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515B1 -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9515B1 KR101779515B1 KR1020170059479A KR20170059479A KR101779515B1 KR 101779515 B1 KR101779515 B1 KR 101779515B1 KR 1020170059479 A KR1020170059479 A KR 1020170059479A KR 20170059479 A KR20170059479 A KR 20170059479A KR 101779515 B1 KR101779515 B1 KR 1017795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coated steel
- core
- spike
- connect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피복강관의 결합 시, 피복강관 간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함으로써, 피복강관 간의 기밀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여, 지진 등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내진성(耐震性)을 확보하고, 기밀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피복강관을 결합할 때, 일측의 피복강관에 관단코어를 삽입함으로써, 연결부위에 기밀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고, 지진 등의 외부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취약한 연결부위의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피복강관의 결합 시, 피복강관 간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함으로써, 피복강관 간의 기밀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여, 지진 등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내진성(耐震性)을 확보하고, 기밀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피복강관을 결합할 때, 일측의 피복강관에 관단코어를 삽입함으로써, 연결부위에 기밀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고, 지진 등의 외부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취약한 연결부위의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피복강관의 결합 시, 피복강관 간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함으로써, 피복강관 간의 기밀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여, 지진 등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내진성(耐震性)을 확보하고, 기밀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또한, 피복강관을 결합할 때, 일측의 피복강관에 관단코어를 삽입함으로써, 연결부위에 기밀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고, 지진 등의 외부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취약한 연결부위의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관으로 사용되는 피복 강관은 필요로 하는 길이만큼 절단한 후, 이탈방지 압륜을 이용하여 절단된 피복 강관이 이음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시공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이탈방지 압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다수의 피복 강관을 상호 이음하는 이음관과, 상기 이음관의 좌우측에 피복 강관의 단부가 각각 삽입될 때, 상기한 이음관의 좌우측에 체결볼트를 통하여 체결 고정되는 압륜과, 상기 이음관의 좌우측에 피복 강관이 각각 삽입되고 피복 강관 외주면에 압륜이 위치한 상태에서 압륜에 형성된 조임볼트를 나사 조임하면 피복 강관 외주면을 밀착하여 피복 강관이 이음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임볼트와 연결 형성되는 스파이크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피복 강관을 이음관에 이음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이음관의 좌,우측에 압륜을 각각 위치시킨 다음 압륜이 이음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체결 고정시킨다.
이후 피복 강관을 이음관의 좌,우측에 각각 삽입하면 압륜의 중앙에 위치한 스파이크가 피복 강관 외주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조임볼트를 나사조임 하면 상기한 조임볼트에 의해 스파이크가 피복 강관의 외주면에 압착 고정되기 때문에 피복 강관은 이음관에서 이탈되지 않고 연결 시공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 이탈방지 압륜을 이용하여 피복 강관과 피복 강관을 연결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종래 피복 강관에는 별도의 이음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대부분이 별도의 이음관 및 압륜을 통하여 연결 시공작업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에는 다수의 피복 강관을 상호 이음하기 위해, 별도의 이음관과, 압륜 2개소가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부품 수 증가로 인해 이음작업이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인 이탈방지 압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피복 강관과 피복 강관을 이음하는 이음관과, 상기 이음관의 좌우측에 피복 강관의 단부가 각각 삽입될 때 상기한 이음관의 좌우측에 체결볼트를 통하여 체결 고정되는 압륜과, 상기 이음관의 좌우측에 피복 강관이 각각 삽입되고 피복 강관 외주면에 압륜이 위치한 상태에서 압륜에 형성된 조임볼트를 나사 조임하면 피복 강관 외주면을 밀착하여 피복 강관이 이음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임볼트와 연결 형성되는 스파이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이탈방지 압륜을 이용하여 피복 강관이 이음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다. 