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0457A - 배관 커넥터 - Google Patents

배관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0457A
KR20190090457A KR1020180009151A KR20180009151A KR20190090457A KR 20190090457 A KR20190090457 A KR 20190090457A KR 1020180009151 A KR1020180009151 A KR 1020180009151A KR 20180009151 A KR20180009151 A KR 20180009151A KR 20190090457 A KR20190090457 A KR 20190090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or
fastening
boundary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태일
Original Assignee
서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태일 filed Critical 서태일
Priority to KR1020180009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0457A/ko
Publication of KR20190090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4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커넥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에어컨 배관의 연결을 위한 배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배관 커넥터는 내부에 유동 경로가 형성되고, 휘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연결 부분(11); 연결 부분(11)의 끝 부분에 유체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삽입 방식으로 다른 배관에 연결되는 삽입 체결 부분(12a, 12b); 및 연결 부분(11)과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의 경계를 형성하면서 연장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변하는 경계 부분(13a, 13b)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 커넥터{A Connector for a Pipe}
본 발명은 배관 커넥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에어컨 배관의 연결을 위한 배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에어컨 또는 이와 유사한 공조 설비가 설치되면 작동 상태가 확인되어야 하고, 작동 상태의 확인으로 배관의 유동 상태가 확인될 수 있다. 배관의 유동 상태의 확인을 위하여 건물 내부에 배치된 배관의 압력이 측정될 수 있고, 압력 측정 과정에서 임시적으로 연결된 관의 연결 부위가 분리되어 하나의 절단 부위에 압력계가 연결되고, 다른 절단 부위로 예를 들어 질소와 같은 탐지 기체가 주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관을 임시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하여 임시적으로 배관이 절단되어야 하고, 이후 작동 상태의 확인이 완료되면 다시 분리 부분이 연결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절단 및 연결 공정은 배관을 손상시키면서 작업 공정을 어렵게 만든다는 단점을 가진다.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63807호는 에어컨 실내기 및 실외기의 배관 누설 검사 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특허등록번호 제10-1550738호는 에어컨을 가동시키기 위한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냉매 배관용 재료로 사용되는 연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강 및 이러한 스테인리스 강을 이용하여 제조된 냉매 배관용 스테인리스 파이프에 대하여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검사를 위하여 또는 다른 목적을 두 개의 관을 임시적으로 분리 또는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63807호(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2012년11월26일 공고) 에어컨 실내기 및 실외기의 배관 누설 검사 장치 선행기술 2: 특허등록번호 제10-1550738호(성기천, 2015년09월08일 공고) 연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 및 이를 이용한 냉매 배관용 스테인리스 파이프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의 손상이 없이 서로 다른 배관을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배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배관 커넥터는 내부에 유동 경로가 형성되고, 휘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연결 부분; 연결 부분의 끝 부분에 유체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삽입 방식으로 다른 배관에 연결되는 삽입 체결 부분; 및 연결 부분과 삽입 체결 부분의 경계를 형성하면서 연장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변하는 경계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경계 부분과 연결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균일 연장 부분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삽입 체결 부분은 연장 방향을 따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실린더 형상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커넥터는 에어컨 또는 이와 유사한 공조 설비의 배관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배관 커넥터는 에어컨의 배관 검사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커넥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커넥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커넥터의 제조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커넥터가 적용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커넥터(1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배관 커넥터(10)는 내부에 유동 경로가 형성되고, 휘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연결 부분(11); 연결 부분(11)의 끝 부분에 유체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삽입 방식으로 다른 배관에 연결되는 삽입 체결 부분(12a, 12b); 및 연결 부분(11)과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의 경계를 형성하면서 연장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변하는 경계 부분(13a, 13b)을 포함한다.
