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540Y1 - 송수관용 신축 조인트장치 - Google Patents

송수관용 신축 조인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540Y1
KR200238540Y1 KR2020010011985U KR20010011985U KR200238540Y1 KR 200238540 Y1 KR200238540 Y1 KR 200238540Y1 KR 2020010011985 U KR2020010011985 U KR 2020010011985U KR 20010011985 U KR20010011985 U KR 20010011985U KR 200238540 Y1 KR200238540 Y1 KR 2002385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s
pipe
water
water pip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9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권섭
조면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원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원주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원주철
Priority to KR20200100119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5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5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540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수관이나 하수관과 같은 송수관들의 연결부에 결합되는 신축 조인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축되는 조인트 장치에 의하여 지반의 침하 및 과도한 수압에 의하여 부하가 발생하였을 때 송수관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송수관용 조인트는 주로 단순하게 양측관들을 결합시킨 것이므로 지반이 침하되거나 송수관 내부에 과도한 수압이 발생되면 조인트에서 양측 관들이 이탈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일측 송수관(10)과 압륜(20)에 돌출형성된 지지관(30)과 안내관(40)의 걸림턱(31)(41)들이 일정간격 이격하여 서로 결합되어 지지관(30)과 안내관(40)들이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므로 과도한 수압이 발생되거나 지반이 침하되더라도 양측 송수관(10)(11)들이 걸림턱(31)(41)들의 간격만큼 신축 조절되고, 완만하게 굴곡되면서 부하를 완충시키므로 관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서 지진에 견딜 수 있는 내진 설계를 이루어 송수관용 조인트장치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송수관용 신축 조인트장치{an expansion joint for water pipe}
본 고안은 상수관이나 하수관과 같은 송수관들의 연결부에 결합되는 신축 조인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축되는 조인트 장치에 의하여 지반의 침하 및 과도한 수압에 의하여 부하가 발생하였을 때 송수관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관이나 하수관과 같은 송수관들은 그 길이가 일정하게 형성되고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원하는 목적지까지 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주로 송수관들의 결합부에는 조인트가 장착되어 관들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조인트는 주로 단순하게 양측관들을 결합시킨 것이므로 지반이 침하되거나 송수관 내부에 과도한 수압이 발생되면 조인트에서 양측 관들이 이탈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물론,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탈 방지용 조인트가 개발된 것이 있으나, 이와 같은 조인트는 관이 이탈되는 폐단을 줄일 수 있는 반면 관을 과도하게 조여줌에 따라 관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지반의 침하가 이루어질 때 지하에 매설된 관의 이탈 및 누수 등으로 막대한 예산 낭비가 있었고 이를 위하여 내진을 이룰 수 있는 신축관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었으며, 지진의 위험에 안심할 수 없는 한반도의 실정을 감안하여 신축되는 조인트에 의하여 내진을 목적으로 한 설계를 이루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조인트 장치가 신축되도록 구성하여 지반의 침하 및 과도한 수압으로부터 송수관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내진(耐震) 설계를 이룰 수 있는 송수관용 신축 조인트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일측 송수관(10)이 타측 송수관(11)의 내부에 삽입되어 패킹(12)에 의하여 밀폐되고, 그 외측에 장착된 압륜(20)의 결합공(20a)들에는 고정용 볼트(22)가 삽입되어 그 선단의 걸림부(22a)가 타측 송수관(11)의 플랜지(11a)에 걸려져 너트(23)로 조임되면서 압륜(20)의 내주연부에 형성된 돌출부(21)가 패킹(12)을 가압시키는 조인트장치에 있어서, 상기일측 송수관(10)의 외측에는 그 내측면에 요철부(32)를 갖는 지지관(30)이 장착되고, 타측 송수관(11)에 고정된 압륜(20)의 외측에는 안내관(40)이 돌출 형성되며 지지관(30)과, 안내관(40)들의 내,외주연부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31)(41)들이 서로 결합되어 일정거리 이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관용 신축 조인트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2a, 도 2b, 도 2c는 본 고안에 의한 신축 조인트장치의 신축 및 굴곡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 : 송수관
11a : 플랜지
12 : 패킹
20 : 압륜
20a, 30c : 결합공
21 : 돌출부
22 : 고정용 볼트
22a : 걸림부
23, 51 : 너트
30 : 지지관
30a : 지지체
30b : 지지편
31, 41 : 걸림턱
32 : 요철부
40 : 안내관
50 : 볼트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송수관(10)이 타측 송수관(11)의 내부에 삽입되고 패킹(12)에 의하여 밀폐되어 양측 송수관(10)(11)들이 서로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압륜(20)이 장착되어 있고, 압륜(20)의 외측에 뚫려진 결합공(20a)들에는 고정용 볼트(22)가 삽입된다.