그러나 종래 압륜의 한쪽에는 별도의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부에 조임볼트와 스파이크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스파이크와 조임볼트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시 조임볼트와 스파이크가 서로 분리되지 않는 이점은 있다. 그러나 조임볼트를 조임하면 이와 동시에 스파이크도 회전하고, 회전하는 과정에서 피복 강관의 외주면을 압착하기 때문에 회전하는 스파이크에 의해 피복 강관의 피복층이 벗겨지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이탈방지 압륜들을 이용하여 소기의 목적, 즉 조임볼트와 스파이크를 이용하여 피복 강관의 외주면을 압착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이들은 모두 조임볼트와 스파이크를 압륜에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별도의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부는 압륜 한쪽에 편중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임 작업 시, 스파이크가 압륜에서 편중된 상태에서 조임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균일한 압착력을 얻을 수 없을 뿐 아니라 압륜 한쪽이 들떠 효과적인 압착 기능을 기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이탈방지 압륜들은 한쪽에 조임볼트와 스파이크를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연결부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복잡할 뿐 아니라, 전체적인 미감이 저하되고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를 포함한 종래의 기술들은, 지진 등으로 인한 외부 충격 시, 피복 강관에 고정된 압륜의 고정 위치가 초기의 고정위치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기밀 또는 수밀을 유지하지 못해 누기 또는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지진 등의 외부 충격에도 내진성 및 내충격성을 가지며, 보다 견고하게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압륜을 이용한 피복 강관의 결합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피복강관의 결합 시, 피복강관 간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함으로써, 피복강관 간의 기밀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여, 지진 등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내진성(耐震性)을 확보하고, 기밀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고, 피복강관을 결합할 때, 일측의 피복강관에 관단코어를 삽입함으로써, 연결부위에 기밀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고, 지진 등의 외부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취약한 연결부위의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는, 피복 강관용 이탈방지 압륜을 이용한 피복 강관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제2피복강관(11)의 일측 단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피복강관(10)과; 일측 단부의 내부에 상기 제1피복강관(10)이 삽입되고, 상기 제1피복강관(10)이 삽입되는 일측 단부에는, 제1피복강관(10)의 단부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52), 상기 확장부(52)가 확장될 때 완만한 경사를 가지고 제2피복강관(11) 몸체와 확장부(52)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부(53), 상기 확장부(52) 끝단에 형성되고 바깥쪽으로 확장되면서 25°~ 27°의 경사각(θ)을 갖는 연결부(51)를 포함하는 이음수단(50)이 형성되며, 상기 확장부(52), 경사부(53), 연결부(51)의 단면 두께(t1)와 제2피복강관(11)의 단면 두께(t2)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균일한 강도를 갖는 제2피복강관(11)과; 상기 연결부(51)의 경사각(θ)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경사걸림턱(41)이 내주연에 형성되고, 연결부(51)의 외주연에 위치한 상태에서 체결볼트(21)의 걸림턱(22)이 밀착되면 압륜(300)과 함께 제1피복강관(10)과 제2피복강관(11)을 서로 이음하는 이음소켓(40)과; 상기 제2피복강관(11)의 일측 단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일측의 상기 제1피복강관(10)의 단부 및 인접한 내주연에 밀착되도록 삽입되는 관단코어(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복 강관용 이탈방지 압륜을 이용한 피복 강관의 결합 구조는 상기 이음소켓(40)의 일측에 인접하여 상기 제1피복강관(10)의 일측 외주연에 결합되는 압륜(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복 강관용 이탈방지 압륜을 이용한 피복 강관의 결합 구조는, 외주연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체결볼트(21)와, 외주연의 둘레를 따라 상기 체결볼트(21)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피복강관(10)의 외주연 방향으로 나사 조임되는 조임볼트(310)와, 상기 조임볼트(310) 하단에 형성되는 결합돌기(600)와, 상기 조임볼트(310) 하단에 연결 형성되고, 상기 제1피복강관(10)의 외주연에 밀착 고정되며, 상단 중간에 결합홈(610)이 형성되어, 결합돌기(600)가 결합홈(610) 내부에 강압적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스파이크(320)와, 스파이크(320)를 삽입가능하도록 내주연의 중간에 형성되되, 조임볼트(310)를 조이면 삽입된 스파이크(320)가 제1피복강관(10)의 외주연에 점차 밀착되며 제1피복강관(10)의 외주연을 가압할 수 있도록, 스파이크(320)의 유동공간을 확보하여 형성되는 안내홈(500)과, 상기 안내홈(500)이 위치한 압륜(300)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어, 안내홈(500) 형성으로 인해 얇아진 체결홈(410)의 나사 결합 면적을 확보하는 체결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피복강관(11)은 일측 단부의 