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441B1 - 무용접 이음 배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용접 이음 배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441B1
KR102321441B1 KR1020190155992A KR20190155992A KR102321441B1 KR 102321441 B1 KR102321441 B1 KR 102321441B1 KR 1020190155992 A KR1020190155992 A KR 1020190155992A KR 20190155992 A KR20190155992 A KR 20190155992A KR 102321441 B1 KR102321441 B1 KR 102321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iameter
expanded
protrusion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6574A (ko
Inventor
황광성
Original Assignee
황광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광성 filed Critical 황광성
Priority to KR1020190155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441B1/ko
Publication of KR20210066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2Enlarging
    • B21D41/026Enlarging by means of mand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20Making tool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용접 이음 배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이음 배관 제조장치는, 중공형이며 제1직경을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직경이 점차 확장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확관부와, 상기 확관부의 단부로부터 다시 연장되되 상기 제1직경보다 큰 제2직경을 가지는 직관부를 구비하는 배관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바디부; 바디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배관이 삽입되어 확관되는 돌출부; 돌출부의 외주면을 따라 바디부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직관부를 성형하기 위한 삽입홈부;를 구비하며, 돌출부는 직경이 제1직경으로부터 제2직경까지 커지게 경사지게 배치되어 배관의 확관부를 형성하기 위한 확관성형부를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무용접 이음 배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PIPE JOINT UNIT WITHOUT WELDING}
본 발명은 아파트, 빌딩 등 건축물에 설치되는 배관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도 배관, 소방 배관 등에 적용되며 무용접으로 관을 연결하는 배관 기술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는 수도 배관과 소방 배관이 필수설비로 포함된다. 또한 건물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목적의 배관이 설치된다. 배관 설비는 복수의 관들을 계속 연결하여 설치하는데, 배관 연결방식은 크게 커플링 방식과 용접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커플링 방식은 관에 오목하게 그루브를 형성하고, 별도의 커플링이 관과 관을 상호 결합시키는 방식이다. 커플링 방식은 결합력과 내구성이 우수하여, 수압이 높거나, 내진 설계가 필요한 경우에 주로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보통의 건물에서는 용접 방식으로 배관을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용접 방식으로 배관을 상호 결합하는 경우 크게 3가지의 문제점이 있다. 배관은 매우 오랜 역사를 지닌 설비이지만, 위의 3가지 문제는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으로 남아있다.
첫 째, 내구성과 안전성의 문제이다. 도 1은 용접이 제대로 된 경우의 예이고, 도 2는 용접이 불완전한 경우의 예가 나타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두 개의 배관(A,B) 사이에 결합부(w)가 형성되어 있다. 이른바 '맞대기' 용접의 예이다. 즉, 두 개의 배관(A,B)을 약간 띠워 놓은 상태에서 열을 가하면, 배관의 모재가 먼저 녹고, 이후 용접봉(배관 모재보다 높은 녹는점을 가짐)이 녹으면서, 결합부(w)는 일종의 합금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배관(A,B) 사이가 용접봉과 배관 모재에 의해서 완전히 충진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도 1의 경우를 보면, 두 개의 배관(A,B)이 약간 떨어진 상태에서 용접봉이 녹은 결합부(w)가 두 개의 배관(A,B) 사이에 완전히 충진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용접이 매우 잘 된 예이다. 반면, 도 2의 경우를 보면, 두 개의 배관(A,B) 사이의 틈을 결합부(w)가 완전히 충진되지 못하고, 외측에만 얇게 충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용접이 불량한 경우의 대표적 예이다. 도 2의 경우보다 더 심하게는 두 개의 배관(A,B) 사이에 용접봉이 녹아들어 가지 않고 뚫려 있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당연히, 도 2와 같이 용접이 이루어진 경우는 배관 사이의 결합력이 떨어지고 내구성이 약해질 수 밖에 없다. 배관이 터지거나 하는 등의 사고는 대부분 용접 결합부의 문제에 기인한다. 특히, 곡관에는 수압이 더 많이 인가되므로 용접 결합부의 취약성은 더욱 문제된다. 배관 설비에서는 'ㄱ'자 또는 'ㅗ'자 형상의 곡관이 직관의 사용량보다 훨씬 많다는 것으로부터 용접의 문제점은 더욱 크다고 할 것이다.