배관 커넥터(10)는 서로 다른 배관을 유동 가능하도록 연결시킬 수 있고, 서로 다른 배관은 배관 커넥터(10)에 의하여 임시적으로 연결되거나, 영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배관은 기체 또는 액체의 유동을 위한 파이프 또는 이와 유사한 유동 관이 될 수 있고, 서로 다른 배관은 구조적으로 유체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배관 커넥터(10)는 서로 다른 끝 부분을 연결시킬 수 있고, 서로 다른 배관의 끝 부분에 배관 커넥터(10)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와 유사한 접속 기기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배관 커넥터(10)는 접속 기기에 결합되어 서로 다른 배관을 연결시킬 수 있다. 배관 커넥터(10)는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서로 다른 배관을 간단하게 연결시키면서 이와 동시에 서로 다른 배관으로부터 분리가 될 수 있다.
연결 부분(11)은 균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면서 연장되는 튜브 구조가 될 수 있고, 내부에 유동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배관 커넥터(10)는 전체적으로 구리, 황동 또는 이와 유사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질소 가스 또는 이와 유사한 기체의 유동이 가능하거나 또는 액체의 유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결 부분(11)에 형성되는 내부 유동 경로에 의하여 서로 다른 배관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분(11)은 예를 들어 커터 공구에 의하여 간단하게 절단될 수 있는 경도 또는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연결 부분(11)은 쉽게 휘어질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공구에 의하여 또는 적절한 압력을 가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휨 특성은 휨 과정에서 단면적을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서 변화를 시키는 구조를 의미한다. 또한 연결 부분(11)의 휨 특성은 압력의 인가에 의하여 휘어지면, 연결 부분(11)은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 부분(11)은 매우 작은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 연결 부분(11)은 탄성계수가 예를 들어 영률(Young Modulus), 강성률(modulus of rigidity) 및 체적 탄성률(bulk modulus)이 각각 0.95 내지 1.25 kg/㎠, 0.30 내지 0.40 kg/㎠ 및 0.40 내지 1.25 kg/㎠가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강성률이 0.30 kg/㎠에 비하여 작거나, 가장 바람직하게 탄성계수가 0이 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의 적어도 외부 층은 위에서 제시된 값에 비하여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에 의하여 연결 부분(11)이 쉽게 휘어지면서 이와 동시에 커터와 같은 절단 수단에 의하여 쉽게 절단되고, 휘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연결 부분(11)의 양쪽 끝 부분에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이 결합될 수 있고,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이 다른 배관에 접속이 되어 배관 커넥터(10)에 의하여 서로 다른 배관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은 다른 배관의 끝 부분에 결합된 체결 기기에 연결될 수 있고,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 방식으로 체결 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은 연결 부분(11)에 비하여 큰 직경을 가지면서 상대적으로 견고한 형상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은 예를 들어 균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연장되는 실린더 형상이 될 수 있고, 연결 부분(11)의 양쪽 끝에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질 수 있고, 각각 연결되는 접속 배관의 체결기기에 삽입 가능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의 연장 길이는 체결기기와 결합되는 길이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은 체결기기와 서로 내부 또는 외부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배관 커넥터(10)의 분리 또는 결합이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은 체결기기와 결합된 상태를 가지면서 누설을 방지하지 위하여 적어도 표면이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의 표면은 마감 처리에 의하여 또는 코팅 층의 형성에 의하여 연결 부분(11)에 비하여 큰 탄성을 가질 수 있고, 영률(Young Modulus), 강성률(modulus of rigidity) 및 체적 탄성률(bulk modulus)이 각각 1.30 kg/㎠ 이상, 0.50 kg/㎠ 이상 및 1.25 kg/㎠ 이상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체적 탄성률이 1.30 kg/㎠ 이상이 될 수 있다.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이 이와 같은 구조적 특성을 가지는 것에 의하여 연결 부분(11)은 다양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으면서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은 다른 배관에 연결되어 안정적으로 접속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와 동시에 누설이 방지되도록 한다.