상기 고정용 볼트(22)의 선단에는 걸림부(22a)가 절곡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부(22a)는 타측 송수관(11)의 플랜지(11a)에 걸려지고 그 후방은 압륜(20)의 결합공(20a)을 관통하여 너트(23)로 나사 결합된다.
상기 너트(23)를 조여주면 압륜(20)이 타측 송수관(11) 쪽으로 이동된다. 이때 압륜(20)의 내주연부에 형성된 돌출부(21)가 패킹(12)을 가압시킴에 따라 패킹(12)이 양측 송수관(10)(11)들 사이를 밀폐시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본 고안의 구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상기 조인트에 결합되는 지지관(30)과 안내관(40)들에 의하여 양측 송수관(10)(11)들을 신축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일측 송수관(10)의 외측에는 그 내측면에 요철부(32)를 갖는 지지관(30)이 장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지지관(30)은 복수개의 지지체(30a)로 분리 형성되고, 각각의 지지체(30a) 양단에는 결합공(30c)이 뚫려진 지지편(30b)이 절곡 형성되어, 결합공(30c)들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볼트(50)와 너트(51)에 의하여 지지체(30a)들이 원통형으로 조립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분리된 지지체(30a)들을 일측 송수관(10)의 외측면에 밀착시키면서, 지지편(30b)에 뚫려진 결합공(30c)으로 볼트(50)를 삽입시켜 너트(51)를 조여주면 각각의 지지편(30b)들이 합쳐지면서 요철부(32)가 송수관(10)의 외측면을 압박하여 지지관(30)이 일측 송수관(1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타측 송수관(11)에 고정된 압륜(20)의 외측에는 안내관(40)이 돌출 형성되며 지지관(30)과, 안내관(40)들의 내,외주연부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31)(41)들이 서로 결합되어 일정거리 이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과도한 수압이 발생되더라도 도 2a 및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 송수관(10)(11)들이 걸림턱(31)(41)들의 간격만큼 신축되어 완충되는 것이므로 과도한 수압을 견딜 수 있고, 도 2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반이 침하되더라도 양측 걸림턱(31)(41)들 사이에 형성된 유격에 의하여 약 10도 정도는 굴곡되는 것이므로 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지진의 발생시에도 이를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양측 송수관(10)(11)들이 신축되거나 굴곡되더라도 지지관(30)과 압륜(20)의 안내관(40)들이 이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양측 송수관(10)(11)들 사이에 삽입된 패킹(12)에 의하여 밀폐되는 것이므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일측 송수관(10)과 압륜(20)에 돌출형성된 지지관(30)과 안내관(40)의 걸림턱(31)(41)들이 일정간격 이격하여 서로 결합되어 지지관(30)과 안내관(40)들이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므로 과도한 수압이 발생되거나 지반이 침하되더라도 양측 송수관(10)(11)들이 걸림턱(31)(41)들의 간격만큼 신축 조절되고, 완만하게 굴곡되면서 부하를 완충시키므로 관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서 지진에 견딜 수 있는 내진 설계를 이루어 송수관용 조인트장치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일측 송수관(10)이 타측 송수관(11)의 내부에 삽입되어 패킹(12)에 의하여 밀폐되고, 그 외측에 장착된 압륜(20)의 결합공(20a)들에는 고정용 볼트(22)가 삽입되어 그 선단의 걸림부(22a)가 타측 송수관(11)의 플랜지(11a)에 걸려져 너트(23)로 조임되면서 압륜(20)의 내주연부에 형성된 돌출부(21)가 패킹(12)을 가압시키는 조인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측 송수관(10)의 외측에는 그 내측면에 요철부(32)를 갖는 지지관(30)이 장착되고, 타측 송수관(11)에 고정된 압륜(20)의 외측에는 안내관(40)이 돌출 형성되며 지지관(30)과, 안내관(40)들의 내,외주연부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31)(41)들이 서로 결합되어 일정거리 이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관용 신축 조인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30)은 복수개의 지지체(30a)로 분리 형성되고, 각각의 지지체(30a) 양단에는 결합공(30c)이 뚫려진 지지편(30b)이 절곡 형성되어, 결합공(30c)들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볼트(50)와 너트(51)에 의하여 지지체(30a)들이 원통형으로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관용 신축 조인트장치.