내부에 상기 제1피복강관(10)이 삽입되고, 상기 제1피복강관(10)이 삽입되는 일측 단부에는, 제1피복강관(10)의 단부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52), 상기 확장부(52)가 완만한 경사를 가지며 확장되도록 상기 제2피복강관(11) 몸체와 상기 확장부(52)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부(53), 상기 확장부(52) 끝단에 형성되고 바깥쪽으로 확장되면서 25°∼ 27°의 경사각(θ)을 갖는 연결부(51)를 포함하는 이음수단(50);이 형성되며, 상기 확장부(52), 경사부(53) 및 연결부(51)의 단면 두께(t1)와 상기 제2피복강관(11)의 단면 두께(t2)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균일한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복 강관의 결합 시, 피복 강관 간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피복 강관용 이탈방지 압륜을 이용한 피복 강관의 결합 구조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피복 강관의 결합 시, 피복 강관 간의 기밀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피복 강관용 이탈방지 압륜을 이용한 피복 강관의 결합 구조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지진 등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견고한 결합을 유지함으로써, 내진성(耐震性)을 확보하고, 기밀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피복 강관용 이탈방지 압륜을 이용한 피복 강관의 결합 구조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피복강관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단코어가 제1피복강관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소켓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임볼트와 스파이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임볼트와 스파이크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임볼트, 스파이크, 제1피복강관 및 관단코어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피복강관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단코어가 제1피복강관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소켓의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임볼트와 스파이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임볼트와 스파이크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임볼트, 스파이크, 제1피복강관 및 관단코어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결합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제1피복강관(10), 제2피복강관(11), 이음소켓(40), 관단코어(700), 압륜(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피복강관(10)은, 일측 단부가 제2피복강관(11)의 일측 단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피복강관(11)은, 이음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음수단(50)은, 확장부(52), 경사부(53), 연결부(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피복강관(11)은, 일측 단부의 내부에 상기 제1피복강관(10)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피복강관(11)은, 상기 제1피복강관(10)이 삽입되는 일측 단부에는, 제1피복강관(10)의 단부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피복강관(11)은, 상기 확장부(52)가 확장될 때 완만한 경사를 가지고 제2피복강관(11) 몸체와 확장부(52)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피복강관(11)은, 상기 확장부(52) 끝단에 형성되고 바깥쪽으로 확장되면서 25°~ 27°의 경사각(θ)을 갖는 연결부(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피복강관(11)은, 상기 확장부(52), 경사부(53), 연결부(51)의 단면 두께(t1)와 제2피복강관(11)의 단면 두께(t2)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균일한 강도를 갖도록 구성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이음소켓(40)은, 상기 연결부(51)의 경사각(θ)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경사걸림턱(41)이 내주연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음소켓(40)은, 상기 연결부(51)의 외주연에 위치한 상태에서 체결볼트(21)의 걸림턱(22)이 밀착되면, 상기 압륜(300)과 함께 제1피복강관(10)과 제2피복강관(11)을 서로 이음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이음소켓(40)은, 상기 연결부(51)의 외주연에 위치한 상태에서 체결볼트(21)의 걸림턱(22)이 밀착되면, 상기 압륜(300)과 함께 제1피복강관(10)과 제2피복강관(11)을 서로 이음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 1, 도 2 및 도 5b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1피복강관(10)의 우측 단부를 상기 제2피복강관(11)의 좌측 단부에 삽입한 뒤, 상기 제1피복강관(10)의 외주연에 상기 압륜(300)을 고정하고, 상기 제2피복강관(11)의 상기 연결부(51) 외주연에 상기 이음소켓(4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21)를 조이게 되면, 상기 걸림턱(22)이 점차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음소켓(40)이 좌측으로 당겨지게 되며, 상기 이음소켓(40)의 내주연에 형성된 상기 경사걸림턱(41)과 상기 제2피복강관(11)의 상기 연결부(51) 외주연이 경사각(θ)에 의해 걸림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2피복강관(11)을 상기 제1피복강관(10)이 위치한 방향으로 당기면서 견고하게 이음하게 되는 것이다.