지금까지 배관 용접 품질은 작업자의 역량에만 의존하였다. 용접 기술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용접 품질이 결정되었다. 최근에는 오랜 기간의 숙련이 필요한 기능 기술자의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용접 품질을 보장할 수 없게 되었다. 다르게 말하면, 숙련도가 높은 기술자를 고용하고자 하는 경우 그만큼의 비용 상승이 발생하여 배관 시공의 경제성이 저하될 수 밖에 없다. 시공 비용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더 커지고 있지만, 용접 품질은 점차 하락하고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맞대기 용접 방식은 공사 기간에도 영향을 미치며, 결국 배관 설비 시공의 경제성을 저하시킨다. 도면에도 나타난 바와 같이, 맞대기 용접은 2개의 배관을 약간 이격시켜 놓은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적어도 한 명의 작업자가 배관을 들고 있으면서 간격을 맞춰야 한다. 용접을 적어도 2인 1조로 진행하게 된다. 또한 맞대기 용접 방식으로 배관을 설치할 때에는 배관을 차례대로 용접해 나가야 한다. 용접을 하면서 배관들의 배열이 약간씩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지점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용접을 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결국 종래에 맞대기 용접 방식으로 배관을 연결하는 방법은 용접 품질의 저하로 인한 안전성 문제를 초래하고, 시공 비용을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시공 기간도 길어지게 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접을 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배관을 상호 연결할 수 있으며, 내구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무용접 이음 배관을 매우 간단하게 경제적으로 제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무용접 이음 배관을 매우 간단하게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이음 배관 제조장치는, 중공형이며 제1직경을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직경이 점차 확장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확관부와, 상기 확관부의 단부로부터 다시 연장되되 상기 제1직경보다 큰 제2직경을 가지는 직관부를 구비하는 배관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배관이 삽입되어 확관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직관부를 성형하기 위한 삽입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직경이 상기 제1직경으로부터 제2직경까지 커지게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배관의 확관부를 형성하기 위한 확관성형부를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확관성형부에서 직경이 점차 커지는 정도인 경사각은 40~60°범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돌출부의 상부 모서리 및 상기 삽입홈부의 외측 모서리에는 상기 배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면취가공되어 있는 면취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무용접 이음 배관 제조방법은, 상기한 제조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배관의 일측 단부를 상기 제조장치의 돌출부 및 삽입홈부에 가압 삽입시켜 상기 확관부와 직관부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배관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를 일측 단부가 성형된 상기 배관에 끼워 놓은 상태에서 상기 배관의 타측 단부를 상기 제조장치의 돌출부 및 삽입홈부에 가압 삽입시켜 타측 단부에 상기 확관부와 직관부를 성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독특한 구성의 무용접 이음 배관을 매우 간단하며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무용접 이음 배관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즉 한 번의 가압 공정을 통해 일반 배관의 일측 단부에 확관부와 직관부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배관의 일측 단부가 성형된 후에는 플랜지를 배관에 끼워 놓은 상태에서 타측 단부를 동일하게 성형함으로써 무용접 이음 배관을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배관의 성형은 주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바, 배관의 제조장치가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다는 점도 현장에서의 작업을 용이하는 이점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을 통해 성형된 무용접 이음 배관은 두 개의 배관을 상호 플랜지 접합을 통해 매우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즉 배관의 단부에 확관부와 직관부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플랜지의 하면에도 경사부와 연장부를 형성함으로써 플랜지와 배관의 단부가 맞물려서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기존의 용접 방식을 탈피하여 매우 용이하게 배관이음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맞대기 용접의 품질을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은 용접 품질이 우수한 경우의 예이며, 도 2는 용접 불량의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무용접 이음 배관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무용접 이음 배관이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무용접 이음 배관을 성형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개략적 단면도로서, 도 6은 성형 전의 상태이며, 도 7은 성형 후의 상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곡관에 적용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수도관, 소방관 등 배관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배관은 직관, 곡관, T자형 관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이들을 상호 연결하여 건물의 전체 배관 시스템을 형성한다.