KR2020010011985U 2001-04-25 2001-04-25 송수관용 신축 조인트장치 KR2002385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985U KR200238540Y1 (ko) 2001-04-25 2001-04-25 송수관용 신축 조인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985U KR200238540Y1 (ko) 2001-04-25 2001-04-25 송수관용 신축 조인트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300A Division KR100310659B1 (ko) 2000-05-01 2000-05-01 송수관용 신축 조인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540Y1 true KR200238540Y1 (ko) 2001-10-12

Family

ID=7306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985U KR200238540Y1 (ko) 2001-04-25 2001-04-25 송수관용 신축 조인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5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715B1 (ko) 2006-06-08 2007-05-11 (주) 삼정디씨피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
KR20220020035A (ko) * 2020-08-11 2022-02-18 이한철 신축형 이탈방지 압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715B1 (ko) 2006-06-08 2007-05-11 (주) 삼정디씨피 확장방지와 이탈방지 연결구조를 갖춘 합성수지관
KR20220020035A (ko) * 2020-08-11 2022-02-18 이한철 신축형 이탈방지 압륜
KR102379945B1 (ko) 2020-08-11 2022-03-28 이한철 신축형 이탈방지 압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6564A (en) Device for coupling hose or the like
ES2303902T3 (es) Dispositivo de anclaje para acoplamiento de tubo.
KR102000094B1 (ko) 신축 이음관 조립체
KR200471097Y1 (ko) 신축 관 이음장치
KR100310659B1 (ko) 송수관용 신축 조인트장치
KR101290291B1 (ko) 현장 여건에 따른 신축 이음이 조절되는 배수관 이음 구조
EP1074778A1 (en) Tube joint
KR200238540Y1 (ko) 송수관용 신축 조인트장치
KR100574745B1 (ko) 플랜지를 이용한 관 이음장치
KR100370505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관연결구조
IT1293211B1 (it) Dispositivo di accoppiamento filettato per tubazioni.
KR100592139B1 (ko) 파형지중관 방수장치
KR20070070335A (ko) 파이프연결구
JP2000310368A (ja) 管継手部の構造とそれに使用するパッキン
KR101785632B1 (ko) 연결단부의 파손과 관 이탈을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한 보호소켓 일체형 상하수도관 세트
KR200496648Y1 (ko) 지중 관로 시공용 연결장치
KR100318009B1 (ko) 배관용 연결 소켓링
KR200254102Y1 (ko) 고밀폐 관 접속구
JP3939100B2 (ja) 耐震継手ならびに耐震管路
KR100453736B1 (ko) 고밀폐 관 접속구
JP4140888B2 (ja) 伸縮可撓管の伸縮移動規制装置
JP2006046620A (ja) 可撓管継手用パッキング
JPS5922753Y2 (ja) ケ−ブル布設用管継手
KR200170269Y1 (ko) 관 조인트
KR200355612Y1 (ko) 파이프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