도 13 및/또는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관단코어(700)는, 상기 제2피복강관(11)의 일측 단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일측의 상기 제1피복강관(10)의 단부 및 인접한 내주연에 밀착하여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관단코어(700)의 물성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항목 | 대표값 | 단위 | 시험방법 |
용융지수 | 4.7 | g/10min | ASTM D1238 |
밀도 | 0.965 | g/㎤ | ASTM D1505 |
성형수축률 | 1.5 ~ 2.5 | % | KPIC Method |
인장강도(항복점) | 280 | ㎏f/㎠ | ASTM D638 |
신율 | >500 | % | ASTM D638 |
굴곡탄성율 | 13,000 | ㎏f/㎠ | ASTM D790 |
경도 | 56 | R Scale | ASTM D785 |
충격강도 | 10 | ㎏f㎝/㎝ | ASTM D256 |
융점 | 135 | ℃ | ASTM D3418 |
연화점 | 126 | ℃ | ASTM D1525 |
이때, 상기 관단코어(700)는, 제1피복강관(10)과 제2피복강관(11)의 연결부위에 기밀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고, 지진 등의 외부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제1피복강관(10)과 제2피복강관(11)의 취약한 연결부위의 내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관단코어(700)가 삽입되는 제1피복강관(10)의 내주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어결합돌기(17)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단코어(700)는, 상기 제1피복강관(10)에 관단코어(700)를 삽입 시, 상기 코어결합돌기(17)와 끼움결합하도록, 상기 코어결합돌기(17)와 대응하는 위치를 절개하여 형성한 코어끼움홈(71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어끼움홈(717)의 절개된 끝단부에는, 상기 코어결합돌기(17)가 상기 코어끼움홈(717)에 완전히 삽입되면, 코어끼움홈(717)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 만곡걸림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만곡걸림턱은, 상기 코어결합돌기(17)가 상기 코어끼움홈(717)에 완전히 삽입되면, 코어끼움홈(717)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지진 등으로 인한 외부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관단코어(700)가 상기 제1피복강관(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 견고하게 결합과 기밀 또는 수밀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한다.
아울러, 관단코어(700)는 제1피복강관(10)의 내주면과 맞닿는 외주면에는 외주면의 외주연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측으로 돌출된 돌기가 이중으로 형성된 이중돌기가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관단코어(700)가 제1피복강관(10)에 삽입될 때, 마찰력을 증가시켜 고정이 견고하게 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관단코어(700)의 제1피복강관(10) 내부에 삽입되는 일단의 단면이 직각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의 단면 형태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의 단면 형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 경사진 부분이 관단코어(700)의 내부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상술된 경우에 따라, 피복강관(10, 11) 내부에 유압 등의 압력이 발생되어도 관단코어(700)가 압력의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도록 단면 형태를 갖게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 의하면,
상기 압륜(300)은, 다수의 체결볼트(21), 조임볼트(310), 스파이크(320), 안내홈(500), 체결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륜(300)은, 상기 이음소켓(40)의 일측에 인접하여 상기 제1피복강관(10)의 일측 외주연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체결볼트(21)는, 상기 압륜(300)의 외주연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임볼트(310)는, 상기 압륜(300)의 외주연의 둘레를 따라 상기 체결볼트(21)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피복강관(10)의 외주연 방향으로 나사 조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임볼트(310)는, 하단에 형성되는 결합돌기(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파이크(320)는, 상기 조임볼트(310) 하단에 연결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파이크(320)는, 상기 조임볼트(310)를 조임으로써, 상기 제1피복강관(10) 외주연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파이크(320)는, 상단 중간에 결합홈(610)이 형성되어, 결합돌기(600)가 결합홈(610) 내부에 강압적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내홈(500)은, 스파이크(320)를 삽입가능하도록 상기 압륜(300)의 내주연의 중간에 형성된다.
