에는 금속링(131)이 설치되며 제2 안착부(134)에는 오링(132)이 설치된다.
금속링(131)의 내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치부(齒部, 131a)가 형성되고, 압착시 치부(131a)는 복합관(1)의 외주면(수지층)에 압입되어 고정된다. 이에 따라, 복합관(1) 내부에 고압이 작용하거나 복합관(1)에 인발력이 작용할 경우에도 복합관(1)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치부(131a)는 수직면과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면은 슬리브(110)의 중앙쪽을 향하고 상기 경사면은 슬리브(110)의 끝단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부(131a)가 복합관(1)의 외주면(수지층)에 효과적으로 압입되도록 하기 위해, 제1,2 안착부(133)(134) 사이에는 턱(135)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제1 안착부(133)가 제2 안착부(134) 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되, 상기 압착에 의해 제1,2 안착부(133)(134)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고 턱(135)이 없어지며 이에 따라 치부(131a)가 보다 더 깊이 상기 외주면(수지층)에 압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착이 완료되면 치부(131a)의 선단은 관(1)의 외주면의 수지층에 압입되어 고정되고 오링(132)은 관(1)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금속링(131)의 측면과 오링(132)의 측면은 서로 접하게 된다.
그러면, 관 연결 장치(100)를 이용하여 양쪽 복합관(1)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복합관(1)의 단부를 확관하되,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갖도록 확관한다. 상기 확관은 통상적인 확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합관(1)은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관(2)의 외부면에 접착층(4)과 수지층(3)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관으로서, 확관에 의해서 직경이 늘어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본 출원인은 복합관(1)의 이러한 특성을 발견하고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고안하게 되었다.
이어서, 확관된 복합관(1)의 단부를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에 삽입하고, 조인트(130)의 선단을 압착한다.
상기 압착으로 인해 치부(131a)가 복합관(1)의 외부면(수지층)에 압입되어 고정되고, 이에 따라 복합관(1)과 슬리브(110)에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분리되지 않는다. 아울러, 복합관(1)의 단부가 확관되고 이 확관된 단부에 슬리브(110)가 삽입되므로 관 연결 부분에서 복합관(1)의 유로 단면적이 감소하지 않는다.
한편, 도 3a는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b는 상기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관 연결 장치(100a)는, 상술한 관 연결 장치(100)와 비교하여,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 두 개의 제1 돌기 라인(112)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제1 홈 라인(111)이 두 개의 제1 돌기 라인(112) 사이에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오링(113)이 수밀을 위해 제1 홈 라인(111)에 설치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오링(113)은 금속링(131) 보다 약간 슬리브(110)의 중앙쪽에 위치한다.
오링(113)과 금속링(131)의 상대적인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 ~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속링(131)과 오링(113)이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되거나(즉, 금속링(131)이 오링(113)을 압착하는 위치에 설치되거나), 도 5a ~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링(113)이 금속링(131) 보다 슬리브(110)의 단부쪽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6a는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b는 상기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관 연결 장치(100d)는, 상술한 관 연결 장치(100a)와 비교하여, 제2 홈라인(114)이 제1 홈라인(111) 보다 슬리브(110)의 중앙쪽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홈라인(114)의 양측에는 제2 돌기라인(115)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홈라인(114)에는 오링(116)이 설치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이 경우, 금속링(131)이 제1,2 홈라인(111)(114) 사이를 압착하도록 조인트(130)와 슬리브(110)의 상대적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7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b는 상기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관 연결 장치(200)는, 상술한 관 연결 장치(100)와 비교하여, 슬리브(110)의 중앙 부분에 주름관(119)이 없다는 차이가 있다.
슬리브(110)는 관 형상을 갖는데, 그 양쪽 단부가 연결하고자 하는 확관된 복합관(1)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고, 이 삽입된 상태에서 조인트(130)의 선단이 압착됨으로써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및 복합관(1)이 견고하게 연결된다.
한편, 도 8a는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8b는 상기 관 연결 장치(200a)가 확관된 양쪽 관(1)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관 연결 장치(200a)는, 상술한 관 연결 장치(200)와 비교하여,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 두 개의 제1 돌기라인(112)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되고 두 개의 제1 돌기라인(112) 사이에 제1 홈 라인(111)이 형성되며 제1 홈 라인(111)에 오링(113)이 설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오링(113)은 금속링(131) 보다 약간 슬리브(110)의 중앙쪽에 위치한다.
