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715B1 -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 - Google Patents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715B1
KR100717715B1 KR1020060051630A KR20060051630A KR100717715B1 KR 100717715 B1 KR100717715 B1 KR 100717715B1 KR 1020060051630 A KR1020060051630 A KR 1020060051630A KR 20060051630 A KR20060051630 A KR 20060051630A KR 100717715 B1 KR100717715 B1 KR 100717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expansion
pipe
synthetic resin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1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승
Original Assignee
(주) 삼정디씨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정디씨피 filed Critical (주) 삼정디씨피
Priority to KR1020060051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7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14Flang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과 합성수지관을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소켓의 확장 및 관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연결력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은,
연결구에 의해 연결된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일측에 제 1 관체가 일체로 되고, 다른 일측에는 제 2 관체가 인입되는 확관부를 가지며, 이 확관부의 외측 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소켓; 상기 걸림턱 상에 일체로 결합되는 금속 또는 비금속계의 결속링; 상기 확관부 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 2 관체의 표면에 끼워지는 내측 링부와, 상기 걸림턱 보다 큰 내경을 갖는 외측 링부와, 상기 내외측 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압륜; 상기 결속링에 걸림 결합된 채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여 조임너트에 의해 조임 체결되는 후크볼트; 상기 내측 링부의 압박돌부에 의해 확관부와 제 2 관체의 사이로 압입되는 패킹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후크볼트의 상면과, 이에 대응하는 외측 링부의 내면 사이에는 갭을 갖되, 상기 갭은 연결부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결속링의 단면상 수직요소 및 수평요소의 각 내측 단부에 결속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상기 결속돌기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상기 결속돌기가 삽입되는 결속홈이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방지와 이 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이다.
합성수지관 연결,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

Description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plastic pipe have a prevention enlarge and prevention secession connecting structure}
도 1은 종래 관 연결구를 갖는 합성수지관의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방지 및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의 제 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확장방지 및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의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륜과 클램프의 상세 사시도 1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륜과 클램프의 상세 사시도 2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소켓 200 : 결속링
210 : 수직요소 220 : 수평요소
211,221 : 결속돌기 300 : 압륜
310 : 내측 링부 311 : 고리
320 : 외측 링부 400 : 후크볼트
500 : 패킹부재 600 : 클램프
611,621 : 연장부 612,622 : 끼움홀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과 합성수지관을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소켓의 확장 및 관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연결력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관들을 인라인상으로 연결할 때는 소켓, 압륜, 후크볼트로 이루어진 연결구가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합성수지관 연결구는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234948호에서 제안되어 있고 본 발명의 도 1에서 도시되어 있듯이, 제 1 관로(12)와 제 2 관로(14)가 내 걸림턱(16)에 의해 구분되어 있으며, 제 1 관로의 일측 단부에는 확관부(18)를 소켓(10)과; 상기 소켓(10)의 확관부(18)내에 삽입되는 패킹부재(20)와, 상기 소켓(10)의 확관부(18)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패킹부재(20)를 확관부(18)의 내부를 향해 압박하기 위한 가압부(32)를 갖는 압륜(30)과, 상기 압륜(30)의 외측 수직면(34)에 밀착되는 와셔링(40)과; 상기 확관부(18)의 경사진 외측면(18a)에 안착되는 누름링(50)과; 상기 와셔링과 압륜을 도면상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그 선단에 형성된 후크(62)가 상기 누름링(50)에 걸리도록 하고, 상기 와셔링(40)의 외측에서 조임너트(64)로 체결력을 발휘하는 후크볼트(6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합성수지관의 연결구는 조임너트(64)의 체결력에 의해 후크볼트(60)가 누름링(50)을 당김에 따라 누름링이 상기 소켓(10)의 경사진 외측면(18a) 에 대해 슬라이딩 되면서 소켓(10)의 확관부(18)를 눌러주게 되는데, 후크볼트(60)의 직경이 압륜(30)의 볼트공(34a)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헐거움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확관부(18)의 