상기 안내홈(500)은, 조임볼트(310)를 조이면 삽입된 스파이크(320)가 제1피복강관(10)의 외주연에 점차 밀착되며 제1피복강관(10)의 외주연을 가압할 수 있도록, 스파이크(320)의 유동공간을 확보하여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400)는, 상기 안내홈(500)이 위치한 압륜(300)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어, 안내홈(500) 형성으로 인해 얇아진 체결홈(410)의 나사 결합 면적을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복강관의 결합 시, 피복강관 간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피복강관의 결합 시, 피복강관 간의 기밀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지진 등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견고한 결합을 유지함으로써, 내진성(耐震性)을 확보하고, 기밀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를 바탕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 제1피복강관
11 : 제2피복강관
17 : 코어결합돌기
21 : 체결볼트
22 : 걸림턱
40 : 이음소켓
41 : 경사걸림턱
50 : 이음수단
51 : 연결부
52 : 확장부
53 : 경사부
300 : 압륜
310 : 조임볼트
320 : 스파이크
400 : 체결부
410 : 체결홈
500 : 안내홈
600 : 결합돌기
610 : 결합홈
700 : 관단코어
717 : 코어끼움홈
11 : 제2피복강관
17 : 코어결합돌기
21 : 체결볼트
22 : 걸림턱
40 : 이음소켓
41 : 경사걸림턱
50 : 이음수단
51 : 연결부
52 : 확장부
53 : 경사부
300 : 압륜
310 : 조임볼트
320 : 스파이크
400 : 체결부
410 : 체결홈
500 : 안내홈
600 : 결합돌기
610 : 결합홈
700 : 관단코어
717 : 코어끼움홈
Claims (4)
- 피복 강관용 이탈방지 압륜을 이용한 피복 강관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제2피복강관(11)의 일측 단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피복강관(10)과;
일측 단부의 내부에 상기 제1피복강관(10)이 삽입되고, 상기 제1피복강관(10)이 삽입되는 일측 단부에는, 제1피복강관(10)의 단부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확장 형성되는 확장부(52), 상기 확장부(52)가 확장될 때 완만한 경사를 가지고 제2피복강관(11) 몸체와 확장부(52)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부(53), 상기 확장부(52) 끝단에 형성되고 바깥쪽으로 확장되면서 경사각(θ)을 갖는 연결부(51)를 포함하는 이음수단(50)이 형성되며, 상기 확장부(52), 경사부(53), 연결부(51)의 단면 두께(t1)와 제2피복강관(11)의 단면 두께(t2)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균일한 강도를 갖는 제2피복강관(11)과;
상기 연결부(51)의 경사각(θ)과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경사걸림턱(41)이 내주연에 형성되고, 연결부(51)의 외주연에 위치한 상태에서 체결볼트(21)의 걸림턱(22)이 밀착되면 압륜(300)과 함께 제1피복강관(10)과 제2피복강관(11)을 서로 이음하는 이음소켓(40)과;
상기 제2피복강관(11)의 일측 단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일측의 상기 제1피복강관(10)의 단부 및 인접한 내주연에 밀착되도록 삽입되는 관단코어(700);를 포함하되,
(a) 상기 제1피복강관(10)의 내주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어결합돌기(17)가 포함되고,
(b) 상기 관단코어(700)는 상기 코어결합돌기(17)와 대응되는 위치를 절개하여 형성된 코어끼움홈(717)을 포함하고,
(c) 상기 코어끼움홈(717)의 절개된 끝단부에는, 상기 코어결합돌기(17)가 상기 코어끼움홈(717)에 완전히 삽입된 후 상기 코어끼움홈(717)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 만곡걸림턱이 형성됨으로써, 외부 충격이 발생되어도 상기 관단코어(700)가 상기 제1피복강관(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강관용 이탈방지 압륜을 이용한 피복 강관의 결합 구조는,
상기 이음소켓(40)의 일측에 인접하여 상기 제1피복강관(10)의 일측 외주연에 결합되는 압륜(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강관용 이탈방지 압륜을 이용한 피복 강관의 결합 구조는,
외주연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 방향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체결볼트(21)와,
외주연의 둘레를 따라 상기 체결볼트(21)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피복강관(10)의 외주연 방향으로 나사 조임되는 조임볼트(310)와,
상기 조임볼트(310) 하단에 형성되는 결합돌기(600)와,
상기 조임볼트(310) 하단에 연결 형성되고, 상기 제1피복강관(10)의 외주연에 밀착 고정되며, 상단 중간에 결합홈(610)이 형성되어, 결합돌기(600)가 결합홈(610) 내부에 강압적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스파이크(320)와,
스파이크(320)를 삽입가능하도록 내주연의 중간에 형성되되, 조임볼트(310)를 조이면 삽입된 스파이크(320)가 제1피복강관(10)의 외주연에 점차 밀착되며 제1피복강관(10)의 외주연을 가압할 수 있도록, 스파이크(320)의 유동공간을 확보하여 형성되는 안내홈(500)과,
상기 안내홈(500)이 위치한 압륜(300)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어, 안내홈(500) 형성으로 인해 얇아진 체결홈(410)의 나사 결합 면적을 확보하는 체결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9479A KR101779515B1 (ko) | 2017-05-12 | 2017-05-12 |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9479A KR101779515B1 (ko) | 2017-05-12 | 2017-05-12 |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79515B1 true KR101779515B1 (ko) | 2017-09-18 |