오링(113)과 금속링(131)의 상대적인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 ~ 9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속링(131)과 오링(113)이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되거나(즉, 금속링(131)이 오링(113)을 압착하는 위치에 설치되거나), 도 10a ~ 10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링(113)이 금속링(131) 보다 슬리브(110)의 단부쪽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11a는 관 연결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1b는 상기 관 연결 장치(200d)가 확관된 양쪽 관(1)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관 연결 장치(200d)는, 상술한 관 연결 장치(200a)와 비교하여, 제2 홈라인(114)이 제1 홈라인(111) 보다 슬리브(110)의 중앙쪽에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제2 홈라인(114)의 양측에는 제2 돌기라인(115)이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제2 홈라인(114)에는 오링(116)이 설치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이 경우, 금속링(131)이 제1,2 홈라인(111)(114) 사이를 압착하도록 조인트(130)와 슬리브(110)의 상대적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2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2b는 상기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관 연결장치(300)는 슬리브(110)와 조인트(130)를 포함한다.
슬리브(110)는 관 형상을 갖는데, 그 양쪽 단부가 연결하고자 하는 확관된 복합관(1)의 내부에 각각 삽입된다. 슬리브(110)는 확관된 복합관(1)의 내부에 삽입되되, 조인트(130)가 압착되었을 때 복합관(1)과 견고하게 밀착되는 정도의 외경을 갖는다.
슬리브(110)는 금속,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슬리브(110)는 조인트(130)가 압착될 때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및 확관된 복합관(1)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서 변형될 수 있다.
슬리브(110)의 중앙 부분에는 돌출부(117)가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117)는 조인트(130)의 내주면에 전기저항용접 등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조인트(130)와 슬리브(110) 사이에 확관된 복합관(1)이 삽입되는데, 돌출부(117)는 복합관(1)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조인트(130)는 슬리브(110)의 외측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조인트(130)는 관 형상의 부재로서, 슬리브(110)가 조인트(130)의 내부에 삽입되고 조인트(130) 중앙 부분의 내부면이 돌출부(117)와 결합된다. 제1,2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조인트(130)가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 각각 결합되었지만 관 연결장치(300)는 하나의 조인트(130)가 슬리브(110)와 결합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도 13a는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3b는 상기 관 연결 장치(300a)가 확관된 양쪽 관(1)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관 연결 장치(300a)는, 상술한 관 연결 장치(300)와 비교하여,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 두 개의 제1 돌기라인(112)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되고 두 개의 제1 돌기라인(112) 사이에 제1 홈 라인(111)이 형성되며 제1 홈 라인(111)에 오링(113)이 설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오링(113)은 금속링(131) 보다 약간 슬리브(110)의 중앙쪽에 위치한다.
오링(113)과 금속링(131)의 상대적인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a ~ 1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속링(131)과 오링(113)이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되거나(즉, 금속링(131)이 오링(113)을 압착하는 위치에 설치되거나), 도 15a ~ 1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링(113)이 금속링(131) 보다 슬리브(110)의 단부쪽에 위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6a ~ 16b는 제2 홈라인(114)이 제1 홈라인(111) 보다 슬리브(110)의 중앙쪽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홈라인(114)의 양측에는 제2 돌기라인(115)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홈라인(114)에는 오링(116)이 설치된 구조를 보여준다. 이 경우, 금속링(131)이 제1,2 홈라인(111)(114) 사이를 압착하도록 조인트(130)와 슬리브(110)의 상대적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7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관 연결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7b는 상기 관 연결 장치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관 연결장치(400)는, 상술한 관 연결장치(300)와 비교하여, 슬리브(110)에 돌출부(117)가 없고 조인트(130)의 중앙 부분에 요홈(137)이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요홈(137)이 슬리브(110)의 외부면에 결합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복합관(1)이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로 삽입되는데, 요홈(137)이 슬리브(110)의 외부면에 결합되는 구성은 복합관(1)의 삽입 길이를 제한한다. 그리고, 요홈(137)과 슬리브(110) 외부면의 결합은 전기저항용접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8a는 관 연결 장치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8b는 상기 관 연결 장치(400a)가 확관된 양쪽 관을 연결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관 연결 장치(400a)는, 상술한 관 연결 장치(400)와 비교하여,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 두 개의 제1 돌기라인(112)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되고 두 개의 제1 돌기라인(112) 사이에 제1 홈 라인(111)이 형성되며 제1 홈 라인(111)에 오링(113)이 설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오링(113)은 금속링(131) 보다 약간 슬리브(110)의 중앙쪽에 위치한다.