복원현상에 의해 조임너트(64)와 후크볼트(60)의 체결력이 점차적으로 약해지게 되는데, 이를 보완할 만한 구조나 장치가 없어서 소켓(10)과 관체(70)의 결합력이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때문에, 정기적으로 조임너트(64)를 조여줘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와셔링(40)의 일단에 형성된 걸림턱(42)에는 클램프(80)가 걸림 결합된 채 결합되어 있는데, 이 클램프(80)는 그 내주면에 톱니(82)가 형성된 것으로 보아서 후크볼트(60)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려는 것을 잡고 있으므로써 소켓(10)과 관체(70)의 결합력을 배가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된 이유에 의해 후크볼트(60)와 조임너트(64)와의 체결력이 약화되면 결국 와셔링(40)과 압륜(30)의 결합력이 약화되어 클램프(80)가 후크볼트(60)를 당겨주는 힘이 제거되므로 클램프의 역할이 유명무실해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합성수지관 연결구는 누름링(50) 자체로서는 누름작용을 할 수 없고 반드시 후크볼트(60)에 의해 당김력이 작용해야만 누름력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이유들에 의해서 후크볼트(60)의 당김력이 약화되면 누름링(50)의 경사면(18a)을 타고 미끄러져 내려가면서 합성수지관의 체결력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합성수지관 연결구는 후술될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 연결구에 비해서 부품수가 많아서(예컨데 와셔링:40) 가격상승요인이 되고, 부품수가 많음에 비례하여 분해 결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합성수지관 연결구는 와셔링(40)과 클램프(80)의 결합관계에 있어서 와셔링에는 걸림턱(42)을 형성하고, 클램프(80)에는 걸림홈(84)을 형성하여 걸림턱(42)과 걸림홈(84)을 상호 취합하게 되는데, 클램프에 걸림홈(84)이 형성되는 관계로 클램프(80)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클램프의 두께가 두껍다는 것은 클램프 제작시 원소재가 많이 들어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비 경제적이다.
또한, 상기 "L"자 형상의 와셔링(40)이 직각을 이루고 있는 상태로 부터 후크볼트(34)를 조이는 과정에서 와셔링이 둔각상태로 변형을 일으키게 되면, 이 변형력에 의해 클램프(80) 사이가 벌어지면서 클램프의 역할을 상실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와셔링이 미약한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해서 발생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후크볼트의 도움없이 결속링 자체로서도 확관부를 압박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설사 후크볼트가 헐거워지더라도 견고한 관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륜의 구조개선을 통해 후크볼트의 체결시 후크볼트 가 압박되게 하므로써 후크볼트의 풀림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소켓의 확장방지역할을 하는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륜에 클램프를 직결하므로써 기존 대비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클램프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서 원가절감이 가능한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연결구에 의해 연결된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일측에 제 1 관체가 일체로 되고, 다른 일측에는 제 2 관체가 인입되는 확관부를 가지며, 이 확관부의 외측 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소켓; 상기 걸림턱 상에 일체로 결합되는 금속 또는 비금속계의 결속링; 상기 확관부 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 2 관체의 표면에 끼워지는 내측 링부와, 상기 걸림턱 보다 큰 내경을 갖는 외측 링부와, 상기 내외측 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압륜; 상기 결속링에 걸림 결합된 채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여 조임너트에 의해 조임 체결되는 후크볼트; 상기 내측 링부의 압박돌부에 의해 확관부와 제 2 관체의 사이로 압입되는 패킹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후크볼트의 상면과, 이에 대응하는 외측 링부의 내면 사이에는 갭을 갖되, 상기 갭은 연결부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져서 연결부 부근에서는 후크볼트의 상면과 외측 링부의 내면이 맞닿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결속링의 단면상 수평요소의 내측 단부에 결속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상기 결속돌기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상기 결속돌기가 삽입되 는 결속홈이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링부의 내면이 연결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링부의 일측 단부에는 외향으로 돌출된 고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리에는 클램프가 결속되되, 클램프에는 단차형 연장부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에는 상기 고리가 끼움 결속되는 끼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고리는 상기 연결부를 향해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킹부재의 아래 윗면에 수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이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링부의 일측 단부에는 외향으로 돌출된 고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리에는 클램프가 결속되되,
상기 고리는 T자형으로 하고, 상기 클램프의 고리와의 결속부위에는 고리의 헤드부가 끼워지는 제 1 끼움부가 구비되고, 고리의 몸체부가 끼워지는 제 2 끼움 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륜과 클램프의 상세 사시도1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륜과 클램프의 상세 사시도2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특히 외면이 평활한 합성수지관을 통칭함)의 사이를 연결할 때 견고성을 더하기 위해 소켓(100), 결속링(200), 압륜(300), 후크볼트(400), 패킹부재(500), 클램프(600)등의 구성을 갖고 있다.