연결 부분(11)과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의 사이에 경계 부분(13a, 13b)이 형성되어 연결 부분의 다양한 변형 여부에 관계없이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경계 부분(13a, 13b)은 예를 들어 삽입 체결 부분(12a, 12b)과 일체로 형성되면서 연장 방향을 따라 점차로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 형상이 될 수 있다. 경계 부분(13a, 13b)은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의 한쪽 끝을 신장시키면서 원뿔 형상으로 만드는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을 내부에 원뿔 형상의 통로가 형성된 성형 지그에 고정시키고, 한쪽 끝을 신장 기기로 당기는(drawing) 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후 원뿔 형상으로 만들어진 경계 부분(12a, 12b)의 한쪽 끝이 용접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에 의하여 연결 부분(11)과 연결되어 접합 부분(14a, 14b)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 체결 부분(12a, 12b)과 경계 부분(13a, 13b)의 외부 면이 열처리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에 의하여 탄성 또는 강성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 연결 부분(11), 삽입 체결 부분(12a, 12b) 및 경계 부분(13a, 13b)의 하나의 구리 또는 청동 도관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접합 부분(14a, 14b)이 별도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배관 커넥터(10)는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이 다른 배관의 체결 기기에 체결되는 과정을 보조하는 보조 유닛(15a, 15b)을 포함할 수 있고, 보조 유닛(15a, 15b)은 예를 들어 와셔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조 유닛(15a, 15b)은 체결 기기의 위쪽 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은 다른 배관의 체결 기기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체결 기기를 고정시키면서 삽입 과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가압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보조 기기(15a, 15b)는 체결 기기의 형상에 적합한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b를 참조하면,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은 한쪽 면이 개방된 속이 빈 실린더 형상이 될 수 있고,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의 한쪽 끝에 경계 부분(13a, 13b)이 형성될 수 있다. 경계 부분(13a, 13b)의 끝 부분으로 균일 연장 부분(141); 균일 연장 부분(141)의 끝 부분에 형성되는 접합 형성 부분(142); 및 접합 형성 부분(142)을 형성하는 접합 연결 부분(14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균일 연장 부분(141)은 연결 부분(11)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접합 형성 부분(142)은 균일 연장 부분(141)과 연결 부분(11)의 끝 부분이 용접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이 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접합 연결 부분(143)은 접합 과정에서 연결 부분(11)이 변형이 되지 않도록 형성된 부분에 해당하고, 미리 열처리가 되어 접합 과정에서 열 변형이 제한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도 1b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1 삽입 체결 부분(12a)과 2 삽입 체결 부분(12b)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제시되어 있지만 1, 2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1, 2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은 서로 다른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은 연결 부분에 비하여 큰 탄성 또는 강도를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고, 강제 끼움 방식으로 다른 배관의 체결 기기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의 외경은 체결 기기의 외경 또는 내경과 동일하거나, 결합 공차를 형성하는 수준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의 삽입 연장 길이(D1)는 경계 부분(13a, 13b)의 경계 연장 길이(D2) 및 균일 연장 길이(D3)에 비하여 클 수 있다. 또한 경계 연장 길이(D2)는 균일 연장 길이(D3)와 동일하거나, 작은 길이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이 안정적으로 체결 기기에 결합이 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삽입 연장 길이(D1), 경계 연장 길이(D2) 또는 균일 연장 길이(D3)는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커넥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1, 2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은 서로 다른 직경 또는 서로 다른 연장 길이를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삽입 체결 부분(12a, 12b)에서 구조적인 안정을 위하여 삽입 연장 길이, 경계 연장 길이 및 균일 연장 길이가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1, 2 경계 부분(13a, 13b)이 각각 1, 2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삽입 체결 부분(12a 또는 12b)이 체결 기기(20)의 한쪽에 삽입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체결 기기(20)의 1 결합 부분(21a)에 하나의 삽입 체결 부분(12a 또는 12b)이 결합될 수 있고, 체결 기기(20)의 2 결합 부분(21b)에 예를 들어 냉매 또는 이와 유사한 유체의 이동을 유도하는 배관이 연결될 수 있다.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이 1 결합 부분(21a)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과정에서 U 또는 C-형상의 보조 기기(16)가 사용되어 체결 기기(2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보조 기기(16)는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와셔 구조가 되거나, 말굽 형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기기(16)의 한쪽 면은 1 결합 부분(21a)의 위쪽 면에 접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다른 면은 적절한 고정 기기로 가압이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1, 2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은 각각 서로 다른 체결 기기(20)에 결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연결 부분(11)이 절단될 수 있다. 그리고 절단된 부분은 예를 들어 압력계 또는 질소와 같은 시험 기체 주입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배관 커넥터(10)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커넥터의 제조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관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커넥터 소재를 준비하는 단계(P31); 준비된 커넥터 소재에서 신장되는 부분이 직경을 결정하는 단계(P32); 신장 부분을 지그 또는 신장 기기에서 신장을 시키면서 신장 부위를 결정하는 단계(P33); 연결 부분과 삽입 체결 부분을 접합시키는 단계(P34); 연결 부분에서 절단이 되어야 하는 절단 부위를 형성하는 단계(P35); 및 체결 기기에 결합되는 부분을 결합 마감 처리하는 단계(P36)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전체가 하나의 소재로 일체형으로 만들어지거나, 연결 부분과 1, 2 삽입 체결 부분이 독립적으로 만들어져 용접과 같은 방식으로 서로 접합이 되어(P34) 만들어질 수 있다.