오링(113)과 금속링(131)의 상대적인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a ~ 19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속링(131)과 오링(113)이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되거나(즉, 금속링(131)이 오링(113)을 압착하는 위치에 설치되거나), 도 20a ~ 20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링(113)이 금속링(131) 보다 슬리브(110)의 단부쪽에 위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1a ~ 21b는 제2 홈라인(114)이 제1 홈라인(111) 보다 슬리브(110)의 중앙쪽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홈라인(114)의 양측에는 제2 돌기라인(115)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홈라인(114)에는 오링(116)이 설치된 구조를 보여준다. 이 경우, 금속링(131)이 제1,2 홈라인(111)(114) 사이를 압착하도록 조인트(130)와 슬리브(110)의 상대적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제5~8 실시예]
도 22a ~ 25b는 확관되지 아니한 복합관을 연결하는 관 연결장치를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도 22a ~ 22b의 관 연결장치(500)는, 관 연결 장치(200)와 비교하여, 복합관(1)의 단부가 확관되지 아니한 상태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리고, 도 23a ~ 23b의 관 연결장치(600)는, 관 연결 장치(300)와 비교하여, 복합관(1)의 단부가 확관되지 아니한 상태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아울러, 도 24a ~ 24b의 관 연결장치(700)는, 관 연결 장치(400)와 비교하여, 복합관(1)의 단부가 확관되지 아니한 상태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나아가, 도 25a ~ 25b의 관 연결장치(800)는, 관 연결 장치(100)와 비교하여, 복합관(1)의 단부가 확관되지 아니한 상태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1 : 복합관 2 :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관
3 : 수지층 4 : 접착층
110 : 슬리브 111 : 제1 홈라인
112 : 제1 돌기라인 113 : 오링
114 : 제2 홈라인 115 : 제2 돌기라인
116 : 오링 117 : 돌출부
119 : 주름관 130 : 조인트
131 : 금속관 131a : 치부(齒部)
132 : 오링 133 : 제1 안착부
134 : 제2 안착부 135 : 턱
137 : 요홈
100, 100a, 100b, 100c, 100d, 200, 200a, 200b, 200c, 200d, 300, 300a, 300b, 300c, 300d, 400, 400a, 400b, 400c, 400d, 500, 600, 700, 800 : 관 연결장치

Claims (13)

  1. 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양쪽 관을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양쪽 관의 단부를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에 각각 삽입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 이후에, 조인트(130)를 압착하여 관의 단부와 조인트(130) 및 슬리브(110)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조인트(130)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오링(132)과 금속링(131)이 설치되고,
    금속링(131)의 내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치부(齒部, 131a)가 형성되고,
    조인트(130)의 선단은 제1 안착부(133)와 제2 안착부(134)를 포함하며,
    제1 안착부(133)는 금속링(131)이 안착되도록 조인트(130)의 선단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 안착부(134)는 오링(132)이 안착되도록 조인트(130)의 선단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제1 안착부(133)와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b) 단계의 압착에 의해서 제1,2 안착부(133)(134)가 슬리브(110)쪽으로 이동하여 금속링(131)의 치부(131a)는 관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고정되고 오링(132)은 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제1,2 안착부(133)(134) 사이에는 턱(135)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제1 안착부(133)가 제2 안착부(134) 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되, 상기 압착에 의해 제1,2 안착부(133)(134)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고 턱(135)이 없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양쪽 관의 단부를 각각 확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확관된 관의 단부를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에 각각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이 완료되면 금속링(131)의 측면과 오링(132)의 측면이 서로 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인트(130)는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 각각 설치되되, 조인트(130)의 선단에는 상기 오링(132)과 금속링(131)이 설치되고, 조인트(130)의 후단은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조인트(130)의 후단이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a) 단계에서 관의 삽입 길이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조인트(130)가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슬리브(110)가 조인트(130)의 내부에 삽입되고, 조인트(130)의 중앙 부분에는 요홈(137)이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요홈(137)이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요홈(137)이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a) 단계에서 관의 삽입 길이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조인트(130)가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설치되되 슬리브(110)가 조인트(130)의 내부에 삽입되고, 슬리브(110)의 중앙 부분에 돌출부(117)가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돌출부(117)가 조인트(130)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돌출부(117)가 조인트(130)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a) 단계에서 관의 삽입 길이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는 두 개의 제1 돌기 라인(112)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두 개의 제1 돌기 라인(112)의 사이에는 제1 홈 라인(111)이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제1 홈 라인(111)에는 수밀을 위한 오링(113)이 설치되고,