상기 소켓(100)은 그 일측에 제 1 관체(101)가 일체화되어 있고, 다른 일측에는 제 2 관체(102)가 인입되는 확관부(110)를 갖되, 이 확관부는 그 내외경이 점진적으로 확관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 확관부(110)의 외측 단부에는 걸림턱(1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소켓(100)의 내주면에는 도 2에서 보듯이 내 걸림턱(103)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 1 관체(101)와 제 2 관체(102)가 내 걸림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게 할 수도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도 3에서 보듯이 소켓(100)의 단부와 제 1 관체(101)의 단부를 맞대기 용접에 의해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결속링(200)은 금속 또는 비금속재로 되되, 상기 걸림턱(120)의 표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ㄱ"자형 단면을 이루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결속링(200)의 단면상 수평요소(220)의 내측 단부에 결속돌기(211,221)를 형성하고, 동시에 상기 걸림턱(120)의 상기 결속돌기(211,221)와 대응하는 지점에는 상기 결속돌기가 내입(삽입)되는 결속홈(121,122)이 형성되게 하므로써 걸림턱과 결속링사이에 들뜸이 없이 완전히 밀착상태로 일체화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결속링(200)의 수직요소(210)는 압륜(300)의 걸림턱(120)을 후크볼트(400)로 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수평요소(210)은 후크볼트(400)로서 걸림턱(120)을 누를 때 걸림턱의 윗면을 보호하는 역할과, 확관부(110)가 확관됨을 방지하는 역할도 병행한다.
이를 보충설명하자면, 결속링(200)이 없다면 후크볼트(400)가 직접 걸림턱(120)을 누르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걸림턱(120)의 재질이 비교적 무른 재질인 합성수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후크볼트의 누름력이 강하게 작용하게 되면 걸림턱(120)이 뭉게지면서 후크볼트의 누름력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어 결국은 후크볼트(400)와 걸림턱(120) 사이가 느슨해 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결속링(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턱(120)이 훼손(뭉게지는 현상)되는 것을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하므로써 결국은 후크볼트의 누름력을 유지할 수 있게 도와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보다 중요한 역할은 확관부(110)를 누를 수 있다는 것이다. 결속링(200)은 원형으로 되어 있어서 확관부로 끼우는 자체가 확관부의 늘어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아울러, 결속링(200)과 걸림턱(120)에는 이탈방지를 위한 결속돌기(211,221)와 결속홈(121,122)가 형성되어 있어서 결속링을 걸림턱에 결합할 경우 후크볼트(400)를 체결하지 않더라도 그 자체가 고정력을 발휘하게 되므로써 확관부(100)를 조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후크볼트(400)를 체결하게 되면 2중 조임이 되므로써 확실한 조임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후크볼트(400)의 조임시 압륜(300)에 의해 패킹부재(500)를 압박하면 확관부(110)가 합성수지 재질이라서 매우 두껍게 제작하여도 늘어날 수 있지만 결속링(200)에 의해 확관부가 확장되지 않게 하여 준다.
상기 압륜(300)은, 상기 소켓(100)의 확관부(110) 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 2 관체(102)의 표면에 끼워지는 내측 링부(310)와, 상기 소켓(100)의 걸림턱(120) 보다 큰 내경을 갖는 외측 링부(320)와, 상기 내외측 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내측 링부(310)의 일측 단부에는 외향으로 돌출된 고리(31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리에는 후술되는 클램프(600)가 취합된다. 취합구조는 클램프 구조를 설명할 때 상세히 논하기로 한다. 상기 고리(311)는 상기 연결부(330)를 향해서 굴곡되어 있는데, 이는 고리(311)에 끼움 결합되는 클램프(600)의 취합력을 원활히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후크볼트(400)는 그 일측 단부에 "ㄱ"자로 꺽인 후크부(410)가 있어서 이를 상기 결속링(200)에 걸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일측 단부는 연결부(330)에 형 성된 볼트공(331)을 관통하여 조임너트(420)로서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후크볼트(400)의 상면과 대응하는 외측 링부(320)의 내면 사이에는 갭(g)을 갖되, 상기 갭은 연결부(330)를 향할 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갭(g)의 형태를 가지게 하려면, 상기 외측 링부(320)의 내면을 연결부의 반대쪽으로 부터 연결부(330)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하향 구배지게 하거나 또는, 후크볼트(400)의 상면을 후크부(410) 측으로 부터 그 반대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하향 구배지게 해야 한다.(도 2의 상측 단면을 기준으로 설명된 것임).