배관 커넥터 소재는 예를 들어 구리 또는 황동과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연결 부분과 삽입 체결 부분은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소재가 될 수 있다(P31). 연결 부분은 쉽게 휘어질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삽입 체결 부분은 체결 기기에 삽입 방식으로 결합되면서 결합이 된 상태에서 누설이 방지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휨 구조 또는 누설 방지 구조는 소재 선택, 직경 대 연장 길이 선택 또는 소재 처리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배관 커넥터 소재가 준비되면(P31), 삽입 체결 부분을 위한 소재에 대한 신장 직경이 결정될 수 있다(P32). 신장 직경은 경계 부분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의 직경을 결정하는 것을 말하고, 시작 부분은 삽입 체결 부분의 직경과 동일 또는 유사하고, 끝 부분은 연결 부분의 직경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신장 직경이 결정되면서 이와 함께 삽입 체결 부분과 경계 부분의 길이가 함께 결정될 수 있다. 만약 배관 커넥터가 전체적으로 일체형으로 만들어진다면 연결 부분의 직경 및 신장 길이가 함께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장 직경 및 신장 길이가 결정되면(P32), 신장 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P33).
신장 부위의 성형은 다수 개의 신장 지그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한 쌍의 신장 지금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신장 지그에 삽입 체결 부분에 해당하는 소재 부분이 고정되고, 다른 신장 지그에 경계 부분과 접합 부분이 형성되어야 하는 끝 부분이 고정될 수 있다. 하나의 신장 지그에 삽입 체결 부분 전체에 해당하는 부분이 삽입되어 신장이 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이에 의하여 하나의 신장 지그에 고정되는 부분은 형상이 변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른 신장 지그에 압력을 가하면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경계 부분이 형성되고, 이후 경계 부분을 고정시키면서 용접 부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배관 커넥터가 전체적으로 하나의 소재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다수 개의 신장 지그가 사용될 수 있다. 연결 부분은 미리 결정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이 되거나 신장에 의하여 균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연결 부분과 삽입 체결 부분이 형성되면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연결 부분과 삽입 체결 부분이 서로 접합이 되어 배관 커넥터의 외형이 만들어질 수 있다.
배관 커넥터의 두 개의 삽입 체결 부분은 서로 다른 체결 기기에 연결되고, 예를 들어 에어컨의 배관의 연결 상태의 확인을 위하여 배관 커넥터의 연결 부분이 절단될 수 있다. 이후 절단된 연결 부분에 압력계와 질소와 같은 시험 기체의 주입을 위한 기체 주입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단이 되어야 하는 절단 부위가 미리 형성될 수 있다(P35). 절단 부위의 형성은 예를 들어 연결 부위의 절단이 되어야 하는 부분이 절단선이 형성되거나, 미리 절단이 되어 합성수지 관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연결 부분이 커터에 의하지 않고 절단이 되도록 한다.