배관을 상호 연결하는 방법은 대략 3가지로 나누어진다.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2개의 배관을 맞대기 용접하는 방법, 연결되는 2개의 배관의 단부에 홈(그루브)을 내고 "∪"자형 및 "∩"자형으로 생긴 클램핑부재를 그루브에 끼워 넣은 후 상호 볼트조립하는 방법 그리고 연결되는 두 개의 배관 사이를 플랜지 접합하는 방식이다. 클램핑부재를 이용하는 방식이 강도 면에서 가장 유리하지만 클램핑부재의 제조단가가 비싸서 비경제적이기 때문에 주로 내압이 크게 인가되는 경우에 주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는 용접 방식이 사용되는데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용접 방식은 작업자에 따라 용접 품질이 일정하지 않고, 최근 숙련자가 많지 않아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플랜지 접합 방식을 이용하여 기존의 용접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견고하게 배관을 상호 연결할 수 있는 무용접 이음 배관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되는 무용접 이음 배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무용접 이음 배관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무용접 이음 배관이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무용접 이음 배관(100)은 상호 연결되는 한 쌍의 배관(10,20)과, 실링부재(30) 및 한 쌍의 플랜지(50,60)를 구비한다.
한 쌍의 배관은 유체가 지나갈 수 있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각각 본체부(10,20), 확관부(11,21) 및 직관부(12,22)로 이루어진다. 본체부(10,20)의 양단에 각각 확관부(11,21)와 직관부(12,22)가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본체부(10,20)는 제1직경을 가지고 일자형으로 곧게 형성된다. 확관부(11,21)는 본체부(10,20)로부터 연장형성되는데, 제1직경에서 제2직경까지 점차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단면에서 보면 경사지게 형성된다. 직관부(12)는 확관부(11)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제2직경을 가지고 일자형으로 곧게 형성된다.
한 쌍의 플랜지(50,60)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배관(10,20)에 끼워진다. 플랜지(50,6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54,64)이 형성된다. 플랜지(50,60)의 하면은 배관(10,20)의 단부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플랜지(50,60)의 하면 중 베이스부(51,61)는 배관의 본체부(10,20)와 대응되도록 제1직경 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일자로 형성된다. 경사부(52,62)는 베이스부(51,61)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배관의 확관부(11,21)와 대응되도록 직경이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다. 연장부(53,63)는 경사부(52,62)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배관의 직관부(12,22)와 대응되도록 제2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일정하게 형성된다.
실링부재(30)는 링 형상으로 한 쌍의 플랜지(50,60) 및 배관 본체부(10,20) 사이에 개재된다. 고무 등의 압축성 소재로 이루어져 한 쌍의 배관 본체부(10,20) 및 플랜지(50,60) 사이의 틈으로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링부재(30)에도 플랜지(50,60)에 대응되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31)이 형성된다.