이렇게 구배를 주는 이유는 후크볼트(400)를 체결할 때 쐐기작용에 의해 외측 링부(320)가 후크볼트를 자연스럽게 누르게 되면서 상기 확관부(110)의 압박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패킹부재(500)는 상기 확관부(110)와 제 2 관체(102)의 사이에 압입되어 확관부와 제 2 관체 사이의 수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내측 링부(310)의 단부에 의해 보다 깊숙히 압입된다. 이때, 상기 패킹부재(500)의 윗면과 아랫면에는 확관부(110)의 내면과 제 2 관체(102)의 표면에 각각 압착되는 수밀돌기(510)가 형성되어 있어서 확관부(110)와 제 2 관체(102) 사이의 수밀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클램프(600)는 반원형으로 된 한 쌍의 단위클램프(610,620)를 서로 조 합하여 이루어지되, 각 단위클램프(610,620)의 일측에는 단차형 연장부(611,621)를 두고, 이 연장부에는 상기 고리(311)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홀(612,62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600)는 끼움홀(612,622)에 고리(311)가 관통하게끔 구성되어 있어서, 전체 둘레로 끼워지는 기존의 클램프와 대비하여 결합력은 변함이 없으면서도 원소재를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되었듯이 고리(311)이 상기 연결부(330)를 향해 굴곡되어 있기 때문에 끼움홀과 걸림턱을 취합하였을 때 취합력이 원활하다는 장점을 발휘하게 된다.
한편, 고리와 클램프의 결속구조는 다른 형태로도 가능하다. 예컨데, 고리(311a)는 T자형으로 하고, 각 단위클램프(630,640)의 상기 고리와의 결속부위에는 고리의 헤드부(311a´)가 끼워지는 제 1 끼움부(631,641)가 구비되고, 고리의 몸체부(311a˝)가 끼워지는 제 2 끼움부(632,642)가 구비된다.
미설명부호 613,623은 각 단위클램프(610,620)를 서로 결속하기 위한 결속플랜지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륜의 외측 링부와 후크볼트의 쐐기작용에 의해 외측 링부가 후크볼트를 누르게 되므로써 소켓의 확관부를 보다 강하게 압박하게 됨에 따라 체결력을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결속링이 소켓의 걸림턱을 감싸고 있기 때문에 합성수지의 단점을 보 완하기 위해 매우 두껍게 제작하는 비용을 절감하였을 뿐만 아니라 후크볼트가 걸림턱을 누를 때 걸림턱이 뭉게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후크볼트를 강하게 조이더라도 체결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후크볼트가 누를 때 결속링의 상면을 누르게 되는데, 결속링의 상면은 비교적 면적이 넓은 편이어서 보다 안정적으로 소켓의 확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륜에 클램프를 고리형으로 결합하므로써 클램프 둘레의 소재를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비교할 때 부품수(와셔링이 없어짐)가 감소되어 분해 결합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6)

  1. 연결구에 의해 연결된 합성수지관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일측에 제 1 관체가 일체로 되고, 다른 일측에는 제 2 관체가 인입되는 확관부를 가지며, 이 확관부의 외측 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소켓; 상기 걸림턱 상에 일체로 결합되는 금속 또는 비금속계의 결속링; 상기 확관부 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 2 관체의 표면에 끼워지는 내측 링부와, 상기 걸림턱 보다 큰 내경을 갖는 외측 링부와, 상기 내외측 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압륜; 상기 결속링에 걸림 결합된 채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여 조임너트에 의해 조임 체결되는 후크볼트; 상기 내측 링부의 압박돌부에 의해 확관부와 제 2 관체의 사이로 압입되는 패킹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후크볼트의 상면과, 이에 대응하는 외측 링부의 내면 사이에는 갭을 갖되, 상기 갭은 연결부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져서 연결부 부근에서는 후크볼트의 상면과 외측 링부의 내면이 맞닿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결속링의 단면상 수평요소의 내측 단부에 결속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의 상기 결속돌기와 대응되는 지점에는 상기 결속돌기가 삽입되는 결속홈이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링부의 내면이 연결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진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링부의 일측 단부에는 외향으로 돌출된 고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리에는 클램프가 결속되되, 클램프에는 단차형 연장부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에는 상기 고리가 끼움 결속되는 끼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상기 연결부를 향해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의 아래 윗면에 수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링부의 일측 단부에는 외향으로 돌출된 고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리에는 클램프가 결속되되,