배관 커넥터 소재는 접합이 된 이후 또는 미리 결합 마감 처리가 될 수 있다(P36). 예를 들어 삽입 체결 부분과 경계 부분은 연결 부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큰 탄성 및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삽입 체결 부분과 경계 부분이 되는 커넥터 소재는 미리 열처리 또는 표면 처리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큰 탄성 또는 경도를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또는 표면이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기체의 처리에 의하여 경계 부분이 상대적으로 큰 열 변형 저항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하여 경계 부분 또는 삽입 체결 부분과 연결 부분의 물리적 특성이 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배관 커넥터는 다양한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커넥터가 적용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 부분(11)이 미리 절단이 되고, 절단이 된 연결 부분(11)에 각각 접속 커넥터(41a, 41b)가 결합될 수 있다. 1, 2 접속 커넥터(41a, 41b)는 예를 들어 용접 또는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절단이 된 연결 부분(11)과 결합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으로 1, 2 접속 커넥터(41a, 41b)는 삽입 방식으로 연결 부분(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후 1, 2 접속 커넥터(41a, 41b)는 각각 시험 기체 주입 장치 및 압력계(42)에 연결될 수 있고, 1, 2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은 각각 서로 다른 배관에 연결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배관은 예를 들어 공조 설비의 냉매의 유동을 위한 배관, 에어컨의 냉매의 유동을 위한 배관 또는 보일러의 온수의 유동을 위한 배관과 같은 것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에어컨 설비 또는 공조 설비가 건물에 시공이 되면 매립함(50)에 설비 배관의 측정 또는 시험을 위한 부품 또는 기기가 배치될 수 있다. 설비 배관은 각각 멀티 튜브가 될 수 있고, 멀티 튜브(51a, 51b)를 형성하는 각각의 튜브(52a)가 서로 연결되거나, 각각의 멀티 튜브에 측정 또는 시험을 위한 부품 또는 기기가 연결될 수 있다. 배관 커넥터는 멀티 튜브(51a, 51b)를 형성하는 서로 다른 튜브(52a, 52b)가 임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설비 배관이 완성된 이후 설비 배관의 시공 상태가 확인될 필요가 있고, 시험 전 서로 다른 멀티 튜브(51a, 51b)의 튜브(52a, 52b)가 임시적으로 연결될 필요가 있다. 시험 전 서로 다른 튜브(52a, 52b)가 임시적으로 연결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하여 각각의 튜브(52a, 52b)의 끝 부분에 체결 기기(53a, 53b, 54a, 54b)에 삽입 방식으로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이 결합될 수 있다.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은 끼움 또는 삽입 방식으로 체결 기기(53a, 53b)에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후 시험을 위하여 하나의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이 분리되거나, 연결 부분(11)이 절단이 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압력계(42)와 같은 측정 기기와 절단된 연결 부분(11)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질소 기체와 같은 시험 기체의 주입에 따른 압력계(42)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여 설비 배관의 시공 상태가 확인될 수 있다. 그리고 시험이 완료되면 서로 다른 튜브(52a, 52b)가 미리 결정된 수단에 의하여 또는 배관 커넥터에 의하여 영구 결합이 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배관 커넥터는 다양한 배관 커플러(20a, 20b)에 적용될 수 있고, 배관 커플러(20a, 20b)는 다양한 튜브(61, 62)의 끝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배관 커넥터는 서로 다른 배관 커플러(20a, 20b)를 연결시키는 것에 의하여 서로 다른 튜브(61, 62)가 유체의 유동이 가능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서로 다른 튜브(61, 62)의 연결은 임시적이거나 또는 영구적일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이 된 것처럼, 연결 부분(11)이 간단하게 절단이 되어 적절한 부품 또는 기기가 연결될 수 있다.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은 각각의 배관 커플러(20a, 20b)에 삽입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배관 커플러는 다양한 튜브(61, 62)가 연결에 적용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커넥터는 에어컨 또는 이와 유사한 공조 설비의 배관을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배관 커넥터는 에어컨의 배관 검사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배관 커넥터 11: 연결 부분
12a, 12b: 1, 2 삽입 체결 부분 13a, 13b: 1, 2 경계 부분
14a, 14b: 접합 부분 15a, 15b: 보조 유닛
16: 보조 기기 20: 체결 기기
20a, 20b: 배관 커플러 21a, 21b: 1, 2 결합 부분
41a, 41b: 1, 2 접속 커넥터 42: 압력계