Family
ID=60034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9479A KR101779515B1 (ko) | 2017-05-12 | 2017-05-12 |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9515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4451B1 (ko) * | 2017-11-30 | 2018-12-03 |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및 이를 이용한 금속관 연결 구조 |
KR20210013847A (ko) | 2019-07-29 | 2021-02-08 | 김일 | 강관용 소켓플랜지 및 플랜지붙이 강관 |
KR20210014341A (ko) | 2019-07-30 | 2021-02-09 | 김일 | 소켓플랜지 및 플랜지붙이 강관 |
KR20210014849A (ko) | 2019-07-31 | 2021-02-10 | 김일 | 중첩형 소켓플랜지 및 플랜지붙이 강관 |
KR20220111479A (ko) | 2021-02-02 | 2022-08-09 | 김일 | 피복강관 소켓식 연결구조 |
KR20220112946A (ko) | 2021-02-05 | 2022-08-12 | 김일 | 피복강관 기계식 연결구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7014B1 (ko) * | 2010-05-17 | 2010-10-11 | 주식회사 휴비코 | 피복 강관용 이탈방지 압륜 |
KR101037586B1 (ko) * | 2011-04-25 | 2011-05-27 | 주식회사 휴비코 | 이탈방지 압륜용 피복 강관 |
KR101639263B1 (ko) * | 2015-09-01 | 2016-07-14 |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 수도관 연결장치 |
-
2017
- 2017-05-12 KR KR1020170059479A patent/KR10177951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7014B1 (ko) * | 2010-05-17 | 2010-10-11 | 주식회사 휴비코 | 피복 강관용 이탈방지 압륜 |
KR101037586B1 (ko) * | 2011-04-25 | 2011-05-27 | 주식회사 휴비코 | 이탈방지 압륜용 피복 강관 |
KR101639263B1 (ko) * | 2015-09-01 | 2016-07-14 |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 수도관 연결장치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4451B1 (ko) * | 2017-11-30 | 2018-12-03 |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 소켓이 구비된 금속관 및 이를 이용한 금속관 연결 구조 |
KR20210013847A (ko) | 2019-07-29 | 2021-02-08 | 김일 | 강관용 소켓플랜지 및 플랜지붙이 강관 |
KR20210014341A (ko) | 2019-07-30 | 2021-02-09 | 김일 | 소켓플랜지 및 플랜지붙이 강관 |
KR20210014849A (ko) | 2019-07-31 | 2021-02-10 | 김일 | 중첩형 소켓플랜지 및 플랜지붙이 강관 |
KR20220111479A (ko) | 2021-02-02 | 2022-08-09 | 김일 | 피복강관 소켓식 연결구조 |
KR20220112946A (ko) | 2021-02-05 | 2022-08-12 | 김일 | 피복강관 기계식 연결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79515B1 (ko) | 피복강관 간의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피복강관의 결합구조 | |
KR101780411B1 (ko) | 피복 강관용 이탈방지 압륜을 이용한 피복 강관의 결합 구조 | |
US9822915B2 (en) | Pipe connection | |
KR890002181B1 (ko) | 파이프 커플링 | |
JP3966904B2 (ja) | プラスチックパイプ接合構造体 | |
US20080217917A1 (en) | Joint Structure for Quickly Connecting Corrugated Pipe | |
KR102047934B1 (ko) | 배관 연결구조 | |
KR101868756B1 (ko) | 지관 연결장치 | |
US5829793A (en) | Self-restrained adapter system for connecting plastic pipe system to metallic pipe system | |
CN102563248A (zh) | 管道连接结构 | |
KR101274094B1 (ko) |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 |
JP2005528568A (ja) | 管継手 | |
KR100981565B1 (ko) | 파이프 접속용 조인트 | |
KR100903719B1 (ko) | 파이프 연결관과 그 제조방법 | |
US7011345B2 (en) | Pipe joint and couplers | |
CA2608676A1 (en) | Pipe connection having an area of reduced strength | |
KR101552321B1 (ko) |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방법 | |
CA2358994A1 (en) | Pipe coupling for plastic pipes | |
US11028950B2 (en) | Pipe coupling | |
KR100930209B1 (ko) |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 |
KR100717715B1 (ko) |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 | |
KR101577727B1 (ko) | 피에이치씨 파일 이음 장치 및 그 이음 방법 | |
US6595560B1 (en) | Sleeve joint | |
KR101225697B1 (ko) | 하수관을 연결하는 관연결장치 | |
KR200444734Y1 (ko) | 합성수지관용 이탈방지 조인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