    상기 고리는 T자형으로 하고, 상기 클램프의 고리와의 결속부위에는 고리의 헤드부가 끼워지는 제 1 끼움부가 구비되고, 고리의 몸체부가 끼워지는 제 2 끼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
KR1020060051630A 2006-06-08 2006-06-08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 KR100717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630A KR100717715B1 (ko) 2006-06-08 2006-06-08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1630A KR100717715B1 (ko) 2006-06-08 2006-06-08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7715B1 true KR100717715B1 (ko) 2007-05-11

Family

ID=38270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630A KR100717715B1 (ko) 2006-06-08 2006-06-08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7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869B1 (ko) 2008-07-14 2009-02-17 (주) 삼정디씨피 파이프 연결부재용 결속링
KR100997533B1 (ko) 2009-07-21 2010-12-01 김창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101029101B1 (ko) 2008-09-26 2011-04-13 (주) 삼정디씨피 클램프 거치부재
KR101856507B1 (ko) * 2017-10-27 2018-05-10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관 연결구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3692U (ko) 1980-11-29 1982-06-09
JPH10122466A (ja) 1996-10-24 1998-05-15 Kubota Corp 管継手の耐震構造
KR200238540Y1 (ko) 2001-04-25 2001-10-12 주식회사 정원주철 송수관용 신축 조인트장치
KR200280038Y1 (ko) 2002-04-03 2002-06-27 건설화성 주식회사 편수관의 관이음구
KR200299151Y1 (ko) 2002-09-12 2003-01-03 김선호 관 이음장치
KR200302766Y1 (ko) 2002-10-28 2003-02-05 김선호 관 이음구의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3692U (ko) 1980-11-29 1982-06-09
JPH10122466A (ja) 1996-10-24 1998-05-15 Kubota Corp 管継手の耐震構造
KR200238540Y1 (ko) 2001-04-25 2001-10-12 주식회사 정원주철 송수관용 신축 조인트장치
KR200280038Y1 (ko) 2002-04-03 2002-06-27 건설화성 주식회사 편수관의 관이음구
KR200299151Y1 (ko) 2002-09-12 2003-01-03 김선호 관 이음장치
KR200302766Y1 (ko) 2002-10-28 2003-02-05 김선호 관 이음구의 체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869B1 (ko) 2008-07-14 2009-02-17 (주) 삼정디씨피 파이프 연결부재용 결속링
KR101029101B1 (ko) 2008-09-26 2011-04-13 (주) 삼정디씨피 클램프 거치부재
KR100997533B1 (ko) 2009-07-21 2010-12-01 김창규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101856507B1 (ko) * 2017-10-27 2018-05-10 주식회사 코팅코리아 관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0537A (en) Pipe coupling
JP6386227B2 (ja) 管継手
KR100717715B1 (ko)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
JPH0217758B2 (ko)
KR100902886B1 (ko) 파이프와 일체로 형성된 상수관 연결구
KR100981565B1 (ko) 파이프 접속용 조인트
JP4412589B2 (ja) フランジ接合装置
JPH0830547B2 (ja) 管継手
KR200422113Y1 (ko) 저압용 파이프 커플링
JP5072471B2 (ja) ユニオンナット継手用管離脱防止装置
KR200416932Y1 (ko) 파이프 연결구조
KR100958716B1 (ko) 상하수도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KR20100094048A (ko) 플랜지 타입 메카니컬 조인트
KR101026243B1 (ko) 수도관 연결장치
KR100979222B1 (ko) 상하수도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KR101040952B1 (ko) 송수관용 연결구조
KR101029101B1 (ko) 클램프 거치부재
JP3421797B2 (ja) 排水管接続構造
KR200258823Y1 (ko) 배관파이프의연결구조
KR101185104B1 (ko) 수도관 연결장치
KR101044253B1 (ko) 상수도관의 이탈방지용 압륜
CN219841201U (zh) 一种新型防脱管材
JPH1019176A (ja) 管継手
KR200444428Y1 (ko) 파이프와 일체로 형성된 상수관 연결구의 스토퍼
KR20210088059A (ko) 너트 부착형 이탈방지 압륜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