50: 매립함 51a, 51b: 멀티 튜브
52a, 52b: 튜브 53a, 53b, 54a, 54b: 체결 기기
61, 62: 튜브 141: 균일 연장 부분
142: 접합 형성 부분 143: 접합 연결 부분
D1: 삽입 연장 길이 D2: 경계 연장 길이
D3: 균일 연장 길이

Claims (3)

  1. 내부에 유동 경로가 형성되고, 휘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연결 부분(11);
    연결 부분(11)의 끝 부분에 유체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삽입 방식으로 다른 배관에 연결되는 삽입 체결 부분(12a, 12b); 및
    연결 부분(11)과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의 경계를 형성하면서 연장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변하는 경계 부분(13a, 13b)을 포함하는 배관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경계 부분(13a, 13b)과 연결 부분(11) 사이에 형성되는 균일 연장 부분(141)을 더 포함하는 배관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삽입 체결 부분(12a, 12b)은 연장 방향을 따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실린더 형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커넥터.
KR1020180009151A 2018-01-25 2018-01-25 배관 커넥터 KR201900904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151A KR20190090457A (ko) 2018-01-25 2018-01-25 배관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151A KR20190090457A (ko) 2018-01-25 2018-01-25 배관 커넥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902A Division KR102213785B1 (ko) 2020-04-03 2020-04-03 배관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457A true KR20190090457A (ko) 2019-08-02

Family

ID=67614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151A KR20190090457A (ko) 2018-01-25 2018-01-25 배관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045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807Y1 (ko) 2010-07-26 2012-11-26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에어컨 실내기 및 실외기의 배관 누설 검사장치
KR101550738B1 (ko) 2015-04-29 2015-09-08 성기천 연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 및 이를 이용한 냉매 배관용 스테인리스 파이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807Y1 (ko) 2010-07-26 2012-11-26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에어컨 실내기 및 실외기의 배관 누설 검사장치
KR101550738B1 (ko) 2015-04-29 2015-09-08 성기천 연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강 및 이를 이용한 냉매 배관용 스테인리스 파이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05370B (zh) 改进的联接装置
JP2009507200A (ja) 機械的な相互接続と支持とを利用するcpvc火災スプリンラシステムアセンブリ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682703B1 (ko) 밀폐형 슬리브
PL170053B1 (pl) Sposób laczenia rurociagu z poliolefinu i uklad wykonania polaczenia rurociaguz poliolefinu PL PL PL PL PL
KR102359426B1 (ko) 관 연결 장치
KR100822219B1 (ko) 관 커플러
KR101538337B1 (ko) 배관연결구 및 배관의 결합체
KR102213785B1 (ko) 배관 커넥터
US109759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rengthening welded-lap joints for steel pipeline
KR20190090457A (ko) 배관 커넥터
RU2282780C2 (ru) Тройник для подсоединения переходного патрубка к магистральному трубопроводу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го тройника
CN105987247A (zh) 勾头金属卡箍塑料管道补偿器及其使用方法
KR101821649B1 (ko) 내진용 주름부와 연결조인트를 가진 스테인레스 강관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22944A (ko) 신축성 배관 커넥터
KR20200126952A (ko) 신축성 배관 커넥터
US20070234568A1 (en) Pipe coupling methods
CN101614707A (zh) 一种声测管及其制造方法
KR20100134425A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기 배관 연결방법
KR20180027943A (ko) 삽입형 전자소켓을 이용한 배관연결구조
KR102264914B1 (ko) 관 연결 방법
KR101158274B1 (ko) 이형질 이음관의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KR101902873B1 (ko) 유수관 커플러 유닛을 이용한 가압식 이형관 결합방법
JP2007278440A (ja) 合成樹脂管継手
CN216813267U (zh) 一种管道连接套
CN219841169U (zh) 一种适用于大口径管材端口的简易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