한 쌍의 플랜지(50,60)는 각각 배관 본체부(10,20)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41)가 플랜지의 관통공(54,64) 및 실링부재의 관통공(31)에 끼워져 너트(42)에 체결됨으로써 한 쌍의 배관 사이의 결합이 완료된다. 볼트(41)와 너트(42)의 체결에 의하여 한 쌍의 플랜지(50,60)는 상호 밀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견고하게 결합된다. 배관의 확관부(11,21)는 각각 플랜지(50,60)의 경사부(52,62)에 걸려 있기 때문에 플랜지(50,60)가 가압될 때 함께 가압되어 실링부재(30)를 사이에 두고 상호 밀착되어 가압된다. 또한 배관의 확관부(11,21)가 플랜지(50,60)의 경사부(52,62)에 걸려 있기 때문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될 수 없다. 즉 본 발명에서는 플랜지 이음 방식을 채택하면서도, 배관의 단부에 확관부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플랜지(50,60)에 경사부(52,62)를 형성함으로써 견고한 배관 이음이 가능하며, 용접에 비하여 매우 간단한 배관 연결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배관에서 본체부에 대한 확관부의 경사각(a)은 40~60°범위로 이루어진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경사각이 40°미만으로 너무 완만하면 플랜지와 배관 사이의 걸림이 약해지므로 볼트와 너트를 체결시 플랜지와 배관 사이에 슬립 현상이 발생하여 견고한 결합이 되지 않는다. 반면 60°를 초과하여 너무 가파르면 볼트와 너트를 체결시 배관의 확관부(11,21)가 체결력에 의하여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누수의 위험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배관의 본체부(11,21)와 확관부(12,22) 사이의 경사각(a)을 40~60°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관의 확관부(11,21)의 길이보다 직관부(12,,22)의 길이가 더 길어야 한다. 확관부가 더 길면 플랜지 볼트 체결시 확관부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직관부가 확관부보다 길어야 한다.
또한 플랜지(50,60)의 베이스부(52,62)의 길이(D1)와 경사부 및 연장부를 합한 길이(D2)의 비는 50:50~55:45의 범위로 이루어진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먼저 플랜지의 베이스부(52,62)의 길이가 경사부(53,63)와 연장부(54,64)보다 같거나 길어야 한다. 베이스부(52,62)의 길이가 짧으면 플랜지가 배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역으로 위 범위를 초과하여 길면 배관-플랜지 사이의 결합력에는 큰 영향이 없으면서도, 플랜지의 규격이 너무 커져서 경제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무용접 이음 배관(100)의 제조장치(80) 및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용접 이음 배관(100)은 기존의 배관을 가압 확관 성형에 의하여 매우 간단하게 제조한다.
도 6 및 도 7은 무용접 이음 배관을 성형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개략적 단면도로서, 도 6은 성형 전의 상태이며, 도 7은 성형 후의 상태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제조장치(80)는 바디부(89)를 구비하며, 바디부(89)의 상면에는 원형으로 삽입홈부(84)가 형성된다. 삽입홈부(84)는 배관의 직관부(12,22)를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다. 삽입홈부(84)의 상단은 모따기(면취가공)를 통해 경사지게 깍아낸 면취부(85)가 형성된다. 이는 배관(10,20)의 단부가 삽입홈부(84)로 쉽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바디부(89)의 중앙에는 삽입홈부(84)의 상측으로 확관성형부(83)가 경사지게 배치된다. 확관성형부(83)는 배관의 확관부(11,21)를 성형하기 위한 것이다. 확관성형부(83)의 상측은 다시 일정한 직경으로 돌출연장 형성되는 돌출부(81)가 형성되며, 배관(10,20)은 돌출부(81)에 삽입된다. 돌출부(81)의 상부 역시 면취작업을 통해 경사지게 면취부(82)를 형성하여, 배관(10,20)이 돌출부(81)에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한다.
확관성형부(83)는 도면상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배관의 확관부에 대응되도록 제1직경에서부터 제2직경까지 확장된다. 즉, 직경이 확장되는 정도인 경사각은 앞에서의 배관의 경사각과 마찬가지로 40~60°의 범위로 형성된다. 경사각의 의미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배관(10,20)은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피스톤(미도시) 등 가압수단에 의하여 가압되면 제조장치(80)의 돌출부(81)로 삽입되면서 단부가 확관성형부(83)와 삽입홈부(84)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은 확관성형부(83)에서 직경이 점차 확장되어 확관부(11,21)가 만들어지며, 삽입홈부(84)에서 직관부(12,22)가 형성된다. 한 번의 피스톤 가압으로 기존의 일자형 배관의 단부가 본 발명과 같은 형태로 간단하게 성형된다.