    오링(113)은 금속링(131) 보다 슬리브(110)의 중앙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는 두 개의 제1 돌기 라인(112)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두 개의 제1 돌기 라인(112)의 사이에는 제1 홈 라인(111)이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제1 홈 라인(111)에는 수밀을 위한 오링(113)이 설치되고,
    오링(113)은 금속링(131)과 대응되는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리브(110)의 중앙 부분이 주름관(119)으로 이루어져서 슬리브(110)의 벤딩이 자유롭고,
    조인트(130)는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 각각 설치되되, 조인트(130)의 후단이 슬리브(1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된 부분은 양쪽 관이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사이로 삽입될 때 스토퍼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리브(110)의 양쪽 단부에는 두 개의 제1 돌기 라인(112)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두 개의 제1 돌기 라인(112)의 사이에는 제1 홈 라인(111)이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제1 홈 라인(111)에는 수밀을 위한 오링(113)이 설치되고,
    오링(113)은 금속링(131) 보다 슬리브(110)의 단부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홈라인(111) 보다 슬리브(110)의 중앙쪽에는 원주 방향으로 제2 홈라인(114)이 형성되고, 제2 홈라인(114)의 양측에는 제2 돌기라인(115)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 홈라인(114)에는 오링(116)이 설치되고,
    금속링(131)이 제1,2 홈라인(111)(114) 사이를 압착하도록 조인트(130)와 슬리브(110)의 상대적 위치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은 복합관이고,
    상기 복합관은,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 금속관(2);
    박판 스테인리스 스틸 금속관(2)의 외주면에 형성된 접착층(4); 및,
    접착층(4)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지층(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슬리브(110)와 조인트(130) 및 금속링(131)이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방법.
KR1020190067007A 2019-06-05 2019-06-05 관 연결 방법 KR102264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007A KR102264914B1 (ko) 2019-06-05 2019-06-05 관 연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007A KR102264914B1 (ko) 2019-06-05 2019-06-05 관 연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144A KR20200140144A (ko) 2020-12-15
KR102264914B1 true KR102264914B1 (ko) 2021-06-11

Family

ID=73780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007A KR102264914B1 (ko) 2019-06-05 2019-06-05 관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9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0153B2 (ja) * 1991-12-04 2001-06-25 株式会社平和 パチンコ機制御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852B1 (ko) * 1999-02-13 2003-08-19 김칠현 압착식 관이음쇠의 체결구조
JP3180153U (ja) * 2012-09-24 2012-12-06 株式会社リガルジョイント 管継ぎ手
KR101404660B1 (ko) * 2012-10-09 2014-06-11 정명호 관 탈거방지 및 향상된 실링구조를 가지는 관 이음장치
KR20170128761A (ko) * 2017-06-08 2017-11-23 주식회사 영진플렉스 개선된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0153B2 (ja) * 1991-12-04 2001-06-25 株式会社平和 パチンコ機制御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144A (ko)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23246B (zh) 用於機械及結構配管之機械聯結器
US7063358B2 (en) Flexible connecto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US8925978B2 (en) Coupling and joint for fixedly and sealingly securing components to one another
CA2157020C (en) Kit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nector for fluid-conducting elements
JP5427954B2 (ja) らせん状自在管連結具
HU209196B (en) Joint of tubes and pipe unions and method for forming the joint
KR102359426B1 (ko) 관 연결 장치
GB2206660A (en) Pipe joint
US8888140B2 (en) Hose fitting
US20100133804A1 (en) Method of replacing pipe couplings
US7942456B2 (en) Fluid conduits with integral end fittings and associate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KR102264914B1 (ko) 관 연결 방법
US6808210B1 (en) Drill pipe with upset ends having constant wall thickness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2372761B1 (ko)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관 연결부품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방법
US109759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rengthening welded-lap joints for steel pipeline
CN101178139A (zh) 管道连接装置
US10767795B2 (en) Fit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fitting for attaching flexible tube to rigid tube
JP2009025002A (ja) 熱交換器
KR102213785B1 (ko) 배관 커넥터
RU2387911C1 (ru)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стальной трубы с полиэтиленовой
JP4829682B2 (ja) 組み立て式マニフォールド
KR20100093007A (ko) 경관 구조물용 원형관의 이음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90090457A (ko) 배관 커넥터
JPH03230830A (ja) 管接続方法
JP2005076880A (ja) パイプインパイプ工法における新管素子接ぎ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