다만, 한 가지 유의할 점은 배관의 양단부를 모두 확관 성형하므로, 일측 단부를 확관하고, 타측 단부를 확관하기 전에는 플랜지(50,60)를 미리 배관의 본체부(10,20)에 삽입한 상태에서 확관을 수행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확관 공정은 공장에서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주로 현장에서 이루어진다. 즉 플랜지는 미리 공장에서 성형해 놓고, 배관 연결 현장에서는 상기한 제조장치를 비치한 후, 필요에 따라 배관을 확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배관은 무용접 방식으로 두 개의 배관을 상호 플랜지 접합을 통해 매우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즉 배관의 단부에 확관부와 직관부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플랜지의 하면에도 경사부와 연장부를 형성함으로써 플랜지와 배관의 단부가 맞물려서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기존의 용접 방식을 탈피하여 매우 용이하게 배관이음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서는 기존의 배관을 한 번의 가압 성형 공정에 의하여 쉽게 제조할 수 있는 바 매우 경제적이다. 배관의 성형은 주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바, 배관의 제조장치가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다는 점도 현장에서의 작업을 용이하는 이점으로 작용한다.
지금까지 직관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곡관(90)은 물론 T자형 관에도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이음을 적용할 수 있다.
100 ... 무용접 이음 배관
10,20 ... 배관 본체부, 11,21 ... 배관 확관부 12,22 ... 배관 직관부
30 ... 실링부재, 31 ... 관통공, 41 ... 볼트, 42 ... 너트
50,60 ... 플랜지, 51,61 ... 베이스부, 52,62 ... 경사부,
53,63 ... 연장부, 54,64 ... 관통공
80 ... 무용접 이음 배관 제조장치
81 ... 돌출부, 82 ... 면취부,
83 ... 확관성형부, 84 ... 삽입홈부, 85 ... 면취부
89 ... 바디부 90 ... 곡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중공형이며 제1직경을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 단부로부터 직경이 점차 확장되어 경사지게 형성되는 확관부와, 상기 확관부의 단부로부터 다시 연장되되 상기 제1직경보다 큰 제2직경을 가지는 직관부를 구비하는 배관을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배관이 삽입되어 확관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직관부를 성형하기 위한 삽입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직경이 상기 제1직경으로부터 제2직경까지 커지게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배관의 확관부를 형성하기 위한 확관성형부를 구비하며, 상기 확관성형부에서 직경이 점차 커지는 정도인 경사각은 40~60°범위이고, 상기 돌출부의 상부 모서리 및 상기 삽입홈부의 외측 모서리에는 상기 배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면취가공되어 있는 면취부를 구비하는 무용접 이음 배관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무용접 이음 배관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배관의 일측 단부를 상기 제조장치의 돌출부 및 삽입홈부에 가압 삽입시켜 상기 확관부와 직관부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배관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를 일측 단부가 성형된 상기 배관에 끼워 놓은 상태에서 상기 배관의 타측 단부를 상기 제조장치의 돌출부 및 삽입홈부에 가압 삽입시켜 타측 단부에 상기 확관부와 직관부를 성형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는 링 형상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배관에 끼워지며, 상기 관통공을 통해 볼트 체결되어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서, 그 하면은 상기 배관의 본체부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배관의 확관부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경사부와, 상기 배관의 직관부와 대응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랜지의 베이스부의 길이(D1)와 상기 경사부 및 연장부를 합한 길이(D2)의 비는 50:50~55:4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이음 배관 제조방법.
KR1020190155992A 2019-11-28 2019-11-28 무용접 이음 배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321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992A KR102321441B1 (ko) 2019-11-28 2019-11-28 무용접 이음 배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992A KR102321441B1 (ko) 2019-11-28 2019-11-28 무용접 이음 배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574A KR20210066574A (ko) 2021-06-07
KR102321441B1 true KR102321441B1 (ko) 2021-11-02

Family

ID=76374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992A KR102321441B1 (ko) 2019-11-28 2019-11-28 무용접 이음 배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44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4127A (ja) 2001-02-28 2002-09-10 Dowa Tanzo Kk レジューサの製造方法
JP2005046880A (ja) * 2003-07-29 2005-02-24 Calsonic Kansei Corp 配管端末成形用金型
KR101828783B1 (ko) 2017-06-14 2018-02-13 주식회사 우리스틸 탈부착형 플랜지를 이용한 무용접식 파이프 이음매 구조
KR101878601B1 (ko) * 2017-05-08 2018-07-16 황광성 용접용 파이프 배관 조인트, 용접용 파이프 배관 조인트 제조장치 및 용접용 파이프 배관 조인트를 이용한 파이프 배관설비 시공방법
KR101881275B1 (ko) 2018-04-30 2018-07-24 주식회사 우리스틸 연결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용접식 파이프 이음매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이프 이음매
KR101924451B1 (ko) 2017-11-30 2018-12-03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및 이를 이용한 금속관 연결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0329A (ja) * 1982-12-27 1984-07-11 Mitsuboshi Seisakusho:Kk 段付きパイプの成形法
KR101160075B1 (ko) * 2010-08-11 2012-06-26 윤한경 무용접 배관 연결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금형
KR20180124665A (ko) * 2017-05-12 2018-11-21 최재진 무용접 배관 플랜지 구조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4127A (ja) 2001-02-28 2002-09-10 Dowa Tanzo Kk レジューサの製造方法
JP2005046880A (ja) * 2003-07-29 2005-02-24 Calsonic Kansei Corp 配管端末成形用金型
KR101878601B1 (ko) * 2017-05-08 2018-07-16 황광성 용접용 파이프 배관 조인트, 용접용 파이프 배관 조인트 제조장치 및 용접용 파이프 배관 조인트를 이용한 파이프 배관설비 시공방법
KR101828783B1 (ko) 2017-06-14 2018-02-13 주식회사 우리스틸 탈부착형 플랜지를 이용한 무용접식 파이프 이음매 구조
KR101924451B1 (ko) 2017-11-30 2018-12-03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및 이를 이용한 금속관 연결 구조
KR101881275B1 (ko) 2018-04-30 2018-07-24 주식회사 우리스틸 연결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용접식 파이프 이음매의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파이프 이음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574A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23246B (zh) 用於機械及結構配管之機械聯結器
US6860672B2 (en) Reinforcing bar coupling
US6758500B2 (en) Flared ends conduit coupling
JPH09150U (ja) 永久的にパイプを結合する結合装置
US4832383A (en) Pipe and flange assembly
KR101324938B1 (ko) 플랜지형 비용접 이음관
KR20200031138A (ko) 접합 연결부를 구비한 파이프 장치
KR101735069B1 (ko) 확관부 없는 대구경 소켓 강관
KR102321441B1 (ko) 무용접 이음 배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3336430B2 (ja) 鋼管矢板等の縦継ぎ装置
US109759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rengthening welded-lap joints for steel pipeline
KR20210066567A (ko) 무용접 이음 배관
KR101878601B1 (ko) 용접용 파이프 배관 조인트, 용접용 파이프 배관 조인트 제조장치 및 용접용 파이프 배관 조인트를 이용한 파이프 배관설비 시공방법
US5984377A (en) Bondable plastic piping adapter joint
JPH09279766A (ja) 異形鉄筋の継手構造
KR102243699B1 (ko) 무용접 플랜지 양 이음쇠 및 그 조립 방법
KR20170002084U (ko) 배관 연결구
KR20100134425A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기 배관 연결방법
KR101805790B1 (ko) 패킹이 구비된 파이프 이음장치
KR20140122692A (ko) 원형관 연결구조
KR101423876B1 (ko) 원형관 연결구조
TWI607130B (zh) Pile of welded joints
JP5954679B2 (ja) 杭の無溶接継ぎ手
KR102601332B1 (ko) 탄성웨지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커플러
CN216408048U (zh) 一种便于对接安装的对焊接法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